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리스트 == null
{{{#!html 이번 시즌 토트넘 홋스퍼 FC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브레넌 존슨/클럽 경력/2025-26 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브레넌 존슨/클럽 경력/2025-26 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브레넌 존슨/클럽 경력/2025-26 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번 시즌 토트넘 홋스퍼 FC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 }}}{{{#!if 같은문서1 == null
[[브레넌 존슨/클럽 경력/2025-26 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브레넌 존슨/클럽 경력/2025-26 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브레넌 존슨/클럽 경력/2025-26 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1 비카리오 · 3 드라구신 11 텔 · 13 우도기 · 14 그레이 · 15 베리발 · [[크리스티안 로메로|17 로메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8em"dark-style="background: #fff"]] · 19 솔랑케 21 쿨루셉스키 30 벤탄쿠르 · 31 킨스키 · 33 데이비스 · 37 판더펜 · 39 콜로 무아니 · 40 오스틴 · 44 스칼렛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colcolor=#0b1c56><colbgcolor=#fff> 토트넘 홋스퍼 FC No. 22 | |||||||
브레넌 존슨 Brennan Johnson | |||||||
본명 | 브레넌 프라이스 존슨 Brennan Price Johnson | ||||||
출생 | 2001년 5월 23일 ([age(2001-05-23)]세) | ||||||
잉글랜드 이스트 미들랜즈 노팅엄셔 노팅엄 | |||||||
국적 |
(
)|
| ||||||
신체[1] | 키 186cm / 체중 73kg[2] | ||||||
포지션 | 윙어, 세컨드 스트라이커[3] | ||||||
주발 | 오른발 | ||||||
등번호 | 웨일스 대표팀 | 9 | |||||
토트넘 홋스퍼 FC | 22 | ||||||
소속 | <colbgcolor=#fff><colcolor=#0b1c56> 유스 | 노팅엄 포레스트 FC (2009~2019) | |||||
선수 | 노팅엄 포레스트 FC (2019~2023) → 링컨 시티 FC (2020~2021 / 임대) 토트넘 홋스퍼 FC (2023~ ) | ||||||
국가대표 | 37경기 6골 (웨일스 / 2020~ )[4] | ||||||
SNS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0b1c56> 역대 등번호 | 웨일스 대표팀 - 22번, 16번, 14번, 9번 노팅엄 포레스트 FC - 40번, 20번 링컨 시티 FC - 20번 토트넘 홋스퍼 FC - 22번 | |||||
가족 | 아버지 데이비드 앤서니 존슨 어머니 앨리슨 존슨 누나 리버티 존슨 누나 매디 존슨 |
1. 개요
웨일스 국적의 토트넘 홋스퍼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2.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레넌 존슨/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레넌 존슨/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자신이 나고 자란 잉글랜드와 아버지의 혈통인 자메이카, 그리고 어머니의 국적인 웨일스를 선택할 수 있었는데, U-17 까지는 잉글랜드 대표팀에서 뛰다가 2018년부터는 웨일스 연령대 대표팀에서 활약하였다.2020년 9월, 웨일스 A대표팀에 처음으로 소집되었다. 그리고 2달 후, 미국을 상대로 데뷔전을 가졌다.
2022년 6월 6일, 카타르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플레이오프 결승 우크라이나전에서 후반 교체투입되어 짧은 시간이었지만 여러차례 번뜩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경기는 1:0으로 끝나면서 무려 64년만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감격을 누렸다.
5일 뒤인 6월 11일, 벨기에와의 UEFA 네이션스 리그 경기에서 동점골을 넣으며 A대표팀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결과는 1:1 무승부.
4. 플레이 스타일
4.1. 장점
라이언 긱스, 가레스 베일, 대니얼 제임스와 같은 스피스타들이 많인 배출된 웨일스 출신답게 무려 36.70km/h라는 가공할 만한 속도를 자랑한다. 존슨은 자신의 속도를 잘 살릴 수 있는 우측에서 주로 뛰는 클래식 윙어의 역할로서 주로 뛰지만, 좌측 윙 포워드는 물론이고 중앙에서 활약하는 센터 포워드까지 소화할 수 있다. 워낙 속도가 빠른 선수라서 어느 위치에서 뛰건 역습 상황에서 위협적인 움직임을 보여준다.빠른 발을 이용해 직선적으로 치고 달리는 드리블을 주로 시도하는 존슨으로 순간적으로 가속도를 올려서 상대를 빠르게 제쳐냄과 동시에, 역습 상황에서 발생하는 장거리의 볼 운반이 가능하다. 속도가 붙은 돌파가 워낙 빨라서 상대 수비가 저지하는 과정에서 반칙을 범하는 장면이 꽤 나오는데, 21-22 시즌 챔피언쉽에서 7개의 페널티킥을 얻어냈을 정도로 피파울을 잘 얻어낼 수 있다.
