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f01c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개봉 영화 | |||
| <rowcolor=#212529,#E0E0E0> 미션 임파서블 (1996) | 미션 임파서블 2 (2000) | 미션 임파서블 3 (2006) |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2011) | |
| <rowcolor=#212529,#E0E0E0>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2018)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2023)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2025) | |
| 드라마 | ||||
| 제5전선 | 돌아온 제5전선 | |||
| 등장인물 | ||||
| 에단 헌트 | 루터 스티켈 | 벤지 던 | 유진 키트리지 | |
| 윌리엄 브랜트 | 줄리아 미드 | 일사 파우스트 | 제인 카터 | |
| 앨런 헌리 | 재스퍼 브릭스 | 그레이스 | 테오 드가 | |
| 짐 펠프스 | 숀 앰브로스 | 오웬 데이비언 | 커트 헨드릭스 | |
| 솔로몬 레인 | 화이트 위도우 | 어거스트 워커 | 파리 | |
| 가브리엘 | 윌리엄 던로 | 에리카 슬론 | 덴링어 | |
| <rowcolor=#212529,#E0E0E0> 그 외 등장인물/IMF/신디케이트/엔티티 | }}}}}}}}}}}} | |||
크리스토퍼 맥쿼리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2025) Mission: Impossible – The Final Reckoning | |
| | |
| |
| 장르 | 첩보, 액션, 스릴러, 서스펜스, SF, 모험물, 미스터리, 드라마 |
| 감독 | 크리스토퍼 맥쿼리 |
| 각본 | 크리스토퍼 맥쿼리 에릭 젠드레슨 |
| 원작 | 브루스 겔러 - TV 드라마 《제5전선》 |
| 제작 | 톰 크루즈 크리스토퍼 맥쿼리 |
| 기획 | 크리스 브록 데이비드 엘리슨 다나 골드버그 토미 고믈리 돈 그레인저 수잔 E. 노빅 |
| 주연 | 톰 크루즈 사이먼 페그 헤일리 앳웰 빙 레임스 |
| 촬영 | 프레이저 타가트 |
| 편집 | 에디 해밀턴 |
| 음악 | 맥스 아루이 알피 고드프리[1] |
| 미술 | 안소니 카론딜리언 매트 그레이 매트 샤프 세셀리아 반 스트라텐 톰 위빙 |
| 의상 | 질 테일러 |
| 촬영 기간 | 2022년 3월 23일 ~ 2024년 11월 |
| 제작사 | TC 프로덕션 스카이댄스 미디어 |
| 수입사 | |
| 배급사 | |
| 개봉일 | |
| 화면비 | 2.39:1 (2D) 1.90:1 / 2.39:1 (IMAX) |
| 상영 타입 | 2D | IMAX | 4DX | Dolby Atmos | Dolby Cinema | SCREENX | MX4D |
| 상영 시간 | 169분 (2시간 49분 22초)[3] |
| 제작비 | 3억 ~ 4억 달러[4] |
| 월드 박스오피스 | $598,056,261 (2025년 8월 28일 기준) |
| 북미 박스오피스 | $197,413,515 (2025년 8월 18일 기준)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3,392,545명 []대한민국 2025년 상영작 관객수 5위(2025년 9월 기준)] (2025년 9월 6일 기준) |
| 스트리밍 | [[U+모바일tv| U+모바일tv ]] ▶▶ ▶ ▶ |
| 상영 등급 | |
| 링크 | |
1. 개요
Every choice has led to this.
모든 선택은 이 결과로 이어진다.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8번째 영화이자 약 29년 만의 최종장. 전작인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에서 바로 이어지는 내용이다.모든 선택은 이 결과로 이어진다.
제78회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 초청작.
==# 개봉 전 정보 #==
- 촬영은 2022년 중에 시작했다. # 톰 크루즈는 7편 개봉 전에 8편의 제작이 마무리되길 바라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일정으로 인해 7편 개봉 전에 마무리되지 못했다.
- 2023년 3월 2일, 미국 버라이어티는 이탈리아 현지 보도를 인용해 톰 크루즈가 미션 임파서블 8편 촬영을 위해 2월 26일 이탈리아 풀리아주 바리에서 헬기를 타고 촬영을 위해 아드리아 해에 위치한 미군 항공모함(CVN 77)으로 향했다고 보도했다. #
- 이미 시나리오 작업은 완료되었고 촬영 중이었기 때문에 작가 파업의 영향은 없었지만, 배우 파업으로 인해 출연진들이 활동을 중단하면서 촬영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8]
- 미국 배우 조합 파업으로 인해 개봉일이 2025년 5월로 연기되었다.
- 2024년 1월, 파라마운트+에 전작이 스트리밍 공개될 때 제목의 부제가 'PART ONE'을 삭제한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본작의 제목도 변경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 촬영 중 400만 달러짜리 잠수함이 고장나서 촬영이 잠시 연기되었다.
- 이번 작품의 순제작비가 4억 달러에 달한다는 루머가 나왔다. 배우 조합 파업으로 인한 촬영 중단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제작비가 크게 불어났다고 한다. 이후 제작비가 최소 3억 달러는 넘는다는 보도가 나오며, 4억 달러 설은 아직 확인된 바가 없지만 시리즈 역사상 최고액의 제작비가 사용되었음은 맞아 보인다. 이후 사이먼 페그가 제작비 4억 달러는 7편과 8편을 합친 제작비라고 밝혔다.
- 2024년 11월 1일, 할리우드 리포터에서 이 작품이 촬영을 마치고 후반 작업 중이라고 보도했다. 파라마운트는 관객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이 영화를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으로 홍보하고 있는 반면, 톰 크루즈는 에단 헌트 배역과의 공개적인 작별을 원치 않는다고 한다. #
- 2024년 11월 11일 한국 시각 오후 11시 정각, 1차 예고편이 공개되었고 부제도 "파이널 레코닝(The Final Reckoning)"으로 확정되었다. 기존 데드 레코닝을 파트 1, 2로 나누는 부제가 아닌, 7, 8편을 구분하되 두 편간 연계성을 살리는 제목으로서, 시리즈 마지막 편이라는 의미도 내포한 작명이다. 뜻은 '최종 결론(심판)'.[9]
- 2025년 3월 26일, 해외 팟캐스트 The Town과 할리우드 리포터에서 본작의 제작비가 4억 달러에 근접했다는 정보를 입수해 이를 보도했다.# 월드 오브 릴에 따르면 잠수함을 제작하는 데 2,500만 달러가 들었다고 한다.
2. 포스터
| | | ||
| 1차 포스터 | 2차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1차 포스터 | 2차 포스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캐릭터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캐릭터 포스터 | }}}}}}}}} | |||||||||||||
| | | | | ||||
| IMAX 포스터 | Dolby Cinema 포스터 | 4DX 포스터 | |||||
| | | | | ||||
| Cinemark XD 포스터 | SCREENX 포스터 | D-BOX 포스터 | Cineplex UltraAVX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IMAX 포스터 | SUPER | MX4D 포스터 | Dolby Cinema 포스터 | 4DX 포스터 | ||||
| | | | | ||||
| MEGA | MX4D 포스터 | SCREENX 포스터 | 광음시네마 포스터 | SUPER PLEX 포스터 | }}}}}}}}} | |||
| | | | |
| 아트 포스터 | |||
3. 예고편
| 1차 예고편 |
| 2차 예고편 |
| Exclusive 1.90 Trailer | Filmed for IMAX |
===# 기타 영상 #===
| 운명의 게임 영상 | 수중 BTS 영상 |
| 어나더 스케일💥 촬영장 투어 맛보기 영상 | 몸이 반응하는 [미션 임파서블] 오프닝 모음 |
| [속보] 톰 크루즈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으로 12번째 내한! | 고공비행 액션 비하인드 |
| 미션을 수락하시겠습니까? | 북극 촬영 비하인드 |
| Filming in IMAX | Long Wing |
| 익스트림 리얼 액션의 바이블! | 멈추지 않는 질주! |
| 모든 선택이 운명을 만든다! | Underwater Communication |
| 모두가 기다려 온 새로운 미션! | Jump Flip |
| Snorri Rig | To. 톰 크루즈 |
| ”극장에서 즐겨야 제맛!“ | ”내 인생 최고의 시리즈“ |
| 톰 크루즈만 가능한 바다 다이빙 액션 | 영화에 환상적인 한 방을 추가하다! |
| 경이로운 고공비행 액션 리허설 영상 | 기네스 세계기록까지 획득한 그는 대체… |
| Creating the Aerial Sequence | 광산 카체이싱 액션 비하인드 |
| 레전드 등극! 잠수함 액션 클립 | 봐도 봐도 놀라운 톰 크루즈 비행 액션 |
4. 시놉시스
디지털상의 모든 정보를 통제할 수 있는 사상 초유의 무기로 인해 전 세계 국가와 조직의 기능이 마비되고, 인류 전체가 위협받는 절체절명의 위기가 찾아온다. 이를 막을 수 있는 건 오직 존재 자체가 기밀인 ‘에단 헌트’와 그가 소속된 IMF(Impossible Mission Force)뿐이다. 무기를 무력화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키를 손에 쥔 ‘에단 헌트’. 오랜 동료 ‘루터’와 ‘벤지’, 그리고 새로운 팀원이 된 ‘그레이스’, ‘파리’, ‘드가’와 함께 지금껏 경험했던 그 어떤 상대보다도 강력한 적에 맞서 모두의 운명을 건 불가능한 미션에 뛰어든다! 모든 선택이 향하는 단 하나의 미션!
5. 등장인물
- 에단 헌트 (톰 크루즈)
- 벤지 던 (사이먼 페그)
- 루터 스티켈 (빙 레임스)
- 그레이스 (헤일리 앳웰)
- 파리 (폼 클레멘티에프)
- 재스퍼 브릭스 (셰이 위검)
- 테오 드가 (그레그 타잔 데이비스)
- 가브리엘 (에사이 모랄레스)
- 유진 키트리지 (헨리 처니)
- 에리카 슬론[10] (안젤라 바셋)
- 마리 (마리엘라 게리가)
- 콜초프 (파샤 D. 리친코프)
- 설링 번스타인[11] (홀트 매캘러니[12])
- 시드니 육군 대장[13] (닉 오퍼먼)
- NSA 관료[14] (마크 게이티스)
- NRO 관료[15] (찰스 파넬[16])
- 닐리 해군 소장[17] (해나 워딩엄[18])
- 윌리엄 던로[19] (롤프 색슨)
- 버딕 대령 (토미 얼 젱킨스)
- 엔티티 (성우 불명)
- 블레드소 대령[20] (트러멜 틸먼[21])
- 필스[22] (스티븐 오영)
- 코디악[23] (케이티 오브라이언)
- 타피사[24] (루시 툴루가룩)
6. 줄거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줄거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줄거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IMDb=tt9603208, IMDb_user=7.4,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mission_impossible_the_final_reckoning, 로튼토마토_tomato=80, 로튼토마토_popcorn=88,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mission-impossible-the-final-reckoning, 메타크리틱_critic=67, 메타크리틱_user=7.0,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mission-impossible-the-final-reckoning, 레터박스_user=3.7,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70936, 알로시네_presse=3.4, 알로시네_spectateurs=3.6,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MYmoviesit=mission-impossible-the-final-reckoning, MYmoviesit_MYMOVIES=4.00, MYmoviesit_CRITICA=3.34, MYmoviesit_PUBBLICO=3.61,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1229683, 키노포이스크_user=7.3,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야후재팬=ミッション:インポッシブル/ファイナル・レコニング 映画, 야후재팬_user=4.5, ## 야후재팬_highlight=display,
Filmarks=87947, Filmarks_user=4.2,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0433456, 도우반_user=7.7,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5Z37NR, 왓챠_user=3.7,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82857, 키노라이츠_light=95.13, 키노라이츠_star=3.8,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네이버영화_audience=8.97,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CGV=89629, CGV_egg=97, ## CGV_highlight=display,
롯데시네마=22395, 롯데시네마_user=9.6,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메가박스=25021300, 메가박스_user=9.3,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MRQE=mission-impossible-the-final-reckoning-m100152003, MRQE_user=67, ## MRQE_highlight=display,
시네마스코어=A-,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TMDB=575265-mission-impossible-the-final-reckoning, TMDB_user=72,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mission-impossible-8, 무비파일럿_user=7.1,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mission-impossible-the-final-reckoning-movie-review-2025, RogerEbertcom_user=2.5,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JustWatch=misyeon-impaseobeul-dedeu-rekoning-part-two, JustWatch_user=91, ## JustWatch_highlight=display,
씨네21=61870, 씨네21_expert=8.00, 씨네21_user=8.50, ## 씨네21_highlight=display,
파리부시네벌스=mission-impossible-son-hesaplasma-filmi-izle, 파리부시네벌스_user=78, ## 파리부시네벌스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mission-impossible-the-final-reckoning, 엠파이어_user=4,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mission-impossible-the-final-reckoning-review-1235122988, 인디와이어_user=C,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전통적으로 2편을 제외하면 꾸준한 호평을 받아 왔던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였지만, 이번 작품은 2시간 50분에 달하는 시리즈 최장 러닝타임과 전체적인 작품성에 대해선 꽤나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25]
호평하는 측에서는 액션 시퀀스가 길고 루즈한 것치고는 시간이 순삭될 정도로 몰입감이 상당하다고 말하지만, 불호 측에서는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이해도를 끌어올리고자 영화 내에 너무나 많은 회상 장면과 정치적인 상황을 묘사하는 장면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하이라이트 장면들을 제외하면 관객들이 이해해야 하는 정보량이 너무 많았으며, 두 편으로 나눴는데 왜 아직도 설명을 이렇게 길게 하면서 빌드업을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액션 영화의 감성을 선호하거나, 현실성보다는 극적인 분위기를 중시하며 미션 임파서블 특유의 스턴트, 깊은 주제의식과 메시지, 최종장으로서의
팬서비스에 매력을 느끼는 관객층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반면 현대적인 연출 감각과 영리한 서사 구조를 기대하거나, 전편들의 매력적인 요소 및 스토리텔링을 원하는 관객들은 아쉬움을 표했다.
8.1. 호평
- 액션
예고편이 공개되었을 때부터 받아왔던 기대를 뛰어넘어 다시 한 번 영화사에 한 획을 그었다는 극찬이 이어지고 있다. 8편의 중요한 액션 시퀀스는 크게 세바스토폴 침투 장면과 복엽기 추격전 시퀀스 2개로 나뉘는데, 두 장면 모두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전통인 서스펜스를 잘 활용하여 대사도 거의 없이 연출의 힘만으로 엄청난 몰입감과 긴장감을 선사해 명장면으로 평가받고 있다.[26]
- 전작에 대한 예우와 오마주
시리즈의 최종장인 만큼 전작들과 관련된 과거 회상 장면과 오마주 연출이 존재한다.
오프닝에서 에리카의 메시지와 함께 전작들에서의 활약들이 스쳐 지나가는 장면은 비록 뻔하더라도 시리즈의 팬이라면 여운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며, 더욱 이 작품이 시리즈의 최종장이라는 인상을 준다. 또한 3편의 맥거핀이었던 토끼발을 19년 만에 재활용했으며, 정체에 대한 호불호는 갈리나 이 또한 파이널 레코닝에서 강조되는 주제의식인 에단이 해왔던 "모든 선택의 결과가 지금으로 이어졌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용도로서는 충분히 제 역할을 다했다. 에단의 선택의 여파라는 주제에 걸맞게 1편에서 알래스카 한직으로 쫓겨났던 CIA 분석가인 윌리엄 던로도 재등장하며 전작들과 관련된 요소들에 대한 예우를 충실히 다한다. 또한 항공모함과 전투기가 등장하는 장면, 러닝머신 위에서 공기호흡기를 매달고 뛰는 장면은 탑건 시리즈 중에서도 탑건: 매버릭의 오마주이고 거의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고 세계 멸망이라는 정해진 미래를 바꾸는 에단의 서사는 엣지 오브 투모로우의 오마주로 볼 수 있는 등 영화의 화면 연출과 서사 하나하나가 톰 크루즈 그 자체가 담긴 영화이자 결정체라 봐도 과언이 아니다.
- 개선된 육탄전 연출
뛰어난 양질의 액션을 선보여 호평을 받았던 폴아웃에 비해, 데드 레코닝은 상대적으로 액션 퀄리티가 아쉽다는 의견이 있었다. 장검을 가졌으나 리치의 이점을 살리지 않고 나이프를 든 가브리엘에게 유리한 초근접전을 벌이다가 사망하는 일사의 최후 등 액션에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의견들이 지적되었으나, 이번 작은 이런 요소들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 길지는 않지만, 미션 임파서블 2를 오마주한 잠수함에서의 나이프 파이팅, 러시아군 vs 윌리엄 던로 일행 전투 장면은 긴장감을 적당히 유지시킨다는 평가를 받는다.
