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5 03:35:02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발로란트 마스터스 로고.sv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대회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ff,#fff> 1회 2회 3회 4회 5회
[[2021 VCT Stage 1 Masters|
파일:세계 지도.svg
]]
2021
지역 대회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
2021
레이캬비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2021
베를린
[[독일|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
2022
레이캬비크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
2022
코펜하겐
<rowcolor=#fff,#fff> 6회 7회 8회 9회 10회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2023
도쿄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2024
마드리드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2024
상하이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
2025
방콕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25
토론토
}}}}}}}}} ||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2026 발로란트 마스터스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우승 팀
T1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Paper Rex
미정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결승 MVP
김태오
(T1 Meteor)
제이슨 수산토
(PRX f0rsakeN)
미정
(팀명 닉네임)
파일:PRX masters TR won the trophie_고화질.jpg
파일: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로고.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colbgcolor=#6F4ACC,#6F4ACC><colcolor=white> 대회 기간 2025년 6월 8일 ~ 6월 23일[1]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개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토론토
참가 팀 12팀
패치 버전 10.10
경기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토론토 에너케어 센터
중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F4ACC,#6F4ACC><colcolor=white> 중계 플랫폼 온라인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SOOP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정용검, 채민준, 김수현
해설자
정인호, 김진영, 유정선, 박동진
통역 및 인터뷰어
이정현[2]
}}}}}}}}} ||
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F4ACC,#6F4ACC><colcolor=white>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
6월 8일 ~ 6월 9일
2라운드
6월 10일 ~ 6월 11일
3라운드
6월 12일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6월 14일 ~ 6월 22일
결승
6월 23일
}}}}}}}}} ||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F4ACC,#6F4ACC><colcolor=white> 우승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Paper Rex
준우승 파일:Fnatic 로고.svg Fnatic
결승 MVP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제이슨 수산토 (PRX f0rsakeN) }}}}}}}}}

1. 개요2. 참가팀3. 일정4. 대회 진행
4.1. 진행 방식
5. 신규 맵 쇼매치6. 결과 및 총평7. 글로벌 파트너8. 공식 영상9. 여담10. 둘러보기

1. 개요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시네마틱
캐나다 토론토의 스카이라인에 비춰진 세계적인 팀들이 다시 한번 어떤 팀이 가장 밝게 빛나는지 증명하는 여정을 떠납니다. 계속 달리는 팀은 누가 될까요? 보상을 받는 팀은 누가 될까요? 바로 그 순간에 그들은 어떤 모습을 보여줄까요? 6월 8일부터 23일까지 대결하는 12개의 팀 중 어떤 팀이 챔피언스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지 확인해 보세요.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025년 6월 8일부터 6월 23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개최하는 제10회 발로란트 마스터스.

