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 |
| |
<colcolor=#005ba6,#59b3ff><colbgcolor=#f0f0f0,#191919> 후보 | <colbgcolor=#fff,#1c1d1f>대권주자 ·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개혁신당 · 진보당 · 민주노동당) · 최종 후보 |
여론조사 | 후보 확정 전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비정기) · 출구조사 |
변수 |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김문수-국민의힘 지도부 갈등) · 반명 빅텐트 |
결과 |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 |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진보당 · 민주노동당) | |
기타 | 타임라인 · TV 토론회 · 내란종식 원탁회의 ·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5><tablewidth=500><bgcolor=#d6001c><tablebordercolor=#d6001c><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right> 진보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
<nopad>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21년 9월 3일 20대 대선 경선 | → | 2025년 4월 19일 제21대 대선 경선 | → | 2030년 제22대 대선 경선 | }}} | ||||
선출 대상 | 진보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 |||||||||
투표율 | 75.85% | |||||||||
방식 | 당원 투표[대상자] | |||||||||
선거 결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후보 | 김재연 | 강성희 | |||||||
전체 득표 | ||||||||||
17,944표 63.85% | 10,159표 36.15% | }}} | ||||||||
대통령 후보 당선인 | ||||||||||
<nopad> | ||||||||||
진보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김재연 |
1. 개요
제21대 대통령 선거 진보당 후보 경선에 대해 서술한 문서.2. 일정
비고 | 날짜 |
선거인명부 작성 기준일 | 4월 3일 |
선거공고 | 4월 4일 |
명부열람 및 이의신청 | 4월 5일 ~ 4월 7일 |
선거인명부 확정 | 4월 8일 |
후보 등록 | 4월 8일 ~ 4월 9일 |
후보자 등록 안내 | 4월 9일 |
정견발표 | 4월 10일 |
호남권 유세 | |
영남권 유세 | 4월 11일 |
중부권 유세 | 4월 12일 |
수도권 유세 | 4월 13일 |
온라인 토론회 | 4월 14일 |
투표 | 4월 15일 ~ 4월 19일 |
개표 | 4월 19일 |
3. 후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D6001C,#C7E9FB> 기호 | 정당 | 이름 | 비고 | |||
1 | 진보당 | 김재연 | 당선 | ||||
2 | 진보당 | 강성희 | |||||
3.1. 김재연
<colbgcolor=#D6001C> | 김재연 (金在姸) |
| |
출생 | 1980년 11월 27일 (44세), 경상북도 경산군 |
현직 | 진보당 상임대표 |
경력 | 제19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
슬로건 | 내란청산, 빛의 연대로 새로운 평등공화국 |
기호 1번 김재연 후보 영상 |
3.2. 강성희
<colbgcolor=#D6001C> | 강성희 (姜聖熙) |
| |
출생 | 1972년 9월 7일 (52세), 서울특별시 |
현직 | 진보당 전주시 지역위원장 진보당 대출금리인하운동본부장 |
경력 | 제21대 국회의원 (전북 전주시 을) 초대 진보당 원내대표 |
슬로건 | 끌려 갈 것인가? 끌고 갈 것인가? 강해야 진보한다! |
기호 2번 강성희 후보 영상 |
4. 선거 운동
4.1. 정견발표
기호 1번 김재연 후보 정견발표 |
기호 2번 강성희 후보 정견발표 |
4.2. 권역별 유세
4.2.1. 호남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4.2.2. 영남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4.2.3. 중부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4.2.4. 수도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4.3. 온라인 토론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5. 개표 결과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진보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 |||
