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02:36:17

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개봉일까지 D[dday(2025-04-30)]
<colbgcolor=#000000><colcolor=#d29f54> 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2025)
Holy Night: Demon Hunters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메인 포스터.jpg
장르 액션, 스릴러, 미스터리, 다크 판타지, 공포, 퇴마, 오컬트, 어반 판타지
감독 임대희[1]
각본
제작 마동석
기획
촬영 김지용
조명
편집
미술 이재성
음향
음악 모그
의상 남지수
분장
무술 허명행, 윤성민
출연 마동석, 서현, 이다윗, 경수진, 정지소
제작사 ㈜빅펀치픽쳐스
노바필름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촬영 기간 2021년 6월 28일 ~ 2021년 9월 12일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4월 30일
화면비
상영 타입
상영 시간 92분 (1시간 31분 33초)
제작비
손익분기점
월드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스트리밍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11. 프리퀄 웹툰12. 기타13. 둘러보기

1. 개요

이제 악마까지 때려잡는다[2]
2025년 4월 30일 개봉 예정인 한국 영화.

2. 개봉 전 정보

  • 2025년 1월 6일, 티저 예고편과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2025년 3월 24일, 메인 예고편과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3. 포스터

파일:거룩한 밤_데몬 헌터스_임시포스터.jpg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티저 포스터.jpg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메인 포스터.jpg
컨셉 아트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캐릭터 포스터 바우.jpg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캐릭터 포스터 샤론.jpg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캐릭터 포스터 김군.jpg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캐릭터 포스터 정원.jpg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캐릭터 포스터 은서.jpg
캐릭터 포스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스페셜 포스터(1).jpg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스페셜 포스터(2).jpg
스페셜 포스터 }}}

4. 예고편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3]

===# 기타 영상 #===
캐릭터 영상
거룩한 만남 영상
리뷰 예고편

5. 시놉시스

악을 숭배하는 집단에 의해 혼란에 빠진 도시, 특별한 능력을 가진 어둠의 해결사 ‘거룩한 밤’ 팀 바우(마동석), 샤론(서현), 김군(이다윗)이 악의 무리를 처단하는 오컬트 액션

6. 등장인물

  • 강바우(마동석) : 바위 같은 힘과 맨주먹으로 악마를 사냥하고 악마의 숭배자를 때려잡는 어둠의 해결사.
  • 샤론(서현) : 악마를 찾아내는 특별한 능력을 가졌다. 악마를 불러내기 위해 강렬한 구마 의식까지 선보이는 인물.
  • 김군(이다윗) : 샤론의 구마 의식과 바우를 도와 그들의 활약을 기록하는 든든한 팀원이자 팀의 분위기 메이커.[4]
  • 정원(경수진) : 신경정신과 의사. 기이한 증상에 시달리는 동생 은서를 살리기 위해 '거룩한 밤' 팀을 찾아온 인물.
  • 은서(정지소) : 정원의 동생. 몸 안에 악마가 자리해 이상증세에 시달리는 인물.
  • 요셉(황대현)
  • ?(이다일)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10. 흥행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25-04-30.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05-01. 2일차(목) -명 -위 -원
2025-05-02. 3일차(금) -명 -위 -원
2025-05-03. 4일차(토) -명 -위 -원
2025-05-04. 5일차(일) -명 -위 -원
2025-05-05. 6일차(월) -명 -위 -원
2025-05-06.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25-05-07.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05-08. 9일차(목) -명 -위 -원
2025-05-09. 10일차(금) -명 -위 -원
2025-05-10. 11일차(토) -명 -위 -원
2025-05-11. 12일차(일) -명 -위 -원
2025-05-12. 13일차(월) -명 -위 -원
2025-05-13.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25-05-14.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05-15. 16일차(목) -명 -위 -원
2025-05-16. 17일차(금) -명 -위 -원
2025-05-17. 18일차(토) -명 -위 -원
2025-05-18. 19일차(일) -명 -위 -원
2025-05-19. 20일차(월) -명 -위 -원
2025-05-20.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25-05-21.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05-22. 23일차(목) -명 -위 -원
2025-05-23. 24일차(금) -명 -위 -원
2025-05-24. 25일차(토) -명 -위 -원
2025-05-25. 26일차(일) -명 -위 -원
2025-05-26. 27일차(월) -명 -위 -원
2025-05-27. 28일차(화) -명 -위 -원
}}}}}}}}}||
  • 개봉 전
    • 주연 배우 마동석의 티켓 파워, 개봉 초기 공휴일을 낀 연휴가 있는 일정, 이의 연장선으로 범죄도시 시리즈의 신작 부재로 억눌린 수요를 대신 충족시킬 수 있을 가능성[6], 최근 퇴마/오컬트 영화들이 어느 정도 강세를 보인 선례[7], 여럿 영화에서 액션을 담당한 무술 감독 허명행의 경력 등이 흥행의 요소다.
    • 그러나 한국 영화 시장의 침체가 부각되었으며 경쟁작들이 많은[8] 개봉 시기, 상업 영화로는 연출 전적이 없는 감독 임대희의 경력, 고착화된 마동석의 이미지[9], 사실상 마동석에 기대고 있는 IP[10], 갈리는 사전 평가 등의 위험 요소 또한 있다.
    • 경쟁작들에[11] 비해 91분으로 짧은 축인 상영시간은 복합적이다. 킬링 타임용의 오락 영화로서 연휴 기간 동안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영화로 부각될 수 있으나, 반대로 상업 영화라기에는 너무 짧다는 여론이 형성될 위험도 존재한다.[12]
  • 1주 차

