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30 00:03:48

대한제국군/인사명령/1906년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9241d><tablebgcolor=#d9241d>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176e><tablebgcolor=#29176e>조선/대한제국군 인사명령 }}}}}}
1894년 1895년
1896년 1897년 1898년 1899년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인물별 기록 장교 사병


1. 개요
1.1. 신규 획득1.2. 진급
2. 1월 1일3. 2월 15일4. 2월 21일5. 3월 14일6. 4월 10일7. 4월 15일8. 4월 18일9. 4월 22일10. 5월 12일11. 5월 14일12. 6월 12일13. 7월 5일14. 7월 20일15. 8월 20일16. 9월 4일17. 10월 18일18. 10월 23일19. 10월 29일20. 11월 27일21. 12월 6일22. 12월 8일23. 12월 17일24. 12월 28일

1. 개요

대한제국군/인사명령1906년 내용을 정리한 항목이다. 일본의 정권 인수를 위해 친일파 군인들이 대거 등용되는데, 이를 희석하기 위한 목적인지 다른 황족 등에게도 군사 계급이 부여되었다.

1.1. 신규 획득

날짜 소위 중위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소장 중장 원수 합계
4/22 3
8/20 4
10/23 1
합계 8

1.2. 진급

2. 1월 1일

○ 배종무관장 육군 부장(陪從武官長陸軍副將) 조동윤(趙東潤)을 임시서리시종무관장사무(臨時署理侍從武官長事務)에서 해임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2_12A_07A_00040_2006_206_XML

3. 2월 15일

○ 중추원 찬의(中樞院贊議) 이근호(李根澔)를 육군 부장(陸軍副將)에 임용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1A_22A_00090_2006_206_XML

4. 2월 21일

○ 조령을 내리기를,
“종2품 이근홍(李根洪)을 경기 관찰사로, 전라남도 관찰사 주석면(朱錫冕)을 충청남도 관찰사로, 육군 부장(陸軍副將) 이도재(李道宰)를 전라남도 관찰사로 삼으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1A_28A_00050_2006_206_XML

5. 3월 14일

○ 정3품 이원긍(李源兢)을 삼화 감리(三和監理)에 임용하고, 청도 군수(淸道郡守) 이재기(李載紀)를 안동 군수(安東郡守)에 임용하고, 농상공부 참서관 김성기(金聖基)를 청도 군수에 임용하고, 육군 참위 김상설(金相卨)을 경무청 경무관에 임용하고, 박순도(朴洵道)를 창원감리서 주사(昌原監理署主事)에 임용하였다.

6. 4월 10일

○ 조령을 내리기를,
“육군 부장(陸軍副將) 이근호(李根澔)는 이미 여러 직임을 맡았었고 또한 일찍이 공로가 드러났으니 특별히 훈2등에 서훈하고, 헌병사령관(憲兵司令官) 육군 참장 권중석(權重奭)은 맡은 직무에 부지런하였고 기록할 만한 공로가 있으니 특별히 훈3등에 서훈하고 각각 팔괘장(八卦章)을 하사하라. 전선사 장선(典膳司掌膳) 훈5등 정용환(鄭龍煥)은 왕년의 노고가 더욱 가상하니, 특별히 훈4등에 올려 서훈하고 태극장(太極章)을 하사하라. 육군 삼등군의장(陸軍三等軍醫長) 김익남(金益南)은 기록할 만한 공로가 매우 많으니, 특별히 훈5등에 서훈하고 팔괘장을 하사하라. 육군 정위(陸軍正尉) 김학수(金學秀)와 육군 부위(陸軍副尉) 백우용(白禹鏞)은 군악대(軍樂隊)를 창설한 공로가 있으니, 모두 특별히 훈6등에 서훈하고 각각 팔괘장을 하사하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3A_17A_00050_2006_206_XML
이근호와 군악대를 만든 김학수, 백우용 등이 서훈을 받았다.

7. 4월 15일

○ 육군 부장(陸軍副將)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은 일본국(日本國) 관병식(觀兵式)에 참석하라고 명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3A_22A_00050_2006_206_XML
의친왕 이강에게 일본 열병식 참가를 명했다.

