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17:38:08

EMBER: Obsidian Protocol/게임 규칙/병영 및 무기고/RDL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MBER: Obsidian Protocol/게임 규칙/병영 및 무기고
파일:EMBER: Obsidian Protocol_logo.jpg
옵시디언 프로토콜 관련 정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세계관 설정 ]
설정 문서
공식 연표 옵시디언 프로토콜 달도시 슬레이프니르 유적과 블랙박스
유닛 유형 공식 소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게임 규칙 ]
게임 규칙
게임 소개 주요 개념 게임 진행
이동 규칙 전투 규칙 미션 및 시나리오
(메인미션&세컨더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플레이어블 팩션 ]
【병영 및 무기고】
(옵시디언 프로토콜 제품 목록)
[ RDL ]
RDL 설정/RDL 부품
[ UN ]
UN 설정/UN 부품
[ GOF ]
GOF 설정/GOF 부품
[ PD ]
PD 설정/용병 부품
[ 로그 AI ]
로그 AI 설정 / 로그 AI 부품
}}}}}}
{{{#!folding [ 게임 역사 및 이벤트 ]
게임 역사 및 이벤트
토너먼트 코드 42 }}}

1. 개요2. 특징3. 부품
3.1. 토르소
3.1.1. RT-06 "마이어" 전투 코어3.1.2. RT-06E "마이어E" 전투 코어(LAB 제품)3.1.3. RTX-06SR "마이어SR" 코어 (◆)3.1.4. RT-07T "듄" 전술 코어3.1.5. RT-08 "템페스트" 포격 코어3.1.6. RT-09A "볼케이노" 장갑 코어3.1.7. RT-09M2 "볼케이노M2" 장갑 코어(LAB 제품, ◆)3.1.8. RT-15B "라바" 돌격 코어3.1.9.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3.1.10. RT-15/EC "오로라" ECM 코어3.1.11. RT-15/S "님부스" 지원 코어(LAB 제품)3.1.12. RT-16B "아발란체" 돌격 코어(LAB 제품)
3.2. 섀시
3.2.1. RL-06 표준 섀시3.2.2. RL-06M 표준 섀시(LAB 제품)3.2.3. RL-06MS 보조 섀시(LAB 제품)3.2.4. RL-03D "스위프트 스티드" 고기동 섀시3.2.5. RL-08 장갑 섀시3.2.6. RL-08M2 장갑 섀시(LAB 제품, ◆)3.2.7. RL-08C 장갑 섀시 (◆)
3.3. 무장
3.3.1. 오른팔(R)
3.3.1.1. AC-32 오토매틱 라이플3.3.1.2. AC-32C 오토매틱 라이플(LAB 제품)3.3.1.3. AC-32M 막스맨 라이플(◆)3.3.1.4. AC-35 스나이퍼 라이플(LAB 제품)3.3.1.5. AC-39 택티컬 라이플3.3.1.6. AC-150 HMG3.3.1.7. ACX-350 "스트라투스" 프로토타입 HMG(킥스타터 전용, ★)3.3.1.8. AC-161 SMG3.3.1.9. CC-4 클리버3.3.1.10. 63식 Arm MG + CC-20 세이버3.3.1.11. AH-21 피스톨 + CC-50 파일드라이버[R](LAB 제품)3.3.1.12. L-330 SMMG + CC-85 락 쏘우(LAB 제품, ◆)3.3.1.13. L320 SMMG + CC-90 글레이브3.3.1.14. CC-100 "헤라클레스" 메테오 해머3.3.1.15. PC6 샷건 (◆)3.3.1.16. 타입55 실드 + PC9 샷건[R]3.3.1.17. 타입55 실드 + 연막탄 + PC9 샷건3.3.1.18. 55타입 + PC9K 샷건[R](LAB 제품)3.3.1.19. R-20 마운티드 레일건[R]3.3.1.20. R-35 헤비 레일건3.3.1.21. [G&T] 미니 토너먼트 트로피(토너먼트 상품, ★)
3.3.2. 왼팔(L)
3.3.2.1. G/AC-6 로켓 런처3.3.2.2. ML-32 듀얼 런처+CC-3 대거3.3.2.3. 타입55 실드+CC-6 클리버3.3.2.4. 타입55 실드+L320 SMMG+CC-6 클리버3.3.2.5. CC-7 클리버 (◆)3.3.2.6. FCC-12 "빅 핸드" 그래플러3.3.2.7. 62식 버클러+CC-20 세이버3.3.2.8. AH-21 피스톨 + CC-50 파일드라이버[L] (LAB 제품)3.3.2.9. 타입55 실드+MES 비컨 런처3.3.2.10. 타입55 실드 + PC9 샷건[L]3.3.2.11. 55타입 + PC9K 샷건[L](LAB 제품)3.3.2.12. R-20 마운티드 레일건[L]3.3.2.13. SPHX-3 서포팅 암(킥스타터 전용, ★)3.3.2.14. 타입55 실드(LAB 제품)3.3.2.15. 타입77 불워크3.3.2.16. L-330 SMMG+77B타입 불워크 (LAB 제품, ◆)3.3.2.17. 타입77 불워크3.3.2.18. 타입79 컴뱃 실드
3.4. 백팩
3.4.1.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3.4.2. AMS-193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LAB 제품, ◆)3.4.3. CP-3 비컨 백팩3.4.4. CP-4 드론 백팩(LAB 제품)3.4.5. ECS-2 익스터널 쿨러3.4.6. ECS-3 익스터널 쿨러 (◆)3.4.7. GLP-15 마인 레이어3.4.8. HD-2 데이터 팩(LAB 제품)3.4.9. LGP-80 아틸러리(킥스타터 전용, ★)3.4.10. ML-34 쿼드 미사일 랙3.4.11. ML-92 듀얼 미사일 랙3.4.12. ML-94 쿼드 미사일 랙(LAB 제품)3.4.13. MUD-1 "먹" ECM 백팩3.4.14. MUE/N-20 "에코즈" 서포팅 백팩3.4.15. SH-15 필드 리페어 시스템3.4.16. TB-600 제트팩
3.5. 발사체 / 설치물 / 드론
3.5.1. B3 비컨
3.5.1.1. B3/1 링크 비컨3.5.1.2. B3/2 디코이 비컨3.5.1.3. B3/3 전술 비컨
3.5.2. DTG-30M "하이에나" MG 타입3.5.3. DTG-30S “하이에나” 미사일 타입3.5.4. DTG-30R “하이에나” 레이더 타입3.5.5. DTG-30ART "하이에나" 페인트 타입 (◆)3.5.6. GS-2 연막탄3.5.7. GA-3 고폭탄(◆)3.5.8. GM-35 대장갑 지뢰3.5.9. MD-1 "잠자리" 초소형 정찰기(LAB 제품)3.5.10. MC-3 "레이저" 미사일3.5.11. MR-9 "팔콘" 미사일3.5.12. MR-10 "캐스트렐" 미사일(LAB 제품)3.5.13. MES 비컨3.5.14. RA-81 로켓
4. 파일럿
4.1. 엘리트 파일럿
4.1.1. 01 미스티4.1.2. 02 스파이크4.1.3. 03 우4.1.4. 04 해머헤드4.1.5. 05 앙세르4.1.6. 06 키홀
4.1.6.1. 06 키홀(034 작전중대) (◆)
4.2. 일반 파일럿
4.2.1. 09~13 쇼크 트루퍼4.2.2. 14~17 스카우트
4.3. 미출시 파일럿
4.3.1. ?? 말라드 (◆)4.3.2. ?? 미카 (◆)

1. 개요

EMBER: Obsidian Protocol에 등장하는 파벌인 재건개발연맹(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League, RDL)의 세부 설정과 부품, 파일럿을 다루는 문서이다.