2. 참가팀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진출팀
파일:VCT Americas 심볼 화이트.svg AMER 파일:VCT CN 심볼 화이트.svg CN 파일:VCT EMEA 심볼 블랙.svg EMEA 파일:VCT Pacific 심볼 화이트.svg PAC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bgcolor=#000,#000> G2 Esports XLG Esports Fnatic Rex Regum Qeon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팀
파일:VCT Americas 심볼 화이트.svg AMER 파일:VCT CN 심볼 화이트.svg CN 파일:VCT EMEA 심볼 블랙.svg EMEA 파일:VCT Pacific 심볼 화이트.svg PAC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bgcolor=#e5062f,#e5062f> Sentinels Bilibili Gaming Team Heretics Gen.G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bgcolor=#0f183f,#0f183f> MIBR Wolves Esports Team Liquid Paper Rex
===# 리그별 진출 현황 #===
  • AMER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rowcolor=black><nopad> 1시드 <nopad> 2시드 <nopad> 3시드
  • 4월 27일, AMER의 2025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에서 KRÜ Visa에게 승리를 거둔 MIBR이 전 세계 세 번째 마스터스 진출을 확정지었다.
  • 4월 27일, AMER의 2025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에서 G2 Esports에게 승리를 거둔 Sentinels가 전 세계 네 번째 마스터스 진출을 확정지었다.
  • 5월 3일, AMER의 2025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하위조 준결승에서 Evil Geniuses에게 승리를 거둔 G2 Esports가 전 세계 여덟 번째 마스터스 진출을 확정지었다.
    • 5월 4일, AMER의 2025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하위조 결승에서 G2 Esports에게 패배한 MIBR이 마스터스 3시드를 확정지었다.
    • 5월 5일, AMER의 2025 스테이지 1 결승전에서 Sentinels에게 승리를 거둔 G2 Esports가 AMER의 스테이지 1 우승 및 마스터스 1시드를 확정, 플레이오프 직행을 확정지었다. 준우승한 Sentinels는 마스터스 2시드를 확정지었다.
  • CN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rowcolor=black><nopad> 1시드 <nopad> 2시드 <nopad> 3시드
  • EMEA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rowcolor=black><nopad> 1시드 <nopad> 2시드 <nopad> 3시드
  • PAC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rowcolor=black><nopad> 1시드 <nopad> 2시드 <nopad> 3시드
  • 4월 27일, PAC의 2025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에서 BOOM Esports에게 승리를 거둔 Gen.G가 전 세계 다섯 번째 마스터스 진출을 확정지었다.
  • 4월 27일, PAC의 2025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에서 DRX에게 승리를 거둔 Rex Regum Qeon이 전 세계 여섯 번째 마스터스 진출을 확정지었다.
  • 5월 9일, PAC의 2025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하위조 준결승에서 DRX에게 승리를 거둔 Paper Rex가 전 세계 아홉 번째 마스터스 진출을 확정지었다.
1
파일:WOL_Masters_TR_q_2025.jpg
2
파일:XLG_Masters_TR_q_2025.jpg
3
파일:MIBR_Masters_TR_q_2025.jpg
5
파일:GEN_Masters_TR_q_2025.jpg
6
파일:RRQ_Masters_TR_q_2025.jpg
7
파일:BLG_Masters_TR_q_2025.jpg
8
파일:G2_Masters_TR_q_2025.jpg
9
파일:PRX_Masters_TR_q_2025.jpg
10
파일:TH_Masters_TR_q_2025.jpg
11
파일:FNC_Masters_TR_q_2025.jpg
12
파일:TL_Masters_TR_q_2025.jpg

2.1. 로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로스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로스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로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일정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05deg, #bdc0e8, #bdb7e8 33%, #b7b0ea 33%, #8769d2 66%, #8261cd 66%, #4e269a)"
{{{#!wiki style="padding: 1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at calc(100% - 30px) calc(100% - 30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calc(100% - 28px) calc(100% - 15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30px 30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conic-gradient(at 28px 15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경기 일정
}}}}}} ||
스위스
(6/8~6/12)
R1 R2 R3
플레이오프
(6/14~6/23)
상위조 하위조
결승
결산

