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19:11:17

1913년


191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09년 1910년 1911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5년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20년}}}}}}}}}
서기 1913년
MCMXIII
千九百十三年 | 一九一三年
1912년 1914년
태세 계축년
癸丑年
1853년 1973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단기 4246년
불기 2457년
주체 2년
중화민국 민국 2년
(손청 선통 5년)
일본 다이쇼 2년
황기 2573년
베트남 주이떤 7년
몽골 공대 3년
이슬람력 1331년 ~ 1332년
히브리력 5663년 ~ 5664년
페르시아력 1291년 ~ 1292년
에티오피아력 1905년 ~ 1906년
인류세력 11913년
탄소측정연대 BP[1] 37년 }}}}}}}}}
<colbgcolor=#1d1e23,#3d3e42><colcolor=#fff> 밀레니엄 제2천년기
세기 20세기
연대 1910년대
양력 1913년 음력 1912년 11월 24일
~ 1913년 12월 5일
음력 1913년 양력 1913년 2월 6일
~ 1914년 1월 25일
일수 365일(평년)
1. 개요2. 기후3. 사건
3.1. 실제
3.1.1. 1월3.1.2. 2월3.1.3. 3월3.1.4. 4월3.1.5. 5월3.1.6. 6월3.1.7. 7월3.1.8. 8월3.1.9. 9월3.1.10. 10월3.1.11. 11월3.1.12. 12월
3.2. 가상
4. 탄생
4.1. 실제4.2. 가상
5. 사망
5.1. 실제5.2. 가상
6. 달력

1. 개요

대략 정리하면 제1차 세계 대전의 빌미가 모락모락 피어오르던 해라고 할 수 있다.

2. 기후

지난해에 이어 여전히 이상 저온이 매우 심했던 해로, 4월과 12월을 제외한 모든 달이 평년보다 추웠다. 1~3월이 춥지 않았던 지난해와 달리 이해는 1~3월도 몹시 추웠으며 서울은 3월에도 한파일수를 기록할 정도였다. 그나마 4월은 몇몇 날에 이상 고온이 있었으나 금세 이상 저온으로 돌아가 5~6월은 매우 시원했고, 7월의 이상 저온은 역대급으로 강력했으며 8월도 상당히 시원해서 이해 여름은 서울에서 폭염일수가 하루도 없었다.[2] 게다가 가을철도 지난해만큼은 아니지만 이상 저온이 심했고 12월도 추운 편이었다. 한 해 동안 이어진 이상 저온으로 서울의 연평균 기온이 10℃로 기상 관측 사상 네 번째로 낮았다.[3] 다만 다음 해는 이 해의 심한 저온에 대한 반작용인지 평년보다 매우 높았고 이상 고온이 길게 이어졌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colbgcolor=#ddd>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 기온(℃) −5.1 −3.7 1.9 10.9 14.4 20.2 22.3 23.8 19.3 13.0 4.9 −1.9 10.0
평년 대비 편차(℃)[4] −0.6 −1.8 −1.4 0.4 −1.3 −0.7 −2.2 −1.5 −0.4 0.0 −0.2 0.2 −0.8
<colbgcolor=#ddd> 강수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 강수량(㎜) 26.4 7.3 9.8 125.4 58.6 138.8 326.1 131.9 19.5 25.4 33.8 14.5 917.5
평년 대비 편차(%) 91.7 32.2 24.2 164.4 70.7 110.4 82.4 50.0 16.9 60.2 72.4 57.8 72.5

서울의 최고 기온/최저 기온 극값과 연교차는 아래와 같다.
연 최고 기온 연 최저 기온 연교차 서울 일강수량 극값
31.7℃[5] −19.6℃[6] 51.3℃ 68.5mm[7]

3. 사건

3.1. 실제

3.1.1. 1월

3.1.2. 2월

3.1.3. 3월

3.1.4. 4월

3.1.5. 5월

3.1.6. 6월

3.1.7. 7월

3.1.8. 8월

3.1.9. 9월

3.1.10. 10월

3.1.11. 11월

6일 NYPE가 용선계약서(Time Charter)를 발표했다.

3.1.12. 12월

3.2. 가상

  • 나폴레옹이 러시아와 4년을 더 싸운 뒤 폴란드영일동맹 간에 전쟁이 일어날 조짐을 보이는 보나파르트-3의 현재 연도.
  • 센트럼의 과학자들이 생물병기에 대한 예방책과 치료법을 개발하고 파괴된 세계로 나가기 시작했다. - 겁스 무한세계

4. 탄생

4.1. 실제

4.2. 가상

5. 사망

5.1. 실제

5.2. 가상

6. 달력

1월 2월 3월
1 2 3 4 1 1
5 6 7 8 9 10 11 2 3 4 5 6 7 8 2 3 4 5 6 7 8
12 13 14 15 16 17 18 9 10 11 12 13 14 15 9 10 11 12 13 14 15
19 20 21 22 23 24 25 16 17 18 19 20 21 22 16 17 18 19 20 21 22
26 27 28 29 30 31 23 24 25 26 27 28 23 24 25 26 27 28 29
30 31
4월 5월 6월
1 2 3 4 5 1 2 3 1 2 3 4 5 6 7
6 7 8 9 10 11 12 4 5 6 7 8 9 10 8 9 10 11 12 13 14
13 14 15 16 17 18 19 11 12 13 14 15 16 17 15 16 17 18 19 20 21
20 21 22 23 24 25 26 18 19 20 21 22 23 24 22 23 24 25 26 27 28
27 28 29 30 25 26 27 28 29 30 31 29 30
7월 8월 9월
1 2 3 4 5 1 2 1 2 3 4 5 6
6 7 8 9 10 11 12 3 4 5 6 7 8 9 7 8 9 10 11 12 13
13 14 15 16 17 18 19 10 11 12 13 14 15 16 14 15 16 17 18 19 20
20 21 22 23 24 25 26 17 18 19 20 21 22 23 21 22 23 24 25 26 27
27 28 29 30 31 24 25 26 27 28 29 30 28 29 30
31
10월 11월 12월
1 2 3 4 1 1 2 3 4 5 6
5 6 7 8 9 10 11 2 3 4 5 6 7 8 7 8 9 10 11 12 13
12 13 14 15 16 17 18 9 10 11 12 13 14 15 14 15 16 17 18 19 20
19 20 21 22 23 24 25 16 17 18 19 20 21 22 21 22 23 24 25 26 27
26 27 28 29 30 31 23 24 25 26 27 28 29 28 29 30 31
30

[1] Before Present[2] 다만 이는 중부 지방이 해당되고, 남부 지방은 반대로 몇몇 날에 폭염이 강해서 7~8월에 38℃를 넘을 정도로 덥기도 했다. 다만 현대의 여름처럼 폭염이 오랫 동안 이어지지는 않고 짧게 더웠다가 폭염이 풀리는 날에는 이상 저온을 보였다.[3] 심지어 이해보다 연평균 기온이 더 낮았던 1917년, 1936년, 1947년조차도 열두 달 중에 고온 범위에 속한 달이 하나 이상은 있었지만, 이해는 그마저도 없었다. 다만 극단적인 초이상 저온도 매우 많았던 저 세 해와 다르게 이해는 7월을 제외하면 평년보다 2℃ 이상 낮은 달은 없었다.[4] 1907~1930년 평균 기온 평년값 대비 편차이다.[5] 8월 1일, 8월 8일 기록[6] 2월 9일 기록[7] 8월 18일 기록[8] 물론 당연히 대상은 일본인친일반민족행위자들에게만 제한되었다.[9] 1월 17일이라는 기록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