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12:33:45

세브란스: 단절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An Apple Original
세브란스: 단절 (2022~)
Severance
파일:세브란스 세로 포스터.jpg
장르 추리, 스릴러, SF, 미스터리
방송 기간 시즌 1: 2022년 2월 18일 ~ 2022년 4월 8일
시즌 2: 2025년 1월 17일 ~ 2025년 3월 21일
시즌 3:
방송 횟수 시즌 1: 9회
시즌 2: 10회
시즌 3:
제작 피프스시즌[1], Red hour productions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제작 애덤 스콧
연출 벤 스틸러, 이퍼 맥아들 外
각본 댄 에릭슨 外
출연 애덤 스콧, 제크 체리, 브릿 로어, 트라멜 틸먼, 젠 털록, 디첸 락먼, 마이클 처너스, 존 터투로, 크리스토퍼 워컨, 패트리샤 아퀘트[2]
독점 스트리밍
[[Apple TV+|
Apple TV+
]]
#!if 링크 != null
[[https://tv.apple.com/kr/show/%E1%84%89%E1%85%A6%E1%84%87%E1%85%B3%E1%84%85%E1%85%A1%E1%86%AB%E1%84%89%E1%85%B3-%E1%84%83%E1%85%A1%E1%86%AB%E1%84%8C%E1%85%A5%E1%86%AF---severance/umc.cmc.1srk2goyh2q2zdxcx605w8vtx|▶]]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tv.apple.co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tv.apple.com/|▶]]
#!if 주석2 != null
^^^^
|
시청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TV-MA_icon_us.svg TV-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시청가 (시즌 1 1~3화, 시즌 2 2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시청가 (시즌 1 4~9화, 시즌 2 1, 3~10화)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오프닝2.4. 메이킹2.5. 기타 영상
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설정6. 음악
6.1. 시즌 1
6.1.1. Music of Wellness
6.2. 시즌 2
6.2.1. Music To Refine To
7. 에피소드 목록
7.1. 시즌 17.2. 시즌 2
8. 탐구9. 평가
9.1. 시즌 19.2. 시즌 2
10. 촬영지11. 기타12. 둘러보기

1. 개요

In this Emmy® winner from director Ben Stiller, Mark leads a team of office workers whose memories have been surgically divided between their work and personal lives. They begin a journey to discover the truth about their jobs—and themselves.
벤 스틸러가 연출한 에미상 수상작. 마크는 시술로 일과 사생활의 기억이 분리된 직원들로 구성된 부서의 팀장이다. 팀원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과 자기 자신에 관한 진실을 밝히는 여정에 나선다.
댄 에릭슨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벤 스틸러가 연출한 Apple TV+ 오리지널 시리즈.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 시즌 1 예고편
티저 예고편 공식 예고편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 시즌 2 예고편
공개일 발표 티저 예고편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공식 예고편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 시즌 3 예고편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시즌 3 제작 확정

2.2. 포스터

파일:세브란스 세로 포스터.jpg 파일:세브란스_시즌2.jpg
시즌 1 포스터 시즌 2 포스터

2.3. 오프닝

시즌 1 오프닝 시즌 2 오프닝

2.4. 메이킹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 메이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시즌 에피소드 제목 링크
<rowcolor=#000000> 2 1 Inside the Episode 201: "Hello, Ms.Cobe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2 Inside the Episode 202: "Goodbye, Mrs. Selvi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3 Inside the Episode 203: "Who Is Aliv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4 Inside the Episode 204: "Woe's Hollow"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5 Inside the Episode 205: "Trojan's Hors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6 Inside the Episode 206: "Attil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7 Inside the Episode 207: "Chikhai Bard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8 Inside the Episode 208: "Sweet Vitrio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9 Inside the Episode 209: "The After Hour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10 Inside the Episode 210: "Cold Harbo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Behind the Mac: Editing Severanc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2.5. 기타 영상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 기타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에피소드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rowcolor=#000000> 1 Theme Song: 8 Hour Work Day Innie 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Season 1 Recap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An Elevator Pitch with Adam Scott, Britt Lower & Ben Still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Season 1 Recap, Courtesy of Lumo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The You You Are Book Trail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Inside the Grand Central Terminal Pop-Up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Lumon Management Program: Integrating New Team Member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Lumon is Listeni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Lumon Management Program: Boosting Team Moral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Lumon Management Program: Enforcing Workplace Wellnes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Ben Stiller and Adam Scott Remember Their Pas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Music To Refine To feat. ODESZ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The Cast Breaks Down Fan Theorie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000000> 2 Inside the Balloon Installation in Londo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3. 시놉시스

마크는 시술로 직장 생활과 사생활의 기억이 나뉜 사람들로 이루어진 부서의 팀장이다. 회사 밖에서 의문에 싸인 동료가 나타나면서 그들의 일에 대한 진실을 밝히는 여정이 시작된다.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브란스: 단절/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브란스: 단절/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브란스: 단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설정