4. 대회 진행

파일:발로란트 마스터스 심볼.svg
마스터스
패치 버전 10.1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10 맵 로테이션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발로란트-스플릿.png스플릿
파일:발로란트-헤이븐.png헤이븐
파일:발로란트-어센트.png어센트
파일:발로란트-아이스박스.png아이스박스
파일:발로란트-펄.png
파일:발로란트-로터스.png로터스
파일:발로란트-선셋.png선셋}}}}}}}}}
{{{#!folding [ 스위스 스테이지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6F4ACC,#6F4ACC>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05deg, #bdc0e8, #bdb7e8 33%, #b7b0ea 33%, #8769d2 66%, #8261cd 66%, #4e269a)"
{{{#!wiki style="padding: 1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at calc(100% - 30px) calc(100% - 30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calc(100% - 28px) calc(100% - 15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30px 30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conic-gradient(at 28px 15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스위스 스테이지 대진표
(0-0 | 1-0 | 0-1 | 1-1)
}}}}}} ||
<rowcolor=#6F4ACC,#6F4ACC>
1라운드 (6/8-9)
2라운드 (6/10-11)
3라운드 (6/12)
0-0 (Bo3, 6/8-9)
1경기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0 2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경기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2 1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3경기
파일:Sentinels 로고.svg 2 0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4경기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0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keepall>
초록색: 라운드 승리 | 파란색: 플레이오프 진출
<rowcolor=#6F4ACC,#6F4ACC>
순위
R1 상대
R2 상대
R3 상대
1 파일:Sentinels 로고.svg SEN 2 0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2 0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
3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WOL 2 1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3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PRX 2 1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5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LG 1 2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5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TL 1 2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7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H 0 2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
7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MIBR 0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
<keepall>
초록색: 라운드 승리 및 플레이오프 진출
빨간색: 라운드 패배 및 탈락
}}}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95deg, #bdc0e8, #bdb7e8 33%, #b7b0ea 33%, #8769d2 66%, #8261cd 66%, #4e269a)"
{{{#!wiki style="padding: 1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at calc(100% - 30px) calc(100% - 30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calc(100% - 28px) calc(100% - 15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30px 30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conic-gradient(at 28px 15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플레이오프 대진표
}}}}}} ||
<rowcolor=#6F4ACC,#6F4ACC>
1라운드
2라운드
결승 직행전 / 하위조 준결승
결승 진출전
결승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플레이오프/상위조|
상위조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6F4ACC,#6F4ACC>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3
파일:Fnatic 로고.svg 1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 (6/14)
<nopad><colkeepall> G2
파일:VCT Americas 심볼.svg #1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nopad> PRX
2승 1패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8 (6/17)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파일:Sentinels 로고.sv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1 (6/21)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2 (6/14)
<nopad><colkeepall> XLG
파일:VCT CN 심볼.svg #1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0
<nopad> SEN
2승 0패
파일:Sentinels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3 (6/15)
<nopad><colkeepall> RRQ
파일:VCT Pacific 심볼.svg #1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0
<nopad> WOL
2승 1패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7 (6/17)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4 (6/15)
<nopad><colkeepall> FNC
파일:VCT EMEA 심볼.svg #1
파일:Fnatic 로고.svg 1
<nopad> GEN
2승 0패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플레이오프/하위조|
하위조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5 (6/16)
<colbgcolor=#f5f5f5,#282828><colkeepall> M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M2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9 (6/18)
<colbgcolor=#f5f5f5,#282828><keepall> M7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1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2 (6/21)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파일:Fnatic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3 (6/22)
<colbgcolor=#f5f5f5,#282828><keepall> M1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1
파일:Fnatic 로고.svg 3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6 (6/16)
<colbgcolor=#f5f5f5,#282828><colkeepall> M3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1
M4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Fnatic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0 (6/18)
<colbgcolor=#f5f5f5,#282828><keepall> M8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Sentinels 로고.svg 1
파일:Fnatic 로고.svg 2 }}}
<keepall>
초록색: 라운드 승리 | 노란색: 마스터스 우승

4.1. 진행 방식

진행 방식

5. 신규 맵 쇼매치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코로드, teamD=Team Tarik, teamA=Team Toast
, dpic1=바이스, dpic2=소바, dpic3=레이나, dpic4=세이지, dpic5=아스트라
, apic1=오멘, apic2=게코, apic3=사이퍼, apic4=페이드, apic5=제트
, dplayer1=Kyedae, dplayer2=Vinnie, dplayer3=tarik, dplayer4=Yvonnie, dplayer5=Joshseki
, aplayer1=meL, aplayer2=Cobbie, aplayer3=Toast, aplayer4=Sidsity, aplayer5=TenZ
, dScore=7, aScore=<b>13)]
최종 결승 진행 전에 신규 맵 코로드의 공개 및 쇼매치가 진행된다. SEN 소속 스트리머 tarik 팀과 캐나다인 유튜버 Disguised Toast 팀이 대결하며, Toast 팀에는 한국-팔레스타인 혼혈 스트리머 SidSity가 참여한다. 약혼한 예비 부부인 TenZ와 Kyedae가 서로 다른 팀에 있는 것 역시 관전 포인트.