8. 4월 18일

○ 조령을 내리기를,
“육군 부장(陸軍副將)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을 찬모관(贊謀官)에 임용하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3A_25A_00040_2006_206_XML

9. 4월 22일

○ 손진현(孫振現)을 소경원 참봉에 임용하고, 서병기(徐丙箕), 오용환(吳龍煥)을 주전원 전무과 주사에 임용하고, 종2품 이기동(李基東)을 육군 보병 부령(陸軍步兵副領)에 임용하고, 유치만(兪致萬)을 육군 보병 부위에 임용하고, 서병두(徐丙斗)ㆍ이은교(李殷較)ㆍ허남(許湳)을 육군 보병 참위에 임용하고, 김익남(金益南)을 육군 군의장(陸軍軍醫長)에 임용하고, 군사(軍司) 노순근(盧順根)을 육군 보병 부위에 임용하고, 부위 한인수(韓仁洙)를 육군 군사(陸軍軍司)에 임용하고, 참위 박윤환(朴允煥)을 육군 군사에 임용하였다.
  • 소위: 3명

10. 5월 12일

○ 조령을 내리기를,
“중추원 찬의 민형식(閔炯植)이 일찍이 군임(軍任)을 거쳤으니, 특별히 육군 부장(陸軍副將)에 임용하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4A_19A_00050_2006_207_XML

11. 5월 14일

○ 조령을 내리기를,
“육군 정령(陸軍正領) 이남희(李南煕)와 육군 정령 오보영(吳普泳)을 육군 부장(陸軍副將)으로 삼으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4A_21A_00030_2006_207_XML
이남희오보영이 정령에서 부장으로 2단계 진급하였다.

12. 6월 12일

○ 부령 이건영(李健榮)ㆍ신재영(申載永)ㆍ조성근(趙性根)ㆍ구연하(具然河)를 육군 보병 정령(正領)에 임용하고, 참령 민영선(閔泳璇)ㆍ안종환(安宗煥)ㆍ이병우(李秉禹)ㆍ윤원구(尹元求)를 육군 부령에 임용하고, 정위 김윤창(金潤昌)ㆍ김응선(金應善)ㆍ권우섭(權友燮)ㆍ이갑(李甲)을 육군 참령에 임용하고, 부위 임우춘(林遇春)ㆍ이원협(李源協)ㆍ장윤규(張潤圭)ㆍ김덕제(金悳濟)ㆍ권영규(權寧奎)ㆍ김인식(金仁植)ㆍ이완의(李完儀)를 육군 정위에 임용하고, 참위 김형섭(金亨燮)ㆍ방영주(方泳柱)ㆍ이범서(李範緖)ㆍ염덕준(廉德駿)ㆍ강용희(姜容煕)ㆍ조인순(趙藺淳)ㆍ이기범(李起範)을 육군 부위에 임용하고, 참위 김희선(金羲善)ㆍ김교선(金敎先)ㆍ권승록(權承祿)을 육군 부위에 임용하고, 참위 정우흥(鄭雨興)ㆍ이조현(李祖鉉)ㆍ한원교(韓元敎)를 육군 부위에 임용하고, 참위 이현용(李顯用)을 육군 삼등군사(陸軍三等軍司)에 임용하였다. 부위 오성학(吳聖學), 정위 권영규(權寧奎)를 육군연성학교부(陸軍硏成學校附)에 보하고, 남상학(南相鶴)을 유년학교 부관(幼年學校副官)에 보하고, 참위 정우흥(鄭雨興)을 육군헌병대부(陸軍憲兵隊附)에 보하고, 참위 이희태(李煕台), 정위 이석기(李錫祺)를 시위 연대(侍衛聯隊)에 보하고, 참위 박내양(朴來陽)을 시위 연대에 보하고, 부위 심상희(沈相煕)를 진위 대대(鎭衛大隊)에 보하고, 정위 이원협(李源協)을 진위 중대(鎭衛中隊)에 보하고, 부위 천응성(千應聖), 참위 반장환(潘長煥)ㆍ김동우(金東佑)를 진위 대대에 보하고, 참위 김영각(金永珏)ㆍ남상익(南相翊)ㆍ홍준희(洪俊憙)ㆍ이응구(李應九), 부위 송영석(宋榮奭)을 진위 대대에 보하였다.