  • 이건 가(Eagan Family)
    루먼 사를 이끄는 오너 일가.
  • 루먼 인더스트리(Lumon Industries)
    키어 이건이 1865년에 설립한 회사이자 그 이후로 쭉 대대손손 이건 가문이[3] 이끌고 있는 기업 가문이다. 현 소유자는 제임 이건.
  • 단절 시술(Severance Procedure)
    작품의 제목이기도 한 개념으로 루먼에서 실시하는 시술. 머리에 칩을 심어서 회사 내부의 기억과 바깥의 기억을 분리하는 기술이다. 루먼 사의 '단절 층(Severed Floor)' 직원들은 반드시 이 시술을 받아야 한다. 그렇게 해서 분리된 두 인격 중 단절층에서만 존재하는 인격의 경우는 이니(Innie), 바깥의 경우를 아우티(Outie)라고 부른다.
  • 이니(Innie): 단절 시술로 인해 생겨난 새로운 인격. 이니는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을 차단시키는 단절칩의 기능에 의해 기억상실증 수준으로 자신에 대한 기억이 없으며[4], 자신의 아우티가 어떤 사람인지 전혀 모른다. 사무실 밖의 세상을 본 적이 없어 하늘이 어떻게 생겼는지조차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상식과 판단력은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헬리의 경우 아무 생각나는 미국의 주 이름을 대보라고 했더니 델라웨어주의 이름을 댔다. 이는 여러 질문 중 헬리가 답할 수 있었던 유일한 질문이다. 다만 그럼에도 헬리의 응답이 '완벽한 점수'라고 한 걸 보면, 개인적인 일에 대한 질문은 말할 수 없고 사적이지 않은 일에 대한 지식은 남아 있는 것이 정상인 듯하다. 단절자가 루먼을 퇴사하면 칩을 제거하는데, 이는 이니의 소멸을 의미하므로 이니들에겐 퇴사는 사실상 죽음인 셈이다.
  • 아우티(Outie): 단절 시술을 받은 사람이 원래부터 갖고 있는 인격. 단절 시술 때문에 단절 층 안에서 일어난 일은 전혀 알지 못하며, 자신의 이니가 어떤 사람인지 전혀 모른다. 이니로서 보내는 시간에 대해서는 일절 기억하지 못하므로, 아우티로서는 아침에 출근하자마자 바로 퇴근하는 것과 다름없는 직장생활(?)을 보낸다. 마치 일은 안 하고 월급만 받는 것과 같은 삶을 사는 셈. 허나 단절 수술에 대한 세간의 인식은 그리 좋지 않은 듯, 단절자라고 하면 심한 반감을 표시하는 이들이 있다.
  • 단절 층
    이니들이 회사 생활을 하는 공간. 매일 직원들에겐 코인이 주어지며 코인으로 자판기에서 프레첼을 사먹을 수 있다. 매크로데이터 팀 봉기 이후로는 자판기에 크리스마스 민트, 라바삭, 자른 콩, 살사가 추가되었다고 한다.
    점심은 어디서 먹는 건가 싶겠지만 냉장고 안에 물이 담긴 팩이랑 런치 백이 있어 이를 먹는다.
    단절 층에는 다양한 부서가 있으며 온갖 이상한 뜬소문[5]이나 허위정보로 이들을 이간질하여 부서간 접촉을 막고 있다.
    • 매크로데이터 정제
    • 광학 및 디자인
    • 포유류 사육
    • 군무와 환희

6. 음악

Apple Music, Spotify, 유튜브 등 메이저 플랫폼에서 들을 수 있다.

6.1. 시즌 1

파일:Severance soundtrack album cover.jpg
<rowcolor=#fff> 트랙 곡명 듣기
1 Main Title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Labor Of Lov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Kimono Hallwa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Hall Of Eaga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Note To Self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Toke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Expiration Dat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Still Vibrati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Tree Of Lif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Done For The Nigh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Secret Place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Interdepartmenta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After Hour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Batter Up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Safely Situate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The Four Temper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That Inni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Cobel At Lumo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Aliv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피아노를 이용해 만들어낸 정제된 메인 선율과 최소한의 악기를 사용하여 긴장감 넘치는 음악을 만들어낸 사운드트랙도 호평이 자자하다. 드라마의 미스터리한 분위기와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는 음악으로, 호평이 이어져 에미상 후보에도 올라 S1 E9 "우리다운 우리"로 오리지널 드라마틱 스코어 작곡 - 코미디·드라마 시리즈 부문에서 수상하였다.

6.1.1. Music of Wellness


파일:Music Of Wellness Cover.jpg
<rowcolor=#fff> 트랙 곡명 듣기
1 Music Of Wellness (From Severance: Season 1 Apple TV+ Original Series Soundtrack)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작중 케이시가 담당한 상담실 장면에서 나오는 곡. 원래 이 곡은 시즌1 사운드트랙 앨범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팬들의 높은 요청에 힘입어 작곡가 Theodore Shapiro가 별도의 싱글로 발매하였다.

