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애니메이션]]{{{#!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nopad> | ||||||||||||
그리자이아 시리즈 (그리자이아 애니메이션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편 | | | | ||||||||
그리자이아의 과실 (애니메이션) | 그리자이아의 미궁 (애니메이션) | 그리자이아의 낙원 (애니메이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외전 · 스핀오프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외전 | 스핀오프 | ||||||||||
그리자이아의 유한 | 그리자이아의 잔광 | 그리자이아의 선율 | | |||||||||
아이돌 마법소녀 치루치루☆미치루 | }}}}}}}}} | |||||||||||
후속 | <nopad> | |||||||||||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애니메이션 : 극장판 01 · 극장판 02 · 극장판 03 · TVA ) | ||||||||||||
모바일 | | | ||||||||||
그리자이아 크로노스 리벨리온 | 그리자이아 전장의 바르카로레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text-shadow: 1px 0px 1px #fff, 0px 1px 1px #fff, -1px 0px 1px #fff, 0px -1px 1px #fff, 1px 1px 1px #fff, 1px -1px 1px #fff, -1px -1px 1px #fff, -1px 1px 1px #fff" | |||
<nopad> | |||
{{{#000000,#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장르 | 액션, 드라마 | |
원작 | FrontWing | ||
감독 | 무라야마 코스케 | ||
시리즈 구성 | 타카하시 타츠야 | ||
캐릭터 디자인 | 와타나베 아키오 | ||
총 작화감독 | |||
미술 감독 | 이토 타쿠미(伊藤拓海) | ||
미술 설정 | 니이즈마 마사유키(新妻雅行) 시오자와 요시노리(塩澤良憲) | ||
색채 설계 | 오오타 유이하(太田ゆいは) | ||
CG 디렉터 | 하오웨이 후(胡 浩葳) | ||
촬영 감독 | 요네자와 히사시(米澤 寿) | ||
편집 | 타케미야 무츠미(武宮むつみ) | ||
음향 감독 | 하마노 타카토시(濱野高年) | ||
음향 효과 | 코야마 야스마사(小山恭正) | ||
음향 제작 | 매직 캡슐(マジックカプセル) | ||
음악 | 후지마 히토시(藤間 仁) (Elements Garden) 타케다 유스케(竹田祐介) (Elements Garden) 마츠모토 후미노리(松本文紀) | ||
프로듀스 | FrontWing WOWMAX | ||
기획 | 야마카와 류이치로(山川竜一郎) 라울 프리니(ラウール・プリニ) 아사쿠라 나루미(朝倉成巳)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나리타 코스케(成田耕佑) 나가미네 리에코(長嶺利江子) 마루야마 하지메(丸山 創) 카이후 마사키(海部正樹) | ||
종합 프로듀서 | 야마카와 류이치로 | ||
프로듀서 | 코바야시 키요타카(小林亨庸尊) 우스이 히사토(臼井久人) 오오누키 유스케(大貫佑介) 진구지 마나부(神宮司 学) 우에키 타츠야(植木達也) 테루이 타케시(照井 健) 오야마 히로야스(尾山仁康) | ||
제작총괄 | 텐쇼(天衝)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오바타 마사히로(小幡正博) | ||
애니메이션 제작 | 바이브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
제작 |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25. 01. 02. ~ 2025. 03. 27. | ||
방송국 | |||
편당 러닝타임 | 24~27분 | ||
화수 | 13화 | ||
시청 등급 | 정보 없음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일본의 PC 게임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무라야마 코스케, 방영 시기는 2025년 1월.기존 그리자이아 시리즈 애니메이션들처럼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방영된다.
전작 그리자이아의 과실과 그리자이아의 미궁, 그리자이아의 낙원이 애니플러스에서 동시방영되었고,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01. 소드,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02. 소울 스피드가 얼리버드픽쳐스에서 수입된 것과 다르게, 판권을 가져간 회사가 없어 미방영작이 되었다.
2. 공개 정보
- 2022년 2월 25일, TV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 2024년 9월 27일, 티저 PV가 공개되면서 방영 시기가 2025년 1월로 재조정되었다는 것이 공개되었다.
