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9241d><tablebgcolor=#d9241d>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176e><tablebgcolor=#29176e>대한제국군의 편제 | }}}}}} | ||||||
군종별 | 대한제국 육군 | 대한제국 해군 | ||||||||
중앙부처 | 원수부 | 군부 | 참모부 | 교육부 | ||||||
황실직속 | 대한제국군 호위대 | 시종무관부 | 동궁배종무관부 | 친왕부 | ||||||
주요 부대 | 대한제국군 친위대 | 대한제국군 시위대 | 대한제국군 진위대 | 대한제국군 헌병대 | ||||||
학교 | 육군무관학교 | 육군연성학교 | 육군유년학교 | |||||||
기타 | 육군법원 | 대한제국군 상무영 | 군기창 |
| |
대한제국군 시위대[1] | 1906년 서울에서 촬영된 대한제국군 병영[2] |
1. 개요
- 한자: 大韓帝國 陸軍
- 영문: Korean Imperial Army
대한제국군의 하위 군종인 육군을 설명하는 항목이다. 육군이 거의 대부분의 장병을 차지한 탓에 군종 구분이 아예 없던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지만 군부나 원수부의 관제 등을 볼 때 육군과 해군의 구분이 나타나 있다. 다만 육군을 우선적으로 투자했던 대한제국의 특성상 거의 군의 대부분이라 봐도 무방하다. 대한제국 해군은 거의 창군 준비만 하다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2. 병과
육군무관학교의 4차례의 졸업자 명단 중에 유일하게 병과를 확인할 수 있는 1904년 1월 졸업자를 살펴보면, 37명 중에 보병이 19명, 기병이 9명, 포병이 8명, 공병이 1명이었다. 이들이 전투병과의 장교였다.특수사관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보병, 기병, 포병, 공병에 속했다. 장교의 병과 구분은 1901년부터 기록상 나타난다. 병과에 따라 맡을 수 있는 직책이 있다 보니, 필요에 따라 병과를 전환하는 경우가 있다.
2.1. 보병
당대에 일반적인 구성을 따라 주력 전투병과로 보병, 기병, 공병, 야전포병이 존재했다. 이 중 근본이 되는 것은 단연코 보병이었다. 보병부대들의 편제에 대해서는 하술한다.당시 보병 부대가 주력이었던 만큼, 정령의 대부분은 병과가 보병 정령이었다. 아래의 기병은 최고 계급이 부령이었고, 포병은 정령 계급자가 어담 1명 뿐이지만, 보병 정령은 김승규, 현흥택, 이병무, 이희두, 한진창, 이태래[3], 오보영, 이한영, 이남희, 이기홍, 이건영, 신재영, 조성근, 구연하, 조철의, 윤웅렬, 노백린 등 숫자가 많다. 병과장인 군부의 보병과장도 다른 부서와 달리 대령급인 보병 정령이 맡는 경우가 많았다.
보병들의 행군 사진1 보병들의 행군 사진2 [4]
1901년 촬영된 대한제국 행진 영상[5]
2.2. 기병
기병의 경우 유럽 국가들과 같이 세부적인 병과가 나누어지지는 않은 듯하다. 전술학교정에 따르면 대한제국군은 추격섬멸과 전과확대 및 수색경계와 정찰, 통신에 특화된 것으로 파악했으며, 기병총도 지급했다. 군마는 해외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대한제국군이 생기기 전의 기록 등을 살펴보면 매년 수백 필의 말이 제주도에서 진상되었고 사복시에서 이를 각 부처별로 배분하였다. 1877년 사복시 기록 이런 말은 서구식 기병대에는 맞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1894년 이후 관련 기록이 사라진다.
병과장은 군부의 마정과장(馬政課長)이었고 뒤에 기병과장으로 표현을 바꾸었다.
기병 자체는 1880년대와 1890년대의 신식 군대에서도 계속 있었지만[6] 근대 육군 병과 구분으로서 기병 장교 임관자는 기록상 1901년에 처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 육군 보병 참위(陸軍步兵參尉)에 김형섭(金亨燮)을 임용하고, 육군 기병 참위(陸軍騎兵參尉)에 김희선(金羲善)을 임용하고, 육군 포병 참위(陸軍砲兵參尉)에 김교선(金敎先), 어담(魚潭)을 임용하고, 육군 공병 참위(陸軍工兵參尉)에 김성은(金成殷)을 임용하였다. 무관학교 교관(武官學校敎官)에 김형섭, 김희선, 김교선, 어담, 김성은을 보(補)하였다.
승정원일기 1901년 4월 19일
승정원일기 1901년 4월 19일
1875년생인 김희선(金羲善)[7]이 확인되는 기병 장교 중에 임용이 가장 빠른 편이다. 다만 당시에는 필요에 따라서 병과를 전환하는 경우들이 여럿 있었고, 병과 구분이 1900년대 들어서 기록에 표시되었기 때문에 김희선 보다 계급이 높은 기병 장교들은 더 있었다.
○ 영선사 기사(營繕司技師) 최재붕(崔在鵬)을 중추원 의관에 임용하고, 김준(金埈)을 한성재판소 주사에 임용하고, 기병 참령(騎兵參領) 이태래(李泰來)를 기병 부령(騎兵副領)에 임용하고, 헌병 정위(憲兵正尉) 윤원구(尹元求)를 헌병 참령(憲兵參領)에 임용하고, 육군 참위(陸軍參尉) 박정선(朴貞善)을 겸임 원수부 군무국원(兼任元帥府軍務局員)에 임용하고, 육군 참령 신성균(申性均)을 육군 부령(陸軍副領)에 임용하였다. 육군 참위 이민화(李敏和)를 친위 대대부(親衛大隊附)에 보(補)하였다.
승정원일기 1904년 7월 14일
승정원일기 1904년 7월 14일
기병 장교의 최고 계급은 부령으로 확인되며 1904년에 이태래(李泰來)가 처음으로 진급했다. 이태래는 병과장 역할인 군부 기병과장을 지내기도 했다. 이태래는 본래 무관 출신으로 군수 등을 지내다가 장교 계급이 근대식으로 개편된 뒤에 1898년에 참령으로 들어온 인물이다. 1899년에 군부의 마정과장을 맡은 점으로 볼 때 원래 군마 관련 업무를 관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병의 사진 1906년에 촬영된 기병 사진을 컬러화한 것
2.3. 포병
야전포병의 경우 77mm 크루프 포나 빅커스 등의 경포와 기관총 즉 개틀링 기관총 및 맥심 기관총 등이 주무장이었다. 야전포병은 야포병과 산포병으로 세부 병과를 구분했다. 이외에도 육군예식에는 요새포병과 해안포병에 대한 조항도 존재한다.해안포병의 경우 1901년 3월 8일부로 칙령 제7호 "연해지방 포대 설치에 관한 안건"을 통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가령 고종실록에는 광무 6년 8월 20일자 기사에 월미도 포대 건축비로 6,510원을 사용했음이 나타나 있다. 황성신문 기사에 따르면 월미도 포대는 주로 예식용 예포 부대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가령 양무호의 도입 때에도 이 앞에 정박시킨 후 예포를 사격했다.
