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1:14:38

ILLIT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2025년 9월 1일에 발매한 일본 싱글}}}에 대한 내용은 [[時よ止ま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時よ止ま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時よ止ま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25년 9월 1일에 발매한 일본 싱글: }}}[[時よ止ま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時よ止ま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時よ止ま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LLIT|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nopad>
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ILLIT

아일릿
||
]]

[ 한국 음반 ]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파일:SUPER REAL ME.jpg ||<width=25%><nopad> 파일:I’LL LIKE YOU.jpg ||<width=25%><nopad> 파일:Almond Chocolate (Korean Ver.).jpg ||<width=25%><nopad> 파일:bomb(ILLIT).jpg ||
[[SUPER REAL M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4f5853, #667771, #55645d);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5b635e"
[[I’LL LIKE YOU|{{{#!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cd3; color: #4ab21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f7f5cd"
[[Almond Chocolate (Korean Ve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px;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9a9d1;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79a9d1"
[[bomb(ILLIT)|{{{#!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6b4b;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8b6b4b"
[ 일본 음반 ]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파일:Almond Chocolate.jpg ||<width=25%><nopad> 파일:時よ止まれ.jpg ||<width=25%><nopad> ||<width=25%><nopad> ||
[[Almond Chocolat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px;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bec9;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f6bec9"
[[時よ止まれ|{{{#!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cfaef; color: #e7619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fcfaef"
[ 디지털 ]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파일:SUPER REAL ME.jpg ||<width=25%><nopad> 파일:Magnetic (Remixes).jpg ||<width=25%><nopad> 파일:Cherish (My Love) (Remixes).jpg ||<width=25%><nopad> 파일:Baby It’s Both (Tick-Tack English Ver.) Feat. Ava Max.jpg ||
[[SUPER REAL ME (Sped Up)|{{{#!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4f5853, #667771, #55645d);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5b635e"
[[Magnetic (Remixe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3fe;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f6a3fe"
[[Cherish (My Love) (Remixe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94d4;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fe94d4"
[[Baby It’s Both (Tick-Tack English Ver.) Feat. Ava Max|{{{#!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b2b2; color: #3d3d3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b2b2b2"
파일:See U Tonight (feat. YUNAH & MINJU of ILLIT).jpg 파일:빌려온 고양이 (Do the Dance) (Remixes).jpg 파일:jellyous (Feat. Sophie Powers).jpg
[[See U Tonight (feat. YUNAH & MINJU of ILLIT)|{{{#!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85e39;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985e39"
[[빌려온 고양이 (Do the Dance) (Remixe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adial-gradient(circle, #96d4fa 20%, #4792ea 90%);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4792ea"
[[jellyous (Feat. Sophie Power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491be; color: #006b0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f491be"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colbgcolor=#92bbef,#92bbef><colcolor=#fff,#fff><|2> 활동 ||<width=28.33%> 음반 ||<width=28.33%> 활동 ||<width=28.33%> 직캠 ||
공연 및 행사 광고 및 화보 수상
콘텐츠 콘텐츠 숏폼 Weverse
팬덤 {{{#!wiki style="margin: -15.9px -10.7px" GLLIT 응원법 굿즈 갤러리 }}}
기타 {{{#!wiki style="margin: -15.9px -10.7px" 멤버 간 케미 알유넥스트 사건 사고
}}}
파일:時よ止まれ Night Out ver. ILLIT 1.jpg
모카 · 민주 · 윤아 · 이로하 · 원희
Japan 1st Single 파일:時よ止まれ 로고.svg
<colbgcolor=#92bbef,#92bbef><colcolor=#fff,#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ILLIT
아일릿 · アイリット
}}}
결성일 2023년 9월 1일[1]
(결성일로부터 [dday(2023-09-01)]일, [age(2023-09-01)]주년)
데뷔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년 3월 25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4-03-25)]일, [age(2024-03-25)]주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9월 1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5-09-01)]일, [age(2025-09-01)]주년)
데뷔 음반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667771"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장르 K-POP, 댄스 팝, R&B, 힙합, 플러그앤비, 하우스[2]
소속사 빌리프랩
레이블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YBE LABELS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게펜 레코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lydor Records
유통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지니뮤직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니버설 뮤직 그룹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니버설 뮤직 재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팬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GLLIT|{{{#!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ACDAED;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GLLIT (글릿)}}}]]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GLLIT#|{{{#!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ACDAED;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GLLIT (글릿)}}}]]
#!if 문단 != null
[[GLLIT#s-|{{{#!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ACDAED;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3px solid transparent"
GLLIT (글릿)}}}]]
'''
응원봉 글릿봉
링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빌리프랩 심볼.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ILLIT 로고.svg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공식멤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Weverse 아이콘.svg파일:Weverse Shop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파일:틱톡 아이콘.svg }}}}}}}}}

1. 개요2. 멤버3. 특징
3.1. 로고3.2. 그룹명3.3. 콘셉트3.4. 세계관3.5. 실력
3.5.1. 보컬3.5.2. 댄스
3.6. 비주얼3.7. 인기 및 기록
4. 음반5. 뮤직비디오6. 활동7. 수상 경력8. 빌보드
8.1. 빌보드 Hot 1008.2. 빌보드 2008.3.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포함)8.4.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9. 팬덤10. 여담11. 논란 및 사건 사고12. 역대 프로필 사진13. 둘러보기

1. 개요

"둘, 셋![3] 안녕하세요, ILLIT 입니다!"