그러나, 존슨의 플레이는 존슨이 공을 가지고 있지 않은 오프 더 볼(off the ball) 상황일 때 진가를 발휘한다. 공간을 인지하고 빈 공간을 향해 들어가는 움직임이 좋은 존슨으로서 동료가 공을 가지고 있을 때 공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빠르게 찾아들어간다. 이러한 성향으로 인해 공격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존슨이 마무리 슈팅을 가져가는 상황이 많아지는데, 측면에서 중앙으로 올라오는 크로스와 컷백을 원 터치로 마무리짓는 슈팅의 결정력이 상당히 좋다. 페널티 박스 내에 진입하면 감각적으로 득점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감각이 매우 뛰어나다. # 특히 동료가 사이드에서 돌파를 성공했을 때 컷백 위치로 이동해 골문 반대편으로 슛을 노리는데 이러한 플레이가 정형적임에도 매번 성공할 정도로 센스가 좋다. 이러한 센스 덕분에, 24-25시즌부터는 존슨의 마무리 한 방으로 팀이 위기에서 구해지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존슨은 마무리 슈팅뿐만 아니라, 조력자로서 마무리 패스 역시 간결하게 가져갈 수 있다. 간결하게 공을 마무리짓는 능력이 좋은 선수로, 공이 투입된 직후에 파이널 서드에서 상대 골키퍼와 수비수들이 반응하기 전에 빠른 타이밍의 슈팅, 크로스, 컷백을 가져간다. 일단 공을 잡고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슛이든 크로스든 컷백이든 빠르게 결정짓는다는 것. 쓸데없이 볼을 끄는 일이 드물어 상대 수비수들의 타이밍을 완전히 빼앗는 원터치 마무리는 그의 무기 중 하나. 전반적인 플레이가 간결하기 때문에 이는 템포가 빠른 프리미어 리그에서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4.2. 단점
빠르고 간결한 플레이를 갖췄으나, 전체적인 플레이가 단순하고 축구 지능이 많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6] 드리블 패턴이 상당히 단조롭고, 스트라이커나 반대쪽 윙어에게 향하는 크로스도 부정확하다. 경기를 거듭할수록 이러한 문제점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면 그나마 낫지만, 24-25시즌 기준으로는 그럴 기미가 안보인다.주로 우측에서 뛰면서 오른발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측면 돌파 후 컷백 외에는 공격 패턴이 없다시피 하다.[7] 때문에 수비수는 골라인 방면만 마크하고 중앙 쪽은 대놓고 오픈으로 열어두지만, 존슨의 개인기가 출중한 것도 아니고 최고 속도만큼 가속도가 빠른 것도 아니라서 사실상 1대1을 뚫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넓은 공간이 생기면 빠른 속도로 상대방의 후방을 휘저을 수 있지만, 이마저도 아직 어려서 그런지 판단 부족으로 패스 타이밍과 질 모두 떨어진다. 그렇다고 번뜩이는 움직임이 있는 것도 아닌데 특히 위치 선정이나 공간 침투와 같은 라인브레이킹이 상당히 미숙하고 경기 내내 거의 시도되지 않기에 장점이라 할 수 있는 빠른 속도의 의미가 사라져버린다.[8]
마른 체격에 힘이 부족하다는 것도 단점. 힘 좋은 수비수들이 붙기 시작하면 공을 지키기 힘들어하고, 슈팅의 세기 또한 타 윙어들에 비해 아쉽다. 이 때문에 속도로 해결이 불가능한 공격 상황에서는 최대한 경합을 피하고 최소한의 터치를 통해 간결하게 연계를 가져간다.[9] 경기 후반에 가까워질수록 쉽게 체력에 부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땅볼 크로스와 컷백은 굉장히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주지만 헤더를 노린 높은 크로스는 대부분이 키퍼에게 잡힐 정도로 정확도가 떨어지며, 체공 시간이 길고 높게 날아간다. 크로스를 올릴 타이밍을 놓쳐 어정쩡한 볼 처리로 공격 기회를 허무하게 날리는 경우도 꽤 많다. 그 패스에 있어서도 패턴이 너무나도 단순해서 수비수들이 달려와 발만 가져다대면 길목에서 막히는 경우가 더 많다. 드리블이나 패스 등 기회창출 면에서 리그 최악의 지표를 기록해서 팀원이 양질의 패스를 주지 못하면 아예 경기애서 사라져버린다.
