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9:58:09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

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모로코
2025 Afrika U-17 Kombe la Mataifa
파일:2025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로고.png
대회기간 2025년 3월 30일 ~ 4월 19일
개최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참가팀 16개팀[1]
대회 결과
우승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1번째 우승)
준우승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3위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4위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연표
이전 대회 2023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알제리)
다음 대회 2026 (미정)
1. 개요2. 본선 진출팀3. 조 추첨4. 대회 진행
4.1. A조4.2. B조4.3. C조4.4. D조4.5.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4.6. 결선토너먼트
4.6.1. 8강4.6.2. 준결승4.6.3. 3위 결정전4.6.4. 결승

1. 개요

2025년 3월 30일에서 4월 19일까지 모로코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의 15번째 대회로, 2025 FIFA U-17 월드컵의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한다. 상위 10팀이 2025 FIFA U-17 월드컵에 진출한다.

2. 본선 진출팀

팀명 진출 자격 진출 횟수 최고 성적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북아프리카 예선 1위5회우승(1회)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북아프리카 예선 2위
개최국
5회준우승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북아프리카 예선 3위4회3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서아프리카 A지역 예선 1위4회우승(1회)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서아프리카 A지역 예선 2위10회우승(2회)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서아프리카 A지역 예선 3위5회우승(2회)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서아프리카 B지역 예선 1위8회우승 (1회)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서아프리카 B지역 예선 2위6회우승 (1회)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중앙아프리카 예선 1위9회우승(2회)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중앙아프리카 예선 2위1회(첫 진출)-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동아프리카 예선 1위2회조별 리그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동아프리카 예선 2위3회조별 리그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동아프리카 예선 2위2회조별 리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남아프리카 예선 1위3회1라운드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남아프리카 예선 2위5회3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예선 3위5회준우승
※진출 횟수 및 최고 성적은 대회 당시를 기준으로 서술함.

3. 조 추첨

순번 시드 포트 1
1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A1)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2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B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3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C1)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2]
4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D1)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3]

시드 배정은 지난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에서 4강에 진출한 4팀에 배정되었다.
모로코(호스트,직전 대회 준우승)=A조
부르키나파소(직전 대회 3위)=B조
세네갈(직전대회 우승)=C조
말리(직전대회 4위)=D조
포트 A조 B조 C조 D조
1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2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3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4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4. 대회 진행

4.1. A조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colcolor=#000,#fff> 1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3 2 1 0 8 0 +8 7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2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3 2 1 0 6 2 +4 7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3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3 1 0 2 4 7 -3 3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4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3 0 0 3 1 10 -9 0 탈락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경기 홈팀 경기결과 원정팀 경기장 주심
2025.3.30 22:00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5 : 0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엘 바치르 스타디움 TBD
2025.3.31 14:0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1 : 4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TBD
2025.4.3 17:00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3 : 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TBD
20:00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0 : 0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TBD
2025.4.6 20:00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3 : 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TBD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1 : 2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라비 자울리 스타디움 TBD

모로코와 잠비아가 8강에 진출했다.

4.2. B조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colcolor=#000,#fff> 1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3 3 0 0 6 2 +4 9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 1 1 1 4 5 -1 4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3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3 1 0 2 6 7 -1 3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4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3 0 1 2 2 4 -2 1 탈락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경기 홈팀 경기결과 원정팀 경기장 주심
2025.3.31 17:00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2 : 1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라비 자울리 스타디움 TBD
20:0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4 : 3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TBD
2025.4.3 14:00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0 : 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TBD
17:00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1 : 2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TBD
2025.4.6 17:00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2 : 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TBD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1 : 2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엘 바치르 스타디움 TBD

부르키나파소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8강에 진출했다.

4.3. C조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colcolor=#000,#fff> 1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3 2 1 0 5 1 +4 7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2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3 2 1 0 3 0 +3 7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3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3 1 0 2 6 4 +2 3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4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3 0 0 3 1 10 -10 0 탈락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경기 홈팀 경기결과 원정팀 경기장 주심
2025.4.1 14:00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1 : 0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벤 하메드 엘 압디 스타디움 TBD
17:00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0 : 3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TBD
2025.4.4 14:00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5 : 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TBD
17:00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0 : 0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TBD
2025.4.7 20:00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2 : 0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TBD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1 : 2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베레키드 시립 경기장 TBD

4.4. D조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colcolor=#000,#fff> 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3 2 1 0 10 3 +7 7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2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3 2 0 1 6 5 +1 6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3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3 1 1 1 7 3 +4 4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4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3 0 0 3 2 14 -12 0 탈락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 |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경기 홈팀 경기결과 원정팀 경기장 주심
2025.4.1 17:00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2 : 1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베레키드 시립 경기장 TBD
20:00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6 : 1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TBD
2025.4.4 17:00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0 : 0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TBD
20:00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0 : 2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TBD
2025.4.7 17:00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2 : 4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TBD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6 : 1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벤 하메드 엘 압디 스타디움 TBD

4.5.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승리팀은 FIFA U-17 월드컵에 진출한다.
경기 홈팀 경기결과 원정팀 경기장 주심
2025.4.12 17:00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A조 3위)
2 : 1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C조 3위)
벤 하메드 엘 압디 스타디움 TBD
20:00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B조 3위)
2 : 1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D조 3위)
TBD

4.6. 결선토너먼트

4.6.1. 8강

경기 홈팀 경기결과 원정팀 경기장 주심
2025.4.10 17:00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6 : 1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라비 자울리 스타디움 TBD
2025.4.10 20:00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3 : 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엘 바치르 스타디움 TBD
2025.4.11 17:00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0(5) : 0(3)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베레키드 시립 경기장 TBD
2025.4.11 20:00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1(9) : 1(10)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벤 하메드 엘 압디 스타디움 TBD

4.6.2. 준결승

4.6.3. 3위 결정전

4.6.4. 결승

1위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2위 (8강 진출 및 FIFA U-17 월드컵 진출)3위 ( FIFA U-17 월드컵 플레이오프 )4위 (탈락)
A조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colbgcolor=#ccc,#333>파일:우간다 국기.svg우간다 <colbgcolor=#ccc,#333>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B조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 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
C조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소말리아
D조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중앙아프리카공화국

[1]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최초로 16개팀이 참가한다.[2] 조 추첨 당시 유니팍 1[3] 조 추첨 당시 유니팍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