"Hello, We're ILLIT!"
2024년 3월 25일에 데뷔한 빌리프랩 소속의 5인조 다국적 걸그룹.[4]

JTBC의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알유넥스트》를 통해 결성되었다.

2. 멤버

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파일:bomb 윤아 프로필.jpg 파일:bomb 민주 프로필.jpg 파일:bomb 모카 프로필.jpg 파일:bomb 원희 프로필.jpg 파일:bomb 이로하 프로필.jpg
윤아 민주 모카 원희 이로하
2004. 01. 15. ([age(2004-01-15)]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4. 05. 11. ([age(2004-05-11)]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4. 10. 08. ([age(2004-10-08)]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7. 06. 26. ([age(2007-06-26)]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08. 02. 04. ([age(2008-02-04)]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1. 멤버 간 케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멤버 간 케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멤버 간 케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멤버 간 케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

3.1. 로고

ILLIT 로고
파일:ILLIT 로고.svg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Official Logo Film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3.2. 그룹명

그룹명인 ILLIT은 자주적이고 진취적인 의지(I Will)와 특별한 무언가를 의미하는 대명사(It)을 결합하여 무엇이든 될 수 있고, 무엇이 될지 기대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알유넥스트 직후 발표했던 영문 표기는 I'LL-IT이었다. 이후 문장부호들을 빼고 ILLIT으로 변경했다.

3.3. 콘셉트

아일릿만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콘셉트는 'SUPER ME'와 'REAL ME'의 조화에서 비롯된다.[5][6]
'SUPER ME'는 현실을 초월한 소녀들의 상상, 엉뚱함 등을 표현하고 'REAL ME'는 그러한 상상을 하는 소녀들의 현실적인 모습을 표현한다. 그래서 SUPER ME 버전의 아일릿은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초월적 소녀로서의 나'로, REAL ME 버전의 아일릿은 '있는 그대로의 진짜 나'로 묘사되고 있다.[7][8]
특히 아일릿의 SUPER ME 버전 콘셉트는 실제로 멤버들이 새벽에 하는 생각, 상상을 반영한다. 때문에, SUPER ME 버전 콘셉트에선 아일릿의, 엉뚱 발랄하지만 자신들만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표현할 줄 아는 소녀로서의 가능성과 잠재력이 돋보인다.[9]
이로 인해 아일릿은 마법소녀, Dream core, Fairy core 등이 잘 어울리는 몽환적이고 판타지적인 콘셉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그래서 아일릿의 음악 역시 꿈결 같은 아르페지오 신디사이저, 귀여운 칩튠 이펙트[10], 중독적인 플럭앤비 일렉 사운드, 입체적인 베이스, 주도적이고 강렬하나 흩어지는 듯한 하우스 비트 등이, 몽환적이고 판타지적이며 중독적인 스타일을 완성한다. 그래서 아일릿은 플럭앤비와 하우스를 하이브리드한 음악을 구현한 국내 최초의 아이돌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
  • 한편 아일릿의 패션은, 'REAL ME' 버전의 '있는 그대로의 진짜 나'를 표현하는, 일상복, 교복, 스포츠 웨어, 편안한 캐주얼, 개성 있는 의상 스타일부터, 'SUPER ME' 버전의 '초월적인 소녀로서의 나'를 표현하는, 상상 속에서 입을 법한 의상, 마법 소녀를 떠올리게 하는 의상, 몽환적이고 판타지적인 의상, 아일릿 멤버들의 생각과 선호를 반영한 그 어떤 의상 스타일까지 넓은 범위를 포괄하며 틀에 얽매이지 않는다.[11]

3.4. 세계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UMMER MOON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UMMER MOO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UMMER MOO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실력

3.5.1. 보컬

  • 정해진 포지션은 없으며, 다섯 멤버의 목소리가 잘 어우러져 조화롭고 중독성 있는 노래를 만든다.
    • 민주는 뛰어난 노래실력과 유니크한 발음으로 곡의 퀄리티를 올려주며 아름다운 음색은 물론 랩파트에도 안정적이다.[12]
    • 윤아는 안정적인 라이브 실력을 갖추고 있으며 매력적인 목소리로 넓은 음역대를 커버한다.[13]
    • 원희는 옥구슬이 흘러 가는 것처럼 청초하고 아름다운 음색과 탄탄한 발성이 돋보인다.[14]
    • 모카는 특유의 달달하고 가벼운, 귀여운 음색을 지니고 있다.[15]
    • 이로하는 자연스러운 음색과 더불어 보컬과 랩 파트 모두에 안정적인 창법을 가지고 있다.[16]

