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05:50:03

5월 14일


날짜 이동란
5월 13일
전날
전달
5월 14일
다음날
다음달
5월 15일
4월 14일
6월 14일

5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025년 기준
전체 보기


1. 개요2. 사건
2.1. 실제2.2. 가상
3. 기념일 및 절기
3.1. 로즈데이3.2. 식품안전의 날
4. 축일5. 생일
5.1. 실존 인물5.2. 가상 인물
6. 기일
6.1. 실존 인물6.2. 가상 인물

1. 개요

1년의 134번째(윤년의 경우 135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

2.1. 실제

2.2. 가상

3. 기념일 및 절기

  • 경동대학교 개교기념일
  • 경기상업고등학교 개교기념일
  • 스타얼라이언스 창립기념일
  • 온도계의 날(일본): 파렌하이트의 생일이라서. 참고로 이 날은 율리우스력에 기초한 것인데, 파렌하이트의 고향 단치히는 이미 그레고리력을 썼기 때문에 그레고리력 기준으로는 5월 24일이 된다.
  • 민영TV의 날
  • 13궁 황소자리 시작
  • 13궁 별자리 중에 뱀주인 자리가 추가되어서 1900년부터 2009년까지에서는 5월 14일은 황소 자리에서 25번째로 뒤에서 7번째의 별자리였지만 2010년부터 그 후 계속까지는 새로 바뀐 별자리 5월 14일이 첫번째 황소 자리가 되었다.
  • 로즈데이

3.1. 로즈데이

파일:external/sstatic.naver.net/2011030217531045434.jpg

Rose Day

연인들끼리 달콤한 키스[7]와 함께 장미 꽃다발을 주고받는 날이다.

장미의 꽃말은 애정이며 붉은색, 흰색, 노란색 등 그 색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다르다.

여느 사랑 관련 기념일이 그렇듯 일부 고등학교는 키스를 하면 전학을 가거나 퇴학당하는 등의 징계를 받아 이런 날을 챙기지 못한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연인들이 키스를 하지 못하게 되면서 꽃다발 판매량이 줄어들었다.

1990년대 한국 기준으로는 블랙 데이까지 연인을 사귀지 못한 사람노란 옷을 입고 카레라이스 등의 노란 음식을 먹으면 독신을 면할 수 있다는 옐로우데이(Yellow Day)도 포함했지만 어느 순간 로즈데이만 정착되었다.

또한 2001년 데이 마케팅의 일환으로 웅진식품이 이때를 피앙세데이(Fiance[8] Day)로 정해 이 이름이 들어간 피앙세[9]라는 음료를 판촉했다.

3.2. 식품안전의 날

파일:external/sstatic.naver.com/2007043016112113316.jpg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재고하기 위해 제정한 날. 식품위생법 개정으로 2017년부터 법정기념일이 되었다.

4. 축일

  • 성녀 마리아 도미니카 마자렐로
  • 마티아
  • 성 미카엘 가리코이트
  • 복녀 베드로닐라
  • 성 보니파시오
  • 성 보니파시오
  • 성 빅토르
  • 성 에렘베르토
  • 복자 에지디오
  • 성녀 유스타
  • 성녀 유스티나
  • 성 카르타고
  • 성녀 코로나
  • 성 폰시오
  • 성녀 헤네디나

