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Boy next door(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Boy next door(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Boy next door(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Boy next door(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Boy next door(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Boy next door(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리스트 == null
{{{#!html 2025년 8월 20일 발매된 일본 싱글 2집}}}에 대한 내용은 [[BOYLIFE]]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BOYLIFE#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BOYLIFE#|]]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25년 8월 20일 발매된 일본 싱글 2집: }}}[[BOYLIFE]]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BOYLIFE#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BOYLIFE#|]]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한국 음반 ]
- ||<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일본 음반 ]
- ||<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AND,#s-4.2|Earth, Wind & Fir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2024. 06. 19.]][[AND,|AN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5em"
2024. 07. 10.]][[今日だけ I LOVE YOU (Japanese Ver.)|今日だけ I LOVE YOU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2025. 01. 31.]][[BOYLIFE|BOYLIF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d630; font-size: 0.85em"
2025. 08. 20.]]
- [ 참여 음반 ]
- ||<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Fadeaway|Fadeawa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2023. 11. 07.]]<#a4aaa2,#a4aaa2> [[Lucky Charm(BOYNEXTDOOR)|Lucky Char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2024. 06. 29.]]<#e7d771,#e7d771> [[It's Beginning To Look A Lot Like Christmas(BOYNEXTDOOR)|It's Beginning To Look A Lot Like Christma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a5730; font-size: 0.8em"
2025. 02. 03.]]<#f9e9df,#f9e9df> [[이렇게 좋아해 본 적이 없어요|이렇게 좋아해 본 적이 없어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e68d2; font-size: 0.8em"
2025. 03. 14.]]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2eff6,#f2eff6><colcolor=#080608,#080608> 활동 ||<-4>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33.3%> 활동 ||<width=33.3%> 공연 및 행사 ||<width=33.3%> 광고 및 화보 ||||
음반 음반 노래 직캠 노래방 콘텐츠 콘텐츠 숏폼 Weverse 커버곡 팬덤 원도어 응원법 굿즈 쁘넥도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0.5px" 멤버 간 케미 수상 사건 사고 }}}
|
운학ㆍ이한ㆍ명재현ㆍ태산ㆍ성호ㆍ리우 The 4th EP |
<colbgcolor=#f2eff6,#f2eff6><colcolor=#080608>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2eff6,#f2eff6> | BOYNEXTDOOR 보이넥스트도어 ボーイネクストドア | }}} |
데뷔일 |
| 2023년 5월 30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3-05-30)]일, [age(2023-05-30)]주년) | ||
| 2024년 7월 10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4-07-10)]일, [age(2024-07-10)]주년) | |||
데뷔 음반 |
| |||
| ||||
장르 | K-POP, 댄스, 팝 음악, 발라드, 랩/힙합 | |||
리더 | 명재현[1] | |||
소속사 | KOZ 엔터테인먼트 | |||
레이블 |
| HYBE LABELS | ||
| 게펜 레코드 | |||
| Polydor Records | |||
유통사 |
| YG PLUS | ||
| 유니버설 뮤직 그룹 | |||
| 유니버설 뮤직 재팬 | |||
|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 |||
팬덤 | '''
''' | |||
응원봉 | 원더스틱 | |||
링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 ||||
| 공식|멤버|| | |||
| ||||
| }}}}}}}}} |
1. 개요
2. 멤버
| ||
| | |
성호 | 리우 | 명재현 |
2003. 09. 04. ([age(2003-09-04)]세)
| 2003. 10. 22. ([age(2003-10-22)]세)
| 2003. 12. 04. ([age(2003-12-04)]세)
리더 |
| | |
태산 | 이한 | 운학 |
2004. 08. 10. ([age(2004-08-10)]세)
| 2004. 10. 20. ([age(2004-10-20)]세)
| 2006. 11. 29. ([age(2006-11-29)]세)
|
2.1. 멤버 간 케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멤버 간 케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멤버 간 케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특징
지코가 설립한 연예 기획사인 KOZ 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어 있으며, 지코가 직접 프로듀싱 한다.3.1. 로고
OFFICIAL LOGO MOTION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80608,#080608 {{{#!folding [ BOYNEXTDOOR 역대 로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 <nopad> | |
WHO! | |||
<nopad> | <nopad> | ||
WHY.. | |||
<nopad> | <nopad> | ||
<nopad> | <nopad> | ||
AND, | |||
<nopad> | <nopad> | ||
19.99 | |||
<nopad> | <nopad> | ||
오늘만 I LOVE YOU | |||
<nopad> | <nopad> | ||
No Genre |
모든 로고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E와 X 사이에 집 모양이 나온다.