요새포병은 실제로 설치되었는지 불명확하다. 포병은 기병과 마찬가지로 군마의 존재가 필수적인 병과였다.
포병 장교 중에 최고 계급자는 포병 정령인 어담이었다. 1906년 10월 18일에 포병 병과 장교로는 처음으로 정령에 진급했다. 다만 이 시기에는 일본군이 영향을 미칠 때이다.[8]
병과장은 군부의 포병과장이었다.
2.4. 공병
한편 공병의 경우 보루 축조, 진지공사 및 교량건설 등을 담당한다. 본래 친위연대에 속했다가 일본의 군축 과정에서 시위대로 이속된다. 광무 4년 칙령 57호에 따르면 1개 중대는 3개 소대로 구성되었으며 군축 이후에도 중대 규모인 것은 같았다.전술학교정에 따르면 공병의 기본적인 무장은 보병과 동일했으며, 1903년 경 공병용 장비를 도입하기 위해 예산을 지출한 흔적이 남아 있다. 군축을 명시한 1905년 칙령 제28호에 따르면 공병중대에는 대장장이와 목수, 재봉사와 구두장이가 포함되어 있었다.
○ 육군 보병 참위(陸軍步兵參尉)에 김형섭(金亨燮)을 임용하고, 육군 기병 참위(陸軍騎兵參尉)에 김희선(金羲善)을 임용하고, 육군 포병 참위(陸軍砲兵參尉)에 김교선(金敎先), 어담(魚潭)을 임용하고, 육군 공병 참위(陸軍工兵參尉)에 김성은(金成殷)을 임용하였다. 무관학교 교관(武官學校敎官)에 김형섭, 김희선, 김교선, 어담, 김성은을 보(補)하였다.
승정원일기 1901년 4월 19일자
승정원일기 1901년 4월 19일자
기록이 확인되는 독립된 병과로서 공병 장교는 1901년 4월 19일에 임용된 공병 참위 김성은(金成殷)이 있다. 군기창장 김정우의 아들이며, 독립운동가 김경천의 형이기도 하다. 포병과 기병 장교도 이때가 첫 기록으로 확인된다.[9] 그전까지는 병과의 구분이 따로 주어지지 않았거나, 혹은 기록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공병 참위 김성은은 육군무관학교의 학도들 집단 이탈 사태를 보고한 인물이기도 하다. 당시 기록을 보면 육군무관학교의 2회가 교육 받던 시절인데, 병과별로 무관학도의 부대를 나눴음을 알 수 있다.
○ 원수부 검사국 총장(元帥府檢査局摠長) 육군 참장(陸軍參將) 민영철(閔泳喆)이 삼가 아뢰기를,
“방금 무관학교장임시서리 육군법원장(武官學校長臨時署理陸軍法院長) 육군 참장 백성기(白性基)가 올린 제2호 보고(報告)를 보니, ‘어제 오후 6시에 본교(本校)의 주번(週番)인 육군 공병 참위(陸軍工兵參尉) 김성은(金成殷)이 보고한 것을 보니, 「보병(步兵) 제1중대, 제2중대, 제3중대 및 각 병과(兵科)의 학도(學徒)들이, 자신들이 바라는 것을 언제 이룰지 막연하니 일찌감치 돌아가 생업에 안착하는 것이 낫다고 하면서 일치된 목소리로 물러가겠다고 청하였습니다. 그래서 꾸짖으며 달래기도 하고 권하여 들어가도록 하였는데 한결같이 따르지 않고 각자 물러나 나갔습니다.」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즉시 본교에 가서 일일이 검사하였더니, 현재 남아 있는 각과(各科)의 학도는 92인이었고, 그 밖의 학도들은 이미 물러가 흩어졌기 때문에 다시 소집하여도 사방으로 흩어져서 일제히 불러들일 수가 없었습니다. 혹 후회하여 스스로 온 자도 있고 혹 부형(父兄)이 데리고 온 자도 있으므로 엄히 신칙해서 학교에 들여보냈는데, 계속해서 점점 들어오는 자가 있습니다. 1년 동안 교육받은 학도가 엄중한 군기(軍紀)를 따르지 않고 이처럼 망녕되고 경솔한 행동을 하였으니, 그 습관을 헤아려 보건대 너무도 놀랍습니다. 진실로 그 이유를 따져 보건대, 이는 필시 수창(首唱)하여 선동한 자가 있어 나이 어리고 지각 없는 자들이 모두 꼬임과 협박을 당해서일 것입니다. 해당 수창한 학도는 잡은 뒤에 조사하여 사실을 알아내어서 엄히 징계하고, 해당 대장(隊長) 육군 참령(陸軍參領) 이희두(李煕斗), 해당 중대장(中隊長) 육군 정위(陸軍正尉) 신우균(申羽均)ㆍ민영재(閔泳宰)ㆍ조희범(趙羲範)으로 말하면, 평상시 제대로 검속(檢束)하지 못한 책임을 면하기 어렵고, 무관학교 교관(武官學校敎官) 육군 공병 참위 김성은(金成殷), 학도대부(學徒隊附) 육군 참위 안철영(安喆榮)은 모두 당일 주번으로서 학도들이 물러나 나갈 때 제지하지 못한 책임을 역시 면하기 어렵습니다. 본관(本官)은 관리(管理)하는 직책에 있으므로 황송한 마음을 이길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교육을 받은 학도가 군기를 생각하지 않고 이렇게 망녕되고 경솔한 행동을 하였으니, 그 습관을 따져 보건대 참으로 너무도 놀랍습니다. 수창한 학도는 기어이 조사하여 사실을 알아내어서 그 죄를 엄히 징계하고, 해당 교장(校長) 이하 영관(領官)과 위관(尉官)으로 말하면, 평상시에 신경써서 단속하였다면 어찌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렀겠습니까. 학교장서리 법원장(學校長署理法院長) 백성기, 대장 참령 이희두, 중대장 정위 신우균ㆍ민영재ㆍ조희범, 당일 주번인 참위 김성은ㆍ안철영은 모두 면직하는 것으로 징계하고, 신 역시 황공한 마음으로 대죄합니다. 삼가 아룁니다.”
하였는데, 받든 칙지에,
“아뢴 대로 하라. 해를 넘기며 교육했던 곳에서 이런 해괴한 일이 있었으니, 평상시 제대로 단속하지 못한 교장 백성기와 통솔하는 직임에 있으면서 제대로 검칙하지 못한 학도대장(學徒隊長) 이희두, 중대장 신우균ㆍ민영재ㆍ조희범, 당일 주번인 위관 김성은ㆍ안철영은 모두 면직하라. 경도 경책하지 않을 수 없으니 1개월 감봉하겠다.”
하였다.