<rowcolor=#373a3c,#dddddd>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1 | 김재연(金在姸) | 17,944 | 1위 |
| 63.85% | 당선 | |
2 | 강성희(姜聖熙) | 10,159 | 2위 |
| 36.1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선거인 수 | 37,085 | 투표율 75.85% |
<rowcolor=#373a3c,#dddddd> 투표 수 | 28,103 | ||
<rowcolor=#373a3c,#dddddd> 무효표 수 | 32 |
5.1. 대선 후보 수락 연설
김재연 진보당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사랑하는 진보당 당원 여러분, 21대 대통령선거 진보당 후보로 인사드립니다. 김재연 입니다. 먼저, 저에게 진보당의 대선 후보로 뛸 것을 명령해주신 당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엄중한 정세, 어느 때보다 무거운 책임을 느끼며, 대선 승리에 저의 모든 것을 바치겠습니다. 특히, 저와 함께 대선 후보를 결의하셨던 강성희 후보님께 감사드립니다. 강 후보님께서 보여주신 진보집권을 향한 진심어린 고민과 열정이 저를 비롯한 많은 당원들께 감동과 의지를 전해주었습니다. 경선 기간의 치열한 토론이 진보당 도약의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대선 승리와 진보 집권의 길에 전 당원의 더욱 뜨거운 열의를 모아 나갈 것을 이 자리에서 굳게 약속드립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저 김재연은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서, 내란세력을 청산하라는 시대적 과업을 최우선에 두겠습니다. 윤석열이 있어야 할 곳은 서초동 사저가 아니라 감옥입니다. 내란수괴가 목숨이 다하기 전에 감옥 문을 나오는 일은 우리 역사에 두번 다시 없어야 합니다. 내란청산특별법의 제정과 내란행위진상조사특별위원회의 설치로 내란세력을 역사의 심판대에 세우겠습니다. 내란정당 국민의힘의 해체를 하루 속히 앞당기겠습니다. 다시는 흔들리지 않을 민주주의를 위해, 저들의 백년권력을 남김 없이 회수하는 대결전에 저의 몸을 던지겠습니다. 국민 여러분! 저 김재연은 한 줌 내란세력에 맞서 민주수호세력의 힘을 최대 규모로 키워내는데 앞장서겠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123일간 광장을 밝혀온 빛의 연대를 더욱 위력적인 광장연합으로 모아내는데 온 힘을 쏟겠습니다. 그 과정에서, 야 5당이 열어낸 '내란종식 민주헌정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가 내란세력의 재집권을 저지하고 사회대개혁을 실천하는 연대의 기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광장연합의 압도적 승리'로 내란세력 청산과 사회대개혁 실현을 앞당기는 대선을 기필코 만들어내겠습니다!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윤석열 없는 세상이 어떻게 달라지기를 꿈꿔오셨습니까? 설마, 대통령 한 사람만 바뀌면 만족하십니까? 혹시, 광장의 목소리가 지워질까 걱정하십니까? 새로운 세상을 향한 여러분의 상상은 진보정치를 만나 마침내 현실이 될 것입니다. 형형색색의 응원봉들이 빛의 연대로 만든 항쟁, 그 성과는 시민 모두의 것이어야 합니다. 저 김재연은 광장을 수놓은 목소리들이 실현되는 세상, ‘새로운 평등공화국’을 열어내겠습니다! 차별금지법으로 존엄한 일상을 지킬 수 있는 나라, 일하는 사람 누구나 노동조합을 통해 권리를 말할 수 있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소득, 젠더, 지역, 주권 등 모든 영역의 불평등 구조를 깨트려나가는 대통령, 대한민국 최초의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겠습니다. 새로운 세상을 바라는 국민의 뜻과 의지를 모아, 2026년 국민참여 헌법개정을 통해 새로운 제7공화국 시대를 열어내겠습니다. 광장의 주인공들이 세상의 주인공이 되는 평등공화국으로, 제 손을 잡고 함께 걸어가주십시오! 사랑하는 당원 여러분! 내란세력 청산의 시대적 과업과 진보정치에 부여된 정치적 사명, 이 두가지는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닙니다. 민심의 뜨거운 요구이자, 진보집권으로 향하는 여정에 함께 돌파해야 할 과제입니다. 진보당 대통령 후보 김재연은 국민의 민심과 당원들의 명령을 받들어 저에게 주어진 막중한 임무를 반드시 완수하고, 진보정치의 전성기를 열어내겠습니다! 국민의 사랑과 지지를 모아내고, 진보집권을 향한 길로 나아가겠습니다! 여러분 함께 해주십시오! 반드시 승리하겠습니다! | }}}}}}}}} |
6. 총평