13. 7월 5일

○ 조령을 내리기를,
“육군 부장(陸軍副將) 민영휘(閔泳徽)를 표훈원 총재(表勳院摠裁)로 삼으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5A_14A_00050_2006_207_XML

14. 7월 20일

○ 육군 보병 부령 조철희(趙轍煕)ㆍ윤영렬(尹英烈)을 육군 보병 정령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부령 왕유식(王瑜植), 육군 포병 참령 이민식(李敏軾)을 육군 포병 부령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참령 박선빈(朴善斌)ㆍ박원교(朴元敎)ㆍ이남하(李南夏)ㆍ장봉환(張鳳煥)ㆍ김영헌(金永憲)을 육군 보병 부령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참령 민용기(閔用基), 육군 포병 - 원문 빠짐 - 정태석(鄭泰奭)을 육군 보병 참령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참령 이범칠(李範七)을 육군 헌병 참령에 임용하고, 육군 헌병 참령 조영규(趙寧奎)ㆍ박문병(朴文秉)ㆍ홍우형(洪友馨)ㆍ백응준(白應濬)을 육군 보병 참령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정위 진학순(秦學純)ㆍ권태직(權泰稷)ㆍ남기창(南基昌)ㆍ이대규(李大珪)ㆍ양재훈(梁在薰)을 육군 보병 참령에 임용하고, 육군 기병 정위 박영철(朴榮喆)ㆍ유동열(柳東說)을 육군 기병 참령에 임용하고, 정위 박두영(朴斗榮)을 육군 포병 참령에 임용하고, 정위 김기원(金基元)을 육군 공병 참령(陸軍工兵參領)에 임용하고, 정위 이재항(李載恒), 군사(軍司) 이승필(李承弼)을 육군 보병 정위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정위 장연창(張然昌), 포병 부위 김교선(金敎先)을 육군 포병 정위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부위 조원하(趙元夏)ㆍ정순종(鄭順鍾)ㆍ박태기(朴泰琦)ㆍ김향섭(金享燮)ㆍ김홍남(金鴻南)ㆍ백낙만(白樂萬)ㆍ최원섭(崔元燮)ㆍ이기옥(李基鈺)ㆍ김관현(金寬鉉)ㆍ오주영(吳胄泳)을 육군 보병 정위에 임용하고, 부위 조중완(趙重完)을 육군 헌병 정위에 임용하고, 부위 김희선(金羲善)을 육군 기병 정위에 임용하고, 육군 부위 한용호(韓龍鎬), 참위 정호용(鄭鎬溶)을 육군 헌병 부위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참위 고영직(高永稙)ㆍ이민화(李敏和)ㆍ김정진(金貞鎭)ㆍ김득성(金得成)ㆍ피병건(皮秉健)ㆍ유면수(劉冕洙)ㆍ오득영(吳得泳)ㆍ이명구(李命求)ㆍ김사윤(金思允)ㆍ백윤민(白潤民)ㆍ우종현(禹鍾鉉)ㆍ한길호(韓吉皓)ㆍ김상설(金相卨)을 육군 보병 부위에 임용하고, 참위 홍완식(洪完植)을 육군 포병 부위에 임용하고, 사계(司計) 김종원(金宗源), 군사 김관호(金觀鎬)를 육군 사계에 임용하고, 정위 주시준(周時駿)ㆍ정두원(鄭斗源)을 육군 일등군사에 임용하고, 군의(軍醫) 이기원(李基元), 한경교(韓景敎)를 육군 일등군의에 임용하고, 정위 오주영(吳胄泳)을 배종부 배종무관에 임용하였다. 