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9:52:08

시외버스 동서울-태백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서울특별시 출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서울경부 ]
{{{#!wiki style="margin: -5px -1px -17px"
<colbgcolor=#8f8f8f,#555555> 고속/시외
수도권 ↔안성 ↔ 여주 ↔평택 ↔안중
↔용인 ↔이천 ↔여주프리미엄아울렛 ↔포천,운천
강원권 ↔강릉 ↔원주 ↔ 원주기업도시, 원주혁신도시 ↔동해,삼척
↔영월 ↔ 양양,속초 ↔춘천 ↔신철원,동송
충청권 ↔공주 ↔금산 ↔대전복합 ↔대전청사
↔세종 ↔제천 ↔ 청주 ↔아산탕정
↔천안 ↔아산온양 ↔조치원
영남권 ↔경주 ↔구미 ↔김해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 울산 ↔진주
↔마산 ↔창원 ↔상주 ↔통영
↔포항 ↔영천 ↔점촌 ↔안동,영덕
↔ 풍기,영주 ↔예천,경북도청
}}}}}}}}}
[ 서울호남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5> 고속버스/전환시외 ||
충청권 ↔논산,연무대 ↔유성 ↔충주 ↔당진
↔청양 ↔서산 ↔태안 ↔안면도
↔ 내포,홍성 ↔덕산,예산 ↔보령
호남권 ↔광주 ↔여수 ↔군산 ↔순천
↔완도 ↔익산 ↔전주 ↔영광
↔동광양 ↔녹동 ↔남원 ↔흥덕,고창
↔봉동,진안 ↔전북강진,순창 ↔김제,함평 ↔무안,남악,진도
↔(강진,나주혁신도시,영암/장성,능주,화순),장흥 ↔무안,해제,지도 ↔장성,문장,함평 ↔옥과,벌교,보성
↔부안 ↔정읍,담양 ↔목포,해남
시외버스
충청권 시외버스 서울호남-청주시외↔청주,보은,속리산 ↔청주북부,청주공항,청주대 ↔증평,괴산
[ 동서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5> 고속버스/전환시외 ||
강원권 ↔강릉고속 ↔동해 ↔삼척고속 ↔양양,속초고속
충청권 ↔청주고속 ↔대전복합
호남권 ↔광주 ↔전주
영남권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마산
↔진해 ↔창원 ↔진주
시외버스/전환고속
수도권 ↔청평,가평 ↔포천 ↔의정부,포천 ↔ 양평, (홍천)
↔양평, (횡성) ↔일동,(와수리) ↔일동,(사창리) ↔인천
↔안산 ↔안성 ↔평택 ↔장호원
강원권 ↔춘천,화천 ↔홍천 ↔횡성 ↔ 문막,원주
↔영월,고한,태백 ↔와수리,산양리 ↔양양,속초시외 ↔장평,진부,강릉시외,주문진
↔사창리,다목리 ↔신철원 ↔동송
충청권 ↔청주시외,(보은,속리산) ↔ 제천 ↔유성 ↔세종,자운대
↔청주북부,청주대 ↔천안 ↔천안,아산 ↔서산,태안
↔ 충주
영남권 ↔안동,(청송,영양,영덕) ↔문경,안계 ↔문경,상주 ↔울산
↔함양,지리산 ↔현풍,의령 ↔구미 ↔양산,해운대
↔경주,포항
호남권 ↔순천,여수
[ 상봉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 ↔원주 ||
[ 서울남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고속버스 ||<-2> ↔고현 ||<-2> ↔세종 ||
시외버스
수도권 ↔용인 ↔안성 ↔평택
충청권 ↔광혜원,진천 ↔충북혁신도시,진천 ↔음성 ↔청주,보은,속리산
↔청주,보은,(상주) ↔서산,태안 ↔계룡 ↔합덕
↔천안 ↔청주북부,청주공항,청주대
영남권 ↔남해 ↔상주 ↔산청,진주 ↔현풍,창녕,부곡
↔고성,통영 ↔마산남부,진해,용원 ↔양산,해운대
호남권 ↔전주,임실 ↔전주혁신도시,전주대 ↔전주,한일장신대
[ 잠실역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강원권 ||<width=80%> ↔춘천 ||
||

파일:Y1071.jpg 파일:dstbic-f1.png
영암고속 차량 경기고속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특징4.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시외버스 동서울-태백
기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종합터미널)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황지동(태백버스정류장)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4:40
막차 22:30 막차 22:40
운행횟수 1일 26회
운행업체 영암고속, 화성고속, 경기고속
노선 동서울터미널 - (영월버스터미널) - 38번 국도 -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38번 국도 - 태백버스정류장

