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6:27:17

1932년

193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29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40년}}}}}}}}}
서기 1932년
MCMXXXII
千九百三十二年 | 一九三二年
1931년 1933년
태세 임신년
壬申年
1872년 1992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한민국 14년
단기 4265년
불기 2476년
주체 21년
대만 민국 21년
일본 쇼와 7년
황기 2592년
만주국 대동(大同) 원년(3월 1일부터)
베트남 보대 7년
파시스트 기원 X~XI
이슬람력 1350년~1351년
히브리력 5692년~5693년
페르시아력 1310년~1311년
에티오피아력 1984년~1985년
인류세력 11992년
탄소측정연대 BP[1] 18년 }}}}}}}}}
<colbgcolor=#1d1e23,#3d3e42><colcolor=#fff> 밀레니엄 제2천년기
세기 20세기
연대 1930년대
양력 1932년 음력 1931년 11월 24일
~ 1932년 12월 5일
음력 1992년 양력 1932년 2월 6일
~ 1933년 1월 25일
일수 366일(윤년)
1. 개요2. 기후3. 사건
3.1. 실제3.2. 가상
4. 탄생
4.1. 실제
4.1.1. 1월4.1.2. 2월4.1.3. 3월4.1.4. 4월4.1.5. 5월4.1.6. 6월4.1.7. 7월4.1.8. 8월4.1.9. 9월4.1.10. 11월4.1.11. 12월4.1.12. 일자불명
4.2. 가상
5. 사망
5.1. 실제5.2. 가상
6. 달력

1. 개요

만주사변이 발발하면서 일본군중국 군벌군, 대한민국 독립세력의 전쟁이 가장 격화되었던 시기였다. 이봉창 의사의 사쿠라다몬 의거, 윤봉길 의사의 홍커우 공원 의거가 있었던 해이기도 했다.

1932년은 이라크 왕국이 독립하던 해이기도 하다.

2. 기후

서울의 월평균기온 통계는 다음과 같았다. 1930년대에서 1930년, 1939년과 함께 이상 고온이 심했던 해로, 특히 겨울철을 중심으로 강한 고온을 보였고 이로 인해 이 해 동안은 큰 추위가 없었다.[2] 또한 특이하게도 최난월이 7월, 최한월이 2월이다.[3][4] 7월과 10월을 제외하면 74년 후인 2006년과 판박이이다.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기온(°C) -0.6 -1.5 2.8 9.9 17.0 21.7 25.9 25.6 20.2 12.2 5.8 0.6 11.6
평년대비 편차(°C)[5] 3.9 0.4 -0.5 -0.6 1.3 0.8 1.4 0.3 0.5 -0.8 0.7 2.7 0.8
강수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강수량(mm) 4.4 22.6 28.2 28.9 97.6 80.6 213.5 274.6 64.2 68.9 24.5 33.2 941.2
평년대비 편차(%) 15.3 99.6 69.6 37.9 117.7 64.1 54.0 104.1 55.5 163.3 52.5 132.3 74.4
연 최저기온 연 최고기온 연교차 서울 일강수량 극값
-14.1 °C(0217) 37.2 °C(0801, 0802) 51.3 °C 143.0mm(0830)

3. 사건

3.1. 실제

3.2. 가상

  • 4월 29일: 상하이 홍커우 공원 테러미수사건 발생. 테러범 윤봉길은 현장에서 사살되었다. - 2009 로스트 메모리즈
  • 각시탈의 배경연도.
  • <캠벨> 평행계에서 SF잡지 편집자 존 캠벨이 사망하면서 SF는 발전하지 못했고, 이것은 평행계의 과학발전의 후퇴로 이어졌다. - 겁스 무한세계
  • 시카쿠몬 평행계에서 희생전쟁에서 스웨덴, 영국, 일본의 동맹군이 프랑스, 브라질의 연합군에 어느 정도 승리를 거두고 나서 종결되었다. - 겁스 무한세계

