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민 시리즈 | ||
{{{#00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000000> 시리즈 | <colbgcolor=#ffffff,#2d2f34>봄철 한정 딸기 타르트 사건 여름철 한정 트로피컬 파르페 사건 가을철 한정 구리킨톤 사건 겨울철 한정 봉봉 쇼콜라 사건 |
파리 마카롱 수수께끼 | ||
등장인물 | 고바토 조고로 · 오사나이 유키 | |
미디어 믹스 | 애니메이션 (TVA 1기 · 2기) | }}}}}}}}}}}} |
소시민 시리즈 2기 (2025) 小市民シリーズ 第2期 How to become Ordinary 2nd Season | |||
<nopad> | |||
{{{#ff9a4c,#ff9a4c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ff9a4c,#ff9a4c> 장르 | 청춘, 미스터리, 추리 | |
원작 | 요네자와 호노부 | ||
감독 | 칸베 마모루 | ||
시리즈 구성 | 오오노 토시야(大野敏哉) | ||
캐릭터 디자인 | 사이토 아츠시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구시켄 마유(具志堅眞由) | ||
총 작화감독 | |||
색채 설계 | 아키모토 유키(秋元由紀) | ||
미술 감독 | 이토 아키라(伊藤 聖) | ||
미술 설정 | 아오키 토모유키(青木智由紀) 이노세 유키에(イノセユキエ) | ||
촬영 감독 | 시오카와 토모유키(塩川智幸) | ||
CG 디렉터 | 코시다 유지(越田祐史) | ||
편집 | 마츠바라 리에(松原理恵) | ||
음악 | 오바타 마사히로(小畑貴裕) | ||
음향 감독 | 시미즈 카츠노리(清水勝則) 야기누마 토모히코(八木沼智彦) | ||
음향 효과 | 야소 쇼타(八十正太) | ||
기획 | 오노 히토시(小野 仁) 쿄 미키토(許 樹人) 게 양첸(葛仰骞) 시부야 켄타로(渋谷健太郎) 코모리 토시미치(小森寿道) 타카하시 류(髙橋 竜) 데쿠라 히로유키(出藏寛幸) 니시무라 히로아키(西村裕明) 타케치 츠네오(武智恒雄) 야마자키 켄지(山崎健詞) | ||
프로듀서 | 엔도 카즈키(遠藤一樹) 히노 료(日野 亮) 콩 카오(曹聡) 칸바라 요시후미(神原佳史) 하야시 요시아키(林 義晃) 소토카와 아키히로(外川明宏) 나카가와 에이미(中川瑛美) 마츠이 유코(松井優子) 오자와 후미히로(小澤文啓) 미즈타니 케이(水谷 圭)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와타베 마사카즈(渡部正和) | ||
라인 프로듀서 | 아라오 타쿠미(荒尾 匠) | ||
애니메이션 제작 | 라판트랙 | ||
제작 | 소시민 시리즈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25. 04. 06. ~ 방영 중 | ||
방송국 | (일) 01:30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편당 러닝타임 | 23분 | ||
화수 | --화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요네자와 호노부의 청춘 미스터리 소설 소시민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2기. 감독은 칸베 마모루, 방영 시기는 2025년 4월.원작의 마지막 남은 2개의 장편 에피소드인 가을철 한정 구리킨톤 사건, 겨울철 한정 봉봉 쇼콜라 사건를 다루는 최종장.[1][2]
2. 공개 정보
2024년 9월 15일, 1기 종영 직후 2기 제작이 발표되었다. # 시리즈의 3, 4권인 가을철 한정 구리킨톤 사건, 겨울철 한정 봉봉 쇼콜라 사건을 다룬다.2.1. PV
2.1.1. 일본
2기 제작 결정 PV |
PV 제1탄 |
2.1.2. 대한민국
애니플러스 PV |
2.2. 키 비주얼
|
<rowcolor=#ff9a4c,#ff9a4c> 가을철 한정 구리킨톤 사건 비주얼[3] |
3. 줄거리
나는, 모르고 있었어.
사랑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서로를 돕는 '호혜 관계'를 해소한,
고등학교 2학년 고바토와 오사나이.
오사나이는 신문부 소속 1학년인 우리노와 사귀기 시작했다.
우리노는 자신이 이 학교에 있었다는 증표를 남겨
오사나이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시내에서 일어난 방화 사건을 교내 신문에 실으려고 분투했다.
한편, 고바토는 반 친구인 나카마루와 사귀기 시작했다.
평온한 나날을 보내는 가운데,
하천 부지에서 불이 난 현장과 조우했고...
고바토와 오사나이의 소시민으로서의
재출발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애니플러스
사랑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서로를 돕는 '호혜 관계'를 해소한,
고등학교 2학년 고바토와 오사나이.
오사나이는 신문부 소속 1학년인 우리노와 사귀기 시작했다.
우리노는 자신이 이 학교에 있었다는 증표를 남겨
오사나이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시내에서 일어난 방화 사건을 교내 신문에 실으려고 분투했다.
한편, 고바토는 반 친구인 나카마루와 사귀기 시작했다.
