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07:05:36

시외버스 1801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서울특별시 출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2em;"
{{{#!folding [ 서울경부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 고속/시외
수도권 ↔안성 ↔ 여주 ↔평택, 안중
↔용인 ↔이천 ↔여주프리미엄아울렛 ↔포천,운천
강원권 ↔강릉 ↔원주 ↔ 원주기업도시, 원주혁신도시 ↔동해,삼척
↔영월 ↔ 양양,속초 ↔춘천 ↔신철원,동송
충청권 ↔공주 ↔금산 ↔대전복합 ↔대전청사
↔세종 ↔제천 ↔ 청주 ↔아산탕정
↔천안 ↔아산온양 ↔조치원
영남권 ↔경주 ↔구미 ↔김해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 울산 ↔진주
↔마산 ↔창원 ↔상주 ↔통영
↔포항 ↔영천 ↔점촌 ↔안동,영덕
↔ 풍기,영주 ↔예천,경북도청
운행중단 ↔김천 ↔밀양 ↔ 단양, 구인사 ↔울진, 온정
}}}}}}}}}
[ 서울호남 ]
[ 동서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5> 고속버스/전환시외 ||
강원권 ↔강릉고속 ↔동해 ↔삼척고속 ↔양양,속초고속
충청권 ↔청주고속 ↔대전복합
호남권 ↔광주 ↔전주
영남권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마산
↔진해 ↔창원 ↔진주
시외버스/전환고속
수도권 ↔청평,가평 ↔포천 ↔의정부,포천 ↔ 양평, (홍천)
↔양평, (횡성) ↔일동,(와수리) ↔일동,(사창리) ↔인천
↔안산 ↔안성 ↔평택 ↔장호원
강원권 ↔춘천,화천 ↔홍천 ↔횡성 ↔ 문막,원주
↔영월,고한,태백 ↔와수리,산양리 ↔양양,속초시외 ↔장평,진부,강릉시외,주문진
↔사창리,다목리 ↔신철원 ↔동송 ↔평창,정선
충청권 ↔청주시외,(보은,속리산) ↔ 제천 ↔유성 ↔세종,자운대
↔청주북부,청주대 ↔천안 ↔천안,아산 ↔서산,태안
↔ 충주 ↔진천,충북혁신도시
영남권 ↔안동,(청송,영양,영덕) ↔문경,안계 ↔문경,상주 ↔울산
↔함양,지리산 ↔현풍,의령 ↔구미 ↔양산,해운대
↔경주,포항 ↔봉화, 춘양 ↔용궁, 예천, 경북도청 ↔통영, 고현
호남권 ↔순천,여수
동서울 출발 기준으로 코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시외버스는 고속버스/전환시외,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고속버스는 시외버스/전환고속에 서술한다.
[ 상봉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강원권 ||<width=22.5%> ↔원주 || || || ||
폐선 ↔광주 ↔전주 ↔대전복합 ↔청주고속
[ 서울남부 ]
[ 잠실역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시외버스 ||<width=90%> ↔춘천 ||
[ 김포공항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시외버스 ||<width=45%> ↔광주 ||<width=45%> ↔연무대 ||
}}} ||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b008b>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시외버스 노선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경기고속
대원고속
경남여객
선진고속
용남고속버스라인
경일여객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운행중단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고속
대원고속
경남여객
선진고속
}}}}}}}}} ||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인천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5eb8><colcolor=#fff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강원도 ↔양양, 속초
대전/충남 ↔대전복합 ↔천안, 아산 ↔태안 ↔서산
광주/전남 ↔광주 ↔목포, 진도 ↔순천 ↔여수
전북 ↔전주 ↔익산 ↔남원
부산/경남 ↔부산 ↔부산사상 ↔진주 ↔김해
대구/경북 ↔서대구, 동대구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수도권 ↔안산, 수원, 오산 ↔안양, 용인 ↔평택 ↔수원, 용인
↔성남 ↔고양, 파주 ↔이천 ↔안성
↔동서울 ↔가평
강원 ↔춘천 ↔원주 ↔강릉 ↔홍천
↔태백
대전/충청 ↔서산(한서대, 해미 경유) ↔청주 ↔음성 ↔증평
↔진천 ↔세종 ↔유성 ↔공주, 부여
↔충주 ↔제천 ↔청양, 부여 ↔청주대
↔당진 ↔보령
대구/경북 ↔구미, 대구서부 ↔문경, 상주 ↔영주, 안동 ↔경주, 포항, 울진
부산/울산/경남 ↔원지, 진주, 사천, 삼천포 ↔함양, 거창 ↔통영, 고현 ↔울산
↔마산, 창원
호남 ↔군산 ↔부안 ↔영광, 함평, 무안 ↔광양
↔완도
인천국제공항 지방버스
}}}}}}}}} ||


