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11:11:36

EMBER: Obsidian Protocol/게임 규칙/병영 및 무기고/UN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MBER: Obsidian Protocol/게임 규칙/병영 및 무기고
파일:EMBER: Obsidian Protocol_logo.jpg
옵시디언 프로토콜 관련 정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세계관 설정 ]
설정 문서
공식 연표 옵시디언 프로토콜 달도시 슬레이프니르 유적과 블랙박스
유닛 유형 공식 소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게임 규칙 ]
게임 규칙
게임 소개 주요 개념 게임 진행
이동 규칙 전투 규칙 미션 및 시나리오
(메인미션&세컨더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플레이어블 팩션 ]
【병영 및 무기고】
(옵시디언 프로토콜 제품 목록)
[ RDL ]
RDL 설정/RDL 부품
[ UN ]
UN 설정/UN 부품
[ GOF ]
GOF 설정/GOF 부품
[ PD ]
PD 설정/용병 부품
[ 로그 AI ]
로그 AI 설정 / 로그 AI 부품
}}}}}}
{{{#!folding [ 게임 역사 및 이벤트 ]
게임 역사 및 이벤트
토너먼트 코드 42 }}}

1. 개요2. 특징3. 부품
3.1. 토르소
3.1.1. TM31C "그레이울프" 전투 코어3.1.2. TM31KC "그레이울프" KC형 실험 코어 (◆)3.1.3. TM31R "카라칼" 전투 코어3.1.4. TM31RS "블랙 캣" 지원 코어(, ◆)3.1.5. TM31Q "와일드캣" 전투 코어 (◆)3.1.6. TM35B "바이슨" 돌격 코어3.1.7. TM35BT "타우러스" 실험 코어(◆)3.1.8. TM35N "엘리게이터" 전자전 코어3.1.9. TM35NA "나일" 전자전 코어(LAB 제품, ◆)3.1.10. TM39 "바이퍼" 저피탐 코어3.1.11. TM39B "바이퍼 II" 저피탐 코어3.1.12. TM39D "코브라" 전술 코어(LAB 제품, ◆)3.1.13. TM641 "옥토퍼스" 은폐 코어3.1.14. TM641O "옥토퍼스" 은폐 코어 - 시험기 (LAB 제품)
3.2. 섀시
3.2.1. LM231 표준 섀시3.2.2. LM210S 은폐 섀시3.2.3. LM210SO 은폐 섀시 - 시험기 (LAB 제품)3.2.4. LM213B 격투 섀시
3.3. 무장
3.3.1. 오른팔
3.3.1.1. G6 샷건 + M5 파일벙커3.3.1.2. IGX350 이온 샷건3.3.1.3. IGX920 헤비 이온 건3.3.1.4. M3S 바이브로블레이드3.3.1.5. M4 바이브로블레이드 + 유탄 포드3.3.1.6. M15BO "카타나"3.3.1.7. MDXS "페어리" 시스템 + R6 SMG(킥스타터 전용, ★)3.3.1.8. R33 스나이퍼 라이플3.3.1.9. R6 SMG3.3.1.10. R6SD SMG3.3.1.11. R7 오토매틱 라이플3.3.1.12. R7K 택티컬 라이플3.3.1.13. R9B 택티컬 라이플3.3.1.14. RH21 피스톨 + M3 바이브로블레이드3.3.1.15. RHX23 "레인스톰" 어썰트 피스톨(킥스타터 전용, ★)3.3.1.16. S100 실드 + R6SS SMG3.3.1.17.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시험기(LAB 제품)3.3.1.18. [G&T] 미니 토너먼트 트로피(토너먼트 상품, ★)3.3.1.19. K21 헤비 네일 건(◆)3.3.1.20. XTC 라이트 암(◆)3.3.1.21. R33S 스나이퍼 라이플(◆)3.3.1.22. R7MG LMG(◆)
3.3.2. 왼팔
3.3.2.1. G6 샷건 + 유탄 포드3.3.2.2. K7 네일 건 + S10 실드3.3.2.3.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3.3.2.4. M3S 바이브로블레이드3.3.2.5. M4 바이브로블레이드 + 유탄 포드3.3.2.6. MDXS "페어리" 시스템 + R6 SMG(킥스타터 전용, ★)3.3.2.7. MX82 멀티펑셔널 윕3.3.2.8. MSH1 어시스턴트 암3.3.2.9. RH21 피스톨 + M3 바이브로블레이드3.3.2.10. RHX23 "레인스톰" 어썰트 피스톨(킥스타터 전용, ★)3.3.2.11. RKG70 미사일 포드3.3.2.12. S100 실드3.3.2.13. S100 실드 + 유탄 포드3.3.2.14. S9 "메테오" 실드 + M5 파일벙커3.3.2.15. S9 "메테오" 실드 + IGX106 이온 샷건3.3.2.16.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시험기(LAB 제품)3.3.2.17. S100 실드 + R6SS SMG (◆)
3.4. 백팩
3.4.1. AMD210 "델피니움" 캐리어3.4.2. CSC60 쿨러3.4.3.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 랙3.4.4.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3.4.5. EC50 전자전 포드3.4.6. GSD2A "폴커스" 마인 랙3.4.7. JP1 제트팩3.4.8. JP5 모빌리티 인헨스먼트 팩 3.4.9. MSH2 스테빌라이저 암3.4.10. OCSP 오버로딩 팩3.4.11. RKG70 아뮤니션 팩3.4.12.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LAB 제품)3.4.13. 블랙박스 운반 랙 (◆)
3.5. 발사체 / 설치물 / 드론
3.5.1. M7 유탄3.5.2.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3.5.3. M9 섬광탄3.5.4. RKG70 미사일 그룹3.5.5. SGM2 "폴커스 자동 지뢰
3.5.5.1. SGM2 "폴커스 자동 지뢰(전개)
3.5.6. AMD210 "델피니움" 자동 방어 시스템3.5.7. ADK15D "포큐파인" CIWS 타입3.5.8. ADK15ART "포큐파인" 페인트 타입 (◆)3.5.9. ADK15/MAS "포큐파인" 극초단파 타입3.5.10. ADK15P "포큐파인" 이온 타입3.5.11. ADK30F "타란튤라" 화력 타입3.5.12. ADK30C "타란튤라" 수송 타입3.5.13. ADK60R "레이븐" 정찰 타입3.5.14. ADK60S "레이븐" 교란 타입3.5.15. ADK60EC "레이븐" EC 타입
4. 파일럿
4.1. 엘리트 파일럿
4.1.1. 19 쿼츠4.1.2. 20 판저4.1.3. 21 파이어플라이4.1.4. 22 요유4.1.5. 23 오닉스4.1.6. 24 시락
4.2. 노멀 파일럿
4.2.1. 27~30 라이플맨4.2.2. 31~34 차저

1. 개요

EMBER: Obsidian Protocol에 등장하는 파벌인 네트워크연합(United Network, UN)의 세부 설정과 부품, 파일럿을 다루는 문서이다.

2. 특징

UN은 옵시디언 프로토콜에 예고된 3개의 파벌 중 두번째로 발매된 파벌이다. 엘리트로 이루어진 파벌답게 뛰어난 기술력과 날렵한 외형이 돋보이는 삼각형에 가까운 디자인 경향을 갖고 있으며, 플레이어들 사이에선 '세모'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두번째로 발매된 파벌인 UN은 엘리트 지향 주의를 부각하듯 고 코스트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정예유닛으로 운용되는 것을 굴조로 한 파워플레이가 정석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때문인지 라쿤펀치에서는 옵시디언 프로토콜을 즐기기 위해 방문하는 이들에게 UN을 추천하기도 하지만 어디까지나 자신의 마음이 이끄는 팩션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자.[1][2]

위에서도 설명했다 시피, 고코스트의 고성능 부품들로 구성된 만큼 평균적인 유닛의 배치는 MAP 3기+드론@기로 구성되고 있으며 RDL과 달리 하나하나가 연계가 된다기보단 각자 판단해 순간의 상황을 뒤집는 막강한 파워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라 할수 있다. 또한 UN의 특징이라 한다면 오버로딩, 액션 선택지가 많은 숏틱 구성, 디버프 토큰, 은신 네가지를 대표적으로 설명할수 있을텐데, 먼저 오버로딩의 경우 파일럿의 링크를 깎는 것으로 기본틱을 최대 2개 늘리는게 가능한데, UN은 기본적으로 숏틱 액션이 대부분이라 틱 효율이 높은 만큼 MAP에게 액션 타이밍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광범위한 선택지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3][4]

또한 UN은 다양한 공용액션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MAP의 행동과 타이밍, 포지셔닝을 원하는 대로 가져가는 것이 가능하다. 거기에 더해 확실한 팩션의 특징이라 할수 있는 다양한 디버프 토큰은 가장 블랙박스 이해도가 높다는 점을 반영하듯 다른 팩션에선 볼수 없는 [레이저 무장]키워드를 지닌 것을 볼수 있는데, 레이저 무장은 사격시 회피로 상쇄하지 못하면 취약 토큰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취약 토큰을 지닌 적 유닛에게 연계되는 이온 무기라던가 파일럿의 능력과 같은 일종의 연계 콤보가 존재한다. 이 외에도 사격과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여러 액션이 존재하며 이를 이용해 상대의 계획을 완전히 붕괴시키는 것까지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장점의 이면에는 UN의 순수한 공방 다이스 갯수가 타 팩션에 비해서 우월하지 않다는 점이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을 주의하자.[5]

종합적으로 본다면 입문은 쉬우나, 파고들기에는 어려운 준수한 팩션이라 할수 있다.