3.2. 그룹명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BOYNEXTDOOR는 직역하면 ❛옆집 소년들❜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KOZ의 첫 보이그룹이다. 친근하게 느껴지는 이름처럼, 듣기 편하면서도 독창적인 음악을 통해 일상을 이야기하고 그 속의 다양한 감정을 풀어내며 공감을 추구한다.
||
3.3. 콘셉트
그룹명답게 옆집에 사는 친근한 소년들[5]을 주 콘셉트로 잡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젊은 세대들이 공감하기 좋은 일상 소재의 가사와 과장되지 않은 이지 리스닝 사운드로 구성된 음악을 추구하고 있다.데뷔 싱글 WHO!에서는 세 곡의 타이틀곡을 통해, 좋아하는 상대를 발견 - 자신을 어필 - 고백하는 과정으로 이어지는 유기적인 스토리라인을 구축하고 있어 순서대로 감상하기 좋은 방식을 마련하고 있다.[6]
그리고 데뷔 이후 두 번째 음반인 WHY..에서는 데뷔 싱글인 WHO!에서의 소년의 설레는 짝사랑의 다음 스토리인 첫 이별을 그리고 있다.
세 번째 음반인 HOW?는 첫사랑의 설렘을 노래한 데뷔 싱글 WHO!와 첫 이별의 상처를 그린 미니 1집 WHY.. 중간의 이야기로, 만남과 이별 사이에 느낀 다양한 감정을 다룬다.
첫사랑 3부작을 마무리하고 발매된 네 번째 음반인 19.99는 가장 뜨거운 나이인 스무 살이 되기 직전을 '19.99'라는 불완전한 숫자로 표현한 앨범으로, 10대와 20대의 경계에 선 청춘의 생각과 고민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다.
19.99 이후 발매된 디지털 싱글 오늘만 I LOVE YOU는 이별 후 사랑했던 상대를 그리워하며 "오늘만 사랑하겠다, 오늘만 좋아하겠다"라는 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섯 번째 앨범 No Genre는 여섯 멤버의 당당하고 자유분방함이 돋보이며, 장르라는 테두리에 본인들을 가두지 않고 하고 싶은 음악을 하겠다는 포부를 보여준다.
현재까지 발매된 모든 앨범에 사랑을 주제로 한 곡들이 들어 있는데, 19.99까지의 타이틀곡들이 이러한 경향이 강하다. 첫사랑 3부작 앨범들의 타이틀은 말할 것도 없고, 첫사랑 3부작 이후 발매된 19.99도 사랑이 주제가 아닌 곡들이 많지만 좋아하는 상대에게 자신을 어필하는 내용의 Nice Guy가 타이틀곡이다.