- 사회공학에 대한 현실적 반영
전작에서 등장한 엔티티의 약점인, "오프라인이나 아날로그 상태의 기체에는 접근하지 못한다는 점을 어떻게 극복할 것이냐"에 대한 답을 고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에단 일행이 구식 장비로 통신하는 등 최대한 디지털 접촉을 피하자 가브리엘이 에단의 열쇠를 뺏는다는 엔티티의 경우의 수가 완전히 빗나가게 되었는데, 이번 작에서 엔티티는 이렇게 자기가 접근할 수 없는 변수가 생길 경우 어떻게 이를 공략할지에 대한 답변을 보여주었다. 바로 사람의 신념과 확증 편향을 이용하여 자신의 추종자들을 양산하고 이들을 전 세계 정부 조직에 심어두어 자신에게 불리한 상황이 발생하면 항명하거나 쿠데타를 일으키게 만드는 것이다. 한편, 엔티티도 생존 문제에서는 인간과 다를 바가 없이 불확실성을 피해갈 수 없다는 점을 통해, 좋든 싫든 자신의 미래를 에단에게 걸어야 하는 의존적 처지를 보여주었다. 생존이나 자기 보존은 똑똑하다고 해서 쉽게 풀어낼 수 없는 문제이며, 오늘의 적이 내일의 동지가 될 수 있고, 지금의 동지가 앞으로의 적이 될 수 있다는 교훈을 전달한다.
- 깊이 있는 주제와 메시지, 시리즈를 거치며 생성된 철학의 완성
이번 편에서는 엔티티에 의해 전 세계의 정보 사회가 마비되고 혼란스러워진 디스토피아 묘사를 통해, 현실에서도 더욱 심해진 정보 조작과 왜곡 등에 의해 사회가 얼마나 혼란스러워질 수 있는지 위의 사회공학 반영을 통해 강조한다. 그리고 특히 "인터넷만 보고 사니 이렇게 되지!"라는 에단의 중반부 대사는 정보 사회와 인터넷에 중독된 자들과 이로 인해 음모론과 사이비 종교를 믿는 이들을 꼬집으며 정보 사회의 이면을 비판하고, 초인적인 에단의 능력을 보여주는 장면들[27]을 통해 기계나 디지털이 하지 못하는 인간의 가능성을 강조한다. 또, 마지막 포이즌 필의 포드코바 삽입 후 루터의 메세지는 지금까지 시리즈가 강조해 온 "선택"의 무게와 "우리는 음지에서 살고 죽는다"라는 말을 통한 첩보 장르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세상에 정해진 건 없고 그렇기에 우리의 선택은 가능성이 무한하며[28] 상호간의 친절, 신뢰, 이해에 따른 긍정적인 미래의 가능성과 그 미래를 실현할 의지를 강조하는 말을 통해 현재와 같이 비정하고 전쟁이 계속되며 그런 혼란을 반영하는 작품들이 판치는 이 2020년대에, 우리의 자유의지와 행동의 중요성 및 그 가능성의 가치를 강조하는 하나의 인간 찬가라는 주제가 시리즈를 거치며 최종장에 걸맞게 완성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 특별관에 최적화된 구성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중 가장 아이맥스 비율의 길이가 긴 작품으로, 특히 세바스토폴호 잠수함 침투 장면 같은 경우 아이맥스와 돌비에서 감상할 때 매우 큰 만족감과 웅장함을 느낄 수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8.2. 호불호
- OST
6편과 7편의 음악을 맡았던 론 발프[29]가 어떤 이유에선지 영화 개봉 직전에 하차했고,[30] 개봉 한 달 전에 "맥스 아루이"와 "알피 고드프리"라는 두 명의 작곡가[31]가 급히 메인 스코어를 맡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었다. 이로 인해 음악의 일관성과 완성도가 떨어졌다는 분석이 많지만, 세바스토폴 잠수함 시퀀스에 삽입된 사운드트랙은 중저음으로 반복되는 둔중한 톤의 분위기가 심해의 답답한 배경과 어우러져 상당한 위압감을 전달한다는 의견이 많다.
- 메시지 강조
앞에서 설명한 영화의 주제의식 및 메시지에 대해, 엔티티에 대한 태도를 통해 인공지능을 러다이트 운동 대상처럼 취급한다는 비판이 있으며 "인터넷만 하고 사니까 이렇게 되잖아!" 같은 직설적 대사를 통한 너무 직접적인 메시지, 그리고 지금까지 선택이라는 메인 주제에 대해 3, 6편 등에서 어느 정도 다루어 왔으나 시리즈 자체는 오락성 그 자체에만 몰두하고 철학에 대해서는 깊게 다루지 않았는데 갑작스럽게 루터의 대사 등을 통해 주제의식과 철학을 설파하는 듯하다 보니 시리즈 나름의 개성을 잃은 듯해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 엔딩
결말도 시리즈의 최종장치고는 아쉽다는 평가도 있는데, 30년을 이어온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최종작인 만큼 주인공인 에단 헌트가 희생하거나 은퇴하는 결말이 나올 수 있었지만 그냥 팀이 해체되는 결말로 끝나 이게 최종장인지 또 후속편이 나오는 열린 결말인 건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많다. 다만 주인공의 희생이라는 결말은 이미 다른 첩보물이나 블록버스터에서도 사용한 적이 많으며, 007 노 타임 투 다이처럼 오히려 평가가 안 좋았던 전적도 있는 등 주인공의 마지막을 제대로 그리지 못하면 오히려 리스크가 큰 방식이다. 게다가 작중 등장하는 ‘우리는 음지에서 살고, 음지에서 죽는다’라는 IMF의 맹세를 생각한다면 오히려 이게 미션 임파서블답다는 의견도 있다. 또 소중한 사람들과 얼굴도 모르는 수많은 이들을 위해 음지에서 일한다는 정신대로, 세계를 핵전쟁의 위기에서 구해낸 요원들이 자신들을 알아보지도 못하는 사람들의 행복한 모습을 보며 일상으로 돌아가는 결말이라 더 감동적이라는 평도 존재한다.
8.3. 혹평
- 긴 러닝타임
러닝타임 자체도 무척 길거니와, 액션 시퀀스의 호흡이 길어 쉽게 지루함이 느껴진다. 대장정의 마지막이기에 긴 호흡으로 구성한 점은 이해가 가지만, 액션 영화로서의 역동성이 많이 부족하고 사실상 격투 시퀀스와 톰 크루즈의 뜀박질 외에 드러나는 액션씬은 세바스토폴에서의 포드코바 회수 장면과 복엽기 액션 장면이라 일부 총격전이 사실상 무의미한 수준. 사실 액션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스토리의 비중이 증가한 것은 당장 톰 크루즈의 나이를 고려해서 그런 거라 하면 이해가 될 수도 있다. 다만 내용이 내용인 만큼 적들을 속이며 기만하다가 목적을 달성하는[32] 시리즈 특유의 쾌감은 전무한 수준이다. 그리고 과거회상[33] 장면 및 상상 속 장면[34]을 필요 이상으로 남발하며 시간을 때우는 것처럼도 느껴질 수 있다.
- 인트로
시리즈의 상징과도 같은 오프닝이 아쉽다는 평이 많다. 전통적으로 강렬한 오프닝 장면 이후 메인 테마와 함께 인트로 시퀀스로 이어지는 형식을 고수해 왔으나, 이번 작품은 잔혹한 살상 장면[35] 이후 이어지는 "널 지키기 위해서였다"는 개그성 대사에서 바로 인트로가 드랍되는 게 어이없었다는 평이 다수.[36] 인트로의 메인 테마곡도 심심하다는 반응이 많고, 오프닝 시퀀스와 타이틀의 폰트 역시 급조한 것 같다는 혹평이 우세하다. 시리즈의 전통인 ‘인트로에서 영화의 주요 장면을 암시하는 편집 기법’도 이번 작품에서는 정신없고 엉성한 연출 때문에 오히려 퇴보했다는 평가가 많다.[37]
- 스토리
조연들의 비중 분배가 영 좋지 못하며, 새롭게 팀에 합류한 조연들의 개연성이 심각할 정도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평가이다. 특히 이번에 합류한 테오 드가의 비중이 낮아 "왜 합류했는지 모르겠다"는 평. 또한 극적인 스케일을 크게 만들기 위해 핵전쟁이라는 요소를 도입했지만 그에 대한 특별한 스토리가 전혀 전개되지 않아 아쉽다는 평이 많다.[38] 또한 3편의 맥거핀 떡밥이었던 토끼발의[39] 재활용에 대해서도 설명이 부족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40] 스토리의 방향성이 이전 편들과는 완전히 다른 길로 흘러간다는 점에서도 많은 혹평을 받고 있다.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는 원래 위기 상황 속에서 불가능한 임무를 해결해가는 긴장감과 팀워크의 묘미로 사랑받아온 작품이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그런 ‘불가능한 미션’의 재미보다는 에단 헌트라는 인물을 신화화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 영화 전체가 마지막 편이라는 명분 아래 주인공을 지나치게 영웅화하는 데에 집중했고, 그 결과 미션이 현실성을 완전히 잃고 에단의 초인적인 능력을 전제로 설계되었다는 지적이 많다. 스토리도 빈약하고 길게 늘어져 지루하며, 전편의 빌드업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부분 때문에 "굳이 두 편으로 나눴어야 했냐"는 평도 꽤 있다.[41]
- 빌런
전편에서 엔티티라는 막강한 힘을 손에 넣어 모든 경우의 수를 예상하고 여유롭게 미소를 짓던 가브리엘은 역대 빌런들과 비교하면 제대로 된 포스를 보여주지 못해 호불호가 갈렸었는데, 본작에서는 이러한 점이 더욱 심화되어 망가지는 빈도가 더 심해졌다. 전작과 같은 막강한 힘도 없으면서 시종일관 썩소나 날리는 매력 없는 빌런으로 전락했으며, 다소 우스꽝스러운 최후[42]를 맞는 등 취급이 더욱 박해졌다.[43] 또한, 전편에서 그 의도를 이해할 수 없어 더 큰 공포를 느끼게 해 나름의 차별화된 매력이 존재하던 엔티티도 이번 편에서는 다른 영화에서 등장하던 양산형 AI 빌런과 큰 차이가 없이 자기보존에 집착하여 약점이 잡힌 설정도 아쉽다는 평이 다수. AI가 발달한 2020년대인 만큼 엔티티의 목표도 뭔가 인류가 감히 상상하지 못했던 뭔가 참신한 것이었기를 예상했는데 결국 그 목표가 40년 전부터 지속되어 온 터미네이터 시리즈의 스카이넷과 10년 전 영화인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울트론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는 것에 실망했다는 평도 있다. 핵전쟁이라는 최종 목표 또한 멀리 갈 것도 없이 이미 이전 시리즈의 고스트 프로토콜과 폴아웃의 메인 빌런인 커트 헨드릭스와 존 라크가 주구장창 시도했던 것이라 이젠 진부하게 느껴진다는 의견도 많다.[44]
또 전작에선 목적이 드러나지 않은 미스터리한 AI 빌런이라 긴장감이 넘치지만, 이번 작에서 목표를 드러내고 난 뒤로는 오직 에단에게만 의존하는 행보를 보여줘 능력이 많이 퇴화되고 너무 쉽게 단순화되었다. 전작에서는 교활하고 유능한 인공지능적 면모와 활약을 펼친 것에 비하면 아쉬운 편. 특히, 미션 임파서블 같이 '선이 악을 이긴다' 라는 플롯을 가진 권선징악 영화는 기본적으로 해피 엔딩이라는 결말이 어느정도 정해져 있어서 결국에는 헌트의 목적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기에 그만큼 빌런의 역할이 중요하다. 빌런의 카리스마, 매력, 강력한 정도가 증가할 수록, 관객은 '과연 헌트가 어떻게 빌런을 제압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지며 작품에 더 빠져들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빌런의 강함과 임무의 불가능성 등을 치밀하게 계산해 개연성 있는 스토리가 미션 임파서블의 매력 중 하나 였으나, 전작에선 가브리엘의 전투력, 미중년스러운 외모와 여유 있는 제스쳐가 현실 조작과 미래 예지까지 가능한 엔티티와 결합하여 어느정도 매력적인 빌런을 구축하였으나 그것을 잘 풀어내지 못하였고, 이번 작에서는 그 둘이 갈라져 두 빌런의 매력이 더욱 애매해지는 결과만 초래하게 됐다. 가브리엘의 순수 전투력은 전작의 기차 위 전투에서 보인 것처럼 헌트에게 밀리는 것으로 보이고, 엔티티를 통한 예측이 사라지니 미래를 이미 알고 있는 강력한 빌런이 순수 무력도 부족하고 근거 없이 배짱으로만 여유 부리는 허세 넘치는 빌런이 되어버렸고, 엔티티 역시 태생이 AI이기에 직접적으로 헌트를 견제할 수단으로 가브리엘을 간택했지만 그 가브리엘이 사라지니 현실적으로 헌트와 대립하는 구도를 구출할 수가 없어 단순히 헌트가 성공하면 세계 평화, 헌트가 실패하면 뉴클리어 아포칼립스라는, 헌트에게 의존적인 빌런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 연출
브리핑과 미션 플랜 장면이 상당히 긴 비중을 차지하는데, 제작진도 이를 의식했는지 교차 편집을 수도 없이 사용했다. 누군가 말하면 다른 화자가 다른 장소에서 같은 내용을 이어가며 말하는 방식. 지루하지 않게 하기 위한 연출이었겠지만, 다소 투박하고 오래된 영화에서나 사용되던 방식으로 연출되었다. 미션 플랜 씬의 주요 목적은 다음 펼쳐질 "미션"이 얼마나 "불가능"한지를 보여 주는 것이고, 이는 "미션 임파서블"이라는 타이틀에도 드러날 정도로 시리즈의 근간으로 평가 받는 주요한 장면이다. 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뒤에 이어질 액션의 빌드업보다는, 스토리의 스케일을 키우는 것에만 집중하고 싶었던 것이었는지 "이 미션이 이만큼 중요하다, 인류의 미래가 이 미션 하나에 달려있다. 이 미션이 실패하면 인류가 종말한다" 라는 내용을 반복적으로 설명[45] 한다. 거기에 미션의 난이도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까지 더해져 설명하는 씬이 너무 길어져 버렸으며. 그로 인해 교차 편집이 과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바스토폴에서 포드코바를 얻고 밖으로 나오는 장면이 심각한 무리수라는 지적이 있다. 포드코바를 얻고 잠수함 밖으로 나가려던 도중 잠수함이 넘어지면서 어뢰가 탈출구를 막아버려 어뢰 발사관으로 탈출 경로를 변경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 잠수복으로 인해 발사관으로 나갈 수 없게 되자 잠수복을 벗고 맨몸으로 탈출한다. 아무리 에단이 초인으로 등장한다지만 수심 수백 미터에서 맨몸으로 나왔다간 잠수병이고 뭐고 수압으로 죽는다.
하이라이트인 비행기 장면도 연출 자체만 놓고 보면 문제가 많다고 지적받는다. 특히 가브리엘의 행동이 전체적으로 나사가 빠져 있는데, 에단이 매달리는 바람에 비행기가 흔들리는데도 밑을 살펴보지 않다가 나중에서야 주익 쪽으로 타 넘어오는 걸 발견하지 않나, 한 개밖에 없다던 낙하산은 멀쩡하게 앞좌석에 하나 더 있었는데 그걸 모른 채 최후까지 의기양양해했다. 에단이 감탄하는 기색도 없이 그냥 자연스럽게 집어들고 탈출하는 건 덤.
8.4. 평론가 평
Gargantuan in action, runtime, and scope, The Final Reckoning is a sentimental sendoff for Ethan Hunt that accomplishes its mission with a characteristic flair for the impossible.
액션, 상영 시간, 범위 면에서 방대한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불가능에 대한 특유의 재능으로 임무를 완수하는 에단 헌트에 대한 감상적인 배웅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액션, 상영 시간, 범위 면에서 방대한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불가능에 대한 특유의 재능으로 임무를 완수하는 에단 헌트에 대한 감상적인 배웅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Too often, the self-serving mission of making Mr. Cruise look cool clashes with the audience-serving mission of making sense. The balance between vanity and sanity leans the wrong way.
너무 자주, 톰 크루즈를 멋져 보이게 만들려는 자기만족적인 미션이 관객에게 이야기의 개연성을 전달해야했던 영화적 미션과 충돌해버린다. 허영과 이성 사이의 균형이 완전히 잘못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버렸다.
월 스트리트 저널 | ★★☆
너무 자주, 톰 크루즈를 멋져 보이게 만들려는 자기만족적인 미션이 관객에게 이야기의 개연성을 전달해야했던 영화적 미션과 충돌해버린다. 허영과 이성 사이의 균형이 완전히 잘못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버렸다.