2. 특징

RDL은 옵시디언 프로토콜에 예고된 3개의 파벌 중 최초로 발매된 파벌이다. 21세기 지상 장비들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 전체적으로 사각형에 가까운 디자인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 때문인지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네모' 혹은 '□'로 불리기도 한다.

최초로 발매된 파벌이기도 하고 매력적이고 멋진, 묵직하고 각진 디자인 덕분에 유입되어 들어온 많은 신규 유저들이 RDL을 구매하여 옵시디언 프로토콜을 시작하지만, 사실 RDL은 저점이 낮고 고점이 높은, 어느정도 팩션내 고유 키워드들의 이해도가 요구되는 초보자에겐 추천하기 다소 애매한 운용 난이도가 높은 팩션이다.

당연하게도 싼값과 대량의 MAP을 운용한다는 점에서는 확실한 이점을 가져갈수 있지만 RDL의 이점은 다름아닌 변칙적인 연계를 통한 전장 제압[1]으로 튜토리얼 이후 어느정도 게임에 익숙해진 지휘관[2]들은 듄 코어를 중심으로 오라로 발동되는 [유연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타이밍을 꼬아 다양한 상황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변칙적인 플레이를 선보이며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

물론 이와 별개로 수많은 드론과 미사일을 날리는 로스터라던가, MAP만 대량으로 물량으로 밀어붙히는 로스터[4], 수많은 설치물을 던져가며 진입로를 봉쇄시키거나[5], 파워플레이가 가능한 고코스트 기체들 만으로도 운용하는 다양한 방법도 있다.[6]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로스터는 자유로운 구상을 권장하고 있는 만큼, 예시로 든 로스터들 이외에도 이것저것 시도하는 것이 좋으며 자신의 상상력을 무시하지 말고 일단 실행에 옮긴 뒤, 경험을 기반을 한 자신만의 로스터를 만들어가는 것으로 옵시디언 프로토콜을 즐기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본 문서의 데이터는 옵시디언 프로토콜 공식 총판 라쿤펀치가 제공하는 RDL 데이터시트를 참조하였습니다.

3. 부품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더미 데이터 및 부품은 ◆ 표시.
  • 킥스타터 한정 보상으로 공식 토너먼트 등에서 사용할 수 없는 부품은 ★ 표시[7].

3.1. 토르소

3.1.1. RT-06 "마이어" 전투 코어

[ RT-06 "마이어" 전투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06.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6/2] [-] [2] [-]
[15pt]
입수처 : [RDL CORE]
[|RT-06 "마이어" 전투 코어 로어(펼치기 • 닫기)]
파일:RT-06(부품이미지).png
>마이어의 최초 투입 시기는 2차 달 영토 점령 작전 중에 실험 투입된 주력 핵심 전투 코어로 오늘날까지 연맹의 활성화와 발전을 도모하는 RT-06 시리즈는 개조 모델을 포함하여 MAP 시리즈 중 가장 광범위하게 보급된 모델로 남아있다.

RT-06 "마이어" 전투 코어는 뛰어난 범용성과 개조 잠재력을 자랑하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유지 관리가 쉽고, 무엇보다도 가격이 저렴하다. 이러한 장점은 기업들이 작업중인 MAP 팀을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현재 점점 더 치열해지는 유물 경쟁에서 이러한 이점은 자산을 보호해야 하는 소규모 기업에 중요하게 다가왔다.

성능 측면에서는 티에링 중공업의 성향을 완벽하게 구현한 부품으로 설명되는데 마이어 시리즈는 모든 특수한 기능들을 완전히 배제하고 모든 자원을 MAP 코어의 기본적인 기능에 투자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머리와 가슴의 광학 부품과 머리에 설치된 마이크로파 레이더를 통해 유적 내에서 유용한 환경 인식 기능을 얻었고, 선형 복합 안테나는 팀 내 통신 기능을 보장했다. 이러한 기능에 상응하는 것은 다름 아닌 뛰어난 보호 기능이었다. 경사 복합장갑 설계와 티에링 중공업의 뛰어난 기술력을 통해 얻게 된 마이어 시리즈의 우수한 방어 성능은 현재까지도 수많은 제조업체의 핵심이자, 이를 사용하는 중대들에 유적 내 뛰어난 생존확률을 보장하였다.

동시에 모듈형 아머 디자인과 범용 코어 프레임을 통해 손상된 부품을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런 설계 방식이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설계를 반영하듯 현장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든 모듈형 아머에는 손잡이가 달린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불행히도 전투 중에는 이 손잡이가 약한 충격, 과도한 전술 기동, 빗나간 총알로 인해 가장 많이 파손되었고, 이런 취약한 부품을 즉시 교체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지상 크루들에게 골치 아픈 일이 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설계 장점은 티에링 중공업의 장비 판매에 꾸준한 인기를 얻었다. 모듈식에 비롯한 다재다능함은 다양한 개조로 이어졌고 여전히 많은 중대나 편대에서는 필요에 따라 RT-06 마이어를 개조하여 자신의 조종 습관에 맞춰 더욱 효율적으로 이를 이용하는데 이르렀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워치타워 디펜스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이 운용하는 게지 중대의 "마이어 E형"은 팀 내 통신과 환경 인식 및 전자 대응 능력을 향상해 파일럿의 전자전 능력을 동일한 수준으로 향상했고, 동시에 시스템 호환성 고려 사항으로 인해 마이어 시리즈를 조달하는 기업들은 티에링 중공업 및 관련 기업에서 개발한 다른 장비를 우선하여 선택하여 마이어 시리즈의 수명을 더욱 연장했다.

또한 심우주 채굴과 같은 분야의 민간 기업들은 가혹한 환경에서 정밀 생산 작업을 위해 마이어를 구매하였고 이에 따라 다양한 민간용 마이어 개조도 탄생했다. 이는 기본적으로 자연의 섭리에 따른 회귀일 수도 있었다. 티에링 중공업 또한 한때 심우주 채굴 작업을 위해 사이버네틱스 임플란트 개발 경험에 의존하여 MAP 개발에 진출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많은 민간용 모델이 전투 분대에서 장기간 사용된 후 개조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우주 건설에 사용되는 민간용 모델은 AVE 모델로 리장 건설로부터 많은 주문을 받았다.

동시에 여러 회사의 전장 보고서에 따르면 새로운 주요 전투 코어가 이미 특정 지역에 배치되었다고 한다. 아직 테스트 단계인 것으로 여겨지지만 티에링 중공업이 마이어 시리즈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믿을 만한 이유는 충분하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RT-06 "마이어" 전투 코어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로어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RDL의 가장 기초적인 토르소로 21pt라는 저렴한 값과 뛰어난 장갑치를 갖추고 있다.

[RDL CORE] 팩을 구매하면 최대 4개까지 조립할 수 있지만, 컨버전 킷인 마이어 E를 염두에 둔다면 2개만 조립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3.1.2. RT-06E "마이어E" 전투 코어(LAB 제품)

[ RT-06E "마이어E" 전투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06E.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6/2] [-] [3] [-]
[21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CORE]

RT-06 "마이어" 전투 코어에 대응하는 LAB 제품.
대응 파츠와 외형이 다르며 기존 마이어 코어보다 전자전 1이 높은것이 특징이다.
아직 상세한 로어가 밝혀진 바는 없으나, 워치타워 디펜스에서 운용중인 게지 중대의 주력 전투 코어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마이어 E 전투 코어다. 게지중대는 미사일로 인한 포격전, 그리고 전자정보에 따른 전황 파악 및 화력투사라는 컨셉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듯, 부품 스탯도 마이어보다 전자전이 1 증가된것을 볼 수 있다.