정령 조철희(趙轍煕)를 군부 군무국 보병과장(軍部軍務局步兵課長)에 보(補)하고, 정위 김희선(金羲善), 참령 박영철(朴榮喆)을 군부 군무국 기병과원(軍部軍務局騎兵課員)에 보하고, 부령 왕유식(王瑜植)을 군부 군무국 포공병과장(軍部軍務局砲工兵課長)에 보하고, 참령 윤치성(尹致晠)을 군부 참모국 제1과장(軍部參謀局第一課長)에 보하고, 참령 조영규(趙寧奎)를 군부 교육국 편수과장(軍部敎育局編修課長)에 보하고, 참령 남기창(南基昌)을 군부 교육국 교무과원(軍部敎育局敎務課員)에 보하고, 사계 안규승(安奎承)을 군부 경리국 제2과장보(軍部經理局第二課長補)에 보하고, 군사 정두원(鄭斗源)을 군부 경리국 제2과원에 보하고, 정위 장연창(張然昌)ㆍ김홍남(金鴻南)ㆍ박태기(朴泰琦)를 육군무관학교 교관(陸軍武官學校敎官)에 보하고, 정위 김향섭(金享燮)ㆍ조원하(趙元夏)를 육군무관학교 학도대 중대장(陸軍武官學校學徒隊中隊長)에 보하고, 참위 민병옥(閔丙玉)을 육군무관학교 학도대부(陸軍武官學校學徒隊附)에 보하고, 부위 한길호(韓吉皓)ㆍ피병건(皮秉健)을 육군연성학교 교관에 보하고, 정위 정현(鄭炫)ㆍ이기옥(李基鈺)을 육군연성학교 교관에 보하고, 정위 황형수(黃瑩秀)를 육군유년학교 교관에 보하고, 부위 이민두(李敏斗)를 육군유년학교 학도대부에 보하고, 참령 민용기(閔用基)를 육군헌병사령부 부관(陸軍憲兵司令部副官)에 보하고, 참령 정태석(鄭泰奭)을 육군헌병대장에 보하고, 정위 조중완(趙重完)을 육군헌병대 구대장(陸軍憲兵隊區隊長)에 보하고, 부위 한용호(韓龍鎬)를 육군헌병대부에 보하고, 군사 주시준(周時駿)을 육군헌병대 향관에 보하고, 참령 남태우(南泰祐)를 시위 보병 제1연대 제1대대부(侍衛步兵第一聯隊第一大隊附)에 보하고, 부위 김병승(金炳升), 참위 한승우(韓升愚)ㆍ홍석구(洪奭求)를 시위 보병 제1연대 제2대대부에 보하고, 참위 이현규(李賢奎)ㆍ신팔균(申八均)ㆍ민윤식(閔潤植)을 시위 보병 제1연대 제3대대부에 보하고, 부위 김명훈(金明薰), 참위 임필호(林弼鎬)ㆍ이각(李珏)ㆍ어영선(魚永善)을 진위 보병 제1대대부(鎭衛步兵第一大隊附)에 보하고, 참령 이희승(李煕昇)ㆍ양재훈(梁在薰)을 진위 보병 제2대대장에 보하고, 부위 원은상(元殷常)을 진위 보병 제3대대 부관에 보하고, 부위 양보환(梁普煥)을 진위 보병 제4대대 부관에 보하고, 부위 송병식(宋秉式), 참위 권중관(權重寬)ㆍ김수연(金壽演)ㆍ이장녕(李章寧)을 진위 보병 제4대대부에 보하고, 참령 홍우형(洪友馨)을 진위 보병 제5대대장에 보하고, 정위 이재항(李載恒)을 진위 보병 제5대대 중대장에 보하고, 참령 박문병(朴文秉)을 진위 보병 제6대대장에 보하고, 정위 백낙만(白樂萬)을 진위 보병 제6대대 중대장에 보하고, 정위 최원섭(崔元燮)을 진위 보병 제7대대 중대장에 보하고, 참위 김균상(金均祥)을 진위 보병 제7대대부에 보하고, 참위 박정화(朴正和)를 육군 기병 중대부(陸軍騎兵中隊附)에 보하고, 참령 박두영(朴斗榮)을 육군 포병 중대장에 보하고, 참령 김기원(金基元)을 육군 공병 중대장에 보하고, 수의(獸醫) 김현택(金賢澤)을 육군 포병 중대의관(陸軍砲兵中隊醫官)에 보하고, 참령 박정환(朴晶煥)ㆍ이대규(李大珪)ㆍ신응준(申應濬), 정위 이계선(李啓善)ㆍ이범한(李範漢)ㆍ이규홍(李奎泓)ㆍ이승필(李承弼)ㆍ권승목(權承穆), 부위 윤호(尹鎬)ㆍ이동구(李東九)ㆍ신항우(申恒雨)ㆍ이장묵(李章默)ㆍ이병순(李秉純), 참위 손의명(孫義明)ㆍ이길용(李吉用)ㆍ최흥교(崔興敎)ㆍ송완순(宋完淳)ㆍ박주영(朴周英)ㆍ박장화(朴章和)ㆍ조희갑(趙羲甲)ㆍ임병효(林炳孝)ㆍ정재원(鄭在源)ㆍ김사근(金思根)ㆍ김정규(金鼎奎)ㆍ성찬경(成贊慶)을 육군연성학교부(陸軍硏成學校附)에 보하였다.