파일:R1801-f6.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요금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시외버스 18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R1801 2022년 12월기준.png
기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터미널) 종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인천종합버스터미널)
종점행 첫차 07:20 기점행 첫차 05:40
막차 22:40 막차 21:20
배차간격 20~140분 운수사명 경기고속
노선 동서울터미널 - 강변북로 - 잠실역.잠실대교남단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송파IC - 가천대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안현JC - 제2경인고속도로 - 남동IC - 인천종합터미널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2년경기도 면허 시외버스가 GBIS에 등록되면서 1801번으로 번호를 부여받았다.

4. 특징

  • 인천종합터미널에서 잠실역으로 이동할 때 환승할인을 적용받고 싶으면 M6439번을 타고 서초역에 내려서 2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선학동이나 학익동에 거주한다면 3001번, 3002번을 탄 다음 석수역에서 M5333번으로 환승하는 방법이 더 유용하다. 애초 이 시외버스 노선은 동서울에서 환승하여 강원도, 경북 울진 등 다른 곳으로 가는 승객들을 위해 사실상 환승내항편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 양 방향 C-Pass를 이용할 수 있다.
  • 동서울발 06:50, 인천발 18:40 차량은 일반 요금에 우등 차량을 이용할 수 있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전부 일반 차량만 투입한다.
  • 동서울터미널에서 표를 매표창구에서 끊을때 매표원이 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이라고 말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간혹 이천하고 헷갈릴수가 있어서 그렇다고 한다.
  • 동서울에서 인천까지 막히지 않으면 1시간~1시간 10분 정도 소요되나, 출퇴근 시간대에는 막힐 경우 심하면 2시간이나 소요되기 때문에 시간과 요금이 더 유리한 전철[3] 또는 환승 할인이 되는 급행버스가 더 나을 때도 있다. 제2경인고속도로 남동-광명IC 구간과 수도권제1고속도로 청계-성남IC 구간은 출퇴근 시간대에 거의 상습 정체이기 때문에 사실상 1시간에는 가기 어렵다고 봐야 한다.
  • 가천대역 환승정류장에서 탑승할 경우 평시에는 자리가 있지만 16시 이후에는 가천대 학생들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기껏 줄 서서 기다리고도 자리 부족으로 버스를 못타는 수가 생기므로 장지역까지 올라가서 타거나 모란역에서 시외버스 8806 탑승과 서현역과 청계영업소[4]에서 8106번 탑승후 송내역에서 지하철과 하늘 휴게소 환승 등의 다른 방법을 이용하자.
  • 인천발 22:00에서 21:20로 단축된 관계로 그 시간 이후에 인천과 동서울, 가천대를 오가기가 다소 불편해졌다. 대표적으로 평일이나 토요일[5] SSG 랜더스 경기가 있을 경우 야구경기는 보통 3시간 이상 진행되다 보니, 경기 종료 이후 성남이나 서울 동부권으로 이동할 때 이 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다음의 방법이 있다.
    • 서울 동부권의 경우, 22:00에 출발하는 M6439번을 타고 강남으로 이동하여 다른 버스나 지하철로 환승하는 방법이 있다.
    • 신동아3차아파트 정류장까지 이동한 이후 3001번을 타거나, 선학역에서 3002번을 타고, 석수역에서 M5333번을 갈아타는 방법도 있다. 가락시장-잠실 구간을 갈 때 편하고, 그 이남이나 성남 방향으로 갈 경우에는 수서역에서 수인분당선, 가락시장역에서 8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 송내역이나 시흥하늘휴게소[6] 까지 이동해서 8106번[7]을 타고, 의왕청계영업소에서 1650번으로 갈아타면 이 버스의 경유지를 모두 지나갈 수 있다.
  • 원래 금요일 한정으로 아침 8시 35분에 출발하는 인천발 버스가 있었으나 2022년 11월~2023년 2월 겨울방학 기간에 없어졌다. 지금은 없기 때문에 7시 40분이나 8시 50분에 출발하는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이 연장개통 시, 인천~가천대/장지역 수요가 다소 줄어들 수도 있다. RH 기준으로 평균 1시간 40분 가량 걸리는데, 경강선은 1시간 정도로 크게 줄어든다. 다만, 서울 동부 지역으로의 출퇴근 및 등하교 수요,[8] 서울로 크게 우회하는 선형 문제[9], 환승 불가능 문제로 인해 광역버스로의 형간전환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10]