월 스트리트 저널 | ★★☆
It’s big, extravagant, and at times very beautiful to look at. The story is the problem: packed with expository dialogue, it feels as if it were written to be digested in 10- or 15-minute bites.
거대하고 화려하며, 때로는 눈을 사로잡을 만큼 아름답다. 하지만 스토리는 문제가 있다. 설명투의 대사로 빼곡해, 마치 10~15분 단위로 끊어서 봐야 이해될 듯한 구성이다.
타임 | ★★★
거대하고 화려하며, 때로는 눈을 사로잡을 만큼 아름답다. 하지만 스토리는 문제가 있다. 설명투의 대사로 빼곡해, 마치 10~15분 단위로 끊어서 봐야 이해될 듯한 구성이다.
타임 | ★★★
It's just a shame that the series' farewell had to be so solemn – and so silly.
시리즈의 작별이 그렇게 심각하면서도 동시에 어리석어야만 했다는 게 그저 안타까울 뿐
BBC | ★★
시리즈의 작별이 그렇게 심각하면서도 동시에 어리석어야만 했다는 게 그저 안타까울 뿐
BBC | ★★
Holy hell,[46] having to sit through nearly three hours of M:I making like Ethan Hunt is the Messiah is not just exhausting: It’s a total misread of what makes these movies so fun. What a bummer.
맙소사! 세 시간에 가까운 러닝타임 동안 에단 헌트를 메시아처럼 묘사하는 미션 임파서블을 지켜보는 일은 지치는 수준을 넘어선다. 그들은 이 시리즈가 왜 재밌었는지를 완전히 잘못 짚은 거다. 매우 실망스럽다.
오스틴 크로니클 | ★
맙소사! 세 시간에 가까운 러닝타임 동안 에단 헌트를 메시아처럼 묘사하는 미션 임파서블을 지켜보는 일은 지치는 수준을 넘어선다. 그들은 이 시리즈가 왜 재밌었는지를 완전히 잘못 짚은 거다. 매우 실망스럽다.
오스틴 크로니클 | ★
While its action is reliably thrilling and a few of its most exciting sequences are sure to hold up through the years, Mission: Impossible – The Final Reckoning tries to deal with no less than the end of every living thing on the planet – and suffers because of it. The somber tone and melodramatic dialogue miss the mark of what’s made this franchise so much fun for 30 years, but the door is left open for more impossible missions and the hope that this self-serious reckoning isn’t actually final.
믿음직한 액션과 오랜 시간이 지나도 회자될 만한 몇몇 인상적인 장면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의 종말이라는 거대한 주제를 다루려 하면서 오히려 그로 인해 약점을 드러낸다. 지나치게 진지한 분위기와 과장된 대사는 지난 30년간 이 시리즈를 즐겁게 만들어온 본질을 빗나간다. 다만, 앞으로도 또 다른 ‘불가능한 미션’들이 이어질 여지를 남겨두며, 이번 ‘최후의 심판’이 정말 마지막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희망은 존재한다.
IGN | ★★★
믿음직한 액션과 오랜 시간이 지나도 회자될 만한 몇몇 인상적인 장면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의 종말이라는 거대한 주제를 다루려 하면서 오히려 그로 인해 약점을 드러낸다. 지나치게 진지한 분위기와 과장된 대사는 지난 30년간 이 시리즈를 즐겁게 만들어온 본질을 빗나간다. 다만, 앞으로도 또 다른 ‘불가능한 미션’들이 이어질 여지를 남겨두며, 이번 ‘최후의 심판’이 정말 마지막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희망은 존재한다.
IGN | ★★★
순리를 거스르지 않는 액션 블록버스터
정재현 (씨네21) | ★★★☆
정재현 (씨네21) | ★★★☆
갓스피드 아트 오브 액션
이용철 (씨네21) | ★★★★
이용철 (씨네21) | ★★★★
엔터테이닝의 골짜기를 넘어 고행길로 느껴지기도 하지만 그래도 계속 가겠다는
김철홍 (씨네21) | ★★★☆
김철홍 (씨네21) | ★★★☆
세상에서 가장 짧았던 2시간 49분
남지우 (씨네21) | ★★★★☆
남지우 (씨네21) | ★★★★☆
영화 역사상 최후의 블록버스터를 찍는 듯한 간절함에 눈물만
김경수 (씨네21) | ★★★★☆
김경수 (씨네21) | ★★★★☆
9. 흥행
| 2025년 개봉 영화 전 세계 박스오피스 Top 10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373a3c> 순위 | 제목 | 감독 | 제작국 | 장르 | 박스오피스 |
| 1 | 나타지마동요해 | 교자 | 중국 | 애니메이션, 판타지 | $2,000,944,213 | |
| 2 | 릴로 & 스티치 | 딘 플라이셔 캠프 | 미국 | 가족, 모험 | $1,037,450,363 | |
| 3 | 마인크래프트 무비 | 자레드 헤스 | 미국 | 모험, 액션, 판타지 | $957,949,195 | |
| 4 |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 가렛 에드워즈 | 미국 | 스릴러, 액션, 어드벤쳐 | $867,920,435 | |
| 5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소토자키 하루오 | 일본 | 애니메이션, 액션 | $637,034,002 | |
| 6 | 드래곤 길들이기 | 딘 데블로이스 | 미국 | 모험, 액션, 판타지 | $635,759,549 | |
| 7 | F1 더 무비 | 조셉 코신스키 | 미국 | 드라마, 스포츠 | $628,827,111 | |
| 8 | 슈퍼맨 | 제임스 건 | 미국 | 슈퍼히어로, 액션, SF | $615,984,465 | |
| 9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크리스토퍼 맥쿼리 | 미국 | 액션, 첩보, SF | $591,353,074 | |
| 10 |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 맷 샤크먼 | 미국 | 슈퍼히어로, 액션, SF | $521,689,087 | |
| 출처: The Numbers, 기준일: 2025년 10월 12일 | }}}}}}}}} | |||||
|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5년 5월 21일 | $598,056,261[47] | 2025년 8월 28일 |
| 개별 국가 (매출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2025년 5월 23일 | $197,413,515 | 2025년 8월 18일 |
| 2025년 5월 30일 | $64,580,787 | 2025년 8월 28일 |
| 2025년 5월 23일 | $36,222,204 | 2025년 8월 28일 |
| 2025년 5월 23일 | $35,042,752 | 2025년 8월 28일 |
| 2025년 5월 21일 | $25,599,159 | 2025년 8월 28일 |
| 2025년 5월 22일 | $24,004,576 | 2025년 8월 28일 |
| 2025년 5월 21일 | $19,645,945 | 2025년 8월 28일 |
| 2025년 5월 22일 | $15,264,653 | 2025년 8월 28일 |
| 2025년 5월 23일 | $15,171,659 | 2025년 8월 28일 |
| 2025년 5월 23일 | $13,125,455 | 2025년 7월 23일 |
| 2025년 5월 22일 | $11,970,689 | 2025년 8월 20일 |
9.1. 대한민국
| 2025년 한국 개봉 영화 관객수 Top 1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000> 순위 | 제목 | 감독 | 국가 | 장르 | 누적 관객 수 |
| 1위 | 좀비딸 | 필감성 | [[대한민국| | 코미디 호러, 가족, 드라마, 판타지 | 5,635,451명 | |
| 2위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소토자키 하루오 | [[일본| | 액션, 시대극 판타지, 애니메이션 | 5,549,785명 | |
| 3위 | F1 더 무비 | 조셉 코신스키 | [[미국| | 스포츠, 드라마 | 5,212,091명 | |
| 4위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크리스토퍼 맥쿼리 | [[미국| | 첩보, 액션, 스릴러, 어드벤처, SF | 3,392,542명 | |
| 5위 | 야당 | 황병국 | [[대한민국| | 액션, 범죄, 느와르, 피카레스크 | 3,378,166명 | |
| 6위 | 미키 17 | 봉준호 | [[미국| | SF, 어드벤처, 코미디, 로맨스, 드라마 | 3,013,810명 | |
| 7위 | 어쩔수가없다 | 박찬욱 | [[대한민국| | 블랙 코미디, 스릴러, 범죄, 피카레스크 | 2,905,105명 | |
| 8위 |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 요시하라 타츠야 | [[일본| | 다크 판타지, 고어, 로맨스, 액션, 코미디 호러, 애니메이션 | 2,675,050명 | |
| 9위 | 히트맨2 | 최원섭 | [[대한민국| | 액션, 코미디 | 2,547,598명 | |
| 10위 | 보스 | 라희찬 | [[대한민국| | 코미디, 액션, 범죄 | 2,412,615명 | |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2025년 박스오피스 (2024년 개봉작 제외) 기준일: 2025년 10월 31일 | }}}}}}}}} | |||||
| <rowcolor=#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5년 19주 차 | → | 2025년 20~21주 차 | → | 2025년 22주 차 |
| 야당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하이파이브 | ||
|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 누적관객수 3,392,545명, 누적매출액 33,259,862,900원[5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3,592명 | 3,592명 | 미집계 | 39,048,000원 | 39,048,000원 | ||
| 1주차 | 2025-05-17. 1일차(토) | 423,787명 | 1,279,811명 | 1위 | 4,252,134,230원 | 12,754,917,080원 | |
| 2025-05-18. 2일차(일) | 335,146명 | 1위 | 3,344,911,510원 | ||||
| 2025-05-19. 3일차(월) | 107,431명 | 1위 | 1,049,455,460원 | ||||
| 2025-05-20. 4일차(화) | 101,050명 | 1위 | 995,847,310원 | ||||
| 2025-05-21. 5일차(수) | 95,827명 | 1위 | 934,351,720원 | ||||
| 2025-05-22. 6일차(목) | 83,354명 | 1위 | 813,920,810원 | ||||
| 2025-05-23. 7일차(금) | 133,216명 | 1위 | 1,364,296,040원 | ||||
| 2주차 | 2025-05-24. 8일차(토) | 309,765명 | 883,687명 | 1위 | 3,114,411,780원 | 8,590,681,500원 | |
| 2025-05-24. 9일차(일) | 244,644명 | 1위 | 2,444,717,960원 | ||||
| 2025-05-26. 10일차(월) | 59,821명 | 1위 | 584,359,780원 | ||||
| 2025-05-27. 11일차(화) | 54,580명 | 1위 | 538,632,480원 | ||||
| 2025-05-28. 12일차(수) | 95,061명 | 1위 | 762,346,670원 | ||||
| 2025-05-29. 13일차(목) | 51,202명 | 1위 | 496,099,810원 | ||||
| 2025-05-30. 14일차(금) | 68,614명 | 2위 | 650,113,020원 | ||||
| 3주차 | 2025-05-31. 15일차(토) | 164,503명 | 677,899명 | 1위 | 1,651,358,450원 | 6,622,580,570원 | |
| 2025-06-01. 16일차(일) | 137,598명 | 2위 | 1,363,571,550원 | ||||
| 2025-06-02. 17일차(월) | 59,909명 | 3위 | 574,507,780원 | ||||
| 2025-06-03. 18일차(화) | 135,477명 | 2위 | 1,319,242,320원 | ||||
| 2025-06-04. 19일차(수) | 29,957명 | 2위 | 282,138,600원 | ||||
| 2025-06-05. 20일차(목) | 45,513명 | 2위 | 431,180,840원 | ||||
| 2025-06-06. 21일차(금) | 104,942명 | 3위 | 1,000,581,030원 | ||||
| 4주차 | 2025-06-07. 22일차(토) | 87,151명 | 238,898명 | 3위 | 825,905,570원 | 2,250,759,070원 | |
| 2025-06-08. 23일차(일) | 64,527명 | 3위 | 608,641,330원 | ||||
| 2025-06-09. 24일차(월) | 17,526명 | 4위 | 160,344,440원 | ||||
| 2025-06-10. 25일차(화) | 16,067명 | 4위 | 148,194,220원 | ||||
| 2025-06-11. 26일차(수) | 17,344명 | 4위 | 161,575,060원 | ||||
| 2025-06-12. 27일차(목) | 15,222명 | 4위 | 142,032,380원 | ||||
| 2025-06-13. 28일차(금) | 21,061명 | 4위 | 204,066,070원 | ||||
| 5주차 | 2025-06-14. 29일차(토) | 50,656명 | 156,865명 | 3위 | 489,655,420원 | 1,518,129,420원 | |
| 2025-06-15. 30일차(일) | 41,182명 | 4위 | 397,056,380원 | ||||
| 2025-06-16. 31일차(월) | 13,262명 | 4위 | 123,449,560원 | ||||
| 2025-06-17. 32일차(화) | 12,384명 | 4위 | 116,216,360원 | ||||
| 2025-06-18. 33일차(수) | 12,545명 | 6위 | 119,712,300원 | ||||
| 2025-06-19. 34일차(목) | 11,014명 | 6위 | 108,646,700원 | ||||
| 2025-06-20. 35일차(금) | 15,822명 | 5위 | 163,392,700원 | ||||
| 6주차 | 2025-06-21. 36일차(토) | 31,497명 | 91,820명 | 5위 | 322,687,720명 | 912,047,080원 | |
| 2025-06-22. 37일차(일) | 24,565명 | 5위 | 247,949,590원 | ||||
| 2025-06-23. 38일차(월) | 10,007명 | 5위 | 102,295,250원 | ||||
| 2025-06-24. 39일차(화) | 10,098명 | 5위 | 97,207,360원 | ||||
| 2025-06-25. 40일차(수) | 5,769명 | 8위 | 46,596,860원 | ||||
| 2025-06-26. 41일차(목) | 4,591명 | 7위 | 43,882,100원 | ||||
| 2025-06-27. 42일차(금) | 5,293명 | 8위 | 51,428,200원 | ||||
| 7주차 | 2025-06-28. 43일차(토) | 9,965명 | 32,988명 | 7위 | 96,061,600원 | 311,191,460원 | |
| 2025-06-29. 44일차(일) | 9,172명 | 7위 | 87,720,960원 | ||||
| 2025-06-30. 45일차(월) | 4,411명 | 7위 | 39,712,300원 | ||||
| 2025-07-01. 46일차(화) | 3,539명 | 7위 | 33,064,500원 | ||||
| 2025-07-02. 47일차(수) | 1,690명 | 10위 | 15,718,100원 | ||||
| 2025-07-03. 48일차(목) | 1,911명 | 9위 | 16,692,000원 | ||||
| 2025-07-04. 49일차(금) | 2,300명 | 8위 | 22,222,000원 | ||||
| 8주차 | 2025-07-05. 50일차(토) | 4,317명 | 14,241명 | 8위 | 42,410,660원 | 137,610,330원 | |
| 2025-07-06. 51일차(일) | 3,729명 | 7위 | 36,318,170원 | ||||
| 2025-07-07. 52일차(월) | 1,626명 | 7위 | 15,521,600원 | ||||
| 2025-07-08. 53일차(화) | 1,628명 | 10위 | 15,125,100원 | ||||
| 2025-07-09. 54일차(수) | 1,059명 | 13위 | 10,105,000원 | ||||
| 2025-07-10. 55일차(목) | 797명 | 16위 | 7,409,000원 | ||||
| 2025-07-11. 56일차(금) | 1,085명 | 16위 | 10,720,800원 | ||||
| 9주차 | 2025-07-12. 57일차(토) | 1,594명 | -명 | 16위 | 15,338,000원 | -원 | |
| 2025-07-13. 58일차(일) | -명 | -위 | -원 | ||||
| 2025-07-14. 59일차(월) | -명 | -위 | -원 | ||||
| 2025-07-15. 60일차(화) | -명 | -위 | -원 | ||||
| 2025-07-16. 61일차(수) | -명 | -위 | -원 | ||||
| 2025-07-17. 62일차(목) | -명 | -위 | -원 | ||||
| 2025-07-18. 63일차(금) | -명 | -위 | -원 |
- 개봉 전
- 〈야당〉, 〈썬더볼츠*〉, 〈파과〉 순의 1강 2약 박스오피스 체제가 형성된 때에 개봉한다.
- 좋은 흥행을 기록해 온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IP[51], 기존 작품들의 입지가 저조한 개봉 시기, 목표 관객층이 크게 겹치는 개봉 예정작이 한동안 부재해 초기 입지 확보에 성공할 경우 개봉 3주 차에 있는 휴일의[52]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일정 등이 흥행의 요소다.
- 그러나 전작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이 이전작들에 비해 저조한 성적을 거둔 전적[53][54], 극장가의 침체가 부각된 시기적 상황, 일일 상영 횟수에 제한과 가볍게 보기에는 거리가 있는 긴 상영 시간 등과 같은 위험 요소 등이 있었다.
- 예매 추이
- 개봉 6일 전인 2025년 5월 11일 일요일, 5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5일 전인 5월 12일 월요일, 1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했다.
