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2003년 11월 독일의 공영TV인 ZDF가 독일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독일인 1백인을 발표한 명단이다. | ||||
TOP 10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콘라트 아데나워 | 마르틴 루터 | 카를 마르크스 | 한스, 죠피 숄 남매 | 빌리 브란트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
11위~100위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아돌프 콜핑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헬무트 콜 | 로베르트 보쉬 | 다니엘 퀴블뵈크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콘라트 추제 | 요제프 켄테니히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카를하인츠 뵘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헬무트 슈미트 | 레진 힐데브란트 | 알리체 슈바르처 | 토마스 고트샤크 | 허버트 그로네메이어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미하엘 슈마허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귄터 야우흐 | 디터 볼렌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얀 울리히 | 슈테피 그라프 | 사무엘 하네만 | 디트리히 본회퍼 | 보리스 베커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프란츠 베켄바워 | 오스카 쉰들러 | 네나 | 한스디트리히 겐셔 | 하인츠 뤼만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하랄트 슈미트 | 프리드리히 대왕 | 임마누엘 칸트 | 패트릭 린드너 | 하르트무트 엥겔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힐데가르트 폰 빙엔 | 하이노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 마를레네 디트리히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로베르트 코흐 | 요슈카 피셔 | 카를 마이 | 로리오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루디 푈러 | 하인츠 에르하르트 | 로이 블랙 |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 볼프강 아펠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알렉산더 폰 훔볼트 | 피터 크라우스 | 베르너 폰 브라운 | 덕 노비츠키 | 캄피노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 프리드리히 실러 | 리하르트 바그너 | 카타리나 비트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프리츠 발터 | 니콜 |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윙흐 | 오토 릴리엔탈 | 마리온 돈호프 | |
<rowcolor=#fff>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토마스 만 | 헤르만 헤세 | 로미 슈나이더 | 스벤 하나발트 |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 |
<rowcolor=#fff>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빌리 밀로위치 | 게르하르트 슈뢰더 | 요제프 보이스 | 프리드리히 니체 | 루디 두치크 | |
<rowcolor=#fff>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카를 레만 | 베아테 우제 | 트뤼머프라우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헬무트 란 | |
<rowcolor=#fff>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알브레히트 뒤러 | 막스 슈멜링 | 카를 벤츠 | 프리드리히 2세 | 라인하르트 메이 | |
<rowcolor=#fff>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하인리히 하이네 | 게오르크 엘저 | 콘라드 두덴 | 제임스 라스트 | 우베 젤러 | |