4.1. 요금

동서울
1,500 잠실
1,500 1,500 가락시장
1,500 1,500 1,500 장지
1,500 1,500 1,500 1,500 가천대
5,400 4,600 4,300 4,000 3,700 인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경기도 휘장.svg 인천광역시 경유 경기도 시외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737373,#8c8c8c> 운행 노선
1801동서울
·
8801이천
·
8806성남
·
8815평택
·
8830안성
·
8839범계/용인
·
8862영통/용인
운행 중단
737부천/수원
·
3000, 3030고양/파주
·
8805수원
·
8414부천/성남
·
9335이천/감곡
}}}}}}}}} ||



[1] 시외버스 특성상 강변북로 혹은 올림픽대로와 국회대로는 국도 운임이 적용되어 현행 경로와 운임 차이가 별로 나지 않거나 오히려 더 비싸게 될 수도 있다. 게다가 인천대로 및 인천 시내 구간도 당연히 국도 운임이 적용된다.[2] 사실 이 수요가 더 크다. 동서울터미널에서 인천종합터미널까지 완주하는 승객이 많지는 않으며, 대부분 잠실역 이남 구간을 오가는 승객들이다. 장지역 승하차 비중이 가장 크다.[3] 2호선을 타고 신도림역이나 9호선을 타고 노량진역에서 내려서 인천행 또는 동인천 급행과 특급을 타면 1시간대로 인천에 갈 수 있다.[4] 가천대 환승정류장에서 1650, 8401, 8409를 타면 갈 수 있다.[5] 토요일의 경우는 18시에 경기가 시작하는 7, 8월, 간혹 토요일 14시에 경기에 시작하는 경우는 지상파 중계방송, 그 외에는 17시에 경기가 시작하므로 웬만하면 충분히 21:20 버스를 탈 수 있다.[6] 인천시청역이나 캠퍼스타운역으로 이동한다음 9100번, 9201번으로 환승하면 갈수있다.[7] 하늘휴게소의 경우 3202번과 3402번이라는 선택지도 있다.[8] 기점인 동서울터미널은 건국대학교세종대학교가 인접해 있고, 가천대역 EX-허브에서 하차하면 가천대학교동서울대학교로도 갈 수 있다.[9] 강남행 광역버스들과 똑같은 제2경인고속도로~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운행하기 때문에 인천터미널 기준으로 크게 내려갔다 다시 크게 올라온다. 제2경인고속도로가 성남까지 연장되어 직통하는 경로가 생긴 후에도 노선 변경 없이 그대로 운행 중이다. 다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남부 구간이 크게 막힐 경우 성남IC 진출 후 여수대로IC로 진입해서 제2경인고속도로를 쭉 타기도 한다.[10] 적자 누적으로 폐선되었지만 인천 지역과 잠실역을 오가는 광역급행버스인 M6336번도 한때 운행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