- 개봉 3일 전인 5월 14일 수요일, 6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2일 전인 5월 15일 목요일, 2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했다.
- 개봉 1일 전인 5월 16일 금요일, 70%의 예매율 및 3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했다.
- 개봉일인 5월 17일 토요일 자정을 기준으로 35만 9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74.0%의 예매율로 예매율 1위를 기록했다. 이 기록은 2025년 개봉작 중 최고 수치에 해당한다.[55]
- 1주 차
- 이 주 차의 타 주요 개봉작으로는 〈나를 모르는 그녀의 세계에서〉, 〈릴로 & 스티치〉 등이 있다.
- 개봉일인 5월 17일 토요일, 42만 3천여 명의 관객을 동원해 4만 2천여 명의 관객을 동원한 〈야당〉을 제치고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이 개봉일 관객 수는 2025년 개봉작 중 최고 수치에 해당하며[56], 범위를 넓힌 일일 관객 수로도 2025년 개봉작 중 최고 수치에 해당한다.[57]
- 개봉 5일 차인 5월 21일 수요일, 100만 명의 누적 관객 수를 돌파했다.
- 2주 차
- 3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드래곤 길들이기〉, 〈브링 허 백〉, 〈신명〉 등이 있다.
- 개봉 15일 차인 5월 31일 토요일, 〈하이파이브〉를 제치고 전일보다 1순위 상승한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 개봉 16일 차인 6월 1일 일요일, 〈하이파이브〉에 밀려 전일보다 1순위 하락한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다.
- 개봉 17일 차인 6월 2일 월요일, 이날 신규 개봉한 〈신명〉에 밀려 전일보다 1순위 하락한 박스오피스 3위를 기록했다.
- 개봉 18일 차인 6월 3일 화요일, 〈신명〉을 제치고 전일보다 1순위 상승한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다.
- 개봉 21일 차인 6월 6일 금요일, 이날 신규 개봉한 〈드래곤 길들이기〉에 밀려 전일보다 1순위 하락한 박스오피스 3위를 기록했다.
- 4주 차
- 5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28년 후〉, 〈엘리오〉 등이 있다.
- 개봉 29일 차인 6월 14일 토요일, 〈신명〉을 제치고 전일보다 1순위 상승한 박스오피스 3위를 기록했다.
- 개봉 30일 차인 6월 15일 일요일, 〈신명〉에 밀려 전일보다 1순위 하락한 박스오피스 4위를 기록했다.
- 개봉 33일 차인 6월 18일 수요일, 이날 신규 개봉한 〈엘리오〉에 밀려 전일보다 1순위 하락한 박스오피스 5위를 기록했다.
- 개봉 34일 차인 6월 19일 목요일, 이날 신규 개봉한 〈28년 후〉에 밀려 전일보다 1순위 하락한 박스오피스 6위를 기록했다.
- 개봉 35일 차인 6월 20일 금요일, 〈신명〉을 제치고 전일보다 1순위 상승한 박스오피스 5위를 기록했다.
- 6주 차 이후
9.2. 북미
- 개봉 전
- 1주 차
- 주말에 6,403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해 같은 기간 1억 4,601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릴로 & 스티치〉에 이어 주말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다. 이 개봉주 주말 흥행은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중 가장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58]
- 2주 차
- 전주 대비 57% 하락한 2,721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6,18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릴로 & 스티치〉에 이어 주말 박스오피스 2위를 유지했다. 또한 주말이 끝난 개봉 10일 차까지 1억 2,253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 3주 차
- 전주 대비 46% 하락한 1,482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이 주 차에 신규 개봉해 2,45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발레리나〉에 밀려 전주보다 1순위 하락한 주말 박스오피스 3위를 기록했다. 또한 주말이 끝난 개봉 17일 차까지 1억 4,904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 4주 차
- 전주 대비 29% 하락한 1,055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보다 높은 하락세를 보인 〈발레리나〉를 제쳤으나 이 주 차에 신규 개봉한 두 작품에[59] 밀려 전주보다 1순위 하락한 주말 박스오피스 4위를 기록했다. 또한 주말이 끝난 개봉 24일 차까지 1억 6,656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 5주 차
- 전주 대비 39% 하락한 645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보다 높은 하락세를 보인 〈머티리얼리스트〉를 제쳤으나 이 주 차에 신규 개봉한 두 작품에[60] 밀려 전주보다 1순위 하락한 주말 박스오피스 5위를 기록했다. 또한 주말이 끝난 개봉 31일 차까지 1억 7,828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 6주 차
- 7주 차 이후
- 7주 차 당시 일평균 100만 달러 미만인 272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함에 따라 이후로는 유의미한 흥행을 기록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9.3. 일본
|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5년 16주차 ~ 20주차 | → | 2025년 21주차 ~ 22주차 | → | 2025년 23주차 ~ 24주차 |
|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릴로 & 스티치 | ||
|
|
|
|
|
|
|
|
9.4. 대만
| 중화민국 흥행 1위 영화 | ||||
| 2025년 19주 차 | → | 2025년 20~23주 차 | → | 2025년 24주 차 |
| 썬더볼츠*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드래곤 길들이기 | ||
| 대만 박스오피스 | ||||
10. 내한 행사
| 톰 크루즈 12번째 내한 확정 영상 |
2025년 4월 14일, 톰 크루즈의 내한 행사일은 5월 8일에 열렸으며 행사에는 톰 크루즈를 필두로 크리스토퍼 맥쿼리 감독, 헤일리 앳웰, 사이먼 페그, 폼 클레멘티에프, 그레그 타잔 데이비스가 함께 하였다. #[61]
네이버 엔터 치지직 채널에서 단독으로 온라인 생중계가 진행됐다. #
데드 레코닝 내한 당시 펭수가 나왔는데, 이번에도 등장했다. 펭수, ‘톰 크루즈 선배님’과 재회…“‘미임파8’ 파이널일리 없어요!”
보도에 따르면 방탄소년단(BTS) 진을 만나 '달려라 석진' 콘텐츠 녹화에 참여했다고 한다. [단독] ‘미션 임파서블8’ 톰 크루즈, 방탄소년단 진 만났다…‘달려라 석진’ 출연
11. 기타
- 원래 2022년 8월 5일에 개봉할 계획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2024년 3분기로, 이후 2023년 미국작가조합 파업으로 인해 2025년 5월 23일로 두 번 연기되었다. 이는 미션 임파서블의 개봉일인 1996년 5월 22일로부터 29년 1일째가 되는 날이다.
- 개봉 시기 기준 영화 역사상 최대의 순 제작비가 투입된 작품이다.[62] 개봉 전 정보에서 상술되었듯 원래는 이 정도로 제작비가 많이 들어갈 작품이 아니었는데, 파업 사태와 잠수함 고장으로 직격탄을 맞으며 졸지에 기록을 갈아치우게 되었다.
- 헌트가 잠수함에서 엔티티의 추종자를 제압하는 도중에 "인터넷만 하고 사니까 이렇게 되잖아!"라고 소리치는 개그씬이 있는데, 현대 사회에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등한테 시간을 너무 많이 쏟는 사람들에게 날리는 따끔한 충고라는 평이다. 실제로도 인터넷에 시간을 쏟다 보니 거짓정보나 가짜뉴스가 무분별하게 수용되는 사례들이 많은 편임을 감안하면 나름 세태를 지적한 대사로, 극중 엔티티 추종자의 모습도 정황상 인터넷에서의 거짓정보를 신봉하면서 우발적으로 헌트를 습격한 것으로 보인다.
- 메인 SFX는 ILM 사가 맡았다.
- 일본에서는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과 콜라보레이션했다. 티저 포스터는 모리 코고로로 패러디했다. #
- 시리즈 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극중에서 헌트가 미합중국, 그것도 미국 대통령을 통한 공식 백업을 받는다. 모든 시리즈를 통틀어 임무 하달 시에는 “귀하가 잡히거나 적발될 경우 우리 정부는 당신의 존재 자체를 부인할 것입니다“ 라고 코멘트를 하는데, 이번 작에는 대통령이 직접 군 통수권자로서 지원을 하기에 미군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성조기 패치를 붙이고 활약하는 헌트의 모습과 더불어 미군의 개입을 볼 수 있다. 거기다 실제로도 미합중국 해군의 협조를 받아 촬영했다.
- 영화 시작 전에 톰 크루즈의 영상편지가 송출되며, 감독과 출연진, 그리고 30년간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 관심을 가져온 관객들에 대한 헌사를 담아내고 있다.
- 작중 엔티티가 에단에게 보여준 핵전쟁 시퀀스에서 4편에 쓰였던 잠수함에서 핵미사일이 발사되는 장면이 재등장했다.
- 작중 등장하는 둠스데이 볼트는 실존하는 장소가 아니지만, 둠스데이 볼트(Doomsday Vault)라는 단어 자체는 '핵전쟁을 비롯한 재앙으로부터 인류의 유산이나 지식을 보존하기 위한 시설물'을 부르는 별칭으로 널리 쓰인다. 노르웨이의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가 대표적으로 둠스데이 볼트로 불리는 시설 중 하나이다. 바위산에 수백 미터 길이의 동굴을 만들었다는 점을 볼 때 작중 등장하는 둠스데이 볼트도 해당 시설을 모티브로 삼았을 가능성이 있다.
- 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은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를 정말 찍고 싶었는데 한 번도 연락이 오지 않아서 많이 아쉬웠다고 한다. 톰 크루즈의 ‘미션 임파서블’도 끝났으니 이제 그럴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
12. 둘러보기
| 2025년 대한민국 주간·주말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 <rowcolor=#fff,#000> 주 차 | 주간·주말 | 제목 | 제작국 | 누적 관객 수 | 누적 매출액 | |
| 1주 차 (12/30~01/05) | 주간 | 하얼빈 | 대한민국 | 3,672,922명 | 35,098,771,850원 | |
| 주말 | ||||||
| 2주 차 (01/06~01/12) | 주간 | 4,180,392명 | 39,977,137,410원 | |||
| 주말 | ||||||
| 3주 차 (01/13~01/19) | 주간 | 4,495,698명 | 43,005,873,830원 | |||
| 주말 | ||||||
| 4주 차 (01/20~01/26) | 주간 | 검은 수녀들 | 대한민국 | 606,145명 | 5,870,106,460원 | |
| 주말 | ||||||
| 5주 차 (01/27~02/02) | 주간 | 히트맨2 | 대한민국 | 1,968,728명 | 18,538,191,980원 | |
| 주말 | ||||||
| 6주 차 (02/03~02/09) | 주간 | 2,316,089명 | 21,811,970,140원 | |||
| 주말 | ||||||
| 7주 차 (02/10~02/16) | 주간 |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 미국 | 792,684명 | 7,991,117,890원 | |
| 주말 | ||||||
| 8주 차 (02/17~02/23) | 주간 | 1,312,357명 | 13,154,856,306원 | |||
| 주말 | ||||||
| 9주 차 (02/24~03/02) | 주간 | 미키 17 | 미국 | 986,860명 | 9,851,747,920원 | |
| 주말 | ||||||
| 10주 차 (03/03~03/09) | 주간 | 2,098,547명 | 20,808,465,460원 | |||
| 주말 | ||||||
| 11주 차 (03/10~03/16) | 주간 | 2,604,818명 | 25,798,862,450원 | |||
| 주말 | ||||||
| 12주 차 (03/17~03/23) | 주간 | 2,846,356명 | 28,128,597,270원 | |||
| 주말 | ||||||
| 13주 차 (03/24~03/30) | 주간 | 승부 | 대한민국 | 700,838명 | 6,508,485,820원 | |
| 주말 | ||||||
| 14주 차 (03/31~04/06) | 주간 | 1,352,261명 | 12,607,549,480원 | |||
| 주말 | ||||||
| 15주 차 (04/07~04/13) | 주간 | 1,808,659명 | 16,903,138,060원 | |||
| 주말 | ||||||
| 16주 차 (04/14~04/20) | 주간 | 야당 | 대한민국 | 788,483명 | 7,490,520,130원 | |
| 주말 | ||||||
| 17주 차 (04/21~04/27) | 주간 | 1,636,611명 | 15,549,126,830원 | |||
| 주말 | ||||||
| 18주 차 (04/28~05/04) | 주간 | 2,379,871명 | 22,422,454,350원 | |||
| 주말 | ||||||
| 19주 차 (05/05~05/11) | 주간 | 2,981,929명 | 28,200,079,670원 | |||
| 주말 | ||||||
| 20주 차 (05/12~05/18) | 주간 |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미국 | 762,650명 | 7,637,652,220원 | |
| 주말 | ||||||
| 21주 차 (05/19~05/25) | 주간 | 1,839,782명 | 18,370,432,900원 | |||
| 주말 | ||||||
| 22주 차 (05/26~06/01) | 주간 | 2,472,355명 | 24,429,285,860원 | |||
| 주말 | 하이파이브 | 대한민국 | 395,444명 | 3,711,475,430원 | ||
| 23주 차 (06/02~06/08) | 주간 | 1,150,456명 | 10,673,163,130원 | |||
| 주말 | 드래곤 길들이기 | 미국 | 543,116명 | 5,529,879,300원 | ||
| 24주 차 (06/09~06/15) | 주간 | 977,797명 | 9,979,762,790원 | |||
| 주말 | ||||||
| 25주 차 (06/16~06/22) | 주간 | 1,283,620명 | 13,089,245,430원 | |||
| 주말 | ||||||
| 26주 차 (06/23~06/29) | 주간 | F1 더 무비 | 미국 | 482,415명 | 5,213,868,290원 | |
| 주말 | ||||||
| 27주 차 (06/30~07/06) | 주간 |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 미국 | 1,059,478명 | 10,120,122,340원 | |
| 주말 | ||||||
| 28주 차 (07/07~07/13) | 주간 | 1,736,008명 | 16,522,885,930원 | |||
| 주말 | ||||||
| 29주 차 (07/14~07/20) | 주간 | F1 더 무비 | 미국 | 1,873,647명 | 20,229,240,200원 | |
| 주말 | ||||||
| 30주 차 (07/21~07/27) | 주간 | 전지적 독자 시점 | 대한민국 | 627,888명 | 6,300,371,880원 | |
| 주말 | ||||||
| 31주 차 (07/28~08/03) | 주간 | 좀비딸 | 대한민국 | 1,866,096명 | 17,379,003,290원 | |
| 주말 | ||||||
| 32주 차 (08/04~08/10) | 주간 | 3,351,404명 | 31,571,431,160원 | |||
| 주말 | ||||||
| 33주 차 (08/11~08/17) | 주간 | 4,520,891명 | 42,825,939,680원 | |||
| 주말 | ||||||
| 34주 차 (08/18~08/24) | 주간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일본 | 1,649,211명 | 17,965,101,150원 | |
| 주말 | ||||||
| 35주 차 (08/25~08/31) | 주간 | 3,154,063명 | 34,050,295,080원 | |||
| 주말 | ||||||
| 36주 차 (09/01~09/07) | 주간 | 3,957,556명 | 42,762,198,870원 | |||
| 주말 | ||||||
| 37주 차 (09/08~09/14) | 주간 | 4,466,209명 | 48,418,221,580원 | |||
| 주말 | ||||||
| 38주 차 (09/15~09/21) | 주간 | 얼굴 | 대한민국 | 722,668명 | 7,519,271,940원 | |
| 주말 | ||||||
| 39주 차 (09/22~09/28) | 주간 | 어쩔수가없다 | 대한민국 | 1,073,515명 | 10,462,974,350원 | |
| 주말 | ||||||
| 40주 차 (09/29~10/05) | 주간 | 1,858,038명 | 18,229,822,840원 | |||
| 주말 | 보스 | 대한민국 | 671,948명 | 6,502,897,700원 | ||
| 41주 차 (10/06~10/12) | 주간 | 2,036,517명 | 19,678,852,400원 | |||
| 주말 |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 일본 | 1,836,650명 | 19,648,738,930원 | ||
| 42주 차 (10/13~10/19) | 주간 | 2,215,568명 | 23,645,246,490원 | |||
| 주말 | ||||||
| 43주 차 (10/20~10/26) | 주간 | 2,550,221명 | 27,109,069,320원 | |||
| 주말 | ||||||
|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 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량을 기준으로 한다. | }}}}}}}}} | |||||
| {{{#!wiki style="margin: 2px auto 3px; max-width: 100%; color: #fff;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margin: 0 -11px -1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1-25 ]⠀ |
No. 1 2019. 7. 4. | No. 2 2019. 7. 19. | No. 3 2019. 7. 24. | No. 4 2019. 9. 11. | No. 5 2019. 9. 25. |
No. 6 2019. 10. 2. | No. 7 2019. 10. 17. | No. 8 2019. 10. 30. | No. 9 2019. 11. 21. | No. 10 2019. 12. 4. |
No. 11 2019. 12. 24. | No. 12 2020. 1. 8. | No. 13 2020. 1. 22. | No. 14 2020. 2. 5. | No. 15 2020. 2. 19. |
No. 16 2020. 6. 17. | No. 17 2020. 7. 15. | No. 18 2020. 8. 5. | No. 19 2020. 8. 26. | No. 20 2020. 9. 17. |
No. 21 2020. 12. 23. | No. 22 2021. 1. 20. | No. 23 2021. 2. 24. | No. 24 2021. 3. 3. | No. 25 2021. 3. 3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26-50 ]⠀ |
No. 26 2021. 4. 15. | No. 27 2021. 5. 19. | No. 28 2021. 5. 26. | No. 29 2021. 6. 17. | No. 30 2021. 6. 30. |
No. 31 2021. 7. 14. | No. 32 2021. 7. 28. | No. 33 2021. 8. 4. | No. 34 2021. 8. 11. | No. 35 2021. 9. 1. |
No. 36 2021. 9. 29. | No. 37 2021. 10. 13. | No. 38 2021. 10. 20. | No. 39 2021. 10. 27. | No. 40 2021. 11. 10. |
No. 41 2021. 11. 24. | No. 42 2021. 12. 9. | No. 43 2021. 12. 15. | No. 44 2021. 12. 22. | No. 45 2022. 1. 12. |
No. 46 2022. 1. 26. | No. 47 2022. 2. 9. | No. 48 2022. 3. 1. | No. 49 2022. 3. 30. | No. 50 2022. 4. 1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51-75 ]⠀ |
No. 51 2022. 5. 11. | No. 52 2022. 5. 18. | No. 53 2022. 6. 1. | No. 54 2022. 6. 15. | No. 55 2022. 6. 25. |
No. 56 2022. 6. 29. | No. 57 2022. 7. 13. | No. 58 2022. 7. 20. | No. 59 2022. 8. 3. | No. 60 2022. 8. 10. |
No. 61 2022. 10. 12. | No. 62 2022. 10. 15. | No. 63 2022. 10. 19. | No. 64 2022. 11. 30. | No. 65 2022. 12. 21. |
No. 66 2023. 1. 4. | No. 67 2023. 1. 18. | No. 68 2023. 2. 1. | No. 69 2023. 2. 15. | No. 70 2023. 3. 1. |
No. 71 2023. 3. 8. | No. 72 2023. 3. 15. | No. 73 2023. 4. 5. | No. 74 2023. 4. 12. | No. 75 2023. 4. 26. | }}}}}}}}}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No. 76-100 ]⠀ |
No. 76 2023. 4. 29. | No. 77 2023. 5. 3. | No. 78 2023. 5. 17. | No. 79 2023. 5. 24. | No. 80 2023. 5. 31. |
No. 81 2023. 6. 14. | No. 82 2023. 6. 21. | No. 83 2023. 7. 5. | No. 84 2023. 7. 19. | No. 85 2023. 7. 26. |
No. 86 2023. 8. 9. | No. 87 2023. 8. 15. | No. 88 2023. 9. 13. | No. 89 2023. 10. 4. | No. 90 2023. 10. 11. |
No. 91 2023. 10. 18. | No. 92 2023. 10. 25. | No. 93 2023. 11. 8. | No. 94 2023. 11. 22. | No. 95 2023. 12. 20. |
No. 96 2023. 12. 23. | No. 97 2023. 12. 27. | No. 98 2024. 1. 3. | No. 99 2024. 1. 24. | No. 100 2024. 1. 31. |
#######################
- ⠀[ No. 101-125 ]⠀
- ###### 5-1행 제목 ######No. 101
2024. 2. 14.No. 102
2024. 2. 22.No. 103
2024. 2. 28.No. 104
2024. 3. 6.No. 105
2024. 3. 13.No. 106
2024. 3. 20.No. 107
2024. 4. 10.No. 108
2024. 4. 13.No. 109
2024. 4. 24.No. 110
2024. 5. 22.No. 111
2024. 5. 29.No. 112
2024. 6. 5.No. 113
2024. 6. 12.No. 114
2024. 6. 26.No. 115
2024. 7. 3.No. 116
2024. 7. 11.No. 117
2024. 7. 24.No. 118
2024. 8. 7.No. 119
2024. 8. 14.No. 120
2024. 9. 4.No. 121
2024. 9. 5.No. 122
2024. 10. 1.No. 123
2024. 10. 4.No. 124
2024. 10. 23.No. 125
2024. 11. 6.
