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23:42:29

5월 23일



날짜 이동란
5월 22일
전날
전달
5월 23일
다음날
다음달
5월 24일
4월 23일
6월 23일

5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025년 기준
전체 보기


1. 개요2. 사건
2.1. 실제2.2. 가상
3. 기념일 및 절기
3.1. 노무현 대통령 추도식
4. 축일5. 생일
5.1. 실존 인물5.2. 가상 인물
6. 기일
6.1. 실존 인물6.2. 가상 인물

1. 개요

1년의 143번째(윤년의 경우 144번째) 날에 해당한다.

유독 부정적인 사건이 많은 날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1], 송지선 아나운서, 이기원 계룡시장, 하인리히 힘러, 기무라 하나 등이 자살했고 30년 전쟁, 임진왜란, 제1차 장풍전쟁 등의 전쟁들이 발발했다.

2. 사건

2.1. 실제

2.2. 가상

3. 기념일 및 절기

  • 일본에서는 키스데이의 역할을 하는 날이다. 1946년 5월 23일에 일본에서 최초로 키스신이 등장한 영화 '20살의 청춘(はたちの青春)'이 개봉된 날이기 때문이다.
  • 2000년부로 비영리 거북이 보호단체 ATR(American Tortoise Rescue)에서 세계 거북이의 날로 지정되었다.
  • 2016년부로 대한민국에서 희귀질환 극복의 날로 지정되었다(희귀질환관리법 제4조 제1항). 2023년 개정에 따라 '세계 희귀질환의 날'인 2월 마지막 날로 변경되었다.

3.1. 노무현 대통령 추도식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다음 해인 2010년부터 매년 이날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묘역에서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주관으로 노무현 대통령 추도식이 열리고 있다.

엄청난 규모와 열기의 팬덤을 거느렸던 대통령답게 세상을 떠난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의 추도 행사로는 가장 규모가 크다.[5] 고인의 평생지기 친구였던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대통령 퇴임 이후 줄곧 이 행사에 참석하고 있으며 민주당계 정당은 물론 보수정당진보정당 고위 관계자들도 참석해서 고인을 기리고 있다. 아울러 고인이 생전에 강조했던 것들 중의 하나가 '지역주의 타파'였던 것을 고려해[6] 묘역 소재지의 지자체장인 경상남도지사는 물론 광주광역시장, 전라남도지사, 전북특별자치도지사 등 호남지역의 지자체장도 추도식 참석 대상에 포함되기도 한다.

노동·인권 변호사 출신으로서 생전에 민중가요를 즐겨부르고 진보적 이념을 추구했던 대통령답게 추도식의 마지막 식순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한다.

다만 최근에는 일베저장소에서 파생된 MC무현 밈이 젊은 층에서 인기를 얻게 되면서 본래의 의미가 일부 희석되고 노무현의 투신자살을 희화화한 컨텐츠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이른바 ‘중력절’로서의 의미가 강해졌다. 실제로 MC무현 최대 행사인 봉하콘서트, 이른바 봉콘이 이날 열리는 것만 봐도…

4. 축일

  • 성 고반
  • 성 귀베르토
  • 성 데시데리오
  • 성 레오니토
  • 성 루치오
  • 성 메르쿠리알리스
  • 성 미카엘
  • 복자 바르톨로메오
  • 성 바실레오
  • 성 에우티키오
  • 성 에우페비오
  • 성녀 에우프로시나
  • 성 에피타치오
  • 성 요한 세례자 데 로시
  • 성 윌리엄
  • 성 율리아노
  • 성 이보
  • 성 퀸시아노
  • 성 플로렌시오

5. 생일

5.1. 실존 인물

5.2. 가상 인물

6. 기일

6.1. 실존 인물

6.2. 가상 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유일하게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2] 형식적으로 해체된 것은 6월 5일이다.[3] 이 두 어린이 중 1명은 동년 5월 27일 끝내 숨졌다.[4] 혜성 밝기가 최대 -5~-7등급까지 밝아질 가능성도 있어 이 날으로부터 1~2주일 전후에도 낮에 보일 가능성이 있다.[5] 민족중흥회 주관으로 열리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추도식이 그나마 규모가 컸고 나머지 대통령들의 추도 행사는 기념사업회가 약소하게 치르거나 가족 행사 수준으로 거행하고 있다.[6] 1990년 3당 합당을 반대했고 이후 김대중의 부름을 받아 '호남 정당'의 이미지가 강했던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당시 민주당의 험지로 분류됐던 부산에서 세 차례 선거에 출마했다가 세 번 모두 낙선했다. 연이은 낙선에도 또 다시 민주당의 이름으로 부산에서 출마하는 노무현을 보면서 붙여진 별명이 '바보 노무현'이다.[7] 음력 4월 11일.[8]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게 된 만악의 근원.[9] 단, 확실히 사망 연출이 나온 허드, 말레나, 제임스를 제외한 롭과 베스는 클로버를 향해 쏟아진 TOT의 폭발에 휩싸이는 장면까지만 나온다. 헬기를 타고 먼저 피난간 릴리는 생사가 불명.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