6.2. 시즌 2

파일:Severance2 soundtrack album cover.jpg
<rowcolor=#fff> 트랙 곡명 듣기
1 The Ballad Of Ambrose and Gunne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Elevator Dow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Head Fak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Visitation Suit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Something About Gemm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The Fourth Append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Beast With Two Back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The Eternal Dark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Morning Routin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Salt’s Neck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Beginning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Three’s A Crowd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Trains Runni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The Equato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Knock Down Drag Ou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Together Agai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Escap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Entering Lumon
(ODESZA Severance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2.1. Music To Refine To

파일:Music To Refind To Cover.jpg
<rowcolor=#fff> 트랙 곡명 듣기
1 Entering Lumon (ODESZA Severance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Mammalians Nutrurable (ODESZA Severance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Music of Wellness (ODESZA Severance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Elevator Down (ODESZA Severance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Morning Routine (ODESZA Severance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Irving Watermelon (ODESZA Severance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Muzak Kier Hymn (ODESZA Severance Remi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일렉트로니카 듀오 ODESZA와 작곡가 Theodore Shapiro가 함께 제작한 앨범으로, 세브란스: 단절 오리지널 스코어를 ODESZA 특유의 감성으로 리믹스하였다.

7. 에피소드 목록

7.1. 시즌 1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 에피소드 목록
<rowcolor=#fff> 회차 공개일 제목 감독
1 2022년 2월 18일 지옥에 관한 좋은 소식
Good News About Hell
벤 스틸러
시술로 일과 사생활의 기억이 분리된 사람들로 이루어진 팀에 속한 마크는 팀장으로 승진한다.
2 2022년 2월 18일 하프 루프
Half Loop
벤 스틸러
팀은 새로 고용한 헬리에게 매크로 데이터 정제법을 교육한다. 마크는 의문에 싸인 옛 동료를 만나기 위해 하루 휴가를 낸다.
3 2022년 2월 25일 영구적으로
In Perpetuity
벤 스틸러
마크는 팀원들에게 견학을 시켜 주지만 헬리는 계속 거부한다.
4 2022년 3월 4일 당신다운 당신
The You You Are
아오이프 맥아들
어빙은 직장에서 흥미로운 책을 발견한다. 헬리는 공격적으로 아우티와 소통하려 한다. 마크는 아내를 잃고 힘들어한다.
5 2022년 3월 11일 광학 및 디자인의 잔인한 야만성
The Grim Barbarity of Optics and Design
아오이프 맥아들
어빙과 딜런은 버트에 맞선다. 팀은 위험을 무릅쓰고 복도로 나간다.
6 2022년 3월 18일 숨바꼭질
Hide and Seek
아오이프 맥아들
MDR 팀은 동맹을 형성해 코벨을 화나게 한다.
7 2022년 3월 25일 저항의 재즈
Defiant Jazz
벤 스틸러
코벨은 마크와 MDR 팀에 새로운 보안 조치를 한다.
8 2022년 4월 1일 저녁은 뭐야?
What's for Dinner?
벤 스틸러
MDR 팀은 계획을 준비한다. 마크는 데번과 리큰의 파티에 참석한다.
9 2022년 4월 8일 우리다운 우리
The We We Are
벤 스틸러
시즌 마지막 화. MDR 팀은 곤혹스러운 사실을 알게 된다.

7.2. 시즌 2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 에피소드 목록
<rowcolor=#fff> 회차 공개일 제목 감독
1 2025년 1월 17일 안녕하세요, 코벨 씨
Hello, Ms. Cobel
벤 스틸러
마크가 회사로 돌아오자 상황이 달라져 있다. 아우티 세상의 비밀이 드러난다.
2 2025년 1월 24일 잘 가요, 셀빅 부인
Goodbye, Mrs. Selvig
샘 도너번
아우티 마크는 메시지의 의미를 고민한다. 루먼은 비상 초과 근무의 후유증과 씨름한다.
3 2025년 1월 31일 누가 살아 있나?
Who Is Alive?
벤 스틸러
마크와 헬리, 어빙 그리고 딜런은 해답을 쫓는다.
4 2025년 2월 7일 비애의 골짜기
Woe's Hollow
벤 스틸러
팀이 그룹 활동에 참여한다.
5 2025년 2월 14일 트로이의 목마
Trojan's Horse
샘 도너번
팀이 상실을 겪은 후 긴장감이 고조된다.
6 2025년 2월 21일 아틸라
Attila
우타 브리제비츠
유대감이 시험받는다. 마크는 진실을 찾는 여정을 계속한다.
7 2025년 2월 28일 치카이 바르도
Chikhai Bardo
제시카 리 가니에
옛 로맨스가 현재의 치명적인 위협과 교차한다.
8 2025년 3월 7일 달콤한 독
Sweet Vitriol
벤 스틸러
새로운 사실이 밝혀진다.
9 2025년 3월 14일 퇴근 후
The After Hours
우타 브리제비츠
마크와 데번은 새로운 협력자와 손잡는다. 헬리는 조사를 심화한다.
10 2025년 3월 21일 콜드 하버
Cold Harbor
벤 스틸러
시즌 마지막 회.

