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1 21:39:09

버츄얼 유튜버

버츄얼 유튜버
Virtual Youtuber / バーチャル Youtuber
파일:키즈나 아이.png
최초의 버츄얼 유튜버 키즈나 아이
파일:high quality hololive members.png
버츄얼 유튜버 그룹 홀로라이브
1. 개요2. 명칭3. 역사4. 목록5. 관련 용어6. 방송 플랫폼7. 관련 기술
7.1. 아바타 제작7.2. 모션 입력7.3. 모션 출력7.4. 하드웨어7.5. 소프트웨어7.6. 평가
8. 준비 과정
8.1. 개인세와 기업세8.2. 아바타8.3. 역량8.4. 활동8.5. 수익 모델8.6. 난점
9. 여담
9.1. 성별 관련9.2. 버미육9.3. C튜버9.4. 일반 유튜버 → 버츄얼 전환9.5. 관련 업계9.6. 한국 내 인식9.7. 관련 판례
10. 관련 커뮤니티11. 관련 사이트12. 관련 문서

1. 개요

버츄얼 유튜버는 카메라나 특수 장비를 통해서 그 사람의 행동이나 표정을 대신 표현해 주는 캐릭터가 등장해 방송을 진행하는 인터넷 방송인을 말한다. 해당 분야의 선구자로 불리는 일본의 유튜버 키즈나 아이가 처음 사용하며[1] 정립된 용어다.

2. 명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명칭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버츄얼 유튜버/역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역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역사#명칭의 역사|명칭의 역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명칭의 역사: }}}[[버츄얼 유튜버/역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버츄얼 유튜버/역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버츄얼 유튜버/역사#명칭의 역사|명칭의 역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Virtual Youtuber의 virtual은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버추얼'만이 올바른 표현이며, 관련 표기란에는 버츄얼(X),벌츄얼(X) 모두 해당사항이 아니다.# 그러나 '버츄얼 유튜버'와 관련된 경우에 한해서는 역사적으로 '버츄얼'이라는 표기가 좀 더 우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키즈나 아이의 초창기 동영상의 한국어 번역에서 그렇게 쓴 게 널리 퍼져 경로의존성 현상에 따라 대중에게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해외에서 버츄얼 유튜버 업계 전체를 가리키거나 방송인을 가리킬 때 '라이버'[2], '텔런트'를 제외하면 '브이튜버(VTuber)','V업계','V들'와 같이 'V'로 지칭하나 한국의 경우 버튜버, 버츄얼, 버츄얼 스트리머등 '버'로 요약되는 차이가 있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츄얼 유튜버/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츄얼 유튜버/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한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용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츄얼 유튜버/용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용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츄얼 유튜버/용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방송 플랫폼