토트넘으로 이적한 첫 시즌 후반기부터는 골 결정력이 단점으로 거론되고 있다. 2023-24 시즌 EPL 최악의 결정력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렸을 정도. 대부분의 슈팅을 원터치로 처리하다 보니 아슬아슬하게 놓치는 것도 아닌, 소위 말하는 홈런의 수가 압도적이었다. 2024-25 프리시즌부터 정규 시즌 초반까지 매우 부진하여 악플에 시달리다가 SNS 계정을 비활성화 하는 등 자신감이 극도로 하락한 모습을 보였으나, 리그컵 3R 코번트리 시티전 골을 기점으로 공식전 6경기 연속 득점을 기록했고, 결과적으로 리그 두 자릿수 득점과 유로파리그 결승전 결승골을 기록하며 여론을 반전시키는 데 성공했다. 현재는 골 결정력은 확실하게 개선되어 박스 안에서 미리 자리를 잡은 상태로 슈팅을 할 때는 간단하게 마무리하지만, 갑작스레 얻은 돌발적인 기회에는 결정적인 찬스조차 종종 놓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단순한 공격패턴과 1:1 돌파 능력의 부재, 부족한 피지컬은 아직까지도 고쳐지지 않아 베르너처럼 빠른 스피드를 활용해 뒷공간 침투로 득점하는 속히 주워먹기 하나만으로 불식시켜야 하는 선수이다.[10][11] 양질의 크로스나 원투 패스를 활용해 골문 앞까지만 접근하면 어렵지 않게 득점하는 선수지만, 팀이 부진해서 자신이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덩달아 존슨 본인도 부진하는 편이다.
4.3. 총평
현대 축구에서 보기 힘든 클래식한 정발 윙어로, 스피드를 활용한 간결하고 빠른 템포의 플레이를 즐기지만 공격의 세밀함이 부족하며 단조롭다는 단점이 크다.존슨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발전 방향을 본인의 장점인 스피드와 오프더볼을 살릴 수 있는 방향이 좋아보이나, 문제는 뒷공간 침투에 능한 윙어인데 정작 기본적인 라인브레이킹 능력이 받쳐주지 못하니 스피드를 최대치로 활용하지 못하는 모습이 자주 나온다. 축구에서 말하는 오프더볼은 단순히 박스 안에서 득점을 위해 가져가는 움직임 뿐만 아니라 공이 없을때의 전방압박, 수비가담 등의 활동량과 오프사이드 라인을 절묘하게 파고들어 침투 득점을 완성시키는 라인브레이킹 능력을 포괄해서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존슨은 박스 안에서 득점을 위해 가져가는 오프더볼 움직임은 많이 발전했지만 다른 부문에서 굉장히 많은 하자를 보인다. 일단 기본적으로 존슨의 주 플레이 스타일은 상대의 수비라인에 대기하고 있다가 찬스가 오면 라인을 타는 라인브레이킹 후 득점의 전형적인 포쳐 스타일이지만 정작 축구 지능과 침투에 필요한 오프더볼 움직임이 떨어지기에 기본적인 라인브레이킹을 잘하지 못하며 이는 존슨의 가장 큰 장점 중에 하나인 스피드의 이점을 깍아먹는 요인이 된다. 앞서 서술했듯 존슨은 라인에 대기하며 득점을 노리는 포쳐이기에 활동량마저 제한적이며 그나마 자신의 활동반경 내에서 펼치는 수비가담과 전방압박 또한 본인의 역량 부족과 부족한 축구 지능으로 자신의 체력만 낭비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스피드를 이용한 측면 돌파를 보여주지만 테크닉이 좋지 않아 좁은 공간에서의 드리블과 지공 상황에서 활약도 기대하기 어렵다. 페널티 박스 안에서 공간을 찾아 들어가는 움직임은 수준급이지만, 반대로 자기가 팀원들에게 위협적인 패스를 내주는 모습을 보기가 매우 어렵다.
