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22:36:14

2025년


202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서기 2025년
MMXXV
二千二十五年 | 二〇二五年
2024년 2026년
태세 을사년
乙巳年
1965년 2085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한민국 107년
단기 4358년
불기 2569년
원기 110년
대만 민국 114년
일본 레이와 7년
황기 2685년
주체 114년
우주력 7533년(8월 31일까지)
7534년(9월 1일부터)
이슬람력 1446년(6월 25일까지)
1447년(6월 26일부터)
히브리력 5785년(9월 22일까지)
5786년(9월 23일부터)
페르시아력 1403년(3월 19일까지)
1404년(3월 20일부터)
에티오피아력 2017년(9월 10일까지)
2018년(9월 11일부터)
인류력 12025년 }}}}}}}}}
<colbgcolor=#0b6db7><colcolor=#fff> 밀레니엄 제3천년기
세기 21세기
연대 2020년대
양력 2025년 음력 2024년 12월 2일
~ 2025년 11월 12일
음력 2025년 양력 2025년 1월 29일
~ 2026년 2월 16일
일수 365일(평년)

1. 개요2. 설명
2.1. 휴일
3. 정치
3.1. 대한민국3.2. 세계3.3. 선거 일정
4. 경제5. 날씨
5.1. 1분기5.2. 2분기5.3. 3분기5.4. 4분기
6. 자연재해7. 국제행사
7.1. 스포츠7.2. e스포츠7.3. 기타
8. 문화
8.1. 영화8.2. 드라마8.3. 게임8.4. 가요계8.5. 공연8.6. 방송8.7. 연예계8.8. 교육8.9. 스포츠
8.9.1. 국내8.9.2. 해외
8.10. 인터넷8.11. 애니메이션
9. 사회10. 지리/교통
10.1. 지리10.2. 자동차10.3. 철도교통
10.3.1. 도시철도
10.4. 도로교통10.5. 항공·우주
11. 사건
11.1. 실제
11.1.1. 1월11.1.2. 2월11.1.3. 3월11.1.4. 4월11.1.5. 5월11.1.6. 6월11.1.7. 7월11.1.8. 8월11.1.9. 9월11.1.10. 10월11.1.11. 11월11.1.12. 12월
11.2. 예정11.3. 기념11.4. 가상
12. 탄생
12.1. 실존 인물12.2. 가상 인물
13. 사망14. 데뷔
14.1. 가수14.2. 인터넷 방송
15. 해체16. 은퇴
16.1. 가수16.2. 스포츠
16.2.1. 국내16.2.2. 해외
16.3. 인터넷 방송16.4. 기타
17. 출시 상품18. 히트작
18.1. 영화18.2. 드라마
18.2.1. 지상파(KBS1/2, SBS, MBC)18.2.2. 종합편성채널18.2.3. 케이블 및 스트리밍, 기타
18.3. 게임18.4. 특촬18.5. 가요18.6. 애니메이션18.7. 기타 분야
19. 유행어/밈20. 최초
20.1. 방송 프로그램
20.1.1. TV20.1.2. 라디오
21. 달력
21.1. 연휴
22. 음력 날짜

1. 개요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을사년(乙巳年, 푸른 뱀의 해)이다.

1936년(44²)에 이어 89년 만에 돌아온 제곱수(45²) 연도며 다음 제곱수 연도는 (45²)년도 기준 91년 뒤인 2116년(46²)이다.[1]

2. 설명

이 해에 한국은 8.15 광복남북 분단 80주년을 맞이했으며, 21세기 최초의 윤달 광복절을 맞았다. 광복절음력 날짜는 윤 6월 22일이며 국제적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80주년이기도 하다. 또한 21세기 1분기의 마지막, 즉 21세기의 4분의 1이 채워지는 해이다.

또한, 이 해는 1986년, 1997년, 2003년, 2014년, 2031년과 같은 형태의 달력이다.[2]

1987년 이후 38년 만에 윤 6월이 돌아오는데, 2025년 윤 6월은 7월 25일~8월 22일이며, 21세기 최초로 휴가철과 윤달이 겹친다. 때문에 불교 사찰들은 승려들의 안거 기간을 정하는 문제로 복잡해진다.

가톨릭 교회 전례력으로는 제3천년기의 첫 번째 정기 희년이다. 프란치스코 교황2015년~2016년에 선포했던 '자비의 희년'은 25년 주기로 돌아오는 정기 희년 사이에 들어간 특별 희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4월 21일 교황이 선종함에 따라 이 해에 콘클라베가 열리게 되었다.

국회공무원 시험에서 영어가 사라지고 TOEIC 등 공인 영어 시험 성적으로 대체된다. 국어도 PSAT로 대체.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국어와 영어 역시 출제유형이 암기력 위주에서 사고력 위주로 대규모 개편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해이다. 초등학교 1학년~4학년과 중학교, 고등학교 신입생에게 적용된다.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요금체계에 본격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한 해로써 직전 연도 9월 1일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11월 22일 경상북도 고령군에 이어 12월 14일 대경선 개통과 동시에 경상북도 성주군의 시내버스 요금이 단일화되어 성주-대구 4200원이 2000원으로 성주-왜관 2400원, 성주-고령 4700원, 성주-김천 5300원이 전부 1500원으로 조정되어 대한민국에서 시내버스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을 수수하는 곳이 없어진데 이어 이번에는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시내버스 무료요금제를 시행하는 곳이 늘어나기 시작했는데 1월 1일 첫차부터 문경시, 의성군, 진천군, 음성군, 양구군에 이어 3월 17일 울진군, 5월 1일 산청군, 7월 1일 정선군보은군이 그 뒤를 이었으며, 동월 1일 경상북도 시내버스에서 현지 주민등록 70세 이상 무료이용 교통카드를 실시함과 동시에 그동안 교통카드 음영지역이었던 영양군에서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함으로써 대한민국 어디서나 교통카드로 시내버스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되었다.

2024년 12월 26일, 인도에서 만모한 싱 전 총리가 사망하여 1월 1일까지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되었다. 사흘 후 대한민국에선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해 전국의 수많은 각색 새해맞이 행사가 대거 취소 그리고 축소되었고 정부 또한 7일 간의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하였다. 같은 날 미국에서는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사망하여 영결식이 거행되는 1월 9일까지 국장 애도기간이 선포되어 대한민국, 미국, 인도에서는 꽤나 차분한 분위기에서 맞이하는 한 해가 되었다. 특히 전직 행정수반이 90세를 넘길 정도로 장수하다가 조용히 세상을 떠난 미국, 인도와 달리 한국에서는 그야말로 연말에 청천벽력을 맞은 것과 다르지 않아 신년 분위기도 두 나라에 비해 훨씬 침울했다.[3]

또한 직전 해인 2024년 12월 3일 발령되어 6시간 만에 끝난 계엄 사태 여파로 대한민국은 대통령국무총리가 동시에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직무가 정지된 상태로 새해를 맞이하게 되었다. 대통령만 직무정지된 상태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건 2017년 이후 두번째다.

이번 연도에는 국가애도기간으로 인해서 일부 시상식과 가요제 한정으로 2번 개최가 된다.[4]

대형 산불이 연달아서 일어난 한 해이다. 대표적으로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2025년 3월 영남권 산불이 있다. 3월 중순부터 대한민국 영남권 지방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대형 산불이 연달아 일어났다. 이 중 가장 큰 피해를 남긴 산불은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이며, 소방 동원령 3호, 국가유산재난위기경보 심각 단계에 돌입했고 국가유산 27건이 손상됐으며, 소실 면적 약 100,000 ㏊(1,000 ㎢)로 이는 대한민국 영토의 1%로 역대 최대 규모 산불이며 역대 가장 큰 피해 인명피해를 낸 산불로 기록되었다. 또한 미얀마에서 거대한 지진이 일어나 미얀마 전역은 물론 1,000㎞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건물이 붕괴되었고 2,032명 사망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2025년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한 해이기도 하다. 한국과 일본 양국도 이를 기념하여 한국은 남산서울타워, 일본은 도쿄 타워에 각각 한일 관계를 상징하는 배색으로 동시 점등 행사를 진행하여 양국의 우정을 표현했다.

2.1. 휴일

주 5일 근무 기준 대체 휴일이 적용되지 않는 주말 공휴일이 없는 해다. 설날 연휴는 2005년 이후 20년 만에 돌아오는 9일 연휴인데, 1월 27일~1월 30일이라 1월 31일에 휴가를 내면 된다. 아예 설날 연휴 내수 진작을 위해 1월 27일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6일 연휴 및 금요일 휴가 반영 포함한 9일 연휴가 되었다.

삼일절토요일이라 3월 3일이 대체 휴일이다.[5] 삼일절이 개학에 영향을 주는 휴일이라 각급 학교 개학이 3월 4일로 밀려났다. 이로 인해 2년 연속으로 3월 4일에 입학식이 열리게 되었다.[6]

5월 5일2006년 이후 19년 만에 어린이날부처님오신날이 겹쳐 대체 휴일이 적용되어 다음날인 5월 6일[7]까지 쉴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의 날에 쉬는 직장인 한정으로 5월 2일 하루만 연차 휴가를 낸다면, 전날인 근로자의 날을 포함해 6일 연휴가 되었다.