4. 탄생

4.1. 실제

4.1.1. 1월

4.1.2. 2월

4.1.3. 3월

4.1.4. 4월

4.1.5. 5월

4.1.6. 6월

4.1.7. 7월

4.1.8. 8월

4.1.9. 9월


''''==== 10월 ====

4.1.10. 11월

4.1.11. 12월

4.1.12. 일자불명

4.2. 가상

5. 사망

5.1. 실제

5.2. 가상

6. 달력

1월 2월 3월
1 2 1 2 3 4 5 6 1 2 3 4 5
3 4 5 6 7 8 9 7 8 9 10 11 12 13 6 7 8 9 10 11 12
10 11 12 13 14 15 16 14 15 16 17 18 19 20 13 14 15 16 17 18 19
17 18 19 20 21 22 23 21 22 23 24 25 26 27 20 21 22 23 24 25 26
24 25 26 27 28 29 30 28 29 27 28 29 30 31
31
4월 5월 6월
1 2 1 2 3 4 5 6 7 1 2 3 4
3 4 5 6 7 8 9 8 9 10 11 12 13 14 5 6 7 8 9 10 11
10 11 12 13 14 15 16 15 16 17 18 19 20 21 12 13 14 15 16 17 18
17 18 19 20 21 22 23 22 23 24 25 26 27 28 19 20 21 22 23 24 25
24 25 26 27 28 29 30 29 30 31 26 27 28 29 30
7월 8월 9월
1 2 1 2 3 4 5 6 1 2 3
3 4 5 6 7 8 9 7 8 9 10 11 12 13 4 5 6 7 8 9 10
10 11 12 13 14 15 16 14 15 16 17 18 19 20 11 12 13 14 15 16 17
17 18 19 20 21 22 23 21 22 23 24 25 26 27 18 19 20 21 22 23 24
24 25 26 27 28 29 30 28 29 30 31 25 26 27 28 29 30
31
10월 11월 12월
1 1 2 3 4 5 1 2 3
2 3 4 5 6 7 8 6 7 8 9 10 11 12 4 5 6 7 8 9 10
9 10 11 12 13 14 15 13 14 15 16 17 18 19 11 12 13 14 15 16 17
16 17 18 19 20 21 22 20 21 22 23 24 25 26 18 19 20 21 22 23 24
23 24 25 26 27 28 29 27 28 29 30 25 26 27 28 29 30 31
30 31



[1] Before Present[2] 특히 1월 6일에는 남부 지방도 아닌 서울에서 무려 14.4°C를 기록했다. 이 기록은 93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는 명실상부한 서울의 1월 최고 기록이다. 이후 2월 상순까지도 현대 평년값보다 높을 정도로 강한 고온을 보이다가 중순부터 급락해 늦추위가 찾아왔고 이 여파로 4월까지도 꽤 쌀쌀했다.[3] 사실 최난월이 7월인 경우는 꽤 흔한 편이지만, 최한월이 2월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 특히나 현대에는 2월을 중심으로 고온이 잦다는 것을 생각하면 더더욱 그렇다. 그나마 21세기에 있을 법한 2005년, 2012년, 2022년 모두 12월에 훨씬 강력한 저온이 와서 결국 12월이 최한월이 되었다는 점을 보면 2월 최한월은 상당히 힘든 일이다. 2025년도 2월이 1월보다 낮고 7월도 매우 극심한 더위를 보이고 있어 이 해처럼 2월 최한월과 7월 최난월을 둘 다 만족할 가능성도 유력해 보이지만 아직 8월과 12월이 남아있어서 확정은 아니다.[4] 여하튼 1932년은 서울 기준으로 최한월 2월에 최난월 7월을 둘 다 만족하는 매우 드문 해 중 하나인 셈. 1972년, 1978년과 함께 셋뿐이다. 다만 전국 기준으로는 가장 최근의 2008년을 필두로 꽤 있는 편이다.[5] 1907~1930년 평균값 대비 편차이다.[6] 현익철의 후임으로 1931년 8월 31일 취임.[7] 실제로는 1933년생이다.[8] 덕혜옹주와 이혼한 후 일본 여성과 재혼, 2남 1녀를 더 낳았다.[9] 정무제1장관, 건설교통부장관 등 역임[10] 국회부의장 등 역임[11] 대법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 역임[12] 국회부의장 등 역임[13] 국회부의장 등 역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