존슨은 골결정력과 박스 안에서의 위치선정을 바탕으로한 클러치 능력과 득점력이 장점이지만 이 부문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평범하긴 커녕 매우 부족한 모습을 보이는 윙이다. 경기 내에서 존슨의 존재감은 거의 0에 수렴하며 이때문에 공격 전개의 상당수를 다른 선수들이 부담하게 된다.[12]골을 넣어주는 날엔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날에는 이선수가 PL에서 뛸 수준이 되는 선수인가 싶은 경기도 상당수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노팅엄 포레스트 FC (2019~2023)
- EFL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 2021-22
- 토트넘 홋스퍼 FC (2023~ )
- UEFA 유로파 리그: 2024-25
5.2. 개인 수상
- EFL 이달의 영플레이어상 : 2021년 9월
- EFL 올해의 영플레이어상 : 2021-22
6. 여담
- 아버지 데이비드 존슨도 프로 축구선수 출신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였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유스였고 입스위치 타운과 노팅엄 포레스트에서 주로 활약했다. 자메이카 대표팀에서도 뛰었다. 종종 아들이 뛰는 토트넘 경기를 관람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히기도 한다.
- 토트넘 홋스퍼 팬들 사이에서는 전성기 시절의 델리 알리가 연상된다는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얼굴이 닮았다기보다는 낮은 목소리와 헤어스타일 등 전반적인 분위기가 많이 유사하다는 편.
- 목소리가 상당히 낮은 편인데, 외모와 비교하면 더욱 갭이 크다는 말을 자주 듣곤 한다. 경기 후 인터뷰 영상에서 목소리를 처음 듣고 생각보다 저음이라 놀랐다는 반응을 여럿 볼 수 있다.
- 여자 친구는 덴마크인이다.
- 인스타그램에 사진만 게시하고 아무 글도 쓰지 않거나 짧은 단어 또는 문장만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SNS도 간결하다종종 게시물과 스토리를 올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빠르게 삭제하기도 한다.
- 2023-24 시즌 리그 17R 노팅엄전에서 상대와 충돌한 직후 이마 출혈로 이른 시간에 교체되었는데, 당시 찢어진 부위에 16바늘을 꿰맸다고 한다. 이후 한동안 왼쪽 눈썹 위에 흉터가 그대로 남아 있었으나 현재는 많이 옅어진 상태.
- 사복은 주로 캐주얼한 스타일이며 패션 감각이 좋은 편이다. 특히 선호하는 복장은 와이드 팬츠인 듯하다. 평소에 타이트한 바지를 입은 모습은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 손흥민도 슛포러브의 맨인유럽에 출연해 팀내 최고의 패셔니스트를 말할 적에 존슨을 꼽았다.