음력 6월의 윤달 덕에 5년 만에 추석 당일이 10월에 있는데, 추석 연휴는 10월 5일(일)~10월 7일(화)[8]이라 10월 8일(수)이 대체 휴일이고, 앞뒤에 개천절한글날이 있다. 거기에 10월 10일(금요일)이 징검다리 연휴를 메우기 위한 임시공휴일이 되면 2017년처럼 추석 연휴가 10일 연휴가 된다.[9]

3. 정치

3.1. 대한민국

3.1.1. 윤석열 정부

3.1.1.1.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이미 2024년 12월 14일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에 대한 국회 탄핵안이 가결된 뒤 설상가상으로 한덕수 국무총리마저 탄핵소추되면서 최상목 부총리기획재정부장관이 그 권한대행을 맡고 있었다.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헌법재판소에서 인용되어 대한민국 헌정사상 2번째로 대통령직에서 파면되었다. 따라서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당초 계획(2027년 3월 3일)보다 1년 9개월 빠른 2025년 6월 3일 치러졌다.
3.1.1.1.1. 북한의 미사일 도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북한 미사일 도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북한 미사일 도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북한 미사일 도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2.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3. 윤석열 대통령 체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2차 체포영장 발부 및 집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2차 체포영장 발부 및 집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2차 체포영장 발부 및 집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4. 윤석열 대통령 구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대통령 구속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5.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6. 윤석열 대통령 구속 기소 및 석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대통령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7.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2.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3.1.1.2.1.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기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2.2.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인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2.3. 제21대 대통령 선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1대 대통령 선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1대 대통령 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2.4. 한국과 시리아의 국교 수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시리아 수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시리아 수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시리아 수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2.5.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3.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3.1.1.3.1.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3.2.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3.3.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이재명 정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재명 정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1. 김건희 특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건희와 명태균ㆍ건진법사 관련 국정농단 및 불법 선거 개입 사건 등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건희와 명태균ㆍ건진법사 관련 국정농단 및 불법 선거 개입 사건 등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건희와 명태균ㆍ건진법사 관련 국정농단 및 불법 선거 개입 사건 등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2. 내란 특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ㆍ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ㆍ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의한 내란ㆍ외환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3. 채상병 특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4.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구속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구속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구속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5.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재명 정부 특별사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6. 김건희 구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건희 구속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건희 구속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건희 구속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7. 한미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한미정상회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한미정상회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한미정상회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8. 검찰 수사권 분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재명 정부 검찰 수사권 분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 검찰 수사권 분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 검찰 수사권 분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9. 미국내 한국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대한민국 국회

3.1.3.1. 하늘이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늘이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늘이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늘이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2. 국민연금법 개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국민연금법 개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국민연금법 개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국민연금법 개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3. 장제원 전 의원 사망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제원 전 의원 사망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제원 전 의원 사망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제원 전 의원 사망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4.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법 일부개정법률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5. 방송4법 개정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방송4법 개정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방송4법 개정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방송4법 개정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6. 이춘석 주식 차명거래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춘석 주식 차명거래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춘석 주식 차명거래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춘석 주식 차명거래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7. 노란봉투법 개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노란봉투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란봉투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란봉투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세계

가장 큰 관심은 4년의 공백을 깨고 돌아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보이다.

3.2.1.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3.2.1.1.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2. 인도 - 파키스탄 분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3. 이스라엘 - 이란 분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4. 태국 - 캄보디아 국경 분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5. 인도네시아 시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시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시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8월 인도네시아 시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유럽, 미주

3.2.2.1. 도널드 트럼프 제2기 행정부 출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1.1.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1.2. LA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시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1.3. 트럼프 행정부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트럼프 행정부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트럼프 행정부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트럼프 행정부의 워싱턴 D.C. 주방위군 투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2.1. 광물 협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재건 투자 기금 설립을 위한 조항과 조건을 규정하는 양자 협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재건 투자 기금 설립을 위한 조항과 조건을 규정하는 양자 협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재건 투자 기금 설립을 위한 조항과 조건을 규정하는 양자 협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3. 트럼프 대통령 의회합동연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트럼프 대통령 의회합동연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트럼프 대통령 의회합동연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트럼프 대통령 의회합동연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4. 프란치스코 교황 사망 및 레오 14세 교황 선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콘클라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콘클라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콘클라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5.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6. 미국의 이스라엘 - 이란 전쟁 참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7. 일론 머스크아메리카당 창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메리카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메리카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메리카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선거 일정

2024년에 세계 주요 선거가 몰려 있었던 터라 2025년은 좀 쉬어가는 편이나, 독일 총선, 캐나다 총선, 대한민국 대선 등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선거가 있고, 앞에서 말했다시피 한국의 경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인용되면서 당해에 대선을 치르게 되어 세계 추세와 달리 정치적으로 중요한 해가 되었다. 또한, 4월 21일 프란치스코 교황선종(가톨릭)하면서 콘클라베도 치르게 된다.
  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크로아티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크로아티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4-2025년 크로아티아 대통령 선거 (결선) (1월 12일)
  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라루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라루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벨라루스 대통령 선거 (1월 26일)
  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리히텐슈타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리히텐슈타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리히텐슈타인 의회 선거 (2월 9일)
  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코소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코소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코소보 의회 선거 (2월 9일)
  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에콰도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에콰도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에콰도르 대통령 선거(1차) (2월 9일) + 2025년 에콰도르 대통령 선거(결선) (4월 13일) + 2025년 에콰도르 총선 (2월 9일)
  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2월 23일) + 2025년 함부르크 주의회 선거 (3월 2일)
  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리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리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리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벨리즈 의회 선거 (3월 12일)
  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재보궐선거 (4월 2일)[10] + 제21대 대통령 선거(6월 3일)[11]
  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가봉|{{{#!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가봉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가봉}}}{{{#!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가봉 대통령 선거 (4월 12일) + 2025년 가봉 총선 (8월)
  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캐나다 연방 선거 (4월 28일)
  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트리니다드 토바고|{{{#!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트리니다드 토바고}}}{{{#!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총선 (4월 28일)
  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영국 지방선거 (5월 1일)
  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싱가포르 총선 (5월 3일)
  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호주 연방 선거 (5월 3일)
  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4-2025년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12] (5월 4일)
  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바티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바티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바티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콘클라베 (5월 7일 ~ 8일)
  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알바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알바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알바니아 의회 선거 (5월 11일)
  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폴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 (5월 18일)
  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포르투갈 공화국 의회 총선거 (5월 18일) + 2025년 포르투갈 지방선거
  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네수엘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베네수엘라 국민의회 선거 (5월 25일)
  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수리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수리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수리남 국민의회 선거 (5월 25일)
  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부룬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부룬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부룬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부룬디 총선 (6월 5일)
  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7월 20일)
  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볼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볼리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볼리비아 대통령 선거 + 2025년 볼리비아 총선 (8월 17일)
  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제66회 노르웨이 총선 (9월 8일)
  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라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라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말라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말라위 대통령 선거 + 2025년 말라위 국민의회 선거 (9월 16일)
  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이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이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이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세이셸 대통령 선거(1차) + 2025년 세이셸 국민의회 선거 (9월 27일)
  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몰도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몰도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몰도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몰도바 공화국 의회 총선거 (9월 28일)
  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소말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말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말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소말리아 대통령 선거 (9월) + 2025년 소말리아 총선 (9월)
  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체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체코 하원 선거 (10월 3일 ~ 10월 4일)
  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메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메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카메룬 대통령 선거 (10월 5일)
  3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코트디부아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코트디부아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코트디부아르 대통령 선거 (10월 25일)
  3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아르헨티나 의회 선거 (10월 26일)
  3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네덜란드 하원 선거 (10월 29일)
  3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탄자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탄자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탄자니아 대통령 선거 + 2025년 탄자니아 총선 (10월 28일)
  3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라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라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이라크 총선 (11월 11일)
  3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이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이티}}}{{{#!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아이티 대통령 선거(1차) + 2025년 아이티 총선 (11월 15일)
  3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칠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칠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칠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칠레 대통령 선거 + 2025년 칠레 총선거 (11월 16일)
  3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기니비사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니비사우}}}{{{#!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기니비사우 대통령 선거 + 2025년 기니비사우 총선 (11월 23일)
  4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온두라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온두라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온두라스 대통령 선거 + 2025년 온두라스 총선 (11월 30일)
  4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2025년 아일랜드 대통령 선거 (11월)

4. 경제

4.1. 대한민국

SK바이오사이언스송도국제도시로 이전 완공한다.

4.1.1. 홈플러스 법인회생 절차 신청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홈플러스 법인회생 절차 신청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홈플러스 법인회생 절차 신청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홈플러스 법인회생 절차 신청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2.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3.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민생회복 소비쿠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세계

4.2.1. 중국 DeepSeek 출시와 IT 업계 파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eepSeek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eepSeek#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eepSeek#|]]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2. 세계 무역 전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세계 무역 전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세계 무역 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세계 무역 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2.1.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널드 트럼프/2025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널드 트럼프/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널드 트럼프/202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2.2. 주가 대폭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주가 대폭락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주가 대폭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주가 대폭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날씨

2024년 하반기부터 수온이 -중립으로 돌아왔고 이는 올해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하반기가 아직 불확실한 데다, 여름철 폭염이 심해서[13] 지난 2년간의 초고온 행진을 머지않아 다시 이어 나갈지, 아니면 지난 2년간의 초고온이 확실히 꺾일지는 아직 확실하게 판단할 수는 없다.

우선 1월은 전국적으로 보면 큰 추위나 심한 고온은 없었으나 평년보다 높았으며, 수도권,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고온이 매우 심했다. 이로 인해 서울은 지난해보다도 근소하게 높았던 반면, 전국적으로는 지난해보다는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2월의 경우 월초의 한파가 상당히 길게 이어진 데다, 중하순도 중순 일부와 월말의 고온을 제외하면 대체로 저온이 잦은 편이라, 서울은 15개월 만에, 전국은 26개월 만에 (-) 편차를 보인 달이 되었다. 3월은 2014년 이후[14] 으레 그렇듯 고온이 심했고 특히 하순 초중반의 고온은 그 유명한 2023년보다도 심했지만, 중간중간 강한 저온이 있어서 월평균은 고온 강도 대비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4월 또한 3월과 비슷하게 고온이 우세한 편이나 중순에는 강력한 저온이 있었다.[15] 5월은 상순에는 매우 강력한 저온이 나타났고 중하순에도 산발적인 저온이 있어 전국 기준으로 평년 이하의 기온을 보였다. 20~21일에는 강력한 고온이 이어졌으나 저온을 상쇄할 정도는 아니었기에 월평균은 (-) 편차, 더 나아가 저온 수준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20년대 대부분의 해가 그렇듯 여름철인 6월이 되자마자 저온은 자취를 감추었으며, 27일부터는 남부지방과 강원영동을 중심으로 강력한 고온이 찾아와 전국 평균기온 역대 1위를 기록하고 말았다. 또한 그 다음 달인 7월은 소서 이후로는 반대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기록적인 더위가 찾아왔고 이로 인해 서울은 1994년마저도 뛰어넘고 역대 1위를 달성했다.[16] 다만 8월 들어 더위가 누그러졌으나 중순부터 다시 고개를 들더니 심해졌다.