또한 곡 갯수로도 모든 수록곡과 디지털 싱글을 합쳤을 때 유독 사랑을 주제로 한 곡 중 이별을 소재로 한 곡들이 눈에 띄게 많은 것 또한 특징이다. WHO! 이후 발매된 모든 앨범에 이별을 소재로 한 곡들이 적어도 한 곡씩은 포함되어 있다.[7]
3.4. 실력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멤버 전원이 올라운더이며, 모든 무대에서 핸드 마이크만 고집하고 수준급의 라이브 실력을 가지고 있는 보이그룹 중 하나이다.[8] 특히 1위 앵콜 라이브를 보면 울면서도 열심히 라이브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재친구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데뷔 이후 한번도 빠짐 없이 핸드마이크를 사용하여 라이브를 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본무대에서도 신인답지 않게[9] 애드립을 넣는 것으로 보아 무대를 즐기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또한 이러한 보컬 역량 이외에도 댄스 실력이 뛰어나 항상 칼군무를 유지하며, 작지만 많은 디테일에 신경을 써서 무대 완성도가 높다.3.4.1. 보컬 및 랩
- 데뷔 후 첫 라디오 출연에서 보여준 라이브#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위버스 라이브나 팬사인회에서도 주저없이 라이브를 보여줄 때가 많고 항상 핸드마이크로 무대를 올라 언제나 무대를 잘 해낸다.
- 멤버 전원의 라이브 실력이 기복없이 뛰어난 편이며, 앵콜 라이브 때마다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 2024년 12월 14일부로 개최된 아시아 투어 KNOCK ON Vol.1 이후로 모든 멤버가 더욱 안정적인 무대 실력을 갖추게 되어 주목받고 있다.
3.4.2. 댄스
- 멤버들 피셜 메인댄서인 리우가 댄스에 있어 강점을 보이는 편이다. 역시 다른 멤버들도 리우와 큰 편차를 보이지 않을 만큼 기본기가 탄탄한 실력을 균형 있게 보여주고 있다. 이한의 경우 리우가 자신 다음으로 프리스타일을 잘 추는 멤버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운학의 경우 댄스와 더불어 콘셉트에 맞는 표정을 짓는 게 돋보인다.[10]
- 강렬한 동작을 기본으로 둔 전체적인 안무는 잔동작이 많은 편이다. 이는 각 멤버의 자유대로 매번 달라지며 멤버들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데뷔 앨범 WHO!에 수록된 세 타이틀곡의 안무를 일정한 합으로 소화해내는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특히 One and Only의 경우 그룹명에 걸맞게 문이라는 소품을 활용하여 BOYNEXTDOOR만의 특징적인 무대를 연출하였다.
- 또한, 커버 무대로 진행된 세븐틴의 예쁘다 안무나, f(x)의 Hot Summer 안무를 본인들의 색깔로 재구성하여 풀어내는 모습을 보여 주기도 했다. 숏폼 챌린지 영상을 통해서도 자신들의 곡이나 타 아티스트들의 곡 안무를 깔끔하게 소화해내고, 안무가 없는 곡에도 안무를 창작하여 출 정도로 댄스에도 열정이 높은 편이다.[11]
- 데뷔 전, 연습생 시절 멤버들끼리 노래를 틀어두고 프리스타일 댄스를 많이 연습했다고 한다.
3.4.3. 작사 및 작곡
- 명재현, 태산, 운학이 데뷔 앨범부터 꾸준히 작사 및 작곡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새 앨범이 발매될수록 셋의 이름이 수록되는 곡이 이전 앨범보다 더 많아지고 있어 인상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운학은 자신이 작곡, 작사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아도 앞으로 자신이 썼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도록 자신만의 작사,작곡 스타일을 알리고 싶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 앨범에 작사 및 작곡으로 참여하는 만큼, 셋(명재현, 태산, 운학) 모두 자신의 자작곡이 있다. 작성일 기준, 명재현, 태산의 자작곡은 지인을 통해 세간에 노출되었으나 운학의 자작곡은 아직까지 유출되지 않아 많은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지금까지 공개된 명재현, 태산의 자작곡에 대한 반응은 매우 긍정적인 편으로, 둘의 넓은 작사 및 작곡 영역을 보여주었다.