3.5.2. 댄스

  • 공식적인 포지션은 없으며,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춤 실력을 갖고 있다.
  • 이로하: 만 3세에 전문적인 춤을 추는 영상이 있을 정도로 어릴 적부터 춤 연습을 해왔으며, 파워풀하면서 정확한 춤선이 특징이다.
  • 모카: 과거 댄스 크루원으로 활동했던 만큼 춤 실력이 뛰어나며, 춤선이 깔끔하고 정확하다. 표정연기로도 호평을 받았다.
  • 모카이로하 이외에도 윤아민주도 긴 연습생 생활을 한 만큼 수준급의 춤 실력을 지녔다. 원희 또한 비교적 짧은 연습생 생활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았었다.
  • 댄서 제이블랙Magnetic의 무대 영상을 리뷰하며, "보기에는 귀여워 보여도 체력적으로 굉장히 힘든 동작인데 표정하나 일그러지지 않는 것이 대단하다. 위아래로 리듬을 타면서 손으로는 또 다른 박자를 구현하고 있다. 장시간의 혹독한 연습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했다. #
  • ILLIT의 춤은 귀엽고 편해 보이는 모습과 달리, 실제로 춰보면 춤 자체가 디테일하고 손동작이 복잡하며 발동작 역시 빨라서 난이도가 가장 높은 걸그룹 댄스 중 하나란 의견이 많다. #

3.6. 비주얼

<nopad> 파일:아일릿 비주얼02.gif
  • 원희: 눈을 끄는 매력적이고 유니크한 비주얼.[18] 이목구비가 동화 속 공주처럼 섬세하고 우아하며, 귀엽고 러블리한 분위기를 갖고 있다. 포카리스웨트 같이 청량한 매력 또한 돋보인다.[19]
  • 이로하: 나른하고 신비로운 분위기가 섞인 청순한 꼬부기상과 시크하고 매력적인 고양이상을 동시에 갖고 있다. 귀엽고 청순하면서도 멋있고 힙한 느낌의 희귀한 매력을 지녔다.
  • 모카: 청순하고 새침하며 귀여운 인형 같은 미모의 아이돌. 알유넥스트에서 보여주듯 다양한 콘셉트를 소화할 수 있는 비주얼이기도 하다.
  • 윤아: 세련되고 시크한 고양이상으로, 도회적이면서도 청순한 느낌을 풍긴다. 본인의 귀엽고 다정한 성격과 갭이 있는 냉미녀 스타일을 지니고 있어 매력적이다.[20]
  • 민주: 귀여우면서도 화려한 정석미인 과즙상. 순정만화에 나올 것 같이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귀엽고 청순하며 누구나 호감 가는 세련된 분위기의 소유자이다.
  • 멤버들의 평균 키는 162.6cm이다.[21]