지난 2년 같이 고온만 계속 이어진 것은 아닌 해지만 특이 기상 자체는 지난 2년 못지 않게 많은 해다. 우선 1979년 이후 무려 46년 만에 2월 평균기온이 1월 평균기온보다 낮게 기록되는 일이 일어났고, 3월 하순에는 초여름 수준의 극심한 고온이 찾아왔다. 또한 4월 중순서울에서 적설이 기록됨과 함께 난데없는 늦겨울 날씨가 찾아오기도 했으며, 5월 상순의 경우 봄의 끝물임에도 불구하고 기온이 오르지 못하고 초봄인 3월로 돌아간 듯이 연일 쌀쌀한 날씨를 보였다. 또한 6월에는 평년 대비 매우 이른 시기에 장마가 찾아왔으나[17], 이 장마가 1973년, 2018년처럼 초단기간 장마(...)가 되어 버리며 제주도는 6월 26일에, 남부지방은 7월 1일에 장마가 종료되었다. 한편 장마는 아니지만 7월 중순에는 2025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전국적으로 비가 많이 왔다. 7월 상순, 하순에 무더위가 찾아왔으며 중순에는 집중호우가 내리는 날씨를 보였다. 8월도 초반은 더위가 꺾이나 싶다가 다시 폭염이 찾아오더니 되려 서울 기준 하순 평균기온이 8월 내에서 가장 높은 기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반면 강릉은 여름 내내 비가 안 와서 2025년 강릉 가뭄이라는 최악의 사태가 나타났다.

또한 2025년은 대체로 고온과 저온 모두 강해서 기온변화가 꽤나 큰 해로, 변동성이 매우 크다. 봄철에는 겨울 날씨와 여름 날씨를 1주일도 되지 않아서 겪기도 했다. 하지만 지속력이 강하지 않다 보니 순별 기온으로만 보면 기온변동이 작다.
<colbgcolor=#ddd>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기온(°C) -0.4 -1.2 8.0 13.4 17.8 24.0 28.8 28.2
평년대비 편차(°C) 1.6 -1.9 1.9 0.8 -0.4 1.3 3.5 2.1
전년대비 편차(°C) 0.1 -5.0 1.0 -2.9 -0.7 -0.6 2.2 -1.1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부산 월평균기온(°C) 4.0 2.9 9.8 14.0 17.4 22.3 27.8 28.4
평년대비 편차(°C) 0.4 -2.5 0.7 0.2 -0.5 1.3 3.4 2.3
전년대비 편차(°C) -1.1 -4.5 0.2 -1.9 -1.2 -0.3 1.8 -0.7
<colbgcolor=#ddd>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국 월평균기온(°C) -0.2 -0.5 7.6 13.1 16.8 22.9 27.1 27.1
평년대비 편차(°C) 0.7 -1.7 1.5 1.0 -0.5 1.5 2.5 2.0
전년대비 편차(°C) -1.1 -4.6 0.7 -1.8 -0.9 0.2 0.9 -0.8
강수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강수량(mm) 19.5 5.2 38.2 94.6 123.6 98.1 293.9 290.3
평년대비 편차(%) 116.1 18.4 103.5 129.6 119.3 75.8 70.9 83.3
강수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국 월평균강수량(mm) 16.9 15.7 48.3 67.3 117.3 184.7 247.6 187.2
평년대비 편차(%) 64.5 44.0 85.5 79.8 114.9 124.6 83.5 66.2
습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습도(%) 61.1 55.7 56.1 60.5 66.9 68.3 71.8 76.0
평년대비 편차(%) 4.9 1.1 1.5 5.7 7.2 3.4 -4.4 2.5
서울 연 최저기온 서울 연 최고기온 연교차 서울 일강수량 극값
[순별 기온/펼치기·접기]
단위: (°C)
평년대비 편차는 순별 평년으로 비교함
  • 1분기
1월 상순 1월 중순 1월 하순 2월 상순 2월 중순 2월 하순 3월 상순 3월 중순 3월 하순
서울 순평균기온 -1.9 -0.2 0.7 -4.7 0.5 1.2 5.8 7.2 10.7
평년대비 편차 0.1 1.7 2.8 -3.5 -0.2 -1.6 1.7 0.9 2.9
전년대비 편차 -2.3 -1.3 3.4 -7.2 -5.1 -2.0 2.7 -0.3 0.7
  • 2분기
4월 상순 4월 중순 4월 하순 5월 상순 5월 중순 5월 하순 6월 상순 6월 중순 6월 하순
서울 순평균기온 11.1 13.2 16.0 13.9 18.4 20.7 22.6 25.0 24.6
평년대비 편차 0.6 0.5 1.5 -3.0 0.7 0.8 0.9 2.1 1.1
전년대비 편차 -3.6 -3.5 -1.7 -3.2 0.7 0.2 0.1 -1.0 -0.7
  • 3분기
7월 상순 7월 중순 7월 하순 8월 상순 8월 중순 8월 하순 9월 상순 9월 중순 9월 하순
서울 순평균기온 29.4 25.9 30.9 28.2 27.7 28.7
평년대비 편차 5.0 0.9 4.4 1.1 1.3 3.9
전년대비 편차 4.5 -0.8 2.8 -1.5 -2.6 0.7
  • 4분기
10월 상순 10월 중순 10월 하순 11월 상순 11월 중순 11월 하순 12월 상순 12월 중순 12월 하순
서울 순평균기온
평년대비 편차

5.1. 1분기

이 기간 동안 대체로 건조하고 이상 고온이 잦은 편이였지만 2월은 전국 기준 26개월 만에 저온을 보이는 등 평년보다 상당히 낮았으며, 1월3월도 대체로 고온이 우세한 편이긴 했지만 기온 변화가 큰 편이라 산발적으로 강한 저온도 있었다.[18]

1월의 경우 초중순은 평년 수준 내지는 평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하순은 상당한 고온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이 달까지는 지난 해 내내 이어졌던 역대급 이상 고온의 여파를 이어받았으며, 이로 인해 고온이 강한 편은 아니었지만 다소 길게 이어지며 평년보다 높은 편이었다.[19]

4일까지는 포근한 날씨를 보이다 5~6일에 눈이 내린 후 찬 공기가 남하하였고, 8일 오후부터 더 강한 한기가 찾아오며 강추위가 시작되었다. 9일 아침 서울은 -10.2°C까지 떨어져 올겨울 처음으로 영하 두 자릿수를 보였으며[20], 다음 날인 10일에는 한파가 절정에 달하며 서울 기준 -12.2°C로, 2024-2025년 겨울 들어 처음이자 마지막 한파일수를 기록하였다.

이후 한겨울임에도 불구하고 한파는 물러가고 13일부터 2월 하순~3월 상순 수준의 포근한 날씨[21]가 오랫동안 이어졌다. 당연히 온화한 날씨와 함께 20일부터 불청객인 중국발 미세먼지 공습이 시작됐는데, 서울 미세먼지 수치는 164, 초미세먼지 수치는 무려 108[22]까지 오를 정도로 고농도 스모그가 한국을 덮쳤다. 설상가상 바람은 안 부는 한반도식 대기정체 현상이 며칠째 지속되어 장기간 동안 오염물질을 안고 가야 했다. 23일 저녁이 되어서야 비로소 바람이 불고 그 이후에는 눈이 내리면서 드디어 지독한 오염물질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서울의 1월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8 정도로 평균값만 보면 극심한 수준까지는 아니었다. 하지만 고온은 지속되어 24~25일에는 기어코 10.6°C, 11.4°C로 10°C를 이틀 연속으로 넘었다.

그래도 설날을 전후로 기온이 떨어져 28일에 전국적으로 큰 눈이 내린 후, 29일에는 기온이 내려가 30일에는 -7.5°C[23]를 기록했다. 하지만 고온의 여파로 서울 월평균 기온은 -0.4°C, 전국 월평균 기온은 -0.2°C를 기록했으며, 1974년 1월과 비슷하게 서울과 전국의 평균 기온 차이가 거의 없는 기현상이 일어났다.

2월은 일부 날의 고온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한파가 잦았다. 1일~2일까지는 날이 풀려 고온을 유지하다 3일부터 기온이 하락하여 전국 상당수 지역에서 연일 -10°C 이하로 떨어졌는데, 서울은 예보와 달리 한파일수 기록에는 실패했으나[24] 수원 등 수도권 등지에서는 한파일수도 기록하였다. 결국 서울의 상순 평균기온은 -4.7°C로, 평년보다 3.5°C나 낮았다.

대략 10일까지는 전국적으로 추위가 이어졌으며, 이날 낮부터는 기온이 오르며 추위가 차츰 물러갔다. 이후 11~16일 동안은 대체로 평년 이상의 기온을 회복했으며, 특히 16일 무렵에는 전국적으로 이상 고온이 찾아오며 포근한 날씨를 보였다.[25]

그러나 17일부터 재차 한기가 남하하며, 상순만큼은 아니지만 다시 추운 날씨를 보이기 시작했다. 18~23일까지 서울 기준 최저기온 -7~-5°C, 최고기온 0~3°C를 지속적으로 유지했으며, 일평균기온도 -4~-2°C 안팎으로, 평년보다 3~6°C 정도 낮은 수준을 지속적으로 보였다.[26] 중순은 고온도 있었지만, 고온이 강하지 않았고 후반은 추위가 찾아왔다 보니 서울 기준 순평균기온 0.5°C로, 평년보다 0.2°C 낮았다. 추위는 24일 아침까지 이어졌다.

24일 낮부터는 기온이 올라 25일에는 평년 수준까지 올랐으며, 26일은 예보와 달리 평년보다 조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후 27~28일 동안은 서울 기준 최고기온 14°C 안팎의 제법 강한 고온이 찾아왔다. 다만 이전의 저온을 뒤집기엔 역부족이었고, 결국 서울의 하순 평균기온도 1.2°C로, 평년보다 1.6°C 낮았다. 즉, 2월은 상순, 중순, 하순 모두 평년보다 낮아 추운 편이었고, 세 순이 모두 평년 이하인 것은 2022년 12월 이후 26개월 만이다.

월평균기온도 서울 기준 -1.2°C를 기록해 이상 고온을 보였던 동년 1월보다 낮았으며[27], 평년보다 1.9°C 낮았으며, 2008년, 2013년과 함께 21세기 내에서는 공동 하위 4위를 기록했다.[28] 또한 2023년 11월 이후, 무려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평균 저온을 기록했다.[29]

3월은 2014년 이후로 늘 그렇듯이 고온이 우세하여 평년보다 꽤 높았으나, 중하순에 찾아온 꽃샘추위도 상당히 강하여 기온 변화가 컸다.[30] 2월 말부터 시작된 이상 고온이 3월 극초반까지 이어져 1일~2일은 전국적으로 고온을 보였다. 그 중 2일에는 서울 낮 기온이 15.6°C, 전라북도 완주군은 무려 23.0°C를 기록하며 고온을 보였는데 같은 날 강원 산간 지대에는 -6.4°C를 기록하며 한 국내에서의 기온 편차가 29.4°C나 차이났다.