승정원일기 1902년 1월 10일
“방금 무관학교장임시서리 육군법원장(武官學校長臨時署理陸軍法院長) 육군 참장 백성기(白性基)가 올린 제2호 보고(報告)를 보니, ‘어제 오후 6시에 본교(本校)의 주번(週番)인 육군 공병 참위(陸軍工兵參尉) 김성은(金成殷)이 보고한 것을 보니, 「보병(步兵) 제1중대, 제2중대, 제3중대 및 각 병과(兵科)의 학도(學徒)들이, 자신들이 바라는 것을 언제 이룰지 막연하니 일찌감치 돌아가 생업에 안착하는 것이 낫다고 하면서 일치된 목소리로 물러가겠다고 청하였습니다. 그래서 꾸짖으며 달래기도 하고 권하여 들어가도록 하였는데 한결같이 따르지 않고 각자 물러나 나갔습니다.」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즉시 본교에 가서 일일이 검사하였더니, 현재 남아 있는 각과(各科)의 학도는 92인이었고, 그 밖의 학도들은 이미 물러가 흩어졌기 때문에 다시 소집하여도 사방으로 흩어져서 일제히 불러들일 수가 없었습니다. 혹 후회하여 스스로 온 자도 있고 혹 부형(父兄)이 데리고 온 자도 있으므로 엄히 신칙해서 학교에 들여보냈는데, 계속해서 점점 들어오는 자가 있습니다. 1년 동안 교육받은 학도가 엄중한 군기(軍紀)를 따르지 않고 이처럼 망녕되고 경솔한 행동을 하였으니, 그 습관을 헤아려 보건대 너무도 놀랍습니다. 진실로 그 이유를 따져 보건대, 이는 필시 수창(首唱)하여 선동한 자가 있어 나이 어리고 지각 없는 자들이 모두 꼬임과 협박을 당해서일 것입니다. 해당 수창한 학도는 잡은 뒤에 조사하여 사실을 알아내어서 엄히 징계하고, 해당 대장(隊長) 육군 참령(陸軍參領) 이희두(李煕斗), 해당 중대장(中隊長) 육군 정위(陸軍正尉) 신우균(申羽均)ㆍ민영재(閔泳宰)ㆍ조희범(趙羲範)으로 말하면, 평상시 제대로 검속(檢束)하지 못한 책임을 면하기 어렵고, 무관학교 교관(武官學校敎官) 육군 공병 참위 김성은(金成殷), 학도대부(學徒隊附) 육군 참위 안철영(安喆榮)은 모두 당일 주번으로서 학도들이 물러나 나갈 때 제지하지 못한 책임을 역시 면하기 어렵습니다. 본관(本官)은 관리(管理)하는 직책에 있으므로 황송한 마음을 이길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교육을 받은 학도가 군기를 생각하지 않고 이렇게 망녕되고 경솔한 행동을 하였으니, 그 습관을 따져 보건대 참으로 너무도 놀랍습니다. 수창한 학도는 기어이 조사하여 사실을 알아내어서 그 죄를 엄히 징계하고, 해당 교장(校長) 이하 영관(領官)과 위관(尉官)으로 말하면, 평상시에 신경써서 단속하였다면 어찌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렀겠습니까. 학교장서리 법원장(學校長署理法院長) 백성기, 대장 참령 이희두, 중대장 정위 신우균ㆍ민영재ㆍ조희범, 당일 주번인 참위 김성은ㆍ안철영은 모두 면직하는 것으로 징계하고, 신 역시 황공한 마음으로 대죄합니다. 삼가 아룁니다.”
하였는데, 받든 칙지에,
“아뢴 대로 하라. 해를 넘기며 교육했던 곳에서 이런 해괴한 일이 있었으니, 평상시 제대로 단속하지 못한 교장 백성기와 통솔하는 직임에 있으면서 제대로 검칙하지 못한 학도대장(學徒隊長) 이희두, 중대장 신우균ㆍ민영재ㆍ조희범, 당일 주번인 위관 김성은ㆍ안철영은 모두 면직하라. 경도 경책하지 않을 수 없으니 1개월 감봉하겠다.”
하였다.
승정원일기 1902년 1월 10일
기록 중에 가장 높은 공병 장교는 김기원(金基元)이다. 공병중대장을 맡을 때 공병 참령이었다. 다만 김기원은 정위 시절엔 보병 장교였고, 공병중대장을 맡기 위해 군종을 전환하였다.
병과장은 군부 포공국의 공병과장이었다.
2.5. 기타 병과
그 외에 치중병, 즉 병참 병과와 의무병과, 헌병 병과 등이 존재하였다.헌병의 경우 최고 계급자는 참령으로 확인된다. 헌병사령관에 참령급이 임용되기 때문이다. 1907년 4월 30일에 장봉환(張鳳煥)이 헌병 부령으로 진급한 사례가 남아 있다.
2.6. 특수사관
특수사관의 경우 군의관, 수의관, 약제사관, 군악사관 등이 있었다.2.6.1. 인사경리장교
영관급에서 1-3등 감독과 사계로 구분되었다.재정장교의 경우 영관급 장교는 1-3등 사계(司計)라고 하였다. 보병 부령 신좌균을 2등 사계로 임용
그 외의 인사나 군무를 담당하는 주계장교는 1-3등 감독(監督)을 두었는데 이들은 영관급 장교에 해당했다. 부령과 참령 사이에 기술된 2등 감독의 서술
위관급은 1-3등 군사(軍司)[10]가 있었다. 정위 정태석과 신창희를 1등군사로 임용 승정원일기 등을 보면 전투병과로 정위에 있던 인물이 1등군사로 전환되는 등의 기록이 있다.
육군 2등 감독(陸軍二等監督) 박준성(朴準成), 2등사계(二等司計) 신좌균(申佐均)ㆍ김종원(金宗源)ㆍ안준옥(安駿玉), 3등 감독(三等監督) 김동만(金東萬)ㆍ김증집(金增集)ㆍ김양한(金亮漢)ㆍ정광철(鄭光澈)ㆍ윤건(尹楗), 3등사계(三等司計) 안종익(安鍾益)ㆍ안규승(安奎承)ㆍ김관호(金觀鎬)ㆍ최진태(崔鎭泰)ㆍ이정복(李廷復), 1등 군사(一等軍司) 김태진(金泰進)ㆍ김응룡(金應龍)ㆍ최학재(崔學載)ㆍ안성호(安晟鎬)ㆍ추광엽(秋光燁)ㆍ권중익(權重翊)ㆍ윤정림(尹定林)ㆍ조상석(趙尙錫)ㆍ정민화(鄭敏和)ㆍ정봉림(鄭鳳林)ㆍ권중철(權重哲)ㆍ신두희(申斗熙)ㆍ홍건(洪)ㆍ유긍환(兪兢煥)ㆍ백남복(白南福)ㆍ오갑선(吳甲善)ㆍ오은영(吳殷泳)ㆍ유병선(劉秉璇)ㆍ전유성(全惟性)ㆍ현덕호(玄德鎬)ㆍ이병준(李秉濬)ㆍ이태원(李泰元)ㆍ이근상(李謹相)ㆍ이인팔(李寅八)ㆍ이정한(李貞漢)ㆍ전덕유(全德侑), 2등 군사 김승표(金承杓)ㆍ김명훈(金明薰)ㆍ안경흠(安慶欽)ㆍ박제호(朴齊浩)ㆍ박윤환(朴允煥)ㆍ나종배(羅鍾培)ㆍ장기원(張璂遠)ㆍ한인수(韓仁洙)ㆍ황철주(黃轍周)ㆍ문덕교(文悳敎)ㆍ이원재(李元宰)ㆍ이학래(李學來)ㆍ이응주(李應疇)ㆍ이석진(李錫璡), 3등 군사 김종복(金鍾復)ㆍ박기호(朴基浩)ㆍ박희상(朴禧相)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군대 해산 당시에 중령급인 2등 감독이 1명, 2등 사계가 3명이 제대하였다. 소령급인 3등 감독은 5명, 3등 사계는 6명이 제대했다. 영관급은 15명이 당시에 제대 처리되었다.