본 문서의 데이터는 옵시디언 프로토콜 공식 총판 라쿤펀치가 제공하는 UN 데이터시트를 참조하였습니다.

3. 부품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더미 데이터 및 부품은 ◆ 표시.
  • 킥스타터 한정 보상으로 공식 토너먼트 등에서 사용할 수 없는 부품은 ★ 표시[6].

3.1. 토르소

3.1.1. TM31C "그레이울프" 전투 코어

[ TM31C "그레이울프" 전투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1C.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4] [1] [3] [-]
[45pt]
입수처 : [UN CORE]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섬광탄, 명시= | [S] | 사거리 [3] | 탄약 [1] |)] - 곡사[곡사]
- M9 섬광탄 1개 발사
[|TM31C "그레이울프" 전투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UN_TM31C_image.jpg

(유저평가)

3.1.2. TM31KC "그레이울프" KC형 실험 코어 (◆)

[ TM31KC "그레이울프" KC형 실험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1KC.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4] [1] [3] [-]
[60pt]
입수처 : [UN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섬광탄, 명시= | [S] | 사거리 [3] | 탄약 [1] |)] - 곡사[곡사]
- M9 섬광탄 1개 발사

파일:OP_Passive.jpg [KC 장갑] [패시브]
| 충전 | 공격대상으로 선언 시 |

- 충전 토큰 소모[충전]
- KC 장갑[KC장갑]

1.01 패치로 공개된 그레이울프 KC형 실험 코어.
0.9베타 로어에서 언급되었던 kc장갑을 시험도입한 실험 코어로 아직 어떤 팩으로 공개될지는 모른다.

3.1.3. TM31R "카라칼" 전투 코어

[ TM31R "카라칼" 전투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1R.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4] [1] [4] [-]
[54pt]
입수처 : [UN CORE]

파일:OP_Passive.jpg [조정 감시] [패시브]
| 해당 유닛의 시야범위 | 아군 유닛의 사격 액션 수행 |

- 아군 유닛사격 액션을 수행할 때, 해당 사격의 대상이 이 메카의 시야에 들어온다면, 해당 공격 굴림의 {눈}은 리롤할 수 있다.
[|TM31R "카라칼" 전투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UN_TM31R_image.jpg

(유저평가)

3.1.4. TM31RS "블랙 캣" 지원 코어(, ◆)

[ TM31RS "블랙 캣" 지원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1R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4] [1] [4] [-]
[60pt]
입수처 : [UN Conversion Kit]

파일:OP_Passive.jpg [조정 감시] [패시브]
| 해당 유닛의 시야범위 | 아군 유닛의 사격 액션 수행 |

- 아군 유닛사격 액션을 수행할 때, 해당 사격의 대상이 이 메카의 시야에 들어온다면, 해당 공격 굴림의 {눈}은 리롤할 수 있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쾌속, keyword=신속처리, 명시= | [S] | 사거리 [6] |)] - 전자 지원[전자지원]
- 무소음[무소음]
- 사거리 내의 아군 유닛의 사각 토큰[사각토큰] 1개를 제거한다.
[|TM31RS "블랙 캣" 지원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UN_TM31RS_image.jpg

(유저평가)

3.1.5. TM31Q "와일드캣" 전투 코어 (◆)

[ TM31Q "와일드캣" 전투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1Q.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4] [1] [4] [-]
[63pt]
입수처 : [UN Starter Set:RAID]

파일:OP_Passive.jpg [조정 감시] [패시브]
| 해당 유닛의 시야범위 | 아군 유닛의 사격 액션 수행 |

- 아군 유닛사격 액션을 수행할 때, 해당 사격의 대상이 이 메카의 시야에 들어온다면, 해당 공격 굴림의 {눈}은 리롤할 수 있다.

파일:OP_Passive.jpg [KN 데이터 링크] [패시브]
| 커맨드 페이즈 |

- 커맨드 생성 2[커맨드생성]
[|TM31Q "와일드캣" 전투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UN_TM31RS_image.jpg
2인 스타터 세트로 예고된 UN의 신형 토르소.
본래라면 발매 예정인 고프에서만 볼수 있는 커맨드 토큰을 다수 생성하는 키워드인 [KN 데이터 링크]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카라칼과 블랙캣에서 볼수 있는 [조정 감시] 키워드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아군 유닛이 요격이나 사격 액션을 수행할 시 지원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3.1.6. TM35B "바이슨" 돌격 코어

[ TM35B "바이슨" 돌격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5B.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4] [1] [4] [-]
[81pt]
입수처 : [UN |doorbreaker]

파일:OP_Passive.jpg [KC 장갑] [패시브]
| 충전 | 공격대상으로 선언 시 |

- 충전 토큰 소모[충전]
- KC 장갑[KC장갑]

파일:OP_Swift.png [피탐 증폭] [쾌속 액션]
| S |

- 이 메카는 하이라이트 토큰[하이라이트]을 획득한다.

3.1.7. TM35BT "타우러스" 실험 코어(◆)

[ TM35BT "타우러스" 실험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5BT.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4] [1] [4] [-]
[84pt]
입수처 : [UN Taurus Start production]

파일:OP_Passive.jpg [KC 장갑] [패시브]
| 충전 | 공격대상으로 선언 시 |

- 충전 토큰 소모[충전]
- KC 장갑[KC장갑]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시험 점멸, 명시= | [M] | 사거리 4 | 고고도 유닛을 제외한 다른 유닛 |)] - 이 메카와 사거리 내의 유닛[20]의 위치를 교환한다.

[Taurus Start production] 개별킷으로 발매가 예고된 이전 UN 컨버전 예고 키트 중 하나로 바이슨과 엘리게이터처럼 KC 아머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그 차별점은 바로 [시험 점멸] 키워드. 미디움 이동 액션이지만 사거리 내에만 존재한다면, 적 아군 가리지 않고 위치가 교환되는 옵시디언 프로토콜에서는 최초의 스위칭 액션으로 보다 트릭키한 변수창출에 도움이 될것으로 보인다.

3.1.8. TM35N "엘리게이터" 전자전 코어

[ TM35N "엘리게이터" 전자전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5N.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4] [1] [4] [-]
[81pt]
입수처 : [UN |doorbreaker]

파일:OP_Passive.jpg [KC 장갑] [패시브]
| 충전 | 공격대상으로 선언 시 |

- 충전 토큰 소모[충전]
- KC 장갑[KC장갑]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조작 간섭, 명시= | [S] | 사거리 [4] | 전자전 |)] - 전자 공격
- 무소음[무소음]
- 사거리 내의 적 메카/드론 하나를 대상으로 전자전 굴림을 수행한다. 성공 시, 해당 적 유닛에게 이동 불가 토큰[이동불가] 1개 부여한다.

3.1.9. TM35NA "나일" 전자전 코어(LAB 제품, ◆)

[ TM35NA "나일" 전자전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5NA.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4] [1] [5] [-]
[84pt]
입수처 : [UN Conversion Kit]

파일:OP_Passive.jpg [KC 장갑] [패시브]
| 충전 | 공격대상으로 선언 시 |

- 충전 토큰 소모[충전]
- KC 장갑[KC장갑]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빨간 구두, 명시= | [M] | 사거리 [4] | 전자전 |)] - 전자 공격
- 무소음[무소음]
- 사거리 내의 적 메카/드론 하나를 대상으로 전자전 굴림을 수행한다. 성공 시, 해당 유닛을 조종해 기동 또는 이동 액션을 수행한다.