- 작업은 시간이 날 때 한다. 작업 방식은 작업하는 멤버들과 프로듀서들이 한 방에서 이야기를 하면서 앨범 주제, 트랙 등을 정리한다고. 또한 같이 모여서 송 캠프로 식으로 할 때도 있고 각자 따로 할 때도 있다. 이런 시간이 보통 새벽이라 무조건 항상 회사에 있다보니 '보이넥스트도어=하이브 지킴이'이라는 별명이 있다. #
3.5. 비주얼
|
- 멤버 전원이 전체적으로 얼굴이 뛰어나다는 평을 받으며, 각자 멤버들의 비주얼적 특징이 뚜렷하다.
<nopad> 리우 · 성호 · 명재현 |
- 성호: 시원시원한 이목구비를 가진 고양이상 비주얼, 전형적인 배우상이자 모범생상.
- 리우: 하얗고 말랑한 인상에 동화 속 왕자님 같은 비주얼, 웃을 때 송곳니와 인디언 보조개가 매력포인트.
- 명재현: 애교와 장난끼가 많은 강아지상 비주얼, 웃을 때 나오는 보조개가 예쁜 미모.
- 태산: 진한 이목구비를 가진 고양이상 비주얼, MZ 이상형의 대표적인 날티상.
- 이한: 어렸을 때부터 뚜렷한 이목구비를 가진 대형견상 비주얼, 전형적인 만찢남 미모.
- 운학: 해맑은 이미지에 맞는 강아지상 비주얼, 맑은 소년미에 두부상이자 덕후몰이상.
- 평균 신장은 약 178cm로 한국 성인 남성 평균 신장보다 4cm 정도 더 큰 편이며, 멤버 대부분이 한국 남성 평균 신장을 넘는 편이다.
4. 음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뮤직비디오
YouTube Music Video 2025년 6월 16일 19시 기준 | ||||
<rowcolor=#080608,#080608> 순위 | 게시일 | 곡명 | 조회수 | 앨범명 |
1 | 2024. 04. 15. | Earth, Wind & Fire | 57,860,454 | |
2 | 2024. 09. 09. | Nice Guy | 41,788,167 | EP 3집 19.99 |
3 | 2023. 09. 04. | 뭣 같아 | 41,220,395 | EP 1집 WHY.. |
4 | 2025. 01. 06. | 오늘만 I LOVE YOU | 40,191,397 | 디지털 싱글 오늘만 I LOVE YOU |
5 | 2023. 05. 25. | One and Only | 34,813,154 | 싱글 1집 WHO! |
6 | 2025. 05. 13. | I Feel Good | 32,619,676 | EP 4집 No Genre |
7 | 2023. 05. 30. | Serenade | 19,553,160 | 싱글 1집 WHO! |
8 | 2023. 05. 23. | 돌아버리겠다 | 18,484,182 | |
9 | 2024. 09. 02. | 부모님 관람불가 | 16,231,419 | EP 3집 19.99 |
10 | 2023. 10. 11. | ABCDLOVE | 7,372,804 | EP 1집 WHY.. |
BOYNEXTDOOR 실시간 뮤직비디오 조회수 추이 |
6. 활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 음악 방송 직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음악 방송 직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음악 방송 직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콘텐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콘텐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콘텐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공연 및 행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공연 및 행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공연 및 행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4. 커버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커버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커버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수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수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수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빌보드
8.1. 빌보드 200
Billboard 200 최고 순위 | |||||
<rowcolor=#080608,#080608> # | 연도 | 앨범명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1 | 2023 |
| 162위 | 1주 | [12] |
2 | 2024 |
| 93위 | 1주 | |
3 | 2024 |
| 40위 | 1주 | |
4 | 2025 |
| 62위 | 1주 |
8.2. 빌보드 글로벌 200
Billboard Global 200 최고 순위 | |||||
<rowcolor=#080608,#080608> # | 연도 | 곡명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1 | 2025 |
| 188위 | 1주 | [13] |
8.3.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Billboard Global 200 Excl. US 최고 순위 | |||||
<rowcolor=#080608,#080608> # | 연도 | 곡명 | 최고 순위 | 차트인 | 비고 |
1 | 2025 |
| 99위 | 4주 | [14] |
2 | 2025 |
| 181위 | 1주 |
9. 팬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NEDOOR#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NEDOOR#|]]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1. 굿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굿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굿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논란 및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OYNEXTDOOR/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여담
- 지코가 설립한 연예 기획사에서 첫 번째로 런칭하는 아이돌 그룹으로, 지코가 그룹의 총괄 디렉터 및 메인 프로듀서를 맡고 있다. 이 때문인지 지코에게 아가들이라고 불린다.[15][16]
- HYBE 출범 이후 처음으로 산하 레이블에서 데뷔한 전원 대한민국 국적 그룹이며, 2025년 현재 HYBE LABELS에 소속된 5세대 아이돌 그룹 중에서도 유일하다.