그리고 3일에는 고성 향로봉에 무려 50cm의 폭설이 내렸다. 4일에는 서울에 대설주의보가 발효되었다. 이후 6일까지 맑고 평년과 비슷한 날씨가 이어지다가 7일부터 서풍이 불어 평년보다 높아지더니 9일을 기점으로 아예 이상 고온이 시작되었다. 중부지방이 15°C 이상, 남부지방은 20°C도 넘기도 한다. 고온현상 탓에 중국발 미세먼지와 대기정체 현상이 가장 심하게 일어나는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에서는 나쁨 수준인 미세먼지 수치 80 이상, 초미세먼지 수치는 35 이상을 보이는 날이 많았다. 설상가상 13일에는 첫 황사까지 덮치며 공기질이 계속 말썽이였다.

다만 16일부터 한기가 남하하며 기온이 떨어졌고, 17~18일에는 꽃샘추위와 함께 난데없는 봄 폭설이 쏟아졌다. 이 꽃샘추위는 19일까지 이어졌으며, 이 시기 서울의 일평균 기온은 대략 2°C 안팎을 유지하며 쌀쌀한 편이었다.

한편, 대체로 건조한 날씨 때문에[31] 영남권 지역 중심으로 산불이 연달아서 일어나기 시작했다. 건조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영남권 지역에서 산불이 연달아 일어났다.

20일 낮부터는 다시금 기온이 올랐고 하순에 접어들며 2년 전마냥 이상고온이 극심해졌다.[32] 그 이유는 바로 따뜻한 남서풍이 불었기 때문인데, 역시나 중국 상하이 쪽에서 또다시 중국발 스모그 미세먼지 공습이 시작되었다.[33] 23일 서울은 무려 24.0°C까지 매우 크게 올랐고,[34] 25일은 남부지방 중심으로 심했으며 비공식으로 제주 구좌읍은 무려 30.3°C를 기록하여 3월 최초로 30°C를 넘어섰다![35] 미세먼지 같은 경우 이전과는 달리 고온임에도 불구하고 대기정체는 없었으나 거의 일주일동안 남서풍이 부는 바람에 계속해서 중국으로부터 미세먼지가 날라와 국내 대기질과 봄날씨를 망쳤다. 27일 수도권 기준 마침내 남서풍이 끝나고 비가 내린 뒤에야 공기질이 맑아질 것으로 예보되었다.

비가 통과한 이후 28일부터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29일~30일에는 전국적으로 다시금 꽃샘추위를 보였다. 시기를 감안하면 꽤나 저온이었는데, 29일 서울 낮 최고기온이 6.7°C에 그쳤으며 30일 오전에 -1.8°C[36]까지 떨어지고, 눈 내지 진눈깨비까지 내리며 2월 말 수준의 날씨를 보였다가 31일부터 풀리기 시작했다.

5.2. 2분기

4~5월은 전체적인 기온을 놓고 보면 다소 평범했으나, 강한 고온과 저온을 반복하며 기온 변화가 큰 편이었다.[37] 다만 6월에는 온난화가 강한 여름철 아니랄까봐 추세가 바뀌어 강한 고온으로 전환되었고, 이렇다 할 저온 없이 무더운 날씨가 월 내내 이어졌다.

4월 극초반은 평범하거나 오히려 낮은 편이었다. 1일에는 직전의 꽃샘추위가 풀리며 평년 수준의 날씨를 보였지만, 2일 오후에 비가 내리며 기온이 떨어졌고 3일까지는 평년보다 조금 낮았다. 4일에는 다시 평년 수준까지 오르는 듯했지만 식목일5일에 비가 내리며 기온이 크게 떨어졌고, 이후 7일 오전까지는 평년보다 낮은 날씨가 이어졌다.

7일 오후부터는 상황이 반전되며, 강하지는 않지만 평년 이상으로 올랐고 이상 고온이 찾아왔다. 서울의 경우 아침에 5.5°C였던 기온이 20.1°C까지 크게 올랐으며, 이후에도 11일까지는 평년보다 2~4°C 정도 높은 날씨가 이어졌다.[38]

다만, 4월에 장기 고온이 잦았던 지난 4년과 달리 이번 고온은 길게 가지는 않았다. 주말인 12~13일 동안 전국 곳곳에 비나 이 내렸고, 특히 13일 서울에서 최저기온이 1.1°C까지 떨어지는 등 꽃샘추위가 심했다. 실제로 13일 새벽 강원내륙과 산간에 대설특보가 발표되며 적지 않는 눈이 내렸고 서울에도 심야에 0.6cm의 적설을 기록하는 등 수도권, 강원, 충청, 전북 등 많은 지역에서 비가 눈으로 바뀌어 내렸다.

14일까지 절정을 이룬 이 꽃샘추위는 16일 낮부터 기온이 20°C 이상으로 오르며 완전히 물러갔고, 다시 포근한 날씨가 시작되었다. 토요일인 19일에 전국에 비가 내렸음에도 고온은 21일까지 지속되었다. 이날 서울은 27.1°C까지 크게 올랐다. 22일에 비가 내린 후 기온이 조금 떨어졌지만 중순과는 달리 큰 저온은 없었고, 이후 29일까지는 평년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30일 낮에는 서울이 25.8°C까지 오르는 등 다시 반짝 고온을 보였다.

4월 30일의 반짝 고온이 5월이 되자마자 비가 내리며 꺾였으며, 상순 동안에는 저온이 이어졌다. 2일부터 6일까지는 잦은 비와 흐린 날씨의 반복으로 인해 서울 기준 최고기온이 20°C도 넘지 못하는 날씨가 연일 이어졌으며, 최저기온마저도 낮은 편이라 8일까지는 좀처럼 10°C를 넘지 못했다. 특히 3일의 최고기온은 전국적으로 평년 대비 10°C 가량이나 크게 낮았으며, 서울도 14.0°C를 기록했다. 게다가 불과 이틀 뒤인 5일에도 서울의 최고기온이 15.0°C에 불과하는 등, 5월임에도 불구하고 되려 직전의 4월 하순보다 기온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후로도 8일 낮에 잠깐 평년 이상으로 오르는 것을 제외하고[39] 11일까지는 저온이 이어졌다. 결국 5월 상순은 매우 낮아 21세기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후 12일 아침에 서울 기준 9.8°C로 한 번 더 한 자릿수를 기록한 것을 마지막으로, 낮부터 기온이 크게 상승하며 평년 이상으로 올랐으며[40], 13일부터는 아예 평년보다 높은 날씨가 시작되었다. 특히 강원영동은 매우 강한 이상 고온이 나타났고, 다른 지역도 대체로 고온이 나타나 서울도 25.8°C, 26.7°C까지 올랐다. 15~16일에는 강수로 인해 최고기온은 다소 하강했지만 최저기온은 여전히 높은 편이었고, 심지어 정체전선이 일시적으로 한반도 인근까지 북상하면서 흐리고 온난다습한 날씨가 나타나는 등 7년 전 비슷한 시기를 연상시키는 날씨를 보였다.[41] 이렇게 평년보다 높은 날씨는 17일 낮까지 이어졌다.

다만 17일 오후에 곳곳에 한 차례 비가 더 내린 뒤, 저기압의 후면으로 한기가 유입되며 다시 기온이 떨어졌다. 18일 아침 서울은 11.4°C까지 하강했으며, 최고기온도 21°C, 일평균기온은 15.6°C에 그쳐 평년보다 2~3°C 가량 낮았다. 또한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은 19일까지도 평년보다 다소 낮은 날씨를 보였다.

그러나 이후 고온다습한 남동풍이 다량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며, 상순의 이상 저온을 완전히 뒤집을 만한 고온이 시작되었다. 남부지방은 19일 오후부터 난기의 영향을 받아 고온이 시작되었고,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도 19일 밤부터는 난기역에 들었다. 이로 인해 20일의 서울 최저기온은 전날 최고기온 대비 불과 3°C 정도밖에 하강하지 않은 17.4°C로 높게 시작했으며, 흐린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일교차가 거의 10°C 가까이 벌어져 낮에는 27.3°C까지 올랐다. 또한 이날은 강원영동과 영남을 중심으로 고온이 절정에 달해 강릉 32.1°C, 포항 33.6°C, 대구 33.7°C 등을 기록했다. 게다가 다음 날인 21일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강력한 고온이 찾아왔다. 서울은 최저기온이 무려 22.3°C였으며, 낮 최고기온도 예보보다 거의 4°C 가까이 높은 30.8°C를 기록했다. 심지어 수도권은 22일도 고온을 보여 서울이 28.5°C를 기록했다.

20~22일 동안 기승을 부린 여름 더위는 차츰 누그러졌다. 5월 하순은 동풍으로 인한 날씨를 지속적으로 보였다. 22일에는 동해안과 영남 지방은 이상 저온을 보였고, 23일부터 서쪽 지방도 한기가 유입되며 평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 날 밤에 비가 내린 후 다음 날인 24일에는 전국적으로 강한 저온이 나타났는데, 낮 기온이 영덕 11.4°C, 대구 12.9°C, 대관령 7.4°C 등을 기록하였다. 수도권은 저온이 비교적 약한 편이었는데도 서울의 최고 기온이 19.3°C에 그쳤다. 이후로는 25일까지 평년보다 약간 낮은 기온을 보인 뒤 남은 하순은 대체로 평년과 큰 차이 없는 초여름 날씨를 보였다.

6월 극초반에는 5월 하순의 추세가 그대로 이어지며 전국적으로 평범하거나 약간 낮은 날씨를 지속적으로 보였으나 현충일6일부터 예보보다 높거나, 더운 날씨가 잦아졌다. 6일은 강원영동을 중심으로 고온이 강해 강릉은 최저기온부터 24.5°C를 기록하더니, 최고기온은 33.9°C까지 올라 폭염일수를 기록했다. 이후 9일까지는 최저기온을 중심으로 상당히 높아 서울 기준 20~21°C 안팎을 지속적으로 기록했고, 최고기온도 29~30°C 안팎으로 꽤 더운 편이었다. 그나마 10~11일 무렵 한 차례 찬 공기가 남하하며 서쪽지역 한정 평년~약간 낮은 날씨가 나타났으나 동쪽 지역은 여전히 높았다. 10일에는 강릉의 아침 최저기온이 25.3°C를 기록하는 등 고온이 심했다.