3.1.10. TM39 "바이퍼" 저피탐 코어

[ TM39 "바이퍼" 전술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9.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3] [1] [5] [-]
[63ptpt]
입수처 : [UN Scalpel]

파일:OP_Swift.png [매복] [쾌속 액션]
| S | 자기자신 |

- 무소음 [무소음]
- 이 메카는 저피탐[저피탐] 토큰을 획득한다.

파일:OP_Passive.jpg [다중스펙트럼 추적] [패시브]
| 사격 액션 |

- 이 유닛의 사격 액션저피탐[저피탐]의 효과를 무시한다.

3.1.11. TM39B "바이퍼 II" 저피탐 코어

[ TM39B "바이퍼 II" 저피탐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9B.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3] [1] [3] [-]
[63ptpt]
입수처 : [UN ??]

파일:OP_Swift.png [매복] [쾌속 액션]
| S | 자기자신 |

- 무소음 [무소음]
- 이 메카는 저피탐[저피탐] 토큰을 획득한다.

파일:OP_Passive.jpg [???] [패시브]
| 미공개 |


그레이울프 KC형과 동일하게 1.01로 추가된 신형 토르소로 다중 스펙트럼에 해당되는 능력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3.1.12. TM39D "코브라" 전술 코어(LAB 제품, ◆)

[ TM39D "코브라" 전술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39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3] [1] [3] [-]
[63pt]
입수처 : [UN Conversion Kit]

파일:OP_Swift.png [매복] [쾌속 액션]
| S | 자기자신 |

- 무소음 [무소음]
- 이 메카는 저피탐[저피탐] 토큰을 획득한다.

파일:OP_Tactical.png [엄호 사격] [전술 액션]
| S | 사격 타이밍 시 시작액션 |

- 이 메카는 엄호 사격 토큰[엄호사격] 1개 획득한 뒤, 액션 기회를 종료한다.
- 이 액션은 사격 타이밍시작 액션으로 수행할 수 있다.

3.1.13. TM641 "옥토퍼스" 은폐 코어

[ TM641 "옥토퍼스" 은폐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641.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3] [1] [5] [-]
[81pt]
입수처 : [UN Scalpel]

파일:OP_Swift.png [매복] [쾌속 액션]
| S | 자기자신 |

- 무소음 [무소음]
- 이 메카는 저피탐[저피탐] 토큰을 획득한다.

파일:OP_Tactical.png [광학 위장] [전술 액션]
| M | 자기 자신 |

- 광학 위장을 수행, 은폐 2[은폐]

3.1.14. TM641O "옥토퍼스" 은폐 코어 - 시험기 (LAB 제품)

[ TM641O "옥토퍼스" 은폐 코어 ]
파일:UN_토르소_TM641O.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3] [1] [5] [-]
[81pt]
입수처 : [UN Ocotopus Trial Model]

파일:OP_Swift.png [매복] [쾌속 액션]
| S | 자기자신 |

- 무소음 [무소음]
- 이 메카는 저피탐[저피탐] 토큰을 획득한다.

파일:OP_Tactical.png [광학 위장] [전술 액션]
| M | 자기 자신 |

- 광학 위장을 수행, 은폐 2[은폐]

3.2. 섀시

3.2.1. LM231 표준 섀시

[ LM231 표준 섀시 ]
파일:UN_섀시_LM231.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4] [-] [-]
[27pt]
입수처 : [UN Core]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S] | 이동거리 [4] |)]

3.2.2. LM210S 은폐 섀시

[ LM210S 은폐 섀시 ]
파일:UN_섀시_LM210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4] [-] [-]
[39pt]
입수처 : [UN Scalpel]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S] | 이동거리 [3] |)]

3.2.3. LM210SO 은폐 섀시 - 시험기 (LAB 제품)

[ LM210SO 은폐 섀시 - 시험기 ]
파일:UN_섀시_LM210SO.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4] [-] [-]
[39pt]
입수처 : [UN Ocotopus Trial Model]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S] | 이동거리 [3] |)]

3.2.4. LM213B 격투 섀시

[ LM213B 격투 섀시 ]
파일:UN_섀시_LM213B.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1] [4] [-] [-]
[57pt]
입수처 : [UN doorbreaker]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S] | 이동거리 [4]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발차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이 액션은 대상 메카섀시지정 해 공격할 수 있다.

3.3. 무장

3.3.1. 오른팔

3.3.1.1. G6 샷건 + M5 파일벙커
[ G6 샷건 + M5 파일벙커 ]
파일:UN_오른팔_G6+M5.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1] [-] [-]
[69pt]
입수처 : [UN doorbreaker]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G6+M5(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1]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3] | 5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산탄[산탄]
- 근접 사격[근접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꿰뚫기, 명시= | [M] | 사거리 [--] | 3Y3R |)] - 파열[파열]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꿰뚫기(비무장), 명시= | [M] | 사거리 [--] | 3Y3R |)] - 파열[파열]
3.3.1.2. IGX350 이온 샷건
[ IGX350 이온 샷건 ]
파일:UN_오른팔_IGX35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45pt]
입수처 : [UN doorbreaker]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IGX350(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3] | 4Y2R |)] - [충전됨][충전됨] 시 파열[파열] 획득.
- 산탄[산탄]
- 이온 무기[이온무기]
- 근접 사격[근접사격]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3. IGX920 헤비 이온 건
[ IGX920 헤비 이온 건 ]
파일:UN_오른팔_IGX92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2] [-] [-]
[60pt]
입수처 : [UN Scalpel]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IGX920(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L] | 사거리 [16] | 4R |)] -[양손][양손]저격[저격] 획득.
- [충전됨][충전됨] 시 파열[파열] 획득.
- 이온 무기[이온무기]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4. M3S 바이브로블레이드
[ M3S 바이브로블레이드 ]
파일:UN_오른팔_M3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1]
[42pt]
입수처 : [UN Scalpe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1Y3R |)]
3.3.1.5. M4 바이브로블레이드 + 유탄 포드
[ M4 바이브로블레이드 + 유탄 포드 ]
파일:UN_오른팔_M4+GP.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1]
[54pt]
입수처 : [UN Scalpe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유탄, 명시= | [M] | 사거리 [3] | 탄약 [3] |)] - 일제발사3[일제발사]
- 곡사[곡사]
- M7 유탄 1개 발사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1Y3R |)]
3.3.1.6. M15BO "카타나"
[ M15BO "카타나" ]
파일:UN_오른팔_M15BO.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2] [-] [2]
[81pt]
입수처 : [UN doorbreaker]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4Y1R |)] - 이 공격으로 인해 부품이 파괴됐을 시, 즉각적으로 이 부품의 [가르기]를 수행할 수 있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가르기, 명시= | [M] | 사거리 [--] | 2Y4R |)] -[양손][양손]파열[파열] 획득.
일명 두번 가르면 기분이 더욱 좋을 걸세 를 대표하는 UN의 강력한 근접무장으로 높은 포인트가 요구되지만 그만큼 뛰어난 공격 성능을 지닌 것이 특징이라 할수 있다.