===# 시즌 3 #===
파일:세브란스: 단절 로고 White.png | 에피소드 목록
<rowcolor=#fff> 회차 공개일 제목 감독

8. 탐구

작중에서 루먼은 단절 시술이 이니와 아우티가 서로 행복하게 공존하는 기술이라 홍보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아우티가 하기 싫은 일을 이니가 떠맡고 아우티는 그로인한 대가(월급 등)만 받아먹는 것이다. 사실상 이니는 아우티에게 인격체로 존중받지 못하고 귀찮고 싫은 일을 대신 해주는 로봇 정도의 취급인 셈. 아우티 입장에서는 자신의 몸이 한 일이더라도 어차피 자신에게 기억이 없으면 그만이기 때문. 심지어 단절이 끝나봤자 이니는 더이상 인격을 유지할 수 없는, 즉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소모품 취급이다.

루먼은 단절 층 내에서만 이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고 말하지만 9화에서는 단절 층 사람이 아니어도 희망하는 자들에게도 시술하고 있음이 밝혀지는데 가령 아기를 갖고 싶은 사람이 아기를 낳는 고통만 이니가 겪게 하고 아기는 아우티가 키우는 식이다. 이 경우 이니는 아기를 낳는 단 하루 동안만 존재하고 스위치가 다시 켜지기 전까지 평생 자기가 낳은 아기를 다시는 못 보는 것. 심지어 언급에 의하면 이 사람은 총 3번을 낳았다고 하니 이 사람의 이니는 아기를 낳는 고통만 연속해서 세 번을 겪은 것이다.

다만 핍진성이 지적되는 부분은 헬리처럼 극도로 퇴사를 원하는 이니가 일을 하는 것을 거부하면 그만인 게 아니냐는 것이다. 물론 회사 나름대로 거짓말 탐지기가 진실이라고 판단할 때까지 반성문을 읊는 고문 시스템을 만들어 놓았지만 이 경우도 아예 반성문을 안 읽거나, 휴게실에 안 들어가는 등 물리적으로 반항하거나 발버둥칠 수 있을 것이다.

애초에 이 회사에서 일해봤자 월급을 받고 그 돈을 쓸 수 있는건 아우티고, 회사에 갇힌 이니 입장에서는 일을 할 메리트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그냥 회사의 모든 지시를 무시하고 뻐기면 회사 입장에서 노동을 하지 않는 노동자를 결국 강제 퇴사시킬 수밖에 없을 것이다. 실제로 어빙이 잠깐 한눈을 판 사이 그 시간 동안 일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아우티의 월급에서 깔 거라는 언급이 있는 것을 보면 일을 하지 않고 이니가 뻐길 경우 아우티는 월급을 받을 수 없고 결국 강제 퇴사밖에 길이 없을 것이다.

정 안 되면 이판사판으로 무기를 이용해 보스나 관리자를 공격하는 행동까지 해도 이상할 게 없다. 감옥에 가든 법적 책임을 지든 어차피 아우티가 책임질 부분이고, 어차피 이니 입장에서는 이 단절이 끝나봤자 밖으로 탈출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존재가 사라지는 것, 즉 이 고통을 더 이상 겪지 않게 안락사되는 것이 최선이기 때문에 바깥 세상의 법이고 나발이고 이판사판 볼 게 없다.

따라서 이 경우도 이니가 일을 거부할 수 없는 좀 더 창의적인 장치를 만들어두면 개연성이 있지 않았을까 싶은 아쉬움이 남는다. 몸에 남는 상처는 아우티에게도 해명을 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외상이 남지 않는 정신적인 고문에 한하여 생각한다 쳐도 가령 예시를 들면 회사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직원은 관리자가 태블릿에서 버튼 하나 누르는 것만으로 아무것도 없는 텅 빈 공간에서 1주일, 1달, 몇십 년이고 지루하게 갇혀 있는 가상 기억을 한 순간에 주입한다는 식으로 당사자가 거부할 수 없는 정신적 고문을 하는 식이 좀 더 말이 됐을 것이다.[6] 이미 기억을 지웠다 복구했다 할 수 있는 칩이 뇌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기에 이런 식의 설정을 추가했어도 충분히 개연성이 있었을 것이다.