3.7. 인기 및 기록

  • 2024년 연말, ILLIT의 Magnetic은 영국 NME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K-POP 노래 3위'[22]인 동시에 '미국 Consequence'가 선정한 '최고의 데뷔곡' [23] 그리고 미국 빌보드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K-POP 13위를 기록했다. 또한 ILLIT은 2024년 데뷔한 그룹 중 유일하게 미국 빌보드의 ‘글로벌 200 아티스트’ 연말 결산 차트에 이름을 올린 그룹이며, 빌보드 연말 결산 차트에서 미국 포함 빌보드 글로벌 200과 미국 제외 글로벌 200 차트 모두에 있어 K-POP 가수 중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24] 기사 기사 기사 기사 기사 기사
  • 2024년 연말, ILLIT은 데뷔한 지 1년이 채 안된 시점에 빌보드 글로벌 200 아티스트 결산 차트에서 K-POP 가수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기사
  • 2024년 연말, 미국 LA의 MAMA AWARDS(마마 어워즈)에서 여자 신인상(Best new female artist)을 수상했다. 관련 영상
  • 미니 2집 I’LL LIKE YOU 앨범이 발매된 지 약 한 달 만에 빌보드 글로벌 200 차트에 진입하여, 앨범을 차트에 2연속으로 올려놓는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빌보드 세부차트에서, 월드 앨범2위, 톱 앨범 세일즈 6위를 차지했다. 기사
  • 미니 2집 I’LL LIKE YOU의 타이틀곡 Cherish (My Love)가 발매된 지 약 2주 만에 미국 빌보드 글로벌 200 차트에 진입했다. 이로써 신인이 연속으로 빌보드 차트에 단기간만에 진입하는 신기록을 세웠다. 기사 기사
  • 미니 2집 I’LL LIKE YOU의 초동 판매량(약 38.2만장)이 1집 SUPER REAL ME의 기록(38만 장)보다 소폭 상승했다. 또한 전작의 초동 판매량을 넘어선 것은 물론이며, 발매 열흘 만에 전작의 한 달 판매량을 돌파했다. 기사 기사 기사
  • 미니 3집 bomb의 초동 판매량(40.1만장)이 2집 I’LL LIKE YOU의 기록(38.2만장)보다 상승했다. 전작의 초동 판매량을 넘어선 것은 물론이며, 초동 판매량 40만장을 돌파했다.
  • 데뷔 당시 걸그룹 데뷔 음반 초동 판매량 1위 신기록을 달성했다.[26]
  • Magnetic으로 데뷔한 지 11일 만에 영국 오피셜 차트 TOP 100에 올랐고 3주 연속 차트인했으며, 대한민국 가수가 최단 기간 만에 영국 오피셜 차트에 입성한 전례없는 기록을 세웠다. 기사 기사
  • 걸그룹 최초로 데뷔곡과 앨범을 빌보드 두 메인 차트에 올려놓았다.[27]기사
  • Magnetic 이 2024년 11월 기준, 무려 33주 이상 연속으로 미국 빌보드 글로벌 200 차트에 머물면서 K-POP 여성 아티스트 곡 중 미국 빌보드 글로벌 200에 '최장 기간 연속 차트인하는 신기록을 세웠다.[28] 기사
  • Magnetic이 2024년 11월 기준, 35주 이상 연속으로 빌보드 차트[29]에 머물렀다. 기사
  • 대한민국 걸그룹 역사상 최단 기간 일본 레코드협회 플래티넘 인증을 획득했다. 기사
  • 2024년 10월 17일, 데뷔 앨범 타이틀곡 <Magnetic>이 일본 오리콘 역사상, 대한민국 걸그룹 노래 중 1년 내 '최다 스트리밍 횟수'를 기록했다. 공식 트위터
  • 일본 시부야 109 트렌드 대상 2024년 가수 부문 1위를 기록했다. 링크
  • 신인 그룹 최초로 일본의 음악계의 정점을 상징하는 프로그램인 NHK 홍백가합전[31]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POP 그룹 중 하나로 ILLIT이 선정됐다. 기사 기사
  • 2024년 12월 12일, 2024년 대한민국 유튜브 올해의 트랜드 리스트 중 올해의 인기 주제, 최고 인기곡, 쇼츠 최고 인기곡에 포함됐다. 기사
  • 2025년 1월 3일,미국 Billboard Emerging Artists에서 16위를 차지했으며 해당 차트에서 23주 동안 머물렀다. 링크
  • 2025년 1월 7일, Spotify 전체 스트리밍 횟수가 8억 회를 돌파했는데, 데뷔 후 10개월 만에 이를 달성했다. 링크 또한, Magnetic은 2024년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K-POP 노래이다.
  • 2025년 1월 23일, 미국 '아이하트라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K-POP 송’(K-pop Song of the Year), ‘K-POP 최고의 신인’(Best New Artist (K-pop)), ‘페이보릿 K-POP 댄스 챌린지’(Favorite K-pop Dance Challenge) 부문에 각각 후보로 선정되었다. 링크
  • 2025년 3월 7일, LINE MUSIC에서 10만 팔로워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일본 최대 음악 플랫폼 중 하나에서 이 숫자를 넘어선 최초의 5세대 그룹이다. 링크
  • 2025년 3월 12일, Billboard Emerging Artist에서 42위를 차지했다. 지금까지 차트에 34주 동안 머물렀다. 링크
  • 2025년 4월 11일, Spotify에서 총 10억 스트리밍을 달성했다. 이는 K-POP 역사상 두 번째로 빠른 속도로 10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기록이다. 링크