다만, 후술될 오로라의 패시브인 [EC 지원]으로 인해 마이어 E는 다소 아쉬운 토르소로 평가되고 있다.

3.1.3. RTX-06SR "마이어SR" 코어 (◆)

[ RTX-06SR "마이어SR"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X-06SR.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6/2] [-] [2] [-]
[32pt]
입수처 : [RDL Starter Set:RAID]

파일:OP_Passive.jpg [임전무퇴] [패시브]


- 이 메카는 근접 공격을 받았을 시, 후방 공격이 적용되지 않는다.
발매 예정인 [Starter Set:RAID]에 들어있는 마이어 시리즈의 새로운 토르소.
근접공격을 받을 시 후방공격이 적용되지 않는 [임전무퇴] 패시브가 생겼다. 기존 마이어도 RDL 부품답게 상당히 단단한 편이라, 저렴한 탱커 유닛으로서의 활용성을 기대받고 있다.

3.1.4. RT-07T "듄" 전술 코어

[ RT-07T "듄" 전술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07T.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4] [-] [3] [-]
[67pt]
입수처 : [RDL CORE]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전술 조정, 명시= | 적용범위 [3] |)] - 오라[오라]
-사거리 내 아군 메카의 모든 액션은 유연한 타이밍 키워드[유연한타이밍][유연함예시]를 얻는다.
[|RT-07T "듄" 전술 코어 로어(펼치기 • 닫기)]
파일:RT-07T(부품이미지).png
>RT-06 마이어 전투 코어는 전장에 투입된 후 좋은 반응을 얻었지만, 오랫동안 비판을 받아왔다. 전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투 조건은 점점 더 복잡해졌고, 사용할 수 있는 레이더와 통신 안테나는 때때로 오작동을 일으켰다. 마이어의 가격을 고려한다는 이는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기는 했지만, 이러한 문제는 해결책이 필요하였다.

수많은 커뮤니케이션을 거친 엔지니어들은 가능한 개선 방향을 여러 개 잡고 시연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업그레이드 모델을 설계하기 시작했다. 그중 중요한 목표로서 잡힌 방향성에는 팀의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하는 지휘 모델이었다.

이전에 티에링 중공업은 상황 인식과 통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된 "인사이트" 전장 지원 모듈을 개발했었다. 여러 개의 탐색 레이더와 통신 장치를 통합한 4개의 대형 안테나를 통해 해당 모듈은 전장 환경을 빠르게 파악하고 범위 내 아군 유닛과 공유하여 팀 전체의 전투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마이어의 지휘 강화 개선은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개발되기 시작한다.

우선 측면 장갑에 설치된 레이더와 안테나 부품을 제거하고 부품을 재설계하여 "인사이트" 모듈을 마이어에게 성공적으로 설치해 낸다. 이 개조된 프로토타입의 시각적 특징은 매우 분명했다. 4개의 무거운 안테나 패널을 완전히 펼쳤을 때 독특한 외형을 형성하고 기존 머리에 존재했던 리어 서스펜션 로드를 제거하고 소형화된 통신 안테나로 교체하였다. 이후 기본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 후, 해당 프로토타입은 전장 테스트를 위해 자오 얀 마이닝의 066 시험평가 중대로 전달되었다.

일주일 만에 시험평가 중대는 10회 이상의 실제 전투를 고강도로 수행했고, 신속하게 첫 번째 테스트 보고서를 제출한다. 그들의 리더는 "인사이트" 모듈의 실 성능을 높게 평가했지만, 주로 다음 세 가지 사항을 포함한 개선안을 제시한다.

첫째, "인사이트" 모듈의 4개의 안테나는 너무 커서 전투 중 기체의 중심이 영향을 받아 전술 행동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동시에 빗나간 총알로 인해 손상될 수 있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었다. 둘째, 해당 모듈을 설치하기 위해 다량의 장갑을 제거한 결과 코어 부품이 파괴될 확률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RT-06 마이어 머리에 있는 기존의 광학 조준 구성 부품과 설치된 많은 레이더는 기능상 일부 중복이 있었다는 것이었다.

이를 본 설계 부서는 해당 피드백에 매우 만족했다. 우선 프로토타입의 경우, "인사이트" 모듈 시스템을 MAP과 결합하려는 시도 자체는 성공적이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포괄적인 개선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는데, 엔지니어는 내부 핵심 구성 요소를 유지하는 전제하에 새로운 장갑 구조의 레이아웃을 완전히 재설계한다. 새로운 모듈을 설치하기 위해 외부 장갑은 약화되었지만, 전력 시스템과 코어 프로세서 영역의 주 장갑을 강화, "인사이트" 모듈 자체도 재설계하여, 많은 수의 레이더 부품이 안테나 보드에서 프레임의 다른 영역으로 이전되어 모든 부품의 무게 구성을 균형 잡게 하고, 단일 부품이 전체 기능에 타격을 입히는 영향을 감소시켰다. 또한 머리의 모든 광학 부품을 제거 후 레이더 모듈 부품으로 교체되었다. 이 새로운 부품은 RT-07T "듄" 전술 코어로 명명되어 분대 지휘기로 사용되기 시작하며 연맹 소속 핵심 기업들의 전투 부대에 지급된다.

시험평가 중대의 피드백과 마찬가지로 이 코어를 지급받은 부대들은 이를 칭찬했다. 전장 인식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후 MAP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아군에게 더 풍부한 정보와 더 강력한 처리 능력을 바탕으로 행동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해당 코어의 새로운 내부 및 외부 장갑 배치가 더 나은 방어 효율을 보인다고 보고되기도 했다. 이 코어는 아직 외부에 유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투에서 상당한 전술적 이점을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RT-07 "듄" 전술 코어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RDL 전술의 핵심이라고 해도 무방한 지휘 모델 토르소로 [RDL CORE]팩에서 1개 입수할 수 있다.

듄 토르소의 특징은 바로 오라로 적용되어, 자신을 포함하여 주위 3 그리드 내 아군 파일럿들에게 부여하는 [유연한 타이밍]이라 할 수 있다. 이 키워드의 특별함과 강점은 바로 해당 키워드가 부여된 파일럿들은 자신이 설정한 액션 타이밍에 앞, 뒤에 해당되는 액션을 행동할수 있다는 점이다. 설정한 액션 타이밍을 포함하여 2개의 액션 행동을 취할 수 있으니 전략적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은 물론, 동일한 액션 타이밍을 가졌을때 우선권을 잡은 상대의 허점을 찌를수 있는 상황까지 고려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때문에 다소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으니 해당 키워드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이해도를 요구받게 된다. 듄이 셧다운 스탠스에 진입시 오라의 효과도 단절되는 점으로 인해 키워드를 부여받지 못하는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으니 주의할 것.

3.1.5. RT-08 "템페스트" 포격 코어

[ RT-08 "템페스트" 포격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08.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7/2] [-] [3] [-]
[62pt]
입수처 : [RDL HEAVYMETAL]

파일:OP_Passive.jpg [포격 모드] [패시브]
| 적용 조건 : 부동 |

- 이 메카가 이번 액션 기회동안 부동[부동] 상태 시, 1 추가 사격 틱[추가사격틱]을 얻는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유산탄, 명시= | [S] | 사거리 [--] | 5Y |)] - 명중[명중]넉백[넉백].
[|RT-08 "템페스트" 포격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RT-08(부품이미지).png
> 유적에서의 전투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RT-06 시리즈의 성능은 더이상 특정 지역에서 활동하는 분대의 전투 강도에 대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특히 분대의 전투 손실이 증가함에 짜라 자오 얀 마이닝이 이끄는 유적 개발 회사 그룹은 "터뷸런스 시스템"에 "전선의 종합적인 전투 성능을 향상시키고 생존성을 강화하는 고성능 Map"의 개발 요구 사항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서 티에링 중공업의 엔지니어링 팀은 수많은 전투 기록 데이터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들은 모든 무기와 장비가 점진적으로 업그레이드 됨에 따라 마이어의 방어 성능이 부족해지기 시작했다는 정황이 발견됬다. 또한 전자 시스템과 관련 펌웨어의 약점도 기본 마이어의 전투 능력을 제한했다. 엔지니어는 생존성 측면에서 RT-06을 업그레이드하려고 시도했으며, 이 기산동안 여러가지 장갑 강화 모델이 탄생했지만 마이어 자체 추진 시스템의 성능은 한계에 도달했고 새로 추가된 장갑은 메카의 이동성을 심각하게 제한했으며 추가 장비를 개선하기 어려웠다. 시험부대 또한 수정이 다양한 군대의 고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였고 결국 개발 프로젝트는 한동안 정체에 이른다.