출처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서양 문학사의 주요 문호들 및 저작들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초기 희랍 문학 | <colbgcolor=#fff,#1c1d1f>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 아르킬로코스 · 알크만 · 핀다로스 · 사포 | |
희랍 희곡 | 소포클레스 · 아이스퀼로스 · 에우리피데스 · 아리스토파네스 · 메난드로스 | |||
헬레니즘 문학 | 칼리마코스 · 테오크리토스 · 이솝 · 루키아노스 | |||
로마 문학 |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 · 플라우투스 · 베르길리우스 · 호라티우스 · 프로페르티우스 · 오비디우스 · 가이우스 루킬리우스 · 테렌티우스 · 티불루스 · 루크레티우스 · 카툴루스 · 루카누스 ·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 스타티우스 · 실리우스 이탈리쿠스 · 아우소니우스 · 루틸리우스 나마티아누스 · 아풀레이우스 · 세네카 · 페르시우스 · 페트로니우스 | |||
중세 문학 | 영국 | 베오울프 · 아서왕 전설 · 마비노기온 · 제프리 초서 | ||
이탈리아 | 단테 · 아리오스토 · 보카치오 · 페트라르카 · 타소 · 보이아르도 · 스탐파 · 람베르티노 · 소르델 | |||
독일/게르만 | 니벨룽의 노래 · 에셴바흐 · 스튀르들뤼손 (에다) | |||
기타 | 크레티앵 드 트루아 · 엘 시드의 노래 · 롤랑의 노래 · 칼레발라 · 디에고 데 산 페드로 · 카몽이스 · 안토니오 페레이라 · 호르헤 만리케 · 페르난도 데 로하스 · 루이스 데 레온 · 윌리엄 던바 · 존 스켈턴 | |||
르네상스/바로크 문학 | 영국 | 셰익스피어 · 말로 · 벤 존슨 · 토머스 키드 · 에드먼드 스펜서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필립 시드니 · 베이컨 · 존 밀턴 · 존 드라이든 · 존 버니언 · 토머스 와이엇 · 로버트 헤릭 · 토머스 캐류 · 리처드 러브레이스 · 앤드류 마벌 · 헨리 본 · 리처드 크래쇼 | ||
프랑스 | 몰리에르 · 장 라신 · 로베르 가르니에 · 코르네유 · 몽테뉴 · 프랑수아 라블레 · 라로슈푸코 · 라퐁텐 · 마리보 · 부알로 | |||
스페인 | 세르반테스 · 후안 데 메나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 로페 데 베가 · 티르소 데 몰리나 · 칼데론 · 공고라 |
고전주의 | 이탈리아 | 아포스톨로 체노 · 메타스타시오 · 골도니 · 주세페 파리니 · 비토리오 알피에리 · 빈첸초 몬티 · 포스콜로 | |
영국 | 새뮤얼 존슨 · 조너선 스위프트 · 애디슨 · 윌리엄 콩그리브 · 알렉산더 포프 · 리처드슨 · 토비아스 스몰렛 · 헨리 필딩 · 로렌스 스턴 · 리처드 스틸 · 조지 파쿼 | ||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 괴테 · 실러 · 빌란트 · 헤르더 · 레싱 · 클로프슈토크 | ||
기타 | 볼테르 · 루소 · 가스파르 데 호벨라노스 | ||
낭만주의 | 독일 낭만주의 | 횔덜린 · 클라이스트 · 티크 · 에두아르트 뫼리케 · 노발리스 · E. T. A. 호프만 · 아르님 · 브렌타노 · 루트비히 울란트 · 아이헨도르프 · 그림 형제 · 장 파울 · 슐레겔 · 하이네 | |
영국 낭만주의 | 번스 · 월터 스콧 · 워즈워스 · 블레이크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 조지 메러디스 · 칼라일 · 드 퀸시 · 바이런 · 셸리 · 존 키츠 · 존 클레어 · 오스틴 · 브론테 자매 · 폴리도리 · 맥퍼슨 · 브라우닝 부부 | ||
미국 낭만주의 | 호손 · 쿠퍼 · 멜빌 · 워싱턴 어빙 · 에밀리 디킨슨 | ||
프랑스 낭만주의 | 빅토르 위고 · 샤토브리앙 · 뒤마 · 메리메 · 라마르틴 · 드 비니 · 드 뮈세 · 네르발 · 고티에 | ||
기타 낭만주의 | 레오파르디 · 푸시킨 · 레르몬토프 · 미츠키에비치 · 율리우시 슬로바츠키 · 크라신스키 | ||
사실주의 | 발자크 · 투르게네프 · 톨스토이 · 도스토옙스키 · 레스코프 · 디킨스 · 새커리 · 조지 엘리엇 · 마크 트웨인 · 잭 런던 · 이디스 워튼 · 헨리 제임스 · 알렉시스 키비 · 폰타네 · 켈러 · 빌헬름 라베 · 테오도르 슈토름 · 고골 · 하디 | ||
자연주의 | 플로베르 · 졸라 · 도데 · 모파상 · 드라이저 · 조지 기싱 | ||
상징주의/유미주의 | 오스카 와일드 · 에드거 앨런 포 · 보들레르 · 랭보 · 베를렌 · 말라르메 · 발레리 · 니체 · 바그너 · 위스망스 · 게오르게 · 호프만슈탈 · 단눈치오 | ||
근대극 | 입센 · 체호프 · 스트린드베리 · 버나드 쇼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뷔히너 · 밀러 · 오닐 | ||