11. 프리퀄 웹툰

개봉 전에 거룩한 밤 : 더 제로라는 프리퀄 웹툰을 연재하는 중이다. 네이버 웹툰에서 매주 토요일에 연재.

12. 기타

  • 상술한 프리퀄 웹툰까지 공개하면서 본작을 개봉시킨 것을 보면, 어느정도 프랜차이즈화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13] 다만 마케팅 차원의 웹툰으로도 볼 수 있으니 어디까지나 추측.
  • 2025년은 범죄도시 시리즈의 신작이 개봉하지 않는 해인데, 대신 마동석 주연의 본작이 작년 범죄도시4가 개봉했던 4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개봉하게 된다. 마동석 히어로물이라는 작품의 성격에서도 범죄도시 시리즈와의 유사성이 보이기에 수요를 흡수하려는 의도적인 전략으로 보인다. 네티즌 사이에서도 범죄도시5의 공백을 대신할 범죄도시 시리즈 비공식 외전처럼 취급되는 중이다. 특히 로고의 색상과 캐치프레이즈도 범도 시리즈는 '싹 쓸어버린다', 본작은 '때려잡는다'로 비슷한 편. 물론 범도 시리즈마냥 천만 영화가 될 가능성은 적은 상태다.[14]
    • 그와 별개로 이 작품이 실패해도 범죄도시 시리즈에는 타격이 적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이미 개봉전부터 마동석식 액션물이라 평가 받고 있으며[15] 2024년 개봉한 황야가 평가에서 실패했음에도[16] 동년에 개봉한 범죄도시 시리즈의 신작 범죄도시4천만 영화까지 되었기 때문이였다.[17] 그만큼 범죄도시 시리즈의 입지와 IP가 강력하다는 증거.
    • 반대로 이 작품이 성공하면 범죄도시 시리즈의 입지는 더욱 확고해진다. 평가나 흥행중 하나만 성공해도 마동석의 티켓 파워는 더욱 커져 범도5의 천만 돌파 가능성이 더 높아지고 특히 평가가 성공하면 범죄도시5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진다.
  • 주연 배우가 주연 배우고 예고편도 마동석식 영화로 나왔기에 거룩한 한방, 거룩한 꿀밤, 퇴마(물리)등 온갖 드립을 댓글창에서 볼 수 있다.
  • 서현은 극 중 캐릭터 샤론에 대해 "고대어를 모티브로 하는 주문을 많이 해서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고민을 많이 했다, 다른 영화를 찾아볼까 했는데 나만의 샤론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털어놨다. #
  • 마동석은 서현이 2시간 만에 영화 출연을 결정해줬다며 서현의 빠른 결정에 대해 "너무 감사했다"고 말했다. #

13. 둘러보기


마동석 제작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width=33.3%> 파일:범죄도시 로고.png ||<width=33.3%><bgcolor=#000> 파일:그라운드 제로(영화) 로고.png ||<width=33.3%><bgcolor=#000> 파일:압꾸정 로고.png ||
범죄도시 시리즈 그라운드 제로 압꾸정
파일:황야(영화) 로고.png 파일: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로고.pn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황야 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 피그 빌리지



