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5월 20일 | 전날 ←전달 | | 다음날 →다음달 | 5월 22일 |
4월 21일 | 6월 21일 |
◀ | 5월 | ▶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2025년 기준 전체 보기 |
1. 개요
1년의 141번째(윤년의 경우 142번째) 날에 해당한다.2. 사건
2.1. 실제
- 1674년 - 얀 3세 소비에스키가 폴란드-리투아니아의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 1904년 - 프랑스 파리에서 FIFA가 설립되었다.
- 1918년 - 쑨원이 1차 군정부에서 사실상 축출되면서 1차 호법운동이 끝났다.
- 1927년 - 마일사변이 일어났다.
- 1947년 -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재개되었다.
- 1976년 - 한국이슬람중앙회 서울중앙성원이 개원했다.
- 1978년 - 케이세이 히가시나리타선이 개통했다.
- 1980년
-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구 전남도청 앞에서 비무장 상태의 시민들을 상대로 집단 발포를 자행했다.[1]
- 미국에서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이 개봉되었다.
- 1982년 - Casiopea의 앨범인 Mint Jams가 발매하였다.
- 1998년
- 인도네시아의 독재자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하야하면서 32년에 걸친 독재가 종식되었다.
- SBS에서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가 첫 전파를 탔다. 놀라운 것은 MC인 임성훈과 박소현, 내레이터인 안경진 성우가 시즌 1 종영까지 자리를 지켰다는 점이다.[2]
- 2004년 - 영화 클레멘타인이 개봉되었다.
- 2008년 - 2007-08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이 열렸으며, 이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첼시 FC를 승부차기 끝에 6:5로 꺾고 세 번째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3] 또한 이날 맨유에서 선수 생활을 했었던 박지성은 대한민국과 아시아 최초로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한 선수라는 기록과 UEFA에 소속된 국가의 축구협회에서 개최하는 1부 리그와 UEFA 챔피언스 리그를 한 시즌에 모두 우승한 선수가 되었다. 다만, 2007-08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 당일에 박지성은 출전 선수 명단에서 제외가 되었으나, 빅 이어는 들어올렸다. 또한, 맨유는 같은 시즌에 열렸던 FA컵에서는 8강에서 탈락함에 따라 1999년처럼 유러피언 트레블을 달성하는 것은 실패했다.
- 2011년 - 이날 휴거가 온다고 했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 2015년 - 장기협회 전 회장이었던 전만황이 권력 남용 문제로 영구제명 되었다.
- 2017년 - 오산 청소년 테이저 진압사건이 발생했다.
- 2018년 - 인천항에서 오토 배너호 화재사고가 발생했다.
- 2020년
- 2021년
- 2021년 한미정상회담을 실시했다.
- 방탄소년단의 싱글 Butter가 발매되었다.
- 올리비아 로드리고가 정규 1집 SOUR로 데뷔했다.
- SSG 랜더스/2021년/5월/21일: LG와 SSG 경기에서 유강남이 산 주자를 놔주고 죽은 주자를 쫓아가는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역대급으로 말도 안 되는 끝내기 경기를 만들어냈다.
- 2024년
-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수류탄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 싱가포르항공 321편 기체 요동 사고가 일어났다.
2.2. 가상
- 1996년: 아리랑 백화점의 만원 엘리베이터 안에서 박남일이 지갑을 잃어버린다. 이 지갑은 주인공이 자신의 팔로 버텨 보호해 주고 있던 이지연이 습득했고, 5월 25일에 따로 만나서 돌려주기로 약속하게 된다.
- 2061년: 최후의 질문에서 두 기술자가 반 농담으로 슈퍼컴퓨터 '멀티백'에게 엔트로피의 역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이 질문은 모든 것의 시작점이 되었다.