대위급인 1등 군사는 26명, 중위급인 2등 군사는 14명, 소위급인 3등 군사는 3명으로 총 위관급 43명이 제대했다.
2.6.2. 군의사관
군의관의 계급은 영관급인 1-3등 군의장(軍醫長), 위관급인 1-3등 군의(軍醫)로 구성되었다.○ 군부 군의(軍部軍醫)에 이기원(李基元), 최두현(崔斗鉉), 배기수(裵琦壽), 허현(許炫), 곽종귀(郭鍾龜), 정석영(鄭錫永)을 임용하였다.
승정원일기 1897-06-16
승정원일기 1897-06-16
첫 군의관 임용 사례는 1897년이다. 이 시기의 군의관들은 한의사로 추정된다. 승정원일기에 곽종귀라 적혔지만 기사에는 곽종구로 보도되었다. # 군에서는 양의사를 바로 확보할 수 없어서 공백기에 한의사를 이용하였다. 오늘은 구한 말 군의관 관련 이야기.
○ 육군 참령 이남하(李南夏), 정위 김태원(金泰元)을 교육부 참모관에 보하고, 육군 일등군사 안규승(安奎承)을 교육부 향관(敎育部餉官)에 보하고, 육군 부령 이희두(李煕斗)를 연성학교장(硏成學校長)에 보하고, 군의장(軍醫長) 김익남(金益南)을 군부 의무국 과장(軍部醫務局課長)에 보하였다.
승정원일기 1904-09-27
승정원일기 1904-09-27
군의관의 병과장은 군부 의무국과장이었다. 다만 1904년에 생긴 군부 편제들 중엔 실제론 작동하지 않은 것들이 많아서[11] 실제로 어떤 식으로 업무가 진행됐는지는 알기 어렵다.
○ 종2품 강홍대(康洪大)를 육군 삼등군의장(陸軍三等軍醫長)에 임용하고, 의학교 교관(醫學校敎官) 안우선(安祐璿)ㆍ한우근(韓佑根)ㆍ윤상만(尹相萬)ㆍ이병학(李秉學)ㆍ지성연(池成沇)ㆍ최국현(崔國鉉)ㆍ차현성(車顯聲)ㆍ강원영(姜元永)ㆍ이기정(李基正)ㆍ박세항(朴世恒)ㆍ홍종욱(洪鍾旭)ㆍ오장환(吳章煥)ㆍ주창겸(朱昌謙)ㆍ장기무(張基茂)ㆍ홍종은(洪鍾殷)ㆍ홍석후(洪錫厚)ㆍ윤중익(尹重翊)을 육군 삼등군의(陸軍三等軍醫)에 임용하였다.
승정원일기 1907-03-05
승정원일기 1907-03-05
최고 계급자는 2등 군의장(중령)을 지낸 김익남(金益南)이다. 1870년생인 김익남은 1896년 일본 도쿄의 지케이의학교에 입학하여 1899년 졸업하고 1년간 당직의원 과정을 거친 뒤 1900년에 귀국했다. 이후 의학교에서 교관으로 근무했는데, 김익남 이전에는 양의 자격을 갖춘 한국인 교관이 없었고 일본인 교관들이 가르쳤다. 1902년에 의학교에서 19명의 의사가 배출되었다. 이후에 의학교의 교관 등을 군의관으로 전환하였다. #
1900년대 들어서 한국에서도 의사 양성 과정이 생겨나고, 아직 사회가 양의학을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군이 먼저 의사들을 대거 채용하였다.
3등 군의장(三等軍醫長) 유한성(劉漢性)ㆍ강영구(康永句), 1등 군의(一等軍醫) 이승현(李昇鉉)ㆍ정기현(鄭基鉉)ㆍ한경교(韓景敎)ㆍ유지수(柳枝秀)ㆍ이기원(李基元), 2등 군의 김달식(金達植)ㆍ김현승(金顯承)ㆍ김성집(金性集)ㆍ최진협(崔鎭協)ㆍ박희달(朴熙達)ㆍ장홍섭(張鴻燮)ㆍ허균(許均)ㆍ채영석(蔡永錫)ㆍ이붕순(李鵬淳), 3등 군의 김상건(金相建)ㆍ김봉관(金鳳觀)ㆍ김병준(金秉濬)ㆍ최국현(崔國鉉)ㆍ안우선(安祐璿)ㆍ박종룡(朴從龍)ㆍ박동기(朴東冀)ㆍ박세항(朴世恒)ㆍ윤중익(尹重翊)ㆍ신정균(申鼎均)ㆍ장기무(張基茂)ㆍ한우근(韓佑根)ㆍ홍종욱(洪鍾旭)ㆍ홍종은(洪鍾殷)ㆍ홍종후(洪鍾厚)ㆍ오장환(吳章煥)ㆍ유병필(劉秉珌)ㆍ강원영(姜元永)ㆍ주창겸(朱昌謙)ㆍ차양식(車壤植)ㆍ차현성(車顯聲)ㆍ지성연(池成沇)ㆍ이기정(李基正)ㆍ이병학(李秉學)ㆍ이규영(李奎濚)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군의관은 대대 단위에 1명씩은 배정되었기 때문에 1907년 군대 해산 당시에 제대한 군의관의 숫자가 41명에 달했다.[12] 연대급에도 배치되었고, 포병중대 등 중대급에도 배치된 경우들이 있었다.
군의들은 경성의학교와 같은 곳에서 양의학을 수학한 이들이 다수였으나, 유지수와 같이 한의학을 독학한 이들도 있었다.
2.6.3. 수의사관
군마 등을 관리하는 수의관은 위관급 계급인 1-3등 수의(獸醫)가 존재했다. 군의관과 마찬가지로 영관급이 되면 1-3등 수의장이 됐을 거라 추정됐지만, 군대 해산 당시에 수의관은 전부 소위급인 3등 수의 5명이 다였다.○ 육군 포병 중대 의관(陸軍砲兵中隊醫官) 육군 삼등수의(陸軍三等獸醫) 김창성(金昌成), 진위 보병 제3대대부(鎭衛步兵第三大隊附) 육군 보병 참위(陸軍步兵參尉) 오천묵(吳天默)에게 휴직(休職)을 명하였다.
승정원일기 1906-05-05
승정원일기 1906-05-05
수의관이 군대에 처음 들어온 것은 1904년으로 추정된다. 보직을 살펴보면 포병 부대나 기병 부대와 같이 군마가 필요한 곳에 배치되었다.