2.1. PV
PV |
120초 만에 알 수 있는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
2.2. 키 비주얼
| |
<rowcolor=#000000,#ffffff> 애니화 결정 비주얼 | 티저 비주얼 |
3. 줄거리
『그리자이아의 과실』부터 몇 년 후…
과거 소녀들의 정원이었던 「미하마 학원」은
국방을 담당할 인재를 길러내는 SORD[2][직역](소드) 훈련학교로 거듭났다.
권총을 사용하는 레나&마키, 저격이 특기인 토우카&메구미,
폭탄과 정보처리 담당 크리스티나, 첩보활동 담당 닌자 무라사키.
그녀들은, 경찰이나 자위대가 해결할 수 없는 사건을 겪으며, 위험한 활동을 반복한다.
이것은, 피와 초연으로 물든 소녀들의 이야기──
― 유튜브
과거 소녀들의 정원이었던 「미하마 학원」은
국방을 담당할 인재를 길러내는 SORD[2][직역](소드) 훈련학교로 거듭났다.
권총을 사용하는 레나&마키, 저격이 특기인 토우카&메구미,
폭탄과 정보처리 담당 크리스티나, 첩보활동 담당 닌자 무라사키.
그녀들은, 경찰이나 자위대가 해결할 수 없는 사건을 겪으며, 위험한 활동을 반복한다.
이것은, 피와 초연으로 물든 소녀들의 이야기──
― 유튜브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등장인물|등장인물]][[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owcolor=#000000,#ffffff> 등장인물 | 성우 |
후카미 레나 | 우치다 마아야 |
시시가야 토우카 | 사쿠라 아야네 |
쿠지라세 크리스티나 사쿠라코 | 나즈카 카오리 |
이코마 무라사키 | 타네자키 아츠미 |
이노하라 마키 | 난죠 요시노 |
쿠마시로 메구미 | 미모리 스즈코 |
아리사카 시오리 | 이자와 미카코 |
아오이 하루토 | 요나가 츠바사 |
센고쿠 타이가 | 타카모리 나츠미 |
이코마 유우키 | 사사키 미코이 |
5.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설정|설정]][[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주제가
6.1. OP
OP / 1화 ED ゼロ・イグニッション 제로 이그니션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노래 | 우에스기 마오 | ||
작사 | 쿠와시마 요시카즈(桑島由一) | ||
작곡 | 후지마 히토시(藤間 仁)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OP 디렉터 | URA | |
작화감독 | 와타나베 아키오 | ||
원화 | 노나카 마사유키, 히라야마 칸나 등 |
6.2. ED
ED ダンデライオン 단델라이온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노래 | 난죠 요시노 | ||
작사 | 쿠와시마 요시카즈(桑島由一) | ||
작곡 | 후지마 히토시(藤間 仁)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콘티 | 이시모리 아키히로(石森昭博) 카게야마 아키라(影山 暁) | |
연출 | 카와베 타스쿠(かわべたすく) | ||
작화감독 | 와타나베 아키오 |
6.3. 그랜드 ED
그랜드 ED (13화) クロスバース 크로스버스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노래 | THE SIXTH LIE |
작사 | 쿠와시마 요시카즈(桑島由一) |
작곡 | Reiji |
편곡 | Tsuyoshi Reiji |
7. 회차 목록
- 전화 총 작화감독: 와타나베 아키오
<rowcolor=#000000,#ffffff> 회차 | 제목[4]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マザーズクレイドル#1 마더스 크레이들 #1 | 야마다 테츠야 (山田哲弥) | 무라야마 코스케 | 무라야마 코스케 히로타 코스케 (尋田耕輔) | 오치아이 료스케 (落合良亮) 호소다 사오리 (細田沙織) | 日: 2025.01.02. |
제2화 | マザーズクレイドル#2 마더스 크레이들 #2 | 미야타 마사노리 (宮田政典) | 타카기 츠카사 (髙木 司) 나카가와 요우 (中川 耀) 타치무라 로쿠 (達村 六) | 日: 2025.01.09. | ||