- 인터뷰, 레드카펫, 전원 출연 영상 콘텐츠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본 대형은 아래와 같다.
[[리우(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26em;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성호(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26em;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명재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26em;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 활동별로 커스텀 마이크가 바뀐다. 데뷔 때는 WHO!의 앨범 자켓 색상과 동일한 스카이블루 계열의 커스텀 마이크를 단체로 맞추었고 그 다음 앨범인 WHY.. 활동 때도 해당 앨범 자켓과 비슷한 레드 색상으로 바꾸었다. 각 마이크의 아래에 자필로 쓴 이름이 새겨져 있다. HOW? 앨범 활동 때는 초록색/청록색 계열의 색으로 마이크를 맞췄고, 19.99 앨범 활동 때는 각 멤버 별 상징 색[17]을 사용했으며 No Genre 활동 때는 손잡이 부분에 멤버 별 영문명[18]이 적힌 블랙 컬러의 마이크를 사용했다.
- 숙소 룸메이트는 1년마다 제비뽑기로 바꾸며, 독방은 1년마다 돌아가면서 썼다.[19] 예외로 이한은 아래층에 있는 어항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아래층 고정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nt-size: 0.94em"
<colbgcolor=#f2eff6,#f2eff6><colcolor=#080608,#080608><rowcolor=#080608,#080608> | 방 1 | 방 2 | ||||||
2023년 | ||||||||
위층 | [[명재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태산(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운학|{{{#!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
아래층 | [[성호(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리우(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이한(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
2024년 | ||||||||
위층 | [[리우(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태산(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운학|{{{#!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
아래층 | [[이한(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성호(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명재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 | <colbgcolor=#f2eff6,#f2eff6><colcolor=#080608,#080608><rowcolor=#080608,#080608> | 방 1 | 방 2 | 방 3 | 거실 |
2025년 | ||||||||
위층 | [[태산(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리우(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성호(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
