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12:22:56

헨리 3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719 0%, #cf091f 20%, #cf091f 80%, #a607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웨식스 왕조
애설스탠 에드먼드 1세 이드리드 이드위그
웨식스 왕조 크누트 왕조
에드거 1세 순교왕 에드워드 애설레드 2세 스웨인
웨식스 왕조 크누트 왕조
애설레드 2세 에드먼드 2세 크누트 해럴드 1세
크누트 왕조 웨식스 왕조
하다크누트 참회왕 에드워드 해럴드 2세 에드거 2세
노르만 왕조 블루아 왕조
윌리엄 1세 윌리엄 2세 헨리 1세 스티븐
노르만 왕조 블루아 왕조 플랜태저넷 왕조
마틸다 스티븐 헨리 2세 리처드 1세
플랜태저넷 왕조
헨리 3세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2세
플랜태저넷 왕조 랭커스터 왕조
에드워드 3세 리처드 2세 헨리 4세 헨리 5세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요크 왕조 튜더 왕조
에드워드 5세 리처드 3세 헨리 7세 헨리 8세
튜더 왕조
에드워드 6세 제인 메리 1세
필립
엘리자베스 1세
스튜어트 왕조
제임스 1세 찰스 1세 찰스 2세 제임스 2세
스튜어트 왕조 영국 국왕 →
윌리엄 3세
메리 2세
}}}}}}}}}}}}}}}
헨리 3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53b4 0%, #1353b4 20%, #1353b4 80%, #1353b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플랜태저넷 왕조
엔리 3세 아이드워르드 1세 아이드워르드 2세
플랜태저넷 왕조 랭커스터 왕조
아이드워르드 3세 리스트라이드 2세 엔리 4세 엔리 5세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엔리 6세 아이드워르드 4세 엔리 6세 아이드워르드 4세
요크 왕조 튜더 왕조
아이드워르드 5세 리스트라이드 3세 엔리 7세 엔리 8세
}}}}}}}}}}}}}}}

파일:노르망디 공국 국장.svg
노르망디 공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루앙 백작 노르망디 공작
노르만 왕조
롤로 기욤 1세 리샤르 1세 리샤르 2세
노르망디 공작
노르만 왕조
리샤르 3세 로베르 1세 기욤 2세 로베르 2세
노르만 왕조 블루아 왕조 플랜태저넷 왕조
앙리 1세
기욤 클리토
기욤 아델린
에티엔 조프루아 앙리 2세
플랜태저넷 왕조
리샤르 4세 장 1세 앙리 3세
프랑스 왕국 치하 노르망디 공작
발루아 왕조 부르봉 왕조
장 2세 샤를 1세 샤를 2세 자크
부르봉 왕조
루이 샤를
랭커스터 왕조 치하 노르망디 공작
앙리 4세 앙리 5세 }}}}}}}}}
잉글랜드 왕국 플랜태저넷 왕조 제4대 국왕
헨리 3세
Henry III
<nopad> 파일:헨리 3세.jpg
매튜 패리스의 Historia Anglorum에 나온 미니어처. 1250-1255년경.
<colbgcolor=#cf091f><colcolor=black> 왕호 헨리 3세
(Henry III)
출생 1207년 10월 1일
잉글랜드 왕국 햄프셔 윈체스터 성
사망 1272년 11월 16일 (향년 65세)
잉글랜드 왕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재위기간 잉글랜드의 왕
1216년 10월 28일 ~ 1272년 11월 1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f091f><colcolor=#fff> 이름 윈체스터의 헨리
(Henry of Winchester)
배우자 프로방스의 엘레오노르 (1236년 결혼)
자녀 에드워드 1세, 마거릿, 베아트리스, 에드먼드, 캐서린
아버지 존 왕
어머니 앙굴렘 여백작 이자벨
형제 리처드, 조앤, 이사벨라, 엘레노어
종교 가톨릭
문장 파일:잉글랜드 국장(-1340).svg }}}}}}}}}