이후 12일에는 중부지방의 최고기온 중심으로 강한 고온이 나타나 서울의 최고 기온이 33.1°C로, 올해 첫 폭염일수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나마 남부지방은 13~14일에 비가 내리며 고온이 꺾였지만 중부지방은 이때도 높은 편이었으며, 15일에는 또다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강한 고온이 나타났다. 또한 나흘 뒤이자 장마 직전인 19일에는 장마전선이 밀어 올린 난기의 영향으로 고온이 절정에 달해 서울 34.2°C, 강릉 35.8°C 등을 기록하였다. 장마권에 진입한 20일 오전에도 일부 지역에서 열대야가 나타났다.

장마가 시작된 이후 21~26일에는 대체로 평년~소폭 낮은 수준의 기온을 보여 하순은 평년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보였으나, 2022년과 유사하게 27일부터 북태평양 고기압이 급확장하여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여름 수준의 무더위를 보였다. 28일에는 남부지방 곳곳에 올해 첫 폭염경보가 발효되었고, 밀양 36.9°C, 경주 36.1℃, 거창 35.7℃ 등이 기록되었다. 다음 날에는 더 심해져 경주 37.5°C로, 6월 일최고기온 역대 4위를 기록했다. 서울도 6월 28일부터[42] 최저기온 중심으로 4~5℃가량 매우 높아 일평균기온은 26~28℃로 한여름 날씨를 보였다. 30일에는 서울 최저기온이 25.6°C로 2022년 이후로 4년 연속으로 6월 열대야가 기록되었다. 갑작스러운 폭염의 여파로 결국 전국은 6월 평균기온 역대 1위로 기록되었다.

5.3. 3분기

7월은 직전인 6월 하순의 강한 더위를 이어받아, 상순 동안에는 전국적으로 매우 강력한 폭염이 찾아왔다. 1~7일에는 강원영동과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더위가 찾아왔다. 강릉은 1일부터 최기온 29.7°C를 기록하면서 초열대야에 근접하더니, 2~3일에는 기어이 최기온 30.3°C, 30.4°C를 찍으며 이틀 연속으로 초열대야가 발생하고 말았다. 이후 6일에는 최저기온 29.5°C, 최고기온 38.7°C, 일평균기온 32.6°C를 기록하며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폭염이 절정에 달했다. 그 다음 날인 7일에는 영남 지역에서 폭염이 절정에 달해 대구에서 37.4°C를 기록했다. 서울도 다른 수도권과 달리 이 기간 동안 극단적인 값은 없지만 평년 대비 매우 더운 편이었다.

그나마 8일부터는 풍향이 동풍으로 전환되며 동해안 지역의 더위는 한풀 꺾였지만, 서울을 비롯한 서쪽 지역은 푄 현상으로 인해 더위가 더 심해졌다. 특히 8일 서울은 무려 37.8°C까지 오르며 종전 7월 상순 최고 기록인 1939년 7월 9일의 36.8°C를 86년 만에 1°C 차이로 가볍게 경신하였다. 이 여파는 12일까지 매우 길게 이어졌으며, 서울은 9~12일36°C 이상을 기록했다.[43] 결국 이 여파로 서울의 7월 상순 평균기온은 무려 29.4°C를 기록하며 평년보다 5°C나 높아 압도적인 역대 1위를 달성했다.[44] 전국도 28.1°C로 역대 1위.

그러다 14일부터는 찬 성질을 지닌 절리저기압이 한반도로 남하하였고, 동시기 남해안 지역에 영향을 준 열대저기압이 장마전선을 활성화시키며 전국적인 집중호우가 시작되었다.[45] 이로 인해 기온이 일시적으로 크게 떨어졌으며, 전국적으로 최고기온이 24~25°C대에 머물며 서늘한 날씨를 보였다. 다만 최저기온은 여전히 20~21°C로 높았다.

이후 20일 오전부터는 비가 그치고 북태평양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다시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었다. 그래도 서울 기준 24일까지는 31~34°C 안팎의 비교적 정상적인 더위를 보였으나, 25일부터는 태풍 세 개가 끌어올린 난기까지 가세하며 기록적인 7월 더위가 찾아왔다.[46] 다만 올해의 더위는 유독 서울 중심이었다.

결국, 서울의 7월 평균기온은 무려 28.8°C를 기록,[47] 종전 1위였던 1994년의 기록(28.5°C)을 31년 만에 경신했다. 이로써 역대 월평균 기온 1위인 달이 20세기 이전인 달은 12월(1958년 기록)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전국도 27.1°C로 평년보다 2.5°C 높았고 역대 2위였다.

한편 7월의 기록적인 무더위를 뒤로 하고, 8월 상순은 7월의 영향을 받은 1~3일을 제외하면 강수와 찬 공기의 영향으로 평범한 날씨를 보여 7월 하순이나 전년도 8월보다는 확실히 폭염이 누그러든 양상을 보였다.[48] 예상대로 전년도에 비해 최저기온이 25°C 미만을 기록한 날이 어느 정도 있어 8월 상순 평균 기온이 28.2°C를 기록해 평년보다 다소 고온이긴 하지만 지난 2년보단 낮았다. 이것도 1~3일이 평균기온을 상당히 끌어올려서 그런 것이며, 상순은 대체로 평년 수준의 기온이 유지되었다.

중순 초반까지도 이러한 평범한 날씨가 유지되다가, 남부지방은 13일, 중부지방은 광복절 후인 16일부터 북태평양 고기압티베트 고기압의 재확장으로 인해 다시 평년보다 높은 기온의 폭염이 나타났고, 이는 8월 21~24일에 더더욱 올라 강릉이 22일에 38°C를 기록하는 등 정점을 찍었다. 이 무더위는 처서 이후 25일까지 길게 이어졌으며 8월 27일에 살짝 낮아졌으나 월말에 다시 올라 서울의 8월 평균기온은 28.2°C[49]로 역대 3위를 기록하였다.[50] 결국 서울의[명목적] 여름 평균기온은 역대 1위를 기록하였다.

9월 상순에도 이 늦더위가 이어지며 9월 1일 아침 최저기온 25.0°C로 열대야였으며[52] 9월 5일에 폭염일수 기준에 충족하는 33.0°C를 기록하였다. 게다가 다음날 아침 최저기온은 무려 26.0°C열대야까지 기록되었다.[53] 그래도 7일부터는 한기의 유입으로 기온이 차츰 하강하기 시작하여 남은 상순 동안은 최고기온 한정 고온인 10일을 제외하면 평년 수준을 보일 예정이다.

5.4. 4분기


6. 자연재해

6.1. 지진

6.1.1. 중국 티베트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티베트 지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티베트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티베트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2. 일본 휴가나다 해역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휴가나다 지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휴가나다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휴가나다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3. 대만 자이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대만 자이 지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대만 자이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대만 자이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4. 충주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충주 지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충주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충주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5. 미얀마 대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미얀마 대지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얀마 대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미얀마 대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6. 러시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산불

6.2.1. 미국 남캘리포니아 산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2. 대한민국의 전국 동시다발 산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3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3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3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2.1. 의성발 경북 산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의성발 경북 산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폭설

6.3.1. 한반도 폭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한반도 한파 및 폭설 사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한반도 한파 및 폭설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한반도 한파 및 폭설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폭우

6.4.1. 텍사스 폭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텍사스 폭우 사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텍사스 폭우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텍사스 폭우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2. 한반도 폭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폭염

6.5.1. 한반도 폭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폭염/대한민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폭염/대한민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폭염/대한민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6. 가뭄

6.6.1. 강릉 가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강릉 가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강릉 가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강릉 가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국제행사

7.1. 스포츠

7.1.1.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2.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AFC U-20 아시안컵 중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3.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4.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5.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6. 2025 도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도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도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도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7. 2025 CONCACAF 골드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CONCACAF 골드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8. FIFA 클럽 월드컵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IFA 클럽 월드컵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FA 클럽 월드컵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IFA 클럽 월드컵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9. UEFA 여자 유로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UEFA 여자 유로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UEFA 여자 유로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UEFA 여자 유로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0.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1.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여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2. 2025 싱가포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싱가포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싱가포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싱가포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3. 2025 라인-루르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라인-루르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라인-루르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라인-루르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4. 2025 청두 월드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청두 월드 게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청두 월드 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청두 월드 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5. 2025 광주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광주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광주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광주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6.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도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7.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8. 2025 FIFA U-17 여자 월드컵 모로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FIFA U-17 여자 월드컵 모로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17 여자 월드컵 모로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17 여자 월드컵 모로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9.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U-17 월드컵 카타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20. 2025 FIFA 여자 풋살 월드컵 필리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FIFA 여자 풋살 월드컵 필리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여자 풋살 월드컵 필리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여자 풋살 월드컵 필리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21.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FA 아랍컵 카타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22.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e스포츠

7.2.1.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 BLAST Bounty Spring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AST Bounty Spring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 Bounty Spring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 Bounty Spring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3. IEM Katowice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EM Katowice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EM Katowice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EM Katowice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4. Six Invitational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ix Invitational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ix Invitational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ix Invitational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5.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6. 2025 First Stand Tournamen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First Stand Tournamen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rst Stand Tournamen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First Stand Tournamen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7.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챔피언스 클래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8. PUBG Global Series 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UBG Global Series 7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Series 7#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Series 7#|]]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9. RE:L0:AD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E:L0:AD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E:L0:AD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RE:L0:AD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0. PUBG Global Series 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UBG Global Series 8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Series 8#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Series 8#|]]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1. BLAST.tv Austin Major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AST.tv Austin Major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tv Austin Major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tv Austin Major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2.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3. 2025 Mid-Season Invitational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Mid-Season Invitational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Mid-Season Invitational#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Mid-Season Invitational#|]]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4. Esports World Cup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sports World Cup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sports World Cu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sports World Cu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5. IEM Cologne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EM Cologne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EM Cologne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EM Cologne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6. PUBG Nations Cup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UBG Nations Cup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Nations Cu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Nations Cu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7. PUBG Mobile World Cup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UBG Mobile World Cup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Mobile World Cu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Mobile World Cu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8.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미드시즌 챔피언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미드시즌 챔피언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미드시즌 챔피언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미드시즌 챔피언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9.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0. The International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International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International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International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1.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2.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3. BLAST Major Munich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AST Major Munich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 Major Munich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LAST Major Munich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4. StarLadder Budapest Major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tarLadder Budapest Major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arLadder Budapest Major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arLadder Budapest Major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5.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월드 파이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월드 파이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월드 파이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월드 파이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6. PUBG Mobile Global Championship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UBG Mobile Global Championship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Mobile Global Championshi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Mobile Global Championshi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7. PUBG Global Championship 202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UBG Global Championship 2025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Championship 2025#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UBG Global Championship 202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기타

7.3.1.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2. 2025 영동세계국악엑스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영동세계국악엑스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영동세계국악엑스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영동세계국악엑스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3.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문화

8.1. 영화

8.2. 드라마

8.3. 게임

8.4. 가요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가요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가요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가요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5. 공연

8.5.1. 대한민국 국내

2024년 코로나19 국면이 끝나고 대한민국 공연계는 대호황을 맞이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공연장 부족 사태를 빚고 있다. 코로나19 이전 계획했던 상당수 공연장들이 개설 무산이 되면서 대한민국 각지에 있는 각종 공연장들이 예약 만석을 빚는 상황이라, 2025년 5월 개최 예정인 가수 라이브 예약을 2024년 11월에 하는 등 파행을 빚고 있다.