6. 결과 및 총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글로벌 파트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DC3030,#DC3030>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글로벌 파트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파일:Secretlab 로고.svg파일:Secretlab 로고 화이트.svg 파일:버라이즌 신로고.svg 파일:레드불 로고.svg
마스터카드 시크릿랩 버라이즌 레드불
파일:아마존 웹 서비스 로고.svg파일:아마존 웹 서비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 화이트.svg 파일:HP OMEN 로고.svg파일:HP OMEN 로고 화이트.svg 파일:HyperX 로고.svg
AWS Esports World Cup OMEN HyperX
파일:Aimlabs 로고.svg 파일:Coinbase 로고.svg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로고 가로 심플 화이트.svg
Aimlabs 코인베이스
}}}}}}}}} ||

8. 공식 영상

9. 여담

  • 마스터스 토론토가 종료되고 약 일주일 후 같은 국가에서 2025 MSI가 개최될 예정이다.
  • 직전 마스터스 방콕에 이어 또 다시 참가팀 이변이 일어나고 있다.[3] 마스터스 디펜딩 챔피언 T1과 챔피언스 디펜딩 챔피언 EDG가 스테이지 1 PO에서 빠른 속도로 광탈했으며, 2연속 국제전에 진출하던 VIT, DRX, TE 또한 토론토행이 좌절됐다.[4] 반면 방콕에 오지 못했던 기존의 강호들인 젠지, 프나틱, PRX, 헤레틱스가 다시 폼을 끌어올려 토론토 진출을 확정지었고, 기대치가 다소 낮았거나 국제 대회 경험이 적었던 팀들[5]이 토론토에 진출하는 등 혼돈이 오고가는 중이다.
  • 마스터스 사상 처음으로 Pick'Ems(승부의 신) 이벤트를 진행한다.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svg
  • 우승하면 보통 우는 선수가 있는 것은 어느정도 자주 나오지만, 워낙 국제대회에 많이 미끄러졌던 PRX였기에, 썸띵과 알렉스를 제외한 멤버 전원이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여서 많은 이들의 마음을 아프게했다. 특히나 서브 멤버 밀려나서 고생했던 마인드프릭은 오열에 가까운 눈물을 보여주었다.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c3030,#dc3030><tablebgcolor=#dc3030,#dc3030>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VCT
국제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발로란트 마스터스 로고.svg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로고.svg
마스터스 챔피언스
2021 (S1 S2 S3) | 2022 (S1 S2) | 2023 | 2024 (MA SH) | 2025 (BK TR)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국제 리그 | 챌린저스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2025 시즌
국제 대회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로고.svg 파일: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로고.svg 파일:Champions_Paris_2025.png
마스터스 방콕 마스터스 토론토 챔피언스 파리 }}}
국제 리그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VCT Americas 로고.svg 파일:VCT CN 로고.svg 파일:VCT EMEA 로고.svg 파일:VCT Pacific 로고.svg
킥오프
S1S2
킥오프
S1S2
킥오프
S1S2
킥오프
S1S2
}}}
기타 국제 대회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발로란트 게임 체인저스 챔피언십 로고.svg 파일:Hero_Esports_Asian_Champions_League_icon.png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 화이트.svg
게임 체인저스 챔피언십 서울 ACL 2025 EWC 2025 }}}

[1] 현지 시간으로 6월 7일부터 6월 22일까지.[2] 한국어 인터뷰어 및 VCT Pacific 글로벌 인터뷰어를 겸한다.[3] AMER(G2&SEN → G2&SEN&MIBR) / CN(EDG&TE → XLG&BLG&WOL) / EMEA(VIT&TL → FNC&TH&TL) / PAC(DRX&T1 → RRG&GEN&PRX) 방콕에서 진출한 팀 중 단 3팀만이 토론토에 진출하였다.[4] 방콕에 1시드로 진출하여 준우승을 했던 G2 또한 센티넬에게 패배해 하위조로 떨어지고 EG에게 밀리는 등 탈락의 위기가 있었으나 우여곡절 끝에 그랜드 파이널까지 진출해 우승까지 차지하면서 다시 한 번 1시드로 진출했다. TL의 경우 패자조로 떨어지고 NAVI와 BBL에게 다소 고전하긴 했으나 결국 3시드에 탑승하는데 성공했다.[5] MIBR, WOL, XLG, RRQ, B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