  • 국내 버츄얼 유튜버
    • 유튜브 : VOD,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긴 스트리밍 지연 시간, 높은 후원 (슈퍼챗) 수수료, 시청자 채팅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한국에서는 유튜브가 라이브 스트리밍 용으로는 인기가 없으며, 주로 커버곡, 생방송 다시보기, 방송 하이라이트 편집 영상이 업로드된다.
    • 트위치 : 짧은 스트리밍 지연 시간, 실시간으로 다시보기 생성, 서드파티 서비스, 트위치 API 제공, 버츄얼 관련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는 OBS 방송 세팅, 시청자 채팅 관리의 용이성 때문에 한국 버츄얼 유튜버들 거의 대다수가 사용했던 플랫폼이다. 하지만 2024년 2월 27일 한국에서의 서비스 종료가 확정되면서 치지직과 아프리카TV (이후 SOOP으로 명칭 변경)로 대부분 이적했다.
    • SOOP : 라이브 스트리밍, VOD, 커뮤니티 플랫폼. 22년 이전까지 아프리카는 버츄얼에 대한 문화가 없었지만, 2022년 9월 30일 트위치의 한국 서비스 정책 변경으로 인한 반발 효과로 몇몇 버츄얼 스트리머들이 SOOP (구 아프리카TV)으로 이적하면서 버츄얼 방송이 알려졌고, 23년 트위치의 서비스 종료 발표 이후로 본격적으로 버츄얼 스트리머들이 SOOP 에서 활동을 하게 되면서 버츄얼 방송 규모가 증가했다.
    • 치지직 : 라이브 스트리밍, VOD, 커뮤니티 플랫폼. 트위치의 서비스 종료로 아프리카와 함께 대안으로 떠올랐다. 신생 플랫폼이라 많은 게 부족했지만 그만큼 새하얀 도화지인 상태라 트위치 문화를 거의 그대로 옮겨올 수 있었다는 장점이 있어 트위치 버츄얼 스트리머들 중 많은 수가 문화가 익숙한 치지직 이적을 선택했다.
    • 제페토 라이브 : 무료로 버츄얼 아바타를 만들고 방송할 수 있어 진입 장벽이 높지 않으며, 본인이 원하는 제스처·아이템·배경을 활용해 자신만의 연출이 가능하다. 팬이 현금화 가능한 후원 아이템을 보내 수익화할 수 있고 월 1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는 스트리머들도 있다고 한다. 라이브 방송 내 인터랙션 기능으로 몰입도 높고 매력적인 방송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버튜버로서 데뷔도 가능하여 버츄얼 유튜버 지망생들이 자주 진입하는 플랫폼.
    • X 스페이스 : X(구 트위터)의 실시간 음성 채팅 서비스.
    • KICK :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국내에서는 트위치의 2023년 6월 7일 동시 송출 사전 허가 및 광고 제한 공지의 여파로 외국 방송인들의 대체 플랫폼으로 소개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 일본 버츄얼 유튜버
    • 유튜브
    • 트위치
    • 트윗캐스팅 : 한국의 스푼 라디오와 비슷하게 라디오 위주의 플랫폼이다. 우타이테가 주로 쓰던 플랫폼이다. 버츄얼 유튜버의 경우에도 메인은 유튜브에서 하고 백업 내지 간단한 잡담을 트윗캐스팅에서 하는 경우가 제법 있다.
    • X : 버츄얼 유튜버와 시청자 모두 필수적으로 쓰다보니 트윗캐스팅을 따로 안 만들고 대신 트위터의 스페이스 기능을 쓰는 경우도 있다. 주로 게릴라+언아카이브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트위터로 하는 방송을 놓치고 안타까워하는 팬도 적지 않다.
    • REALITY : 모바일 플랫폼. 3D 아바타 채팅에 가깝다. 다른 장비 필요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구동이 가능하다는 게 큰 장점이다. 13세로 나이 제한이 걸려있으나 인증이 허술하여 방송인들 중에서 어린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 그 외 쇼룸, 이리암 등 소규모 플랫폼이 있다. 특성상 방송이라기보다 방장이 주제를 던지는 채팅에 가깝다.
  • 글로벌
    • 브이스트림: 버츄얼 유튜버 특화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시작했으나 2024년 4월 1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7. 관련 기술

모든 버츄얼 유튜버가 아래 설명된 기술이나 장비를 전부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3D에서만 사용되는 기술, 2D에서만 사용되는 기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 있다. 밑에 설명한 그 외에는 일반 유튜버랑 동일하다.

7.1. 아바타 제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그래픽 소프트웨어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원화 작업
  • 2D 아바타
    • Live2D : 2D 그림을 3D처럼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기술.[5] 보통 안면인식과 세트로 쓰인다. 다만 움직이는 범위가 크게 한정되어 있어 표정이나 시선 방향 전환 정도면 몰라도 복잡한 3차원 움직임, 예컨대 팔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뒤돌거나, 허리를 움직이거나 하는 등은 불가능하다. 소통 (저스트 채팅) 방송이나 게임 실황 중계 정도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춤 방송, VR 컨텐츠, 뮤직 비디오 제작 등에는 활용이 힘들다.
  • 3D 아바타
    • 3D 모델링
    • 모션 제작: 아바타의 동작을 만들어두고 감정 표현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작업
    • VRM, FBX: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는 3D 캐릭터 파일
    • 쉐이딩: 빛 표현, 사물의 질감 등을 표현하는 방식. 릴툰, 닐로툰을 많이 사용한다.
  • 리깅 : 3D 캐릭터에 뼈대를 만들어서 움직일 수 있게 만드는 작업이지만, 2D 일러스트 에서는 배우의 움직임을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으로 연결해 주는 작업을 말한다.
    • 본 리깅 : 3D 캐릭터에 뼈와 관절을 만들어주는 작업
    • 립싱크 : 발음별로 만들어둔 애니메이션을 성우가 내는 소리를 분석해서 자동으로 해당 소리에 맞는 입모양 애니메이션을 출력 하는 기술
    • 모션 트래킹 연동 : 아바타가 모션 캡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 페이셜 트래킹 연동 : 아바타가 페이셜 캡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 아이 트래킹 연동 : 아바타가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6]