8.5.2. 미국

각종 투어가 많이 예정돼 있다.

8.6. 방송

8.7. 연예계

8.8. 교육

  • 이 해부터 중등교육기관(중, 고등학교)을 대상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전면 도입된다. 특히 고1이 많이 바뀌게 된다.
  • 또한 이 해에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09년생부터 전국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며 유급 제도도 시행된다. 선택 과목이 크게 증가하며 융합 선택과목이 생긴다. 그리고 AI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과서가 초3~4, 중1, 고1의 수학, 영어, 정보 과목에 도입된다.[57] 이들이 고3이 되는 2027년 이후 수능이 크게 변하게 된다.
  • 이 해에 고1이 되는 2009년생부터 모든 고등학교 과목 평가기준이 9등급 상대평가(4-7-12-17-20-17-12-7-4)에서 5등급 상대평가(10-24-32-24-10)로 바뀐다.[58] 단위제는 2006년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 2016년 이후 9년 만에 중학교 1학년에서 자유학년제가 완전히 사라진다.[59]
  • 날이 갈수록 교권이 나락으로 추락하는 와중에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이 발생하여 학부모들의 자녀 보호 의식이 더욱 강해져 학교에 대한 불안감과 교사에 대한 불신감이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8.9. 스포츠

동서를 막론하고 유독 2025년에는 2022년, 2023년 못지 않게 창단 이래 처음 우승을 차지하거나, 마지막 우승 이후 오랜 기간 우승이 없다가 우승을 하는가 하면, 기간은 짧은데 지독한 준우승과의 악연을 끊고 우승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8.9.1. 국내

  • 부산 BNK 썸이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고, 부산 연고지 스포츠팀들 중 최초로 부산광역시에서 우승을 확정지었다. 박정은 감독은 WKBL 최초 여성 감독의 우승 및 선수와 감독으로써의 첫 우승 기록을 세웠다.
  •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가 5번째 우승을 차지하면서 6년만의 챔피언결정전 우승 및 19년만에 통합우승 및 트레블[60]을 기록했다. 현대캐피탈은 정규시즌 내내 단 1차례의 연패도 기록하지 않고 우승했다.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5번째 우승을 차지하면서 6년만의 통합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4시즌 동안 3차례[61]나 챔피언결정전에 올라갔지만 번번이 준우승에 막혔던 터라 더욱 값진 우승이었고, 은퇴를 예고한 배구 여제 김연경은 화려하게 20년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 창원 LG 세이커스가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하면서 마침내 무관의 한을 풀었다. 주장 허일영은 40세에 접어들어서 생애 처음으로 MVP를 받았다.

8.9.2. 해외

8.10. 인터넷

  • 한국 한정으로 인스타그램은 새해부터 미성년자 보호 기능을 도입하였다. 18세 미만 이용자 계정은 '청소년 계정'으로 자동 전환돼 비공개 설정되고 게시물은 팔로워에게만 공개되었다.
  • 2월 14일 유튜브가 설립, 4월 23일 최초 유튜브 영상인 Me at the zoo가 업로드한 지 20주년을 맞이했다.
  • 2월 26일 인스타그램 릴스 알고리즘 검열 논란이 벌어졌다.
  • 4월 17일 나무위키1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 5월 27일 쥬니어네이버가 26년만에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대한민국의 모든 어린이 포털 사이트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6월 25일 디시인사이드에서 사이버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8.11. 애니메이션

목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문서들을 참고.

9. 사회

9.1.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2. 뉴진스 계약 분쟁 및 활동 중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ewJeans-ADOR 간 전속계약 해지 분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ewJeans-ADOR 간 전속계약 해지 분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ewJeans-ADOR 간 전속계약 해지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3.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 및 활동 중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수현-김새론 교제 관련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4.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5.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6. 대한민국 다발적 폭탄 테러 예고 사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대한민국 다발적 폭탄 테러 예고 사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대한민국 다발적 폭탄 테러 예고 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대한민국 다발적 폭탄 테러 예고 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지리/교통

10.1. 지리

  • 경기도 화성시가 특례시로 출범했다. (1월 1일)

10.2. 자동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2025년 출시된 자동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2025년 출시된 자동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2025년 출시된 자동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2025년 단종된 자동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2025년 단종된 자동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2025년 단종된 자동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3. 철도교통

지난해보다는 개통되는 철도노선이 적지만,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철도 음영지였던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과 경전선 보성~임성리 구간이 개통되어 각각 남북축동서축의 새로운 주요 간선 노선 역할을 맡게 된다. 또한 교외선 여객열차가 재운행하여 경기북부 간 이동이 편해지는 등 절대로 간과할 수 없는 의의가 있는 해가 될 것이다.

10.3.1. 도시철도

개통하는 노선이 매우 적어 도시철도계에서는 쉬어가는 해가 될 전망이다. 그래도 착공하는 노선은 제법 있다.

10.4. 도로교통

2025년에도 여러 많은 도로가 개통될 예정이다.

10.5. 항공·우주

크고 작은 버드 스트라이크나 이유 없는 부품 이탈, 엔진 손상 같은 자잘한 항공 사고가 끊임없었던 2024년에도 민항기의 대형 인명 피해 사고는 적었다. 하지만 2025년은 시작 31일 만에 교통사고 사망 사고보다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은 항공기 인명 사고가 연달아 발생하며 항공계는 큰 충격과 함께 신년을 시작했다.

특히 한 해를 시작하기 직전인 2024년 말에 미사일에 격추당해 결국 항공기가 추락하거나, 항공기가 동체착륙을 하다 둔덕을 들이박고 폭발하는 등 발생 확률이 0%에 가까운 치명적인 인재도 연달아 발생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계속해서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이 어두운 분위기가 쉽게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밝을 거라고 예상했던 2025년 역시 시작한 지 50일도 안 된 시점에 도심가에 항공기가 곤두박질 처 폭발하거나 공중 충돌이 발생했고, 착륙하던 항공기가 갑자기 뒤집히는 등 연초부터 경악스러운 사고를 계속 겪고 있다.

더군다나 이륙 직전 항공기의 전소 사고알래스카 해빙에서의 추락사고 같은 가지각색의 기이한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했고 두 항공기간 지상 충돌에 따른 수직 꼬리날개 절단 사고 같은 사소한 사고도 지속되며 연초에는 거의 매주 항공 이슈가 터져나왔던 만큼 항공계를 바라보는 일반 여론도 부정적으로 흘러갔다. 시간이 흐르며 사고가 잦아드나 싶었지만 착륙 중 일시적으로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소한 사고도 여전히 잦고, 포항 해군 P-3CK 오라이언 추락 사고를 더불어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 같은 인명 피해를 동반한 사고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어 항공계의 2025년도 1985년, 2001년과 같이 결국 매우 어두운 한 해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연초부터 자국 영토 내 인명 사고가 연달아 발생한 미국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67] 동부 지역 폭설 같은 자연 재해를 비롯해 자국의 외교 분쟁과 같은 중대한 사건도 나날이 이어져 전국적인 심적 피로도높은 상태에서 충격적인 항공 사고를 맞이해 더욱 깊은 애도의 흐름을 이어갔다.

2025년에도 2014년 이후 11년 만에 태양 극대기로 인한 플레어와 태양풍의 영향으로 항공교통에 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위험 우려가 된다.

11. 사건

11.1. 실제

11.1.1. 1월

파일:윤대통령1033.jpg 파일:1000018778.jpg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및 구속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11.1.2. 2월

파일:트럼프 관세.jpg 파일:대전김하늘.jpg
2025년 세계 무역 전쟁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파일:김새론 영정.jpg
김새론 사망 사건

11.1.3. 3월

파일:윤석열석방.jpg 파일:남안동ic 산불.jpg
윤석열 전 대통령 석방 3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

11.1.4. 4월

파일:프란치스코 교황 관 안치.jpg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프란치스코 교황 사망
파일:SKT 유출 사고.jpg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11.1.5. 5월

파일:이주호 대대행.jpg 파일: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한덕수-김문수).jpg
<rowcolor=#ffffff>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출범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파일:2025 신두르 작전.jpg 파일:2025년 콘클라베.jpg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2025년 콘클라베

11.1.6. 6월

파일:제21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투표 결과.svg 파일:SWJV64V3OZNCRFOLKW7P2YEWFY.jpg
제21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정부 출범
파일:로스앤젤레스 시위대.jpg 파일:이란이스라엘.png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11.1.7. 7월

파일:윤석열 재구속.jpg 파일:2025071718500684090_1752745806_1752743759.jpg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2025년 7월 한반도 폭우 사태[81]
파일: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__.jpg 파일:캄차카지진.jpg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2025년 캄차카반도 해역 지진

11.1.8. 8월

파일:김건희 구속심사.jpg 파일:1000174244.jpg
김건희 구속 2025년 한미정상회담
파일:GzTBpQAX0AE6xCN.jpg 파일:2025년 8월 오봉저수지.jpg
케이팝 데몬 헌터스 넷플릭스 영화 역대 1위 등극 2025년 강릉 가뭄

11.1.9. 9월

파일:0008467331_001_20250904164303261.jpg 파일:250908_개기월식.png
1세대 인터넷 방송인 대도서관 사망 2025년 개기월식

11.1.10. 10월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11.1.11. 11월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11.1.12. 12월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11.2. 예정