그러나 터뷸런스 시스템이 구축한 연맹 내부의 협력체계가 시범운용 되어 순조롭게 진행되고 MUD-1 "먹" 전자전 백팩과 같은 우수한 제품이 출시되자, 티에링 중공업은 뤄진 일렉트로니스의 지원팀에 초대하여 새로운 코어를 공동 개발하게 된다.

이들은 이전 개발 기록을 검토한 후, 뤄진 일렉트로니스 팀은 거대한 변화가 있는 일련의 개선 계획을 제안했다. RT-06 시리즈 코어의 골격만 유지하는 것을 기반으로 외부 모듈을 완전히 재설계했다. 뤄진 일렉트로니스 팀은 자신들의 역랑을 증명하기 위해 원래 신세대 코어를 위해 계획하던 고성능 동력 전달 시스템을 탑재한 신형 프레임 워크를 공유하고, 시뮬레이션 테스트 후 양측은 해당 시스템이 설계 요구 사항에 따라 코어 출력을 지원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 협력 개발이 공식적으로 시작된다.

우선, 개량된 외층의 방어 성능 개선을 주요 목표로 했다. 티에링 중공업은 이 핵심에 대해 보다 컴팩트한 장갑 배치를 채택하고, 전면 주 장갑의 경사각을 높였으며, 다양한 플랫폼의 대전차 무기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 폭발 반응 장갑을 설치하기도 했다. 극한의 장갑 중첩을 통해 이 코어의 외부 방어 능력은 전례없는 강도에 이르렀고 동시에, 연합의 완벽하고 풍부한 사격 무장 시스템을 고려할 때, 새로운 코어의 설계도 공식적으로 포격에 특화되도록 결정되었다. 머리에 위치한 거대한 사격 통제 레이더를 통해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이전 사격 결과를 통해 환경 요인 분석과 사격 요소 조정을 신혹하게 완료하고, 파일럿의 직접 조작 없이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사격을 보충할 수 있었다. 이 설계는 파일럿의 부담을 줄일 뿐만 아니라 부대의 사수들에게 매우 인기있는 단일 기체의 피해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강력한 근접기의 위협을 고려하여 티에링 중공업은 가슴에 방향성 산탄총도 설치했다. 적이 앞으로 돌진해오면 사수는 산탄을 앞으로 퍼붓고, 두려움에 질려 후퇴하는 적에게 침착하게 사격할 수 있었다.

오늘날, 이 개량된 코어는 RT-08 "템페스트" 포격 코어라는 이름으로 많은 화력 플레이어들에게 최고의 선택이 되었다. 그들이 장포와 단포를 가지고 전장에 등장하면 곧 전체 지역에 짙은 탄환세례가 덮칠 것이다. 뤄진 일렉트로니스는 또한 RT-08의 하위 시스템 업그레이드에 대한 설계 작업을 시작했으며, 일부 모델은 23개월 이상 테스트를 거쳤고 곧 실제 전투에 투입될 예정이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RT-08 "템페스트" 포격 코어|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3.1.6. RT-09A "볼케이노" 장갑 코어

[ RT-09A "볼케이노" 장갑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09A.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6/4] [-] [3] [-]
[66pt]
입수처 : [RDL HEAVY METAL]

파일:OP_Passive.jpg [장갑 대응] [패시브]
| 적용 조건 : 피격 |

- 이 메카에 대한 아무 주사위 굴림에 대하여 하얀 주사위 1개 지정.[지정1W]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연막탄, 명시= | [S] | 사거리 [2] | 탄약 [1] |)] - 직사[직사]
- GS-2 연막탄 1개 발사
[|RT-09A "볼케이노" 장갑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RT-09A(부품이미지).png
> RT-08 "템페스트" 포격 코어의 성공적인 개발 이후, 티에링 중공업과 뤄진 테크놀로지의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고, 여러 협력을 통한 연구 개발 계획이 시작었으며, 동시에 RT-08에 대한 개선 및 최적화도 진행된다.

특히 뤄진의 고성능 파워 프레임은 MAP에 강력한 파워를 제공하여 양쪽 설계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크게 늘어나 다양하고 새로운 기술을 시도할 여지가 있었다. 이전에 RT-08은 중장갑과 폭발 반응 장갑의 생존성을 개선한다는 아이디어를 시도했고, 티에링 중공업은 순전히 생존성을 개선한다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설계를 개선하기 시작했다.

그들이 가장 먼저 건들인것은 전반적인 장갑의 배치였다. "템페스트"의 외장갑 보호성능은 훌륭했지만 내부 코어 영역의 내구성은 상당히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상대방이 외부 장갑을 뚫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이 포격 코어의 임무 기능은 즉시 셧다운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엔지니어들은 전면 장갑의 주 장갑구조를 재구성하고 원래의 외부 장갑을 더욱 증설 후 더 큰 경사각을 형성하여 더 높은 방어력을 갖추는데 성공한다. 뤄진은 이에 그치지 않고 보호 능력을 직접 개선하는 방향성 외에도 생존성을 더욱 부드럽게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코어에 예비탄 1개를 갖춘, 연막탄 발사기 세트를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이전 코어의 뛰어난 성능을 고려하면 이 코어는 전적으로 신뢰를 받아 소량의 시제품을 직접 제작하여 RT-09라는 코드명으로 장비 시퀀스에 도입된다. 이 간단한 개선은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내부 및 외부 장갑층 간의 더 합리적인 관계가 상당히 뛰어난 생존성을 가져왔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추가적인 전자전 시스템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도 이러한 새로운 코어의 종합적인 성능은 "템페스트"와 비교해도 놀라울 정도였다.

이를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팀은 전면 장갑 외부에 부동 장갑을 추가로 장착했고, 오늘날 사용되는 대 MAP 무기에 사용되는 철갑탄과 관통탄에 대한 보호 수준을 더욱 향산시키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개선안은 역시 "방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라는 묘듈 세트일 것이다.

RT-09에 대한 본 시스템의 외관상 가장 큰 변화는 머리 상단에 위치한 대형 플레이트 안테나라 할 수 있다. 이 모듈은 MAP의 상황 인식 시스템과 연결되어 기체가 공격을 받았을 때 자체적으로 신속하게 계산하여 현재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대응책을 도출하고 파일럿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자세 조정을 지원한다. 이 시스템의 도입으로 새로운 코어 부품은 의심할 여지 없이 연맹 장비중에서도 최고의 생존성을 갖추게 되어 설계 목표를 달성했다.