일본도를 연상시키는 이름과 멋진 외형, UN무장 중에서도 높은 회피 수치와 내려치기 시, 부품 파괴에 성공하면 틱소모 없이 가르기가 나가는 심플하면서도 무시무시한 자체 연계콤보를 지니고 있다.[68]

게임 외적인 이야기로 도어 브레이커 팩에는 카타나 2개와 이온샷건을 조립할수 있다 표기되어 있지만, 사실은 카타나 한개와 카타나 혹은 이온샷건 중 택 1로 조립할수 있다. 물론 카타나 카드가 2개 들어있는 만큼, 스칼펠의 여분 부품에서 만드는 방법이나 다른 유저에게 카타나 부품을 사는 식으로 더 갖출수 있으니 자신이 카타나를 2개 써야한다면 고려해보도록 하자.
3.3.1.7. MDXS "페어리" 시스템 + R6 SMG(킥스타터 전용, ★)
[ MDXS "페어리" 시스템 + R6 SMG ]
파일:UN_오른팔_MDXS+R6.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45pt]
입수처 : [UN Kickstarter]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MDXS+R6(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파일:OP_Passive.jpg [추진기] [패시브]
| 자기자신 | 양 팔 부품에 페어리 시스템 장비 | 비행 이동 |

- 이 메카가 이 부품과 MDXS "페어리"시스템 + R6 SML(L)을 장비하고 있을 시, 이 메카의 이동은 비행이동으로 취급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파일:OP_Passive.jpg [추진기(비무장)] [패시브]
| 자기자신 | 양 팔 부품에 페어리 시스템 장비 | 비행 이동 |

- 이 메카가 이 부품과 MDXS "페어리"시스템 + R6 SML(L)을 장비하고 있을 시, 이 메카의 이동은 비행이동으로 취급
3.3.1.8. R33 스나이퍼 라이플
[ R33 스나이퍼 라이플 ]
파일:UN_오른팔_R33.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39pt]
입수처 : [UN CORE]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12]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 시 저격[저격] 획득
3.3.1.9. R6 SMG
[ R6 SMG ]
파일:UN_오른팔_R6.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
[54pt]
입수처 : [UN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R6(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10. R6SD SMG
[ R6SD SMG ]
파일:UN_오른팔_R6S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
[60pt]
입수처 : [UN Scalpel]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R6SD(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무소음 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무소음[무소음]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무소음 완전 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무소음[무소음]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11. R7 오토매틱 라이플
[ R7 오토매틱 라이플 ]
파일:UN_오른팔_R7.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42pt]
입수처 : [UN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R7(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8] | 5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12. R7K 택티컬 라이플
[ R7K 택티컬 라이플 ]
파일:UN_오른팔_R7K.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52pt]
입수처 : [UN Starter Set:RAID]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R7K(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8] | 5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13. R9B 택티컬 라이플
[ R9B 오토매틱 라이플 ]
파일:UN_오른팔_R9B.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48pt]
입수처 : [UN Scalpel]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R9B(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8] | 5Y |)] - 무소음[무소음]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14. RH21 피스톨 + M3 바이브로블레이드
[ RH21 피스톨 + M3 바이브로블레이드 ]
파일:UN_오른팔_RH21+M3.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1]
[45pt]
입수처 : [UN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RH21+M3(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1]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3Y1R |)] - 전방향 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강화 내려치기(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 | 4R |)]
3.3.1.15. RHX23 "레인스톰" 어썰트 피스톨(킥스타터 전용, ★)
[ RHX23 "레인스톰" 어썰트 피스톨 ]
파일:UN_오른팔_RHX23.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57pt]
입수처 : [UN Kickstarter]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RHX23(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3Y1R |)] - 전방향 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M] | 사거리 [3] | 6Y |)] - 제압[제압]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16. S100 실드 + R6SS SMG
[ S100 실드 + R6SS SMG ]
파일:UN_오른팔_S100+R6S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63pt]
입수처 : [UN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S100+R6SS(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파일:OP_Passive.jpg [기동 방어] [패시브]
| 피격 시 |

- 이 메카는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3.3.1.17.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시험기(LAB 제품)
[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시험기 ]
파일:UN_오른팔_K9+M14BO.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1]
[42pt]
입수처 : [UN Ocotopus Trial Mode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1Y2R |)] - 무소음[무소음]
- [명중][명중] 시 대상의 링크 수치 1 감소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찌르기, 명시= | [S] | 사거리 [--] | 2Y2R |)]
3.3.1.18. [G&T] 미니 토너먼트 트로피(토너먼트 상품,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UN부품, name=[G&T] 미니 토너먼트 트로피, faction=UN, part=오른팔, code=G&T, num1=4, num2=-, num3=-, num4=-, num5=-, pt=99, pack=Tournament)]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깨부수기, 명시= | [L] | 사거리 [--] | 1Y |)] - "아무런 능력도 없지만 상대방에게 당신의 트로피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토너먼트 출전 시 우승하면 얻을수 있는 토너먼트 상품.
현재로서는 옵시디언 프로토콜 무장 파츠 내 최고 포인트에 해당되는 99포인트와 롱액션틱으로 사용가능한 1Y 근접 [깨부수기]는 그야말로 수많은 강적들을 상대하고 올라가, 정상에서 거머쥔 승리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성을 반영하듯 무장을 버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3.3.1.19. K21 헤비 네일 건(◆)
[ K21 헤비 네일 건 ]
파일:UN_오른팔_K21.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42pt]
입수처 : [UN ???]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K21(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4] | 2Y2R |)] - 무소음[무소음]
- [명중][명중] 시 대상에게 사격통제방해[사격통제방해] 토큰 1개 부여.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타정, 명시= | [S] | 사거리 [8] | 1Y2R |)] - 무소음[무소음]
- [명중][명중] 시 대상의 링크 수치 1 감소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20. XTC 라이트 암(◆)
[ XTC 라이트 암 ]
파일:UN_오른팔_XTC.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1]
[45pt]
입수처 : [UN ???]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과부하 주입, 명시= | [M] | 사거리 [6] | 드론/발사체 |)] - 전자 공격
- 무소음[무소음]
- 사거리 내의 드론/발사체 하나를 대상으로 전자전 굴림을 수행, 성공시 해당 유닛은 즉시 파괴
3.3.1.21. R33S 스나이퍼 라이플(◆)
[ R33S 스나이퍼 라이플 ]
파일:UN_오른팔_R33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45pt]
입수처 : [UN ???]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무소음 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12]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 시 저격[저격] 획득
- 무소음[무소음]
3.3.1.22. R7MG LMG(◆)
[ R7MG LMG ]
파일:UN_오른팔_R7MG.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50pt]
입수처 : [UN Taurus Start production]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오른팔_R7MG(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M] | 사거리 [8] | 5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충전됨][충전됨]다중지정 2[다중지정2] 및 제압 획득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2. 왼팔

3.3.2.1. G6 샷건 + 유탄 포드
[ G6 샷건 + 유탄 포드 ]
파일:UN_왼팔_G6+GP.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1] [-] [-]
[75pt]
입수처 : [UN doorbreaker]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왼팔_G6+GP(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1]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8] | 5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산탄[산탄]
- 근접 사격[근접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유탄, 명시= | [M] | 사거리 [3] | 탄약 [3] |)] - 일제발사3[일제발사]
- 곡사[곡사]
- M7 유탄 1개 발사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유탄(비무장), 명시= | [M] | 사거리 [3] | 탄약 [3] |)] - 일제발사3[일제발사]
- 곡사[곡사]
- M7 유탄 1개 발사
3.3.2.2. K7 네일 건 + S10 실드
[ K7 네일 건 + S10 실드 ]
파일:UN_왼팔_K7+S1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54pt]
입수처 : [UN doorbreaker]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타정, 명시= | [S] | 사거리 [8] | 1Y2R |)] - 무소음[무소음]
- [명중][명중] 시 대상의 링크 수치 1 감소

파일:OP_Passive.jpg [기동 방어] [패시브]
| 피격 시 |

- 이 메카는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3.3.2.3.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파일:UN_왼팔_K9+M14BO.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1]
[42pt]
입수처 : [UN Scalpe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1Y2R |)] - 무소음[무소음]
- [명중][명중] 시 대상의 링크 수치 1 감소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찌르기, 명시= | [S] | 사거리 [--] | 2Y2R |)]
3.3.2.4. M3S 바이브로블레이드
[ M3S 바이브로블레이드 ]
파일:UN_왼팔_M3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1]
[42pt]
입수처 : [UN Scalpe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1Y3R |)]
3.3.2.5. M4 바이브로블레이드 + 유탄 포드
[ M4 바이브로블레이드 + 유탄 포드 ]
파일:UN_왼팔_M4+GP.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1]
[42pt]
입수처 : [UN Scalpe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유탄, 명시= | [M] | 사거리 [3] | 탄약 [3] |)] - 일제발사3[일제발사]
- 곡사[곡사]
- M7 유탄 1개 발사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1Y3R |)]
3.3.2.6. MDXS "페어리" 시스템 + R6 SMG(킥스타터 전용, ★)
[ MDXS "페어리" 시스템 + R6 SMG ]
파일:UN_왼팔_MDXS+R6.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45pt]
입수처 : [UN Kickstarter]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왼팔_MDXS+R6(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파일:OP_Passive.jpg [추진기] [패시브]
| 자기자신 | 양 팔 부품에 페어리 시스템 장비 | 비행 이동 |

- 이 메카가 이 부품과 MDXS "페어리"시스템 + R6 SML(R)을 장비하고 있을 시, 이 메카의 이동은 비행이동으로 취급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파일:OP_Passive.jpg [추진기(비무장)] [패시브]
| 자기자신 | 양 팔 부품에 페어리 시스템 장비 | 비행 이동 |

