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 |
| |
<colcolor=#005ba6,#59b3ff><colbgcolor=#f0f0f0,#191919> 후보 | <colbgcolor=#fff,#1c1d1f>대권주자 ·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김문수 후보 교체 / 재경선 · 개혁신당 · 민주노동당) · 최종 후보 |
여론조사 | 후보 확정 전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비정기) · 출구조사 |
변수 |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결과 |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 |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민주노동당) | |
기타 | 타임라인 · TV 토론회 · 내란종식 원탁회의 · 이재명-김재연 단일화 · 반명 빅텐트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이재명-김재연 단일화 | ||
| ||
2025년 2월 19일 내란종식 민주헌정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 출범식에 참석해 기념 사진을 촬영하는 이재명과 김재연 | ||
<colbgcolor=#152484,#152484><colcolor=#fff> 성사일 | 2025년 5월 9일 | |
당사자 | 대통령 후보 | 대통령 후보 |
이재명 | 김재연 | |
결과 | 이재명 후보로 단일화 | |
영향 | 진보진영 확대 |
1. 개요
제21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재연 진보당 후보간의 단일화에 대해 서술한 문서. 김재연 진보당 후보가 사퇴를 하면서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단일화가 이루어졌다.2. 전개
4월 22일 , 진보당의 김재연 상임대표는 진보당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후부터 단일화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바 있다.기사5월 8일, 진보당 관계자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야 5당(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이 모인 '광장대선연합정치시민연대'에서 5일부터 이재명 후보와 김재연 후보간의 단일화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
이르면 9일에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만약 단일화가 성사될 시, 범민주-범진보 원내 5당이 모두 이재명 후보를 밀어주는 판국이 형성된다.[1]
반면에 범민주-범진보 원외 정당 중 조금 네임밸류가 있는 민주노동당이나 새미래민주당은 단일화 대상으로 포함되지 않았다. 민주노동당은 범민주-범진보 원내 5당과 우군 포지션이 아니었기에 단일화 이야기는 아예 없었으며, 새미래민주당은 대선후보로 추대된 이낙연이 오히려 국민의힘이나 한덕수와 단일화를 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이후 후보자 등록 전날이던 5월 9일, 광장대선연합정치시민연대-제 정당 연석회의 공동 선언에서 진보당 김재연 후보가 사퇴를 선언하면서 범민주-범진보 원내 5당이 모두 이재명 후보를 단일 후보로 지지하게 되었다. #
3. 반응
3.1. 더불어민주당
그러나 일각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제외한 범민주 계열 원내 정당 중에서는 드물게 대선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선출된 지 한 달이 되지 않아 단일화를 선언한 점, 실질적으로 진보당이 얻어가는 것이 있다기 보다는 이재명의 거대 세력에 일방적으로 흡수되는 모양새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여론도 존재한다.
3.2. 진보당 내부
- 내부 계파별로 반응이 엇갈리는 모양새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도권, 영남 계파는 대체로 당의 입장을 따르고 단일대오로 내란세력에 맞서겠다는 반응이 대다수인 반면, 호남 계파는 김재연 후보의 단일화에 아쉬움을 표시하거나 독자완주를 촉구했다. 이는 지역별 정치지형에 차이에 따른 것으로 수도권이나 영남은 민주당과 단일화를 해야 승리할 수 있는 반면, 호남의 경우 보수정당 세력이 미약하며 민주당과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 윤종오 진보당 의원[2]은 SNS에 "광장이 연합한 힘으로 정권을 교체해야 차기 정권에서 내란세력 척결 투쟁을 민중의 압도적 힘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광장의 요구를 실현할 수 있다"며 차기 정권에서도 내란 기득권세력 척결투쟁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
- 정혜경 진보당 의원[3][더민련] SNS에 "진보정당에게 중도보수를 표방한 민주당 대선후보 지지선언은 더 쉽지 않은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일"이라고 하면서도 "오늘 광장대선 연합정치 시민연대-제정당 연석회의 공동선언은 압도적 정권교체와 새로운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겠다는 약속입니다. 촛불혁명이후 죽써서 개줬다는 패배감에만 사로잡혀 있지 말고 광장을 주도했던 세력이 단합하여 정권교체이후 사회대개혁 우리의 힘으로 만듭시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