근현대 문학 | 모더니즘 | 포크너 · 콘래드 · 제임스 조이스 · 버지니아 울프 · 앤더슨 · 토마스 만 · 지드 · 스베보 · 프루스트 · 슈니츨러 · 피란델로 · 츠바이크 · 롤랑 · 카프카 · 브로흐 · 캐더 · 무질 · 피츠제럴드 · 페소아 · 맨스필드 | |
표현주의 | 되블린 · 고트프리트 벤 · 로렌스 · 헤밍웨이 · 게오르크 카이저 | ||
신고전주의/신낭만주의 | 함순 · 카로사 · 예이츠 · 릴케 · 시엔키에비치 · 제러드 홉킨스 · 키플링 · 나보코프 | ||
사회주의 리얼리즘 | 고리키 · 스타인벡 · 싱클레어 · 오스트롭스키 · 브레히트 · 하인리히 만 | ||
신시(新詩) | T. S. 엘리엇 · 파운드 · 로르카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 스티븐스 · 프로스트 · 토머스 · 오든 · 아폴리네르 · 차라 · 네루다 | ||
실존주의/부조리극 | 헤세 · 오웰 · 사르트르 · 카잔차키스 · 카뮈 · 헉슬리 · 베케트 · 뒤렌마트 · 이오네스코 · 말로 · 셀린 · 엘리슨 | ||
포스트모더니즘 | 코르타사르 · 칼비노 · 보르헤스 · 케루악 · 보니것 · 베른하르트 · 버로스 · 긴즈버그 · 헬러 · 볼라뇨 · 핀천 · 드릴로 · 오스터 · D. F. 월리스 · 로스 · 스미스 · 팔라닉 · 게이먼 · 존 바스 · 에코 · 쿤데라 | ||
사변소설 | 브래드버리 · 이시구로 · 잭슨 · 애트우드 · 버틀러 · 허버트 · 필립 K. 딕 · 하인라인 · 아시모프 · 아서 C. 클라크 · 톨킨 · 러브크래프트 | ||
마술적 사실주의 | 가르시아 마르케스 · 그라스 · 루슈디 · 아옌데 · 룰포 · 불가코프 · 아스투리아스 · 사라마구 · 푸엔테스 · 카르펜티에르 | ||
신저널리즘/곤조 저널리즘 | 카포티 · 메일러 · 디디온 · 톰슨 · 톰 울프 · 존 크라카우어 | ||
기타 근현대 문학 | 매카시 · 제발트 · 매큐언 · 부코스키 · 모리슨 · 요사 · 치버 · 벨로 · 유르스나르 · 콕토 · 바타유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
<colbgcolor=#000><colcolor=#fff> 프리드리히 실러 Friedrich Schiller | |
| |
본명 |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폰 실러 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
출생 | 1759년 11월 10일 |
신성 로마 제국 뷔르템베르크 공국 마르바흐 암 네카르 | |
사망 | 1805년 5월 9일 (향년 45세) |
작센-바이마르 공국 바이마르 | |
국적 | |
경력 | 예나 대학교 |
직업 | 극작가, 철학자, 의사 |
서명 |
1. 개요
독일의 시인, 극작가, 철학자, 역사학자.독일 문학과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희곡과 시는 독일 고전주의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인정받는다.
2. 생애
1759년 11월 10일에 독일 서남부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마르바흐 암 네카어(Marbach am Neckar)에서 태어났다. 군의관의 아들로 태어나 머리가 좋았던 실러는 본래 신학교에 진학하고자 했으나 당시 영주인 오이겐 공작의 눈에 띄어 강권 끝에 뷔르템베르크군 사관학교에 입학했으며, 법학을 전공했으나 16살에 전공을 의학으로 바꿨다.실러는 엄격한 전제주의적 생활에 치를 떨며, 존경하던 10년 연상의 선배 작가 괴테를 멀리서나마 보면서 언제나 억압적인 폭군 오이겐 공작이 괴테라는 작가 하나를 정중히 모시는 것에 놀라움을 금치못했다.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등을 읽고 감명을 받아 익명으로 첫 작품인 『도적들』을 발표한다.
그러나 『도적들』의 내용은 반전제적이고 반귀족적인 것으로써 이를 알게 된 오이겐 공작은 불같이 화를 내며 실러를 구금시켰고 나중에는 의학 서적 집필 외 그 어느 서적의 집필행위도 모두 금지시킨다. 결국 실러는 사관학교를 탈출하여 다른 영지로 달아나 가명으로 살아갔다.
1782년에는 슈투트가르트와 만하임으로 가 머물며 희곡 '피에스코'(Die Verschwörung des Fiesco zu Gunua)를 썼으며, 그 후로는 프랑크푸르트 등 이곳저곳을 전전하며 어렵게 살았다. 듣보잡 극작가로서 무시당하고 빵 한두개로 하루를 버티던 적도 많았다. 그러면서도 1787년에 돈 카를로스를 내놓는 등 집필을 멈추지 않았다. 이 시기 이후 예나에 역사학 교수로 초빙받았다. 강의를 하면서 역사학 저서를 내놓기도 했다. 또한 본래 철학 교수 자격이 있었다. 예나 정착시기 이후 칸트 연구에 열중했다. 칸트 연구에 있어서의 성과는 미학 부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윤리와 교육에 관련해서도 족적이 있다.