"방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에 대한 여러 수정과 레이더 및 광전자 시스템에 대한 조정으로 인해 해당 시리즈에는 유사한 외관으로 많은 수정이 이루어졌었다. 그 중 일부는 고유한 명칭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은 특정 분대에서만 소유하는 전용 모델일 뿐이다. 그 중 추가 장갑 및 "방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 수정된 RT-09는 "볼케이노"로 명명되었으며 RT-09A 장갑 코어의 이름을 따서 09 시리즈 중 가장 많이 보급된 모델이 되었다. 전투에서는 "볼케이노" 코어를 사용한 메카가 돌격의 주력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 거대한 몸체는 파일럿에게 큰 부담이 되지만, 적절히 사용한다면 대형 무기를 장착한 화산은 넘을 수 없는 벽이 되어 적의 악몽이 되어 깊이 새겨질 것이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RT-09A "볼케이노" 장갑 코어|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현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토르소중 가장 월등한 방어능력을 갖춘 코어로 [RDL HEAVYMETAL] 팩에서 2개 얻을 수 있다.

3.1.7. RT-09M2 "볼케이노M2" 장갑 코어(LAB 제품, ◆)

[ RT-09M2 "볼케이노M2" 장갑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09M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6/4] [-] [3] [-]
[66pt]
입수처 : [RDL Prototype Volcano MKII]

파일:OP_Passive.jpg [장갑 대응] [패시브]
| 적용 조건 : 피격 |

- 이 메카에 대한 아무 주사위 굴림에 대하여 하얀 주사위 1개 지정.[지정1W]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연막탄, 명시= | [S] | 사거리 [2] | 탄약 [1] |)] - 직사[직사]
- GS-2 연막탄 1개 발사

다른 LAB 제품과 달리 프로토타입 볼케이노M2 라는 풀 프레임 제품으로 발매될 예정이며 기존 파츠와 컨버전 없이 단일 파츠로 제공된다.
대응 파츠인 RT-09 "볼케이노" 장갑 코어와 성능은 동일하지만 외형적 차이가 존재하는 일종의 스킨 개념의 파츠에 해당된다.

3.1.8. RT-15B "라바" 돌격 코어

[ RT-15B "라바" 돌격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15B.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4] [1] [3] [-]
[59pt]
입수처 : [RDL CAVALRY]

파일:OP_Passive.jpg [CQC] [패시브]
| 모든 액션 타이밍 |

- 이 메카는 타이밍에 상관없이 근접 숏 액션시작 액션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연막탄, 명시= | [S] | 사거리 [2] | 탄약 [1] |)] - 직사[직사]
- GS-2 연막탄 1개 발사.
[|RT-15B "라바" 돌격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RT-15B(부품이미지).png
> 티에링 중공업과 뤄진 일렉트로니스와의 협력 프로제트로 대표되는 협력 모델은 더 많은 연맹 내 회사들에게 확산되었다. 이들 중 오랫동안 MAP의 핵심 개발 산업에 진출하는 것에 관심이 있었던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빠르게 화해의 손길을 내밀었고, 양측은 협력을 시작한다.

그렇게 프로젝트에 합류한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이번 프로젝트에 큰 기대를 걸고 있었고 매우 야심찬 목표를 제안한다. 그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는 핵심 코어의 구성 요소를 교체하여 재구축 하는 것으로 특수 모델을 구현하는 동시에 더 높은 성능을 얻는 전문화 모델이었고 이는 곧 높은 확장성과 비교적 낮은 비용을 갖춘 새로운 고성능 코어 시리즈였다. 이 아이디어는 티에링 중공업 팀의 큰 관심을 끌어내고 양측 모두 해당 프로젝트를 신속히 진행하기 시작했다.

이전, 방어와 생존성에 중점을 두었던 뤄진 테크놀로지와 달리,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코어의 유연성과 기능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더 관심을 두고 있었다. 이는 운송 산업을 위한 하위 시스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와 개발로 인해 생겨난 그들만의 습관일 수 있었다. 이 새로운 시리즈를 설계할 때 엔지니어는 먼저 무게를 줄이기로 했다. 더욱 컴팩트한 코어 영역 레이아웃과 재설계된 장갑 형태를 통해 필요한 보호 영역을 최대한 압축한 후, 사격장 테스트에서 새로운 시험체의 성능은 기대에 부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작업의 이점은 이에 국한되지 않았다. 중량이 줄어들고 출력이 더 높은 전력 모듈이 사용되면서, 이 코어는 뛰어난 전술적 기동성으로 후속 테스트에서 테스터들에게 매우 좋은 인상을 남기게 된다.

그 다음 하위 시스템 설치가 진행되었다. 이전 RT-09A 모델은 실전에 투입된 후 상당히 좋은 성능을 선보였다. 특히 GS-2 연막탄은 전투에서 기대 이상의 성능을 보였고 이에 따라 티에링 중공업이 이 새로운 시리즈에 동일한 유형의 발사기를 설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도 현재 연맹 파벌의 코어에 비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더 많은 장비를 설치하기 시작했으며, 앞 가슴에 독특한 배럴 영역을 형성했는데, 이는 시리즈의 외관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중 중요한 것은 머리에 통합된 레이더 장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페가수스 엔지니어에 따르면, 머리 중앙에 있는 처리 모듈만 교체하면 현재 작업에 가장 적합한 전문 모델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

모든 하위 시스템이 설치된 후, 해당 코어는 RT-15 시리즈로 명명되었고,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헤드 모듈의 연구 개발에도 집중했다.

그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한 일은 근접전 전용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었다. 유적에서의 전투 강도가 격렬해지고 다양한 세력의 개발이 반복되면서 메카 간의 근접 전투 빈도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었다. “볼케이노”는 강력한 생존력 덕분에 많은 근접 전투원들에게 인기를 끌었지만, 엔지니어들은 여전히 더 적극적인 솔루션을 원했다. 근접 강화 모듈은 동작 감지 레이더로 내부 캡슐화되어 특정 범위 내 적군의 동작을 감지하고 일부 컴퓨팅 기능을 공유하여 기체가 언제든지 이러한 목표에게 치명타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구성은 결국 RT-15B “라바” 돌격 코어로 분류되었다.

최전선에서 활동중인 부대들의 피드백에 따르면 RT-15 시리즈는 특히 기동성과 유연성을 중시하는 쇼크 트루퍼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이 프로젝트 이후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MAP 코어 연구 및 개발 사업에 공식적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이 시리즈의 뛰어난 다양성과 일부 현장준비팀의 소문을 고려할 때, 이 시리즈의 새로운 변형작 중 적어도 하나가 개량 생산 단계에 들어갔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RT-15B "라바" 돌격 코어|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RDL CAVALRY]에 포함되어 있는 근접전용 토르소로 로어에서 언급되는 RT-15 시리즈는 전문화 모델이라는 컨셉과 컴팩트한 설계를 반영하듯 다른 토르소에 비해 가볍고 민첩해보이는 외형이특징이다. 그 중 라바는 근접전에 특화된 토르소로 볼케이노의 영향을 받았기에 작은 뿔 형태의 안테나가 달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라바의 특징은 바로 어떤 액션 타이밍을 설정하든, 근접 숏 액션을 시작 액션으로 사용할수 있는 패시브 [CQC]라 할 수 있는데, 키워드 설명 그대로 어떤 액션 타이밍이든 상대한테 붙을수만 있다면 근접 숏 액션을 행동할수 있는 것이다. 즉 근접이라는 선택지가 하나 더 늘어나는 만큼 좀더 폭 넓은 운용을 할수 있다는 것이지만, 반대로 이런 강력한 근접전 성능 때문에 먼저 노려지는 사태도 빈번히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라바와 글레이셔의 헤드는 동일한 외관을 지니지만 머리 가운데 부속품에 따라 갈리는 식이기에, 조립시에는 이미지와 설명서를 잘 확인하고 조립하는 것을 권고한다.

