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10:18:09

김영우(야구선수)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5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김영우(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영우(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영우(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1 임찬규 · 13 송승기 · 21 이우찬 · 25 배재준
· 29 손주영 · 32 이지강 · 34 성동현 · 37 김강률
· 39 박명근 · 42 김진성 · 46 치리노스 · 50 장현식
· 61 백승현 · 67 김영우
2군
0 김유영 · 11 함덕주 · 12 김대현 · 18 정우영
· 20 우강훈 · 28 심창민 · 30 에르난데스 · 35 김영준
· 40 이종준 · 43 허용주 · 45 김진수 · 48 진우영
· 49 정지헌 · 54 유영찬 · 56 최채흥 · 57 김주온
· 58 허준혁 · 59 임준형 · 63 추세현 · 100 강민
· 101 조건희 · 102 김형욱 · 105 이믿음 · 109 안시후
· 111 전준호 · 112 최용하 · 114 백선기 · 115 김의준
· 116 고영웅 · 118 성준서 · 119 하영진 · 120 김지용
· 121 박시원 · 122 김종운 · 129 김웅 · # 원상훈
· # · # 이상영(1)
최종 편집: 2025년 4월 25일
(1) 음주 운전으로 인한 1년 실격 처분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LG 트윈스 등번호 67번
이종운
(2024)
김영우
(2025~)
현역
파일:김영우[20250207014858751].png
<colbgcolor=#C30452><colcolor=#fff> LG 트윈스 No.67
김영우
Kim Youngwoo
출생 2005년 1월 14일 ([age(2005-01-14)]세)
서울특별시 강서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양원초(서대문구리틀) - 신월중 - 서울고
신체 187cm, 88kg
포지션 중간 계투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5년 1라운드 (전체 10번, LG)
소속팀 LG 트윈스 (2025~)
연봉 2025 / 3,000만 원
소속사 어썸스포츠
등장곡 Connor Price, Zensery - 〈Drop〉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김영우(야구선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5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1000038832.gif
157km/h 패스트볼[1]
평균 150km/h대 초반, 최고 158km/h[2]에 이르는 패스트볼을 던지는 우완 정통파 파이어볼러이다. 구속, 구위, 투구폼 모두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낙차 큰 너클 커브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제구도 토미 존 수술 이후 복귀 이후에는 좋지 못했다가 등판을 거듭할수록 안정적인 제구력을 보여주며 제구가 안되는 원석형 투수와는 거리가 있다. 커맨드는 몰라도 컨트롤 자체는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는 투수.

인터뷰에서 스스로 밝히길 변화구는 커브가 가장 자신있고 커브는 두 가지 유형의 커브를 던지고 스플리터도 주무기로 사용하는데 스플리터는 최대한 손가락을 넓게 벌려 포크볼 식으로 사용한다. 또한, 횡적 변화구가 약한 것 같아 커터를 연습중이라고 한다.

변화구의 제구가 기복이 있어 거의 직구 원피치 수준의 피칭을 하는지라 고교 수준에서도 직구 헛스윙 비율이 낮다.[3] 하지만 공이 무겁다는 평가를 듣는 만큼 헛스윙은 몰라도 먹힌 타구는 상당히 많이 생산해낸다. 단순히 포심 자체만 보면 고교 최고 구위로 꼽히는 정우주랑 비견될정도다 정우주의 포심은 고교시절 평균 RPM 2700을 찍었고 프로와서도 2500이상은 꾸준히 찍히는편 회전수가 트랙맨 기준 RPM이 2580, 수직 무브먼트가 59cm라고 한다. 다만 긁히는 날과 아닌 날의 편차가 꽤나 심한데, 긁히는 날은 1군 필승조급 투구를 보여주지만 긁히지 않는 날은 고교 타자들에게도 난타당하는 경우가 있다.
SBS 이성훈 기자에 의하면 익스텐션이 평균 195cm에 달한다[4]. 키가 187로 큰 것도 있지만 키에 비해서도 큰 편이고 MLB 기준으로도 긴 편인지라 원래도 빠른 공이 엄청나게 위력이 배가된다. 본인 스스로는 특별히 익스텐션을 늘리기 위해 신경쓰진 않았다고 한다.

고우석처럼 불펜 투수로 자리를 잡을 것인지 아니면 이정용처럼 불펜으로 뛰다가 기회가 될 때 언젠가는 선발로 전향할 수 있을 것인지 등은 분석이 이루어져야 알 수 있을 듯 하다. 부상 복귀 후 몇달만에 156km/h를 기록한 것은 상당히 인상적인 기록인데, 더 오랜 기간을 가지고 육성한다면 증속의 여지 또한 남아있는 선수다. 다만 벌써부터 유리몸 기질이 보인다는 것은 단점. 2025년 염경엽 감독의 인터뷰 일단 염경엽 감독은 데뷔 후 1~2년차까지는 불펜으로 돌리고 3년차부터 선발로 내세워 손주영과 강력한 좌-우완 원투펀치를 만들고 싶다는 야심을 드러냈다. 염경엽 감독이 2025 시즌 뒤에도 감독직을 맡으며 연임에 성공한다면 감독이 2기 임기 도중 경질되거나 선수 본인이 부진하지만 않는다는 가정 아래 자연스레 선발 전향으로 기울 수도 있을 듯.

와인드업 자세가 상당히 독특한데, 왼쪽 다리를 들고 멈춘 상태에서 오른쪽 다리를 흔든다. 세트 포지션에서는 평범하게 던지는데, 와인드업보다 구속이 많이 떨어지고, 제구가 조금 떨어졌었다[5]. 하지만 프로에 오고 나서는 거의 해결되었다.