3등 수의(三等獸醫) 김창성(金昌成)ㆍ이희준(李喜俊)ㆍ장원식(張元植)ㆍ차윤문(車潤文)ㆍ도재희(陶在喜)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2.6.4. 약제사관
약사 역할을 하는 1-3등 약제관(藥劑官)이 존재했다. 위관급으로 추정된다. 군대 해산 당시 대위급으로 추정되는 1등 약제관이 1명, 소위급으로 추정되는 3등 약제관이 6명이었다.
○ 육군 삼등약제관(陸軍三等藥製官) 이교승(李敎承)을 육군 위생원부(陸軍衛生院附)에 보(補)하였다.
약제사관은 1906년에 처음 입대한 것으로 추정된다.
1등 약제관(一等藥製官) 유세환(劉世煥), 3등 약제관 태인선(太仁善)ㆍ김익창(金益昌)ㆍ김성진(金聲鎭)ㆍ송헌술(宋憲述)ㆍ이교승(李敎承)ㆍ이동진(李東珍)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2.6.5. 군악사관
1등 군악장(一等軍樂長) 백우용(白禹鏞), 3등 군악장 강흥준(姜興俊)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출처: 1907년 군대 해산 장교단 명부
군악사관은 1-3등 군악장이 존재했는데 위관급이었다. 이들은 서양식 음악을 맨땅에서부터 준비해야 했는데, 프란츠 에케르트에게 위플래쉬처럼 맞아가며 배웠다. 서양 음악을 배운 적이 없는 사병들이 4개월만에 공연을 할 정도가 되었다고 하니 얼마나 빡세게 훈련했는지 알 수 있다.
1880년생인 백우용 같은 경우에 원래 보병 참위로 1902년에 임용됐지만, 1904년에 3등군악장(참위)으로 임용되어 군악 병과로 넘어왔다. 한성덕어학교 출신인 백우용은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어 에케르트의 통역으로 붙었다가 이후에 관악을 공부하였다. 20대가 넘어 악기를 베운 셈이다. 서양음악 선구자 백우용의 후손들
군악중대(軍樂中隊) 정교(正校) 강흥준(姜興俊)을 삼등군악장(三等軍樂長)에 임용하였다.
승정원일기 1907-01-26
승정원일기 1907-01-26
강흥준 같은 경우엔 사병이었으나 특별임관으로 장교로 전환하였다.
3. 편제
최고위 군사 편제는 여단과 혼성여단이었다. 실록위키에 따르면 여단 편제는 1898년 1월 26일 경외의 각 부대를 여단으로 편성하라는 고종의 조칙에서 처음 언급된다. 시위대와 친위대는 각 2개 연대 약 4000명 규모로 여단급 규모를 갖추었으나 실제로 여단 편제를 띄지는 않고 개별 연대가 원수부에 직접 속했다.이와 별개로 관병식 때에 임시 혼성여단을 꾸려 퍼레이드를 벌이기도 했다. 임시혼성여단은 보병 2개 연대와 기병 및 포병 각 1개 중대로 구성되었다. 그러다 1907년 대한제국 2차 군축 당시 시위혼성여단이 등장하며 중앙군이 비로소 여단급 부대가 되었으나 실상 이는 일본이 한국군을 해체하기 직전에 임시로 모아 놓은 형태에 불과했다. 해산 직전 시위혼성여단은 시위보병 2개 연대와 시위기병 1개 대,[13] 시위야전포병 1개 대와 시위공병 1개 대로 구성되었다.
대한제국군의 여단 편제가 군사적으로 제대로 기능하기에는 미흡함이 많았을 것이라 예상된다. 근본 제식 교범인 <보병조전>에는 연대와 여단의 교련 방식에 대한 언급이 있기는 하나 구색만 갖춘 수준으로 매우 내용이 소략하다. 이는 주한 러시아 군사 고문단의 교육이 주로 중대급 이하 소부대 훈련에 맞추어져 있던 것과 무관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보병조전은 이 시기에 편찬되었기 때문. 또한 조승옥의 <육군사관학교: 그 역사의 뿌리를 찾아서>에 따르면 무관학교 생도들의 전술학 교육은 최대 대대급까지였다.[14]
한편 <야외요무령>이나 <육군예식> 등의 규범에 따르면 사단과 사단장에 대한 규칙 역시 언급된다. 야외요무령에 따르면 대한제국 육군 사단은 전략 단위이며, 보병 2개 여단(4개 연대), 기병 1개 연대, 야전포병 1개 연대, 공병 1개대대, 가교종렬 1열, 탄약 1개 대대, 치중 1개 대대와 야전위생부로 구성된다. 당대의 일반적인 사각편제 사단을 목표로 했음을 엿볼 수 있다. 대한제국 중앙군의 규모 자체는 미흡하게나마 1개 사단에 필적했으나,[15] 상설 여단조차 꾸리지 못한 상황에서 실제로 사단을 편성할 정도에는 이르지 못한 채 러일전쟁을 맞았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육군예식>에 따르면 사단장은 13발의 예포를 받을 수 있었다.
한편 관서지역에는 '관서사령부'라는 이름의 제대가 존재했음이 실록에 언급된다. <대한제국의 군사제도>에 따르면 이는 변방 방위의 중요성으로 인해 1902년 신설된 제대로, 평안남도 관찰사 이도재, 이후 민영철에게 지휘권이 주어졌다. 예하부대는 평양의 진위 제4연대와 의주의 진위 제6연대였다. 이 지역은 러시아와 일본의 충돌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던 지점이며 동시에 청비들이 남하하며 국경을 침범하던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예외를 제외하고 사실상의 최고 편제는 10개의 연대들이었다. 친위 2개 연대, 시위 2개연대가 중앙군을, 진위 6개 연대가 지방군을 구성했다. 한편 실제 병력운용의 중추를 맡은 것은 연대본부보다는 각 대대와 중대였다. 군사력의 중추인 대대와 중대는 기본적으로 러시아 제국군의 편제를 따랐다. 1개 대대는 5개 중대로 구성되었으며 1개 중대는 4개 소대가 모여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 편제는 한국이 일본의 영향하에 장악당한 1905년 4월부로 개편된다. 일본군식 편제가 다시 이식된 것. 이때부터 4개중대가 모여 1개 대대를 구성하게 된다.
각 부대의 예하제대 구성은 부대별로 시기별로 차이가 조금씩 나는 편이다. 우선 러일전쟁 발발 직전 기준 중앙군인 시위대의 경우 2개 연대를, 개별 연대가 보병 2개 대대와 포병 1개 대대를 갖추었다. 이와 별개로 시위기병대대는 독립대대의 형태로 원수부에 속했다. 친위대 역시 2개 연대 체제였으나 개별 연대가 보병 2개 대대로 구성되었으며 원수부 직할로 공병중대와 치중중대를 갖추었다. 지방군인 진위대는 6개 연대와 1개 대대 규모였으며 개별 연대는 보병 3개 대대만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헌병대의 최고 제대는 사령부였고 그 밑에 바로 중대가 편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한제국군 호위대는 1개 대대 규모였다.
그러다 일본이 주도한 1905년 4월 1차 군축 당시 친위대가 해체되고 진위연대들도 해체되어 진위대대들로 감편된다. 시위대 역시 3개 대대로 구성된 1개 연대로 감축되었다가 1907년 제2차 군축 당시 시위혼성여단으로 잠시 증편된다.