[1] 상업 영화 첫 연출작이다.[2] 여담으로 마동석은 이미 저승차사도 때려잡은 전적이 있다.[3] 앞서 개봉한 하얼빈(영화) 1차 예고편과 같은 BGM이 사용되었다.[4] 프리퀄 웹툰에 나왔던 김진우로 보인다.[5]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6] 같은 마동석 주연과 5월 공휴일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시기에 개봉한 〈범죄도시3〉, 〈범죄도시4〉와 같은 시기에 개봉한다는 공통점으로 범죄도시 시리즈의 영향력을 기대할 수 있다.[7] 일례로 2025년 개봉작 중 〈검은 수녀들〉이 평가와는 별개로 개봉 초기 높은 화력을 통해 손익분기점을 돌파한 성적을 거뒀고, 〈퇴마록〉이 준수한 평가를 받은 결과 손익분기점에는 미달할지언정 고연령가 애니메이션 영화로는 좋은 성적을 거뒀다. 또한 약 1년 전에는 〈파묘〉가 입소문을 통해 누적 천만 관객을 돌파한 전적이 있다.[8] 기존 작품 〈마인크래프트 무비〉, 〈야당〉, 개봉일이 겹치는 〈썬더볼츠*〉, 〈파과〉로 인해 초기 입지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이들 중 〈썬더볼츠*〉와는 액션 장르가 겹치고, 〈야당〉, 〈파과〉와는 액션 장르의 한국 영화로 입지가 더욱 겹친다. 그나마 〈마인크래프트 무비〉와는 목표 관객층이 달라 서로간 입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9] 마동석이 범죄도시 시리즈 외의 크게 성공시킨 작품이 부재하며, 그 결과 지속적으로 같은 이미지가 소모되었다. 따라서 소위 흔한 마동석식 액션 영화로 인식될 위험이 있다.[10] 앞서 강세를 보인 오컬트/퇴마 영화 중 〈검은 수녀들〉, 〈파묘〉의 경우 오컬트 장르에서 명성이 높은 장재현 감독의 영향을 받았으며, 〈퇴마록〉의 경우 어느 정도 IP가 있던 원작 《퇴마록》의 영향을 받았다. 반면 〈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의 경우 개봉 전 프리퀄 웹툰 《거룩한 밤 : 더 제로》를 통해 소소하게 IP를 구축했다지만 큰 화제를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따라서 그 영향력을 기대하기 어렵고, 결국 마동석의 영향력에 흥행을 기대고 있다.[11] 〈썬더볼츠*〉 - 126분, 〈야당〉, 〈파과〉 - 122분, 〈마인크래프트 무비〉 - 100분.[12] 전년 6~7월에 개봉한 〈인사이드 아웃 2〉, 〈탈주〉가 각각 비슷한 96, 94분의 짧은 상영시간에도 전개, 배우진의 연기 등을 포함한 입소문에 힘입어 흥행한 선례가 있으나, 동시기 개봉한 경쟁작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하이재킹〉, 〈핸섬가이즈〉 역시 엇비슷하게 100분을 전후로 하는 상영시간을 가져 짧은 상영시간이 잘 부각되지 않았다. 이와 달리 전술했듯 경쟁작들에 비해 짧은 상영시간을 가져 그 요소가 부각되기 쉬운 환경이므로 흥행 요소를 살려 관객들의 입소문을 발생시킬 수 있느냐에 따라 호부가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13] 다른 마동석 영화들은 범죄도시 시리즈마저도 개봉 이전부터 IP를 구축한 적은 없다.[14] 물론 범죄도시 시리즈를 대신하면서 높은 흥행을 기록할 수는 있다.[15] 애초에 킬링타임용으로 생각되는 추세라 기본만 하면 나름의 흥행을 기대할 수 있다.[16]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라 정확한 흥행 여부는 모른다. 물론 OTT 특성상 킬링타임 영화가 괜찮은 쪽으로 기울어진다. 외계+인 1부가 극장가에서는 신통치 않았지만 OTT에서는 어느 정도 재평가를 받기도 했고.[17] 심지어 두 영화는 감독도 동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