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8:10:12

시외버스 동서울-사창리·다목리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서울특별시 출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서울경부 ]
{{{#!wiki style="margin: -5px -1px -17px"
<colbgcolor=#8f8f8f,#555555> 고속/시외
수도권 ↔안성 ↔ 여주 ↔평택, 안중
↔용인 ↔이천 ↔여주프리미엄아울렛 ↔포천,운천
강원권 ↔강릉 ↔원주 ↔ 원주기업도시, 원주혁신도시 ↔동해,삼척
↔영월 ↔ 양양,속초 ↔춘천 ↔신철원,동송
충청권 ↔공주 ↔금산 ↔대전복합 ↔대전청사
↔세종 ↔제천 ↔ 청주 ↔아산탕정
↔천안 ↔아산온양 ↔조치원
영남권 ↔경주 ↔구미 ↔김해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 울산 ↔진주
↔마산 ↔창원 ↔상주 ↔통영
↔포항 ↔영천 ↔점촌 ↔안동,영덕
↔ 풍기,영주 ↔예천,경북도청
운행중단 ↔김천 ↔밀양 ↔ 단양, 구인사 ↔울진, 온정
}}}}}}}}}
[ 서울호남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5> 고속/시외 ||
충청권 ↔논산,연무대 ↔유성 ↔충주 ↔당진
↔청양 ↔서산 ↔태안 ↔안면도
↔ 내포,홍성 ↔덕산,예산 ↔보령 ↔증평,괴산
↔청주,보은,속리산 ↔청주북부,청주공항,청주대
호남권 ↔광주 ↔여수 ↔군산 ↔순천
↔완도 ↔익산 ↔전주 ↔영광
↔동광양 ↔녹동 ↔남원 ↔흥덕,고창
↔봉동,진안 ↔전북강진,순창 ↔김제,함평 ↔무안,남악,진도
↔(강진,나주혁신도시,영암/장성,능주,화순),장흥 ↔무안,해제,지도 ↔장성,문장,함평 ↔옥과,벌교,보성
↔부안 ↔정읍,담양 ↔목포,해남
[ 동서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5> 고속버스/전환시외 ||
강원권 ↔강릉고속 ↔동해 ↔삼척고속 ↔양양,속초고속
충청권 ↔청주고속 ↔대전복합
호남권 ↔광주 ↔전주
영남권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마산
↔진해 ↔창원 ↔진주
시외버스/전환고속
수도권 ↔청평,가평 ↔포천 ↔의정부,포천 ↔ 양평, (홍천)
↔양평, (횡성) ↔일동,(와수리) ↔일동,(사창리) ↔인천
↔안산 ↔안성 ↔평택 ↔장호원
강원권 ↔춘천,화천 ↔홍천 ↔횡성 ↔ 문막,원주
↔영월,고한,태백 ↔와수리,산양리 ↔양양,속초시외 ↔장평,진부,강릉시외,주문진
↔사창리,다목리 ↔신철원 ↔동송 ↔평창,정선
충청권 ↔청주시외,(보은,속리산) ↔ 제천 ↔유성 ↔세종,자운대
↔청주북부,청주대 ↔천안 ↔천안,아산 ↔서산,태안
↔ 충주
영남권 ↔안동,(청송,영양,영덕) ↔문경,안계 ↔문경,상주 ↔울산
↔함양,지리산 ↔현풍,의령 ↔구미 ↔양산,해운대
↔경주,포항 ↔봉화, 춘양
호남권 ↔순천,여수
동서울 출발 기준으로 코버스 전산망을 시외버스는 고속버스/전환시외,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고속버스는 시외버스/전환고속에 서술한다.
[ 상봉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강원권 ||<width=20%> ↔원주 || || || ||
폐선 ↔광주 ↔전주 ↔대전복합 ↔청주고속
[ 서울남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고속버스 ||<-2> ↔고현 ||<-2> ↔세종 ||
시외버스
수도권 ↔용인 ↔안성 ↔평택
충청권 ↔광혜원,진천 ↔충북혁신도시,진천 ↔음성 ↔청주,보은,속리산
↔청주,보은,(상주) ↔서산,태안 ↔계룡 ↔합덕
↔천안 ↔청주북부,청주공항,청주대 ↔송악신도시, 대산, 성연
영남권 ↔남해 ↔상주 ↔산청,진주 ↔현풍,창녕,부곡
↔고성,통영 ↔마산남부,진해,용원 ↔양산,해운대 ↔남지,부산서부
호남권 ↔전주,임실 ↔전주혁신도시,전주대 ↔전주,한일장신대
[ 잠실역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시외버스 ||<width=80%> ↔춘천 ||
||