- 이 메카가 이 부품과 MDXS "페어리"시스템 + R6 SML(R)을 장비하고 있을 시, 이 메카의 이동은 비행이동으로 취급
3.3.2.7. MX82 멀티펑셔널 윕
[ MX82 멀티펑셔널 윕 ]
파일:UN_왼팔_MX82.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
[48pt]
입수처 : [UN doorbreaker]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휘갈기기, 명시= | [M] | 사거리 [2] | 5Y1R |)] - 명중[명중] 시 대상을 끌어당기거나[끌어당기기], 대상에게 이동불가[이동불가] 토큰을 1개 부여.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채찍질, 명시= | [S] | 사거리 [--] | 2Y4R |)] - 명중[명중] 시 대상의 전방을 설정.
3.3.2.8. MSH1 어시스턴트 암
[ MSH1 어시스턴트 암 ]
파일:UN_왼팔_MSH1.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24pt]
입수처 : [UN Scalpel]
[ 무장(FREEHAND) ]

파일:OP_Passive.jpg [추적 보조] [패시브]
| 사격 액션 | 양손 지정 |

- 이 부품이 사격 액션[비무장][비무장] 부품으로 지정 시, 대상의 파랑 주사위 2개 제거.
3.3.2.9. RH21 피스톨 + M3 바이브로블레이드
[ RH21 피스톨 + M3 바이브로블레이드 ]
파일:UN_왼팔_RH21+M3.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1]
[45pt]
입수처 : [UN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왼팔_RH21+M3(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1]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3Y1R |)] - 전방향 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4R |)]
3.3.2.10. RHX23 "레인스톰" 어썰트 피스톨(킥스타터 전용, ★)
[ RHX23 "레인스톰" 어썰트 피스톨 ]
파일:UN_왼팔_RHX23.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57pt]
입수처 : [UN Kickstarter]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왼팔_RHX23(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3Y1R |)] - 전방향 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M] | 사거리 [3] | 6Y |)] - 제압[제압]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2.11. RKG70 미사일 포드
[ RKG70 미사일 포드 ]
파일:UN_왼팔_RKG7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57pt]
입수처 : [UN Scalpel]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왼팔_RKG70(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미사일, 명시= | [L] | 사거리 [4] | 탄약 [1] |)] - 직사[직사]
- RKG70 미사일 그룹 1개 발사
- [양손][양손] 시 이 액션은 미디움 액션으로 취급.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2.12. S100 실드
[ S100 실드 ]
파일:UN_왼팔_S10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48pt]
입수처 : [UN doorbreaker]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왼팔_S100(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파일:OP_Passive.jpg [기동 방어] [패시브]
| 피격 시 |

- 이 메카는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2.13. S100 실드 + 유탄 포드
[ S100 실드 + 유탄 포드 ]
파일:UN_왼팔_S100+GP.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66pt]
입수처 : [UN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왼팔_S100+GP(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유탄, 명시= | [M] | 사거리 [3] | 탄약 [3] |)] - 일제발사3[일제발사]
- 곡사[곡사]
- M7 유탄 1개 발사

파일:OP_Passive.jpg [기동 방어] [패시브]
| 피격 시 |

- 이 메카는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유탄, 명시= | [M] | 사거리 [3] | 탄약 [3] |)] - 일제발사3[일제발사]
- 곡사[곡사]
- M7 유탄 1개 발사
3.3.2.14. S9 "메테오" 실드 + M5 파일벙커
[ S9 "메테오" 실드 + M5 파일벙커 ]
파일:UN_왼팔_S9+M5.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1] [-] [2]
[57pt]
입수처 : [UN CORE]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 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꿰뚫기, 명시= | [M] | 사거리 [--] | 3Y3R |)] - 파열[파열]
3.3.2.15. S9 "메테오" 실드 + IGX106 이온 샷건
[ S9 "메테오" 실드 + IGX106 이온 샷건 ]
파일:UN_왼팔_S9+IGX106.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1] [-] [2]
[69pt]
입수처 : [UN Starter Set:RAID]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 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3] | 3Y1R |)] [충전됨][충전됨] 시 파열[파열] 획득.
- 산탄[산탄]
- 이온 무기[이온무기]
- 근접 사격[근접사격]
3.3.2.16.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시험기(LAB 제품)
[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시험기 ]
파일:UN_왼팔_K9+M14BO.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1]
[42pt]
입수처 : [UN Ocotopus Trial Mode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1Y2R |)] - 무소음[무소음]
- [명중][명중] 시 대상의 링크 수치 1 감소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찌르기, 명시= | [S] | 사거리 [--] | 2Y2R |)]
3.3.2.17. S100 실드 + R6SS SMG (◆)
[ S100 실드 + R6SS SMG ]
파일:UN_왼팔_S100+R6S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63pt]
입수처 : [UN ???]
{{{#!folding [ 비무장 ]
파일:UN_왼팔_S100+R6SS(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파일:OP_Passive.jpg [기동 방어] [패시브]
| 피격 시 |

- 이 메카는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기존 오른팔에 존재했던 S100 실드 + R6SS SMG의 왼팔 버전이다.

3.4. 백팩

3.4.1. AMD210 "델피니움" 캐리어

[ AMD210 "델피니움" 캐리어 ]
파일:UN_백팩_AMD21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30pt]
입수처 : [UN Scalpe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델피니움" 설치, 명시= | [M] | 사거리 [1] | 탄약 [1]| )] - AMD210"델피니움" 자동 방어 시스템 설치.

3.4.2. CSC60 쿨러

[ CSC60 쿨러 ]
파일:UN_백팩_CSC6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
[27pt]
입수처 : [UN CORE]

파일:OP_Passive.jpg [냉각] [패시브]
| 사격 액션 | 레이저 무기 지원 |

- 레이저무기[레이저무기]사격 액션 시, 노랑 주사위 1개 추가.

3.4.3.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 랙

[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 랙 ]
파일:UN_백팩_DP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
[39pt]
입수처 : [UN Scalpe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델피니움" 설치, 명시= | [M] | 사거리 [1] | 탄약 [1]| )] -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 설치.

3.4.4.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

[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 ]
파일:UN_백팩_EBSX4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39pt]
입수처 : [UN CORE]

파일:OP_Passive.jpg [KC 장갑] [패시브]
| 충전 | 공격대상으로 선언 시 |

- 충전 토큰 소모[충전]
- KC 장갑[KC장갑]

3.4.5. EC50 전자전 포드

[ EC50 전자전 포드 ]
파일:UN_백팩_EC5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1] [-]
[42pt]
입수처 : [UN Scalpe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쾌속, keyword=사격 통제 간섭, 명시= | [M] | 사거리 [12] | 디버프 부여 |)] - 전자 공격
- 사거리 내의 적 유닛 하나를 대상으로 전자전 굴림을 수행한다. 성공 시, 대응자에게 사격통제방해[사격통제방해] 토큰을 한 개 부여한다.

3.4.6. GSD2A "폴커스" 마인 랙

[ GSD2A "폴커스" 마인 랙 ]
파일:UN_백팩_GSD2A.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21pt]
입수처 : [UN CORE]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유령 거미, 명시= | [S] | 사거리 [8] | 탄약 [3] |)] - 곡사[곡사]
- 투척[투척]
- SGM2 "폴커스" 자동 지뢰를 발사.

3.4.7. JP1 제트팩

[ JP1 제트팩 ]
파일:UN_백팩_JP1.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57pt]
입수처 : [UN doorbreaker]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장거리 도약, 명시= | [M] | 사거리 [8] | 탄약 [3] |)] - 공중 이동[공중이동]
- 이 부품은 화물[화물]로는 사용 불가.

3.4.8. JP5 모빌리티 인헨스먼트 팩

[ JP5 모빌리티 인헨스먼트 팩 ]
파일:UN_백팩_JP5.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60pt]
입수처 : [UN Starter Set:RAID]

파일:OP_Passive.jpg [활주 도약] [패시브]
| 기동력 +1 |

- 이 메카의 기동력 수치 +1.
- 이 부품은 화물[화물]로는 사용 불가.

3.4.9. MSH2 스테빌라이저 암

[ MSH2 스테빌라이저 암 ]
파일:UN_백팩_MSH2.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24pt]
입수처 : [UN Scalpel]

파일:OP_Passive.jpg [동적 평형] [패시브]
| 양손 지정 | FREEHAND |

- 이 부품이 [양손][양손] 사격 액션비무장 부품으로 지정 시, 해당 액션은 전방향 사격[전방향사격] 획득.