#######################
- ⠀[ No. 126-150 ]⠀
- ###### 6-1행 제목 ######No. 126
2024. 11. 20.No. 127
2024. 11. 27.No. 128
2024. 12. 18.No. 129
2024. 12. 31.No. 130
2025. 1. 24.No. 131
2025. 1. 27.No. 132
2025. 2. 26.No. 133
2025. 2. 28.No. 134
2025. 3. 13.No. 135
2025. 3. 19.No. 136
2025. 4. 10.No. 137
2025. 4. 16.No. 138
2025. 5. 7.No. 139
2025. 5. 17.No. 140
2025. 5. 29.No. 141
2025. 6. 6.No. 142
2025. 7. 2.No. 143
2025. 7. 9.No. 144
2025. 7. 30.No. 145
2025. 8. 6.No. 146
2025. 8. 25.No. 147
2025. 9. 12.No. 148
2025. 9. 24.No. 149
2025. 10. 1.No. 150
2025. 10. 16.
#######################
- ⠀[ No. 151-175 ]⠀
- ###### 7-1행 제목 ######
베이비걸 프레데터: 죽음의 땅 No. 151
2025. 10. 22.No. 152
2025. 10. 29.No. 153
2025. 11. 5.
#####################
- ⠀[ Re. ]⠀
- ###### Re-1행 제목 ######Re. 1
2020. 3. 25.Re. 2
2020. 6. 11.Re. 3
2020. 10. 28.Re. 4
2021. 3. 11.Re. 4
2021. 3. 18.Re. 4
2021. 3. 18.Re. 5
2021. 3. 17.Re. 6
2021. 5. 5.Re. 7
2021. 9. 9.Re. 8
2021. 9. 15.Re. 9
2021. 10. 6.Re. 10
2021. 11. 18.Re. 11
2022. 2. 24.Re. 12
2022. 4. 20.Re. 13
2022. 9. 21.Re. 14
2022. 11. 2.Re. 15
2023. 2. 8.Re. 16
2023. 4. 1.Re. 17
2023. 5. 27.Re. 18
2023. 6. 28.Re. 19
2023. 9. 9.Re. 20
2023. 11. 15.Re. 21
2023. 11. 30.Re. 22
2023. 12. 6.Re. 23
2024. 3. 27.Re. 24
2024. 5. 8.Re. 25
2024. 5. 30.Re. 26
2024. 9. 18.Re. 27
2024. 9. 25.Re. 28
2024. 10. 9.Re. 29
2024. 11. 13.Re. 30
2024. 12. 11.Re. 31
2025. 1. 1.Re. 32
2025. 2. 12.Re. 33
2025. 4. 9.Re. 34
2025. 6. 25.Re. 35
2025. 7. 5.Re. 36
2025. 8. 29.Re. 37
2025. 9. 11.Re. 38
2025. 9. 17.
######################
}}}}}} ||- ⠀[ Special ]⠀
- ###### Sp-1행 제목 ######
<nopad> Sp. 1
2019. 8. 7.Sp. 2
2019. 12. 14.Sp. 3
2020. 4. 29.Sp. 4
2020. 7. 23.Sp. 5
2020. 8. 6.Sp. 6
2021. 1. 27.Sp. 6
2021. 6. 16.Sp. 7
2023. 6. 10.Sp. 8
2023. 11. 10.Sp. 9
2023. 12. 24.Sp. 10
2024. 10. 16.Sp. 11
2025. 4. 24.Sp. 12
2025. 5. 16.Sp. 13
2025. 9. 18.Sp. 14
2025. 9. 24.Sp. 14
2025. 9. 24.Sp. 14
2025. 10. 1.Sp. 14
2025. 10. 1.Sp. 15
2025. 10. 8.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No. 1-20 ]⠀ |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 거미집 | 1947 보스톤 | 화란 | 블루 자이언트 |
No. 1 2023. 9. 27. | No. 2 2023. 9. 28. | No. 3 2023. 9. 29. | No. 4 2023. 10. 11. | No. 5 2023. 10. 18. | |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 괴물 | 나폴레옹 | 노량: 죽음의 바다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
No. 6 2023. 10. 25. | No. 7 2023. 11. 29. | No. 8 2023. 12. 6. | No. 9 2023. 12. 20. | No. 10 2023. 12. 20. | |
| 위시 | 스즈메의 문단속 | 상견니 | 웡카 | 귀멸의 칼날: 인연의 기적, 그리고 합동 강화 훈련으로 | |
No. 11 2024. 1. 3. | No. 12 2024. 1. 10. | No. 13 2024. 1. 25. | No. 14 2024. 1. 31. | No. 15 2024. 2. 14. | |
| 파묘 | 듄: 파트 2 | 패스트 라이브즈 | 메이 디셈버 |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 | |
No. 16 2024. 2. 22. | No. 17 2024. 2. 28. | No. 18 2024. 3. 6. | No. 19 2024. 3. 13. | No. 20 2024. 3. 20. |
- ⠀[ No. 21-4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0d3ea3>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쿵푸팬더 4 챌린저스 No. 21
2024. 3. 27.No. 22
2024. 4. 3.No. 23
2024. 4. 3.No. 24
2024. 4. 10.No. 25
2024. 4. 24.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가필드 더 무비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No. 26
2024. 5. 8.No. 27
2024. 5. 15.No. 28
2024. 5. 15.No. 29
2024. 5. 22.No. 30
2024. 5. 22.설계자 원더랜드 인사이드 아웃 2 하이재킹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No. 31
2024. 5. 29.No. 32
2024. 6. 5.No. 33
2024. 6. 12.No. 34
2024. 6. 21.No. 35
2024. 6. 26.데드풀과 울버린 슈퍼배드 4 파일럿 에이리언: 로물루스 행복의 나라 No. 36
2024. 7. 24.No. 37
2024. 7. 24.No. 38
2024. 7. 31.No. 39
2024. 8. 14.No. 40
2024. 8. 14.
- ⠀[ No. 41-6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DAD3CB>안녕, 할부지
러빙 빈센트 베테랑2 극장총집편 봇치 더 록! 후편 트랜스포머 ONE No. 41
2024. 9. 4.No. 42
2024. 9. 5.No. 43
2024. 9. 13.No. 44
2024. 9. 25.No. 45
2024. 9. 25.조커: 폴리 아 되 너의 색 베놈: 라스트 댄스 날씨의 아이 글래디에이터 II No. 46
2024. 10. 1.No. 47
2024. 10. 12.No. 48
2024. 10. 23.No. 49
2024. 10. 30.No. 50
2024. 11. 13.사흘 위키드 모아나 2 나 혼자만 레벨업 -리어웨이크닝- 서브스턴스 No. 51
2024. 11. 14.No. 52
2024. 11. 20.No. 53
2024. 11. 27.No. 54
2024. 11. 28.No. 55
2024. 12. 11.극장판 주술회전 0 무파사: 라이온 킹 하얼빈 시빌 워: 분열의 시대 수퍼 소닉3 No. 56
2024. 12. 11.No. 57
2024. 12. 18.No. 58
2024. 12. 24.No. 59
2024. 12. 31.No. 60
2025. 1. 1.
- ⠀[ No. 61-8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110907>페라리
히트맨2 검은 수녀들 극장판 쿠로코의 농구 라스트 게임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No. 61
2025. 1. 8.No. 62
2025. 1. 24.No. 63
2025. 1. 24.No. 64
2025. 2. 5.No. 65
2025. 2. 12.컴플리트 언노운 미키 17 위플래쉬 백설공주 승부 No. 66
2025. 2. 26.No. 67
2025. 2. 28.No. 68
2025. 3. 12.No. 69
2025. 3. 19.No. 70
2025. 3. 26.베러맨 아마추어 썬더볼츠* 파과 괴수 8호: 미션 리컨 No. 71
2025. 4. 9.No. 72
2025. 4. 9.No. 73
2025. 4. 30.No. 74
2025. 4. 30.No. 75
2025. 5. 7.바이러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릴로 & 스티치 소주전쟁 No. 76
2025. 5. 7.No. 77
2025. 5. 10.No. 78
2025. 5. 17.No. 79
2025. 5. 21.No. 80
2025. 5. 30.
- ⠀[ No. 81-10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28627A>드래곤 길들이기
인생은 아름다워 엘리오 퀴어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No. 81
2025. 6. 6.No. 82
2025. 6. 11.No. 83
2025. 6. 18.No. 84
2025. 6. 20.No. 85
2025. 6. 25.F1 더 무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슈퍼맨 전지적 독자 시점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No. 86
2025. 6. 25.No. 87
2025. 7. 2.No. 88
2025. 7. 9.No. 89
2025. 7. 23.No. 90
2025. 7. 24.좀비딸 발레리나 스머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첫사랑 엔딩 No. 91
2025. 7. 30.No. 92
2025. 8. 6.No. 93
2025. 8. 6.No. 94
2025. 8. 25.No. 95
2025. 8. 27.토이 스토리 모노노케 히메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어쩔수가없다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No. 96
2025. 9. 10.No. 97
2025. 9. 17.No. 98
2025. 9. 24.No. 99
2025. 9. 24.No. 100
2025. 10. 1.
- ⠀[ No. 101-12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ECEDC3>연의 편지
나쁜계집애: 달려라 하니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 코렐라인 부고니아 No. 101
2025. 10. 1.No. 102
2025. 10. 7.No. 103
2025. 10. 16.No. 104
2025. 10. 22.No. 105
2025. 11. 5.프레데터: 죽음의 땅 No. 106
2025. 11. 5.
- ⠀[ ICECON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0D0605>크레센도
지오디 마스터피스 더 무비 월레스와 그로밋 더 클래식 컬렉션 에픽하이 20 더 무비 슈가 | 어거스트 디 투어 '디-데이' 더 무비 No. 1
2023. 12. 20.No. 2
2024. 1. 10.No. 3
2024. 2. 21.No. 4
2024. 3. 20.No. 5
2024. 4. 10.에스파: 월드 투어 인 시네마 이준호 콘서트: 다시 만나는 날 블랙핑크 월드투어 [본 핑크] 인 시네마 임영웅│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레드불 T1 다큐멘터리: 함께 날아오르다 No. 6
2024. 4. 10.No. 7
2024. 7. 24.No. 8
2024. 7. 31.No. 9
2024. 8. 28.No. 10
2024. 9. 4.정국: 아이 엠 스틸 하이라이트: 라이츠 고 온 어게인 인 시네마 백현: 론스달라이트 닷 인 시네마 엔시티 드림 미스터리 랩: 드림 이스케이프 인 시네마 아이유 콘서트 : 더 위닝 No. 11
2024. 9. 18.No. 12
2024. 10. 16.No. 13
2024. 11. 27.No. 14
2024. 12. 11.No. 15
2025. 1. 24.에이티즈 월드 투어 [투워즈 더 라이트 : 윌 투 파워] 인 시네마 이세계 페스티벌 2025 - 이세계아이돌 Part 6DAYS 원 인 어 밀리언 No. 16
2025. 5. 7.No. 17
2025. 5. 17.No. 18
2025. 8. 13.No. 19
2025. 10. 21.
- ⠀[ Special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03152D>밤낚시
깊이 빠져 보다: 알버트 미생: 더할 나위 없었다 뜻밖의 순간 : 언익스펙티드 저니 플로우 Sp. 1
2024. 6. 14.Sp. 2
2024. 8. 1.Sp. 3
2024. 12. 20.Sp. 4
2025. 1. 24.Sp. 5
2025. 2. 26.어쩔수가없다 아티스트 배지 수집용 스페셜 TTT Sp. 6
2025. 9. 1.Sp. 7
2025. 9. 1.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0%" {{{#!folding ⠀[ No. 1-20 ]⠀ | 반도 | 강철비2: 정상회담 |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 테넷 | 나의 소녀시대 |
No. 1 2020. 7. 15. | No. 2 2020. 7. 29. | No. 3 2020. 8. 5. | No. 4 2020. 8. 26. | No. 5 2020. 8. 26. | |
| 기기괴괴-성형수 | 뮬란 | 삼진그룹 영어토익반 | 위플래쉬 | 런 | |
No. 6 2020. 9. 9. | No. 7 2020. 9. 17. | No. 8 2020. 10. 22. | No. 9 2020. 10. 28. | No. 10 2020. 11. 20. | |
| 조제 | 원더우먼 1984 | 새해전야 | 신과함께-죄와 벌 | 신과함께-인과 연 | |
No. 11 2020. 12. 10. | No. 12 2020. 12. 23. | No. 13 2021. 2. 10. | No. 14 2021. 1. 8. | No. 15 2021. 1. 21. | |
| 소울 | 캐롤 |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 미나리 | 고질라 VS. 콩 | |
No. 16 2021. 1. 20. | No. 17 2021. 1. 27. | No. 18 2021. 3. 4. | No. 19 2021. 3. 18. | No. 20 2021. 3. 25. |
- ⠀[ No. 21-4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1E1E1>자산어보
서복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No. 21
2021. 3. 31.No. 22
2021. 4. 15.No. 23
2021. 4. 16.No. 24
2021. 4. 22.No. 25
2021. 4. 29.스파이럴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크루엘라 캐시트럭 콰이어트 플레이스 2 No. 26
2021. 5. 12.No. 27
2021. 5. 19.No. 28
2021. 5. 26.No. 29
2021. 6. 9.No. 30
2021. 6. 16.루카 킬러의 보디가드 2 인 더 하이츠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블랙 위도우 No. 31
2021. 6. 17.No. 32
2021. 6. 23.No. 33
2021. 6. 30.No. 34
2021. 6. 30.No. 35
2021. 7. 14.랑종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 보스 베이비 2 이도공간 정글 크루즈 No. 36
2021. 7. 14.No. 37
2021. 7. 14.No. 38
2021. 7. 21.No. 39
2021. 7. 21.No. 40
2021. 7. 28.