3.1.9.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

[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15C.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4] [1] [2] [-]
[56pt]
입수처 : [RDL CAVALRY]

파일:OP_Passive.jpg [지속 사격] [패시브]
| 사격 타이밍 |

- 이 메카가 사격 타이밍 때 액션했다면 1 추가 사격틱[추가사격틱]을 얻는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연막탄, 명시= | [S] | 사거리 [2] | 탄약 [1] |)] - 직사[직사]
- GS-2 연막탄 1개 발사.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RT-15C(부품이미지).png
> 티에링 중공업과 뤄진 일렉트로니스와의 협력 프로제트로 대표되는 협력 모델은 더 많은 연맹 내 회사들에게 확산되었다. 이들 중 오랫동안 MAP의 핵심 개발 산업에 진출하는 것에 관심이 있었던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빠르게 화해의 손길을 내밀었고, 양측은 협력을 시작한다.

그렇게 프로젝트에 합류한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이번 프로젝트에 큰 기대를 걸고 있었고 매우 야심찬 목표를 제안한다. 그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는 핵심 코어의 구성 요소를 교체하여 재구축 하는 것으로 특수 모델을 구현하는 동시에 더 높은 성능을 얻는 전문화 모델이었고 이는 곧 높은 확장성과 비교적 낮은 비용을 갖춘 새로운 고성능 코어 시리즈였다. 이 아이디어는 티에링 중공업 팀의 큰 관심을 끌어내고 양측 모두 해당 프로젝트를 신속히 진행하기 시작했다.

이전, 방어와 생존성에 중점을 두었던 뤄진 테크놀로지와 달리,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코어의 유연성과 기능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더 관심을 두고 있었다. 이는 운송 산업을 위한 하위 시스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와 개발로 인해 생겨난 그들만의 습관일 수 있었다. 이 새로운 시리즈를 설계할 때 엔지니어는 먼저 무게를 줄이기로 했다. 더욱 컴팩트한 코어 영역 레이아웃과 재설계된 장갑 형태를 통해 필요한 보호 영역을 최대한 압축한 후, 사격장 테스트에서 새로운 시험체의 성능은 기대에 부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작업의 이점은 이에 국한되지 않았다. 중량이 줄어들고 출력이 더 높은 전력 모듈이 사용되면서, 이 코어는 뛰어난 전술적 기동성으로 후속 테스트에서 테스터들에게 매우 좋은 인상을 남기게 된다.

그 다음 하위 시스템 설치가 진행되었다. 이전 RT-09A 모델은 실전에 투입된 후 상당히 좋은 성능을 선보였다. 특히 GS-2 연막탄은 전투에서 기대 이상의 성능을 보였고 이에 따라 티에링 중공업이 이 새로운 시리즈에 동일한 유형의 발사기를 설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도 현재 연맹 파벌의 코어에 비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더 많은 장비를 설치하기 시작했으며, 앞 가슴에 독특한 배럴 영역을 형성했는데, 이는 시리즈의 외관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중 중요한 것은 머리에 통합된 레이더 장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페가수스 엔지니어에 따르면, 머리 중앙에 있는 처리 모듈만 교체하면 현재 작업에 가장 적합한 전문 모델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

모든 하위 시스템이 설치된 후, 해당 코어는 RT-15 시리즈로 명명되었고,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헤드 모듈의 연구 개발에도 집중했다.

템페스트의 연구 과정과 비슷하게, 페가수스 인더스트리의 엔지니어들은 사격에 특화된 모델도 개발했다. 적을 산산조각 낼 수만 있다면 전투원들은 그것이 포탄이든 강철 칼이든 상관하지 않는다. 페가수스 팀은 티에링 중공업 인력을 통해 RT-08 연구에 참여 허가를 받은 뤄진 팀과 연락을 취하고, 새로운 코어에 템페스트의 사격 강화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시도를 시작한다. 하지만 이 경량형 코어의 경우 사전 설정된 전투 환경은 템페스트보다 훨씬 불안정했으나 다행히도 페가수스와 뤄진 팀은 수개월간의 연구 끝에 소프트 웨어를 업데이트 하고 수정하여 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해낸다. 하지만 이 모델의 핵심 컴퓨팅 파워의 일부가 이 기능에 점유되었다. 이 사격 전문 모델은 출시 후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로 명명되었다.

최전선에서 활동중인 부대들의 피드백에 따르면 RT-15 시리즈는 특히 기동성과 유연성을 중시하는 쇼크 트루퍼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이 프로젝트 이후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MAP 코어 연구 및 개발 사업에 공식적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이 시리즈의 뛰어난 다양성과 일부 현장준비팀의 소문을 고려할 때, 이 시리즈의 새로운 변형작 중 적어도 하나가 개량 생산 단계에 들어갔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RDL CAVALRY]에 포함되어 있는 사격전용 토르소로 로어에서 언급되는 RT-15 시리즈는 전문화 모델이라는 컨셉과 컴팩트한 설계를 반영하듯 다른 토르소에 비해 가볍고 민첩해보이는 외형이 특징이다. 그 중 라바는 사격전에 특화된 토르소로, 템페스트의 영향을 받았기에 카메라 형태의 부품이 달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글레이셔의 특징은 부동이 사라진 템페스트라 할수 있는 [지속 사격]이다. 부동시 추가사격틱을 얻는 템페스트와 달리 글레이셔는 사격 타이밍에 액션을 취한다면 추가사격틱을 얻는 것이다. 즉 기동을 진행하고 사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를 이용해 사격 무장 구성을 미디움틱+숏틱 혹은 숏틱2개로 구성하여 추가 사격틱을 활용하는 구성을 추천하고 있다.

여담으로 라바와 글레이셔의 헤드는 동일한 외관을 지니지만 머리 가운데 부속품에 따라 갈리는 식이기에, 조립시에는 이미지와 설명서를 잘 확인하고 조립하는 것을 권고한다.

3.1.10. RT-15/EC "오로라" ECM 코어

[ RT-15/EC "오로라" ECM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15EC.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4] [-] [3] [-]
[60pt]
입수처 : [RDL 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EC 지원, 명시= | 적용범위 [4] | 범위 내 모든 아군 |)] - 전자 지원[전자지원]
- 전자전 노드 1[전자전노드1]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링크 강화, 명시= | [S] | 적용범위 [4] | 범위 내 모든 아군 | )] - 전자 지원[전자지원]
- 사거리 내의 모든 아군 메카는 1링크 회복.
[|RT-15/EC "오로라" ECM 코어|(펼치기 • 닫기)]
파일:RT-15EC(부품이미지).png
> 티에링 중공업과 뤄진 일렉트로니스와의 협력 프로제트로 대표되는 협력 모델은 더 많은 연맹 내 회사들에게 확산되었다. 이들 중 오랫동안 MAP의 핵심 개발 산업에 진출하는 것에 관심이 있었던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빠르게 화해의 손길을 내밀었고, 양측은 협력을 시작한다.

그렇게 프로젝트에 합류한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이번 프로젝트에 큰 기대를 걸고 있었고 매우 야심찬 목표를 제안한다. 그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는 핵심 코어의 구성 요소를 교체하여 재구축 하는 것으로 특수 모델을 구현하는 동시에 더 높은 성능을 얻는 전문화 모델이었고 이는 곧 높은 확장성과 비교적 낮은 비용을 갖춘 새로운 고성능 코어 시리즈였다. 이 아이디어는 티에링 중공업 팀의 큰 관심을 끌어내고 양측 모두 해당 프로젝트를 신속히 진행하기 시작했다.

