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 (1990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
사랑과 영혼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 알라딘 | 쥬라기 공원 | 라이온 킹 | |
$505.7M | $519.8M | $504.1M | $983.8M | $858.6M |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
다이하드 3 | 인디펜던스 데이 | 타이타닉 | 아마겟돈 | 스타워즈: 보이지 않는 위험 | |
$366.1M | $817.4M | $1,845.0M | $553.7M | $983.6M | }}}}}}}}} |
토이 스토리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nopad>정규 | |||||||||||||||
토이 스토리 | 토이 스토리 2 | 토이 스토리 3 | 토이 스토리 4 | 토이 스토리 5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nopad>토이 스토리 툰 | |||||||||||||||
하와이 휴가 | 작은 버즈 라이트이어 | 파티공룡 렉스 | }}} | |||||||||||||
<nopad>TV 스페셜 | ||||||||||||||||
공포의 대탈출 | 공룡 전사들의 도시 | |||||||||||||||
<nopad>디즈니+ | ||||||||||||||||
포키는 궁금한 게 많아요 | 램프 라이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nopad>스핀오프 | <nopad>기타 | ||||||||||||||
우주전사 버즈 | 버즈 라이트이어 | 토이 스토리 트리츠 | }}} |
토이 스토리 (1995) Toy Story | ||
| ||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 ||
토이 스토리 | → | 벅스 라이프 |
감독 | 존 라세터 | |
제작 | 보니 아놀드, 랄프 구겐하임 | |
각본 | 조스 웨던, 앤드류 스탠턴 외 | |
출연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장세준, 박일 외 | |
음악 | 랜디 뉴먼 | |
장르 | 애니메이션, 코미디, 판타지 | |
개봉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1995년 12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2010년 5월 5일3D 재개봉 | |
상영 시간 | 81분 | |
제작사 | ||
수입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
배급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
제작비 | $30,000,000 | |
북미 박스오피스 | $191,796,233 | |
월드 박스오피스 | $373,554,033 | |
서울 총 관객수 | 317,994명 | |
국내 등급 | 연소자 관람가 |
1. 소개
위대한 3D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3D 애니메이션의 시작을 알린 기념비적인 작품.2007년 미국 영화 연구소(AFI) 100대 영화 99위 선정.
1995년 월트 디즈니가 배급하고 픽사가 제작한, 장난감을 다룬 3D 애니메이션. 픽사의 첫 장편 애니메이션이고, 최초의 풀 3D 장편 애니메이션이다. 이미 장난감을 이용한다는 아이디어는 픽사의 단편인 틴 토이에서 실현되었고, 틴토이의 후속작인 틴 토이의 크리스마스 소동을 기획 중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제작되었다, 북미 최종 수익은 1억 9,200만 달러로 미국에서는 흥행 기근, 저하 현상[1]에서도 1995년 추수감사절에 개봉해 롱런에 성공하며 흥행 1위를 기록한다. 한국에선 45만 관객이었는데 꽤 성공했다. 당시만 해도 멀티플렉스 극장 체제가 아닌 터라서.
원래는 버즈 대신 슈퍼맨을 넣고, 바비인형을 넣을 예정이었지만 양측 모두에게 거절 당했다. 단 바비는 후편에 출연은 했다. 후반에 버즈가 매달고 있던 폭죽의 이름은 Big one
오프닝곡이자 엔딩곡인 주제가는 난 너의 친구야(You've Got a Friend in Me) 라는 곡이다.
2. 줄거리
카우보이 인형 우디는 앤디가 가장 아끼고 사랑하는 장난감이다. 그는 앤디의 수많은 장남감들의 리더 역할을 맡으면서 그들을 날마다 이끌고 진두지휘하며 모든 장난감들 역시 그를 따른다. 그러던 어느날 앤디의 생일파티가 열리고 앤디는 버즈 라이트이어라는 새로운 신제품 장난감을 선물로 받는다. 버즈는 우주를 수호하며 평화를 지키는 우주특공대원 전사 장난감으로 최첨단 장비들과 수납식 날개, 개폐식 헬멧, 디지털 녹음된 음성 지원, 레이저 발사 등을 가지고 있다. 앤디가 가장 좋아하는 장난감 1위는 순식간에 우디에서 버즈로 바뀌게 되고, 다른 장난감들도 우디보다 버즈를 더 따르게 되며 우디는 하루아침에 2인자로 전락한다. 우디는 자신의 자리였던 앤디가 최고로 아끼는 장난감 1인자 자리와 모든 장난감들의 대장자리를 모두 빼앗아 버린 버즈를 시기하고 질투하며 자신이 진짜 우주전사라고 믿는 버즈에게 넌 그냥 장난감일 뿐이라며 면박을준다. 앤디네 가족이 이사를 가기 이틀 전 우디는 버즈를 밀쳐내 버리고 자신이 앤디와 함께 피자혹성에 가려다가 버즈와 함께 옆집에 장난감들을 마구 고문하여 작살내 버리거나 폭파시켜 버리는 나쁜꼬마 시드에게 납치되어 장난감의 지옥과도 같은 그의 집에 갇혀버리고 마는데........3.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등장인물#|]][[토이 스토리 시리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