4.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뮤직비디오

||<-4><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92bbef,#92bbef><bgcolor=#92bbef,#92bbef><color=#fff,#fff>
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Official MV
2025.08.16 04:00 KST 기준
타이틀곡 ||
<rowcolor=#fff,#fff> 순위 곡/음반 조회수/공개일 링크
1 [[Magnetic(ILLIT)|
Magnetic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667771"
245,405,013
2024.03.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I’LL LIKE YOU#s-4.5|
Tick-Tack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f7f5cd"
57,073,727
2024.11.1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SUPER REAL ME#s-4.4|
Lucky Girl Syndrom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667771"
52,306,244
2024.04.1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I’LL LIKE YOU#s-4.2|
Cherish (My Lov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f7f5cd"
47,223,327
2024.10.2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bomb(ILLIT)#빌려온 고양이 (Do the Dance)|
빌려온 고양이 (Do the Danc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8b6b4b"
28,358,395
2025.06.1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bomb(ILLIT)#jellyous|
jellyou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solid 1px #8b6b4b"
19,454,379
2025.07.0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알유넥스트에서의 활약 #===
파일:알유넥스트 로고 화이트.svg
최종 데뷔조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33.33%>
파일:crwn.png
1위
||
원희
3,299,395점
||<tablealign=center><tablewidth=66%><tablebgcolor=#fff,#1c1d1f><width=50%>
소속사 선택
(3위)
||
소속사 선택
(5위)
||
민주
2,961,696점
이로하
2,569,421점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
소속사 선택
||
소속사 선택
||
모카
2,111,375점
윤아
2,512,654점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45300,#f453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916485,#916485><rowcolor=#fff,#fff> 멤버 ||<^|1><rowbgcolor=#f45300,#f45300><width=12.5%> 1R
트라이아웃
||<^|1><width=12.5%> 2R
데스매치
||<^|1><width=12.5%> 3R
올라운더
||<^|1><width=12.5%> 4R
포지션 장악력
||<^|1><width=12.5%> 5R
콘셉트 이해력
||<^|1><width=12.5%> 6R
세미파이널
||<^|1><width=12.5%> 7R
파이널
||
<colbgcolor=#0049c6,#0049c6><colcolor=#fff,#fff> 원희 Dreams Come True FEARLESS
MID-A
Dream of You 우주를 건너
보컬A
다섯 번째 계절 (SSFWL) Scrum Aim High
MY BAG Feel Special
민주 Bad Girl Good Girl FEARLESS
MID-A
4 Walls 불티(spark)
보컬B
I Don't Care Scrum Desperate
Tie a Cherry Feel Special
이로하 달라달라 Given-Taken
HIGH-B
The Boys 뱅(Bang)!
댄스A
Monster Scrum Desperate
MONEY Shut Down
블랙유닛
Feel Special
모카 TOMBOY Attention
MID-B
Dream of You Tell Me
댄스B
다섯 번째 계절 (SSFWL) Scrum Aim High
MY BAG Feel Special
윤아 Bad Girl Good Girl Attention
HIGH-A
The Boys 우주를 건너
보컬A
Monster Pride Aim High
MONEY ELEVEN

6.1. 음악 방송 직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음악 방송 직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음악 방송 직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음악 방송 직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콘텐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콘텐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콘텐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콘텐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1. 숏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숏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숏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숏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2. Wevers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Wevers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Wevers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Wevers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공연 및 행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공연 및 행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공연 및 행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공연 및 행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광고 및 화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광고 및 화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광고 및 화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광고 및 화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수상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수상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수상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수상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빌보드

8.1. 빌보드 Hot 100

||<-5><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92bbef,#92bbef><bgcolor=#92bbef,#92bbef><color=#fff,#fff>
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BILLBOARD HOT 100 ||
<rowcolor=#fff,#fff> 순서 곡명 최고 순위 차트인 비고
2024년
1 Magnetic 91위 1주 [33]

8.2. 빌보드 200

||<-5><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92bbef,#92bbef><bgcolor=#92bbef,#92bbef><color=#fff,#fff>
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BILLBOARD 200 ||
<rowcolor=#fff,#fff> 순서 앨범명 최고 순위 차트인 비고
2024년
1 SUPER REAL ME 93위 1주 [34]
2 I’LL LIKE YOU 94위 1주 [35]
2025년
3 bomb 171위 1주 (집계중) [36]

8.3.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포함)

||<-5><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92bbef,#92bbef><bgcolor=#92bbef,#92bbef><color=#fff,#fff>
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BILLBOARD GLOBAL 200 ||
<rowcolor=#fff,#fff> 순서 곡명 최고 순위 차트인 비고
2024년
1 Magnetic 6위 33주 33주 연속 차트인
K-pop 여성 아티스트 곡 중 최장 기간 기록
[37] [38]
2 Cherish (My Love) 110위 2주

8.4.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5><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92bbef,#92bbef><bgcolor=#92bbef,#92bbef><color=#fff,#fff>
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BILLBOARD GLOBAL 200 (Excl. US) ||
<rowcolor=#fff,#fff> 순서 곡명 최고 순위 차트인 비고
2024년
1 Magnetic 2위 35주 [39]
2 Cherish (My Love) 57위 2주

9.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LLI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LLI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LLI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응원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응원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응원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응원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2. 굿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굿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굿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굿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여담

  •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만 멤버를 선정하는 빌리프랩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걸그룹이다.[40]
  • 공식적으로 리더를 비롯하여 따로 정해진 포지션이 존재하지 않는다.[41] 이는 "다섯 멤버 각자 책임감을 가지고 임하며, 모두가 리더라는 마음으로 함께 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 한국인 멤버 셋 전원이 2025년에 각각 연고 야구팀에서 시구를 했다.[43]
  • 멤버 전원 생월이 겹치지 않는다.[44]
  •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알유넥스트Weverse 커뮤니티를 최종 데뷔조인 ILLIT이 팬클럽 커뮤니티로서 그대로 이어 받아 사용하고 있다.[46] 링크
  • 알유넥스트가 종영된 2023년 9월 1일에 그룹이 결성되었으나, 약 7개월이 지난 2024년 3월 25일 최종 데뷔했다.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결성된 아이돌 그룹이 보통 2~5개월 안에 데뷔하는 것을 생각하면 꽤 오래 걸린 셈이다.
  • 본래 영서를 포함한 6인조 그룹으로 데뷔 예정이었으나, 빌리프랩과 영서의 향후 활동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 끝에 전속 계약을 종료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히며 최종 5인조로 데뷔하게 되었다.[49][50]
  • 멤버 전원 언니가 없다. 남매 지간인 멤버가 과반수[51]를 차지한다.[52] 이 때문에, 합숙 초기에는 멤버 전원이 '언니'라는 호칭으로 부르는 걸 받아들이는 게 어색했다고 한다.
  • 2025년 설날, ILLIT이 한복을 입고 춤을 추는 영상이 중국 더우인에서 16만이 넘는 좋아요를 받으며 중국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
  • 멤버 모두가 시력이 안 좋다. 같은 디자인으로 단체 안경도 맞춘 적이 있다고 250218 Weverse 라이브에서 밝혔다.
  • 2025년 4월 20일 LE SSERAFIM 콘서트에 방문한 이후 '핌릿'이라는 카톡방이 만들어졌다고 윤아가 250422 Weverse 디엠에서 밝혔다.
  • 2025년 3월 26일 방송된 일본 지상파 후지TV의 프로그램 <주간 나이나이 뮤직(週刊ナイナイミュージック)>에서 MBC 쇼! 음악중심 생방송 당일 대기실 현장을 방문했는데, 이날 ILLIT과는 복도에서 만났다. 링크[55]

