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5월 8일 | 전날 ←전달 | | 다음날 →다음달 | 5월 10일 |
4월 9일 | 6월 9일 |
◀ | 5월 | ▶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2025년 기준 전체 보기 |
1. 개요
1년의 129번째(윤년의 경우 130번째) 날에 해당하며 서울 기준으로 이 날부터 낮 길이가 14시간을 넘기기 시작한다.2. 사건
2.1. 실제
- 1429년 - 잔 다르크가 오를레앙을 포위하던 잉글랜드군을 물리쳤다.
- 1889년 - 홍콩 소방처가 설치되었다.
- 1915년 - 중국의 위안스카이가 일본의 21개조 요구를 승낙하였다. 때문에 이 날은 중국에서 '국치일(國恥日)' 로 불린다.
- 1945년 - 전날인 5월 8일 항복문서에 서명한 나치 독일 플렌스부르크 정부가 소련의 요구로 베를린에서 다시 한 번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1] 이로써 동부전선의 4년간의 전쟁은 소련의 승리로 종결되었다.[2]
- 1946년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이탈리아 왕국 국왕에서 퇴위하였다.
- 1950년 - 롯데칠성음료의 전신인 '동방청량음료합명회사'가 설립되었다.
- 1951년 - 이시영이 부통령 직을 사퇴했다.
- 1960년
- 1964년 -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가 세운 동양방송이 AM 라디오 전파를 처음으로 쏘아올렸다. 개국 당시 주파수는 1380㎑였다.[3]
- 1987년 - LOT 5055편 추락사고가 일어나 183명이 사망했다.
- 2007년 - 박근혜 한나라당 대통령 선거 예비 후보 강재섭 전 대표가 제안하는 경선규칙 중재안을 거부했다.
- 2009년 - 칼레마 모틀란테가 남아공의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 2015년 - 북한이 SLBM인 북극성 1호 미사일의 수중 잠수함 발사 실험에 성공했다.
- 2016년 - 청해진해운이 폐업(해산)했다.
- 2017년 -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대통령직이 궐위되면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당선되었다.
- 2018년 - 말레이시아에서 제14대 총선이 치러졌다.
- 2021년
- 인터넷 방송인 김봉준과 오메킴이 유관순 열사 성희롱 및 독립운동 비하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다.
- 창정-5B 로켓 추락 사고이 발생했다.
- 2022년
- 2024년
- 네이버의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이 정식 출시했다.
- 가수 김호중 음주 뺑소니 사건이 일어났다.
- 부산 법조타운 칼부림 사건이 일어났다.
2.2. 가상
- 피콜로 대마왕이 국왕(드래곤볼)이 있는 수도로 와 도시를 제압하고 지구 인류를 1년마다 각 구역별로 학살하는 "피콜로 기념일"을 선포한 날이며, 동시에 손오공(드래곤볼)에 의해 쓰러진 날이자 그 아들인 피콜로(마쥬니어)가 태어난 일이기도 하다. 5(고)와 9(쿠)는 오공(고쿠)와 동일한 발음이라 고로아와세를 통해 일본에서 "오공의 날"로 지정된 일자이기도 하다.
3. 기념일 및 절기
- 소련에 속했던 러시아와 벨라루스, 중앙아시아 일부 국가들에서는 이 날을 대독 전승일로 친다. День Победы라고 쓰고 졘 빠볘듸라고 읽으면 비슷하다. 다만 소련에 속했지만 승리의 날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발트 3국과 우크라이나등 몇몇 구 소련 국가들은 이날에 기념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한다.[4]
- 유럽의 날 - 1985년부터 밀라노 총회에서 5월 9일이 유럽의 날로 지정됐다. 우크라이나처럼 5월 9일, 대독 전승일을 폐지/금지한 국가들 중에는 이를 유럽의 날로 교체하기도 한다.[5]
- 오공의 날 - 오공의 일본어 훈독방식이 고쿠이며, 고로아와세로 59라고 쓸 수 있음을 이용해 2015년에 5월 9일로 지정되었다.