1794년에는 예나에서 그가 존경하던 괴테와 처음 직접 만나게 되었다. 그는 괴테와 친해지면서 독일 고전주의(Weimarer Klassik) 문학양식을 확립하였으며, 아예 괴테가 있는 바이마르로 이사를 가서 작가 및 잡지 편집자로서 활발한 활동을 했다. 비로소 인정받아 책도 잘 팔리고 1802년에는 귀족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von 칭호를 붙이게 되었다. 이렇게 성공적인 삶을 누리게 되었지만 몇 해 안가서 1805년 5월 9일에 바이마르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
1805년 친하게 지낸 괴테가 실러에게 연하장을 쓰다가 실수로 새로운 해를 마지막 해라고 잘못 써서 깜짝 놀라며 새로 쓴 일화도 있다. 괴테는 뭔가 불안하다고 느꼈는데 실러가 차츰 아프기 시작했던 것. 결국 연하장 글처럼 실러는 그 해를 넘기지 못하고 만 45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죽음에 괴테는 서재에 홀로 앉아서 아무 말없이 하루종일 슬퍼했다고 한다.
3. 주요 저술
3.1. 희곡
- 《도적들》(Die Räuber, 1781)
- 《제노바 사람 피에스코의 역모》(Die Verschwörung des Fiesco zu Genua, 1783)
- 《간계와 사랑》(Kabale und Liebe, 1784)
- 《돈 카를로스, 스페인의 왕자》(Don Karlos, Infant von Spanien, 1787)[1]
- 《발렌슈타인》(Wallenstein, 1800)[2]
- 《마리아 슈투아르트(메리 스튜어트)》(Maria Stuart, 1800)[3]
- 《오를레앙의 처녀》(Die Jungfrau von Orleans, 1801)[4]
- 《메시나 신부》(Die Braut von Messina, 1803)
- 《빌헬름 텔》(Wilhelm Tell, 1804)[5]
- 《데메트리우스》(Demetrius, 1805)[6]
3.2. 역사
- 《스페인 정부에 대한 네덜란드 연합국의 배반 역사》(Geschichte des Abfalls der vereinigten Niederlande von der spanischen Regierung, 1788)
- 《30년 전쟁사》(Geschichte des dreißigjährigen Kriegs, 1790~1792)
3.3. 산문
- 《우미와 품위에 관하여》(Über Anmut und Würde, 1793)
- 《인간의 미학적 교육에 관하여》(Über die ä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1795)
- 《소박문학과 감상문학[7]》(Über naive und sentimentalische Dichtung, 1795)
3.4. 시
- 《환희의 송가》(An die Freude, 1785)[8]
- 《포기》(Resignation, 1786)
- 《장갑》(Der Handschuh, 1797)
- 《이비쿠스의 두루미》(Kranichen des Ibykus, 1797)
- 《폴리크라테스의 반지》(Der Ring des Polykrates, 1797)
- 《그리스의 신들》(Die Götter Griechenlandes, 1788/1800)
- 《인질》(Die Bürgschaft, 1798)[9]
- 《용과의 사투》(Der Kampf mit dem Drachen, 1798)
- 《종의 노래》(Das Lied von der Glocke, 1799)
[1] 돈 카를로스를 다룬 비극.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돈 카를로스의 원작이다.[2]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을 다룬 희곡.[3]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을 다룬 희곡.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오페라 마리아 스투아르다의 원작이다.[4] 잔 다르크를 다룬 비극.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조반나 다르코의 원작이다.[5] 빌헬름 텔을 다룬 희곡.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기욤 텔의 원작이다.[6] 미완성 유작[7] '소박문학과 성찰문학'이라고도 한다. 원래 sentimentalisch는 '감상적인'이라는 뜻이지만, 실러는 이 의미를 확장하여 '성찰적인', '주관적인', '근대적인'이라는 뜻으로 썼기 때문에, 두 가지 번역 다 가능하다. 실러는 소박문학을 '고대적인', '직관적인' 것으로 보고, 성찰문학을 '근대적인', '주관적인' 것으로 본다.[8] 베토벤의 9번 교향곡 4악장의 가사로 쓰였다.[9] 다몬과 핀티아스 전설을 바탕으로 쓴 시.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달려라 메로스』가 이 시에 영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