11.3. 기념

11.4. 가상

12. 탄생

12.1. 실존 인물


12.2. 가상 인물

13. 사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사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사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사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데뷔

14.1. 가수

14.2. 인터넷 방송

15. 해체

16. 은퇴

16.1. 가수

16.2. 스포츠

16.2.1. 국내

16.2.2. 해외

16.3. 인터넷 방송

16.4. 기타

17. 출시 상품

18. 히트작

18.1. 영화

18.2. 드라마

18.2.1. 지상파(KBS1/2, SBS, MBC)

18.2.2. 종합편성채널

18.2.3. 케이블 및 스트리밍, 기타

18.3. 게임

18.4. 특촬

18.5. 가요

18.6. 애니메이션


18.7. 기타 분야

19. 유행어/밈

20. 최초

20.1. 방송 프로그램

20.1.1. TV

20.1.2. 라디오

21. 달력

1월 2월 3월
1 2 3 4 1 1
5 6 7 8 9 10 11 2 3 4 5 6 7 8 2 3 4 5 6 7 8
12 13 14 15 16 17 18 9 10 11 12 13 14 15 9 10 11 12 13 14 15
19 20 21 22 23 24 25 16 17 18 19 20 21 22 16 17 18 19 20 21 22
26 27 28 29 30 31 23 24 25 26 27 28 23 24 25 26 27 28 29
30 31
4월 5월 6월
1 2 3 4 5 1 2 3 1 2 3 4 5 6 7
6 7 8 9 10 11 12 4 5 6 7 8 9 10 8 9 10 11 12 13 14
13 14 15 16 17 18 19 11 12 13 14 15 16 17 15 16 17 18 19 20 21
20 21 22 23 24 25 26 18 19 20 21 22 23 24 22 23 24 25 26 27 28
27 28 29 30 25 26 27 28 29 30 31 29 30
7월 8월 9월
1 2 3 4 5 1 2 1 2 3 4 5 6
6 7 8 9 10 11 12 3 4 5 6 7 8 9 7 8 9 10 11 12 13
13 14 15 16 17 18 19 10 11 12 13 14 15 16 14 15 16 17 18 19 20
20 21 22 23 24 25 26 17 18 19 20 21 22 23 21 22 23 24 25 26 27
27 28 29 30 31 24 25 26 27 28 29 30 28 29 30
31
10월 11월 12월
1 2 3 4 1 1 2 3 4 5 6
5 6 7 8 9 10 11 2 3 4 5 6 7 8 7 8 9 10 11 12 13
12 13 14 15 16 17 18 9 10 11 12 13 14 15 14 15 16 17 18 19 20
19 20 21 22 23 24 25 16 17 18 19 20 21 22 21 22 23 24 25 26 27
26 27 28 29 30 31 23 24 25 26 27 28 29 28 29 30 31
30

21.1. 연휴

22. 음력 날짜

<rowcolor=#000,#fff> 음력월 월건 대소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일진
1월 무인 1월 29일 무술
2월 기묘 2월 28일 무진
3월 경진 3월 29일 정유
4월 신사 4월 28일 정묘
5월 임오 5월 27일 병신
6월 계미 6월 25일 을축
6월 7월 25일 을미
7월 갑신 8월 23일 갑자
8월 을유 9월 22일 갑오
9월 병술 10월 21일 계해
10월 정해 11월 20일 계사
11월 무자 12월 20일 계해
12월 기축 2026년 1월 19일 계사