이하는 러일전쟁 개전 당시 편제이다.
- 대한제국군 친위대
- 친위 제1연대
- 제1대대
- 제2대대
- 친위 제2연대
- 제1대대
- 제2대대
- 곡호대
- 공병중대
- 치중중대
- 대한제국군 시위대
- 시위 제1연대
- 제1대대
- 제2대대
- 포병대대
- 시위 제2연대
- 제1대대
- 군악대
- 제2대대
- 포병대대
- 시위기병대대
- 군악대
- 대한제국군 헌병대
- 헌병사령부
- 본부
- 제1중대
- 제2중대
- 제3중대
- 제4중대
- 제5중대
4. 징병제
서인한의《대한제국의 군사제도》에 따르면 징병제 논의는 1894년과 1895년에 최초로 언급되었으나 당시의 국가 상황으로 인해 고종에 의해 거부되었다. 그러다 1901년 원수부에서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18세에 입대하여 3년간 복무하는 형태의 징병제를 제안하나 여론의 반대로 실현하지 못했다.그러다 1903년 3월 15일, 황제 고종이 원수부에 징병제 도입을 준비하라고 명령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다. 원수부는 선비-후비-예비-국민병 형태의 징병제도를 연구하였다. 이는 동시대 일본의 그것을 강하게 참고한 형태였다. 그러나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연말이 되도록 징병제는 시행되지 못하였다. 동년 12월 13일 고종이 이에 대해 질책하는 조서를 내리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로부터 두 달 뒤인 1904년 2월 러일전쟁이 발발하며 대한제국의 국민개병제 계획은 수포로 돌아간다.
5. 보부상과의 관계
대한제국 육군은 황실을 떠받치던 또다른 축이었던 보부상 집단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황국협회를 구성하던 주요 세력이었던 상무사의 보부상들은 원수부 설치 이후인 1900년 5월부터는 상무영을 구성하고 일부를 선발해 군사훈련에 들어간다.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 이래로 보부상들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근대적 경찰력이 아직 맹아 상태에 있던 과도기에 황실의 수족으로서 각 지역에 파견되어 치안 업무에 종사하였다.[16]그리고 1903년 보부상의 도수령이었던 길영수는 일본과 러시아의 위협에 맞서 한국의 무장중립을 추구하던 내장원경 이용익 파의 뜻을 따라 6만의 보부상들을 40개의 대대로 개편하려 하였으며 그 방안과 지원을 고종황제에게 요청한다.[17]
6. 교육
6.1. 장교 교육
육군무관학교와 육군연성학교, 육군유년학교가 존재했다. 무관학교는 오늘날 사관학교의 기능과 동일하였으며 장교를 양성하는 역할을 맡았다. 1896년 최초 창설시 교육기간은 1년이었으나 1898년부로 속성과인 1과와 2과는 군부대신이 정하는 기한 동안 훈련을 받되 정규과정인 3과는 5년간 교육을 받도록 되어 있었다. 부지는 구 훈련도감 신영 자리에 위치했다. 초대 교장은 연무공원에서 윌리엄 다이 준장에게 근대식 군사교육을 받은 이학균[18]이었다. 조승옥에 따르면 이학균 참장은 1903년까지 교장을 역임하며 무관학교의 기틀을 다졌다.국군 군사편찬연구소가 편찬한 <군사교범, 근대군사교육의 시작>에 따르면 무관학교의 학과는 전술학, 군제학, 병기학, 축성학, 지형학, 위생학, 마학, 외국어학 총 8개 학과로 구성되었다. 사용하던 교범은 총 12권으로 전술학 부문에 "보병조전", "전술학교정", "야전요무령"과 "보병공작교범" 4권, 축성학 부문에 "축성학교정", 군제학에 "군제학교정", 병기학 부문에 "병기학교정", "사격교범", "보병사격교범" 3권, 지형학에 "지형학교정", 위생학에 "위생학교정", 마학에 "마학교정"이 있었다.
초기 교육은 외국의 군사학 교범들을 그대로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이 때문에 개설된 강의 중에서는 어학 강좌의 비중이 40%가량으로 매우 큰 편이었다. 무관학교에서 어떤 언어를 가르쳤는지는 불명이나 가장 가능성 높은 언어들은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와 일본어 6개 언어이다. 보병조전과 전술학교정 등의 한국어 군사교범이 편찬된 이후에는 자체 교범을 두고 생도들을 가르쳤다. 당시 무관학교에서 가르치던 수업 내용과 교범들은 이후 제국군 출신 독립지사들을 통해 독립군으로 흘러들어가 신흥무관학교 등지에서 후학들을 양성하며 맥을 잇게 된다.
유년학교는 무관학교 입학을 위해 설치된 초등군사교육기관으로, 교육기간은 3년이었다. 연성학교는 일종의 고등군사교육기관이며 장교와 부사관의 전술 및 검술 등의 보수교육과 군사학 연구를 위해 설치된 학교였다. 그러나 두 학교 모두 일제가 러일전쟁으로 한국의 정국과 군사력을 사실상 장악한 1904년 9월에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기능하지 못했다.
한편 특이 기관으로 참령 시절 북청진위대에서 복무하던 이병무가 '북청사립무관학교'를 세운 바 있다. 존속 기간은 불명이나 1899년부터 1900년 말까지는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며, 인사기록에는 장명근이라는 초급장교가 1900년 8월 11일 이곳의 교관에 보임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동년 12월 29일자 황성신문 기록에 따르면 이 사립무관학교에서는 100명의 학도들을 모아 훈련시켰다고 한다. 이후 육군무관학교에서 이들에 대한 시험을[19] 치러 6명이 합격하였다고 한다.
6.1.1. 특별임관
마지막으로 특별임관 방식이 존재하였다. 무관학교 1회 졸업생 배출 직후인 1900년 3월 27일자 칙령에 따르면 무관 임명은 무관학교 졸업생 중 원수부 시험을 통과한 사람을 임명하지만, 그 외 군무에 숙달된 자는 졸업증서가 없어도 임명할 수 있다고 예외 조항을 두어 무관학교에 입학할 수 없을 정도로 나이가 많은 이들을 배려했다.다음은 승정원일기에서 정교에서 참위로 임용된 사례이다.[20]
1902-07-06
○ 정교(正校) 진하일(陳河一)ㆍ신성희(申聖煕)ㆍ이석응(李奭應), 9품 김명선(金明善)을 육군 보병 참위(陸軍步兵參尉)에 임용하였다.
1902-09-22
정교(正校) 최영순(崔永淳), 장제철(張濟喆), 이효진(李孝鎭), 김석주(金錫周), 박기수(朴基洙), 정관섭(鄭觀燮), 김인창(金仁昌), 손계오(孫啓五), 최중선(崔仲善)을 육군 보병 참위에 임용하였다.
1903-01-17
정교 송병식(宋秉式)을 육군 보병 참위에 임용하였다.
1904-02-26
○ 정교(正校) 곽치대(郭致大)를 육군 보병 참위에 임용하고, 육군 참위 구의조(具懿祖)를 육군 부위(陸軍副尉)에 임용하였다.
