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09:45:44

5월 18일


날짜 이동란
5월 17일
전날
전달
5월 18일
다음날
다음달
5월 19일
4월 18일
6월 18일

5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025년 기준
전체 보기


1. 개요2. 사건
2.1. 실제2.2. 가상
3. 기념일절기4. 축일5. 생일
5.1. 실존 인물5.2. 가상 인물
6. 기일
6.1. 실존 인물

1. 개요

1년의 138번째(윤년의 경우 139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

2.1. 실제

2.2. 가상

3. 기념일절기

3.1.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일부 지역에서 일어난 5.18 민주화운동을 국가[2]와 함께 기리는 날이다.

이날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5.18 희생자에 대한 추모행사와 5.18 정신 계승을 강조하는 행사가 다수 열린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1997년부터 이 날을 정부 지정 국가기념일로 지정해 국가보훈부 주관으로 광주광역시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기념식을 치르고 있다.[3]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은 2020년에는 옛 전라남도청 앞 광장(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앞)에서 정부 주관 기념행사가 열렸다.[4]

광주 홈경기와 타 지역 원정 경기에 응원단을 항상 파견하는 KIA 타이거즈는 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이날만큼은 응원단 운영을 하지 않았다. 다만, 2025년부터는 약간의 변화가 있는데 광주시 측의 요청과 5.18 관련 단체의 양해로 응원단 운영이 재개된다. 또한 광주 홈경기는 관객 대상의 이벤트를 아예 진행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며 국민의례 때는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을 기리는 묵념을 올린다.

2020년부터는 광주에서 이 날을 지역 한정 법정공휴일(지방 공휴일)로 지정했다. 제주특별자치도4.3 희생자 추념일인 4월 3일을 지방 공휴일로 지정된 이후 2번째. 물론 지방 공휴일이라 광주광역시를 제외한 다른 지역들은 그냥 일반 평일이다. 제주도와의 차이점은 학교의 휴업 여부다. 제주에서 4월 3일은 각급 학교가 정상 운영되기에 학생들이 정상 등교하지만, 광주에서 5월 18일은 학교도[5] 하루 재량휴업일로 으레 쉰다.

4. 축일

  • 칸탈리체의 성 펠릭스
  • 성 디오스코로
  • 성녀 마트로나
  • 성 베난시오
  • 복자 빌리암
  • 성녀 알렉산드라
  • 성 에리코
  • 성녀 에우프라시아
  • 성녀 엘지바
  • 성 요한 1세
  • 성녀 율리타
  • 복녀 카밀라 젠틀리
  • 성녀 클라우디아
  • 성 테오도토
  • 성녀 타쿠사
  • 성녀 파이나
  • 성 페레다리오
  • 성 펠릭스
  • 성 펠릭스
  • 성 포타몬

5. 생일

5.1. 실존 인물

5.2. 가상 인물

6. 기일

6.1. 실존 인물


[1] 당시 교황청은 무신론자인 공산주의 소련과 싸운다는 이유로 나치 독일에 호의적이었다. 나치의 동맹국인 일본에도 척을 지지 않으려는 조치로 볼 수 있다.[2] 국가보훈부 주도·주관[3] 이전까지는 5.18 희생자 유가족 단체가 추모와 기념행사를 주관했고 5.18 민주화운동"광주 사태"라는 이름으로 폄훼됐던 1987년 민주화 이전 군사정권 시절까지는 제대로 된 추모와 기념행사가 치러지지 못했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기념식에 참석한 이후 현직 대통령이 임기 중 한 차례 이상은 5.18 정부 기념식에 참석하고 있다.[4] 보통 정부 주관 기념행사는 줄곧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렸고 옛 도청 앞 광장에서는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매년마다 주관하는 전야제와 부대행사가 성대히 열렸다.[5] 5.18 당시 광주대동고등학교 등 주요 학교 학생들의 항쟁 참여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6] 야인시대의 삼수 역을 맡았다.[7] 핑.구 창시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