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등장작품 · 아군부대 · 사기유닛 · 사기유닛(휴) · 보스 · 평행우주 · 음악 · 더미 데이터 | |
<colbgcolor=#000042> DC 전쟁 시리즈 | <colbgcolor=#ffffff,#2d2f34> 2차 · 2차 G · 3차 · EX · 4차 · 4차 S · 마장기신 · F · F 완결편 · 컴플리트 박스 · 전시대백과 | |
α 시리즈 | 1차 · 외전 · 2차 · 3차 | |
Z 시리즈 | 1차 · 스페셜 · 2차 파계편 · 2차 재세편 · 3차 시옥편 · 3차 천옥편 | |
OG 시리즈 |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 |
COMPACT 시리즈 | 1편 · 2편 · 3편 · IMPACT | |
에이아이 휴대용 시리즈 | | |
멀티플랫폼 뉴 시리즈 | V · X · T · 30 · Y | |
거치형 3D 시리즈 | | |
스크램블 커맨더 시리즈 | SC · SC2 | |
모바일 시리즈 | 모바일 · CC · X-Ω · DD(3차 어나더) | |
그 외 | 1차 · 신 · 스피리츠 · 64 · 링크 배틀러 · 핀볼 · MX · OE · 학원 | |
관련 작품 | 콤파치 히어로 시리즈 · 배틀로봇열전 · 리얼로봇전선 · 리얼로봇 레지먼트 · A.C.E. 시리즈 | |
시스템 | 강화 파츠 · 성장 타입 · 성격 · 맵병기 · 합체공격 · 소대 시스템 · 정신 커맨드 · 신뢰보정 · 소대 시스템 · 스킬 · 특수능력 · 범용 무기 |
슈퍼로봇대전 Y 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Y | Super Robot Wars Y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개발 | 반다이 남코 포지 디지털즈 |
유통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플랫폼 | Switch | PS5 | Windows |
ESD | 닌텐도 e숍 | PS Store | Steam |
장르 | SRPG |
출시 | 2025년 8월 28일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심의 등급 | |
해외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colbgcolor=#fff,#1c1d1f> 눈 앞의 파멸과 몰려오는 재앙―(右は災厄、 左は破滅―[1]) 숙명을 넘어서라, 강철의 [ruby(수호자, ruby=가디언)]!(宿命を越えろ、鋼の[ruby(守護者, ruby=ガーディアン)]) - 슈퍼로봇대전 Y 캐치프레이즈 |
2. 발매 전 정보
발매 안내 트레일러 |
|
발매일 발표 트레일러 |
2025년 4월 20일, 슈퍼로봇대전 정보국 방송의 1부로 본작의 추가 정보와 더불어 발매일도 공개되었다. 개발은 30 발매 직후 시작했으나 30 이후 4년 동안 정보가 없던 이유는 앞으로의 시리즈의 원활한 개발을 위해 게임 엔진을 교체했기 때문이라고 한다.[2]
3.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fff,#e0e0e0>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colbgcolor=#000,#010101><colcolor=#fff,#e0e0e0> 운영 체제 | Windows 10 / Windows 11 | |
CPU | Intel Core i3-8100 / AMD Ryzen 3 3100 | |
RAM | 8GB | |
그래픽카드 | Nvidia GeForce GTX 650 Ti 1GB AMD Radeon HD 7770 2GB Intel Arc A310 4GB | Nvidia GeForce GTX 650 Ti 1GB AMD Radeon HD 8950 3GB Intel Arc A380 6GB |
API | DirectX | DirectX |
저장 공간 | GB 이상 | GB 이상 |
4. 참전 작품
| |
|
- 마크로스 시리즈가 콘솔판 기준으로 약 10년만에 재참전하게 되었다. Y 이전에 마지막으로 참전했던 작품은 2015년에 발매되었던 슈퍼로봇대전 BX에 참전한 마크로스 30이며, 해외 진출작에서 마크로스 시리즈가 참전하는 것은 이번 Y가 처음이다.[3]
- 가정용 슈퍼로봇대전에서 기동무투전 G건담과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가 동시 참전하는건 2002년에 나온 슈퍼로봇대전 R 이후 23년만이다.[4] 또한 G건담이 슈퍼로봇대전 T에 재참전할때까지 상당히 긴 공백 기간이 있었기에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와 가정용 슈로대에 동시 참전하는것은 이번 Y가 처음이다.[5] 한편 30 DLC에서 등장했던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가 수성의 마녀도 나오는 마당에 공식 본가 작품 첫 참전에 실패한 것에 대해서는 철혈팬들 중에서도 아쉬움을 표출한 사람들이 많다. 모바일 게임인 슈퍼로봇대전 DD에는 참전했지만 본가 작품에는 방영 10년이 지난 2025년 기준으로 아직도 정식 참전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
그래도 BX에만 딱 한번 나온 AGE보단 낫잖아 한잔해 -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도 2010년에 나온 슈퍼로봇대전 L 이후 15년만에 가정용 슈퍼로봇대전에 재참전했으며 캐릭터 보이스가 있는 가정용 슈로대 기준으로는 최초 참전이다.
