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22:13:59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예선]]{{{#!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파일: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로고(2022).png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수단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1959
아랍연합공화국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에티오피아
파일:아프리카 연방공화국 국기.svg
1963
가나
파일:튀니지 국기(1959~1999).jpg
1965
튀니지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에티오피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수단
파일:카메룬 국기(1961-1975).svg
1972
카메룬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이집트
파일:에티오피아 국기(1975-1987).svg
1976
에티오피아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가나 국기.svg
1978
가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나이지리아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1982
리비아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코트디부아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이집트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모로코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알제리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세네갈
파일:튀니지 국기(1959~1999).jpg
1994
튀니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남아공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부르키나파소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가나/나이지리아
파일:말리 국기.svg
2002
말리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튀니지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이집트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파일:가나 국기.svg
2008
가나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앙골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2012
적도기니/가봉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남아공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적도 기니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파일:가봉 국기.svg
2017
가봉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이집트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카메룬
[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코트디부아르
[2]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모로코
36회 37회 38회 39회 40회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케냐/탄자니아/우간다
파일:국기.svg
2029
미정
[1] 2022년 개최
[2] 2024년 개최
같이 보기: 역대 UEFA 유로, 역대 AFC 아시안컵, 역대 코파 아메리카, 역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CONCACAF 골드컵, 역대 OFC 네이션스컵 }}}}}}}}}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25 Africa Cup of Nations
Coupe d'Afrique des Nations 2025
كأس الأمم الأفريقية 2025
ⵜⴰⵇⴱⵓⵛⵜ ⵏ ⵜⴻⴼⵔⵉⵇⵜ ⵏ ⵢⵉⵖⵍⴰⵏⴻⵏ 2025
<nopad> 파일: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로고.webp
<colbgcolor=#0DC76B><colcolor=#fff> 대회기간 2025년 12월 21일 ~ 2026년 1월 18일
개최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모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선 진출팀 24개팀
대회 결과
우승 - -
준우승 - -
3위 - -
4위 - -
수상
골든볼 -
골든부트 -
골든글러브 -
영플레이어상 -
페어플레이상 -
연표
이전 대회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다음 대회 202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케냐·탄자니아·우간다)

1. 개요2. 개최국 선정3. 개최 도시4. 마스코트5. 공인구6. 예선7. 본선 진출국8. 조 편성
8.1. 시드 배정8.2. 조 편성 결과
9. 대회 진행
9.1. 조별 라운드9.2. 조 3위 간 순위9.3. 결선 라운드
10. 우승11. 최종 순위12. 팀별 리뷰13.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팀 오브 토너먼트14.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12월부터 2026년 1월 사이에 모로코에서 열릴 예정인 35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이다.

2. 개최국 선정

카메룬이 2019년 대회를 유치하고 코트디부아르가 2021년, 기니가 2023년 대회를 유치하는 것으로 확정하였으나, 카메룬의 개최 준비 미달을 이유로 카메룬의 대회 개최를 취소했다. 그 대신 CAF는 보상 차원에서 2021년 대회의 개최권을 카메룬에게 넘겼으며 이에 따라 코트디부아르와 기니도 개최권이 한 대회씩 밀려 2023년과 2025년에 개최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니는 2022년 9월, 개최 자격이 박탈되었다. #

이후 알제리, 모로코, 나이지리아-베냉, 잠비아 4개의 신청안이 있었으며, 2023년 9월 27일 모로코로 개최국이 결정되었다.

모로코 축구 리그가 추춘제인 것을 고려해 보면, 2025 네이션스컵은 오랜만에 6월 개최가 산술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2025년 6월에 처음으로 개편된 클럽 월드컵이 미국에서 열리기 때문에 2026년 1월~2월로 개최 연기가 검토된 끝에 2025년 12월 말에 개최해 2026년 1월까지 진행하는 것으로 확정됐다.[1] 따라서 이번 대회는 2026 월드컵에 나서는 9개국에겐 일종의 전초전 성격도 가지게 되었다.

3. 개최 도시

CAF 규정에 따르면 최소 6개의 경기장을 준비해야 하며, 4만명 이상 2개, 2만명 이상 2개, 15000명 이상 2개가 필요하다.
도시 경기장 수용인원
라바트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프랭스 물레이 압달라 (المجمع الرياضي الأمير مولاي عبد الله) 53,000명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프랭스 에리티에 물레이 엘 하산 (الملعب الرياضي الأمير مولاي الحسن) 22,000명
스타드 엘 바리드 (ملعب البريد) 18,000명
스타드 올랭피크 아넥스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프랭스 물레이 압달라
(الملعب الأولمبي الملحق للملعب الرياضي الأمير مولاي عبد الله)
21,000명
카사블랑카 스타드 모하메드 5세 (ملعب محمد الخامس) 45,891명
페스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드 페즈 (لمركب الرياضي لفاس) 45,000명
탕헤르 그랑 스타드 드 탕헤르 (ملعب طنجة الكبير) 65,000명
아가디르 그랑 스타드 다가디르 (ملعب أدرار) 45,480명
마라케시 그랑 스타드 드 마라케시 (ملعب مراكش) 45,240명