평온한 나날을 보내는 가운데,
하천 부지에서 불이 난 현장과 조우했고...
고바토와 오사나이의 소시민으로서의
재출발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시민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시민 시리즈#등장인물|등장인물]][[소시민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owcolor=#ff9a4c,#ff9a4c> 등장인물 | 성우 |
고바토 조고로 | 우메다 슈이치로 |
오사나이 유키 | 요우미야 히나 |
도지마 겐고 | 후루카와 마코토 |
우리노 다카히코 | 우에니시 텟페이 |
나카마루 도키코 | 미야모토 유메 |
히야 유토 | 야마시타 세이이치로 |
5. 주제가
5.1. OP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인(요루시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인(요루시카)#|]][[화성인(요루시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P 火星人 화성인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ff9a4c,#ff9a4c> 노래 | 요루시카 | ||
작사 | n-buna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ff9a4c,#ff9a4c> 오프닝 디렉터 | 이시구로 쿄헤이 | |
작화감독 | 쿠시켄 마유(具志堅眞由) 타카노 야요이(高野やよい) | ||
총 작화감독 | 사이토 아츠시 | ||
원화 | 아이케이 유키코, 코지마 타카시, 세라 코타(世良コータ), 츠노다 유키(角田有希), 10十10, 오노다 마사토 (小野田将人), 코바야시 신페이(小林真平) 등 |
5.2. ED
ED SugaRiddle | |||
TV ver. | |||
Audio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ff9a4c,#ff9a4c> 노래 | 야나기나기 | ||
작사 | |||
작곡 | 40mP | ||
편곡 | |||
프로듀싱 | 카와구치 신지(川口真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ff9a4c,#ff9a4c> 영상 디렉터 | 타지마 타오(田島太雄) | |
연출 | 나카하라 모에(中原 萌) | ||
작화감독 | 구시켄 마유(具志堅眞由) |
1기 엔딩과 마찬가지로 타지마 타오(田島太雄)가 감독을 맡았다.[4] 실사와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동시에 배치하는 특징적인 연출로 X에서도 단번에 알아챘다는 이들이 꽤 많다. 1기 엔딩과 대비되는 장면도 있다.
6. 회차 목록
<rowcolor=#ff9a4c,#ff9a4c> 회차 | 제목[5]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가을철 한정 구리킨톤 사건 | |||||||
제11화[6] | あたたかな冬 (前編) 따뜻한 겨울 (전편) | 오오노 토시야 (大野敏哉) | 칸베 마모루 | 아라이 미호 (新井美穂) | 타카노 야요이 (高野やよい) 쿠도 유카 야마다 슌타로 (山田俊太郎) 토요타 아키코 (豊田暁子) 이케즈 히사에 (池津寿恵) 타카하시 미치코 (高橋道子) 야마미치 토이 (山道到威) 사노 에리 (さのえり) | 쿠시켄 마유 (具志堅眞由) | 日선행: 2025.04.05. 日: 2025.04.06. 韓: 2025.04.09. |
제12화 | あたたかな冬 (後編) 따뜻한 겨울 (후편) | 마츠바라 사토시 (松原 聡) | 黄彦勝 | 나카지마 슌 (中島 駿) 타케우치 미키 (竹内未希) 코다 토모키 (香田知樹) 테지마 노리코 (手島典子) 廖菲 胡云濤 陸子煜 趙昱慧 | 日: 2025.04.13. 韓: 2025.04.16. | ||
제13화 | とまどう春 방황하는 봄 | 우츠미 테루코 (内海照子) | 나가토모 타카카즈 (長友孝和) | 나카하라 모에 (中原 萌) | 니시지마 히로키 (西島央桐) 노구치 마사츠네 (野口征恒) 타카노 나오 (高野菜央) 타카하시 미치코 하카마타 유지 (袴田裕二) 야마미치 토이 廖菲 胡云濤 陸子煜 趙昱慧 | 日: 2025.04.20. 韓: 2025.04.23. | |
제14화 | うたがわしい夏 (前編) 의혹의 여름 (전편) | 오오노 토시야 | 쿠레미즈 코스케 (紅水康介) | 타카노 야요이 쿠도 유카 나카지마 슌 이케즈 히사에 코다 토모키 히구치 카오리 (樋口香里) 廖菲 胡云濤 陸子煜 趙昱慧 | 日: 2025.04.27. 韓: 2025.04.30. | ||
제15화 | うたがわしい夏 (後編) | 우츠미 테루코 | 카와바타 타카시 (川畑 喬) | 아라이 미호 | 히구치 카오리 키쿠카와 타카시 (菊川孝司) 타케모토 미키 (竹本未希) 타카하시 미치코 카와카미 노부히코 ( 川上暢彦) New Animate Studio | 日: 2025.05.04. 韓: 2025.05.07. | |
겨울철 한정 봉봉 쇼콜라 사건 | |||||||
제○화 | 日: 2025. 韓: 2025. |
7.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ff9a4c,#ff9a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6125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colcolor=#fff> 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09: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8pt; font-weight: bold; text-align: left; color: transparent" |