11.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LLIT/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LLIT/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역대 프로필 사진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2bbef,#92bbef><tablebgcolor=transparent><width=25%><nopad> 파일:I'LL IT 프로필 단체.jpg ||<width=25%><nopad> 파일:SUPER REAL ME SUPER ME Ver. ILLIT 1.jpg ||<width=25%><nopad> 파일:ILLIT I'LL LIKE YOU 프로필.jpg ||<nopad> 파일:Almond Chocolate 단체1.jpg ||
ILLIT SUPER REAL ME I’LL LIKE YOU Almond Chocolate
파일:bomb MAGIC BOMB ILLIT 1.jpg 파일:時よ止まれ Night Out ver. ILLIT 1.jpg
bomb 時よ止まれ

13. 둘러보기

파일:빌리프랩 로고.svg파일:빌리프랩 로고 슬로건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아티스트
파일:ENHYPEN 로고.svg파일:ENHYPEN 로고 화이트.svg
엔하이픈
파일:ILLIT 로고.svg파일:ILLIT 로고 화이트.svg
아일릿
CEO
초대
김태호
프로듀서
Wonderkid VINCENZO
ARMADILLO dyvahh
프로젝트
파일:I-LAND 로고.svg파일:I-LAND 로고 화이트.svg 파일:알유넥스트 로고.svg파일:알유넥스트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ord-break: keep-all;"
파일:HYBE LABELS 로고.svg파일:HYBE LABELS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한국 레이블 ]
<tablebgcolor=transparent> 빅히트 뮤직 이현 · 방탄소년단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CORTIS
빌리프랩 ENHYPEN · ILLIT
쏘스뮤직 LE SSERAFIM
플레디스 BUMZU · 황민현 · 세븐틴 · TWS
KOZ 지코 · BOYNEXTDOOR
ADOR NewJean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일본 레이블 ]
YX LABELS &TEAM · aoe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미국 레이블 ]
<tablebgcolor=transparent> HYBE UMG KATSEYE
SB Projects 애슐리 그레이엄 · 블랙 아이드 피스 · 칼리 레이 젭슨 · DAN + SHAY · 데이비드 게타 · 데미 로바토 · EDEN · 힐러리 더프 · 저스틴 비버 · kaliii · Ozuna · 켈리 롤랜드 · 스티브 안젤로 · 더 낙스 · PUSH BABY · The Kid LAROI · YG · Lil Dicky · ASHER ROTH · THE SPENCER LEE BAND · THE WANTED
Schoolboy Records 칼리 레이 젭슨 · CL · 싸이 · 릭스턴 · Sheppard · 토리 켈리
SANDBOX SUCCESSION DAN + SHAY · DEVIN DAWSON ·FAITH HILL · KACEY MUSGRAVES · KELSEA BALLERINI · LITTLE BIG TOWN · MIDLAND
Big Machine Records BRIAN KELLEY · CALLISTA CLARK · CARLY PEARCE · DANIELLE BRADBERY · 도트리 · GARY LEVOX · GLEN CAMPBELL · JACKSON DEAN · JAY DEMARCUS · JENNIFER NETTLES · JOHN 5 · KRISTIAN BUSH · MIDLAND · RASCAL FLATTS · RAY WYLIE HUBBARD · STARCRAWLER · SUGARLAND · THE CADILLAC THREE · TIM MCGRAW · WANDA JACKSON
Valory Music AARON LEWIS · AVENUE BEAT · BRANTLEY GILBERT · ELI YOUNG BAND · CONNER SMITH · JUSTIN MOORE · KIDD G · MACKENZIE CARPENTER · SHERYL CROW · THOMAS RHETT · TIERA KENNEDY · TYLER RICH
BMLG Records BRETT YOUNG · CHRIS JANSON · FLORIDA GEORGIA LINE · LADY A · RILEY GREEN · SHANE PROFITT
Big Machine John Varvatos Records AYRON JONES · BADFLOWER · THE STRUTS · VIOLET SATURN
Quality Control Music 미고스 · 퀘이보 · 오프셋 · 릴 베이비 · City Girls · Lil Yachty · Marlo · 24Heavy · Bankroll Freddie · Duke Deuce · Jayy Fox · Jordan Hollywood · Kollision · Layton Greene · Stefflon Don · Wavy Navy Pooh · Lakeyah Danae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라틴 레이블 ]
Zarpazo Entertainment 대디 양키
HYBE LATIN AMERICA
DOCEMIL Music }}}}}}}}}