4. 여담

  • 신월중 동기 육선엽과 친하다.[6] 삼성에 지명받은 육선엽과 야구 이야기를 상당히 많이 한다고 하며, 서울고 선배인 이병헌, 김서현 등과도 친하다고 하는데 특히 인터뷰에서 같은 팀 선배가 된 정우영을 자주 언급한다.
  • 아버지가 엘린이 출신[7]이라 어렸을 때 야구장에 가서 LG 선수들을 응원했다고 한다. 박용택, 이진영 등을 좋아했다고 한다.
  • 지명 전에 KIA 스카우트와 관계자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찾아 KIA의 지명 썰이 돌았다. 마지막에는 결정권자까지 같이 방문해서 서울고 김동수 감독도 KIA행을 점치기도 했으나 KIA는 좀 더 안정적인 김태형으로 선회했다.[8][9] 또한, KIA가 아니라면 9픽의 kt가 지명할 것이 대세일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kt가 U18 아시아청소년대회에서 급부상한 김동현으로 선회해 LG의 지명을 받았다.
  • 본인은 키움 히어로즈의 전체 7번 정도에 뽑힐 것을 예상하고 있었으나, 예상보다 밀려서 LG 트윈스의 10번에 지명된 것을 오히려 좋게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덤으로 자신을 거른 팀들을 상대로 내년에 좋은 결과로 입증해 후회하게 만들겠다는 패기 넘치는 포부를 밝혔다.
  • 프로에서 상대하고 싶은 선수는 서울고 선배인 강백호라고 한다. 마침 LG에 입단했기에 강백호와 맞붙을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경기 전날 찌개를 먹지 않는 루틴이 있다고 한다. 비야인드에 나와서 밝힌 바에 따르면, 찌개를 정말 좋아하지만 찌개류는 먹는 과정에서 밥을 말게 되는데 그것 때문에 다음날 경기를 말아먹을까봐 그렇다고 한다.
  • 상당한 저음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거기다 큰 키에 잘생긴 얼굴까지 보유하며 1군에서 좋은 모습을 보일 시에 상당한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신인이라 등번호를 추후에 바꿀 가능성이 높음에도 시범경기부터 마킹하겠다는 팬들이 생기고 있다. 그만큼 팬들의 기대와 신임을 한 몸에 받고 있다는 이야기[10]
  • 데뷔 첫 시즌 163km/h를 돌파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원래는 160km/h였으나 옆에 있던 정우주가 162km/h가 목표라고 하자 목표치를 3km/h 올려 163km/h를 목표로 잡았다.[11]
  • 2024년 9월 25일 한화전에서 시구를 했다. 그런데 긴장을 너무 많이 했는지 김대한이 생각나는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 드래프트 직후 다른 신인 선수들과 함께 출연한 비야인드에서 이상형이 (여자)아이들미연이라고 밝혔는데, 이로부터 얼마 안 지난 2025년 3월 23일 경기에서 미연이 시구자로 오면서 꽤 빨리 성덕이 되었다. 심지어 미연이랑 같이 클락션 챌린지 영상까지 찍었는데#, 긴장한 티가 역력하면서도 대놓고 올라간 입꼬리가 압권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 LG 트윈스가 2023년 통합 우승한 이후 받은 픽 순위인 1라운드 10번에 뽑은 신인이라 그런지 우승 굿즈라는 반응도 종종 보인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2025 KBO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2010~2024).svg
지명권 양도
NC 다이노스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조호 미지명 미지명 곽승훈 김성수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황윤태 유광진 한명수
김덕근
최우석 이석구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차명석 김정민 인현배 신국환 손혁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장문석 김경태 이승호 장준관 박용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김우석 이성열 강창주 정의윤 신창호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박용근 정찬헌 한희 신정락 임찬규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조윤준 강승호 배병옥 안익훈 유재유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손주영 성동현 이상영 김윤식 이영빈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김주완 김범석 지명권 양도 김영우
(1) 지명 후 미입단 }}}}}}}}}



[1] 2025년 3월 29일 창원 NC전 vs 권희동. 1군 첫 삼진이다[2] 2025년 4월 23일. 잠실 NC전 vs 김형준 초구의 기록[3] 이 때문에 프로에서 직구만 던져도 못치는 박영현, 김택연보단 한참 낮은 평가를 받는다.[4] KBO 평균 익스텐션은 180초반대이다.[5] 하지만 이 부분도 본인 스스로는 입단 전부터 부정해왔다.서울고 시절 인터뷰를 들어보면 셋포지션에서 던져도 1~3km 정도밖에 안 떨어졌다고 스스로 밝혔다.[6] 나이는 같지만 김영우가 유급을 하여 프로 입단으로는 후배가 된다.[7] 아버지가 드래프트 회견장에서 스스로 말하면서 LG에 지명된 것을 감격해했다.[8] 재미있는 사실은 김태형의 아버지는 진성 KIA 팬, 김영우의 아버지는 진성 LG 팬으로 서로가 원하는 구단으로 갔다는 점이다.[9] 다만 KIA는 이미 김태형을 1순위 후보로 낙점한 상태였다. 김태형의 급부상으로 인해 KIA가 김태형을 지명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다른 후보들을 물색했는데 김태형이 KIA 순번에 내려오자 망설이지 않고 KIA가 지명했다.[10] 외모도 외모지만 고졸 신인인데도 좋은 모습을 보이는 것과 LG에서 오랜만에 나타난 제구되는 150km를 쉽게 던지는 투수로서의 스타성에 기인한다. 마치 2년 선배인 박명근이 떠오르는 속히 '쌈닭 기질'로 일컬어지는 당돌함 역시 이에 한 몫.[11] 두 선수 모두 고교 시절 최고 구속이 156km/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