- 2024-25 시즌 초 심각한 부진으로 악플에 시달리다가 인스타그램 계정을 비활성화 한 뒤로 9월 30일 기준 4경기 연속 득점을 기록했다. 이에 제임스 매디슨은 장난으로 호나우두의 얼굴에 존슨을 합성한 사진을 본인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게시했는데[14], 바로 다음 경기에서 존슨이 또다시 득점하자 이번에는 토트넘 공식 계정이 이 합성 사진을 업로드하며 축구 팬들 사이에서 꽤나 화제가 되었다.[15]
- 상술했듯이 SNS 계정을 비활성화 한 이후 거짓말처럼 폼이 살아나자 국내외를 불문하고 인스타 닫은 존슨이라는 밈이 일시적으로 자리잡기도 했다. 다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지금보다 더 잘하기 위한 결심이라기보다는 이전에 앱을 삭제했던 것처럼 순간적으로 '그냥 지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고 한다. SNS는 스크롤하는 데에 시간을 오래 허비하게 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방해 요소가 되기도 한다고. 인터뷰 전문
- 토트넘의 2024-25 유로파리그 우승 이후 열린 카 퍼레이드 행사에서 만취해 트로피를 들어올리며 난동을 부리는 모습이 소소한 웃음을 주었다. 우승 퍼레이드를 한 날이 자신의 생일인데 다들 우승은 기억하는데 내 생일은 기억하지 않는다며 웃음을 자아내고 매디슨이 케이크를 가져오며 모두와 함께 생일 축하를 받았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토트넘 홋스퍼 FC 2025-26 시즌 스쿼드 | ||||
| | | | | |
<rowcolor=#fff,#fff> 1 | 3 | 4 | 6 | 7 | |
굴리엘모 비카리오 Guglielmo Vicario 1996.10.07 2023~2028 | 라두 드라구신 Radu Drăgușin 2002.02.03 2024~2030 | 케빈 단소 Kevin Danso 1998.09.19 2025~2030 | 주앙 팔리냐 João Palhinha 1995.07.09 2025~2026[1] | 사비 시몬스 Xavi Simons 2003.04.21 2025~2032 |
| | | | |
<rowcolor=#fff,#fff> 8 | 9 | 10 | 11 | 13 |
이브 비수마 Yves Bissouma 1996.08.30 2022~2026 | 히샬리송 Richarlison 1997.05.10 2022~2027 | 제임스 매디슨 James Maddison 1996.11.23 2023~2028 | 마티스 텔 Mathys Tel 2005.04.27 2025~2031 | 데스티니 우도기 Destiny Udogie 2002.11.28 2022~2029 |
| | | | |
<rowcolor=#fff,#fff> 14 | 15 | 17 C | 19 | 20 |
아치 그레이 Archie Gray 2006.03.12 2024~2030 | 루카스 베리발 Lucas Bergvall 2006.02.02 2024~2031 | 크리스티안 로메로 Cristian Romero 1998.04.27 2021~2029 | 도미닉 솔랑케 Dominic Solanke 1997.09.14 2024~2030 | 모하메드 쿠두스 Mohammed Kudus 2000.08.02 2025~2031 |
| | | | |
<rowcolor=#fff,#fff> 21 | 22 | 23 | 24 | 25 |
데얀 쿨루셉스키 Dejan Kulusevski 2000.04.25 2022~2028 | 브레넌 존슨 Brennan Johnson 2001.05.23 2023~2029 | 페드로 포로 Pedro Porro 1999.09.13 2023~2028 | 제드 스펜스 Djed Spence 2000.08.09 2022~2028 | 타카이 코타 Kōta Takai 2004.09.04 2025~2030 |
| | | | |
<rowcolor=#fff,#fff> 28 | 29 | 30 | 31 | 33 |
윌손 오도베르 Wilson Odobert 2004.11.28. 2024~2029 | 파페 마타르 사르 Pape Matar Sarr 2002.9.14. 2021~2030 | 로드리고 벤탄쿠르 Rodrigo Bentancur 1997.06.25 2022~2026 | 안토닌 킨스키 Antonín Kinský 2003.03.13 2025~2031 | 벤 데이비스 Ben Davies 1993.04.24 2014~2026 |
| | | | |
<rowcolor=#fff,#fff> 37 | 39 | 40 | 44 | |
미키 판더펜 Micky van de Ven 2001.04.19 2023~2029 | 랑달 콜로 무아니 Randal Kolo Muani 1998.12.05 2025~2026[2] | 브랜던 오스틴 Brandon Austin 1999.01.08 2019~2029 | 데인 스칼렛 Dane Scarlett 2004.05.24 2021~2027 |