또한 위에서 잠시 언급했지만 단절 층 안에서 살인 등 범죄 피해가 발생할 경우 그 책임 주체가 누가 될지에 대해서도 작중에서 명확히 설명되지 않았다. 일단 이니는 체포해서 밖으로 데리고 나가는 순간 아우티가 되기 때문에 자신의 이니었을 때 한 행동을 기억하지도 못한다. 애초에 인격이 분리된 상황에서 아우티에게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그렇다고 이니를 처벌하기 위해 징역 기간 동안만 이니의 인격을 유지시키고 출소 후 아우티로 되돌린다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을 때도 아우티는 인생에서 그 시간만큼을 도둑맞는 것이기 때문에 아우티 입장에서도 불이익이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시즌2 시점에서 제마를 구출하는 과정에서 아우티 마크가 의도치않게 총을 쏴버림으로써 결국 살인이 실제로 벌어지게 되었다. 이와 관련한 처리가 어떻게 이루어질지는 시즌3가 나와야 알 수 있을 듯. 다만 그렇다면 마크가 법적 책임을 지기 이전에 제마를 납치, 감금한 루먼사가 떠앉게될 법적 책임도 만만치 않을 것 이다.

현실의 판례 중에서 보자면 술을 먹고 범죄를 행한 후 음주로 인한 블랙아웃 상태로 기억을 잃은 경우에도 처벌은 가능하다. 주취감경, 즉 심신미약이 적용될 수는 있더라도 어쨌든 처벌 자체를 면하진 않는다는 것. 다만 술을 마쉬는 행위 즉 심신미약이 될 수 있는 환경을 본인이 스스로 자초한 반면 본 시리즈에서는 회사의 입사 조건으로 단절 수술이 필수기 때문에 같은 조건으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 회사도 발생한 범죄에 대해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할 수 있다.

외국의 경우 해리성 정체감 장애로 인해 벌어진 범죄에 대해서 한 인격이 저지른 범죄로 모든 인격에게 처벌이 주어지면 안 된다면서 심신미약이 인정되어 무죄가 나온 판례가 있기는 하다.

살인 같은 강력 범죄가 아니더라도 성추행, 성희롱 등을 당했어도 이니는 외부와 연락할 수 없기 때문에 신고조차 불가능한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 내부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지도 의문. 다만 이 경우는 루먼이 블랙 기업이라는 설정 특성상 사내에 신고가 들어가도 그냥 묵과해버릴 가능성이 높다. 어차피 외상처럼 물리적인 증거가 남지 않은 이상 아우티가 모르면 그만이고 실제로 마크가 헬리가 던진 물건으로 인해 이마가 찢어졌을 때 루먼은 마크의 아우티에게 다친 사유를 다르게 거짓해서 보고한바 있는데 아예 상처조차 남지 않은 일이라면 아예 아우티에게 알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복제된 자아 혹은 인격의 분리로 인해 한쪽 인격은 고통을 받지만 그걸 느끼지 못하는 다른(혹은 원래의) 인격에 관련한 문제는 게임 SOMA, 블랙 미러의 화이트 크리스마스, USS 칼리스터 에피소드, 5억 년 버튼 등에서 나온 단골 소재이기도 하다.

파일:세브란스_컴퓨터.jpg

단절 층의 직원들이 사용하는 업무용 컴퓨터의 키보드를 자세히 보면, Esc 키Ctrl 키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절 층 직원들은 영원히 그곳을 탈출(escape)할 수 없으며[7]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없는, 루먼의 통제(control) 아래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파일:dasherd2.jpg

또한 이 컴퓨터 자체는 가상의 제품이지만, 데이터 제너럴 대셔 D2와 흡사하게 생겼다. D2 특유의 남색 상판 + 하얀색 테두리 디자인은 대셔 시리즈의 특징이며, 키캡들의 색 조합도 하얀색 글씨, 하늘색 + 남색 조합으로 사실상 똑같다.

참고로 키캡은 시그니쳐 플라스틱 사의SA Dasher 세트를 기반으로 커스텀 각인을 추가한 버전인데, 시즌 2 방영에 맞춰서 드라마에 나온 커스텀 키캡을 제작했던 SP사에서 아예 SA Macrodata Refinement라는 이름으로 작중내 등장한 각인들까지 포함된 키캡세트를 새로 출시할 예정이다. MDR팀의 업무를 표현하는 Scary Numbers 데스크매트는 덤.

2025년 7월에는 Atomic 사에서 드라마 내의 키보드를 완벽하게 복제한 기계식 키보드를 판매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드라마에 나온 레이아웃이 그대로 반영된 것은 물론이고, 작동하는 트랙볼은 덤.

미학적으로 브라질, 다크 시티 등의 영향을 받았다.#

9. 평가

9.1. 시즌 1

IMDB알로시네, 키노포이스크의 경우 시즌 1과 2의 평점이 섞여 있으니 주의.