전년도에 치러진 3기 당직선거와 비슷하게 민주당과의 협력노선 강화를 내세우는 김재연 후보와 진보정당의 선명성과 독자노선 강화를 내세운 강성희 후보의[2] 노선차이가 경선의 핵심이 되었고. 지역마다 이에 따른 입장도 첨예하게 갈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3]결과적으로 이번 경선은 단순 대선후보에 대한 지지를 넘어 현 진보당의 노선을 평가하는 성격도 띄었는데 3기 당직선거보다 격차는 다소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민주당과의 연대 협력 노선을 지지하는 당원 수가 더 많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B7DDF5,#B7DDF5><colcolor=#d6001c,#d6001c> 역사 | 2020년 이후 | |
지지 기반 · 다른 정당과의 관계 | |||
당직선거 | 제2기(2022) · 제3기(2024) | ||
선거 | 20대 대선 | 소금꽃 선거대책위원회 · 공약 · 결과 | |
8회 지선 | 결과 | ||
22대 총선 | 후보자 · 결과 | ||
21대 대선 | 경선 · 결과 | ||
재보궐선거 | 2021년 · 2023년 상반기 · 2023년 하반기 · 2024년 상반기 · 2024년 하반기 · 2025년 | ||
주요 정치인 | 김재연 · 윤종오 · 정혜경 · 전종덕 · 김종훈 | ||
산하 조직 | 청년진보당 · 진보정책연구원 · 너머 | ||
연대 단체 |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내란종식 원탁회의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더불어민주연합 · 한국진보연대 | ||
관련 조직 | 민주노동자전국회의 · 전국농민회총연맹 · 경기동부연합 · 광주전남연합 · 울산연합 · 인천연합 · 민중당 · 민중연합당 · 새민중정당 | ||
관련 틀 | 역대 상임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21대 국회의원 · 22대 국회의원 · 기초자치단체장 · 광역의회의원 · 기초의회의원 · 계파 분류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5BA6,#FFC224> 정당 | 상황 | 후보 |
더불어민주당 | <colbgcolor=#f8f8f8,#222427>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27일 선출 | 이재명 | |
국민의힘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5월 3일 선출 | 김문수 | |
조국혁신당 | 무공천 결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 ||
개혁신당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3월 18일 선출 | 이준석 | |
진보당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19일 선출 | 김재연 | |
기본소득당 | 무공천 결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 ||
사회민주당 | 무공천 결정 범민주진보 후보 지지 | ||
거지당 | 후보 선출 2025년 4월 23일 추대 | 박종구 | |
국민연합 | 후보 선출 2025년 4월 28일 추대 | 염안섭 | |
노동당 | 무공천 결정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 지지 및 정당연합 구성 | ||
녹색당 | |||
민주노동당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30일 선출 | 권영국 | |
새미래민주당 | 후보 선출 2025년 4월 28일 추대 | 이낙연 | |
우리공화당 | 무공천 결정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지지 | ||
자유민주당 | |||
자유통일당 | 후보 선출 예정 2025년 5월 10일 전 전당대회 추정 | ||
한반도미래당 | 예비후보 등록 2025년 4월 30일 예비후보 등록 | 김정선 | |
◀ 제20대 제22대 ▶ | }}}}}}}}}}}} |
[대상자] 선거인명부 작성기준일(4월 3일)로부터 3개월 전부터 당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당원 중 작성기준일 전월까지 6개월간 일반당비를 납부하지 않은 달이 누적 2개월 이하의 당원, 혹은 작성기준일 기준 입당한지 4개월 이하지만 3개월 이상의 당비를 납부한 당원.[2] 3기 당직선거 당시 정태흥 상임대표 후보의 포지션을 맡은 것인데 실제로 정태흥 전 대표도 SNS를 통해 강성희 후보의 주장에 동조하는 글을 여럿 올리기도 하였다.[3] 양당세가 공고한 수도권에서는 민주당 성향의 표도 흡수하여야지 당선이 되는 반면 호남지역에서는 진보당이 이미 제1야당으로 민주당과 직접 경쟁을 하는 상황이기에 지역 별로 노선 차이가 일어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