- 전종덕 진보당 의원[5][더민련] 은 SNS에 "오늘 아침 김재연 후보 거취를 결정하는 대표단 회의를 한다는 소식에 사무총장에게 후보 사퇴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고 동의할 수 없다는 제 입장을 전달했지만, 대표단은 결국 후보 사퇴 결정을 내렸다"면서 매우 유감스럽고 아쉽다는 뜻을 밝혔다. #
- 진보당 공동대표단 중 한 명인 이대종 농민진보당 대표[7]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진보당 김재연 대선후보가 사퇴를 결정했다"며 "나는 북상하는 전봉준 트랙터 투쟁단에 함께 하고 있어 어제오늘 대표단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고 대선후보 사퇴와 관련한 입장을 글로 보내고 농민당 대표직에서 사퇴했다"라며 공동대표단에서 사퇴했다고 밝혔다.기사
- 진보당 광주광역시당과 전북특별자치도당은 "김재연 후보의 진보후보다운 대선 완주를 촉구한다!"라는 이름의 성명에서 "정권교체가 확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정권교체를 넘어 탄핵광장을 메웠던 시민들의 열망을 대변하여 사회대개혁과 개헌의 물꼬를 트고 진보적 정권교체를 견인하는 것"이라며 김 후보의 후보 사퇴를 반대했다.기사
3.3. 민주노동당
-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는 5월 9일 입장문을 통해 진보당 김재연 후보의 대선 불출마에 “유감스럽다”며 “기득권 양당과 경쟁해야 할 진보 대통령 후보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완주 의지를 밝혔다. 권 후보는 “며칠 전부터 정치 뉴스에는 온통 김문수와 한덕수의 단일화 논쟁뿐”이라며 “또 다른 단일화 이야기가 얹어졌다”고 비판했다.기사
3.4. 민주노총
- 전국금속노동조합[8]은 논평을 통해 "노동운동의 가치를 대신하기는커녕 역행하는 기득권 정치로의 회귀"라며 "노동 현장과 사회적 약자를 등지는 그 자리가, 과연 그렇게도 절실한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D6001C><tablebgcolor=#D6001C> | 김재연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D6001C,#fff> 생애 | 생애 | |
20대 대선 | 소금꽃 선거대책위원회 · 공약 | ||
21대 대선 | 공약 · 이재명과의 후보 단일화 | ||
소속 정당 | 민주노동당 · 통합진보당 · 민중연합당 · 민중당 · 진보당 | ||
기타 |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부정경선 사건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B7DDF5,#B7DDF5><colcolor=#d6001c,#d6001c> 역사 | 2020년 이후 | |
지지 기반 · 다른 정당과의 관계 | |||
당직선거 | 제2기(2022) · 제3기(2024) | ||
선거 | 20대 대선 | 소금꽃 선거대책위원회 · 공약 · 결과 | |
8회 지선 | 결과 | ||
22대 총선 | 후보자 · 결과 | ||
21대 대선 | 경선 · 단일화 | ||
재보궐선거 | 2021년 · 2023년 상반기 · 2023년 하반기 · 2024년 상반기 · 2024년 하반기 · 2025년 | ||
주요 정치인 | 김재연 · 윤종오 · 정혜경 · 전종덕 · 김종훈 | ||
산하 조직 | 청년진보당 · 진보정책연구원 · 너머 | ||
연대 단체 |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내란종식 원탁회의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더불어민주연합 · 한국진보연대 | ||
관련 조직 | 민주노동자전국회의 · 전국농민회총연맹 · 경기동부연합 · 광주전남연합 · 울산연합 · 인천연합 · 민중당 · 민중연합당 · 새민중정당 | ||
관련 틀 | 역대 상임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21대 국회의원 · 22대 국회의원 · 기초자치단체장 · 광역의회의원 · 기초의회의원 · 계파 분류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5BA6,#FFC224> 정당 | 상황 | 후보 |
더불어민주당 | <colbgcolor=#f8f8f8,#222427>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27일 선출 | 이재명 | |
국민의힘 | 후보 선출 취소 2025년 5월 10~11일 선출 예정 | ||
조국혁신당 | 무공천 결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 ||
개혁신당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3월 18일 선출 | 이준석 | |
진보당 | 단일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 | |
기본소득당 | 무공천 결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 ||
사회민주당 | |||
국민연합 | 무공천 결정 자유통일당 구주와 후보 지지 | ||
노동당 | 무공천 결정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 선거연합 | ||
녹색당 | |||
민주노동당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30일 선출 | 권영국 | |
새미래민주당 | 후보 선출 2025년 4월 28일 추대 | 이낙연 | |
소나무당 | 무공천 결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 ||
자유통일당 | 후보 선출 2025년 5월 9일 선출 | 구주와 | |
한반도미래당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30일 추대 | 김정선 | |
◀ 제20대 제22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