파일:게펜 레코드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 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게펜 레코드 ||<width=50%> The SuperStar ||

}}} ||
[1] HYBE 자회사 빌리프랩의 걸그룹 오디션 알유넥스트를 통해 결성되었다.[2] [공식기사] Magnetic 타이틀곡의 장르는 플러그엔비와 하우스(House)가 섞인 댄스 곡. 아르페지오 신스와 다이내믹한 베이스로 강렬한 리듬감을 보여준다.[3] 원희가 선창한다.[4] 한국인 3명, 일본인 2명.[5] #[6] 가사: 'SUPER ME'와 'REAL ME'는 가사 속에서도 조화롭게 녹아나는데, "하느님도 두 손 두 발 들었지."와 같는 초월적인 가사가 아일릿의 생각을 극단적으로 키워 강조하는 반면 '츄츄츄츄', '유유유유'와 같은 원초적인 노랫가사가 아일릿의 진정성을 더 자연스럽게 드러낸다. 원희는 재미있고 귀여운 노래가사에서 아일릿스러움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7] SUPER ME 버전의 '과몰입하는 소녀' 역시 아일릿의 핵심 콘셉트 중 하나이다.[8] #[9] 컨셉포토: 'SUPER ME'컨셉 포토에서 윤아는 작은 방에서 거인이 되는가 하면, 민주는 물방울이 보이는 정원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즐긴다. 모카는 인형들 사이에 파묻혀 있거나, 원희는 구름을 침대 삼아 누워 있고, 이로하는 파란 꽃무늬의 유니콘과 노는 기발한 상상력을 드러낸다. 'REAL ME' 컨셉 포토에서는 그러한 상상을 하는 소녀들의 실제 모습을 담아냈다. 같이 몰려다니고, 뛰어다니고, 맛있는 것을 먹고, 이야기를 나누는 자연스러운 모습을 담고자 했다.[10] ILLIT의 로고는 아일릿 특유의 칩튠 이펙트가 들어간 음악 스타일에 매우 잘어울린다.[11] ILLIT의 일상복, 교복을 입은 친숙한 모습의 REAL ME버전인 미니 1집 컨셉 필름, 틀에 얽매이지 않고 화려한 의상도 몽환적인 의상도 선보이는 SUPER ME버전의 미니 2집 컨셉 필름# #[12] #1, #2[13] #1, #2[14] #1, #2[15] #1, #2[16] #1, #2[17] #1[18] # ILLIT의 대표 엔딩 요정 원희12:59[19] 실제로 원희는 청순한 미녀의 대명사인 포카리스웨트의 모델로, 동아오츠카 회사를 통해 직접 발탁되었다. 광고 모델 발탁 이후 역대 포카리 아이돌 광고 중 최대 유튜브 조회수, 광고 후 최대의 매출 증가의 기록을 세웠다.(해당 광고가 나온 달엔 전년 대비 무려 45% 증가, 이후 상반기 총 매출은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20] 외적으로 다른 멤버들과 대조되며 본인만의 매력이 더 부각되는 경향이 있다. 훗날 아일릿의 연차가 쌓이고 보다 성숙한 컨셉으로 전환한다면 윤아가 주축이 될거라는 예측이 많을 정도.[21] 윤아: 168cm | 민주: 163cm | 모카: 162cm | 원희: 160.7cm | 이로하: 158cm[22] 영국NME-"Magnetic은 가장 중독성이 강한 곡 중 하나이다. 꿈결 같은 신디사이저, 흩어지는 비트 등 ILLIT이 선보이는 조화로운 음악은 마법과도 같은 매력을 지니고 있다 "#[23] 미국 음악 전문 매체 Consequence-"Magnetic은 기억에 남는 매력적인 후렴구와 달콤하고 장난기 넘치는 안무가 결합된 노래, ILLIT은 빌보드 핫 100과 영국 오피셜 싱글 톱 100을 동시에 진입하며 K-POP 데뷔곡으로 전례 없는 역사를 만들어냈다 "[24] 빌보드 글로벌 200 에서 61위, 글로벌 200 (미국 제외) 차트에서 29위로 K-POP 가수 중에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25] ILLIT의 Magnetic보다 높은 순위는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 사브리나 카펜터(Sabrina Carpenter),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포스트 말론(Post Malone), 빌리 아일리시(Billie Eilish) 등 팝송 뮤지션들의 히트곡들 뿐이다.[26] 이기록은 Hearts2HeartsThe Chase로 갱신했다.[27] 미니 1집 SUPER REAL ME는 빌보드 200에 93위(5월 11일 자)로, 타이틀곡 Magnetic은 미국 빌보드 HOT 100(4월 20일 자)에 91위로 진입했다.[28] 과거의 최장 기록인 Cupid(FIFTY FIFTY)와 Hype Boy(NewJeans)의 31주 기록을 넘었고, K-POP 여성 아티스트 최장 기간 기록을 경신했다.[29] 미국 제외 글로벌[30] 모든 가수 및 아이돌 그룹을 통틀어서는 보이그룹 Wanna One의 데뷔곡 〈에너제틱 (Energetic)〉에 이은 역대 두 번째 달성이다. 추가로 2024년 음악 방송에서 12관왕으로 최다 1위 곡 확정, 2024년 음악 방송에서 유일하게 10관왕 이상 달성, 지상파 음악 방송에서 7관왕하여 최다 1위 곡으로 확정되었다.[31] NHK 홍백가합전은 꿈의 무대로 불리는데, 홍백가합전에 참가하는 것은 그해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그룹으로 인정받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32] 이 시상식에서 K-POP 걸그룹이 신인상을 받은 건 소녀시대2NE1 이후, 13년 만으로, 일본에서 데뷔하지도 않은 ILLIT의 신인상 수상은 매우 이례적이다.[33] ILLIT의 빌보드 핫 100 데뷔 곡[34] ILLIT의 빌보드 200 데뷔 앨범[35] World album 2nd, Top album sales 6th[36] World album 2nd, Top album sales 10th[37] ILLIT의 빌보드 Global 200 데뷔 곡[38] ILLIT의 첫 TOP 10 진입[39] ILLIT의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데뷔 곡[40] 직속 선배는 같은 소속사인 빌리프랩에서 처음 선보인 보이그룹인 ENHYPEN이다. 빌리프랩을 인수한 주식회사 HYBE의 3번째 데뷔 걸그룹으로서, 데뷔 순서는 LE SSERAFIM, NewJeans, ILLIT, KATSEYE이다.[41] 이는 빌리프랩 직속 선배 ENHYPEN과 동일하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리더가 있는 ENHYPEN과 달리, ILLIT은 따로 리더를 정하지 않고 모두가 리더의 마음가짐으로 임하기로 한 데에서 차이가 있다.[42]
결성 직후(윤아, 모카 / 민주, 원희 / 영서, 이로하)