<nopad> 파일:IMDb 로고.svg
(IMDb Top 250 TV 108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97% 관객 점수 88%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스코어 83 / 100 점수 8.6 / 10 상세 내용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전문가 별점 4.0 / 5.0 사용자 별점 4.4 / 5.0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2021).svg
별점 8.2 / 1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4.3 / 5.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9.1 / 1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96.28% 별점 4.2 / 5.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4.3 / 5.0

파일:TMDB 로고.svg
점수 84%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평점 8 / 10


파일:세브란스 에미 노미네이션.jpg

2022년 프라임타임 에미상에서 작품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음악상, 메인 타이틀 음악상, 감독상, 타이틀 디자인상 등 14개 부문 후보작에 오르며 극찬을 받았다.[8]

공개된 직후 평론가들에게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 2022년 공개된 TV시리즈들 중 1위를 달리고 있고, 메타크리틱에서 100점 만점에 86점, 로튼토마토 신선도는 100%를 기록했다(현재는 97%로 떨어진 상태). 첫 에피소드 2개가 공개된 이후 관객 평가는 흡입력이 있고 잘 만들었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레딧 등지에서는 마침내 Apple TV+를 구독할 때가 다가왔다는 평가도 여럿이다. 북미에서는 벤 스틸러의 뛰어난 연출, 이미 검증된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가 어우러져 환상적인 쇼를 만들어 냈다는 호평을 받았다. 국내에서도 드라마를 시청한 대다수는 호평하고 있다.

다만 Apple TV+의 구독자가 상대적으로 적어 좋은 평가가 그대로 관객 평가와 흥행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이며 아직은 드라마를 시청한 시청자 자체가 적다보니 표본에 어느 정도 오류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 드라마의 의도를 모르겠으며 가끔씩 등장하는 몇몇 효과로 느껴지는 긴장감 외에 드라마 자체가 단조롭고 지루하며 재미없다는 의견도 존재하기 때문.

하지만, 3회 정도밖에 공개가 안 되었기에 아직 설정을 완벽하게 보여주지 않고 일단 떡밥만 던져주고 있기에 너무 이른 평가가 아니냐는 지적도 있었다.

4화와 5화가 공개되면서 점점 드라마가 미궁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하지만 연출과 스토리라인은 매우 촘촘하고 클리셰적인 연출이 적으며, 반전이 모두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면서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쇼가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시청자 평은 여전히 매우 좋다.

7화까지 공개되면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드라마 중 하나가 되었고, 상대적으로 낮은 플랫폼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최고의 평가를 받고 있다. 많은 복선들이 풀리기 시작했고 명배우들의 열연, 뛰어난 연출, 서로 얽혀 있는 드라마 속 설정들로 더욱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9화에서는 엄청난 결말로 시즌1이 마무리되었다. 만약 이 드라마를 볼 계획이 있다면, 어떠한 정보도 인터넷에서 찾아보지 말고 그냥 볼 것을 추천한다. 이 드라마가 엄청나게 좋은 평가를 받는 이유 중 하나는 9화에 있기 때문.

모든 떡밥들이 하나둘씩 퍼즐 맞추듯이 조각처럼 맞춰지고 벤 스틸러의 압도적인 연출과 색감으로 참신한 소재를 최고의 드라마로 흥행시켰다. 레딧에서 1,650만명이 넘게 가입한 TV 시리즈 서브레딧에서는 올해 공개된 드라마 중 최고의 드라마로 꼽혔다. 단순히 평가만 좋은 것이 아니라 Apple TV+가 제대로 한 건 했다는 평가와 흥행이 동시에 이어졌다.

또한 인트로 타이틀 애니메이션도 매우 잘 만든 작품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드라마 인트로는 보통 스킵하지만 이 인트로는 스킵 없이 쭉 시청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난 그래픽 애니메이션이다.
시즌 1 오프닝 인트로[9]
강박적으로 집착한 듯이 뽑아낸 색감과 구도 연출은 웨스 앤더슨을 생각나게 한다는 호평도 많다.

기업 내의 건축물 디자인이나 전자기기들의 디자인이 매킨토시 등을 발매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던 1990년대 애플 특유의 심플함과 레트로함이 돋보여서 호평이 많다.

9.2. 시즌 2

IMDB알로시네, 키노포이스크의 경우 시즌 1과 2의 평점이 섞여 있으니 주의.


<nopad> 파일:IMDb 로고.svg
(IMDb Top 250 TV 108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94% 관객 점수 72%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스코어 86 / 100 점수 7.6 / 10 상세 내용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전문가 별점 4.0 / 5.0 사용자 별점 4.4 / 5.0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2021).svg
별점 8.2 / 1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4.3 / 5.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8.5 / 1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90.48% 별점 3.9 / 5.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4.0 / 5.0

파일:TMDB 로고.svg
점수 83%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평점 7.8 / 10


제77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에서 무려 27회 노미네이트되어 해당 회차 시상식 최다 부문에 후보로 오르고, 8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다시 한 번 극찬을 받았다.

시즌 1의 충격만큼은 아니지만 역시 전체적으로 매우 호평을 받았으며, 시즌 1보다 못한 시즌 2를 확실하게 피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초반부는 시즌 1처럼 치밀한 전개로 이어갔지만, 5화를 기점으로 시작되는 중후반부는 연출과 메인 작가가 달라지는 경우가 더욱 많아져 기존 회차들과는 다른 느낌을 준다.