이전, 방어와 생존성에 중점을 두었던 뤄진 테크놀로지와 달리,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코어의 유연성과 기능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더 관심을 두고 있었다. 이는 운송 산업을 위한 하위 시스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와 개발로 인해 생겨난 그들만의 습관일 수 있었다. 이 새로운 시리즈를 설계할 때 엔지니어는 먼저 무게를 줄이기로 했다. 더욱 컴팩트한 코어 영역 레이아웃과 재설계된 장갑 형태를 통해 필요한 보호 영역을 최대한 압축한 후, 사격장 테스트에서 새로운 시험체의 성능은 기대에 부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작업의 이점은 이에 국한되지 않았다. 중량이 줄어들고 출력이 더 높은 전력 모듈이 사용되면서, 이 코어는 뛰어난 전술적 기동성으로 후속 테스트에서 테스터들에게 매우 좋은 인상을 남기게 된다.

그 다음 하위 시스템 설치가 진행되었다. 이전 RT-09A 모델은 실전에 투입된 후 상당히 좋은 성능을 선보였다. 특히 GS-2 연막탄은 전투에서 기대 이상의 성능을 보였고 이에 따라 티에링 중공업이 이 새로운 시리즈에 동일한 유형의 발사기를 설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도 현재 연맹 파벌의 코어에 비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더 많은 장비를 설치하기 시작했으며, 앞 가슴에 독특한 배럴 영역을 형성했는데, 이는 시리즈의 외관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중 중요한 것은 머리에 통합된 레이더 장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페가수스 엔지니어에 따르면, 머리 중앙에 있는 처리 모듈만 교체하면 현재 작업에 가장 적합한 전문 모델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

모든 하위 시스템이 설치된 후, 해당 코어는 RT-15 시리즈로 명명되었고,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헤드 모듈의 연구 개발에도 집중했다.

이전 전투에서 전자 공격으로 인해 시스템이 불안정 해지거나 심지어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빈번해졌다. 이와 동시에 RT-15 시리즈의 뛰어난 성능은 자연스레 모든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고, 이 고성능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전자전 특화 코어의 전환은 자연스럽게 의제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시도 끝에, 소프트 전자전 관련 모듈의 볼륨은 기존 외부 장갑에 직접 통합하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게 됬고 거듭하여 시도한 후 공동 개발팀은 마침내 일부 보호 성능을 약화하고, 연막탄을 제거 후, 외부 장갑 형태를 재배치하여 전문 기능 자체의 작업 효율성을 보장하기로 결정한다. 동시에 코어의 머리 모듈에 대형 루프 안테나가 설치되었다. 장갑을 희생한 것은 매우 가치가 있는 일이었다. 강력한 처리 능력 덕분에 해당 지역 내에서 소프트 전자전 대응책의 실제 컴퓨팅 기능을 담당할 수 있었고, 지친 파일럿의 일부 기능을 공유하여 안정성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 모델은 결국 RT-15/EC “오로라” ECM 코어라는 이름으로 장비 계열에 포함된다.

최전선에서 활동중인 부대들의 피드백에 따르면 RT-15 시리즈는 특히 기동성과 유연성을 중시하는 쇼크 트루퍼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이 프로젝트 이후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MAP 코어 연구 및 개발 사업에 공식적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이 시리즈의 뛰어난 다양성과 일부 현장준비팀의 소문을 고려할 때, 이 시리즈의 새로운 변형작 중 적어도 하나가 개량 생산 단계에 들어갔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RT-15/EC "오로라" ECM 코어|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3.1.11. RT-15/S "님부스" 지원 코어(LAB 제품)

[ RT-15/S "님부스" 지원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15S.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4] [-] [3] [-]
[60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시스템 최적화, 명시= | [S] | 사거리 [6] |)] - 전자 지원[전자지원]
- 사거리 내의 아군 유닛 하나 선택 후 사각 토큰[사각토큰] 1개 제거.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링크 강화, 명시= | [S] | 사거리 [8] | )] - 전자 지원[전자지원]
- 사거리 내의 아군 메카 하나 선택, 해당 메카 1링크 회복.

RT-15/EC 오로라 ECM 코어에 대응하는 LAB 제품
광역 링크 회복과 전자전 버프를 두른 오로라와 달리, 단일 아군 유닛의 링크 회복과 디버프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지원 코어.

님부스는 말라드 중대에서 운용중인 토르소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3.1.12. RT-16B "아발란체" 돌격 코어(LAB 제품)

[ RT-16B "아발란체" 돌격 코어 ]
파일:RDL_토르소_RT-16B.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4] [1] [3] [-]
[60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근거리 사격, 명시= | 사거리 [4] | 사격 액션 |)] - 이 메카가 사거리 내의 대상을 향해 사격 액션을 수행 시, {눈}은 {강공격}으로 교체된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연막탄, 명시= | [S] | 사거리 [2] | 탄약 [1] |)] - 직사[직사]
- GS-2 연막탄 1개 발사.
RT-15B 라바 돌격 코어와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에 대응하는 LAB 제품.
연막탄은 동일하게 보유하나 패시브가 4 사거리 내 사격 시 {눈}이 {강공격}으로 교체되는 강력하면서도 심플한 좋은 능력을 갖추게 된다. 다만, 이러한 패시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격 사거리가 강제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자.

아발란체는 말라드 중대에서 운용중인 토르소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3.2. 섀시

3.2.1. RL-06 표준 섀시

[ RL-06 표준 섀시 ]
파일:RDL_섀시_RL-06.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3] [-] [-]
[21pt]
입수처 : [RDL CORE]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M] | 이동거리 [4] |)]

[RDL CORE] 팩에서 입수할수 있는 RDL의 가장 기본적인 섀시.
마이어 토르소와 마찬가지로 저렴함을 내세우고 있다. 해당 섀시또한 최대 4개까지 조립 가능하지만, 후술될 컨버전 키트인 06M과 보조 섀시를 염두에 둔다면 2개만 조립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3.2.2. RL-06M 표준 섀시(LAB 제품)

[ RL-06M 표준 섀시 ]
파일:RDL_섀시_RL-06M.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3] [-] [-]
[21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M] | 이동거리 [4] |)]
RL-06 표준 섀시에 대응하는 LAB 제품.
허벅지와 발바닥을 교체하는 식이며, 대응 파츠와 성능은 동일하지만 외형이 다르며 기존보다 포즈가 좀더 역동적인 것을 볼 수 있다. 컨버전 키트는 레진 제품이기에 플라스틱 제품군과 달리 발바닥에 핀이 없으며, 이 때문에 베이스에 고정시키려면 블루텍이나 순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3.2.3. RL-06MS 보조 섀시(LAB 제품)

[ RL-06MS 보조 섀시 ]
파일:RDL_섀시_RL-06MS.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3] [-] [-]
[30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M] | 이동거리 [4] |)]
RL-06 표준 섀시에 대응하는 LAB 제품.
허벅지와 발바닥을 교체하는 식이며, 동일한 표준 섀시를 컨버전으로 사용하는 RL-06M과 달리 프리핸드가 달린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듯 오른 허벅지에 서브암이 달린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보조 섀시도 컨버전 키트는 레진 제품이기에 플라스틱 제품군과 달리 발바닥에 핀이 없으며, 이 때문에 베이스에 고정시키려면 블루텍이나 순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3.2.4. RL-03D "스위프트 스티드" 고기동 섀시

[ RL-03D "스위프트 스티드" 고기동 섀시 ]
파일:RDL_섀시_RL-03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4] [-] [-]
[48pt]
입수처 : [RDL CAVALRY]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2]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M] | 이동거리 [5] |)]
[RDL CAVALRY]에서 3개 제작 가능한 RDL 최고의 기동성을 지닌 섀시.
기동이 2인점, 다른 섀시들과 다르게 이동거리가 5그리드 인점, 그리고 다른 섀시보다 회피가 1 더 많은 4회피인 점을 볼 수 있다. 다른 섀시에 비해 포인트는 다소 비싸다 느낄수 있지만 고기동 섀시의 이동 거리를 경험한다면 그만한 값어치가 있음을 체감하게 된다. 특히 회피 스탠스를 지정하고 기동+이동 타이밍을 행동한 이동 거리가 9 그리드인 점에서 고기동 섀시가 얼마나 뛰어난 스펙을 지닌지 알 수 있다. 외형적으로도 제대로된 역관절이란 무엇인지 보여주는 멋진 파츠로 수많은 RDL 유저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이런 멋드러진 외형과 성능을 상쇄시키는 단점이 있다면 다른 부품들과 달리 분할되어 있는 파츠들이 많아 조립 난이도가 꽤나 있는 편이다. 무릎에 해당되는 파츠는 관절이 드러서는 다리에 내부 게이트가 있어 어느정도 제거를 해줘야하고, 발목 관련 부품의 내구성이 취약해 잘못 건드렸다가는 부러지는 불상사를 자주 겪게 될 수도 있다. 특히 슬라이드식 하부는 제대로 고정되기가 쉽지 않기에, 이와 같은 여러 불상사들을 겪고 싶지 않다면 어느정도 섀시의 포징을 해두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는 걸 추천하고 있다.