4. 마스코트

5. 공인구

6. 예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예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예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예선#|]][[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예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본선 진출국

국가명 진출 자격 진출 날짜 진출 횟수 최고 성적 FIFA 랭킹[2]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개최국
예선 B조 1위
2023년 9월 27일 20회 <colcolor=#000> 우승
[MAR]
14위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예선 A조 1위 2024년 11월 15일 2회 16강
[COM]
103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예선 C조 1위 2024년 10월 15일 27회 우승
[EGY]
33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예선 D조 1위 2024년 11월 14일 21회 우승
[NGA]
44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예선 E조 1위 2024년 10월 14일 21회 우승
[ALG]
37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예선 F조 1위 2024년 10월 15일 10회 8강
[ANG]
85위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예선 G조 1위 2024년 11월 15일 19회 우승
[ZAM]
87위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예선 H조 1위 2024년 10월 15일 21회 우승
[COD]
61위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예선 I조 1위 2024년 11월 15일 14회 준우승
[MLI]
51위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예선 J조 1위 2024년 10월 14일 22회 우승
[CMR]
49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예선 K조 1위 2024년 11월 14일 12회 우승
[RSA]
57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예선 L조 1위 2024년 10월 15일 18회 우승
[SEN]
17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예선 A조 2위 2024년 11월 14일 22회 우승
[TUN]
52위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예선 B조 2위 2024년 11월 14일 9회 8강
[GAB]
84위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예선 C조 2위 2024년 11월 20일 2회 조별 리그
[BWA]
136위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예선 D조 2위 2024년 11월 18일 5회 8강
[BEN]
94위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예선 E조 2위 2024년 11월 13일 5회 4위
[EQG]
93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예선 F조 2위 2024년 11월 18일 10회 우승
[SDN]
113위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예선 G조 2위 2024년 11월 13일 26회 우승
[CIV]
46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예선 H조 2위 2024년 11월 19일 4회 조별 리그
[TAN]
106위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예선 I조 2위 2024년 11월 20일 6회 조별 리그
[MZQ]
96위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예선 J조 2위 2024년 11월 15일 6회 조별 리그
[ZIM]
121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예선 K조 2위 2024년 11월 14일 8회 준우승
[UGA]
88위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예선 L조 2위 2024년 10월 13일 14회 준우승
[BFA]
66위

항상 이변이 잦은 네이션스컵이라지만, 이번에는 예선전부터 뒷목을 잡게 하는 이변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일단 최근 2번의 네이션스컵에서 연달아 조별리그 광탈이라는 대굴욕을 당했던 가나가 이번에는 F조 최하위로 예선도 넘지 못하고 탈락하는 대이변이 일어났으며, 네이션스컵에서 항상 토너먼트는 가던 기니H조 3위로 탈락했다. 최근 2번의 네이션스컵에서 연달아 토너먼트에 올랐던 카보베르데도 죽음의 조가 되어버린 C조에서 최하위로 굴러떨어지며 탈락했다.[27]

반대로 이들의 몰락을 틈타 이변을 일으키고 본선에 올라온 팀들도 있었다. 보츠와나는 지난 대회 토너먼트까지 올랐던 모리타니카보베르데를 제치고 C조 2위에 올라 2012년 대회 이후 13년 만에 본선에 올랐으며, F조에서는 가나가 미끄러지는 사이 수단이 지난 대회 예선 탈락의 아픔을 딛고 3위 니제르를 승점 1점 차로 밀어내고 조 2위로 본선에 올랐다. 기니에 승점 2점 차로 밀려 H조 3위에 있던 탄자니아는 예선 마지막 날 기니와의 맞대결을 잡아야만 본선행이 가능했는데 진짜로 1:0 신승을 거두고 본선으로 향했다. 보츠와나와 탄자니아는 모잠비크와 함께 예선 마지막 날에야 본선행을 확정한 팀들이기도 하다.[28] 이와 별개로 코모로도 최근 월드컵 예선에서의 좋은 경기력이 우연이 아니라는 듯 튀니지까지 밀어내고 조 1위를 차지하는 이변을 일으키며 4년 만에 본선에 복귀했다.

7.1.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참가팀 정보

8. 조 편성

2025년 1월 27일 모로코 라바트에서 조 추첨을 시행했다.

8.1. 시드 배정

<rowcolor=#ffffff> 시드 1 시드 2 시드 3 시드 4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개최국)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시드 배정은 2024년 12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했다.

