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20:57

시간 관련 정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시간

1. 개요2. 시간 단위
2.1. 시·분·초 단위2.2. 년·월·일 단위2.3. 주기 단위
3. 시간 관련 문서4. 날짜 관련 문서5. 연도 관련 문서6. 주기 관련 문서7. 기타 시간과 관련된 문서들8. 창작물

1. 개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서술한 문서.

2. 시간 단위

2.1. 시·분·초 단위

  • (秒, second/sec)
  • (分, minute/min) - 60초
  • (時, hour/h) - 평균 태양시 - 60분/3,600초

2.2. 년·월·일 단위

  • (日, , day) - 평균 태양일
  • (月, , month)
  • (年, , year) - 평균 태양년

2.3. 주기 단위

3. 시간 관련 문서

시간 체계와 그 기준 (협정 세계시)
1 태양년에 근사
31,536,000초 평년
31,622,400초 윤년
31,557,600초 율리우스년
의 삭망 주기에 근사
2,419,200초 28일
2,505,600초 29일
2,592,000초 30일
2,678,400초 31일
604,800초
1 태양일에 근사: 86,400초
3,600초
60초
세슘-133 원자진동
시간대 윤초

4. 날짜 관련 문서

달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1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2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3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4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5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6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7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8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9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10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11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5px 5px" 12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wiki style="margin: 0 -1px -11px"
현재 시각은 KST 입니다.
12월 31일
신년전야
1월 1일
새해 첫날
<colbgcolor=#448ccb,#026892>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은 대한민국 법률로 지정된 국경일입니다.
적색으로 표기된 날짜는 대한민국 법률로 지정된 공휴일입니다.
설날은 음력 1월 1일, 부처님오신날은 음력 4월 8일, 추석은 음력 8월 15일입니다.

기타: 2월 30일 · 8월 32일 · 12월 32일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법정 공휴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요일 새해 첫날 설날 연휴 삼일절
1월 1일 3월 1일
어린이날 현충일 광복절
음력 4월 8일 5월 5일 6월 6일 8월 15일
추석 연휴 개천절 한글날 성탄절
10월 3일 10월 9일 12월 25일
폐지된 공휴일
식목일 제헌절 국군의 날 국제연합일
4월 5일
(2006년 폐지)
7월 17일
(2008년 폐지)
10월 1일
(1991년 폐지)
10월 24일
(1976년 폐지)
지방 공휴일1
4∙3희생자 추념일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5∙18민주화운동 기념일
4월 3일
(제주특별자치도)
5월 11일
(전라북도 정읍시)
5월 18일
(광주광역시)
<colbgcolor=#fff,#1c1d1f> 1 「지방공휴일에 관한 규정」 '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국가기념일에 해당되는 날 (지방공휴일))
공직선거법 제34조에 따라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를 진행하는 날 (대통령 선거일, 국회의원 선거일, 지방선거일)
대한민국 정부에서 수시로 지정하는 날 (임시공휴일)
※ 공휴일인 국경일, 부처님오신날, 어린이날, 성탄절이 토요일 또는 다른 공휴일과 겹치거나
설날/추석 연휴가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 공휴일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대체공휴일)
}}}}}}}}}

5. 연도 관련 문서

6. 주기 관련 문서

6.1. 하루

☀️ 하루🌙
오전 오후
새벽 아침 저녁

6.2. 일주일

📅 일주일
주중(평일) 주말(휴일)

6.3. 24절기

<nopa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여름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가을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겨울 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 }}}}}}}}}

6.4. 60갑자

7. 기타 시간과 관련된 문서들

8. 창작물



[1] 한자 뜻 그대로 쉬는 날이다. 보통은 토요일과 일요일을 묶어서 부르는 말로 쓰지만 이 경우에는 주말이란 말이 더 많이 쓰인다. 국가에서 법적으로 직접 정했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사회 구성원 대다수가 쉬도록 되어 있는 휴일은 공휴일이라고 한다.[2] 공휴일중 명절이 아닌, 국가가 지정하는 공휴일. 국경일과는 그 의미가 달라서 국경일이라고 무조건 공휴일은 아니다. 제헌절이 국경일이지만 공휴일이 아닌 대표적인 사례다. 대통령령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대통령에게 지정 및 폐지권한이 주어지며, 전경련에서는 노동생산성이 낮아진다는 이유로 지속적으로 줄여야 한다고 찌르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