15. 8월 20일

○ 희릉 참봉(禧陵參奉) 송종국(宋鍾國)을 시강원 시종관에 임용하고, 장희원(張禧遠)을 희릉 참봉에 임용하고, 김익수(金益壽)를 내부 치도국 기수(內部治道局技手)에 임용하고, 홍병진(洪秉晉), 권승필(權承弼)을 육군 보병 정위(陸軍步兵正尉)에 임용하고, 이승린(李承麟), 전종현(全琮鉉), 이규호(李圭祜), 조방현(趙邦顯), 한봉석(韓鳳錫)을 육군 보병 부위(陸軍步兵副尉)에 임용하고, 윤제보(尹濟普), 변기연(卞基淵), 김세중(金世中), 이석동(李奭東)을 육군 보병 참위(陸軍步兵參尉)에 임용하고, 오의선(吳義善)을 육군 일등군사(陸軍一等軍司)에 임용하였다.
  • 중위-대위 진급: 3명
  • 소위-중위 진급: 5명
  • 소위: 4명

16. 9월 4일

○ 조령을 내리기를,
“경은군(景恩君) 이재성(李載星)은 가까운 종친(宗親)으로 공로도 기록할 만하고, 창산군(昌山君) 이해창(李海昌)은 종실(宗室)로서 이미 공로가 뛰어났으니, 모두 특별히 훈1등에 서훈하고 각각 태극장을 하사하라. 배종무관장(陪從武官長) 육군 부장(陸軍副將) 훈2등 이근호(李根澔)는 숙위(宿衛)하는 직무를 수행하여 그 공로를 기록할 만하니 특별히 훈1등에 올려 서훈하고 팔괘장을 하사하라. 육군 부장 훈3등 이봉의(李鳳儀)는 이미 직임을 맡아 근면하였고 지난날의 공로도 있었으며, 태의원 경 훈3등 민영린(閔泳璘)은 외국에 사신 가서 일찍이 공로가 있었으니 모두 특별히 훈2등에 서훈하고, 시종원 시종 조남익(趙南益)은 직무에 부지런히 힘쓰고 있으니 특별히 훈4등에 서훈하고, 시종원 시종 박승봉(朴勝鳳)은 직무에 종사함이 근면하고 성실하니 특별히 훈5등에 서훈하고, 각각 태극장을 하사하라. 비서감 경 육군 부장 이용태(李容泰)를 훈2등에 서훈하고 팔괘장을 하사하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07A_16A_00060_2006_208_XML
경은군 이재성 등에게 서훈하였다.