8.2. 조 편성 결과

<rowcolor=#ffffff>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개최국)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9. 대회 진행

파일: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로고.webp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colbgcolor=#800000> 대회 이전 예선 · 참가팀 정보
조별 리그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결선 토너먼트 16강 8강 준결승 (3·4위전) 결승
대회 이후 기록실 · 팀별 리뷰

조별리그에서 승점이 동률일 경우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조 3위간 서열 판정에서 승점이 동률일 경우에는 다른 조의 팀간 비교인 만큼 바로 2번부터 판단한다.

1. 같은 승점인 팀간 경기에서의 상대 승점 (승자승)
2팀이 동률이고 승자승이 같을 경우 2번으로 넘어가며, 3팀 이상 승자승이 동률일 경우 1-1과 1-2를 순서대로 적용한다.[29]
1-1. 같은 승점인 팀간 경기에서의 상대 골득실차
1-2. 같은 승점인 팀간 경기에서의 상대 득점 수
1. 해당 팀의 조별 리그 경기 골득실차
1. 해당 팀의 조별 리그 경기 득점 수
1. 추첨

9.1. 조별 라운드

9.1.1. A조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0 0 0 0 0 0 +0 -
2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0 0 0 0 0 0 +0 -
3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0 0 0 0 0 0 +0 -
4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0 0 0 0 0 0 +0 -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9.1.2. B조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0 0 0 0 0 0 +0 -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 0 0 0 0 0 0 +0 -
3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0 0 0 0 0 0 +0 -
4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0 0 0 0 0 0 +0 -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9.1.3. C조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0 0 0 0 0 0 +0 -
2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0 0 0 0 0 0 +0 -
3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0 0 0 0 0 0 +0 -
4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0 0 0 0 0 0 +0 -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9.1.4. D조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0 0 0 0 0 0 +0 -
2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0 0 0 0 0 0 +0 -
3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0 0 0 0 0 0 +0 -
4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0 0 0 0 0 0 +0 -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9.1.5. E조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0 0 0 0 0 0 +0 -
2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0 0 0 0 0 0 +0 -
3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0 0 0 0 0 0 +0 -
4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0 0 0 0 0 0 +0 -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9.1.6. F조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0 0 0 0 0 0 +0 -
2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0 0 0 0 0 0 +0 -
3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0 0 0 0 0 0 +0 -
4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0 0 0 0 0 0 +0 -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9.2. 조 3위 간 순위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국기.svg 축구 국가대표팀 0 0 0 0 0 0 0 0
2 파일:국기.svg 축구 국가대표팀 0 0 0 0 0 0 0 0
3 파일:국기.svg 축구 국가대표팀 0 0 0 0 0 0 0 0
4 파일:국기.svg 축구 국가대표팀 0 0 0 0 0 0 0 0
5 파일:국기.svg 축구 국가대표팀 0 0 0 0 0 0 0 0
6 파일:국기.svg 축구 국가대표팀 0 0 0 0 0 0 0 0
16강 진출 | 탈락

9.3. 결선 라운드

<rowcolor=#fff> 16강 8강 준결승 결승
<colbgcolor=#0DC76B><colcolor=#ffffff> 38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16강#s-3.2|
16강 2경기 | 01/03 20:30
]]
<colbgcolor=#0DC76B><colcolor=#ffffff> 45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8강#s-3.1|
8강 1경기 | 01/09 18:00
]]
<colbgcolor=#0DC76B><colcolor=#ffffff> 49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준결승#s-3.1|
준결승 1경기 | 01/14 18:00
]]
<colbgcolor=#0DC76B><colcolor=#ffffff> 52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결승|
결승 | 01/18 20:00
]]
A조 2위 - 16강 2경기 승자 - 8강 1경기 승자 - 준결승 1경기 승자 -
C조 2위 -
스타드 모하메드 5세
37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16강#s-3.1|
16강 1경기 | 01/03 18:00
]]
16강 1경기 승자 -
D조 1위 -
B/E/F조 3위 -
그랑 스타드 드 탕헤르
그랑 스타드 드 탕헤르
41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16강#s-3.5|
16강 5경기 | 01/05 18:00
]]
48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8강#s-3.4|
8강 4경기 | 01/10 20:30
]]
8강 4경기 승자 -
B조 1위 - 16강 5경기 승자 -
A/C/D조 3위 -
그랑 스타드 다가디르
44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16강#s-3.8|
16강 8경기 | 01/06 20:30
]]
16강 8경기 승자 -
F조 1위 -
E조 2위 - 준결승 2경기 승자 -
그랑 스타드 드 마라케시
그랑 스타드 다가디르
그랑 스타드 드 탕헤르
43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16강#s-3.4|
16강 4경기 | 01/04 20:30
]]
46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8강#s-3.2|
8강 2경기 | 01/09 20:30
]]
50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준결승#s-3.2|
준결승 2경기 | 01/14 20:30
]]
B조 2위 - 16강 4경기 승자 - 8강 2경기 승자 -
F조 2위 -
스타드 엘 바리드
42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16강#s-3.3|
16강 3경기 | 01/04 18:00
]]
16강 3경기 승자 -
A조 1위 -
C/D/E조 3위 -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프랭스 물레이 압달라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프랭스 물레이 압달라
40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16강#s-3.7|
16강 7경기 | 01/06 18:00
]]
47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8강#s-3.2|
8강 3경기 | 01/10 18:00
]]
8강 3경기 승자 -
E조 1위 - 16강 7경기 승자 -
D조 2위 -
스타드 프랭스 에리티에 물레이 엘 하산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프랭스 물레이 압달라
39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16강#s-3.6|
16강 6경기 | 01/05 20:30
]]
16강 6경기 승자 - 51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준결승#s-3.3|
3·4위전 | 01/17 20:00
]]
B조 1위 - 준결승 1경기 패자 -
A/C/D조 3위 - 준결승 2경기 패자 -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드 페즈
스타드 드 마라케시
콤플렉스 스포르티프 프랭스 물레이 압달라
스타드 모하메드 5세