3.4.10. OCSP 오버로딩 팩

[ OCSP 오버로딩 팩 ]
파일:UN_백팩_OCSP.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49pt]
입수처 : [UN doorbreaker]

파일:OP_Passive.jpg [과부하] [패시브]
| 액션기회 중 | 링크 소모 최대 2개 |

- 이 메카의 액션 기회 중, 이 메카는 링크 수치를 최대 2개까지 소모할 수 있다. 소모한 링크 하나 당 액션 틱 1개를 획득한다.
- 이 부품은 화물[화물]로는 사용 불가

3.4.11. RKG70 아뮤니션 팩

[ RKG70 아뮤니션 팩 ]
파일:UN_백팩_RKG7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21pt]
입수처 : [UN Scalpel]

파일:OP_Passive.jpg [송탄] [패시브]
| RKG 미사일 그룹 사격 시 |

- 이 메카가 RKG70 미사일 그룹을 발사 시, 이 부품의 탄약을 소모할 수 있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탄약 보급, 명시= | [S] | 탄약 [2] |)] - 이 메카, 또는 인접한 아군 유닛에게 RKG70 미사일 그룹을 1개 재보급

3.4.12.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LAB 제품)

[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 ]
파일:UN_백팩_BS/X40(LAB).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39pt]
입수처 : [UN Ocotopus Trial Model]

파일:OP_Passive.jpg [KC 장갑] [패시브]
| 충전 | 공격대상으로 선언 시 |

- 충전 토큰 소모[충전]
- KC 장갑[KC장갑]

3.4.13. 블랙박스 운반 랙 (◆)

[ 블랙박스 운반 랙 ]
파일:UN_백팩_???.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21pt]
입수처 : [UN ???]

파일:OP_Passive.jpg [블랙박스 적재] [패시브]
| 블랙박스 보관함 |

- 이 부품은 블랙박스 1개를 적재할 수 있다.

1.01로 추가된 신규 백팩. 블랙박스를 적재할수 있는 미션용 백팩이지만 블랙박스를 적재만 할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이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특수한 능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치 않다. 추후 해당 내용의 변경사항이 있을시 기재 예정.

3.5. 발사체 / 설치물 / 드론

3.5.1. M7 유탄

[ M7 유탄 ]
파일:UN_발사체_M7.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2] [-] [-]
타입 발사체(모델X)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UN CORE & doorbreaker & Scalpe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즉발, keyword=폭파, 명시= | 즉발 | 사거리 [--] | 3Y1R |)] - 즉시 폭파
- 폭파 시, 해당 칸에 있는 모든 유닛에게 폭발 피해를 입힌다.

3.5.2.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

[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 ]
파일:UN_설치물_DBP.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
타입 설치물(3인치 지형/바리케이드)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0pt]
입수처 : [UN Scalpel]

파일:OP_Passive.jpg [바리케이드] [패시브]
| 지형취급 |

- 바리케이드[바리케이드]
- 이 유닛은 분쇄되지 않는다.

3.5.3. M9 섬광탄

[ M9 섬광탄 ]
파일:UN_발사체_M9.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2] [-] [-]
타입 발사체(소형/고고도)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UN CORE & Scalpe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즉발, keyword=폭파, 명시= | 즉발 | 사거리 [1] |)] - 낙하 지점에서 폭파
- 폭파 시 사거리 내의 모든 유닛에게 사격통제방해[사격통제방해] 토큰 1개 부여.

3.5.4. RKG70 미사일 그룹

[ RKG70 미사일 그룹 ]
파일:UN_발사체_RKG7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3] [1] [-]
타입 발사체(소형/미사일/고고도)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UN Scalpe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딜레이, keyword=유도 공격, 명시=| 딜레이 | 사거리 [3] | 1Y3R |)] - 사거리 내 적 유닛 1개를 선택, 비행으로 해당 그리드로 이동 후 폭파
- 폭파 시 대상에게 폭발 데미지.
- 미사일 그룹 3[미사일그룹3]

3.5.5. SGM2 "폴커스 자동 지뢰

[ SGM2 "폴커스 자동 지뢰 ]
파일:UN_발사체_SGM2.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2] [2] [-]
타입 발사체(소형/고고도/비전개)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UN CORE]

파일:OP_Delay.jpg [전개] [딜레이]


- 이 유닛을 SGM2 "폴커스 자동 지뢰(전개)로 대체.
- 만약 그리드가 점거된 상태라면, 대체된 유닛은 즉각적으로 폭파 진행
3.5.5.1. SGM2 "폴커스 자동 지뢰(전개)
[ SGM2 "폴커스 자동 지뢰(전개) ]
파일:UN_드론_SGM2(U).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2] [2] [-]
타입 드론(소형/저가치 유닛/전개)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UN CORE]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즉발, keyword=자동 공격, 명시=| 오토마톤 | 사거리 [1] | 6Y |)] - 적 유닛이 사거리에 있을 시, 이 유닛은 대상 그리드에 도약하여 폭파.
- 폭파 시 대상에게 폭발 데미지.

3.5.6. AMD210 "델피니움" 자동 방어 시스템

[ AMD210 "델피니움" 자동 방어 시스템 ]
파일:UN_설치물_AMD210.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2/-] [-] [2] [-]
타입 설치물(소형/전자 공격 비컨)
스탠스 파일:OP_OFF.png
공격 스탠스
[0pt]
입수처 : [UN Scalpe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전개, 명시= | 오토마톤 | 사거리 [8] |)] - 전자 공격
- 사거리 내의 가장 가까운 적 유닛 하나를 대상으로 전자전 굴림을 수행한다. 성공 시, 대응자에게 사격통제방해[사격통제방해] 토큰을 한 개 부여한다.

3.5.7. ADK15D "포큐파인" CIWS 타입

[ ADK15D "포큐파인" CIWS 타입 ]
파일:UN_드론_ADK15D.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2] [-]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48pt]
입수처 : [UN doorbreaker]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5]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오토마톤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요격 3[요격]
- 전방향 사격[전방향사격]
- 근접 사격[근접사격]

3.5.8. ADK15ART "포큐파인" 페인트 타입 (◆)

[ ADK15ART "포큐파인" 페인트 타입 ]
파일:UN_드론_ADK15ART.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2] [-]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99pt]
입수처 : [UN 바예호 콜라보 세트]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5] |

파일:OP_Passive.jpg [페인트 운반] [패시브]


- 페인트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기 위해 페인트 병을 전장에서 휴대할 수 있다.

1.01에서 추가된 바예호 콜라보 드론으로 이전 066 근황보고에서 언급이 되었었다.
바예호 도료[195]를 포큐파인에 올려둘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도료를 향한 사랑을 보여주기 위한 특별한 기믹과 99pt라는 가격이기 덕분에 예능용 드론으로 취급된다.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이상은 실게임에 넣을 생각은 하지 말자.

3.5.9. ADK15/MAS "포큐파인" 극초단파 타입

[ ADK15/MAS "포큐파인" 극초단파 타입 ]
파일:UN_드론_ADK15MA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2] [-]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30pt]
입수처 : [UN doorbreaker]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5]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극초단파, 명시=| 커맨드 | 사거리 [12] | 1Y1R |)] - 모든 {번개}마다, 대상에게 사격통제방해[사격통제방해] 토큰 1개 부여.

3.5.10. ADK15P "포큐파인" 이온 타입

[ ADK15P "포큐파인" 이온 타입 ]
파일:UN_드론_ADK15P.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2] [-]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70pt]
입수처 : [UN Starter Set:RAID]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5]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오토마톤 | 사거리 [12] | 4R |)] - [충전][충전][파열][파열]을 획득.

파일:OP_Tactical.png [충전] [전술 액션]
| 커맨드 |

- [충전][충전]

3.5.11. ADK30F "타란튤라" 화력 타입

[ ADK30F "타란튤라" 화력 타입 ]
파일:UN_드론_ADK30F.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5]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33pt]
입수처 : [UN CORE & Scalpel]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6]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오토마톤 | 사거리 [4] | 4Y |)] - 레이저 무기[레이저무기]
- 요격 1[요격]
- 전방향 사격[전방향사격]
- 근접 사격[근접사격]

3.5.12. ADK30C "타란튤라" 수송 타입

[ ADK30C "타란튤라" 수송 타입 ]
파일:UN_드론_ADK30C.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5]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12pt]
입수처 : [UN CORE & Scalpel]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6] |

파일:OP_Passive.jpg [화물] [패시브]
| 백팩 운반 가능 | 인접 아군 메카에게 효과 부여 |

- 이 드론은 백팩 1개를 화물[화물]로써 운반할 수 있다.
- 이 드론과 접촉 중인 아군 메카는 액션을 수행할 때 이 드론의 화물[화물]을 자신의 부품인 것처럼 취급한다.