2. 개요

영암고속, 화성고속,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3. 특징

  • 영암고속의 간판/주력 노선으로, 태백에서 가장 배차간격이 조밀한 노선이다.
  • 오래 전에는 동서울-태백 간 완행버스로 있었으며, 이때 당시에는 5시간이 넘게 걸리는 근성노선 중 하나였다. 배차 역시 1일 7회 수준으로 처참한 수준이었다.[1][2]
  • 인구 4만의 도시인 태백과 동서울을 잇는 노선 치고 과도하다 싶을 정도로 배차간격이 준수한데, 그 이유는 바로 강원랜드. 국내 유일의 내국인 전용 카지노라는 이점 때문에 사람들이 몰리게 되면서 태백-동서울 직통노선이 생기게 되었다고 봐도 된다. 당연히 대다수의 수요는 고한-동서울 수요. 코로나로 인해 직격탄을 맞은 후에도 태백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중 가장 자주 운행한다고 보면 된다.
  • 카지노 때문인지, 태백 첫차가 03:40(밤새 놀다가 첫차타고 서울가서 출근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월요일 첫차....)에 출발하는 기이한 일도 있었다. 특히 태백 발 차량의 경우 새벽차량이 많은데, 새벽에는 배차간격이 조금 더 좁혀진다. 반면에 동서울 발 차량의 경우 심야시간대를 제외하면 2~30분 수준으로 배차가 일정하다. 카지노의 힘을 제대로 보여주는 예시. 코로나로 인해 현재는 4:40분으로 늦춰졌다.
  • 동서울터미널 기준 21시 10분 이후 운행하는 차량은 사북 스타호텔앞에서 중도 하차를 시켜준다. 고한사북공영터미널에서 사북읍까지 대중교통이 일찍 종료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노선 다수의 손님이 강원랜드로 가는 손님인 만큼 해당 손님들의 편의를 위함이다. 물론 동서울터미널 출발 21시 10분 이후 차량도 고한사북공영터미널을 경유하고 있으니 고한에서 내릴 사람은 고한에서 내려도 된다.
  • 전 차량 시외우등으로 운행한다. 태백발 경기고속 운행편 중 영월을 경유하는 경우 우등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요금이 부과된다.
  • 수요가 매우 좋다보니 영암, 화성에서 A급 차량만 넣어준다. 차량은 영암, 화성의 경우 15~22년식 유니버스 프라임을 투입하고 있으며, 경기고속의 경우 주로 15~16년식 FX120 유로6 커민스 차량이 투입된다.
  • 요금이 비싼 편이다. 태백의 경우 성인 기준 편도 35,100원으로 책정되어 있어 거리에 비해 요금이 다소 비싸다.[3] 이는 본 노선이 강일IC부터 제천IC까지는 고속도로 경유이나 제천IC 이후부터 태백까지 38번 국도로 이동하기 때문이다.[4]
  • 태백과 정선(고한사북)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 횟수가 매우 부족한 관계로 태백 - 고한사북 구간을 경유하는 모든 시외 노선이 구간승차을 받고 있으며, 이 노선 역시도 해당 구간만 승차가 가능하다. 요금은 시외우등 요금을 적용하여 3900원이다. 시내버스 노선은 2000원을 받는것에 비하면 우등 요금 적용으로 인해 운임이 높은 편이나 중간에 정차하는 곳 없이 바로 태백-고한간을 운행하고 있는 시외버스의 이용객도 적지 않은 편이다.
  • 공식 소요시간은 3시간 20분이지만, 길이 막히지 않을 경우 영암, 화성은 약 2시간 50분 정도, 경기고속의 경우 3시간 10분 정도 소요된다. 두 회사 간 소요시간도 다소 차이나는데 영암, 화성이 전국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빠른 반면 경기고속은 상대적으로 느리다 보니 이렇게 된 것.[5] 영암, 화성은 심야시간대에는 2시간 30분대로 폭풍질주하는 경우도 있다.
  • 태백선 무궁화호가 대량칼질 당한다면[6] 이 노선은 그야말로 망할 일이 절대로 없는 노선이 될 전망이나, 신형 ITX-마음의 태백선 투입이 확정되면서 경쟁 구도가 다시 생겨났다.[7][8]

4. 연계 철도역


[1] 지금도 동서울-태백 간 완행버스는 존재한다. 물론 사람들이 안타는 것 뿐이지.(...) 완행은 상동, 녹전, 내덕, 석항, 영월, 연당, 쌍용, 제천, 봉양, 탁사정, 신림, 원주 경유 완행 및 고한사북, 증산, 신동, (그 이후 상동-석항 경유 동서울 완행과 동일)로 운행한다.[2] 무정차가 아예 없었던건 아니다. 루트도 31번 국도 ~ 5번 국도 ~ 고속도로 순.[3] 태백에서 청량리까지 무궁화호 왕복이 30,400원이다. 절대 편도 요금이 아니다. 심지어 서울-강릉 프리미엄 고속버스 요금보다 더 비싸다.[4] 시외버스는 고속도로 경유의 임율과 국도 경유의 임율이 다르기 때문에 본 노선처럼 국도 운행 구간이 긴 경우 거리에비해 요금이 비싸게 책정되는 경우가 있다.[5] 영암, 화성은 108~110 리밋인데 경기고속은 100~103 정도로 다소 차이가 난다.[6] 무궁화호 내구연한이 거의 다된데다가 ITX-새마을은 경부축 위주로만 굴릴 예정이라 태백선에 들어갈 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게다가 누리로는 뽑은 편성 자체가 얼마 없다. 하지만 ITX-마음이 모두 도입되면 어떻게 될 지는 모른다.[7] 신형 ITX-마음이 태백-청량리를 2시간 55분에 주파를 하게 되고, 가격 또한 시외버스의 2/3 가격이라는 점에서 충분히 메리트가 있다. 물론 현재는 고작 일 1회 투입이라서 큰 의미는 없지만, 추가적인 투입이 이뤄지면 또 모르는 상황.[8] 또한 제천역에서의 환승연계가 효율적으로 운용될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비슷한 시간대로 서울까지 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철도의 경쟁력이 더더욱 올라가게 된다. 지금도 제천역에서의 환승연계가 나쁘지 않게 되어 있을 뿐더러, 향후 무궁화호가 중단거리 구간수요 형태로 개편될 게 뻔하기 때문에 무궁화호-KTX 간의 환승연계가 매끄럽게 이어질 경우 시외버스 노선에 어느 정도 타격이 갈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도 제천-서원주 구간 복선화가 완료된 후에 무궁화호의 수요가 늘었다. 그 전에 태백시 자체가 인구 감소로 소멸하겠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