- 용자 라이딘 역시 가정용인 슈퍼로봇대전 스크램블 커맨더 2로부터 약 18년만에 재참전했다.
- 단독 참전작 중 비우주세기 참전작[6]이 4개로 비우주세기 참전작이 우주세기 참전작보다 많은 작품이며 서비스 종료된 슈퍼로봇대전 OE, Z 시리즈인 파계편, 재세편, 천옥편 이래로 오래간만에 비우주세기가 우주세기보다 다수 참전한 작품이 되었다.[7] 반대로 신 슈퍼로봇대전[8]처럼 우주세기 참전작이 적은 작품이기도 하다.[9]
- 참전작의 경우 극장판 마크로스 Δ 절대LIVE!!!!!!,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2기, 그리드맨 유니버스,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기동전사 건담 UC 등 후속작이나 2편 등이 노골적으로 배제되었다.[10] 때문에 일각에서는 공식 사이트 주소가 34.suparobo.jp라는 점을 들여 35주년 기념으로 익년에 완전판을 발매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다만 공식 방송에서 30 발매 이후 개발을 시작했다고 했으므로 단순히 개발 시기의 문제일 수도 있다. 30 발매 시기가 2021년 10월이고 수성의 마녀가 2022년 작품이다. 2022년을 기획의 데드라인으로 잡으면 수성의 마녀 시즌 2는 2023년, 유니버스는 2023년, SEED FREEDOM은 2024년 작품이므로 시간이 안 맞아서 못 나오게 된다. 즉, 이들까지 포함시킬려면 적어도 Y의 후속작이 나와야하는데, 연작이면 발매 전에 공식에서 언급하지 않았겠냔 의견도 존재한다.[11][12]
4.1. 스페셜 참전 작품
- 마징카이저(다이나믹 기획 오리지널)
특이하게도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이 참전작에 있지만 정작 마징카이저는 OVA 버전이 아닌 슈로대 오리지널 버전인 다이나믹 프로 오리지널 소속으로 등장. 굳이 다이나믹 기획 오리지널 명의 참전한 것으로 보아 슈퍼로봇대전 DD에서 그랬던것 처럼 마징엠페러 G가 등장하는 것은 확실시 되고 있다.[13]
이외에도 케도라 또한 등장했는데 진 마징가 충격! Z편의 초록색상의 케도라가 아닌 살구색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아 유저들은 이시카와 켄의 단편만화 "미케네 제국의 유산"[14]에 나온 오리지널 케도라인 것으로 추측되는데 실제로 마징카이저 OVA에도 출연한적이 있는 가라다블라가 미케네 제국의 유산에서 케도라와 함께 처음 등장했고 마징가 Z에도 기생한적이 있었기에 이에 엮여서 등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에 있다.
4.2. 추가 참전 작품(DLC)
패키지판 조기 구입, 다운로드판 예약 공통 특전 | |
| |
DLC ① & ② 구입 특전 | |
| |
DLC ① & ② | |
|
슈퍼로봇대전 30의 DLC와는 다르게 이번엔 시나리오를 메인으로 잡았으며 각 DLC마다 테마가 설정되어 있고 이에 맞춘 작품이 참전, 각 DLC마다 스토리가 완결되는 독립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 DLC마다 참전하는 기체의 수가 5기로 30와 비교하면 많이 적으며, 어시스트 크루도 2명 & 1명만 가입한다고 공개하여 추가로 참전하는 작품이 각 DLC마다 1편, 아니면 기체만 참전하는 작품이나 OG를 넣어 2편씩 아니냐는 의견이 많다.