10. 우승

<colcolor=#fff>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우승
파일: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챔피언 ???.png
파일: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국가명
# 번째 우승

11. 최종 순위

최종 순위
<rowcolor=#fff>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7 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7 준우승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7 3위
4 7 4위
5 5 8강
6 5
7 5
8 5
9 4 16강
10 4
11 4
12 4
13 4
14 4
15 4
16 4
17 3 조별리그
18 3
19 3
20 3
21 3
22 3
23 3
24 3

12. 팀별 리뷰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팀별 리뷰 문서 참조.

13.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팀 오브 토너먼트

14. 둘러보기

세계 축구 대륙별 최상위 남성 대회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f> 연맹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축구
연맹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축구 연맹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축구 연맹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축구 연맹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최상위
대회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_좌우.png 파일: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 패치.png 파일: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로고(2022).png 파일:코파 아메리카 로고.png 파일:CONCACAF Gold Cup.png 파일:OFCcup.png
최근
대회
2023 AFC 아시안컵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4년 1월 12일
~ 2월 10일
UEFA 유로 2024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024년 6월 14일
~ 7월 14일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2024년 1월 13일
~ 2월 11일
2024 코파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4년 6월 20일
~ 7월 14일
2023 CONCACAF
골드컵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023년 6월 24일
~ 7월 16일
2024 OFC
네이션스컵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2024년 6월 15일
~ 6월 30일
차기
대회
2027 AFC 아시안컵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UEFA 유로 2028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미정 미정 미정
역대 대륙별 최상위 남성 대회: AFC 아시안컵, UEFA 유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파 아메리카, CONCACAF 골드컵, OFC 네이션스컵, FIFA 월드컵
}}}}}}}}} ||



[1] 이후 공개된 일정표를 보면 12월에 조별리그 경기를 모두 마치고 1월에는 토너먼트 경기만 진행된다.[2] 2024년 11월 FIFA 랭킹[MAR] 1976[COM] 2021[EGY] 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NGA] 1980, 1994, 2013[ALG] 1990, 2019[ANG] 2008, 2010, 2023[ZAM] 2012[COD] 1968, 1974[MLI] 1972[CMR] 1984, 1988, 2000, 2002, 2017[RSA] 1996[SEN] 2021[TUN] 2004[GAB] 1996, 2012[BWA] 2012[BEN] 2019[EQG] 2015[SDN] 1970[CIV] 1992, 2015, 2023[TAN] 1980, 2019, 2023[MZQ] 1986, 1996, 1998, 2010, 2023[ZIM] 2004, 2006, 2017, 2019, 2021[UGA] 1978[BFA] 2013[27] 심지어 가나와 카보베르데는 2025년 3월 A매치 기준으로 2026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예선에서 각 조 1위에 올라 있는 만큼 최근까지 분위기가 나쁘지 않았기에 더더욱 충격적인 탈락이다.[28] 모잠비크는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예선/I조에서 3위 기니비사우를 승점 3점 차로 따돌리고 2위에 올라 있었지만, 예선 최종전 상대가 마침 기니비사우라서 여기서 3점 차 이상으로 지면 역전당해 탈락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모잠비크는 침착하게 원정 경기에서 2:1 승리를 따내며 본선행 티켓을 따냈다.[29] 두 팀만 승점이 같고 무승부를 기록해서 승자승 역시 동률일 경우, 1-1번과 1-2번 역시나 동률이 되므로 의미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