특히 7, 8화는 다루는 이야기마저도 과거사나 주변 인물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하나의 시리즈라기보단 결말 전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보여주는 여러 편의 단편 영화같은 느낌이지만 이 역시 전체적인 스토리와 모두 어우러져 어느 하나 불필요한 부분 없이 완벽한 전개와 떡밥 회수를 보여주었다.

특히 연출 면에서 극찬을 받은 회차는 3화 후반부와 7화, 마지막 화인 10화 등으로, 실제 7화와 10화는 연출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특히 3화 끝부분에 마크가 복구 시술을 진행하는 과정이 인터넷에서 크게 주목받았다. 마크가 처음 입사해서 테이블 위에서 깨어나 피티가 읽어주는 설문을 듣는 기억이 교차되며 옷차림과 배경이 연달아 바뀌는 편집은 트레일러에도 사용되었던 OST[10]와 어우러져 시즌 2 최고의 명장면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7화는 이례적으로 메인 촬영 감독인 제시카 리 가니에가 연출을 맡았는데, 직접 필름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플래시백 신에서 그대로 집어넣어 마크와 제마의 과거사를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보여주어 주변 인물에 불과하던 제마를 순식간에 주연급의 중요 인물로 탈바꿈시킨 연출이 호평을 받았다.
또한 작중 흐르는 시간과 고증을 정확하게 맞춘 것도 놀라움을 자아내는데, 단절 층 위와 단절 층에서 벌어지는 상황의 컷신과 시간을 한 치의 오차 없이 맞춰 다시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을 경악케 했다.# 해당 장면 제작 당시 편집을 맡은 제작진은 타이밍이 잘 맞을지 확신하지 못했다고.

결말 역시 호불호가 갈릴 법한 내용이지만 그 의미에 있어서는 크게 호평을 받았다. 아우티의 아내와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니 마크의 선택을 잘 표현했다는 것이 중론. 방영 후에 보여주는 회차별 비하인드 영상을 보면 더 쉽게 결말을 이해할 수 있다.

10. 촬영지

  • 작중 가상회사 '루먼'의 사옥은 미국 뉴저지주 홈델 타운십에 위치한 'Bell Labs Holmdel Complex'이다. 건축학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건물로서 2017년 미국 국립사적지에 등록되었다.