- 개교기념일: 가천대학교
4. 축일
- 성 그레고리오
- 성 니콜라오 알베르가토
- 성 베아토
- 성 빈첸시오
- 성 요한
- 성 제론시오
- 성 제오르지오 프레카
- 복자 토마스 피커링
- 성 파코미오
- 성 헤르마스
5. 생일
5.1. 실존 인물
- 1567년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1643년): 이탈리아의 작곡가
- 1800년 - 존 브라운(~1859년): 미국의 노예제 폐지론자
- 1874년 - 하워드 카터(~1939년): 영국의 고고학자
- 1911년 - 크누트 한손(~1990년): 스웨덴의 전 축구 선수
- 1921년 - 조피 숄(~1943년): 반나치 비폭력 저항단체 하얀 장미의 조직원
- 1936년
- 1940년
- 1949년 - 빌리 조엘: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 1958년 - 김혜옥: 한국의 배우
- 1959년 - 가타야마 사쓰키: 일본의 정치인
- 1960년
- 1965년 - 김민전: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
- 1970년 - 고스트페이스 킬라: 미국의 래퍼이자 우-탱 클랜의 멤버
- 1971년 - 아즈마 히로키: 일본의 철학자
- 1973년 - 추상미: 대한민국의 배우
- 1977년
- 1979년
- 1980년 - 조현재: 대한민국의 배우
- 1981년
- 김지훈: 대한민국의 배우
- 데니스 푸실린: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 요코야마 유: 일본 아이돌 그룹 SUPER EIGHT의 멤버
- 예재형: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 1982년
- 1983년
- 1985년 - 센티멘탈 시너리
- 1986년 - 김찬혁: 쿠쿠크루의 멤버
- 1987년
- 1988년
- 1990년
- 1991년 - 문상훈: 대한민국의 유튜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채유정: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 1996년 - 강민수: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1997년
- 1998년
- 2000년
- 2001년 - 김소연: 싱어게인2 7호 가수. 최종 2위.
- 2002년
- 2003년 - 로렌초 루체시: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 2004년
- 2005년 - 오카무라 호마레: 모닝구 무스메의 멤버
- 2006년
- 연도불명
5.2. 가상 인물
- v flower - VOCALOID
- 강마구 - 아스타를 향해 차구차구
- 강우 - 신비마트
- 고명준 - 좀비고등학교
- 권은형 - 인소의 법칙
- 나구모 하루야 - 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
- 넨도 리키 -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 니노마에 카나데 - 여고생의 낭비
- 루시 - 마스터 오브 이터니티
- 루테 - 에버소울
- 리리카 펠프네로프 - 아르카나 하트
- 리사 심슨 - 심슨 가족
- 만넨 란코 - 아키바 메이드 전쟁
- 비비안 - 백야극광
- 센고쿠 카케루 - 호리미야
- 스윕 토쇼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스즈무라 산고 -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
- 스파다(우주전대 큐레인저) - 우주전대 큐레인저
- 시노하라 코우타 - 하지러브 -Making*Lovers-
- 시라사키 사요리 - 대도서관의 양치기
- 시로카네 미즈키 - SPIRAL!!
- 시마다 미나미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 아네트 팡틴 도미닉 -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
- 아스카 미라이 - 아이카츠 프렌즈!, ~ 빛나는 보석 ~, 아이카츠 온 퍼레이드
- 야에 사쿠라 - SHUFFLE!