7.2. 모션 입력

  • 모션 캡처 : 모션 캡처에도 여러 종류가 있고 유튜버마다 같은 방식의 모션 캡처를 사용하지 않는다. 키즈나 아이의 경우 퍼포먼스 캡처 방식을 사용하는 듯하다.
  • 페이셜 캡쳐 : 페이셜 트래킹을 통해 사람의 표정을 캡쳐하는 기술이다. 사용하는 장비에 따라 눈동자 방향, 턱, 볼, 눈 깜빡임 등 더 많은 표정을 표현할 수 있다.

7.3. 모션 출력

  • 모션 데이터 파일 (BVH): 모션 캡쳐의 결과로 출력되는 파일이다. 후 보정으로 수정할 수 있으며, 3D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영상 제작에 사용할 수 있다.
  • 실시간 렌더링: 배우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캐릭터 애니메이션으로 구현 하는 기술이다.

7.4. 하드웨어

  • PERCEPTION NEURON#: 가성비가 제일 좋은 모션 캡처 기기, 초창기 자본 투자가 적었을 때는 해당 기기 사용 유튜버가 많은 편이었으나, 대기업이나 자체적으로 제작 스튜디오가 있는 게임 회사들이 들어오면서 게임 속의 시네마 애니메이션 제작용이나 할리우드 영화에서나 쓸법한 장비도 사용되는 중이다. 다만 기업 소속 등이 아닌 이상 장비와 프로그램 모두 1천만 원 이상의 고가이기에 체급이 큰 버튜버가 아닌 이상 개인 소유가 아닌 대여점에서 빌리는 정도만 있다.
  • HTC VIVE : 룸스케일의 가상 공간과 모션 캡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모션 캡처 기기 없이 어느 정도 버츄얼 유튜버를 구현 할 수 있다.
  • iPhone[7]: 페이셜 캡쳐를 위해서 사용한다.[8]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을 3D로 스캔하며, 인식 가능한 파라미터 수는 52개이다.
  • VIVE 페이셜 트레커 : 38개의 파라미터
  • 웹캠 :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서 표정이나 모션을 유추한다. 아이폰보다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가장 저렴하게 버츄얼 유튜버를 시작할 수 있다.
  • 키넥트 : 모션 캡쳐 기기. 섬세함은 좀 떨어져도 저렴하다. 관련 튜토리얼이나 API가 많다. 키넥트 2.0 영상.
  • Leap Motion Controller : 카메라를 이용한 핸드 트래킹 장비이다.
  • mocopi : 소니에서 발매한 소형화된 관성식 모션 트래킹 장비이다.
  • Xsens : 관성식 모션캡쳐 장비