3.5.13. ADK60R "레이븐" 정찰 타입

[ ADK60R "레이븐" 정찰 타입 ]
파일:UN_드론_ADK60R.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1/-] [7] [3] [-]
타입 드론(중형/비행)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33pt]
입수처 : [UN CORE & Scalpel]
파일:OP_Maneuver.png비행 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8]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조기 경보 감지, 명시=| 사거리 [3] | 공격자가 시야내 존재 | 사격 대상이 된 아군 메카(회피스탠스) 지원 |)] - 사격 액션의 대상이 된 아군 메카(회피스탠스)가 사거리 내에 위치해 있을 때, 공격자가 이 드론의 시야에 들어온다면, 방어자에게 파랑주사위 1개 추가.
이 효과는 중첩이 불가하다.

3.5.14. ADK60S "레이븐" 교란 타입

[ ADK60S "레이븐" 교란 타입 ]
파일:UN_드론_ADK60S.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1/-] [7] [3] [-]
타입 드론(중형/비행)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51pt]
입수처 : [UN CORE & Scalpel]
파일:OP_Maneuver.png비행 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8]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사격 통제 간섭, 명시=| 사거리 [4] |)] - 전자 공격
- 사거리 내의 가장 가까운 적 유닛 하나를 대상으로 전자전 굴림을 수행한다. 성공 시, 대응자에게 사격통제방해[사격통제방해] 토큰을 한 개 부여한다.

3.5.15. ADK60EC "레이븐" EC 타입

[ ADK60EC "레이븐" EC 타입 ]
파일:UN_드론_ADK60EC.pn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1/-] [7] [3] [-]
타입 드론(중형/비행)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33pt]
입수처 : [UN CORE & Scalpel]
파일:OP_Maneuver.png비행 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8]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EC 중계기, 명시=| 사거리 [6] |)] - 중계기[중계기]
- 이 유닛을 중계기로 사용 시, 기존의 송출 강도 +×는 무시된다.

4. 파일럿

4.1. 엘리트 파일럿

4.1.1. 19 쿼츠

[ UN 19 쿼츠 ]
파일:UN_19_Quartz.png 파일:OP_Swift.png 쾌속 2
파일:OP_Melee.png 근접 5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4
파일:OP_Firing.png 사격 4
파일:OP_Move.png 이동 6
파일:OP_Tactical.png 전술 6
[24pt]
입수처 : [UN CORE]
[ 다이얼 후면 ]
파일:UN_19_Quartz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침착함]
- 매 라운드의 끝마다 링크 수치 1 회복.
파일:UN_19_Quartz_profile.png


4.1.2. 20 판저

[ UN 20 판저 ]
파일:UN_20_Panzer.png 파일:OP_Swift.png 쾌속 3
파일:OP_Melee.png 근접 3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2
파일:OP_Firing.png 사격 5
파일:OP_Move.png 이동 2
파일:OP_Tactical.png 전술 6
[15pt]
입수처 : [UN CORE]
[ 다이얼 후면 ]
파일:UN_20_Panzer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저지]
- 이 파일럿의 메카로부터 락온 해제 시 적 유닛은 이동 거리를 1 추가로 소모하거나 링크 수치를 1 소모.
파일:UN_20_Panzer_profile.png

4.1.3. 21 파이어플라이

[ UN 21 파이어플라이 ]
파일:UN_21_Firefly.png 파일:OP_Swift.png 쾌속 3
파일:OP_Melee.png 근접 7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6
파일:OP_Firing.png 사격 1
파일:OP_Move.png 이동 5
파일:OP_Tactical.png 전술 5
[18pt]
입수처 : [UN Scalpel]
[ 다이얼 후면 ]
파일:UN_21_Firefly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은폐]
- 이 파일럿의 메카가 이동할 때 광학 위장 또는 저피탐 상태라면 다른 유닛을 무시하고 이동 가능.
파일:UN_21_Firefly_profile.png

4.1.4. 22 요유

[ UN 22 요유 ]
파일:UN_22_Yoyo.png 파일:OP_Swift.png 쾌속 7
파일:OP_Melee.png 근접 4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5
파일:OP_Firing.png 사격 3
파일:OP_Move.png 이동 4
파일:OP_Tactical.png 전술 1
[21pt]
입수처 : [UN doorbreaker]
[ 다이얼 후면 ]
파일:UN_22_Yoyo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도발]
- '전자전 굴림'이 성공했을 시 대응자 메카의 스탠스를 '공격 스탠스'로 변경 가능.
파일:UN_22_Yoyo_profile.png

4.1.5. 23 오닉스

[ UN 23 오닉스 ]
파일:UN_23_Onyx.png 파일:OP_Swift.png 쾌속 6
파일:OP_Melee.png 근접 2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3
파일:OP_Firing.png 사격 5
파일:OP_Move.png 이동 4
파일:OP_Tactical.png 전술 4
[21pt]
입수처 : [UN doorbreaker]
[ 다이얼 후면 ]
파일:UN_23_Onyx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완고한]
- 이 파일럿의 메카는 대형 유닛을 상대로 '분쇄' 가능.
파일:UN_23_Onyx_profile.png

4.1.6. 24 시락

[ UN 24 시락 ]
파일:UN_24_Sealock.png 파일:OP_Swift.png 쾌속 5
파일:OP_Melee.png 근접 4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8
파일:OP_Firing.png 사격 4
파일:OP_Move.png 이동 7
파일:OP_Tactical.png 전술 3
[21pt]
입수처 : [UN Scalpel]
[ 다이얼 후면 ]
파일:UN_24_Sealock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추격]
- 취약 토큰을 지닌 대상을 공격할 때 {눈}을 {강공격} 취급.
파일:UN_24_Sealock_profile.png

4.2. 노멀 파일럿

4.2.1. 27~30 라이플맨

[ UN 27 라이플 맨 ]
파일:UN_27_Rifleman.png 파일:OP_Swift.png 쾌속 3
파일:OP_Melee.png 근접 7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6
파일:OP_Firing.png 사격 2
파일:OP_Move.png 이동 5
파일:OP_Tactical.png 전술 5
[9pt]
입수처 : [UN CORE & Scalpel]
[ 다이얼 후면 ]
파일:UN_27_Rifleman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
-
파일:UN_27_Rifleman_profile.png

4.2.2. 31~34 차저

[ UN 31 차저 ]
파일:UN_31_Charger.png 파일:OP_Swift.png 쾌속 4
파일:OP_Melee.png 근접 3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2
파일:OP_Firing.png 사격 5
파일:OP_Move.png 이동 2
파일:OP_Tactical.png 전술 6
[6pt]
입수처 : [UN CORE & doorbreaker]
[ 다이얼 후면 ]
파일:UN_31_Charger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
-
파일:UN_31_Charger_profile.png