- 오리사 - 오버워치 시리즈
- 오사리 히카루 - B-PROJECT
- 우르카 - 그랜드체이스 for kakao
- 유즈하라 하루카 - ToHeart2
- 이와사키 호노카 - 러키☆스타
- 장하빈 -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 천제인 - 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
- 카나모리 마리아 - 반짝이는 프리☆채널
- 카르밀라 에르제베트 - 크리퍼스큘
- 코지마 타케오 - 늑대 게임
- 코프레치, 쿠이신보치 - 다마고치
- 쿠로세 미나미 - 돌핀 웨이브
- 쿠스노키 메부키 - 용사다 시리즈
- 쿠죠 스바루 - 사쿠라 대전 V
- 클라리스 클로냐 - 해피 라이브 쇼 업!
- 타이탄 카메라맨 - Skibidi Toilet
- 타치바나 타키 - 너의 이름은.
- 테스타먼트 - 길티기어 시리즈
- 텐마 사키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토츠카 사이카 -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 피콜로(드래곤볼)(마쥬니어) - 드래곤볼
- 하야미 사나에 - 카운터사이드
- 하야사카 미레이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6. 기일
6.1. 실존 인물
- 1474년 - 공혜왕후 한씨(1456년~)[7]: 조선 성종의 원비(元妃)
- 1688년 - 프리드리히 빌헬름(1620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제18대 선제후 및 프로이센 공국 제5대 공작
- 1707년 - 디트리히 북스테후데(1637년?~): 덴마크 태생의 독일 오르가니스트, 작곡가
- 1805년 - 프리드리히 실러(1759년~): 프로이센 왕국의 극작가, 시인
- 1850년 - 루이 조제프 게이뤼삭(1778년~): 프랑스의 화학자
- 1930년 - 남강 이승훈(1864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 1971년 - 윤을수 라우렌시오 신부(1907년~): 한국의 가톨릭 신부
- 1985년 - 에드먼드 오브라이언(1915년~): 미국의 배우
- 1987년 - LOT 5055편 추락사고의 탑승객 183명 전원.
- 1998년 - 게르하르트 지들(1929년~): 독일의 전 축구 선수
- 2001년[8] - 앙드레 뇌리(1921년~): 스위스의 전 축구 선수
- 2007년 - 지노 파리아니(1928년~): 미국의 전 축구 선수
- 2009년 - 장영희(1952년~):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수필가
- 2012년 - 비달 사순(1928년~): 영국의 헤어 디자이너, 기업인
- 2015년 - 케난 에브렌(1917년~): 튀르키예의 군인, 제7대 대통령
- 2017년 - 첸지천(1928년~): 중국의 외교부장
- 2020년
- 2021년 - 박상일(1943년~): 대한민국의 성우
- 2023년 - 안토니오 카르바할(1929년~): 멕시코의 전 축구 감독
- 2025년 - 이상용(1944년~): 대한민국의 방송인
6.2. 가상 인물
[1] 베를린에서 항복 문서에 서명한 시간은 5월 8일 23시 43분으로 모스크바 표준시 기준으로 5월 9일 0시 43분이었다. 그래서 러시아에서는 5월 9일을 승리의 날로 기념한다.[2] 추축국의 마지막 국가인 일본 제국이 아직 전쟁을 계속 하고 있었기 때문에 2차 세계대전은 계속 이어지고 있었다.[3] 동양방송보다 1년 먼저 개국한 동아방송(당시 주파수 1230㎑)과 혼선이 자주 생긴 탓에 개국 1개월 뒤인 6월 9일에 주파수를 639㎑로 옮겼다.[4] 우크라이나의 경우 '1939-1945년 제2차 세계대전 나치즘으로부터의 기억과 승리의 날'이라는 이름의 기념일로 5월 8일에 있다. 편하게는 '기억과 승리의 날'로 부른다. 원래는 5월 9일에 '제2차 세계대전 나치즘으로부터의 승리의 날'이라는 이름이 사용 되었다.[5] 특히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침략행위를 한 것이 유로마이단 직후이니만큼 더 의미가 크다.[6] 음력 4월 14일[7] 공혜왕후의 기일은 양력이 5월 9일이고, 음력으로는 4월 15일이다.[8] 동년 9월 5일과 2007년 10월 16일이라는 다른 기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