17. 10월 18일

○ 부령 노백린(盧伯麟)을 육군 보병 정령(陸軍步兵正領)에 임용하고, 부령 어담(魚潭)을 육군 포병 정령(陸軍砲兵正領)에 임용하고, 참령 이해원(李海元)ㆍ한필상(韓弼相)을 육군 보병 부령에 임용하고, 참령 윤치성(尹致晠)을 육군 기병 부령(陸軍騎兵副領)에 임용하고, 참령 김정우(金鼎禹)를 육군 포병 부령에 임용하고, 정위 이수봉(李守鳳)ㆍ이병규(李秉奎)ㆍ전면조(全冕朝)ㆍ한인교(韓仁敎)ㆍ이용문(李容汶)ㆍ홍종식(洪鍾植)ㆍ이조현(李祖鉉)ㆍ이용한(李龍漢)ㆍ이재항(李載恒), 육군 일등군사(陸軍一等軍司) 윤석천(尹錫天)을 육군 보병 참령에 임용하고, 육군 보병 부위 박규환(朴奎煥)ㆍ이의영(李宜榮)ㆍ신극(申極)ㆍ정희봉(鄭煕鳳)ㆍ조남희(趙男煕)ㆍ방영주(方泳柱)ㆍ윤치병(尹致昞), 부위 함두병(咸斗柄)ㆍ장행원(張行遠)ㆍ오영근(吳英根)ㆍ정면섭(丁冕燮)ㆍ강용희(姜容煕)ㆍ오의선(吳儀善), 육군 이등군사(陸軍二等軍司) 박영조(朴永祚)를 육군 보병 정위에 임용하고, 부위 한용호(韓龍鎬)를 육군 헌병 정위에 임용하고, 부위 권승록(權承祿)을 육군 포병 정위에 임용하고, 참위 이재경(李載瓊)ㆍ오승근(吳承根)ㆍ유상렬(劉庠烈)ㆍ이제정(李濟楨)ㆍ이재택(李在澤)을 육군 보병 부위에 임용하고, 참위 오경근(吳景根)을 육군 기병 부위에 임용하고, 참위 박기영(朴基永)을 육군 포병 부위에 임용하고, 참위 이강년(李康年)을 육군 공병 부위(陸軍工兵副尉)에 임용하고, 참위 김석빈(金碩彬)을 육군 공병 참위에 임용하고, 참령 민용기(閔用基)를 육군 보병 참령에 임용하고, 부위 김병승(金炳升), 삼등군사(三等軍司) 황철주(黃轍周)ㆍ박윤환(朴允煥)을 육군 이등군사에 임용하고, 일등군의(一等軍醫) 유한성(劉漢性)을 육군 삼등군의장(陸軍三等軍醫長)에 임용하고, 수의(獸醫) 장원식(張元植)을 육군 이등수의(陸軍二等獸醫)에 임용하고, 박동기(朴東冀), 이규영(李奎濚), 김봉관(金鳳觀)을 육군 삼등군의(陸軍三等軍醫)에 임용하고, 이교승(李敎承)을 육군 삼등약제관(陸軍三等藥劑官)에 임용하였다. 정위 윤치병(尹致昞)을 군부 군무국 보병과원(軍部軍務局步兵課員)에 보(補)하고, 참령 이조현(李祖鉉)을 군부 참모국 제2과원(軍部參謀局第二課員)에 보하고, 참령 조중만(趙重萬), 정위 임재덕(林在德)을 군부 교육국 과원(軍部敎育局課員)에 보하고, 정위 김광옥(金光玉)ㆍ오의선(吳儀善)ㆍ송태현(宋台顯)을 진위 보병 제1대대 중대장(鎭衛步兵第一大隊中隊長)에 보하고, 참위 노덕세(盧德世)ㆍ송순영(宋淳永)을 진위 제1대대부(鎭衛第一大隊附)에 보하고, 참위 정인택(鄭寅宅)을 진위 보병 제2대대부에 보하고, 정위 김덕제(金悳濟)ㆍ정희봉(鄭煕鳳)을 진위 보병 제3대대 중대장에 보하고, 부위 황학수(黃學秀), 참위 이장한(李長漢)ㆍ장세정(張世禎)을 진위 보병 제3대대부에 보하고, 참위 윤영원(尹泳元)을 진위 보병 제4대대부에 보하고, 참위 김영권(金永權)ㆍ김채욱(金采煜)을 진위 보병 제5대대부에 보하고, 참위 여순근(呂淳根)ㆍ김승후(金承厚)ㆍ유한용(劉漢用)ㆍ김균상(金均祥)ㆍ정달진(丁達鎭), 부위 임윤재(任允宰)를 진위 보병 제6대대부에 보하고, 부령 전영헌(全永憲)을 육군연성학교교관 겸 교성대장에 보하고, 부위 유석태(柳錫泰)ㆍ유치만(兪致萬)을 육군연성학교교관 겸 교성대부에 보하고, 참위 장석제(張錫悌)ㆍ이병하(李秉夏)를 육군연성학교교관보 겸 교성대부(陸軍硏成學校敎官補兼敎成隊附)에 보하고, 정위 방영주(方泳柱)를 육군무관학교 교관(陸軍武官學校敎官)에 보하고, 참위 이홍규(李鴻圭)를 육군유년학교 학도대부에 보하고, 참령 한정호(韓正鎬)를 육군 헌병사령부 부관에 보하고, 정위 최우상(崔禹相)ㆍ정면섭(丁冕燮)을 시위 보병 제1연대 제1대대 중대장에 보하고, 참위 남상익(南相翊)ㆍ남상순(南相珣)ㆍ김유경(金裕慶)을 시위 보병 제1연대 제1대대부에 보하고, 부위 오은영(吳殷泳), 참위 이응구(李應九)ㆍ이인영(李仁永)을 시위 보병 제1연대 제2대대부에 보하고, 참령 신창희(申昌煕)를 시위 보병 제1연대 제3대대 대대장에 보하고, 부위 심상희(沈相煕), 참위 조재정(趙載鼎)ㆍ이학래(李學來)를 진위 보병 제6대대부에 보하고, 군사(軍司) 김병승(金炳升)을 진위 보병 제6대대 향관(鎭衛步兵第六大隊餉官)에 보하고, 정위 박기흡(朴基潝)ㆍ윤석호(尹錫祜)를 진위 보병 제7대대 중대장에 보하고, 부위 박윤찬(朴允贊)ㆍ강문경(康文璟)ㆍ이준섭(李俊燮)ㆍ오승근(吳承根), 참위 이장렬(李章烈)ㆍ유병찬(兪炳瓚)을 진위 보병 제7대대부에 보하고, 참령 이수봉(李守鳳)ㆍ윤석천(尹錫天)ㆍ전면조(全冕朝)ㆍ이용한(李龍漢)ㆍ홍종식(洪鍾植)ㆍ이재항(李載恒), 정위 양주흥(梁柱興)ㆍ김교익(金敎翊)ㆍ함두병(咸斗炳)ㆍ박기영(朴冀泳)ㆍ이완종(李完鍾)ㆍ박영진(朴英鎭), 부위 박기수(朴基洙)ㆍ최홍기(崔鴻基)ㆍ권태진(權泰鎭)ㆍ김석주(金錫周), 참위 이두인(李斗仁)ㆍ조승호(趙承鎬)를 육군연성학교부(陸軍硏成學校附)에 보하고, 부위 박관병(朴觀秉)을 육군연성학교부에 보하였다.
  • 중령-대령 진급: 2명
  • 소령-중령 진급: 4명
  • 대위-소령 진급: 11명[1]
  • 중위-대위 진급: 16명
  • 소위-중위 진급: 12명[2]
  • 소위: 4명[3]