아래층 | [[운학|{{{#!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이한(BOYNEXTDOO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23] | [[명재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2eff6; color: #080608" | }}}
12. 역대 프로필 사진 | | | |
WHO! | WHY.. | |||||||
| | |||||||
19.99 | <nopad> 오늘만 I LOVE YOU | No Genre |
13.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SOLO ARTIST | |
ZICO | ||
GROUP ARTIST | ||
BOYNEXTDOOR | ||
프로듀서 | ||
Poptime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 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
- [ 관련 문서 ]
- ||<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게펜 레코드 ||<width=50%> The SuperStar ||
}}} ||
[1] 팀 내에서 유일하게 존재하는 공식 포지션이다. 회사의 구성원들과 멤버들의 투표로 결정되었다고 한다.[2] 명재현이 리더로서 선창한다.[3] 원래는 앞에 THE가 붙지만, 문법적으로 틀렸다는 사실을 인지한 뒤로는 THE를 빼고 한다.[4] 구호와 손동작 모두 태산의 아이디어이다. #[5] 실제로 옆집에는 존재할 수 없는 비주얼.jpg 등의 짤로 우명하다.[6] 아무래도 프로듀싱을 총괄하고 있는 지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지코의 음악들 중 일상성을 강조하여 공감을 얻었던 너는 나 나는 너, She’s a baby 등을 연상하게 하며, 이를 나이대에 맞게 로컬라이징한 것으로 보인다.[7] WHY..: Crying, 뭣 같아, ABCDLOVE / HOW?: Dear. My Darling / AND,[45]: GOOD DAY / 19.99: 돌멩이 / 오늘만 I LOVE YOU / No Genre: 123-78, 장난쳐?, Next Mistake[8] 동네스타K에 출연했을 때 라이브를 고집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물어보자 리더인 명재현이 고민하지 않고 "가수니까요!"라고 대답했을 정도로 춤, 랩 뿐만 아니라 라이브에도 진심인 모습을 보여주어 팬들의 기를 살려주었다.[9] 2023 영동대로 K-POP 콘서트 엔딩 무대였던 붉은 노을 단체 합창 당시, 데뷔로부터 1주년도 되지 않은 시점이었음에도 돋보이는 실력을 보여주었다.[10] 이에 운학은 무대에서 짓는 표정은 연기가 아니고 그냥 나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11] 커버 무대를 할 때마다 트위터에서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12] BOYNEXTDOOR의 빌보드 200 첫 데뷔 앨범[13] 커리어 최초[14] 커리어 최초[15]
[16] 이 덕에 지코는 이에 대응되는 아빠라는 별명이 생겼으며, ONEDOOR들은 물론 멤버들도 종종 지코를 아빠라고 부르기도 한다. ONEDOOR들은 지코를 주로 지버지라고 부르는 편이다.[17] 해당 앨범의 위버스 버전에 있는 포토카드의 뒷면의 색과 같다.[18] 포토북 버전에 있는 스티커와 같은 디자인이다.[19] 25년부터는 전원 각방을 쓰게 되어 독방을 돌아가면서 쓴다는 규칙은 24년이 마지막이 되었다.[20] 방이 다섯 개이기에 성호, 리우, 태산, 운학은 각방을 사용하고, 재현과 이한은 방을 같이 사용하거나 한 명이 거실을 사용해야 했다. 이때 이한은 이층 침대가 아니면 같은 방을 사용하지 않고 싶어했고, 재현과 이한 둘 다 이층 침대의 아래 침대를 사용하고 싶어했기에 어쩔 수 없이 한 명이 거실에서 살기로 합의를 본 것.[21] 이긴 사람은 방, 진 사람은 거실이라는 조건을 걸고 이한과 삼세판을 했다고 한다.[22] 여담으로 명재현과 이한은 위버스 라방에서 방을 바꾸던 도중 운학이 자신의 방에 도어락을 설치하겠다고 하여 가슴에 대못이 박힌 기분이었다고 언급했다.