[1] 또한 (0+1+2+3+4+5+6+7+8+9)² = 1³+2³+3³+4³+5³+6³+7³+8³+9³ =2025년의 20과 25를 더한 (20+25)²의 값인 연도이다. 그리고 27²+36²이기도 하다.[2] 3월 1일~12월 31일 한정으로는 1980년, 2008년, 2036년과 같고, 1월 1일~2월 28일 한정으로는 1992년, 2020년과 같다.[3] 미국인 입장에서는 차분한 분위기에서 새해를 맞이한 것은 2007년 이후 18년 만이다. 2007년 당시에는 제럴드 포드 전 대통령이 2006년 12월 26일에 서거하여 영결식이 거행된 2007년 1월 3일까지 국장 애도기간이 선포되었기 때문이다.[4] 2024 MBC 방송연예대상, 2024 MBC 연기대상, 2024 MBC 가요대제전: WANNABE, 2024 KBS 연기대상, 2024 SBS 연예대상이 해당된다.[5] 삼일절에 의한 최초의 대체 휴일이다.[6] 대체휴일 제도 탓에 전년과 달리 이 해는 화요일에 개학한다. 이로써 이 해 - 다음 해 - 그 다음 해에 이어서 3년 연속으로 화요일에 개학한다.[7] 공교롭게도 1930년, 2014년 부처님오신날과 날짜와 요일이 같다. 날짜가 같은 건 1930년, 2014년 외에 1911년, 1976년 부처님오신날도 해당. (1911년은 토요일, 1976년은 목요일) 이러면 반드시 윤달이 생기는데, 2014년은 윤 9월, 1930년과 2025년은 윤 6월이 생긴다. 2006년 당시에는 대체휴일이 없었다.[8] 1968년, 2006년과 추석 당일의 날짜가 같다.[9] 만일 2025년 10월 10일이 임시공휴일이 될 경우, 2017년에 이어서 두 번째로 한 주 모두 휴일로 구성된(휴일화된 월~금+주 5일제 도입 이후 원칙적으로 쉬는 날인 주말) 연도가 탄생하게 된다.(2017년은 10월 2일부터 10월 8일 일요일까지며, 2025년은 10월 6일부터 10월 12일까지다.)[10] 부산시교육감과 서울 구로구청장, 충남 아산시장, 전남 담양군수, 경북 김천시장, 경남 거제시장을 비롯한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가 치러졌다.[11] 원래는 2027년 3월 3일 실시될 예정되었으나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됨에 따라 정부가 선거일을 6월 3일로 최종 결정하였다.[12] 2024년 11월 24일 실시되었던 1차 투표가 12월 6일 무효화되어 선거일정이 2025년으로 미뤄졌다.[13] 6~7월의 고온 강도만 놓고 보면 지난 해 8~9월 못지 않게 강한 편이다.[14] 남부지방(특히 대구)은 2013년 이후. 단, 2017년은 제외.[15] 다만 3월과 다르게 극단적인 고온은 없고 12일 밤~15일 오전의 강한 이상 저온을 제외하면 평년 수준~다소 고온 수준의 날씨만 길게 이어지는 형태이다.[16] 심지어 강원영동, 특히 강릉은 더 심해서 6~7월, 즉 두 달 연속으로 매우 기록적인 고온을 보였으며 남은 8월까지 합하면 세달 연속일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강릉은 지난 해 9월의 고온이 약했으며 지난 해 6~8월조차도 한수 접고 들어가야 할 정도.[17] 제주 6월 12일, 중부/남부지방 6월 19일. 중부지방의 경우 2013년 이후 12년 만에 6월 중순에 장마가 시작되었다.[18] 역으로 2월도 대체로 저온이 우세한 편이었지만, 기온 변화가 큰 편이어서 월말에는 강한 고온이 찾아왔다.[19] 특히나 고온이 심했던 서울은 직전 해의 고온 추세와도 크게 이질적이지 않을 정도로 꽤나 높은 편이었다.[20] 일 최고기온도 0시 무렵에 기록된 -6.1°C가 최고치이며, 특히 낮 최고기온은 고작 -7.6°C에 그쳤다. 게다가 일최저기온은 밤에 더 내려가며 -11.6°C까지 떨어졌다. 이로 인해 일평균기온도 -9.7°C였다.[21] 15일 제외[22] 이로 인해 인천과 충청권은 초미세먼지 주의보까지 발령되었다.[23] 하지만 이것도 예보보다 약 2°C가량 높은 날씨이다.[24] 최저 -11.8°C(2월 5일). -12~13°C 가량을 예보했으나 -11°C대에 그쳤는데, 0.5°C만 더 낮았어도 최대 4일(4,5,6,8일)이나 기록될 수도 있었다.[25] 서울도 14~16일 동안 일평균기온 3°C 후반~4°C 초반을 유지하며 비교적 포근했다. 서울의 경우 최고기온은 14일이 가장 높았으며, 이날 최고기온은 10.1°C로, 2월 들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26] 다만 이 추위가 찾아온 기간(18~24일) 동안 최저 극값은 -6.5°C로, 2월 하순치고는 낮지만 심한 편은 아니었다.[27] 서울 기준 2월이 같은 해 1월보다 낮았던 것은 1979년 이후로 무려 46년 만이다. 또한 기록적인 고온을 보인 지난 해 2월과 비교할 경우 무려 5°C(...)나 낮다.[28] 이마저도 월말 고온이 없었다면 월평균기온 -2°C 이하를 기록하여 2012년을 제치고 21세기 내에서 가장 추운 2월이 될 수 있었다. 당장 2월이 이틀 앞당겨져서 1월 30일~2월 26일까지의 평균기온을 구해보면 -1.8°C가 된다. 또한 2012년은 극초반 3일 동안 찾아온 -17~-15°C 안팎의 북극한파가 월평균을 크게 끌어내린 것에 가깝고, 하순은 오히려 이상 고온이 잦은 편이라, 추위의 지속성만 놓고 본다면 올해가 2012년보다 결코 덜하지 않다.[29] 게다가 전국은 2023년 11월이 평년보다 조금 높았다 보니, 2022년 12월 이후 26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평균 저온을 기록했다.[30] 다만 상순에는 추위 없이 다소 높은 날씨만 이어졌다.[31] 특히 영남권은 강수가 적었다.[32] 월말에 기온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면 하순 기온은 2014년, 2023년 급의 기록이 나왔을 것이다.[33] 특히 25일에는 황사까지 겹쳐서 미세먼지 250, 초미세먼지 80을 돌파했을 정도로 농도가 크게 올랐다.[34] 이는 3월 최고 기온 역대 2위이다. 1위는 2023년 3월 22일 25.1°C.[35] 실제로 이해 3월 날씨는 상순 초중반과 16~19일, 29~31일 정도를 제외하면, 2023년과 추세가 비슷할 정도로 고온이 매우 심하다. 중간중간 제외된 날들이 꽃샘추위가 있어서 2023년보다 기온이 낮은 것이다.[36] 21세기 들어 가장 늦은 (서울) 영하 기록이다.[37] 2~3월도 비슷한 추세의 날씨를 보였다.[38] 특히 11일의 경우 서울이 24.2°C까지 매우 크게 올랐다.[39] 사실 8일도 최고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나 최저기온은 서울 기준 9.7°C로 되려 평년보다 낮았다.[40] 다만 최저기온이 낮아 일평균은 평년 수준이었다.[41] 15일에는 대기불안정으로 인해 전남 남해안을 중심으로 국지성 호우가 쏟아졌으며, 가장 비가 많이 온 장흥군은 179.2mm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16일에는 전국적으로 비가 내렸고, 남부지방은 정체전선으로 인해 종일 상당한 비가 쏟아졌다. 반면 중부지방은 정체전선의 영향권 밖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대기불안정으로 인해 늦은 오후 한때 곳곳에서 기습 폭우가 쏟아지며 피해가 발생했다. 서울은 올해 들어 첫 호우주의보가 내려졌고, 남양주는 아예 호우경보까지 내려졌다. 강수량은 남양주시 오남읍이 130mm로 최고를 기록했으며, 서울은 51.3mm가 내렸다. 심지어 남양주는 한때 시간당 75mm를 기록하며 올해 들어 처음으로 극한호우 긴급재난문자까지 발송되었다.[42] 27일은 24~26일의 한기 여파로 최저기온은 평년 수준이었다.[43] 7월 9일 36.0°C, 7월 10일 36.2°C, 7월 11일 36.1°C, 7월 12일 36.5°C. 그나마 10일 밤부터는 건조한 동풍이 유입되며 습도가 낮아졌고 일교차가 벌어지며 열대야에서는 벗어났다. 물론 그래도 24°C대로 높은 것은 마찬가지였지만.[44] 종전 기록인 2022년의 28.3°C를 1.1°C라는 큰 차이로 경신하였다.[45] 특히 7월 17일 서산 438.9mm, 광주 426.4mm 등 이 시기 공식 관측소에서도 400mm 이상의 일 강수량이 두 번이나 기록되었다. 서울도 16~20일 동안 300mm에 가까운 큰 비가 내렸다.[46] 특히 26일에는 37.1°C를 기록해 지난 8일에 이어 다시 한 번 37°C를 돌파했고, 그 다음 날인 27일에는 38.0°C를 기록하였다.[47] 2018년 8월과 동일한 기록이다. 심지어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따지면 2025년 7월이 0.07°C 더 높다.[48] 9일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의 최고기온이 30°C를 밑돌았고, 10일에는 열섬이 심한 서울의 최저기온이 21°C까지 하강하는 등 저온도 어느 정도 있었다.[49] 극심한 폭염이 찾아왔던 2016년 8월의 월평균기온보다도 높다![50] 2013년 8월과 기온 양상이 유사하게 중하순 중심으로 기록적이였으나 이보다도 기온은 더 높았다. 그로 인해 하순 평균기온은 28.7°C압도적 1위였다.[명목적] 6~8월[52] 하지만 밤에 내려가 일최저기온은 열대야가 아니었다.[53] 심지어 아침에 강수가 있었는 데에도 기온이 26°C 이하로 내려가지 않았다. 게다가 이 날은 밤에 최저가 내려갔지만 25.4°C로 일 최저기온으로도 열대야를 면하지 못했다.[54] 별의 커비 디스커버리의 DLC다.[55]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후속게임[56] 2025년 1월, 설날 연휴의 경우 원래 2024년에 방송 예정이었으나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여파로 결방으로 1월 녹화방송, 설날 연휴 생방송으로 방영되었다.[57] 시범 도입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일부 학교에서 진행되었다. 이후 국어와 기술가정 과목을 제외한 전 과목에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하는 것을 추진 중이나,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엎어졌다.[58] 2008년생까진 기존 9등급 상대평가 방식을 적용한다.[59] 100%의 학교가 자유학년제인 해는 2020년이다. 다만 이조차도 코로나19로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60] KOVO컵, 정규시즌, 챔피언결정전[61] 코로나로 조기종료된 2021-22 시즌 제외[62]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유로파 리그, UEFA 컨퍼런스 리그, UEFA 슈퍼컵은 물론이고 과거에 폐지가 된 UEFA 컵위너스컵까지 우승을 차지했다.[63] 다만 이 구간은 당분간 ITX-마음누리로 열차만 운행할 예정이며, KTX-이음 열차는 2026년부터 운행할 예정이다.[64] 고양시는 경기 북부권에서 유일하게 100만명 이상의 인구가 사는 대도시이고 의정부시는 경기 북부권의 행정을 총괄하는 경기도청 북부청사가 있는 곳이다.[65] 행정적인 고시상으로는 이미 착공된 상태지만 실제 공사는 이뤄지지 않았고 2025년부터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66] 목포 방향은 2021년 12월 29일에 개통하였다.[67] 심지어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의 착륙 루트에 거대한 산불이 진행되고 있는 매우 아찔한 상황까지 발생하였다. 만약에 착륙 도중에 산불 연기가 엔진 등 기내에 빨려 들어가서 문제를 일으켰다면 최악의 경우 미국판 제주항공 참사로 이어졌을 것이다.[68] HL7763, 에어버스 A321[69] 현지 시각 1월 28일[70] 현지 시각 1월 29일[71] 현지 시각 1월 31일[72] 한국 역시 2024년 12월 초부터 국가적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해 범국가적 저기압이 이어지던 중 무안공항에서 참사가 발생하며 2025년 1월까지 여전히 민감한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었던 중이라 이러한 대형 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면도 있다.[73] 화성시는 전국에서는 5번째, 경기도에 소속된 지방자치단체들 중에서는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의 뒤를 이은 4번째 특례시가 되었다.[74] 711번 버스 제외[75] 부산 ~ 울산 구간 및 부조 ~ 포항 구간 제외. 해당 구간은 각각 14번 국도28번 국도가 가장 비슷하게 간다.[76] 5호선이 애오개역을 무정차 통과하였다.[77] 인도보류명령(WRO)은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이 수입하는 제품 가운데 제품의 생산을 위해 강제노동이 실시되었다는 합리적 의심이 있을 때 외국 업체에 부과하는 제재이다.[78] 대선은 늦어도 60일 이후인 6월 3일에 치러지게 되는데 6월에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것은 헌정 사상 최초다.[79] 북미, 남미, 유럽, 일본, 대한민국, 홍콩, 호주, 뉴질랜드를 포함한 1차 출시국.[80] 북한은 11일 밤까지 대남 방송을 송출했다.[81] 해당 사진은 호우가 집중된 충청남도예산군 삽교읍의 침수된 모습이다.[82] 정선군의 경우 교통카드 필수, 60번대로 태백시 이동시 2000원, 21번으로 진부 이동시 1000원 징수이다.[83] 제헌절은 2007년 이전에는 공휴일이었지만 2005년 주5일제가 본격화되면서 2008년부터 휴일에서 제외됐었다.[84] 사건 자체는 약 두 달 전인 7월 12일에 발생했다. 언론 보도는 이보다 사흘 늦은 9월 4일.[85] 단, Windows 10 Enterprise LTSB/LTSC의 경우 2015 LTSB을 제외한 2016 LTSB와 2019/2021 LTSC의 경우 2025년 이후에도 연장 지원을 더 지원해 최대 2032년까지 지원한다. Windows 10은 지원 종료 3년 후인 2028년까지 유료 연장 지원을 한다. 자세한 건 Windows 10/제품군 참고. 원래 Windows 10은 2016년까진 에디션에 상관없이 Windows 7, 8/8.1 등의 이전 운영 체제과 같이 5년의 일반 지원과 5년의 추가 연장 지원해 총 10년의 기간을 지원했으나, 2016년 12월부터 홈 에디션과 프로 에디션은 빌드 버전별 1년 6개월, 엔터프라이즈 에디션과 에듀케이션 에디션은 2년으로 지원 기간이 크게 단축됐다. 다만, 과거의 Windows 버전에서 서비스 팩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RTM 빌드 버전도 지원 기간이 짧았기에 그런 관점에서 보면 오히려 종래에 따라 맞춘 지원 정책이라 볼 수 있다.[A] KBS 2TV 방영 기준으로 되어있다.[87] 도시샤대학에서 열린 추도식에서 명예문화박사학위 수여식이 거행되어 명예 박사학위를 받게 되었다.[88] 일본 기준[89] 같은 해 9월에 1000회 방영도 이뤄진다.[90] 한국 서비스를 비롯한 글로벌 서비스 출시 기준.[91] 그와 동시 김종국의 명곡 사랑스러워 발매 20주년.[92] 그러나 5월 29일부로 서비스 종료되었다.[93] 일본 기준[94] 일본 기준[95] 대한민국에서는 MBC판에는 마법사 헌터, 투니버스에서는 마법전사 캐롯으로 명칭이 되어있다.[A] [97] 일본 기준[98] 대한민국 기준[99] 이터널 리턴의 전속 게임.[100] 같은 을사년이다.[101] 게임 내에 북한이 모든 무기에 백도어를 심어뒀다는 말이 나온다.[102] 초반엔 구호 활동을 했지만 이내 진압하는 장면으로 바뀐다.[103] 아이러니하게도 폐쇄된 연도가 F.E.A.R. 시리즈의 배경년도랑 같은 년도에 폐쇄되었다는 점이다.[104] OST가 큰 성공을 거두었다.[역주행] [재흥행] [역주행] [재흥행] [재흥행] [역주행] [역주행] [역주행] [한국_포함] [역주행] [115] Andrew Choi, Neckwav, Danny Chung, 케빈, samUIL Lee[한국_포함] [한국_포함] [역주행] [119] EJAE, 오드리 누나, REI AMI[한국_포함] [121] 짭플래쉬 그 노래다.[한국_포함] [123] 우리나라에는 두 달이나 늦은 2월 28일에 들어왔다.[124] 원형은 만화 갤러리 유저를 뜻하는 '만붕이'의 변형인 '만삣삐'.[125] 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다.[126]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이 겹쳐 다음날이 대체 휴일로 지정된다.[127]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6/3(화)로 정해지면서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고, 직전 주말과 연계되는 징검다리 연휴가 만들어졌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if external != "o"
[[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uuid=5d022c14-5a5c-4faa-a7bb-0c9a2db3fdf4|r31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uuid=5d022c14-5a5c-4faa-a7bb-0c9a2db3fdf4#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from=312|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if external != "o"
[[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uuid=5d022c14-5a5c-4faa-a7bb-0c9a2db3fdf4|r31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uuid=5d022c14-5a5c-4faa-a7bb-0c9a2db3fdf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from=31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