토트넘 홋스퍼 FC 2025-26 시즌 임대 선수 | ||||
| | | | |
16 | 18 | 27 | 35 | 36 |
루카 부슈코비치 Luka Vušković 2007.02.24 2025~2030 함부르크 SV 임대 2026.5.31 복귀 | 양민혁 Yang Min-Hyeok 2006.04.16 2025~2030 포츠머스 FC 임대 2026.5.31 복귀 | 마노르 솔로몬 Manor Solomon 1999.07.24 2023~2028 비야레알 CF 임대 2026.5.31 복귀 | 애슐리 필립스 Ashley Phillips 2005.06.26 2023~2028 스토크 시티 FC 임대 2026.5.31 복귀 | 알레호 벨리스 Alejo Veliz 2003.09.13 2023~2029 CA 로사리오 센트랄 임대 2026.5.31 복귀 |
| | | | |
45 | <rowcolor=#fff,#fff> | |||
알피 디바인 Alfie Devine 2004.08.01 2021~2027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임대 2026.5.31 복귀 | ||||
구단 정보 | ||||
회장: 피터 채링턴 / 감독: 토마스 프랑크 / 홈구장: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 | ||||
출처: 토트넘 홋스퍼 FC 공식 웹사이트 / 프리미어 리그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
[1]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임대[2]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임대
}}}}}}}}} || {{{#!wiki style="color:#1E4645,#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colbgcolor=#E31F2B><colcolor=#fff> GK | 1 | 칼 달로우 (Karl Darlow) | 1990년 10월 8일 ([age(1990-10-08)]세) | 2 | 0 | | |
12 | 대니 워드 (Danny Ward) | 1993년 6월 22일 ([age(1993-06-22)]세) | 43 | 0 | | ||
21 | 아담 데이비스 (Adam Davies) | 1992년 7월 17일 ([age(1992-07-17)]세) | 5 | 0 | | ||
DF | 2 | 크리스 메펌 (Chris Mepham) | 1997년 11월 5일 ([age(1997-11-05)]세) | 47 | 0 | | |
3 | 니코 윌리엄스 (Neco Williams) | 2001년 4월 13일 ([age(2001-04-13)]세) | 42 | 4 | | ||
4 | 벤 데이비스 (Ben Davies) | 1993년 4월 24일 ([age(1993-04-24)]세) | 90 | 2 | | ||
5 | 리스 노링턴데이비스 (Rhys Norrington-Davies) | 1999년 4월 22일 ([age(1999-04-22)]세) | 13 | 1 | | ||
6 | 조 로든 (Joe Rodon) | 1997년 10월 22일 ([age(1997-10-22)]세) | 48 | 0 | | ||
14 | 코너 로버츠 (Connor Roberts) | 1995년 9월 23일 ([age(1995-09-23)]세) | 58 | 3 | | ||
16 | 벤 카방고 (Benjamin Cabango) | 2000년 5월 30일 ([age(2000-05-30)]세) | 11 | 0 | | ||
17 | 오언 벡 (Owen Beck) | 2002년 6월 18일 ([age(2002-06-18)]세) | 0 | 0 | | ||
MF | 7 | 조 앨런 (Joe Allen) | 1990년 3월 14일 ([age(1990-03-14)]세) | 75 | 2 | | |
8 | 해리 윌슨 (Harry Wilson) | 1997년 3월 22일 ([age(1997-03-22)]세) | 58 | 11 | | ||
10 | 올리 쿠퍼 (Oli Cooper) | 1999년 12월 14일 ([age(1999-12-14)]세) | 5 | 0 | | ||
22 | 조시 시한 (Josh Sheehan) | 1995년 3월 30일 ([age(1995-03-30)]세) | 8 | 0 | | ||
FW | 9 | 루이스 쿠마스 (Lewis Koumas) | 2005년 9월 19일 ([age(2005-09-19)]세) | 4 | 0 | | |
11 | 데이비드 브룩스 (David Brooks) | 2000년 7월 8일 ([age(2000-07-08)]세) | 30 | 4 | | ||