18. 10월 23일

○ 신우균(申羽均)을 육군 보병 참령에 임용하고, 김복경(金馥卿), 윤대식(尹戴植)을 육군 보병 참위에 임용하였다.
  • 대위-소령 진급: 1명
  • 소위: 1명

19. 10월 29일

○ 군의 유동수(柳東秀)를 군기창 의관(軍器廠醫官)에 보하고, 군의 박동기(朴東冀)를 시위 보병 제1연대 의관(侍衛步兵第一聯隊醫官)에 보하고, 군의 박희달(朴煕達)을 시위 보병 제1연대 제3대대 의관(侍衛步兵第一聯隊第三大隊醫官)에 보하고, 군의 손창수(孫昶秀)ㆍ김명식(金明植)을 진위대 의관(鎭衛隊醫官)에 보하고, 군의 김수현(金守鉉)ㆍ장홍섭(張鴻燮)ㆍ김성집(金性集)을 육군 위생원 의관(陸軍衛生院醫官)에 겸보(兼補)하였다.

군기창육군위생원에 군의관을 배치하였다.

20. 11월 27일

○ 조령을 내리기를,
“의정부 참정대신 훈1등 박제순(朴齊純)은 의정부의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기념할 만한 공적이 있으니 특별히 태극장(太極章)을 하사하라. 육군 부장(陸軍副將) 훈2등 신기선(申箕善)은 여러 직책을 두루 역임하는 동안 성실하게 근무하였고 승진하는 시기에 이르렀으며, 궁내부 특진관 훈2등 민종묵(閔種默)은 역임한 모든 직임에서 성실하게 근무하였고, 표훈원 총재 훈2등 박용화(朴鏞和)는 여러 직임을 거치면서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았으니, 모두 특별히 훈1등에 서훈(敍勳)하라. 농상공부 대신 성기운(成岐運)은 외교(外交)에 공로가 있고 또한 여러 직책을 거치면서 치적이 있으니, 특별히 훈2등에 서훈하라. 위 사람들에게 각각 팔괘장(八卦章)을 하사하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10A_12A_00040_2006_208_XML
육군 부장 신기선 등에게 서훈하였다.

21. 12월 6일

○ 정3품 윤직선(尹稷善)을 비서감 승에 임용하고, 정3품 이교영(李喬永), 육군 참위 윤병호(尹炳皓)를 시종원 시종에 임용하고, 비서감 승 이종화(李鍾華)를 겸임 장례원 장례에 임용하고, 정3품 유흥세(柳興世)를 제실회계심사국 심사관에 임용하고, 경리원 장원과장(經理院莊園課長) 이보현(李普鉉)을 경리원 기사(經理院技師)에 임용하고, 종2품 최경형(崔璟亨)을 경리원 장원과장에 임용하고, 9품 한하용(韓河用)을 지릉 참봉에 임용하고, 9품 장형근(張瀅根)을 의릉 참봉에 임용하였다.

