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5월 22일 | 전날 ←전달 | | 다음날 →다음달 | 5월 24일 |
4월 23일 | 6월 23일 |
◀ | 5월 | ▶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2025년 기준 전체 보기 |
1. 개요
1년의 143번째(윤년의 경우 144번째) 날에 해당한다.유독 부정적인 사건이 많은 날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1], 송지선 아나운서, 이기원 계룡시장, 하인리히 힘러, 기무라 하나 등이 자살했고 30년 전쟁, 임진왜란, 제1차 장풍전쟁 등의 전쟁들이 발발했다.
2. 사건
2.1. 실제
- 1592년 - 임진왜란이 발발했다.
- 1618년 - 30년 전쟁이 발발했다.
- 1914년 - 인도네시아 사회민주당이 설립되었다.
- 1929년 - 국민정부가 펑위샹 제명을 결정하면서 제1차 장풍전쟁이 시작되었다.
- 1945년
- 1949년
- 1951년 - 티베트가 멸망했다.
- 1984년 - 현대엘리베이터가 창립되었다.
- 1985년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이 발생했다. 대학생들은 '군부 정권의 배후에는 미국이 있다'는 빌미로 미국의 사과를 요구하며 23일 문화원을 강제 점거하여 26일 농성을 끝마쳤다.
- 1994년 -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모 산부인과에서 뇌염 예방접종을 받은 두 6세 어린이가 갑자기 쓰러져 혼수상태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다.[3]
- 1995년 - 북한 공군 소속의 이철수 대위가 MiG-19를 몰고 탈북하여 귀순했다.
- 1997년 - 한화 이글스의 투수 정민철이 한국프로야구 역사상 최초로 퍼펙트 게임을 달성할 뻔 했지만 포수 강인권의 포일 뒤 낫아웃 출루 허용 때문에 통산 10번째 노히트 노런 투수로 이름을 남기는 데 만족해야 했다.
- 1998년 - 대한민국의 걸그룹 핑클이 데뷔했다.
- 1999년 - 캐나다의 프로레슬러 오웬 하트가 경기중 추락사했다.
- 2000년 -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린 힙합 앨범인 에미넴의 The Marshall Mathers LP가 발매되었다.
- 2005년 - 금호아시아나 2대 회장 박성용이 사망했다.
- 2006년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사상 최초로 한국인 선발투수 맞대결이 벌어졌다. 광주제일고 선후배인 서재응(당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과 김병현(당시 콜로라도 로키스)이 맞붙었고 서재응이 승리했다.
- 2007년 - MBC 소속 아나운서 송인득이 간경화로 사망했다. 대표적인 베테랑 스포츠 전문 캐스터로 이름있었고, 허구연과 함께 오랫동안 한국프로야구를 중계해 왔기에 야구 팬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으며 그가 중계할 때마다 갖고 다녔던 분석노트는 한국프로야구의 역사 그 자체이자 중요한 자료로 남게 됐다.
- 2009년 - 대한민국 16대 대통령이었던 노무현이 투신자살했다.
- 2011년 - 아나운서 송지선이 투신자살했다.
- 2013년 - 오타니 쇼헤이가 삿포로돔에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를 상대로 일본프로야구 커리어 처음으로 선발투수로 등판했다.
- 2015년 - 2015년 5월 23일 여성시대 역고발 사태가 일어났다.
- 2017년
- 한화 이글스의 감독인 김성근이 그룹 감사로 인해 경질당했다.
-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판 중 박근혜의 국정농단 제1심 첫 공판이 서울중앙지방법원 417호 대법정에서 이날 열렸다.
- 2018년
- 대한민국의 걸그룹 여자친구가 일본에서 정식으로 데뷔했다.
- 웹툰 불법 공유 사이트인 밤토끼의 운영자가 구속되었으며 사이트 또한 폐쇄되었다.
- 이명박의 제1심 첫 공판이 서울중앙지방법원 417호 대법정에서 이날 열렸다.
- 일본의 이카타 원자력 발전소 2호기가 영업을 중지했다.
- SSG 랜더스 한유섬이 한 경기 4홈런 기록을 달성했다.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4년
- 제12보병사단에서 훈련병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1차 후송시간 기준)
- 게임 회사 111퍼센트의 신작 운빨존많겜이 서비스를 시작했다.
2.2. 가상
- 도호쿠 신칸센 하야부사 60호 열차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한다. - 신칸센 대폭파(2025)
3. 기념일 및 절기
- 일본에서는 키스데이의 역할을 하는 날이다. 1946년 5월 23일에 일본에서 최초로 키스신이 등장한 영화 '20살의 청춘(はたちの青春)'이 개봉된 날이기 때문이다.
- 2000년부로 비영리 거북이 보호단체 ATR(American Tortoise Rescue)에서 세계 거북이의 날로 지정되었다.
- 2016년부로 대한민국에서 희귀질환 극복의 날로 지정되었다(희귀질환관리법 제4조 제1항). 2023년 개정에 따라 '세계 희귀질환의 날'인 2월 마지막 날로 변경되었다.