3. 기념일 및 절기
3.1. 소만
24절기의 하나.#!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부부의 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부의 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부의 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그 외
- 발전과 대화를 위한 세계 문화 다양성의 날
4. 축일
- 성 고드릭
- 성 니코스트라토
- 성 다비드 갈반 베르무데스
- 성 다비드 롤단 라라
- 성 다비드 우리베 벨라스코
- 성 도나토
- 성 로드리고 아길라르 알레만
- 성 로만 아다메 로살레스
- 성 루이스 바티스 사인스
- 성 마누엘 모랄레스
- 성 마르가리토 플로레스 가르시아
- 성 마테오 코레아 메가야네스
- 성 미겔 데 라 모라
- 성 발렌스
- 복자 벤베누토
- 성 빅토리오
- 성 사바스 레예스 살라사르
- 성 살바도르 라라 푸엔테
- 성 세쿤도
- 성 세쿤디노
- 성 아우구스티노 칼로카 코르테스
- 성 아제라노
- 성 아틸라노 크루스 알바라도
- 성 안티오코
- 성 에우제니오 드 마제노
- 성 에우티키오
- 성 예나로 산체스 델가디요
- 성녀 이스베르가
- 성 크리스토포로 마가야네스 하라
- 성 크리스피노
- 성 테오발도
- 성 토리비오 로모 곤살레스
- 성 트란쿠일리노 우비아르코 로블레스
- 성 티모테오
- 성 페드로 데 헤수스 말도나도 루세로
- 성 페드로 에스케다 라미레스
- 성 폴리에욱토
- 성 폴리오
- 성 헤수스 멘데스 몬토야
- 성 호세 마리아 로블레스 우르타도
- 성 호세 이사벨 플로레스 바레라
- 성 호스피시오
- 성 후스티노 오로나 마드리갈
- 성 훌리오 알바레스 멘도사
5. 생일
5.1. 실존 인물
- 1471년 - 알브레히트 뒤러(~1528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화가
- 1527년 - 펠리페 2세(~1598년):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조의 국왕
- 1653년 - 오스트리아의 엘레오노레(~1697년) :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왕비이자 대공비, 로렌 공작부인
- 1688년 - 알렉산더 포프(~1744년): 영국의 시인
- 1864년 - 벨기에의 스테파니 공주(~1945년): 벨기에의 공주,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태자비
- 1894년 - 조병옥(~1960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 정치가
- 1904년 - 로버트 몽고메리(~1981년): 미국의 배우
- 1917년 - 아니발 파스(~2013년): 우루과이의 전 축구 선수
- 1921년 - 안드레이 사하로프(~1989년): 소련의 과학자
- 1937년 -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에티오피아의 독재자
- 1943년 - 이신재(~2020년): 대한민국의 배우
- 1953년 - 후쿠다 도미카즈: 일본의 정치인
- 1955년
- 1956년 - 아그네스 럼: 중국계 미국인 그라비아 아이돌
- 1960년 - 제프리 다머(~1994년): 미국의 식인 연쇄살인마, 1994년 흑인 재소자에게 맞아 사망.
- 1961년 - 노자키 무오루: 일본의 애니메이션 스페셜 컨셉터
- 1963년 - 류중일: 대한민국의 야구인
- 1967년 - 크리스 벤와(~2007년): 캐나다의 프로레슬러
- 1969년
- 1971년
- 1972년
- 1973년 - 김정임: 대한민국의 모델
- 1974년 - 이재훈: 대한민국의 KBS 코미디언
- 1976년 - 변정민: 대한민국의 탤런트
- 1977년 - 강현정: 버블시스터즈의 멤버
- 1980년 - 주영호: 대한민국의 배우
- 1983년 - 시미즈 카오리: 일본의 성우
- 1985년 - 서지수: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 1986년
- 1988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김동현: 대한민국의 유튜브 크리에이터 그룹 보물섬의 멤버
- 미켈 베스가: 스페인의 축구 선수
- 심상민: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아론: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뉴이스트의 멤버
- 유지애: 대한민국의 걸그룹 러블리즈의 멤버
- 초이: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LU4US의 멤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김동규: 프로듀스 X 101의 참가자.
- 최성훈: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Dustin의 前 멤버.