제3화 | マザーズクレイドル#3 마더스 크레이들 #3 | 요네다 미츠히로 (米田光宏) | 타카기 츠카사 미야자와 아카네 (宮澤紅音) 무라나가 유키 (村長由紀) 호소다 사오리 | 日: 2025.01.16. | ||
제4화 | ファントムブレード#1 팬텀 블레이드 #1 | 타카하시 타츠야 | 히로타 코스케 무라야마 코스케 | 히로타 코스케 | 무라나가 유키 유키 시즈쿠 (ユキシズク) 나가타 유카 (永田有香) 타치무라 로쿠 | 日: 2025.01.23. |
제5화 | ファントムブレード#2 팬텀 블레이드 #2 | 하사코 카이 (羽迫 凱) 무라야마 코스케 | 하사코 카이 | 사이토 세이고 (斉藤聖悟) 오오쿠마 나루미 (大熊成美) 이케베 모토키 (池部元基) 이카이 카즈유키 리 샤오레이 (李少雷) | 日: 2025.01.30. | |
제6화 | ブルーエストブルー#1 블루 이스트 블루 #1 | 스나야마 쿠라스미 (砂山蔵澄) | 미야케 카즈오 (三宅和男) 무라야마 코스케 | 호소다 사오리 Joao 유키 시즈쿠 니노미야 나나코 (二宮奈那子) FanDongdong SunJiwei Wei Xu Long | 日: 2025.02.06. | |
제7화 | ブルーエストブルー#2 블루 이스트 블루 #2 | 무라야마 코스케 미야케 카즈오 | 스즈키 타쿠마 (鈴木拓磨) 미야케 카즈오 | 타카기 츠카사 오오쿠마 나루미 이케베 모토키 카타오카 에미코 (片岡恵美子) 아라이 쿠마 (荒井久磨) 호소다 사오리 카마다 히토시 (鎌田 均) 스나가 마사히로 (須永正博) 토쿠 (徳) | 日: 2025.02.13. | |
제8화 | 有坂の手帳 아리사카의 수첩 | 나츠노 모모코 (夏野桃子) | 히로타 코스케 | 사이토 세이고 마츠모토 카츠지 (松本勝次) 토쿠 | 日: 2025.02.20. | |
제9화 | 洗礼 세례 | 아오야기 류헤이 (青柳隆平) | 아와이 시게키 (淡井重機) | 타카기 츠바사 오오쿠마 나루미 이케베 모토키 미츠하시 타에코 리바이벌 (リバイバル) 원오더 (ワンオーダー) | 日: 2025.02.27. | |
제10화 | 天国への扉 천국으로 가는 문 | 타카하시 타츠야 | 나츠노 모모코 | 요네다 미츠히로 | 타카기 츠바사 오오쿠마 나루미 스튜디오 마스캣 (スタジオマスケット) | 日: 2025.03.06. |
제11화 | 正しい選択 올바른 선택 | 야마다 테츠야 | 마츠오 코우 무라야마 코스케 | 츠치다 슌 (土田 駿) | 오오쿠마 나루미 이케베 모토키 키요사와 유이토 (清澤唯人) 이케다 타카키 (池田孝輝) 오오우라 아즈사 (大浦あずさ) 타카하시 료고 (高橋諒悟) 후리하타 히데요시 (降旗秀吉) Yue 글렌 (グレーン) Madeline | 日: 2025.03.13. |
제12화 | 運命の答え 운명의 답 | 스나야마 쿠라스미 무라야마 코스케 | 미야케 카즈오 쿠마노 치히로 (熊野千尋) 무라야마 코스케 | 미야케 카즈오 | 미야자와 아카네 키쿠치 카즈마 (菊池一真) 스튜디오 그램 (スタジオグラム) Triple A 스튜디오 뮤 (スタジオ・ミュウ) LuLaforte 스튜디오 마스캣 岸影アニメ | 日: 2025.03.20. |
제13화 | ファントムチャイルド 팬텀 차일드 | 타카하시 타츠야 무라야마 코스케 | 무라야마 코스케 | 冬麦動画 FINCROSS 神在動画 일영공방 (日影工房) DRMOVIE | 日: 2025.03.27. |
8. 평가
이전 극장판 3부작 시리즈의 작풍을 계승하였으며,[5] 영상 퀄리티도 좋게 나왔다. 다만 최종화로 갈수록 작화 퀄리티가 떨어지며, 최종화인 13화에서는 일부 대화 장면에 입이 움직이지 않는 작화 오류가 나왔다.또 이번 TVA의 스토리가 극장판 3부작에서 바로 이어지는 구성이라 극장판을 모두 봤다는 전제 하에 진행되므로 진입장벽이 존재한다는 게 흠으로 지적되고 있다. 극장판 3편의 스토리를 압축한 총집편도 존재하지 않고, TVA 1화에서 따로 설명 없이 극장판 장면만 대충 지나가는 식으로 보여주는 게 전부라 2025년 1분기 신작이라는 점에만 주목해 이번 TVA로 입문한 시청자라면 이해가 가지 않아 굉장히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미 극장판 때부터 낌새를 보이기는 했지만, 원작은 학원물이 가미된 스파이 활극인 반면 애니는 스파이 액션보다 사람이 서로 죽고 죽이는 장면과 그에 따른 패닉 및 PTSD를 자세히 묘사하고 특히 TFA와의 최종전을 거의 전쟁 스케일로 연출하여 피해자들이 망가져 가는 모습을 참혹하게 묘사하는 등 전쟁물에 가까워졌다. 