○ 정교(正校) 진하일(陳河一)ㆍ신성희(申聖煕)ㆍ이석응(李奭應), 9품 김명선(金明善)을 육군 보병 참위(陸軍步兵參尉)에 임용하였다.
1902-09-22
정교(正校) 최영순(崔永淳), 장제철(張濟喆), 이효진(李孝鎭), 김석주(金錫周), 박기수(朴基洙), 정관섭(鄭觀燮), 김인창(金仁昌), 손계오(孫啓五), 최중선(崔仲善)을 육군 보병 참위에 임용하였다.
1903-01-17
정교 송병식(宋秉式)을 육군 보병 참위에 임용하였다.
1904-02-26
○ 정교(正校) 곽치대(郭致大)를 육군 보병 참위에 임용하고, 육군 참위 구의조(具懿祖)를 육군 부위(陸軍副尉)에 임용하였다.
6.2. 외국 군사고문단의 훈련
아관파천 와중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파견된 조선 사절단은 차르를 알현하고 군사고문 파견을 약조받는다. 1896년 7월 2일 러시아 측에서는 군사고문들을 통해 친위대를 훈련하고 재정고문 역시 파견해 줄 것을 약속한다.동년 8월부터 10월까지 속속들이 입국한 러시아 군사고문단은 총 14명으로, 단장은 푸챠타 대령이었다. 이들은 10월 말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우선 친위대에서 정예병 800명을 선발, 이들을 5개중대로 구성된 1개 러시아식 대대로 개편하여 훈련에 들어갔다. 10명의 하사관이 각각 80명의 조선군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이듬해인 1897년 3월 신편 시위대 제1대대가 된다. 동시에 러시아군의 교범을 번역하는 작업이 추진되면서 이 시기에 "보병조전"이 최초로 편찬된다.
러시아 군사고문단은 고종의 칭제 이후에도 한동안 머무르며 한국군을 훈련시켰으며 160명으로 고문단 수를 늘려 6000명의 한국군을 훈련시키려는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러시아 고문단의 군권장악을 경계한 한국 조야의 반러 운동과 러시아 내의 대한정책 변화로 인해 1898년 3월에 철수한다. 그러나 러시아군으로부터 배운 바를 한국군 교관단이 여타 부대에 전파하면서, 신식 러시아 군제는 점차 전 한국군으로 전파된다.
그 외 1901년 경 주한프랑스공사관 소속 프랑스군 국방무관 비달 소령이 한국 군사고문직에 상당한 관심을 보인 바 있다.
6.3. 군사 유학
군사 유학은 갑오개혁의 여파로 인해 주로 일본육군사관학교로 갔다. 일본 유학은 가까운 곳에서 우수한 군사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한편으로는 가상적국에 영합한 친일파들이 생겨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이병무와 어담. 하지만 모든 일본육사 유학파들이 변절하지는 않았다. 대표적으로 독립운동가 노백린과 이갑, 유동열이 일본 유학파 출신이다.박단비의 논문 <대한제국 시기 한인의 일본육사 입교와 졸업 후 동향>에 따르면 일본육사로의 본격적인 유학이 시작된 것은 칭제 전인 갑오개혁 때이다. 당시 친일내각은 게이오의숙 교장 후쿠자와 유키치와 연계하여 유학생들을 파견했다. 한인유학생들은 게이오의숙에서 일본어와 보통학을 배우고 세이조(成城)학교[21]를 거쳐 일본 육사에 입교했다. 1896년 8기, 1898년 11기가 입교했다. 아관파천과 칭제 이후 정부 차원의 일본군사유학은 중단되었으나, 대신 사비유학생들은 1902년에 15기로 입교했다. 일본육사 출신자들은 원수부 회계국장 민영환의 건의로 주로 한국 육군무관학교 교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다 일본이 한국을 장악한 후 곳곳의 요직으로 진출했다.
그 외 러시아 군사학교에 생도들이 파견된 기록 역시 존재한다. 소설가 현진건과 독립운동가 현정건 형제의 맏형인 현홍건이 대표적인 사례. 한편 프랑스 생시르 사관학교에 한 생도가 입학한 기록도 남아 있다. 다름 아닌 외교관 이위종이 바로 그이다. 1900년 한국 정부의 요청으로 입학했다. 그와 상술한 전술학교정 편찬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는[22] 아직까진 불명이다.
6.4. 부사관 및 병 교육
오늘날 국군의 육군부사관학교나 육군훈련소와 같은 부사관 및 병 양성교육기관은 존재하지 않았다. 육군연성학교가 부사관에 대한 교육도 담당하긴 했으나 연성학교가 개교한 시기는 이미 러일전쟁이 발발한 후였기에 별 의미가 없었다. 대신 제식훈련교범으로써 기능하던 "보병조전"에 중대장 이상급 지휘관의 책무로 부하를 교육하는 책임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어, 이들에 대한 교육은 각 부대에서 "보병조전"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리라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다만 참교 출신 독립운동가 안무의 이력 중 '경성 교련관양성소'를 수료하였다는 기록이 독립운동사전에 남아 있다. 교련관은 사법(射法)·병서강(兵書講)·진법(陳法)의 3기(三技)의 시험을 치러 선발하였다. 교련관이 1895년 이후에도 남아 있던 것이 공식적으로 확인된다면[23] 이들이 병들에 대한 교육을 담당했다고 추정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7. 출신 인물
7.1. 장성급
- 한규설
부장. 참정대신 등 역임. 을사조약에 반대하다 해임됨. - 민영환
부장. 내부대신 등 역임. 을사조약에 반대하며 자결 - 이도재
부장. 내부대신 등 역임. - 이병무
부장. 군부대신. 정미칠적, 경술국적. - 이근택
부장. 원수부 회계국총장 및 군부대신 역임. 을사오적. - 이봉의
부장. 원수부 검사국 총장 등 역임. 친일반민족행위자 - 김승규
참장. 육군연성학교장 등 역임 - 김영진
참장. 군부 교육국장 등 역임 - 백성기
참장. 육군법원장 등 역임 - 양성환
참장. 시위혼성여단장 등 역임 - 원우상
참장. 육군법원장 등 역임 - 이학균
참장. 육군무관학교장 등 역임 - 장화식
참장. 군부 군무국장 등 역임 - 정기택
참장. 함경북도 관찰사 등 역임 - 윤영렬
참장. 경무사 등 역임 - 이재각
참장. 친일반민족행위자 - 엄준원
참장. 친일반민족행위자 - 민상호
참장.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성근
참장. 군부 참모국장. 훗날 일본군 중장 - 조동윤
참장. 배종무관장 등 역임. 훗날 일본군 중장 - 이희두
참장. 육군무관학교장 등 역임. 훗날 일본군 중장
7.2. 영관급
- 노백린
정령. 육군연성학교 교장. 훗날의 임시정부 군무총장 - 어담
정령. 시종무관. 훗날의 일본군 중장. - 현흥택
정령. 친위제1연대장. - 왕유식
부령. 근위보병대대장. 훗날의 일본군 소장. - 김성은
부령. 공병대에서 복무. - 윤치성
부령. 기병대에서 복무. 독립운동가 - 김인수
참령. 시종무관. 훗날의 남러시아군 소장 - 김정우
참령. 육군군기창장. - 박승환
참령. 시위 제1연대 1대대장으로 복무 중 군대해산에 반대하여 자결 - 이기표
참령. 시위 제2연대 1대대장. - 이동휘
참령. 강화진위대대장. 훗날의 독립운동가 - 유동열
참령. 시위기병대대장. 훗날의 미군정 통위부장. - 이갑
참령. 육군무관학교 학도대 중대장. 훗날의 독립운동가 - 김혁
참령. 훗날의 독립운동가 - 김응선
참령. 훗날의 일본군 소장 - 현상건
참령. 훗날의 독립운동가 - 황학수
최종계급 불명. 육군유년학교 교관. 훗날의 독립운동가 - 이복원
최종계급 불명. 육군연성학교 교관. 훗날의 광복군 3지대장.