DLC ① & ②에서 참전하는 작품은 추후 발표 예정이나 예약 특전 및 DLC 구입 특전으로 V, X, T의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추가로 참전한다.
5. 오리지널
5.1. 등장인물
|
츠키노와 크로스 CV. 후카가와 카즈마사 일본에서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닌자의 원류라고 할 수 있는 특수 전투원 「NINJA(New Infinity Neuron – Japanese Assassin」이자 NINJA 집단 「특전은밀・오보로」의 두령. 임무 수행을 최우선시 하며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사로운 정따위는 포기할 수 있는 각오의 소유자. 오보로 사상 최강의 NINJA라 평가받으며 닌자로서의 기술뿐만 아니라 기동인개(機動忍鎧)의 조작 실력 또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
츠키노와 포르테 CV. 야마네 아야 일본에서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닌자의 원류라고 할 수 있는 특수 전투원 「NINJA(New Infinity Neuron – Japanese Assassin」이자 NINJA 집단 「특전은밀・오보로」의 대원. 오보로의 두령인 츠키노와 크로스의 여동생이기도 하다. NINJA로서의 경험이 적으며 모든 면에서 미숙하나 타고난 포지티브한 성격으로 고난에 맞선다. |
|
에치카 Y 프랑버넷 CV. 이와미 마나카 아버지의 유산이자 기동요새도시 에어덴트의 소유자가 되어버린 소녀. 거대한 저택에서 가정교사 아니나와 99명의 메이드와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성격은 성실하며 매사에 열심이고 지기 싫어하는 면도 있다. 타인과 접촉할 기회가 적었기에 커뮤니케이션을 취하는데 서툰 부분이 있으나 친한 상대라면 연령대에 맞는 어린애스러운 모습을 보여준다. |
오리지널 주연 캐릭터의 디자인은 슈퍼로봇대전 V와 슈퍼로봇대전 X-Ω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와타나베 와타루(渡邉亘)가 담당했다.
본작도 V부터 30까지의 전례를 따라 남성/여성 주인공과 또 다른 주인공 3인 체제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또한 츠키노와 크로스와 포르테는 V의 주인공 콤비 무라쿠모 소지와 키사라기 치토세처럼 성이 앞에 오고 이름이 뒤에 가는 동양식 표기법을 따르고 있다.
5.2. 등장기체
|
룬드라헤 특전은밀・오보로의 두령용 기동인개(機動忍鎧). 특수한 프레임과 인공 근육을 사용한 가동 시스템 덕분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높은 운동 성능을 자랑한다. 조종은 탑승자의 신체 움직임과 각종 조작을 짜맞추는 세미 슬레이브 시스템을 채용하였으며 NINJA로서 훈련을 받아온 인간이 아니라면 걷는 동작조차 힘들다. 등에 장비된 머플러형 파츠는 나노머신의 집합체로 공격 수단으로 사용될뿐만 아니라 은밀, 환혹 등 전술에 따라 다방면으로 사용된다. |
|
룬드라헤 II 특전은밀・오보로의 두령용 기동인개 「룬드라헤」의 예비용 파츠로 만들어진 2호기. 두령용 커스텀기인 룬드라헤는 양산기 「몬트」와는 다른 동력기관이 탑재되어 있어 폭발적인 출력을 낼 수 있다. 참고로 「룬드라헤」라는 이름은 대대로 오보로의 두령이 사용한 머신에 사용되어 왔으며 현 두령용 룬드라헤는 그 코드네임에서 따와 정식 명칭은 「X(크로스) 룬드라헤」라고 한다. |
|
에어던트 야가미시 지하에서 건조되고 있던 기동요새도시. 갑판의 돔 내부에는 야가미시와 그 주변 마을이 수납되어 있으며 완전히 독립된 도시로서 기능한다. 주기관인 시스템 니라카나이는 도시를 이동시키는 걸로 그치지 않고 막대한 에너지를 생산해낼 수 있으나 그 기능은 블랙박스화 되어 있어 완전히 제어하고 있다고는 말하기 힘든 상황이다. 각종 무장 또한 장비되어 있으며 니라카나이가 뿜어내는 출력으로 높은 화력을 자랑하나 전함으로서는 기동력이 떨어지며 전투력 또한 높지는 않다. 하지만 도시를 지키는 돔의 방어력은 파격적인 수준으로 주민의 안전이 최우선시 된 설계로 만들어져있다. |
오리지널 주인공 메카닉인 룬드라헤와 오리지널 전함인 에어던트의 디자인은 파이터 로아, 건레온, 팔 세이버 등을 담당한 메카닉 디자이너 M간지가 담당했다.