3.1. 노무현 대통령 추도식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다음 해인 2010년부터 매년 이날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묘역에서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주관으로 노무현 대통령 추도식이 열리고 있다.엄청난 규모와 열기의 팬덤을 거느렸던 대통령답게 세상을 떠난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추도 행사로는 가장 규모가 크다.[5] 고인의 평생지기 친구였던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대통령 퇴임 이후 줄곧 이 행사에 참석하고 있으며 민주당계 정당은 물론 보수정당과 진보정당 고위 관계자들도 참석해서 고인을 기리고 있다. 아울러 고인이 생전에 강조했던 것들 중의 하나가 '지역주의 타파'였던 것을 고려해[6] 묘역 소재지의 지자체장인 경상남도지사는 물론 광주광역시장, 전라남도지사, 전북특별자치도지사 등 호남지역의 지자체장도 추도식 참석 대상에 포함되기도 한다.
노동·인권 변호사 출신으로서 생전에 민중가요를 즐겨부르고 진보적 이념을 추구했던 대통령답게 추도식의 마지막 식순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한다.
다만 최근에는 일베저장소에서 파생된 MC무현 밈이 젊은 층에서 인기를 얻게 되면서 본래의 의미가 일부 희석되고 노무현의 투신자살을 희화화한 컨텐츠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이른바 ‘중력절’로서의 의미가 강해졌다. 실제로 MC무현 최대 행사인 봉하콘서트, 이른바 봉콘이 이날 열리는 것만 봐도…
4. 축일
- 성 고반
- 성 귀베르토
- 성 데시데리오
- 성 레오니토
- 성 루치오
- 성 메르쿠리알리스
- 성 미카엘
- 복자 바르톨로메오
- 성 바실레오
- 성 에우티키오
- 성 에우페비오
- 성녀 에우프로시나
- 성 에피타치오
- 성 요한 세례자 데 로시
- 성 윌리엄
- 성 율리아노
- 성 이보
- 성 퀸시아노
- 성 플로렌시오
5. 생일
5.1. 실존 인물
- 1127년 - 의종(~1173년): 고려 제18대 국왕
- 1330년 - 공민왕(~1374년): 고려의 제31대 국왕
- 1707년 - 카를 폰 린네(~1778년): 스웨덴의 식물학자
- 1839년[7] - 나가쿠라 신파치(~1915년): 일본 신센구미 2번대 대장
- 1888년 - 홍명희(~1968년): 대한민국의 소설가, 민족운동가, 정치인
- 1900년 - 한스 프랑크(~1946년): 제3제국의 정치인, 폴란드 총독
- 1908년 - 이토오카 토미코(~2024년)
- 1933년
- 1949년 - 알란 가르시아(~2019년): 제53·57대 페루 대통령
- 1951년 - 아나톨리 카르포프: 제12대 체스 세계 챔피언
- 1953년 - 시모무라 하쿠분: 일본의 정치인
- 1955년
- 1960년 - 이선주: 대한민국의 여성 성우
- 1965년
- 1969년
- 1971년 - 정영주: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 1973년 - 김성수: 대한민국의 배우
- 1976년 - 미도리카와 유키: 일본의 만화가
- 1979년
- 1983년 - 최나경: 대한민국의 플루티스트
- 1987년
- 1988년
- 1990년 - 이재균: 대한민국의 배우
- 1991년 - 강훈: 대한민국의 배우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So!YoON!: 대한민국의 가수, 밴드 새소년의 보컬이자 기타리스트
- 마은진: 대한민국의 걸그룹 플레이백의 前 멤버
- 막시밀리안 킬먼: 잉글랜드의 축구선수
- 배수연: 아이돌학교와 프로듀스 48의 참가자
- 조 고메스: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 타나베 루이: 일본의 성우
- 막스 킬먼: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 1998년 - 스티브 레이시: 미국의 가수
- 1999년
- 2001년
- 2003년
- 2006년 - 야마모토 히카루
- 2007년 - 다채로원: 대한민국의 유튜버
5.2. 가상 인물
- 나나 - 가오슝 첩운 소녀
- 나나미 유리 - 아마마네 2
- 라모나 울프 - 월드 다이 스타
- 라비 - 라피스 리라이츠
- 레오나르드 비텔스바흐 - 마법명가 차남으로 살아남는 법
- 로보코 씨 - hololive 소속 버츄얼 유튜버
- 마유미 에이신 - 아이돌 마스터 SideM
- 마츠모토 리세 - 유루유리
- 모모치 타마테 - 슬로우 스타트
- 무코우 아오이 - 당신과 그녀와 그녀의 사랑
- 미카미 치오리 - 작혼
- 버니스 화이트 - 젠레스 존 제로
- 셜리(네메시스) - 타워 오브 판타지
- 셰리 - 에버소울
- 스노미야 사에 - 메모리즈 오프 쌍상 ~NOT ALWAYS TRUE~
- 시스터 리디아 - 사랑하는 소녀와 수호의 방패
- 아라키다 소세이 - 스탠드 마이 히어로즈
- 아스마 모모타 - 보이 프렌드(베타)
- 오오토모 류노스케 - 프린세스 메이커 5
- 오브리(OMORI) - OMORI/등장인물
- 에델리조 - 알드노아. 제로