- 2001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지은호: 보이그룹 LUN8의 멤버. 본명 이상민
- 2012년 - 성민준: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
- 2013년 - 배승아: 대전 스쿨존 음주운전 사망 사건의 피해자
- 연도불명
5.2. 가상 인물
- 군지 소우타 - 초속변형 자이로젯터
- 네오 유니버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라이라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루시아스 - 킹스레이드
- 모나미 - 축복소녀
- 미야가와 타카네 - 어설트 릴리
- 미야시로 타쿠루 - Chaos;Child
- 반즈 -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
- 사나다 겐이치로 - 테니스의 왕자
- 소마 필리스 - 기동전사 건담 00
- 아바라 한베 - 도쿄 구울
- 아오기리 - 블랙스타 -Theater Starless-
- 아카츠키 아리사 - 저 맑은 하늘보다 높이
- 아토 하루키 - 세포신곡
- 옌 싱 란체스터 - 카운터사이드
- 오다 스바루 - 외톨이의 이세계 공략
- 오오쿠라 루미네 - 달에 다가가는 소녀의 작법 2
- 운근 - 원신
- 유우나기 츠바사 - 펼쳐지는 스카이! 프리큐어
- 이누가미 키시루 - 종천교단
- 정기철 - 최악의 악
- 지연우 - 싸움독학
- 차선주 - 피라미드 게임
- 츠키시로 아스카 - 절대무적 라이징오
- 카와시마 모모의 어머니 - 걸즈 앤 판처
- 쿠즈류 료타 - 신칸센변형로보 신카리온 체인지 더 월드
- 타치바나 히나타 - 도쿄 리벤저스
- 타카하라 하이리 - Summer Pockets
- 패트리셔 맥그래스 - 도키메키 메모리얼
- 페니 - 브롤스타즈
- 홍진희 - 연애혁명
- 후에구치 히나미 - 도쿄 구울
6. 기일
6.1. 실존 인물
- 202년 - 원소음력: 후한의 군벌
- 252년 - 손권(182년~): 손오의 초대 황제
- 397년 - 모용회: 후연의 혜민제 모용보의 황자
- 1066년 - 소순(1009년~): 북송의 문인
- 1471년 - 헨리 6세(1421년~): 잉글랜드, 프랑스의 왕
- 1645년 - 소현세자(1612년~): 조선 16대 왕 인조의 적장자
- 1762년 - 사도세자음력(1735년~): 조선의 왕족, 영조의 아들, 정조의 아버지
- 1810년 - 슈발리에 데옹(1728년~): 부르봉 왕조의 군인, 외교관, 스파이, 프리메이슨 회원
- 1860년 - 피니어스 게이지(1823년~): 기질성 뇌증후군의 대표 예시이자 두부외상성 치매의 대표 예시
- 1928년 - 노구치 히데요(1876년~): 일본의 세균학자, 병리학자
- 1929년 - 아치볼드 프림로즈(1847년~): 48대 영국 총리
- 1952년 - 존 가필드(1913년~): 미국의 배우
- 1961년 - 왕정팅(1882년~): 중화민국의 외교관, 정치가.
- 1973년 - 이반 코네프(1897년~): 소련의 장군
- 1975년 - 빌헬름 구라(1916년~):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
- 1979년 - 볼레스와프 하보프스키(1914년~):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
- 1980년 - 광주 전남도청 앞에 있었던 수많은 광주시민들[6]
- 2000년 - 존 길구드(1904년~): 영국의 배우
- 2016년
- 김학현(1933년~): 민선1기 충청남도 보령시장
- 아흐타르 모하마드 만수르(1968년~):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
- 2017년 - 요사노 가오루(1938년~): 일본의 정치인
- 2018년 - 김벌래(1941년~): 대한민국의 음향 디자이너
- 2022년 - 로즈메리 래드포드 류터(1936년~): 미국의 에코페미니즘 신학자
- 2023년 - 레이 스티븐슨(1964년~): 영국의 배우
6.2. 가상 인물
[1] 이 사건은 시민군이 조직돼 계엄군에 무장 저항하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2] 임성훈은 모친상을 당하는 와중에도, 박소현은 갈비뼈 부상을 당하는 와중에도 단 한번도 펑크를 낸 적이 없었다고 한다.[3] 다만, 경기가 열린 루즈니키 스타디움이 위치한 모스크바 현지 시간으로는 22시 45분에 열렸고, 따라서 후반전 초반에서 중반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날이 바뀌었다. 그리고 한국 시간으로는 5월 22일 새벽 3시 45분에 열렸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맞붙었던 두 팀이 속한 잉글랜드에서는 19시 45분에 열렸고, 따라서 브리튼 섬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5월 21일 안에 결승전이 끝나는 순간을 볼 수 있었다.[4] 당초 2020년 4월 8일 시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이 날로 밀렸다. 때문에 이 시험은 4모라기보다는 5모로 더 잘 불린다.[5] 자세히는 소만 절입시간을 기준으로 갈린다.[6] 광주에 진주한 계엄군은 이날 낮 전라남도청 앞에서 비무장 상태였던 시민들을 향해 무차별 집단 발포를 자행했고 이로 인해 무고한 시민들이 계엄군의 총탄에 의해 희생되거나 다치는 참극이 벌어졌다. 문제는 지금 이 시간까지도 누가 집단 발포를 명령했는지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당시 군부의 실질적 최고 권력자였던 이 사람이 발포를 명령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지만 실제 지휘계통에 이 사람의 이름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