13 | 키퍼 무어 (Kieffer Moore) | 1992년 8월 8일 ([age(1992-08-08)]세) | 47 | 13 | | ||
15 | 리암 컬렌 (Liam Cullen) | 1999년 4월 23일 ([age(1999-04-23)]세) | 5 | 0 | | ||
18 | 마크 해리스 (Mark Harris) | 1998년 12월 29일 ([age(1998-12-29)]세) | 7 | 0 | | ||
19 | 소바 토마스 (Sorba Thomas) | 1997년 11월 10일 ([age(1997-11-10)]세) | 12 | 0 | | ||
20 | 웨스 번스 (Wes Burns) | 1994년 11월 23일 ([age(1994-11-23)]세) | 10 | 0 | | ||
23 | 네이선 브로드헤드 (Nathan Broadhead) | 1998년 4월 5일 ([age(1998-04-05)]세) | 13 | 2 |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 2025년 9월 4일 (목) | 원정 | | |||
친선전 | 2025년 9월 10일 (수) | 홈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4일 |
[1] 프리미어 리그 공식 웹사이트 프로필[2] 179cm 시절 기준[3] 최전방의 스트라이커도 소화 가능하지만, 원 톱보다는 세컨드 스트라이커로서의 역할을 더 잘 소화한다.[4] 2025년 6월 10일 기준[5] 2024-25 시즌 리그 4R 아스날전 이후로 비활성화 되었다가, 10월 23일 다시 복구되었다.[6] 정확히 말하면, 장점 항목에서 서술된 대로 수비 대형의 균열을 노려 골을 노리기 위한 공간으로 침투하는 측면 포처로서의 플레이에서는 좋은 감각을 보여준다. 문제는 그 외의 온 더 볼/오프 더 볼(기본적인 위치 선정과 공간침투는 물론 수비 가담 및 전방 압박 포함) 판단 전반에서 보이는 아쉬움.[7] 현대 축구에서 정발 윙어는 대부분 사장되었으며, 살아남은 정발 윙어는 4-4-2 롱볼 전술을 이용하거나 24/25 시즌 누누볼처럼 크리스 우드 같은 타겟맨을 위시한 선 수비 후 다이렉트한 공격을 위주로 하는 전술이나 순전히 개인의 압도적인 기량으로 버텨나간다. 잦은 연계를 통한 스위칭이나 훌륭한 전술 소화를 통해 버텨나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토트넘은 롱볼이 메인 전술이 아니고, 롱볼을 한다고 해도 존슨의 헤더 크로스는 최악의 수준이며, 선수 본인의 기량이 압도적이거나 스위칭과 라인 브레이킹 등의 전술 이해 또한 좋지 않다. 설상가상으로, 토트넘을 상대하는 팀들은 토트넘의 전술을 알기 때문에 강팀이라도 일단 라인을 내려버리고, 존슨의 유일한 장점인 뒷공간 털어먹기가 불가능해진다.[8] 페널티 박스 내에서의 침투에서도 단점이 있었지만 이제는 장점으로 승화될 만큼 좋아진 걸 보면 존슨의 오프사이드 돌파를 위한 침투는 존슨의 스피드를 고려하면 못하는 것이 아닌 안하는 것에 가깝다.[9] 즉 볼을 소유하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서 자신의 단점을 가리는 셈이다. 볼 소유 시간이 늘어날수록 파괴력이 살아나는 잭 그릴리쉬와 대척점에 있는 플레이스타일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다만 그릴리쉬와 달리 존슨의 퍼스트 터치나 드리블 능력은 평균 수준이다.[10] 다만 베르너는 오랜 경력에도 골 결정력 개선이 안 되어 비판을 받는다면, 존슨은 터치 및 결정력은 준수하며 스피드도 갖고 있음에도 축구 지능이 떨어져 써먹지 못하는 타입이다. 기회를 만들어놓고 스스로 날려먹는 베르너와 달리, 이쪽은 공간을 인지하고 뛰는 일 자체가 없으니 기회조차 만들지 못하고 있다.[11] 손흥민과 베르너는 공간이 보이면 지체하지 않고 뛰기에 그만큼 오프사이드에 자주 걸린다. 하지만 브레넌 존슨은 역습 상황에도 상대보다 먼저 뛰는 움직임이 전혀 없어서 오프사이드에 걸리는 일 자체가 없다. 이러한 플레이스타일은 속도라는 자신의 장점을 죽이기에 상대 수비보다 월등한 개인 기량이나 압도적인 골 결정력이 없으면 윙어 자리를 빼고 싸우는 것과 다르지 않다.[12] 이러한 점은 역발 좌윙으로 출전 할 경우 더욱 심각해진다. 말그대로 10명의 필드 플레이어만으로 플레이하는 것같은 느낌을 준다는 의미.[13] 같은 팀 동료인 도미닉 솔랑케도 비슷한 세레머니를 즐겨 한다.[14]
[15] 공식 인스타그램에서는 한인 관리자가 호존신이라는 코멘트와 함께 먼저 업로드하고, 그 다음에는 현지 관리자가 아무런 코멘트 없이 또 업로드하며 총 두 개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이에 매디슨이 "내 거 베끼지 마(...)"라는 댓글을 남기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