1. 개요2. 생애3. 평가4. 가족 관계
4.1. 자녀
5. 그 외

1. 개요


잉글랜드 왕국 플랜태저넷 왕조 제4대 국왕. 9살의 나이에 왕위에 올라 제1차 남작 전쟁을 극복하고 56년간 장기 집권했지만, 말년에 옥스포드 조례 준수 여부를 놓고 시몽 드 몽포르 등 귀족들과 갈등을 벌이다가 제2차 남작 전쟁을 초래했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헨리 3세/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헨리 3세/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헨리 3세/생애#|]][[헨리 3세/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킹스 칼리지 교수이자 영국 중세사 연구가 데이비드 A. 카펜터(David A. Carpenter, 1947~)는 헨리 3세는 개인적으로 선량하고 온화하며, 존경할 만한 성품을 갖춘 인물이었지만, 순진함과 현실적인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는 무능함 때문에 통치자로서 실패했다고 평했다. 옥스퍼드 대학 역사 교수 휴 리지웨이도 이에 동의하면서, 헨리 3세는 궁정을 관리하는 능력이 부족했고 지나친 신앙심으로 문제를 초래했지만, 본질적으로 평화롭고 친절하며 자비로운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학계에서는 그에게 한계가 있었다는 건 부정할 수 없지만, 특정 측면에서 지혜와 결단력이 있었기에 56년간 장기집권할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반면, 잉글랜드 내 유대인들의 삶을 연구한 역사가들은 링컨에 살던 어린이 휴가 유대인에게 잔혹하게 살해되었다는 거짓 고발을 믿고 무고한 유대인들을 처참하게 살해한 악행을 저질렀으며, 과도한 과세와 그의 신민들로부터 토지를 차용하기 위해 대출 제도를 악용함으로써 기독교인들이 유대인들을 증오하도록 부추겼다며, 그를 선량한 사람으로 볼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시몽 드 몽포르의 유대인 학살과 에드워드 1세의 1290년 유대인 추방령이 벌어지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비판한다.

4. 가족 관계

4.1.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자녀
1남 에드워드 1세
(Edward I)
1239년 6월 17일 또는 6월 18일 1307년 7월 7일 카스티야의 레오노르[1]
슬하 3남 5녀[2]
프랑스의 마르그리트[3]
슬하 2남
1녀 스코틀랜드의 왕비 마거릿
(Margaret, Queen of Scots)
1240년 9월 29일 1275년 2월 26일 알락산더르 3세
슬하 1남 1녀[4]
2녀 브로타뉴 공작부인 베아트리스
(Beatrice, Duchess of Brittany)
1242년 6월 25일 1275년 3월 24일 브로타뉴 공작 장 2세
슬하 3남 3녀
2남 제1대 랭커스터 백작 에드먼드
(Edmund, 1st Earl of Lancaster)
1245년 1월 16일 1296년 6월 5일 아벨린 드 포르즈
블랑슈 다르투아[5]
슬하 2남
3녀 잉글랜드의 캐서린
(Katherine of England)
1253년 11월 25일 1257년 5월 3일

5. 그 외

  • 시몽 드 몽포르가 왕을 포로로 잡고 귀족들의 의회를 최초로 연 것을 영국 민주주의사의 중요한 발전으로 보기도 한다.
  • 징기스칸 4의 시나리오 2, 3에서 국왕으로 등장. 능력치는 기대하지 말고[6] 아들인 에드워드 1세와 부하인 롱스워드를 기대하자.

[1] 페르난도 3세의 고명딸이다.[2] 에드워드 2세[3] 필리프 3세의 차녀.[4] 노르웨이의 왕비 마르그레트(마르그레트 에이릭스도티르의 어머니), 스코틀랜드의 왕세자 알락산더르[5] 프랑스 국왕 루이 8세의 친손녀.[6] 정치 43, 전투 53, 지모 46. 내정특기로 등용만 있고, 전투특기가 전혀 없다. 정말 기대하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