- ⠀[ No. 41-6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296EAF>모가디슈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인질 레미니센스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No. 41
2021. 7. 28.No. 42
2021. 8. 4.No. 43
2021. 8. 18.No. 44
2021. 8. 25.No. 45
2021. 9. 1.기적 007 노 타임 투 다이 용과 주근깨 공주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듄 No. 46
2021. 9. 15.No. 47
2021. 9. 29.No. 48
2021. 9. 29.No. 49
2021. 10. 13.No. 50
2021. 10. 20.고장난 론 이터널스 엔칸토: 마법의 세계 매트릭스 리슨 No. 51
2021. 10. 27.No. 52
2021. 11. 10.No. 53
2021. 11. 24.No. 54
2021. 12. 9.No. 55
2021. 12. 9.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매트릭스: 리저렉션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경관의 피 특송 No. 56
2021. 12. 15.No. 57
2021. 12. 22.No. 58
2021. 12. 22.No. 59
2022. 1. 5.No. 60
2021. 1. 12.
- ⠀[ No. 61-8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0000>레지던트 이블: 라쿤시티
해적: 도깨비 깃발 킹메이커 나일 강의 죽음 언차티드 No. 61
2022. 1. 19.No. 62
2022. 1. 26.No. 63
2022. 1. 26.No. 64
2022. 2. 9.No. 65
2022. 2. 16.시라노 더 배트맨 모비우스 수퍼 소닉 2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No. 66
2022. 2. 23.No. 67
2022. 3. 1.No. 68
2022. 3. 30.No. 69
2022. 4. 6.No. 70
2022. 4. 13.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범죄도시2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브로커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No. 71
2022. 5. 11.No. 72
2022. 5. 18.No. 73
2022. 6. 1.No. 74
2022. 6. 8.No. 75
2022. 6. 15.버즈 라이트이어 탑건: 매버릭 헤어질 결심 토르: 러브 앤 썬더 엘비스 No. 76
2022. 6. 15.No. 77
2022. 6. 22.No. 78
2022. 6. 29.No. 79
2022. 7. 13.No. 80
2022. 7. 13.
- ⠀[ No. 81-10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FB7344>미니언즈 2
외계+인 1부 한산: 용의 출현 비상선언 헌트 No. 81
2022. 7. 20.No. 82
2022. 7. 20.No. 83
2022. 7. 27.No. 84
2022. 8. 3.No. 85
2022. 2. 16.불릿 트레인 공조2: 인터내셔날 인생은 아름다워 정직한 후보 2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No. 86
2022. 8. 24.No. 87
2022. 9. 7.No. 88
2022. 9. 28.No. 89
2022. 9. 28.No. 90
2022. 10. 12.블랙 아담 자백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데시벨 스트레인지 월드 No. 91
2022. 10. 19.No. 92
2022. 10. 26.No. 93
2022. 11. 9.No. 94
2022. 11. 16.No. 95
2022. 11. 23.올빼미 원피스 필름 레드 아바타: 물의 길 영웅 젠틀맨 No. 96
2022. 11. 23.No. 97
2022. 11. 30.No. 98
2022. 12. 21.No. 99
2022. 12. 21.No. 100
2022. 12. 28.
- ⠀[ No. 101-12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D15345>스위치
더 퍼스트 슬램덩크 교섭 유령 바빌론 No. 101
2023. 1. 4.No. 102
2023. 1. 14.No. 103
2023. 1. 18.No. 104
2023. 1. 18.No. 105
2023. 2. 1.타이타닉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대외비 스즈메의 문단속 사잠! 신들의 분노 No. 106
2023. 2. 8.No. 107
2023. 2. 15.No. 108
2023. 3. 1.No. 109
2023. 3. 8.No. 110
2023. 3. 15.소울메이트 던전 앤 드래곤: 도적들의 명예 존 윅 4 거울 속 외딴 성 킬링 로맨스 No. 111
2023. 3. 15.No. 112
2023. 3. 29.No. 113
2023. 4. 12.No. 114
2023. 4. 12.No. 115
2023. 4. 14.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슬픔의 삼각형 스즈메의 문단속 No. 116
2023. 4. 26.No. 117
2023. 5. 3.No. 118
2023. 5. 10.No. 119
2023. 5. 17.No. 120
2023. 5. 17.
- ⠀[ No. 121-14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5f504b>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 인어공주 범죄도시3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No. 121
2023. 5. 16.No. 122
2023. 5. 24.No. 123
2023. 5. 24.No. 124
2023. 5. 31.No. 125
2023. 6. 6.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엘리멘탈 플래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귀공자 No. 126
2023. 6. 14.No. 127
2023. 6. 14.No. 128
2023. 6. 15.No. 129
2023. 6. 21.No. 130
2023. 6. 21.애스터로이드 시티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여름날 우리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밀수 No. 131
2023. 6. 28.No. 132
2023. 6. 28.No. 133
2023. 6. 28.No. 134
2023. 7. 12.No. 135
2023. 7. 26.바비 더 문 비공식작전 콘크리트 유토피아 오펜하이머 No. 136
2023. 7. 26.No. 137
2023. 8. 2.No. 138
2023. 8. 2.No. 139
2023. 8. 9.No. 140
2023. 8. 15.
- ⠀[ No. 141-16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51c2f>잠
닌자터틀: 뮤턴트 대소동 거미집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1947 보스톤 No. 141
2023. 9. 6.No. 142
2023. 9. 14.No. 143
2023. 9. 27.No. 144
2023. 9. 27.No. 145
2023. 9. 27.크리에이터 화란 블루 자이언트 플라워 킬링 문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No. 146
2023. 10. 4.No. 147
2023. 10. 11.No. 148
2023. 10. 18.No. 149
2023. 10. 19.No. 150
2023. 10. 25.톡 투 미 키리에의 노래 서울의 봄 괴물 싱글 인 서울 No. 151
2023. 11. 1.No. 152
2023. 11. 1.No. 153
2023. 11. 22.No. 154
2023. 11. 29.No. 155
2023. 11. 29.나폴레옹 3일의 휴가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노량: 죽음의 바다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No. 156
2023. 12. 6.No. 157
2023. 12. 6.No. 158
2023. 12. 20.No. 159
2023. 12. 20.No. 160
2023. 12. 27.
- ⠀[ No. 161-18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82b70>위시
립세의 사계 웡카 소풍 파묘 No. 161
2024. 1. 3.No. 162
2024. 1. 10.No. 163
2024. 1. 31.No. 164
2024. 2. 7.No. 165
2024. 2. 22.가여운 것들 밥 말리: 원 러브 메이 디셈버 오멘: 저주의 시작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No. 166
2024. 3. 6.No. 167
2024. 3. 13.No. 168
2024. 3. 13.No. 169
2024. 4. 6.No. 170
2024. 4. 10.쿵푸팬더 4 범죄도시4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이프: 상상의 친구 No. 171
2024. 4. 10.No. 172
2024. 4. 24.No. 173
2024. 5. 8.No. 174
2024. 5. 15.No. 175
2024. 5. 15.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 설계자 드림 시나리오 존 오브 인터레스트 No. 176
2024. 5. 22.No. 177
2024. 5. 22.No. 178
2024. 5. 31.No. 179
2024. 5. 29.No. 180
2024. 6. 5.
- ⠀[ No. 181-20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ffcc9f>원더랜드
인사이드 아웃 2 하이재킹 핸섬가이즈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No. 181
2024. 6. 5.No. 182
2024. 6. 12.No. 183
2024. 6. 21.No. 184
2024. 6. 26.No. 185
2024. 6. 26.탈주 슈퍼배드 4 데드풀과 울버린 파일럿 리볼버 No. 186
2024. 7. 3.No. 187
2024. 7. 24.No. 188
2024. 7. 24.No. 189
2024. 7. 31.No. 190
2024. 8. 7.빅토리 행복의 나라 에이리언: 로물루스 비틀쥬스 비틀쥬스 우리가 끝이야 No. 191
2024. 8. 14.No. 192
2024. 8. 14.No. 193
2024. 8. 14.No. 194
2024. 9. 4.No. 195
2024. 9. 13.트랜스포머 ONE 대도시의 사랑법 조커: 폴리 아 되 베테랑2 보통의 가족 No. 196
2024. 9. 25.No. 197
2024. 10. 1.No. 198
2024. 10. 1.No. 199
2024. 10. 2.No. 200
2024. 10. 16.
- ⠀[ No. 201-22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f9f9f9>스마일 2
베놈: 라스트 댄스 아마존 활명수 청설 글래디에이터 II No. 201
2024. 10. 16.No. 202
2024. 10. 23.No. 203
2024. 10. 30.No. 204
2024. 11. 6.No. 205
2024. 11. 13.4월이 되면 그녀는 사흘 히든페이스 위키드 모아나 2 No. 206
2024. 11. 13.No. 207
2024. 11. 14.No. 208
2024. 11. 20.No. 209
2024. 11. 20.No. 210
2024. 11. 27.1승 소방관 서브스턴스 대가족 무파사: 라이온 킹 No. 211
2024. 12. 4.No. 212
2024. 12. 4.No. 213
2024. 12. 11.No. 214
2024. 12. 11.No. 215
2024. 12. 18.하얼빈 시빌 워: 분열의 시대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수퍼 소닉3 페라리 No. 216
2024. 12. 24.No. 217
2024. 12. 31.No. 218
2024. 12. 31.No. 219
2025. 1. 1.No. 220
2025. 1. 8.
- ⠀[ No. 221-24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264184>히트맨2
검은 수녀들 말할 수 없는 비밀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퇴마록 No. 221
2025. 1. 22.No. 222
2025. 1. 24.No. 223
2025. 1. 27.No. 224
2025. 2. 12.No. 225
2025. 2. 21.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한국 영화)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미키 17 노보케인 플로우 No. 226
2025. 2. 21.No. 227
2025. 2. 26.No. 228
2025. 2. 28.No. 229
2025. 3. 12.No. 230
2025. 3. 19.백설공주 스트리밍 승부 아마추어 야당 No. 231
2025. 3. 19.No. 232
2025. 3. 21.No. 233
2025. 3. 26.No. 234
2025. 4. 9.No. 235
2025. 4. 16.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썬더볼츠* 파과 괴수 8호: 미션 리컨 바이러스 No. 236
2025. 4. 30.No. 237
2025. 4. 30.No. 238
2025. 4. 30.No. 239
2025. 5. 7.No. 240
2025. 5. 7.
- ⠀[ No. 241-260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db9706>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릴로 & 스티치 하이파이브 소주전쟁 드래곤 길들이기 No. 241
2025. 5. 17.No. 242
2025. 5. 21.No. 243
2025. 5. 30.No. 244
2025. 5. 30.No. 245
2025. 6. 6.태양의 노래 엘리오 F1 더 무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슈퍼맨 No. 246
2025. 6. 11.No. 247
2025. 6. 18.No. 248
2025. 6. 25.No. 249
2025. 7. 2.No. 250
2025. 7. 9.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전지적 독자 시점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좀비딸 스머프 No. 251
2025. 7. 23.No. 252
2025. 7. 23.No. 253
2025. 7. 24.No. 254
2025. 7. 30.No. 255
2025. 8. 6.발레리나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얼굴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어쩔수가없다 No. 256
2025. 8. 6.No. 257
2025. 8. 25.No. 258
2025. 9. 11.No. 259
2025. 9. 24.No. 260
2025. 9. 24.
- ⠀[ No. 261-280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D06221>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연의 편지 나쁜계집애: 달려라 하니 트론: 아레스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 No. 261
2025. 10. 1.No. 262
2025. 10. 1.No. 263
2025. 10. 7.No. 264
2025. 10. 8.No. 265
2025. 10. 16.퍼스트 라이드 프레데터: 죽음의 땅 No. 266
2025. 10. 29.No. 267
2025. 11. 5.
- ⠀[ Sp. 1-2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947EA9>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팬텀: 더 뮤지컬 라이브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비상선언 Sp. 1
2021. 9. 9.Sp. 2
2021. 9. 9.Sp. 3
2021. 12. 1.Sp. 4
2022. 4. 21.Sp. 5
2022. 8. 3.모가디슈(재개봉) 원피스 필름 레드 탑건: 매버릭 아바타: 물의 길 초속 5센티미터 Sp. 6
2022. 9. 7.Sp. 7
2022. 11. 30.Sp. 8
2022. 12. 7.Sp. 9
2022. 12. 14.Sp. 10
2023. 4. 20.BTS Solo Documentaries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올드보이 그래비티 다크 나이트 Sp. 11
2023. 6. 16.Sp. 12
2023. 7. 5.Sp. 13
2023. 9. 20.Sp. 14
2023. 10. 25.Sp. 15
2023. 11. 15.시간을 달리는 소녀 러브 액츄얼리 냉정과 열정사이 겨울왕국
겨울왕국 2스즈메의 문단속 Sp. 16
2023. 11. 22.Sp. 17
2023. 12. 6.Sp. 18
2023. 12. 6.Sp. 19
2023. 12. 7.Sp. 20
2024. 1. 10.
- ⠀[ Sp. 21-4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6cb7>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작은 아씨들 이프 온리 추락의 해부 Sp. 21
2024. 1. 17.Sp. 22
2024. 1. 17.Sp. 23
2024. 2. 14.Sp. 24
2024. 2. 21.Sp. 25
2024. 2. 28.패스트 라이브즈 로봇 드림 이승윤 콘서트 도킹 : 리프트오프 남은 인생 10년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 Sp. 26
2024. 2. 29.Sp. 27
2024. 3. 4.Sp. 28
2024. 3. 22.Sp. 29
2024. 4. 3.Sp. 30
2024. 4. 10.목소리의 형태 김준수 콘서트 무비 챕터 원: 레크리에이션 태극기 휘날리며 너는 달밤에 빛나고 그녀 Sp. 31
2024. 5. 9.Sp. 32
2024. 6. 5.Sp. 33
2024. 6. 6.Sp. 34
2024. 6. 12.Sp. 35
2024. 6. 12.듄: 파트 2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소년시절의 너 슈퍼배드 3
미니언즈극장판 바이올렛 에버가든 Sp. 36
2024. 6. 19.Sp. 37
2024. 6. 26.Sp. 38
2024. 6. 26.Sp. 39
2024. 7. 3.Sp. 40
2024. 7. 3.
- ⠀[ Sp. 41-6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4599a4>바이올렛 에버가든 외전: 영원과 자동수기인형
러브 라이즈 블리딩 볼빨간사춘기: 메리 고 라운드 더 무비 그리고 바통은 넘겨졌다 호밀밭의 반항아 Sp. 41
2024. 7. 3.Sp. 42
2024. 7. 10.Sp. 43
2024. 7. 12.Sp. 44
2024. 7. 17.Sp. 45
2024. 8. 21.비긴 어게인 수 분간의 응원을 아이브 더 퍼스트 월드투어 인 시네마 보이후드 4분 44초 Sp. 46
2024. 9. 18.Sp. 47
2024. 9. 25.Sp. 48
2024. 10. 16.Sp. 49
2024. 10. 30.Sp. 50
2024. 11. 1.극장판 미스터리라 하지 말지어다 포레스트 검프 김범수 25주년 콘서트 필름 : 여행 이터널 선샤인 데드데드 데몬즈 디디디디 디스트럭션: 파트1 Sp. 51
2024. 11. 27.Sp. 52
2024. 12. 4.Sp. 53
2024. 12. 11.Sp. 54
2024. 12. 18.Sp. 55
2025. 1. 8.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죽은 시인의 사회 데드데드 데몬즈 디디디디 디스트럭션: 파트2 클로저 500일의 썸머 Sp. 56
2025. 1. 22.Sp. 57
2025. 1. 27.Sp. 58
2025. 2. 5.Sp. 59
2025. 2. 5.Sp. 60
2025. 2. 12.
