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9:34:00

4월 22일

날짜 이동란
4월 21일
전날
전달
4월 22일
다음날
다음달
4월 23일
3월 22일
5월 22일

4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2025년 기준
전체 보기

파일:생태주의 깃발.svg
생태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생태낭만주의 (보수주의적 생태주의)
자연주의* 환경주의 생태 실천주의 근본생태주의 문화적 에코페미니즘
에코내셔널리즘 생태공동체주의 신멜서스주의 에코테러리즘 녹색 제국주의
에코파시즘 급진적 환경주의
생태합리주의
생태사회주의 사회생태주의 시장생태주의 사회적 에코페미니즘 생태 러디즘
생태합리주의 (정치적 생태주의)
녹색 정치 녹색 보수주의 녹색 자유주의 녹색 자유지상주의 녹색 아나키즘
그 외 / 연관 개념
사회 정의 기후정의 환경 운동 그린뉴딜 녹색 성장
환경 보호 지구의 날 채식주의 지속가능발전 동물권
대안세계화 탈성장 생태학
관련 단체
하인리히 뵐 재단 글로벌 그린스 그린피스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세계자연기금
*: 자연주의(Naturalism)는 생태주의의 분파가 아니며 철학의 이념(사상) 중 하나다.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

1. 개요2. 사건3. 문화4. 기념일 및 절기
4.1. 정보통신의 날(舊 체신의 날)4.2. 새마을의 날4.3. 자전거의 날4.4. 지구의 날
5. 축일6. 생일
6.1. 실존 인물6.2. 가상 인물
7. 기일
7.1. 실존 인물7.2. 가상 인물

1. 개요

1년의 112번째(윤년의 경우 113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

3. 문화

4. 기념일 및 절기

4.1. 정보통신의 날(舊 체신의 날)

파일:external/sstatic.naver.com/2009013014103419179.jpg
정보통신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다짐하며, 관계 종사원들의 노고를 위로할 목적으로 제정한 날. 1956년 6월 우정총국 개설 축하연을 베푼 날인 1884년 12월 4일을 ‘체신의 날’로 지정했고, 1967년 11월 체신부훈령에 의해 5월 31일을 ‘집배원의 날’로 지정했다. 고종이 우정총국 개설을 명령한 날(1884년 4월 22일)을 기념해서 1972년 7월 ‘체신의 날’을 4월 22일로 변경했으며, 1973년 1월 ‘집배원의 날’을 ‘체신의 날’에 통합하였다. 1996년 5월 지금의 ‘정보통신의 날’로 명칭을 변경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발족 이후로는 과학의 날과 행사를 같이 하게 되었다.

4.2. 새마을의 날

파일:external/sstatic.naver.net/2011041917540249738.jpg
새마을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2011년에 처음 제정되었다.

4.3. 자전거의 날

2010년 6월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에 의해 4월 22일 ‘자전거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다.

4.4. 지구의 날

파일:external/sstatic.naver.com/2007010515203911396.jpg

공식 웹사이트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해 1970년부터 시작된 자연환경 보호의 날. 지구촌 전등끄기 캠페인 Earth Hour와는 다른 개념이다.

5. 축일

  • 성 레오
  • 성 레오니데
  • 성 루치오
  • 성 루카
  • 성 루포
  • 성 마레아
  • 성 무치오
  • 성 밀레스
  • 복자 볼프헬모
  • 성 비코르
  • 성녀 세노리나
  • 성 소테르
  • 성 아르발도
  • 성 아브로시모
  • 성 아이탈라
  • 성 아자다
  • 성 아자다나
  • 성 아쳅시마스
  • 성 아펠레
  • 성 압디에소
  • 성 야고보
  • 성 에피포디오
  • 성녀 오포르투나
  • 성 요셉
  • 성 카이오
  • 성 크리소텔로
  • 성녀 타르불라
  • 성 테오도로
  • 성 파르메니오
  • 복자 프란치스코
  • 성 헬리메나

6. 생일

6.1. 실존 인물

6.2. 가상 인물

7. 기일

7.1. 실존 인물

7.2. 가상 인물



[1] 그러나 핵개발을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여 취소했다. 프랑스, 폴란드, 노르웨이 등이 떨어져 나갔으니 그럴만도 하다.[2] 세계에서 가장 많이 번역된 노래로 알려져있다.[3] 사망 보도일은 다음날인 2025년 4월 23일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