7.5. 소프트웨어

이름 지원 파일
형식
캡쳐 가능 여부 및 장비 비고
페이셜 캡쳐 모션 캡쳐
유니티 FBX[9]
VRM
O O 퍼셉션 뉴런 장비를 사용한 모션캡쳐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멜리고 VRM 아이폰[10] Vive 트래커
Mollisen Cast
2022년 7월 7일 대한민국의 기업인 필더세임에서 멜리고 서비스 시작. 다중 접속 지원. 자체 제작한 트래커[11]로 손가락 움직임을 지원한다.#
VRChat FBX VR 장비[12] VR 장비 가상현실 지향 음성 채팅 소프트웨어. VR 장비를 이용한 모션 캡쳐를 지원한다.
Hitogata FBX
VRM
웹캠 X 얼굴을 인식하면 그 표정에 해당하는 캐릭터의 표정을 나타낸다. 특정한 표정 애니메이션을 띄울 수도 있기에 > < 표정이나 우는 표정, 눈물 등을 표시 할 수 있다.
VSeeFace VRM
VSFAvatar
웹캠
아이폰
립모션[13] OSC/VMC protocol을 지원한다. #
애니모티콘 내장[14] 아이폰 X 아이폰 X부터 추가된 기본 앱.
스콘[15] 3D 아이폰[16] ?[17] 버츄얼 캐릭터 솔루션.#
VTube Studio Live 2D 웹캠
안드로이드
웹캠[18] PC와 안드로이드를 지원한다.#
Animaze Live 2D
FBX
VRM
웹캠 X #
Dollars MoCap 3D 웹캠[19] 웹캠 중국 기업 #, 비디오 파일 읽기 지원. IP통신으로 멀티 지원.
Actionman VRM
GLB
아이폰 아이폰 애플스토어
REALITY 내장 3D 모바일 모바일 일본 기업 GREE에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
마스코즈 VRM
내장 3D
아이폰
웹캠
안드로이드
립모션 버츄얼 캐릭터 솔루션.#
ITuber 3D[20] 아이폰 X #. 동물, 마스코트 캐릭터, SD캐릭터를 많이 사용한다.
Warudo 3D 아이폰 지원 목록 #
Hyper 내장 3D
VRM
Live 2D
아이폰 웹캠 #
avvy 내장 3D 모바일 X #
  • 방송 효과
    • Shoost : 배경에 필터 효과를 준다. 일본인 개발자 MuRo가 개인 개발로 만든 어플. 현재 얼리억세스 상태이며, patreon이나 pixivFANBOX를 후원하면 다운받을 수 있다.
    • T.I.T.S : 트위치 방송에서 물건던지기#
  • 그 외 인터넷 방송/유용한 도구
  • {{{#!folding [ 서비스 종료 ]
이름 지원 파일
형식
캡쳐 가능 여부 및 장비 비고
페이셜 캡쳐 모션 캡쳐
FaceRig 내장[21] 웹캠
안드로이드
아이폰
X 얼굴을 인식하면 그 표정에 해당하는 캐릭터의 표정을 나타낸다. 특정한 표정 애니메이션을 띄울 수도 있기에 > < 표정이나 우는 표정, 눈물 등을 표시 할 수 있다.

[1] 2016년 12월, 키즈나 아이의 첫번째 영상에서 자신을 소개하며 버츄얼 유튜버라는 말, 왠지 멋있지 않나요? 라는 말을 했고, 아이가 성장하며 후속주자들이 생겨나면서 완전히 정착했다.[2] 니지산지에서 방송인-시청자를 라이버-리스너로 부르는 것에서 유래됐으나 타 기업세, 개인세 버튜버들도 자주 사용한다.[3] 원래는 BJ라고 했으나 SOOP이라는 이름으로 사명을 바꾸면서 스트리머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4] SOOP 측에서는 공식적으로 '버얼' 표기를 사용한다.[5] 원래는 소프트웨어 이름이다.[6] 페이셜 트래킹의 일부분이다.[7] Face ID를 지원하는 iPhone X와 이후 기종[8] Face ID[9] Format 형식을 'FBX for Unity'로 설정해야 한다.[10] XS 이상[11] Mollisen Cast[12] VIVE 페이셜 트래커 장비, 아이트래킹 지원 VR 장비 필요[13] 핸드트래킹용 특수 캠[14] 커스터마이징 가능[15] 원래 미츄였으나 스콘 산하 동명의 버추얼 그룹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명칭을 변경하였다.[16] Xr, SE2, 11이상[17] BETA 서비스[18] 전신 트래킹은 지원하지 않고 손 트래킹만 지원한다.[19] Animaze 연동[20] 주문 제작[21] Live 2D. 추가 캐릭터는 DLC 구매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