룬드라헤는 가슴에 수납된 수리검 '쌍룡아'와 전신에 수납된 쿠나이, 닌자도 '용조도' 등의 무기를 구사하는 닌자 테마의 기체. 남주인공인 크로스가 룬드라헤에, 여주인공인 포르테는 붉은색 색놀이 기체인 룬드라헤 II에 탑승한다. 드라이스트레가의 포지션을 계승하는 오리지널 전함인 에어던트는 마치 마크로스 시리즈의 이민선단을 연상케 하는 디자인이 특징으로, 실제로 야가미시라는 도시를 통째로 이동요새화해 전함으로 운용하는 설정이라고 한다.
6. 시스템
|
전투에 직접 참가하지 않는(기체에 탑승하지 않는) 캐릭터가 후방에서 지원해주는 시스템. 전술 맵에서 사전에 편성해둔 어시스트 크루가 가진 「어시스트 커맨드」를 사용 시 어시스트 크루 고유의 전투를 유리하게 만들어주는 다양한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어시스트 커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대 전체가 공유하는 수치 「어시스트 카운트」가 필요하며 「어시스트 카운트」는 적을 격추 시 증가한다. 어시스트 크루는 미션을 클리어하거나 어시스트 커맨드를 사용하면 미션 클리어 시 경험치를 입수하며 랭크가 상승한다. 랭크가 상승하면 새로운 효과가 추가되거나 기존의 효과가 파워업하곤 한다. 랭크 4(최대치)까지 강화 시 효과가 강력해짐과 동시에 그래픽이 변화하고 어시스트 토크라는 시나리오 이벤트가 발생한다.
* 택티컬 에어리어 셀렉트
전작인 30에 이어 택티컬 에어리어 셀렉트 시스템을 채용했는데, 전작과 달리 메인 시나리오는 기존 작품들처럼 선형 진행으로 회귀하고 메인 시나리오간 사이에 진행하는 사이드 미션 등은 선택해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7. 수록 BGM
프리미엄 사운드 팩에 슈퍼로봇대전 UX, 슈퍼로봇대전 BX 타이틀곡들이 포함되어 있어 이쪽 작품들이 DLC로 나오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 있다.8. 상품 정보
8.1. 패키지판
|
일반판 (79,800원 | 9,790엔)
|
|
초한정판 (29,920엔)
|
8.2. 다운로드판
|
일반판 (79,800원 | 9,790엔)
|
|
디지털 디럭스 에디션 (119,800원 | 15,620엔)
|
|
디지털 얼티밋 에디션 (149,800원 | 19,800엔)
|
8.3. 특전
|
패키지판 조기 구입, 다운로드판 예약 공통 특전
|
8.4. DLC
|
DLC ① & ② 세트
|
|
보너스 미션 팩
|
|
프리미엄 사운드 & 데이터 팩
|
9. 평가
10. 흥행
11. 여담
- 반다이 남코 포지 디지털즈 명의로 처음 출시되는 슈로대이자, 2021년에 출시된 슈퍼로봇대전 30 이후 4년만에 출시되는 판권작 슈로대이며 기존 슈로대 총괄 프로듀서였던 테라다 타카노부의 퇴사 이후[15] 처음 발매되는 작품이다.
- 30 이후로 가정용 신작의 소식 부재 속에서 사업 축소 내지 종료로 여겨질 징조가 너무 많이 나왔기에 희망을 잃어왔던 팬들 입장에서는 매우 반가운 신작이다. 다만 다만 슈로대 Y의 프로듀서인 도로 히로타의 인터뷰에 따르면 신작이 늦어진 이유는 20년 이상 사용한 슈퍼로봇대전용 하우스 엔진을 범용 게임 엔진으로 교체하는 걸 우선시 했다는 것이다. 무려 20년 이상 사용한 기존 엔진으로 계속 게임을 만드는 데 무리가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시리즈를 길게 이어나가기 위해서 범용 게임 엔진으로 교체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기획 자체는 30의 발매 직후 부터 시행되었다고 한다. 엔진을 바꾸게 된 목적은 앞으로도 시리즈를 계속 이어나가기 위해서 라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한편으로 슈퍼로봇대전의 본질적인 게임성 부분은 바꾸지 않고 시리즈가 계속 이어지면서 복잡화된 UI/UX을 신규 유저들이 플레이하기 쉽도록 알기 쉽고, 보기 쉽게 개량했다는 것이다.#
- 멀티 플랫폼 시리즈 중에서는 최초로 PS5로 발매되는 슈로대이다. 대신 PS4가 빠졌으며, 닌텐도 스위치 버전의 경우 스위치 2 공개 전 마지막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2 소프트가 아닌 기존 스위치 소프트로 발표되었다.