22. 12월 8일

○ 부위 김학소(金學韶)ㆍ송영석(宋榮奭)ㆍ권중협(權重協)ㆍ서병덕(徐丙德)을 육군 보병 정위에 임용하고, 참위 민필호(閔弼鎬)ㆍ윤정식(尹晶植)ㆍ신난수(申蘭秀)ㆍ박태영(朴泰永)ㆍ서병두(徐丙斗)ㆍ권중익(權重翼)을 육군 보병 부위에 임용하고, 참위 김종복(金鍾復)을 육군 삼등군사에 임용하였다. 정위 이민숙(李敏琡)ㆍ윤명수(尹明秀)를 군부 부관에 보(補)하고, 정위 조남희(趙男煕)를 육군무관학교 학도대 중대장(陸軍武官學校學徒隊中隊長)에 보하고, 참위 김낙규(金洛圭)를 시위 보병 제1연대 제1대대부(侍衛步兵第一聯隊第一大隊附)에 보하고, 참령 이희승(李煕昇)을 시위 보병 제1연대 제3대대장(侍衛步兵第一聯隊第三大隊長)에 보하고, 참위 신태열(申泰說)ㆍ유치원(兪致遠)ㆍ이한승(李漢承)을 진위 보병 제1대대부(鎭衛步兵第一大隊附)에 보하고, 정위 안철영(安喆榮)을 진위 보병 제2대대 중대장에 보하고, 참위 이규병(李圭丙)ㆍ변영학(邊永學)ㆍ오준선(吳峻善)을 진위 보병 제2대대부에 보하고, 참위 이희종(李喜鍾)ㆍ이응규(李膺圭)를 진위 보병 제3대대부에 보하고, 참위 조태희(趙兌煕)ㆍ신태윤(申泰胤)ㆍ김석하(金錫夏)를 진위 보병 제4대대부에 보하고, 참위 김낙기(金樂基)ㆍ박교승(朴敎承)ㆍ조중우(趙重羽)를 진위 보병 제5대대부에 보하고, 정위 서병덕(徐丙德)을 진위 보병 제6대대 중대장에 보하고, 부위 이제정(李濟楨), 참위 안종간(安鍾幹)ㆍ송순영(宋淳永)을 진위 보병 제7대대부에 보하고, 군사(軍司) 김병승(金炳升)을 진위 보병 제7대대 향관(鎭衛步兵第七大隊餉官)에 보하고, 군사 김종복(金鍾復)을 진위 공병 중대 향관(鎭衛工兵中隊餉官)에 보하고, 부령 한필상(韓弼相), 정위 김문식(金文植)ㆍ권성찬(權成瓚), 부위 김동련(金東鍊)ㆍ이의혁(李義爀)ㆍ김승제(金昇濟)ㆍ김상응(金相應)ㆍ신광희(申光煕), 참위 정희찬(鄭煕燦)ㆍ최승학(崔承鶴)을 육군연성학교부(陸軍硏成學校附)에 보하였다.
  • 부위-정위 진급: 4명
  • 참위-부위 진급: 6명

23. 12월 17일

○ 의정부 참정대신(議政府參政大臣) 육군 부장(陸軍副將) 훈1등(勳一等) 박제순(朴齊純)이 삼가 아뢰기를,
“집포관(戢捕官)인 청산 군수(靑山郡守) 송희완(宋煕完)이 해도(該道)의 참서관(參書官)에 이임(移任)되었습니다. 영호(嶺湖) 지역의 도적이 아직까지 그칠 줄 모르고 있으니, 세력이 불어나도록 내버려 둘 수 없습니다. 영동 군수(永同郡守) 서회보(徐晦輔)를 집포관에 차하(差下)하여 계속 염탐해 체포하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삼가 상주합니다.”
하였는데, 아뢴 대로 하라는 칙지를 받들었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11A_02A_00030_2006_209_XML

24. 12월 28일

○ 조령을 내리기를,
“육군 부장(陸軍副將) 이근택(李根澤)을 찬모관(贊謀官)으로 삼으라.”
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43_11A_13A_00050_2006_209_XML

[1] 군의관 1명 포함[2] 수의사관 1명 포함[3] 군의관 3명, 약제사관 1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