그래서 분위기가 더 어둡고 피폐해졌으며 시청자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이러한 작품색 변경의 연장선으로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런대로 해피 엔딩으로 끝나는 원작의 그랜드 루트를 배드 엔딩 분기 루트와 섞어 비극적으로 연출했다. 최종 작전은 결과적으로 승리하긴 했으나 SORD가 맡은 임무는 거의 실패했으며[6] A반의 절반 이상이 중상에 상당수는 신체적 장애까지 입은 채[7] 목숨만 겨우 건져 SORD를 전역하고, 하루토는 행방불명되어 생사를 알 수 없는 새드 엔딩으로 끝나 버렸다.[8] 특히 레나는 하루토가 남긴 자유롭게 살아가라는 쪽지에도 불구하고 그의 부재를 받아들이지 못한 채 남은 평생 장애를 지닌 몸으로 하루토의 흔적을 찾아 해메는 비극적인 운명을 맞고 말았다. 관점에 따라서는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 주요 인물들이 나름대로의 죗값을 받고 '팬텀 트리거'라는 부제에 걸맞은 말로를 맞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불행으로 얼룩진 삶 속에서 최소한의 행복조차 앗아가버린 불행 포르노로 변질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9. 기타
- 극장판으로 나온 3개의 작품이[9] 원작 1~3권을 다뤘기에 이번 TVA는 4권 스토리부터 반영하는게 확정되었다.[10] 그래서인지 티저 비주얼에 4권과 5권 주요인물인 센고쿠 타이가/이코마 유우키가 등장하며, 전개 속도로 볼 때 4권부터 8권까지 원작 전체 분량을 이번 TVA에 다 담는 것으로 보인다.
[1] 1화는 01:00에 방영.[2] Social Ops, Research & Development[직역] 사회적인 군사 행동, 연구 및 개발[4] 한국에서는 정식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번역 제목은 임의로 서술되었다.[5] 특히 스토리 상 바로 전작인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03. 스타게이저은 감독도 무라야마 코스케로 본작과 같다.[6] 댐의 폭파를 너무 늦게 깨달아서 다 이긴 작전이 마지막에 틀어져 적의 아지트 확보를 포기하고 철수해야 했다.[7] 토카는 한쪽 다리를 잃었고 레나는 한쪽 눈을 잃었으며 무라사키는 이후 시점에서 언니보다는 덜하지만 닌자 기술의 부작용으로 신경적인 문제가 발생한 것처럼 보인다. 이는 모두 원작의 배드 엔딩 분기 루트의 사망 이벤트들로 여기서 죽지 않았다 정도로만 각색했다.[8] 다만 최종 전투에서 하루토가 치명상을 입은 듯한 암시가 있고 댐이 무너져가는 데도 탈출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은 것을 보면 사실상 사망했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 역시 원작의 배드 엔딩 분기 루트의 사망 이벤트를 차용했다.[9]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01. 소드,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02. 소울 스피드,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03. 스타게이저[10] 그래서 1화 초반에 극장판 내용을 2분 가량의 다이제스트로 만들어 보여준다. 이 부분도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03. 스타게이저에서 내려온 전통인데, 그 때는 1, 2권 내용을 압축해서 보여주는 90초 다이제스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