20:00 | 위치 워치 | ||||||||||
22:00 | 리코리스 리코일 Friends are thieves of time. | 귀멸의 칼날 (더빙) ANIMAX | |||||||||
22:30 | |||||||||||
23:00 |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 ANIMAX | ||||||||||
23:30 | |||||||||||
24:00 | LAZARUS 라자로 | 길티기어 STRIVE DUAL RULERS ANIMAX | 착각하는 공방주 ~영웅 파티의 전 잡무 담당이, 실은 전투 이외가 SSS 랭크였다는 흔히 있는 이야기~ ANIMAX | 순간치료 능력자인데 도움이 안 된다며 추방당한 천재 치유사, 무면허 힐러로서 즐겁게 살아가기 | 나는 성간 국가의 악덕 영주! ANIMAX | 슬라임을 잡으면서 300년, 모르는 사이에 레벨MAX가 되었습니다 2 | 흘러가는 나날, 밥은 맛있어 | ||||
24:30 | TO BE HERO X | ||||||||||
25:00 | 아하렌 양은 알 수가 없어 Season2 | 소시민 시리즈 2기 | 완벽해서 귀여운 구석이 없다고 파혼당한 성녀는 이웃 나라에 팔린다 | 록은 숙녀의 소양이기에 | 신통기 | 흑집사 -녹색의 마녀 편- [잿더미 속 불빛] | mono | ||||
25:30 | Summer Pockets | ||||||||||
26:00 | 너와 나의 최후의 전장, 혹은 세계가 시작되는 성전 SEASON Ⅱ | 남녀의 우정은 성립할까? (아니 하지 않아!!) | A랭크 파티를 이탈한 나는, 전 제자들과 미궁 심부를 목표로 한다. | ||||||||
26:30 | 바이바이, 어스 2 ANIMAX | 마에바시 위치스 ANIMAX | |||||||||
27:00 | 귀인환등초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 |||||||||||
{{{#!wiki style="margin: -15.5px -10px" | [[https://www.tving.com/player/C00901| (모바일 환경에서는 '앱으로 이용하기'를 터치한 뒤, '라이브' 탭으로 이동해야 함) | (통신사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 | }}} | }}}}}}}}}}}} |
한국에서는 1기에 이어 애니플러스에서 2025년 2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들여와 자막으로 방영한다. 담당 번역은 1기때와 동일한 정효진, 종합편집은 손윤지가 맡았다.
9. 평가
9.1. 방영 전
1기가 워낙 호불호가 세게 갈리는 작품으로 나왔고 칸베 마모루 감독을 필두로 하는 1기 제작진이 거의 그대로 연임하면서 요네자와 호노부의 팬들을 중심으로 우려하는 반응이 많다.다만 2기 내용인 가을철 한정 구리킨톤 사건, 겨울철 한정 봉봉 쇼콜라 사건은 1기 내용보다는 확실히 시리어스하고 서스펜스 및 스릴러에 가까운 내용들을 많이 다루므로 오히려 칸베 감독의 연출이 1기보다 잘 맞아떨어질 수도 있다.[7]
9.2. 방영 후
1기가 사두용미 소리를 들으며 후반부에서 평가를 반전시키기는 했지만 그래도 초반 평가가 갈린 터라서 2기에서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고퀄리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으나, 11화(2기 1화)에서는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준수한 퀄리티를 보여줬다. 특히 2기 오프닝 요루시카의 화성인은 호평 일색이다.원작에서는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느긋한 일상물(정확히는 일상 추리물) 전개가 2기 분량 때도 마찬가지로 전개되었지만, 1기 때 비판을 받아들인 건지 원작보다도 상당히 시리어스하며 속도감 있는 전개로 질주하고 있다.
[1] 두 에피소드 사이에는 4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는 단편집 파리 마카롱 수수께끼가 출판되었다.[2] 내용상으로 최종장이어도 출판이 안된 3개 에피소드까지 포함해 옴니버스 형식으로 3기나, 호리미야 -piece-와 5등분의 신부 ∽처럼 스핀오프 애니로 만들어지거나, OVA 형식으로 발매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역으로 여기서 애니가 완결될 수도 있다.[3]
[4] 동일하게 라판트랙에서 제작한 19년도 애니메이션 사라잔마이의 엔딩 연출도 타지마 타오가 맡았는데, 이 때부터 실사 영상과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동시 배치, 촬영 색감, 대상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메라 워크 등 현재와 동일한 아이덴티티가 이미 확립돼 있는 걸 볼 수 있다. 당시에는 엔딩 콘티, 촬영, 연출 담당이었으나 소시민 시리즈에서는 엔딩 감독을 맡았다.[5]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6] 1기에서 화수를 이어 간다.[7] 실제로 칸베 감독작 중에서는 이미 약속의 네버랜드 1기, 2기처럼 같은 작품이라도 다루는 내용의 장르 여부에 따라 완성도가 천차만별로 갈린 사례가 있다. 또 1기에서 가장 시리어스한 전개인 후반부 파트 여름철 한정 트로피컬 파르페 사건에서 칸베 감독이 본격적으로 콘티를 맡으니 평이 확 좋아지기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