- ⠀[ Sp. 61-8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8e6da>패딩턴: 페루에 가다!
양들의 침묵 위플래쉬 에밀리아 페레즈 존 윅 Sp. 61
2025. 2. 19.Sp. 62
2025. 3. 7.Sp. 63
2025. 3. 12.Sp. 64
2025. 3. 12.Sp. 65
2025. 3. 19.패왕별희 디 오리지널 케이온 헤레틱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마리아 Sp. 66
2025. 3. 26.Sp. 67
2025. 3. 26.Sp. 68
2025. 4. 2.Sp. 69
2025. 4. 9.Sp. 70
2025. 4. 16.4월 이야기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플립 아마데우스 오리지널 리마스터링 Sp. 71
2025. 4. 30.Sp. 72
2025. 5. 10.Sp. 73
2025. 5. 14.Sp. 74
2025. 5. 21.Sp. 75
2025. 6. 4.빅 피쉬 클리프행어 리마스터드 시네마 천국 영화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외로움쟁이 용 셔터 아일랜드 Sp. 76
2025. 6. 11.Sp. 77
2025. 6. 18.Sp. 78
2025. 7. 2.Sp. 79
2025. 7. 10.Sp. 80
2025. 7. 23.
- ⠀[ Sp. 81-100 ]⠀
- ||<tablewidth=100%><width=2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DED0C3>죠스
로마의 휴일 E.T. 괴물의 아이 대부 Sp. 81
2025. 8. 6.Sp. 82
2025. 8. 20.Sp. 83
2025. 9. 3.Sp. 84
2025. 9. 10.Sp. 85
2025. 9. 17.모노노케 히메 100미터. 대부 2 늑대아이 이노센스 Sp. 86
2025. 9. 17.Sp. 87
2025. 10. 8.Sp. 88
2025. 10. 15.Sp. 89
2025. 10. 22.Sp. 90
2025. 10. 29.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Sp. 91
2025. 11.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No. 1-20 ]⠀ | 킬러의 보디가드 2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 블랙 위도우 |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 | 랑종 |
No. 1 2021. 6. 23. | No. 2 2021. 6. 30. | No. 3 2021. 7. 14. | No. 4 2021. 7. 14. | No. 5 2021. 7. 14. | |
|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 | 모가디슈 | 인질 | 귀문 |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 |
No. 6 2021. 7. 21. | No. 7 2021. 7. 28. | No. 8 2021. 8. 18. | No. 9 2021. 8. 25. | No. 10 2021. 9. 1. | |
| 보이스 | 정글의 아이, 코코 | 그래비티 |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 듄 | |
No. 11 2021. 9. 15. | No. 12 2021. 9. 22. | No. 13 2021. 10. 6. | No. 14 2021. 10. 13. | No. 15 2021. 10. 20. | |
| 라스트 듀얼: 최후의 결투 | 이터널스 | 연애 빠진 로맨스 | 유체이탈자 | 엔칸토: 마법의 세계 | |
No. 16 2021. 10. 20. | No. 17 2021. 11. 10. | No. 18 2021. 11. 24. | No. 19 2021. 11. 24. | No. 20 2021. 11. 24. |
- ⠀[ No. 21-4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000000>팬텀: 더 뮤지컬 라이브
라스트 나잇 인 소호 매트릭스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No. 21
2021. 12. 1.No. 22
2021. 12. 1.No. 23
2021. 12. 9.No. 24
2021. 12. 15.No. 25
2021. 12. 22.매트릭스: 리저렉션 특송 하우스 오브 구찌 킹메이커 나일 강의 죽음 No. 26
2021. 12. 22.No. 27
2022. 1. 12.No. 28
2022. 1. 19.No. 29
2022. 1. 26.No. 30
2022. 2. 16.더 배트맨 뜨거운 피 모비우스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No. 31
2022. 3. 1.No. 32
2022. 3. 23.No. 33
2022. 3. 30.No. 34
2022. 4. 13.No. 35
2022. 5. 4.범죄도시2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브로커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버즈 라이트이어(애니메이션) No. 36
2022. 5. 18.No. 37
2022. 6. 1.No. 38
2022. 6. 8.No. 39
2022. 6. 15.No. 40
2022. 6. 15.
- ⠀[ No. 41-6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E1D2B9>탑건: 매버릭
헤어질 결심 토르: 러브 앤 썬더 멘 외계+인 1부 No. 41
2022. 6. 22.No. 42
2022. 7. 6.No. 43
2022. 7. 6.No. 44
2022. 7. 13.No. 45
2022. 7. 20.한산: 용의 출현 비상선언 오싹한 동거 불릿 트레인 파라다이스 하이웨이 No. 46
2022. 8. 3.No. 47
2022. 8. 3.No. 48
2022. 8. 17.No. 49
2022. 8. 24.No. 50
2022. 8. 26.공조2: 인터내셔날 아바타 리마스터링 늑대사냥 정직한 후보 2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 No. 51
2022. 9. 7.No. 52
2022. 9. 21.No. 53
2022. 9. 21.No. 54
2022. 9. 28.No. 55
2022. 9. 28.대무가 블랙 아담 프로메어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데시벨 No. 56
2022. 10. 12.No. 57
2022. 10. 19.No. 58
2022. 10. 20.No. 59
2022. 11. 9.No. 60
2022. 11. 16.
- ⠀[ No. 61-8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445555>올빼미
원피스 필름 레드 압꾸정 아바타: 물의 길 영웅 No. 61
2022. 11. 23.No. 62
2022. 11. 30.No. 63
2022. 11. 30.No. 64
2022. 12. 14.No. 65
2022. 12. 21.3000년의 기다림 더 퍼스트 슬램덩크 교섭 유령 바빌론 No. 66
2023. 1. 4.No. 67
2023. 1. 4.No. 68
2023. 1. 18.No. 69
2023. 1. 18.No. 70
2023. 2. 1.다음 소희 타이타닉: 25주년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궁지에 몰린 쥐는 치즈 꿈을 꾼다 카운트 No. 71
2023. 2. 8.No. 72
2023. 2. 8.No. 73
2023. 2. 15.No. 74
2023. 2. 17.No. 75
2023. 2. 22.대외비 스즈메의 문단속 소울메이트 샤잠! 신들의 분노 모나리자와 블러드 문 No. 76
2023. 3. 1.No. 77
2023. 3. 8.No. 78
2023. 3. 15. / 4. 1.No. 79
2023. 3. 15.No. 80
2023. 3. 22.
- ⠀[ No. 81-10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330011>던전 앤 드래곤: 도적들의 명예
존 윅 4 킬링 로맨스 라이스보이 슬립스 드림 No. 81
2023. 3. 29.No. 82
2023. 4. 12.No. 83
2023. 4. 14.No. 84
2023. 4. 19.No. 85
2023. 4. 26.무명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동물소환 닌자 배꼽수비대 롱디 인어공주 No. 86
2023. 4. 26.No. 87
2023. 5. 3.No. 88
2023. 5. 4.No. 89
2023. 5. 13.No. 90
2023. 5. 24.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 범죄도시3 라이드 온 그 여름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No. 91
2023. 5. 24.No. 92
2023. 5. 31.No. 93
2023. 5. 31.No. 94
2023. 6. 7.No. 95
2023. 6. 14.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BTS Solo Documentaries 엘리멘탈 플래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No. 96
2023. 6. 14.No. 97
2023. 6. 16.No. 98
2023. 6. 14.No. 99
2023. 6. 14.No. 100
2023. 6. 21.
- ⠀[ No. 101-12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79a5d6>귀공자
굿바이 여름날 우리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보 이즈 어프레이드 No. 101
2023. 6. 21.No. 102
2023. 6. 21.No. 103
2023. 6. 28.No. 104
2023. 6. 28.No. 105
2023. 7. 5.바비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밀수 헌티드 맨션 비공식작전 No. 106
2023. 7. 19.No. 107
2023. 7. 20.No. 108
2023. 7. 26.No. 109
2023. 7. 26.No. 110
2023. 8. 2.더 문 콘크리트 유토피아 보호자 달짝지근해: 7510 잠 No. 111
2023. 8. 2.No. 112
2023. 8. 9.No. 113
2023. 8. 15.No. 114
2023. 8. 15.No. 115
2023. 9. 6.닌자터틀: 뮤턴트 대소동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 그란 투리스모 거미집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No. 116
2023. 9. 14.No. 117
2023. 9. 13.No. 118
2023. 9. 20.No. 119
2023. 9. 27.No. 120
2023. 9. 27.
- ⠀[ No. 121-14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d0a362>1947 보스톤
크리에이터 화란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블루 자이언트 No. 121
2023. 9. 27.No. 122
2023. 10. 3.No. 123
2023. 10. 11.No. 124
2023. 10. 12.No. 125
2023. 10. 18.소년들 만추 리마스터링 더 마블스 뉴 노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No. 126
2023. 11. 1.No. 127
2023. 11. 8.No. 128
2023. 11. 8.No. 129
2023. 11. 8.No. 130
2023. 11. 8.다크 나이트 헝거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서울의 봄 괴물 싱글 인 서울 No. 131
2023. 11. 15.No. 132
2023. 11. 15.No. 133
2023. 11. 22.No. 134
2023. 11. 29.No. 135
2023. 11. 29.나폴레옹 3일의 휴가 냉정과 열정 사이 배트맨 말하고 싶은 비밀 No. 136
2023. 12. 6.No. 137
2023. 12. 6.No. 138
2023. 12. 13.No. 139
2023. 12. 13.No. 140
2023. 12. 13.
- ⠀[ No. 141-16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354254>노량: 죽음의 바다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위시 시민덕희 No. 141
2023. 12. 20.No. 142
2023. 12. 20.No. 143
2023. 12. 22.No. 144
2024. 1. 3.No. 145
2024. 1. 24.넥스트 골 윈즈 웡카 상견니 소풍 사운드 오브 프리덤 No. 146
2024. 1. 24.No. 147
2024. 1. 31.No. 148
2024. 1. 31.No. 149
2024. 2. 7.No. 150
2024. 2. 21.이프 온리 파묘 듄: 파트 2 가여운 것들 패스트 라이브즈 No. 151
2024. 2. 21.No. 152
2024. 2. 28.No. 153
2024. 2. 28.No. 154
2024. 3. 6.No. 155
2024. 3. 6.밥 말리: 원 러브 메이 디셈버 마담 웹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No. 156
2024. 3. 13.No. 157
2024. 3. 13.No. 158
2024. 3. 13.No. 159
2024. 3. 20.No. 160
2024. 3. 27.
- ⠀[ No. 161-18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313133>댓글부대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오멘: 저주의 시작 남은 인생 10년 No. 161
2024. 3. 27.No. 162
2024. 3. 27.No. 163
2024. 4. 3.No. 164
2024. 4. 3.No. 165
2024. 4. 3.쿵푸팬더 4 기생수 파트1 기생수 파트2 범죄도시4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No. 166
2024. 4. 10.No. 167
2024. 4. 10.No. 168
2024. 4. 17.No. 169
2024. 4. 24.No. 170
2024. 5. 8.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가필드 더 무비 그녀가 죽었다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 No. 171
2024. 5. 15.No. 172
2024. 5. 15.No. 173
2024. 5. 15.No. 174
2024. 5. 15.No. 175
2024. 5. 22.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별처럼 빛나는 너에게 더무비-일섬일섬량성성 설계자 인사이드 아웃 2 하이재킹 No. 176
2024. 5. 22.No. 177
2024. 5. 22.No. 178
2024. 5. 29.No. 179
2024. 6. 12.No. 180
2024. 6. 21.
- ⠀[ No. 181-200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e1370d>핸섬가이즈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탈주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이매큘레이트 No. 181
2024. 6.26.No. 182
2024. 6. 26.No. 183
2024. 7. 3.No. 184
2024. 7. 17.No. 185
2024. 7. 17.슈퍼배드 4 데드풀과 울버린 파일럿 사랑의 하츄핑 행복의 나라 No. 186
2024. 7. 24.No. 187
2024. 7. 24.No. 188
2024. 7. 31.No. 189
2024. 8. 7.No. 190
2024. 8. 14.에이리언: 로물루스 빅토리 소년시절의 너 안녕, 할부지 비틀쥬스 비틀쥬스 No. 191
2024. 8. 14.No. 192
2024. 8. 14.No. 193
2024. 8. 28.No. 194
2024. 9. 4.No. 195
2024. 9. 4.러빙 빈센트 비긴 어게인 트랜스포머 ONE 조커: 폴리 아 되 베놈: 라스트 댄스 No. 196
2024. 9. 7.No. 197
2024. 9. 18.No. 198
2024. 9. 25.No. 199
2024. 10. 1.No. 200
2024. 10. 23.
- ⠀[ No. 201-219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3b91ca>날씨의 아이
청설 아마존 활명수 글래디에이터 II 위키드 No. 201
2024. 10. 30.No. 202
2024. 11. 6.No. 203
2024. 11. 6.No. 204
2024. 11. 13.No. 205
2024. 11. 20.히든페이스 모아나 2 소방관 더 크로우 No. 206
2024. 11. 20.No. 207
2024. 11. 27.No. 208
2024. 12. 4.No. 209
2024. 12. 11.No. 210
2024. 12. 11.대가족 무파사: 라이온 킹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우리들의 공룡일기 서브스턴스 수퍼 소닉3 No. 211
2024. 12. 11.No. 212
2024. 12. 18.No. 213
2024. 12. 20.◗◗
2024. 12. 25.No. 214
2025. 1. 1.페라리 히트맨2 마당을 나온 암탉 검은 수녀들 반지의 제왕: 로히림의 전쟁 No. 215
2025. 1. 8.No. 216
2025. 1. 22.No. 217
2025. 1. 22.No. 218
2025. 1. 24.No. 219
2025. 1. 25.
- ⠀[ No. 220-238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516e58>말할 수 없는 비밀
극장판 쿠로코의 농구 라스트 게임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퇴마록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No. 220
2025. 1. 27.No. 221
2025. 2. 5.No. 222
2025. 2. 12.No. 223
2025. 2. 21.No. 224
2025. 2. 26.미키 17 위플래쉬 침범 백설공주 승부 No. 225
2025. 2. 28.No. 226
2025. 3. 12.No. 227
2025. 3. 12.No. 228
2025. 3. 19.No. 229
2025. 3. 26.쉬리 위플래쉬 파과 바이러스 괴수 8호: 미션 리컨 No. 230
2025. 3. 26.🩸
2025. 4. 5.No. 231
2025. 4. 30.No. 232
2025. 5. 7.No. 233
2025. 5. 7.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릴로 & 스티치 하이파이브 드래곤 길들이기 No. 234
2025. 5. 10.No. 235
2025. 5. 17.No. 236
2025. 5. 21.No. 237
2025. 5. 30.No. 238
2025. 6. 6.
- ⠀[ No. 239-256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F2F1EF>태양의 노래
엘리오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F1 더 무비 노이즈 No. 239
2025. 6. 11.No. 240
2025. 6. 18.No. 241
2025. 6. 25.No. 242
2025. 6. 25.No. 243
2025. 6. 25.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슈퍼맨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전지적 독자 시점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No. 244
2025. 7. 2.No. 245
2025. 7. 9.No. 246
2025. 7. 16.No. 247
2025. 7. 23.No. 248
2025. 7. 24.좀비딸 발레리나 스머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첫사랑 엔딩 No. 249
2025. 7. 30.No. 250
2025. 8. 6.No. 251
2025. 8. 6.No. 252
2025. 8. 25.No. 253
2025. 8. 27.불꽃야구 모노노케 히메 어쩔수가없다 아바타: 물의 길 연의 편지 ⚾
2025. 9. 1. / 9. 8.No. 254
2025. 9. 17. / 9. 26.No. 255
2025. 9. 24.🪽
2025. 10. 1.No. 256
2025. 10. 1.
- ⠀[ No. 257-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367B9C>나쁜계집애: 달려라 하니
트론: 아레스 퍼스트 라이드 프레데터: 죽음의 땅 No. 257
2025. 10. 7No. 258
2025. 10. 8.No. 259
2025. 10. 29.No. 260
2025. 11. 5.
- ⠀[ 칸 ver.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d24355>잠
거미집 화란 나의 올드 오크 추락의 해부 No. 1
2023. 9. 6.No. 2
2023. 9. 27.No. 3
2023. 10. 18.No. 4
2024. 1. 17.No. 5
2024. 1. 31.프렌치 수프 가장 따뜻한 색, 블루 아노라 에밀리아 페레즈 페니키안 스킴 No. 6
2024. 6. 19.No. 7
2024. 7. 10.No. 8
2024. 11. 6.No. 9
2025. 3. 12.No. 10
2025. 5. 28.신성한 나무의 씨앗 No. 11
2025. 6. 3.