7.3. 위관급 이하
- 신팔균
정위. 강계진위대 복무. 훗날의 신흥무관학교 설립자 - 현덕호
정위. 훗날 정미의병운동 중 전사 - 오의선
정위. 시위대에서 복무 중 군대해산에 분개하며 자결 - 김좌진
최종계급 불명,[24] 훗날의 북로군정서 총사령관 - 나중소
부위. 진위대에서 복무. 훗날의 북로군정서 참모부장 - 권중협
부위. 시위대에서 복무 중 남대문 전투에서 전사 - 이장녕
부위. 훗날의 독립운동가 - 신규식
부위. 훗날의 독립운동가 - 김규식
부위. 훗날의 독립운동가 - 남상덕
참위. 시위대에서 복무 중 남대문 전투에서 전사 - 이준영
참위. 시위대에서 복무 중 남대문 전투에서 전사 - 이긍주
참위. 시위대에서 복무 중 남대문 전투에서 전사 - 조성환
참위. 훗날의 독립운동가 - 민긍호
특무정교. 훗날의 의병 13도 창의군 관동창의대장 - 안무
참교. 경성 진위대 본부 교련관. 훗날의 독립운동가 - 김석원
무관생도. 훗날의 일본군 대좌, 대한민국 육군 소장 - 지청천
무관생도. 훗날의 광복군 총사령, 대한민국 무임소장관. - 이응준
무관생도. 훗날의 일본군 대좌, 대한민국 육군 중장 - 유승렬
무관생도. 훗날의 일본군 대좌, 대한민국 육군 소장 - 신태영
무관생도. 훗날의 일본군 중좌, 대한민국 육군 소장 - 홍사익
무관생도. 훗날의 일본군 중장, 전쟁범죄자
7.4. 계급 불명
- 이능권
강화진위대 출신 의병대장
8. 여담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대한제국군]]}}}{{{#!if external != "o"
[[대한제국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uuid=9859aeac-5325-4244-aaec-cfacb2e4b032|r83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uuid=9859aeac-5325-4244-aaec-cfacb2e4b032#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대한제국군?from=83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대한제국군]]}}}{{{#!if external != "o"
[[대한제국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uuid=9859aeac-5325-4244-aaec-cfacb2e4b032|r83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한제국군?uuid=9859aeac-5325-4244-aaec-cfacb2e4b032#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대한제국군?from=83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1898년 헨리 아펜젤러가 촬영한 대한제국군 시위대의 사진이다.[2] 출처: 국립민속박물관[3] 아래의 기병 최고 계급자였던 그 이태래 맞다. 정령으로 진급할 때 병과가 보병으로 바뀌었다. 기병연대장이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4] 게티 이미지의 업로더는 사진을 두고 한국에 주둔한 일본군이라고 적어뒀지만, 군모 상단에 이화문이 새겨진 점이나 수염의 형태로 볼 때 구 한국군의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해 보인다. 한국군이나 일본군이나 당대에 비슷한 군복을 입었고, 직접 생산하기 전에는 일본의 군복을 수입해다 쓰기도 했기에 일본군과 비슷했다. 하지만 군모는 세창양행에서 따로 수입해왔고 이화문을 넣어 차이점을 주었고, 케피모의 형태도 일본과 약간 달랐다.[5] 1901년 미국의 사진사인 버튼 홈즈가 대안문 앞에서 촬영한 27초 분량의 영상이다.[6] 대한제국 성립 이전인 1895년에 참령인 조희문(趙羲聞)이 군부의 마정과장을 지내는 등 기병 관련 업무를 맡았다.[7] 대한제국군 시위대 기병대대에서 근무했고 군대 해산 후에 항전을 하다가 1919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했다. 군무부차장을 지냈는데 이후에 일본과 타협하여 조선으로 돌아가 살았다. 198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가 친일 행적이 드러나 1996년에 서훈이 취소되었다.[8] 어담은 1900년에 아직 병과가 명시되지 않던 시절에 참위로 임용되어, 일본 유학을 다녀온 뒤 1901년에 김교선과 함께 포병 참위로 임용되었다. 이후 1903년까지 참위 계급이었다가 1904년에 정위, 1905년에 참령으로 쾌속 진급했다. 근데 같이 유학 다녀온 노백린도 군대 해산 때 보병 정령으로 퇴역한 걸 보면, 어담이 특별히 일본의 혜택을 본 건 아니고 그냥 일본군에 유학했던 장교들이 진급이 빨랐던 것으로 보인다.[9] 그날 임명된 병과별 장교들은 모두 육군무관학교 교관으로 임명되었던 점을 볼 때, 각 병과 육성을 위해 유학을 다녀온 뒤에 처음으로 정식으로 병과 장교로 임용된 것으로 추정된다.[10] 본래는 군사마(軍司馬)의 준말로 보인다. 하지만 대체로 군사라고 표기하고 군사마라 표기한 일은 거의 없었다.[11] 편제상으로는 참모부도 존재했고, 해군을 담당하는 해방국도 설치되었다.[12] 소령급인 3등군의장이 2명, 대위급인 1등군의가 5명, 중위급인 2등군의가 9명, 소위급인 3등군의가 25명이었다.[13] 중대급이었다.[14] 정확히는 보병 병과가 대대까지, 나머지 병과는 중대급까지 배웠다.[15] 보병의 경우 시위, 친위 합쳐 4개 연대에 번상한 평양진위대대까지 존재하였기에 숫자를 맞출 수 있다. 그러나 포병의 경우 연대급으로 편성하기에는 규모가 미흡했고 공병과 치중병, 기병은 각각 대대에서 중대급에 불과했다.[16] 출처: <대한제국의 개혁이념과 보부상>[17] 출처: 1903~1904년 대한제국의 대러시아 대응론과 정책의 추이[18] 최종계급 육군참장.[19] 입학 시험인지 임관 시험인지는 불명이나,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20] 원사급인 특무정교는 1904년에서 1905년 이후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시기가 되면 부사관의 장교 임용 자체가 보이지 않게 된다.[21] 일본육사 입학 코스 중 하나였던 학교다.[22] 정확히 말하자면 전술학교정의 참고문헌으로 사용한 생시르 사관학교의 교범을 어떻게 구하였는지[23] 실록위키에 따르면 이들은 1895년 을미개혁 당시 구 군제 혁파 과정에서 사라졌다.[24] 참위 임관은 확실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