2번째(윤아, 원희 / 모카, 이로하 / 민주)

3번째(윤아, 모카 / 민주, 원희 / 이로하)

현재(민주, 모카 / 원희, 이로하 / 윤아)
[43] 충주시 출신인 윤아대전광역시 팀인 한화 이글스, 남양주시 출신인 민주서울특별시 팀인 LG 트윈스, 그리고 부산광역시 출신인 원희는 부산광역시 팀인 롯데 자이언츠에서 시구를 했다.# 참고로 일본인 멤버인 모카이로하의 고향에도 각각 프로야구단이 존재한다.[44] 윤아 1월, 민주 5월, 모카 10월, 원희 6월, 이로하 2월[45] 여러 로틴/차이돌 근접 그룹들에 비해서는 평균 연령은 높은 편이지만 청소년기 연령인 것은 동일하다.[46] 빌리프랩 직속 선배 그룹인 ENHYPENI-LAND를 통해 데뷔하여, 해당 I-LAND Weverse 커뮤니티를 그대로 ENHYPEN Weverse 커뮤니티로 이어받아 사용하고 있다.[47] 당시 기준 6년[48] 당시 기준 1개월[49] '하이브 신인' 영서 데뷔 불발…그룹 아일릿, 5인 체제로 활동[50] 이후 영서는 THEBLACKLABEL로 이적해 혼성그룹 ALLDAY PROJECT로 데뷔했으며, 데뷔 후에도 여전히 멤버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51] 윤아, 민주, 원희[52] 윤아는 남동생이 있고, 민주원희는 오빠가 있고, 모카는 여동생이 있으며 이로하는 외동이다.[53] 데뷔 이후 가장 빨리 빌보드 HOT 100에 진입한 남성 아티스트는 방탄소년단이다.[54] 데뷔 년도인 2024년 가요대제전의 경우 홍백가합전과 일정이 겹친 것도 있는 데다 2024년 12월 31일부로 HYBE와 계약이 끝난 프로미스나인이 3사 가요제 중 유일하게 출연하는 것이 결정되면서 소속사 쿼터제에서 밀린 것으로 추정된다.[55] 의상으로 보아 3월 15일 방송 당시로 보인다. 참고로 이 프로그램이 당일 음악중심 녹화 현장에 들어갈 수 있었던 이유는 후지TV가 MBC와 제휴사 관계이기 때문으로, MBC 본사 경영센터동 11층에 후지TV의 서울지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