[1] 대부분의 미니어처게임들이 그러하듯 마음이 이끄는 것은 중요하다. 팩션이 강하다는걸 알아도 어디까지나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즐기기란 쉽지 않다.[2] 파워게임을 하는 수단이 명백히 정해져 있기에 입문은 쉬우나, 그 아우풋을 극대화하고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길을 찾아내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팩션이다.[3] 이후 오버로딩 팩에서 후술되겠지만 옵시디언 프로토콜에서 가장 귀중한 자원인 링크를 소모하기에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그대로 보여주기도 한다. 다르게 말하자면 오버로딩으로 끌어쓴 틱마저 실패하면 뒤가 없다.[4] 이때문에 유저들은 오버로딩 사용을 미래를 팔아서 현재를 번다고 비유할 정도다.[5] 특히 UN의 생존을 담당하는 회피주사위파랑 주사위는 믿을게 못된다는 말이 자주 나오곤 한다.[6] 단, 토너먼트 사용 불가는 본사 방침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곡사] 이 액션은 낙하 지점이나 목표물에 대한 시야가 필요하지 않다.[곡사] 이 액션은 낙하 지점이나 목표물에 대한 시야가 필요하지 않다.[충전]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쾌속, keyword=충전(공용액션), 명시= | [S] | 충전이 표시된 키워드 | 해당 부품 |)] - 무소음[무소음]
- 활성화될 액션이 있는 부품으로 충전 액션을 시작하면 해당 부품이 충전됨(Charged, 충전 토큰이 윗면으로 오게끔 뒤집음)상태가 된다.
[KC장갑] 이 메카가 공격대상으로 선언되었을 때, 이 부품의 충전됨 토큰을 소모하여 {번개}를 {방어}로 취급할 수 있다.[전자지원] 이 행동은 아군 유닛을 대상으로 하여 ECM 주사위를 던질 필요 없이 자동으로 작동된다.[무소음] 이 액션을 수행할 때 광학 위장 및 저피탐이 해제되지 않는다.[사각토큰] 해당 유닛의 디버프를 표시하는 토큰[커맨드생성] 이 유닛은 커맨드 페이즈에 키워드로 명시된 수 만큼 커맨드 토큰을 N개 생성한다.[충전] [KC장갑] [하이라이트] 적 유닛이 공격 행동을 수행할 때, 선택 가능한 대상에 하이라이트 된 유닛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유닛을 공격해야 하며 다른 대상은 공격할 수 없다.[충전] [KC장갑] [20] 고고도 제외[충전] [KC장갑] [무소음] [이동불가] 이동불가 토큰을 지닌 유닛은 이동액션/기동(방향전환포함)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피격시 파랑 주사위를 굴릴 수 없다.[충전] [KC장갑] [무소음] [무소음] [저피탐] 저피탐 토큰을 지닌 유닛은 사격 공격을 당할 시, 방어 굴림에서{눈}이 {회피}로 취급된다.[저피탐] [무소음] [저피탐] [무소음] [저피탐] [엄호사격] 딜레이 페이즈 종료 시, 이 토큰을 제거한다. 그 후 이 유닛은 즉각적으로 사격 액션을 한 번 수행할 수 있다.[무소음] [저피탐] [은폐] 광학 위장이 비활성화 됐을 시, 이 메카는 2그리드 이내에 등장해야 한다.[무소음] [저피탐] [은폐] 광학 위장이 비활성화 됐을 시, 이 메카는 2그리드 이내에 등장해야 한다.[기동] 회피 스탠스 시 2배 적용[기동] 회피 스탠스 시 2배 적용[기동] 회피 스탠스 시 2배 적용[기동] 회피 스탠스 시 2배 적용[레이저무기] 명중[명중] 시, 대상에게 취약 토큰[취약토큰] 1개를 부여한다.[산탄] 대상이 메카인 경우, 연쇄 데미지가 대상의 다른 무작위 부품 1개에 적용된다.[근접사격] 락온 상태에서도 사격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파열] 연쇄 데미지가 피격 부품의 구조에 적용된다.
*해당 부품이 파괴되거나 구조가 없을 경우 토르소가 지정된다.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쾌속, keyword=폐기(공용액션), 명시= | [S] | 비무장 카드가 존재하는 부품 카드 |)] - 무소음[무소음]
- '무장' 키워드가 있는 하나를 지정, 해당 부품 카드를 비무장 상태 카드로 전환합니다.
[파열] [충전됨] 충전 액션[충전]으로 획득. 이 액션을 수행할 때, 해당 토큰을 소모해 특별 규칙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파열] [산탄] [이온무기] 취약 토큰을 지닌 대상에게 공격 시 {번개}를 {강공격}으로 취급.[근접사격] [비무장] [양손] 이 액션을 수행할 때, 비무장인 부품을 선택해 보조하면 특별 규칙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저격] 공격 시 피격 부품을 지정할 수 있다.[충전됨] [파열] [이온무기] [비무장] [일제발사] 해당 부품 키워드의 명시된 발사체를 최대 n개까지 발사하거나 설치하고, 같은 수의 탄약토큰을 소모한다.[곡사] [양손] [파열] [68] 오버로딩 적용시 RDL과 달리 추가틱이 아닌 기본틱을 늘리는 판정이기에, 내려치기+가르기 콤보는 한번만 발동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자.
또한 부품이 파괴되지 않을 시 내려치기의 연계가 발동되지 않는다면 남은 추가 기본틱으로 가르기를 발동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한 액션이 진행될 시 동일 부품의 동일 액션재선언이 불가능하다.)
[레이저무기] [부동] 이 액션 기회동안 유닛이 이 액션을 수행하기 전에 이동하거나 방향을 전환하지 않았다면, 특별 규칙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비무장] [레이저무기] [부동] [저격] [레이저무기] [양손] [레이저무기] [부동] [비무장] [무소음] [레이저무기] [양손] [무소음] [레이저무기] [부동] [비무장] [레이저무기] [양손] [비무장] [레이저무기] [양손] [레이저무기] [비무장] [무소음] [레이저무기] [양손] [비무장] [비무장] [제압] 이 액션의 대상으로 선언된 메카는 즉시 방어 스탠스로 전환된다.
단, 셧다운 스탠스에 있는 유닛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비무장] [레이저무기] [부동] [비무장] [레이저무기] [부동] [무소음] [명중] [무소음] [명중] [사격통제방해] [무소음] [명중] [비무장] [무소음] [레이저무기] [부동] [저격] [무소음] [레이저무기] [양손] [충전됨] [다중지정2] 이 액션은 최대 2개의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비무장] [레이저무기] [산탄] [근접사격] [일제발사] 해당 부품 키워드의 명시된 발사체를 최대 n개까지 발사하거나 설치하고, 같은 수의 탄약토큰을 소모한다.[곡사] [비무장] [일제발사] 해당 부품 키워드의 명시된 발사체를 최대 n개까지 발사하거나 설치하고, 같은 수의 탄약토큰을 소모한다.[곡사] [무소음] [명중] [무소음] [명중] [일제발사] [곡사] [레이저무기] [부동] 이 액션 기회동안 유닛이 이 액션을 수행하기 전에 이동하거나 방향을 전환하지 않았다면, 특별 규칙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비무장] [명중] [끌어당기기] 대상을 이 메카의 인접 그리드로 강제 이동시킨 뒤, 대상의 전방을 설정한다.
끌어당기기는 비행 이동으로 간주.
[이동불가] [명중] [비무장] [비무장] [제압] 이 액션의 대상으로 선언된 메카는 즉시 방어 스탠스로 전환된다.
단, 셧다운 스탠스에 있는 유닛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비무장] [직사] 이 액션은 낙하지점이나 목표물에 대한 시야가 필요하다.[양손] [비무장] [비무장] [일제발사] [곡사] [비무장] [일제발사] [곡사] [충격] 공격 주사위에 있는 {번개} 하나당 대상 링크 수치가 1 감소한다.
충격은 데미지를 주지 않으며 링크만 감소시킨다.
*충격 효과는 중첩될 수 있다.
[파열] [충격] [충전됨] [파열] [산탄] [이온무기] [근접사격] [무소음] [명중] [레이저무기] [부동] [비무장] [레이저무기] [부동] [레이저무기] [충전] [KC장갑] [사격통제방해] [곡사] [투척] 이 액션을 수행하려면 비무장 부품(FREEHAND)지정해야 한다.[공중이동] 이 액션은 비행이동으로 간주된다.[화물] 드론이 부품을 운반한다. 드론은 이 부품의 능력과 속성을 얻지 못한다.[화물] [양손] [전방향사격] [화물] [충전] [KC장갑] [바리케이드] 적이 이 유닛 이외의 아군 유닛을 공격 시, 이 유닛은 3인치 지형으로 취급된다.[사격통제방해] [미사일그룹3] 각 미사일 그룹에는 3모델이 포함된다. 함께 이동하여 같은 목표물만 공격할 수 있으며, 모델 1개당 요격 및 폭발 피해따로 적용된다.[사격통제방해] [레이저무기] [요격] 해당 부품 키워드에 명시된 n개만큼의 요격 토큰이 있다.[전방향사격] [근접사격] [195] 포큐파인 페인트 타입은 바예호의 메탈컬러 제품군(32ml)을 딱 맞게 올려놓을 수 있게 되어있다.[사격통제방해] [충전] [파열] [충전] [레이저무기] [요격] 해당 부품 키워드에 명시된 n개만큼의 요격 토큰이 있다.[전방향사격] [근접사격] [화물] [화물] [사격통제방해] [중계기] 사거리 내의 아군 유닛은 EA 또는 ES 시, 이 기체를 출발점으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