- 판권작 시리즈가 해외 진출을 시작한 이래 슈퍼로봇대전 V부터 슈퍼로봇대전 30까지 꾸준히 참전했던 용자 시리즈가 이번 Y에서는 단 한 작품도 참전하지 않았다.
- 슈퍼로봇대전 30의 SSSS.GRIDMAN, ULTRAMAN 참전에 이어, 본작에서는 고질라: 싱귤러 포인트가 참전하면서 특촬 원작의 애니메이션화 작품의 참전을 잇게 되었다.
- 패키지 일러스트는 건프라 박스 아트로 유명한 모리시타 나오치카(森下直親)가 담당했으며, X~T에서도 프리미엄 애니메이션 송 & 사운드 에디션의 패키지 일러스트를 맡은 바 있다.
- 일부 작품들[16]의 경우 슈퍼로봇대전 Z 때부터 바로 전작인 슈퍼로봇대전 30까지 써오던 스탠딩 CG가 일신되었다.[17] 다만 슈퍼로봇대전 Z에서의 스탠딩 CG는 원작에 상당히 가까웠던 화풍이라 이번에 바뀐 스탠딩 CG는 이질감이 좀 있다.
11.1. 성우 관련
- 배역 교체 이슈 관련
- 스루가 아타루의 담당 성우인 이케다 쥰야가 특수사기로 징역 3년형이 선고되어 복역중이기에, 성우 변경이 불가피하게 되었다.[18]
-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이 참전하면서 카부토 코우지의 성우로 이시마루 히로야가 다시 발탁되었다.[19]
- 아무로 레이의 성우인 후루야 토오루의 경우 불륜 및 폭행을 비롯한 복합적인 문제로 전담하던 일부 배역[20]에서 자진해서 물러났으나, 본작의 개발 시작 시점이 30 완성 거의 직후여서인지 성우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21]
- 배역을 이어받은 경우
- 어네스트 존슨(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 - 이시즈카 운쇼(1951~2018) → 오오츠카 아키오[22]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첫 참가 성우
- 이치노세 카나 - 슬레타 머큐리(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 와카야마 시온 - 미나미 유메(SSSS.DYNAZENON)
- 야마네 아야 - 츠키노와 포르테(슈퍼로봇대전 Y 오리지널)
- 이와미 마나카 - 에치카 Y 프랑버넷(슈퍼로봇대전 Y 오리지널)
- 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와 겟타로보 아크가 동시에 참전하면서, 우치다 유우마는 처음으로 참가한 본가 가정용 슈퍼로봇대전에서 가정용 슈퍼로봇대전 첫 참전작인 두 작품의 주인공을 모두 연기하게 되었다.
- 남성 주인공의 성우인 후카가와 카즈마사는 슈퍼로봇대전 T의 단역인 로니 마북 역을 맡은 적이 있다.