파일:강고동서울사창리_1178.png

1. 노선 정보2. 특징3.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시외버스 동서울↔사창리
기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터미널)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사창리버스터미널)
사창리행 첫차 동서울행 첫차
막차 막차
운수사명 강원고속 운행횟수 1일 11회
상세 노선 동서울터미널 - 강변북로 - 토평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퇴계원IC - 47번 국도 - 내촌 - 47번 국도 - 소학리 - 47번 국도 - 운악산휴게소 - 47번 국도 - 화동로 - 일동시외버스터미널 - 화동로 - 47번 국도 - 화동로 - 이동시외버스터미널 - 화동로 - 도평리시외버스터미널 - 화동로 - 322번 지방도 - 백운정류소 - 322번 지방도 - 광덕산 - 322번 지방도 - 광덕계곡 - 322번 지방도 - 맹대 - 463번 지방도 - 75번 국도 - 햇골 - 75번 국도 - 사창리버스터미널
시외버스 동서울↔다목리
기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동서울터미널)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다목리버스터미널)
다목리행 첫차 동서울행 첫차
막차 막차
운수사명 강원고속 운행횟수 1일 3회
상세 노선 동서울터미널 - 강변북로 - 토평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퇴계원IC - 47번 국도 - 내촌 - 47번 국도 - 소학리 - 47번 국도 - 운악산휴게소 - 47번 국도 - 화동로 - 일동시외버스터미널 - 화동로 - 47번 국도 - 화동로 - 이동시외버스터미널 - 화동로 - 도평리시외버스터미널 - 화동로 - 322번 지방도 - 백운정류소 - 322번 지방도 - 광덕산 - 322번 지방도 - 광덕계곡 - 322번 지방도 - 맹대 - 463번 지방도 - 75번 국도 - 햇골 - 75번 국도 - 사창리버스터미널 - 56번 국도 - 명월리 - 56번 국도 - 검문소 - 56번 국도 - 사단앞(승리부대) - 56번 국도 - (한아름)아파트[1] - 56번 국도 - 다목리버스터미널

2. 특징

강원고속 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이며, 동서울터미널에서 경기도 포천시 일동을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창리와 다목리로 가는 노선이다.

시외버스 동서울-일동·와수리·산양리와 동서울-도평리까지는 같이 가며, 특징도 상당수 공유한다.

동서울터미널에서 내촌을 오가는 버스는 직행좌석버스인 11번도 있으나 이 쪽은 퇴계원, 내곡리, 내각리 등을 경유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11번의 장점이라면 그나마 이 노선보다 자주 다니며, 요금이 싸고 환승 할인이 지원되는 것이 끝.

동서울터미널에서 이 버스를 타고 내촌을 가는 경우에는 금강고속 동서울-현리행이 중간 정차 하는 홍천군 내촌면과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경기내촌 또는 포천내촌이라고 말해야 한다.

위의 시외버스와 마찬가지로 동서울에서 북상하는 방향만 C-Pass 모바일 예매가 가능하다. 반대로 다목리, 사창리 등에서 출발할 때는 매표소에서 티켓을 사야 한다.

3. 연계 철도역


[1] 전산 상으로는 아파트라고 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