- 츄 - 원피스
- 카자마 카에데 - 이세계에서 치트 스킬을 얻은 나는 현실 세계에서도 무쌍한다 ~레벨업이 인생을 바꿨다~
- 캐롤라인 필립스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 코가 토모에 - 청춘 돼지 시리즈
- 콘노 유우키 - 소드 아트 온라인
- 키라 료스케 - 블루 록
- 타마모 크로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타카미자와 나츠키 - 새벽녘보다 유리색인, 새벽녘보다 유리색인 Moonlight Cradle
- 폰 콘라드 - 그마남 이야기
- 하나요리 사유리 - 종말의 세라프
- 우치우미 센자이 - The Mimic
- Warframe - 아미르
6. 기일
6.1. 실존 인물
- 1125년 - 하인리히 5세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 1498년 - 지롤라모 사보나롤라(1452년~): 이탈리아의 도미니코회 수도자, 종교 개혁자
- 1592년
- 정발(1553년~): 조선의 부산진 첨절제사 및 임진왜란에서 부산진을 지키다 관민과 함께 처음으로 순국순절한 충신
- 송상현(1551년~): 조선의 동래도호부 부사 및 임진왜란의 순국순절한 충신
- 1825년 - 파슨 윔스(1759년~): Parson Weems, 미국의 위인전 작가
- 1857년 - 오귀스탱루이 코시(1789년~): 프랑스의 수학자
- 1912년 - 조병갑(1844년~): 조선 민중의 원흉·탐관오리[8]
- 1916년 - 임병찬(1851년)~): 조선·구한말의 의병장 및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1926년 - 카를 홀(1866년~): 독일의 루터 부흥신학자
- 1927년 - 탕지야오(1883년~): 중화민국의 군벌
- 1934년 - 보니와 클라이드(1910/1909년~): 미국의 강도 커플
- 1937년 - 존 데이비슨 록펠러(1839년~): 미국의 사업가, 석유왕
- 1943년 - 아돌프 우어반(1912년~): 독일의 전 축구 선수
- 1945년 - 하인리히 힘러(1900년~): 나치 독일의 슈츠슈타펠과 게슈타포의 수장
- 1951년 - 에밀 카폰(1916년~): 미국의 가톨릭 군종 신부
- 1960년 - 옌시산(1883년~): 중화민국 평의원 겸 중화민국 총통 자정
- 1966년 - 데므치그돈로브(1902년~): 내몽골의 칸
- 1988년 - 키토 아야(1962년~): 1리터의 눈물의 주인공
- 1999년 - 오웬 하트(1965년~): 캐나다의 프로레슬러
- 2007년 - 송인득(1958년~): 대한민국의 前 아나운서
- 2009년
- 2010년 - 호세 리마(1972년~):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 2011년 - 송지선(1981년~):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 2013년 - 하소곤(1928년~): 대한민국의 군인
- 2015년 - 존 내시(1928년~): 미국의 수학자
- 2017년 - 로저 무어(1927년~): 영국의 영화배우
- 2020년
- 2022년 - 이기원(1952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6.2. 가상 인물
- 김명희 - 오월의 청춘
- 클로버필드 - 새벽녘에 벌어진 클로버의 난동에 휘말린 롭, 제임스, 허드, 말레나, 베스 외 희생당한 맨하탄 시민/미군 병력[9]
- 칼리 모건소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1]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유일하게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2] 형식적으로 해체된 것은 6월 5일이다.[3] 이 두 어린이 중 1명은 동년 5월 27일 끝내 숨졌다.[4] 혜성 밝기가 최대 -5~-7등급까지 밝아질 가능성도 있어 이 날으로부터 1~2주일 전후에도 낮에 보일 가능성이 있다.[5] 민족중흥회 주관으로 열리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추도식이 그나마 규모가 컸고 나머지 대통령들의 추도 행사는 기념사업회가 약소하게 치르거나 가족 행사 수준으로 거행하고 있다.[6] 1990년 3당 합당을 반대했고 이후 김대중의 부름을 받아 '호남 정당'의 이미지가 강했던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당시 민주당의 험지로 분류됐던 부산에서 세 차례 선거에 출마했다가 세 번 모두 낙선했다. 연이은 낙선에도 또 다시 민주당의 이름으로 부산에서 출마하는 노무현을 보면서 붙여진 별명이 '바보 노무현'이다.[7] 음력 4월 11일.[8]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게 된 만악의 근원.[9] 단, 확실히 사망 연출이 나온 허드, 말레나, 제임스를 제외한 롭과 베스는 클로버를 향해 쏟아진 TOT의 폭발에 휩싸이는 장면까지만 나온다. 헬기를 타고 먼저 피난간 릴리는 생사가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