12. 관련 문서
[1] 일본, 대만, 홍콩판 PV에서의 캐치프레이즈. 번역하면 "오른쪽은 재앙, 왼쪽은 파멸"이다. 영어와 한글 PV의 문구가 바뀐 이유는 날이 갈 수록 좌우 정치갈등이 심해지는 세계 정세 때문으로 보인다.[2] 20년 이상 사용한 슈로대 전용 하우스 엔진을 범용 엔진으로 교체했다고 한다.#[3] BX가 발매된 2015년 당시에는 저작권 분쟁이 진행 중이었다. 2021년에 저작권 분쟁에 대한 타협을 이뤘지만 그 후에도 모바일 작품인 슈퍼로봇대전 DD에서는 마크로스 시리즈가 참전하지 않았다.[4] 리메이크작까지 포함할시 2008년에 나온 슈퍼로봇대전 A 포터블이 마지막이다.[5] 시드 데스티니의 전작인 기동전사 건담 SEED는 슈퍼로봇대전 J에서 같이 참전한 적은 있다. 생각보다 이 두 작품이 잘 겹치지 않았던 것은 아무래도 G건담이 SEED가 자주 나온 α와 Z시리즈에 참전하지 않았던 점이 큰 것으로 보인다.[6] G건담, 엔드리스 왈츠, 시드 데스티니, 수성의 마녀.[7] 아예 우주세기 작품이 단 하나도 참전하지 않은 슈퍼로봇대전 W도 있긴 한데 이작품은 비우주세기 참전작이 4개나 되나, 이는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기동전사 건담 SEED, 기동전사 건담 SEED ASTRAY, 기동전사 건담 SEED X ASTRAY로 시드 외전들이 끼어든 것으로 실질적으로 건담 참전작 W자체가 W, SEED 2개 밖에 되지 않아서 살짝 미묘하긴 하다.[8]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기동전사 V건담[9] 슈퍼로봇대전 R이 슈퍼로봇대전 Y하고 우주세기 참전 갯수가 같지만 MSV가 통합되어 실질적으로 5개나 된다. 참고로 우주세기가 참전한 작품 가운데 가장 그 숫자가 가장 적었던 작품은 기동전사 건담 UC만 참전한 슈퍼로봇대전 BX.[10] 이 중 마제프리 극장판, SSSS.GRIDMAN은 리소스를 재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리드나이트만 재등장한 채 작품 자체는 배제되었다.[11] 슈퍼로봇대전 30처럼 확장팩으로 스토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나올 가능성도 없진 않으나 30의 확장팩은 극장판 마제스틱 프린스 각성의 유전자를 제외하면 미완성 스토리를 완성시키기 위한 후일담에 불과했다. 결국 각성의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판권을 따로 사고 스토리까지 통째로 진행시키는 게 아닌 이상, 이 가능성에 기대를 걸기는 어렵다.[12] 일단 후속작이든 확장팩이든 간에 뭔가 더 나올 가능성이 높단 것이 공통적인 의견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 노골적으로 후속작 혹은 2기가 빠진 채 참전한 경우들이 여럿이고, 이 작품들간 크로스오버 그림도 꽤나 나오다보니.[13] 참고로 그레이트 마징가가 진 마징가 충격! Z편에 사용됐던 모델링이라서 의아해하는 몇몇 유저들이 있는데 마징카이저(OVA) 마지막화에서 진짜 그레이트 마징가가 등장할때까지를 제외하면 팔다리가 검정색인 프로토타입을 사용해왔고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에서도 프로토타입으로 전투하였기에 그냥 충격 Z편의 모델링을 재사용했을뿐이다.[14] 앤솔로지에만 수록되었었으나 후에 이시카와가 집필한 겟타로보 아크 단행본에서도 수록되었다.[15] 이 때문인지 본인도 별다른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아예 관여 조차 하지 않아서로 추정된다.[16] 기동전사 Z건담,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는 아무로를 기준으로 1차 Z에서 V까지 지속적으로 스탠딩 CG가 변경됐지만 본작에서 다시금 스탠딩 CG가 변경되었다.[17] 단, 시옥편, 천옥편은 애초부터 대갈맵과 증명사진 포트레이트를 기준으로 삼고 있어 전작의 소스를 사실상 사용하지 않았다.[18] 시리즈 내에서는 슈퍼로봇대전 30에서 아수라 남작(마징가 Z: 인피니티 버전, 남성) 역의 성우가 사기 혐의로 소속사 내 근신 처분을 받은 미야사코 히로유키에서 타케우치 료타로 교체된 사례가 있다.[19] 현재 마징가 Z: 인피니티에서 코우지를 맡은 성우인 모리쿠보 쇼타로가 모종의 이유로 중국 작품에서 일제히 강판되었는데, 본작의 지원 언어 중에서도 간체 중국어가 있어 본의 아닌 선견지명이 되었다.[20] 원피스(만화)의 사보, 드래곤볼의 야무치, 명탐정 코난의 아무로 토오루 등[21] 비슷한 예로 기동전사 건담 U.C. 인게이지나 오사카 엑스포 건담 파빌리온에 사용된 아무로 AI 보이스 또한 미리 녹음된 것을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했다.[22] 모바일 게임 노래 마크로스 스마트폰De컬쳐에서 동일 성우가 맡은 갈드 고어 보먼의 배역을 이어받은 전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