- ⠀[ 베니스 ver. ]⠀
- ||<tablebgcolor=#FFF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754C2E>베이비걸No. 1
2025. 10. 29.
[1] 원래는 전작에 이어 론 발프가 음악을 맡았으나 2025년 4월에 교체되었다.[2] MPA No.55414[3] 역대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작품들 중 상영 시간이 가장 길다.[4] # 파업 사태로 인해 촬영이 중단되면서 제작비가 천문학적으로 불어났으며, 잠수함 사고도 영향을 적지 않게 주었다.[] [6] 등급분류 결정내용:칼로 목을 찌르려는 장면, 무기를 든 군인들과 몸싸움하는 장면, 총격전을 벌이며 사살하는 장면 등 폭력적인 장면들이 있으나 유혈과 살상은 구체적이거나 지속적이지 않으며, 폭력적인 장면들과 함께 시신의 모습 등 긴장감과 공포심을 유발하는 요소도 있으나 지속적이지 않다. 음모와 살상, 희생을 다루고 있는 주제를 비롯하여 폭력성, 공포를 고려하여 15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
)[7] 5편과 6편도 스토리가 연결이 되기는 하지만, 7편과 8편처럼 시간대가 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8] 그런데 이 배우 파업의 원인 중 하나가 인공지능의 이용에 있다는 걸 생각하면 이 영화의 전체적인 스토리(강인공지능과의 싸움)를 생각했을 때 참 아이러니하다.[9] 전편의 부제였던 데드 레코닝(dead reckoning)은 죽은 심판이라는 뜻이 아니라, 함선과 항공기 또는 일부 유도 미사일에서 쓰는 항법(Navigation) 방식인 '추측 항법'을 의미한다. 자기 위치를 알 수 없을 때 출발 지점에서 침로와 속도를 변수로 하여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항법으로, 전작과 본작의 빌런 AI 엔티티의 원래 쓰임새였던 세바스토폴 호의 항로 계산 알고리즘을 의미하기도 한다. 반면 파이널 레코닝은 기존에 있는 단어가 아닌 영화 제목을 위해 만든 조어다.[10] 6편에서 출연했던 CIA 국장. 본작에선 무려 미국 대통령 자리까지 올라갔다.[11] 미 국방장관[12] 잭 리처: 네버 고 백에서 모건 대령 역을 맡았다.[13] 미 합동참모의장.[14] 7편 초반부 브리핑 현장에 있던 인물.[15] 7편 초반부 브리핑 현장에 있던 인물.[16] 탑건: 매버릭에서 솔로몬 "워록" 베이츠 소장 역을 맡았다.[17] USS 조지 H.W. 부시를 기함으로 하는 미국 해군 10항모타격단의 사령관[18] 드라마 테드 래소에서 AFC 리치몬드의 구단주 레베카 역으로 유명한 배우. 참고로 미 해군 역할이지만 배우는 영국인이다.[19] 1편에서 알래스카 한직으로 좌천된 CIA 분석가. 28년 만에 시리즈에 복귀한다. 캐릭터 포스터를 보면 좌천됐다는 점을 강조하듯 덥수룩한 수염이 특징이다. 이후 1편에서 에단이 침투할 때 떨어트린 나이프를 다시 에단한테 건네며 그와의 친분을 표시한다.[20] SSGN 오하이오 함장인데 의외로 이 양반도 한 똘기 한다. 에단 헌트가 좌표 수신을 위해 2시간마다 15분씩 부상해서 안테나를 펼쳐야 한다고 말하자, 이 양반은 만약 러시아를 자극하고자 하는거면 임자 제대로 찾았다며 똘기 어린 웃음을 짓는다.[21] 세브란스: 단절의 세스 밀칙 역으로 유명하다.[22] SSGN 오하이오 승조원이자 SEAL팀으로 추정. 묘하게 실제 SEAL팀 출신인 한국계 미국인 출신 우주인 조니 김과 외적으로 닮았다. 다만 실제 배우는 한국계가 아닌 중국계 미국인이다.[23] 필스와 동일하게 SEAL팀으로 추정. 헌트에게 본인의 잠수복을 빌려준 인물[24] 윌리엄 던로의 아내로 이누이트이다. 던로가 알래스카로 좌천된 이후 만나 사랑을 키우면서 결혼까지 하게 됐다.[25]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영화 사이트들과 비교해도 전작보다 압도적으로 높아 국가별로 평이 갈린다 볼수 있다.[26] 몇몇 관람평에서는 복엽기 시퀀스가 6편 후반의 헬리콥터 추격전과 구조가 너무 비슷하다고 비판하기도 하지만, 헬리콥터 추격전은 내부에서 조종했고 여유 공간이 넓었던 것과 달리 복엽기 추격전은 외부에서 직접 매달리며 비행기를 탈취해 마구 움직이며 좁은 공간에 제대로 앉지도 못하고 조종하는 구성이다 보니 위기감과 긴장감이 배가 되었다.[27] 특히 후반부 복엽기 장면은 완전 오프라인 상태라 할 수 있는 밀림 산악지대 자연 위를 배경으로 엔티티를 봉인하고자 포드코바와 포이즌 필을 삽입하는데, 기계와 디지털이 하지 못하는 인간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도 있다.[28] 그렇기에 에단이 3편에서 회수한 토끼발로 인해 엔티티라는 재앙이 탄생했으나, 다시 본인 스스로 결자해지하는 묘사는 인간은 아무리 잘못을 했어도 다시 고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상징하기도 한다.[29] 론 발프는 《폴아웃》과 《데드 레코닝》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특히 《데드 레코닝》의 메인 테마곡은 555명의 오케스트라 연주자를 기용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최고의 스코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와 비슷하게 작곡가와의 불화가 벌어진 사례는 《로그네이션》에서도 있었는데, 당시 작곡가였던 조 크레이머가 개봉 이후 로그네이션 당시 작업 환경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갈등을 드러내고 할리우드 음악계에 대필 문제를 수면 위로 드러내 큰 뉴스를 터트린 적이 있었다.[30] 론 발프는 사실 이번 작품까지 함께하기로 되어 있던 작곡가였다. 실제로 이번 작품에서 론 발프의 작업량 상당수가 그대로 쓰였다는 의혹을 북미 커뮤니티에서 받고 있다.[31] 이 둘은 전편인 데드 레코닝에서 론 발프의 조수로 함께했던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32] 본래 마지막 둠스데이 볼트에서의 결전에서 가브리엘에게 항복하는척 포드코바를 넘겨 그가 포이즌 필을 사용하자마자 엔티티를 무력화할 계획이었지만 미리 에단의 행동을 예측한 키트리지 국장과 브릭스가 대동한 요원들의 난입으로 대차게 말아먹었고 가브리엘 앞에서 포드코바를 넘겨준다는 계획을 술술 불어야만 했다. 다만 그 이후 다른 대원들이 엔티티를 어떻게 격리할지는 안알려준지라 가브리엘 조차도 이게 에단의 블러핑이라 생각했는지 어차피 포드코바는 자신에게 오게 되어있다며 포드코바를 얻을 의지를 드러냈다. 그래도 엔티티를 속이는 데에는 성공했다.[33] 탑건: 매버릭,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에서 살짝씩 짧게 묘사되었었으나 이번에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편.[34] 최근 들어 오펜하이머, 듄: 파트 2 등의 영화들에서도 묘사되는 연출이기도 하다.[35] 물론 그동안 헌트가 악인을 처치하는 데 있어선 결단력 있는 모습을 보여줬고 작중 상황은 성급해지기 쉽고 정신적으로 안정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묘사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헌트가 살인 자체를 이렇게까지 잔혹하게 하진 않았기에 이러한 인트로의 연출이 더욱 낯설고 위화감이 느껴진다.[36] 5초 안에 터지는 브리핑 메시지 선글라스를 던지며 시작되는 2편의 인트로, 헌트의 아내가 머리에 총을 맞는 소리인지, 성냥에 불을 붙이는 효과음인지 고도로 헷갈리게 만드는 3편의 인트로, 교도소를 탈출하며 제4의 벽을 뚫고 간결하면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4편의 인트로, 5편의 항공기에서 낙하산을 펼치며 미션을 완수하는 헌트의 모습을 보여주며 유쾌하게 나오는 5편의 인트로, 오프닝 작전으로 관객을 속인 거대한 반전으로 시작하는 6편의 인트로, 마스크 트릭으로 시작되는 7편의 인트로 등 이전 작품들은 강렬한 도입부를 바탕으로 인트로의 몰입감을 끌어올렸으나, 이번 작품은 분위기도 극도로 시종일관 어두운 가운데 뜬금없는 개그 이후 인트로가 이어지면서 분위기와 긴장감을 이어받지 못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37] 이는 노래를 들어보면 알겠지만 너무 지나치게 빨라서 발생한 연출일수 있다.[38] 코지마 히데오는 디지털 지배의 위협으로부터 세상을 구하는 내용이 아니라 세상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영화"라는 예술을 구하기 위하여 목숨을 걸고 싸우는 톰 크루즈에 대한 이야기였다고 평했다.#[39] 3편의 감독 JJ 에이브럼스는 자신의 TED 연설에서 "토끼발"과 같은 요소를 미스터리 박스에 비유하며, 절대 열어서는 안 되는 맥거핀의 중요성을 강조한 적 있다. 3편이 명작으로 평가받는 이유도 토끼발의 정체가 끝까지 나오지 않으며, 아내가 죽을 위험에 있는 순간에도 토끼발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고 말할 수밖에 없던 헌트의 상황이 매우 절망적으로 연출되었기 때문이다.[40] 토끼발이 어떻게 엔티티가 되었는지 등을 충분히 보여주지 않고 그저 한두 문장의 대사로 처리해 버렸다.[41] 다만 구상 단계에서 후속편을 제작하려고 시도했다가 최종장으로 선회한 만큼 상세 전개가 바뀌었을 수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42] 심지어 최후를 맞는 묘사도 6편의 존 라크와 유사하다.[43] 그래도 워커는 에단의 기지에 당했다는 명분이라도 존재한다. 그에 비해 가브리엘은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어이없이 강풍에 이에 얼굴이 헬기 꼬리부분에 찍히는 바람에 사망하는 사고사를 겪은 것이기에 더 어이없을 수 밖에 없다.[44] 차라리 단순한 인류 멸망과 신세계의 창조라는 진부한 설정보단 오히려 핵무기들을 모두 무력화하여 전세계를 비핵화하고 상호간의 확증 파괴능력을 상실케하는 반전적인 요소가 도입되었다면 조금 더 입체적인 빌런이 되었을 것이다. 미션 임파서블보다 아득히 오버테크놀로지로 가득한 지 아이 조 2에선 대통령으로 변장한 빌런 자탄이 전세계 핵 보유국들을 한자리에 모아놓고는 서로 보유한 모든 핵무기를 투발하게 한뒤 몽땅 자폭시키게 하는 과감한 전략을 선보인 사례가 있으며, 엑스맨 시리즈의 아포칼립스도 전 세계의 핵무기 담당 군인들을 순식간에 세뇌해 모든 핵무기를 우주로 쏴버려 무력화시켜 인류를 무력하게 만들어버린 사례가 있다.[45] 4편 역시 큰 틀에서는 핵전쟁을 저지하는 내용이지만, 미션 실패 시 벌어질 핵전쟁의 결과보다는, 당장 벌어질 미션의 위험도와 성공 가능성을 설명하는 데에 집중하며, 액션에 대한 빌드업을 잘 해내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맥쿼리가 맡은 5편부터 미션에 대한 빌드업보다는 상황의 심각성을 더욱 강조하기 시작하면서 호불호가 갈리기 시작했다가, 이번 작품에서 그 비중이 더욱 늘어 혹평이 더욱 거세졌다.[46] 미국의 대형 언론사 사상 최초로 과격한 표현을 사용했다.[47] 2025년 8월말 이후로 더 이상 매출이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8월에 전세계 극장 상영이 모두 종료된 것으로 보인다.[48] 다만 3편도 마케팅 실패로 북미에서 아쉬웠던거지, 해외에서 흥행해서 손익분기점은 넘겼다.[49] 심지어 7편도 코로나19에 따른 촬영 중단과 제작 지연 사유 등에 대해 보험사로부터 전액 손실 보상을 받아 제작비가 2억 9천만 달러에서 2억 2천만 달러로 줄어 손익분기점도 5억 8천만 달러에서 4억 4천만 달러로 줄어 5억 7천만 달러로 흥행 성공을 기록했던 것이다.[50] ~ 2025/09/06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51] 관객 수 집계가 어려운 〈미션 임파서블〉, 〈미션 임파서블 2〉와 전작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을 제외한 전 영화가 600~700만 명을 전후로 하는 성적을 거뒀다. 〈미션 임파서블〉, 〈미션 임파서블 2〉 또한 서울 집계 기준으로 낮지 않은 성적이며, 이전 작들에 비해 저조한 성적을 거둔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은 개봉 연도인 2023년 흥행 8위, 미국 영화 한정 시 흥행 3위로 상대적으로는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52] 6월 3일에 있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로 인한 임시공휴일, 6월 6일의 법정공휴일인 현충일.[53] 이전작들이 대체적으로 600~700만 명대의 성적을 거둔 반면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402만여 명의 성적을 거뒀다. 물론 전 세계 흥행 또한 이전 작들이 기록한 6~7억 달러 정도의 성적보다 소폭 하락한 5억 6,000만 달러로 감소했다. 이는 바벤하이머 밈으로 인해 사전부터 크게 관심을 받은 〈바비〉, 〈오펜하이머〉가 개봉 2주 차에 개봉하면서 관심을 빼앗긴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한국에서 〈바비〉는 50만 명대의 성적을 거두며 큰 위협이 되지 못했고, 〈오펜하이머〉는 개봉 6주 차에 가까운 시기에 개봉해 서로간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뿐더러 당초 바벤하이머 밈의 영향력이 크지 않아 그와는 다른 요인으로 부진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54] 즉 해외에서 흥행 부진 요소 중 하나로 꼽히는 바벤하이머 밈보다는 전작들이 개봉했던 2010년대보다 40% 가량 감소한 총 관객 수, 애니메이션 열풍과 함께 흥행의 주역이 된 〈엘리멘탈〉이 아직 건재해 일부 빼앗긴 화제성 등이 흥행 부진의 요인으로 추정된다.여기에 톰 크루즈가 주연인 다른 영화 탑건: 매버릭으로 관심이 쏠렸던 점으로 인해 기저효과를 받은 점도 있다.[55] 종전 최고 기록은 〈미키 17〉의 68.8%의 예매율 및 31만 3천여 명의 예매 관객 수다.[56] 종전 최고 기록은 〈미키 17〉의 24만 8천여 명이다.[57] 종전 최고 기록은 〈미키 17〉의 37만 6천여 명이다.[58] 수치가 높은 순으로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6,403만 달러,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 6,123만 달러, 〈미션 임파서블 2〉 - 5,784만 달러,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 5,552만 달러,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 5,468만 달러, 〈미션 임파서블 3〉 - 4,774만 달러, 〈미션 임파서블〉 - 4,543만 달러,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 1,278만 달러. 이 중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의 경우 특별관 선행 상영으로 적은 상영관에서 상영됨에 따라 다른 작품들에 비해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59] 8,463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드래곤 길들이기〉, 1,20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머티리얼리스트〉.[60] 이 주 차에 신규 개봉해 3,00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28년 후〉, 2,084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엘리오〉.[61] MBC 기자가 톰 크루즈에게 트럼프 상호관세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의를 했다. 톰 크루즈는 잘 안들렸다고 넘겼지만.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해당 기자에 대해 나라망신이자 쪽팔린다고 비판을 가했다.('기자'라는 인간이 인터뷰를 하는 자리에서 외국 유명인사에게 누구에게도 하등 중요할 게 없는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하는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설령 상호관세는 미국에서 시전한 일이고, 톰 크루즈가 미국인이라도 영화와 하등 상관없는 질문을 던진것은 자리를 무색하게 만드는 짓거리임은 분명하다.)[62] 공식적인 종전 기록은 캐리비안의 해적: 낯선 조류의 3억 7,900만 달러. 무려 14년 만에 기록을 넘겨주게 되었다.
(내용정보 표시항목: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if external != "o"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uuid=9de08b26-0629-4f8c-be70-b1e467751810|r137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uuid=9de08b26-0629-4f8c-be70-b1e467751810#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from=1374|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if external != "o"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uuid=9de08b26-0629-4f8c-be70-b1e467751810|r137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uuid=9de08b26-0629-4f8c-be70-b1e46775181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from=137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