5. 생일

5.1. 실존 인물

5.2. 가상 인물

6. 기일

6.1. 실존 인물

6.2. 가상 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실질적으로는 나흘 전인 5월 10일에 있었던 남한 단독 총선거에 대한 보복조치였다.[2] 이를 기념해 매년 5월 14일을 민영TV의 날로 지내고 있다.[3] 2011-12 시즌부터 에티하드 스타디움으로 불리는 그 경기장이 맞는다. 다만 UEFA에서 주관하는 대회와 다른 국제대회에서는 특정 스폰서를 나타낼 수 있는 명칭을 쓰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대회들에 한하여 기존 명칭을 사용한다.[4] 한국 시간으로는 동년 5월 15일 오전 6시 45분에 열렸으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현지 시간으로는 한국보다 3시간 빠른 5월 15일 오전 3시 45분에 열렸다. 그리고 레인저스의 연고지인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현지 시간으로는 결승전이 열리는 장소인 맨체스터와 같은 시간대를 쓰고 있고, 따라서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웨일스가 속함 브리튼 섬에서는 19시 45분부터 2007-08 시즌 UEFA컵 결승전을 볼 수 있었다.[5] 이후 러시아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2008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맨유첼시 FC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했을 때, 맨유의 선수였던 박지성도 2007-08 시즌에 UEFA 주관 대회 우승을 경험하였고, 따라서 단일 시즌에 UEFA 주관 대회에서 우승한 한국인 선수는 3명까지 늘어났다. 한국 축구사에서 해당 기속은 여전히 깨지지 않고 있으며, 단일 시즌에 복수(2명)의 선수가 UEFA 주관 대회에서 우승한 경우조차 한 번 밖에 없다.(손흥민토트넘 홋스퍼 FC 소속으로 UEFA 유로파 리그에서 우승한 지 10일도 안 된 상황에서 같은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를 우승한 PSG 소속 선수인 이강인이 동시에 활약했던 2024-25 시즌.)[6] 참고로 차범근, 김동진, 이호, 박지성, 손흥민, 이강인 가운데 UEFA가 주관하는 대회의 결승전을 뛰어본 선수는 차범근, 김동진, 박지성, 손흥민이며, 명단 제외를 당해본 선수는 박지성과 이호이다. 다만 박지성은 2007-08 시즌에만 명단 제외를 당했을 뿐, 2008-09 시즌과 2010-11 시즌 챔스 결승전에서는 출전했기 때문에 축구선수 시절에 겪었던 유럽대항전 결승전 명단에서 제외된 이후에 다시는 해당 무대를 밟을 수 없었던 선수는 이호 뿐이다.(이강인도 2024-25 챔스 결승전 명단에는 들었다.) 그리고 유럽대항전 결승전에서 후반전 교체 출전에 그친 선수는 김동진 1명이며(손흥민은 2018-19 시즌 챔결에서 선발 출전을 했으며, 교체된 적도 없다. 다만 6년 뒤에 열린 유로파리그 결승에서는 후반 67분에 교체 출전했다. 그리고 박지성은 2008-09 시즌 챔스 결승전에는 선발로 출전했다가 후반 66분에 교체되었으며, 2010-11 시즌 챔스 결승전에서는 선발로 출전한 이후 경기가 끝나는 순간까지 뛰었다.), 전반전에 교체 출전한 선수는 아무도 없다.(단, 차범근이 1987-88 UEFA컵 결승전 1차전에서 전반 18분에 팔코 괴츠와 교체된 적이 있었다. 참고로 UEFA컵 시절에는 1996-97 시즌까지는 결승전에 진출한 두 팀이 평소에 사용하고 있는 구장에서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른 동시에 정규시간 및 연장전 전후반에 원정 다득점 원칙을 적용하였다. 이후 1997-98 시즘부터는 중립 구장에서 단판전을 벌이도록 규정을 바꿨고, 그것이 대회의 명칭이 바뀐 이후에도 이어져오고 있다.) 그리고 축구선수로 뛰었을 때 치렀었던 모든 유럽대항전의 결승전에서 처음부터 선발로 출전한 선수와 해당 경기에서 득점을 단 한 번이라도 넣은 선수는 차범근 뿐이다.(1987-88 UEFA컵 결승 2차전에서 RCD 에스파뇰을 상대로 후반 81분에 팀의 3번째 골을 득점)[7] 그런데 키스 데이는 따로 있다. 한 달 뒤인 6월 14일이 키스 데이다.[8] 웅진식품에서는 Fiance를 썼다.[9] 단종되었다.[10] 수학계의 노벨상인 필즈상의 인물이다.[11] 서로 부자지간인 앙리 4세와 루이 13세의 기일이 동일하다.[12] ECW 오리지널의 하드코어한 선수이며 상대방에게 칼빵을 받을 정도의 안좋은 인성소문이 있다고 말이 많지만 연기 실력이 있어서 그런 선수다.[13] 미국 기준으로는 13일에 사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