[23] 매니저방[24] 태산, 이한[25] 성호, 리우[26] 운학, 명재현. 재현은 글씨를 쓸 땐 오른손을 쓰고 밥을 먹을 땐 왼손으로 먹는다.[27] 리우만 유일하게 형 라인 멤버들 중 집에서 막내가 아니고, 이한은 막내 라인 멤버들 중 유일하게 집에서 막내다.[28] 가칭으로는 꿀물양이라고 부른다.[29] 가칭으로는 탄산수양이라고 부른다.[30] 리우와 운학은 학급 회장을 해본 적이 있다.[31] 성호와 한 달 차이로 입사했다.[32] 명재현이 처음 온 날 신인개발팀 직원분이 "성호랑 상혁이 말만 잘 들으면 된다"라고 말했다고 한다.[33] 형제들까지 포함해 총 14명 중 이한의 누나를 제외한 13명이 제왕절개로 태어났다.[34] 멤버 본인이 직접 검사한 결과 기준. 250718 자체 컨텐츠에서 다른 멤버들이 대신 검사해 준 결과는 성호-ESTJ, 리우-ISFJ, 명재현-ENTP, 태산-ENTJ, 이한-ENFP, 운학-INFP이다.[35] 성호(ENTJ), 태산(INTJ), 이한(ESFJ) - 판단형(J)
리우(ISFP), 명재현, 운학(ENFP) - 인식형(P)[36] 성호(ENTJ), 명재현, 운학(ENFP), 이한(ESFJ), - 외향형(E)
리우(ISFP), 태산(INTJ) - 내향형(I)[37] 성호(ENTJ), 명재현, 운학(ENFP), 태산(INTJ) - 직관형(N)
리우(ISFP), 이한(ESFJ) - 감각형(S)[38] 리우(ISFP), 명재현, 운학(ENFP), 이한(ESFJ) - 감정형(F)
성호(ENTJ), 태산(INTJ) - 사고형(T)[39] 산리우즈(리우, 태산)는 팀 내 내향형(I)을, 이리온즈(리우, 이한)는 팀 내 감각형(S)을, 껌치즈(성호, 태산)는 팀 내 사고형(T)을 맡고 있다. 종종 이들끼리 서로 MBTI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곤 한다.[40] 이한도 240218 위버스 라이브에서 성호의 언급에 따르면 서울에서 등교를 했다고 한다. 이한의 입사 시기가 2022년도였으니 고등학교 때 전학을 간 것으로 추정된다.[41] 출신 구는 다르다. 리우는 강북구, 명재현은 동작구.[42] 다만 운학은 출생지는 부산이지만 실질적인 성장은 수원에서 했다.[43] 명재현은 현재 엠 카운트다운 고정 MC로 활동하고 있으며, 운학은 SBS 인기가요 고정 MC로 활동했던 경력이 있다. 성호는 엠 카운트다운, SBS 인기가요, 쇼! 음악중심 스페셜 MC, 리우와 이한은 엠 카운트다운 스페셜 MC, 태산은 SBS 인기가요 스페셜 MC로 활동했다.[44] 시카고 현지 기준이다. 한국 시각 기준으론 2025년 8월 4일 오전 4시 15분이다.
리우(ISFP), 명재현, 운학(ENFP) - 인식형(P)[36] 성호(ENTJ), 명재현, 운학(ENFP), 이한(ESFJ), - 외향형(E)
리우(ISFP), 태산(INTJ) - 내향형(I)[37] 성호(ENTJ), 명재현, 운학(ENFP), 태산(INTJ) - 직관형(N)
리우(ISFP), 이한(ESFJ) - 감각형(S)[38] 리우(ISFP), 명재현, 운학(ENFP), 이한(ESFJ) - 감정형(F)
성호(ENTJ), 태산(INTJ) - 사고형(T)[39] 산리우즈(리우, 태산)는 팀 내 내향형(I)을, 이리온즈(리우, 이한)는 팀 내 감각형(S)을, 껌치즈(성호, 태산)는 팀 내 사고형(T)을 맡고 있다. 종종 이들끼리 서로 MBTI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곤 한다.[40] 이한도 240218 위버스 라이브에서 성호의 언급에 따르면 서울에서 등교를 했다고 한다. 이한의 입사 시기가 2022년도였으니 고등학교 때 전학을 간 것으로 추정된다.[41] 출신 구는 다르다. 리우는 강북구, 명재현은 동작구.[42] 다만 운학은 출생지는 부산이지만 실질적인 성장은 수원에서 했다.[43] 명재현은 현재 엠 카운트다운 고정 MC로 활동하고 있으며, 운학은 SBS 인기가요 고정 MC로 활동했던 경력이 있다. 성호는 엠 카운트다운, SBS 인기가요, 쇼! 음악중심 스페셜 MC, 리우와 이한은 엠 카운트다운 스페셜 MC, 태산은 SBS 인기가요 스페셜 MC로 활동했다.[44] 시카고 현지 기준이다. 한국 시각 기준으론 2025년 8월 4일 오전 4시 15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