11. 기타

  • 자막 번역에 관해 이름이나 You 같은 인칭대명사도 한국식 표현에 맞춰 호칭어로 바꿔서 번역해서 생기는 바람에 생기는 몇몇 오류가 있다. 시즌 1 9화에서 비상 초과 근무가 활성화되어 이니가 된 마크가 주변 상황을 파악하느라 어리둥절한 상황에서, 7:08경 여동생인 데번이 마크에게 원문에서는 "Mark, you okay?"라고 이름만 언급했는데, 한국어에서는 이름만 부르는 것이 어색하다보니 자막에서는 "오빠, 괜찮아?"라고 한 것으로 번역되었고 이후로도 'you'라고 언급한 걸 '오빠'라고 번역했다. 문제는 원문은 단순히 Mark나 you라고만 지칭하였기에 마크 입장에선 데번과 자신의 관계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후 두 사람의 관계를 파악하지 못한 마크가 혹시 데번이 아내인가 싶어 '우리 애기 어때?'라면서 한 번 떠보는 반응을 보여주는 장면이 있으나, 여기까진 그래도 같은 가족이기에 'our baby'라고 해도 그렇게 까지 어색한 상황은 아니긴 했다.[11] 하지만 결정적으로 이후 9:00경 다른 사람에게서 여동생에 대한 언급을 들었을 때 '아이를 안고 있는 사람이 내 여동생이에요?'라고 되묻는 장면이 상당히 어색해진다. 한국어 자막만 봤을 때 마크는 '오빠'라는 대사에서 이미 데번이 자신의 여동생임을 유추할 수 있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번역도 '마크'라고 번역하거나 최대한 오빠라는 단어를 피했어야 자연스러워진다.
    • 그래도 이해의 여지가 있는 것이, 결혼한 커플 중에서도 연애할 때처럼 남편을 "오빠"라고 부르는 경우가 존재한다. 많은 경우 오빠라는 호칭은 친오빠를 대상으로 하긴 하지만, 아우티 마크에 대한 정보를 하나도 모르는 이니 마크 입장에서 가족 관계를 확신하지 못한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는 아니다.
    • 다만, 시즌1 엔딩에서 마크가 "She is alive!"라고 한 걸 "제마는 살아 있어!"라고 번역했는데, 원문에서는 주어가 단순히 she이기 때문에 누구를 지칭하는 건지 알 수 없다. 시즌 2에서 데번과 아우티 마크가 이니 마크가 언급한 she가 아기를 의미한 것일지 아니면 제마를 의미하는 것일지 의견이 분분하고 누구인지 알아내기 위해 별짓을 다하는 전개가 나오므로 명백히 오역이다. 물론 시즌 1 당시에 번역가는 향후 전개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었을 테니 어느 정도 양해가 가능한 부분. 결국 시즌 2가 나온 이후 시즌 1의 해당 자막을 단순히 "살아 있어!"로 수정하는 잠수함 패치를 하였다.
  • 한국의 병원인 세브란스병원과는 영어 이름(severance)이 동일하다. 이 드라마의 제목은 '단절', '해고' 등을 뜻하는 영단어로, 한국어 정발명은 이를 부제로 사용하여 겹말 형태가 되었다. 해당 병원의 이름은 기부자 루이스 세브란스의 성씨를 따서 붙인 것이다.
  • 시즌 2는 TVING에서 동시 공개된다. TVING의 Apple TV+ 서비스 이후 처음으로 동시 공개되는 콘텐츠다.
  • 2025년 1월, 시즌 2 홍보를 위해 뉴욕의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의 대합실에 루먼 인더스트리의 사무실을 재현한 유리 큐브 속 세트를 만들었다. 1월 14일에는 애덤 스콧을 비롯한 주연 배우들과 감독 벤 스틸러까지 등장했고, 주연 배우들은 유리 큐브 세트 안에서 드라마 속 의상과 분장을 하고 실제 캐릭터가 행동하는 것처럼 연기까지 했다.[12] #
  • 파일:세브란스 시즌2 애플 홈페이지.png
    다른 Apple Original 작품들과 비슷하게, 시즌 2 공개 이후 며칠간 Apple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시즌 2 포스터의 풍선이 떠다녔다.
  • 시즌 2 홍보를 위해 팀 쿡이 직접 트레일러에 출연했다. 여기서는 '팀 C'로 등장했다.
  • 시즌 2 1화에서 키아누 리브스가 루먼 인더스트리 홍보영상(Lumon is Listening)의 성우(건물 캐릭터 목소리)로서 카메오 출연했다.
  • 시즌 3 제작이 확정되었다. #
  • 작중 등장하는 중요한 장치이자 마크의 처남인 리큰의 책인 "당신다운 당신(The You You Are)"을 시즌 2 공개 후 Apple Books에서 일부를 공개했다. 공개 영상 읽으러 가기
  • 시즌 1과 시즌 2 사이의 공백이 거의 3년으로 매우 긴 편이었는데, 애덤 스콧이 인터뷰에서 시즌 2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13] 촬영이 오래 걸렸다는 말과 동시에 시즌 3는 이보다 더 빨리 나올 것 같다고 밝혔다.
  • 개인 작업으로 인해 시즌 3에서는 벤 스틸러가 감독을 맡지 않는다. 프로듀서로는 계속 참여할 예정이라고 한다.

12. 둘러보기

벤 스틸러 감독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1] CJ ENM이 인수한 제작사이다. 과거 이름은 엔데버 콘텐트.[2] 오프닝 크레딧 순서[3] 중간에 여성 CEO도 있었는데 계속 이건 가문인 것을 보면 여성 CEO의 방계가 이었거나 데릴 사위처럼 이건 성씨를 자식에게 물려준 듯하다.[4] 자신의 이름을 포함해 고향, 국적 및 어머니의 생김새까지 기억하지 못한다.[5] 매크로데이터 정제팀의 경우 캥거루처럼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는 등[6] 블랙 미러의 화이트 크리스마스 에피소드나 5억년 버튼을 떠올리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7] 이 Esc 키에 대한 해석은 제작진 측에서 밝힌 내용이다.[8] Outstanding Drama Series
Outstanding Lead Actor in a Drama Series: Adam Scott
Outstanding Supporting Actor in a Drama Series: John Turturro, Christopher Walken
Outstanding Supporting Actress in a Drama Series: Patricia Arquette
Outstanding Writing for a Drama Series
Outstanding Production Design for a Narrative Contemporary Program (One Hour or More)
Outstanding Casting for a Drama Series
Outstanding Directing for a Drama Series
Outstanding Single-Camera Picture Editing for a Drama Series (x2)
Outstanding Main Title Design
Outstanding Music Composition for a Series (Original Dramatic Score)
Outstanding Original Main Title Theme Music #
[9] 인트로 제작자가 직접 올린 영상이다. 채널을 둘러보면 다양한 작품들을 볼 수 있다.[10] The Who - Eminence Front[11] 실제로 데번도 그렇게 크게 의아하게 생각하지 않고 넘어가긴 했다. 다만 장면의 의도 자체가 마크가 데번이 아직 자신과 무슨 관계인지 파악하지 못한 걸 보여주는 의도의 장면이기 때문에 어찌됐든 장면의 의도를 살리지 못하게 된 번역인 건 여전한 부분.[12] 원래는 대역들이 해당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주연 배우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사로 실제 배우들이 연기하게 됐다.[13] 그 영향도 있기야 있었겠지만, 2023년경부터는 코로나가 소강상태에 들어갔다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보다는 2023년 미국작가조합 파업이 결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