3.2.5. RL-08 장갑 섀시

[ RL-08 장갑 섀시 ]
파일:RDL_섀시_RL-08.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6/1] [3] [-] [-]
[36pt]
입수처 : [RDL CORE&HEAVYMETAL]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제트 대시, 명시= | [M] | 이동거리 [3] |)] - [일직선으로 이동]2 그리드 추가 이동
[RDL CORE]에서 최대 2개, [RDL HEAVYMETAL]에서 최대 2개와 여분 1개를 조립할 수 있는 섀시 부품.
외형적으로는 다리 이곳저곳에 장갑이 덕지덕지 붙은 모습을 볼수 있으며, RDL의 섀시중에서는 유일하게 역관절형 다리가 아니기도 하다.

다른 섀시들과 달리 장갑치가 1 높으며 구조가 1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역관절로 구성된 RL-06 시리즈나 RL-03D 고기동 섀시와 달리 이동거리는 고작 3 이지만, 일직선으로 이동시 2그리드가 추가되어 최대 5그리드를 돌격하는게 가능한 [제트 대시] 키워드를 볼 수 있다. 다만 지형의 영향을 받는 만큼 일직선 5 그리드는 다소 쓰기 난해하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장갑 섀시의 장점은 그야말로 구조가 달려있단 점으로 한번 파괴되어도 부품의 수명이 1번더 있다는 점이기에 다리가 노려져도 한턴은 더 버틸수 있다는 점은 좋게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다른 구조가 없는 섀시들은 엘리트 파일럿인 앙세르를 사용해 안전성을 높힐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제트 대시 때문에 어딘가 아쉽다고 평가받는다.

3.2.6. RL-08M2 장갑 섀시(LAB 제품, ◆)

[ RL-08M2 장갑 섀시 ]
파일:RDL_섀시_RL-08M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6/2] [2] [-] [-]
[51pt]
입수처 : [RDL Prototype Volcano MKII]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파일:OP_Passive.jpg [방패 들기] [패시브]
| 방어 스탠스 |

- [방어 스탠스] 시 공격받을 때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 할 수 있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제트 대시, 명시= | [M] | 이동거리 [3] |)] - [일직선으로 이동]2 그리드 추가 이동
다른 LAB 제품과 달리 프로토타입 볼케이노M2 라는 풀 프레임 제품으로 발매될 예정이며 기존 파츠와 컨버전 없이 단일 파츠로 제공된다.

대응 파츠인 RL-08 장갑 섀시와 달리 달리 회피능력이 1 저하되었지만, 구조가 1 추가되어 총 2 구조를 지녔고, 77타입 불워크나 79타입 컴뱃 실드와 마찬가지로 대형 방패무장의 공통 패시브인 [방패 들기]가 추가되어 피격 시 해당 섀시를 방패처럼 사용할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3.2.7. RL-08C 장갑 섀시 (◆)

[ RL-08C 장갑 섀시 ]
파일:RDL_섀시_RL-08C.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1] [3] [-] [-]
[30pt]
입수처 : [RDL Starter Set:RAID]
파일:OP_Maneuver.png기동[기동] | 이동거리 [1]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스프린트, 명시= | [M] | 이동거리 [4] |)]
발매 예정인 [Starter Set:RAID]에 들어있는 장갑 섀시 시리즈의 세번째 부품.
다소 아쉬웠던 제트 대시를 쳐내고, 심플한 4그리드 이동 액션 스프린트로 변경된 것이 특징이다. 장갑 섀시답게 구조가 1 있지만 장갑이 덜어낸 외형을 반영하듯, 장갑이 1 줄어 5장갑이란 점도 차별점이다.

3.3. 무장

3.3.1. 오른팔(R)

3.3.1.1. AC-32 오토매틱 라이플
[ AC-32 오토매틱 라이플 ]
파일:RDL_오른팔_AC-3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24pt]
입수처 : [RDL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C-32(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6] | 1Y3R |)]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2. AC-32C 오토매틱 라이플(LAB 제품)
[ AC-32C 오토매틱 라이플 ]
파일:RDL_오른팔_AC-32C.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36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C-32C(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6] | 1Y3R |)]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3] | 3Y2R |)] - [산탄][산탄]
- [근접 사격][근접사격]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AC-32 오토매틱 라이플에 대응하는 LAB 제품
설정상 게지중대가 선호하는 산탄 파츠를 달은 오토매틱 라이플의 개조판으로 [근접사격]이라는 락온시 사격가능한 특별한 키워드를 지니고 있다. [근접사격] 키워드를 지닌 사격 무장은 현재 게임내에서도 보기 드물다.
3.3.1.3. AC-32M 막스맨 라이플(◆)
[ AC-32M 막스맨 라이플 ]
파일:RDL_오른팔_AC-32M.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33pt]
입수처 : [RDL ???]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C-32M(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6] | 1Y3R |)]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 {눈}은 {쌍약공}으로 교체된다.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4. AC-35 스나이퍼 라이플(LAB 제품)
[ AC-35 스나이퍼 라이플 ]
파일:RDL_오른팔_AC-35.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51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C-35(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12] | 2Y2R |)]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 [저격][저격]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AC-32 오토매틱 라이플에 대응하는 LAB 제품
현 RDL 기준으로는 유일하게 저격이 달린 사격 무장으로 스나이퍼 라이플이라는 이름에 걸맞도록 12그리드의 사거리를 지니고 있다.
3.3.1.5. AC-39 택티컬 라이플
[ AC-39 택티컬 라이플 ]
파일:RDL_오른팔_AC-39.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45pt]
입수처 : [RDL CAVALRY]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C-39(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6] | 4Y1R |)]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6] | 1Y2R |)]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6. AC-150 HMG
[ AC-150 HMG ]
파일:RDL_오른팔_AC-15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2] [-] [-]
[42pt]
입수처 : [RDL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C-150(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 자동, 명시= | [M] | 사거리 [8] | 5Y(+1) |)]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 제압[제압]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7. ACX-350 "스트라투스" 프로토타입 HMG(킥스타터 전용, ★)
[ ACX-350 "스트라투스" 프로토타입 HMG ]
파일:RDL_오른팔_ACX-35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2] [-] [-]
[48pt]
입수처 : [RDL Kickstarter Pack]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CX-350(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 자동, 명시= | [L] | 사거리 [8] | 7Y |)] - [양손][양손]다중 지정3[다중지정] 획득
- [양손][양손]제압[제압] 획득.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킥스타터 전용으로 나온 한정 부품.
이름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HMG의 프로토타입으로 HMG와 달리 롱액션이며, 양손시 다중지정으로 최대 3명의 상대를 제압할수 있는 특징이 있다.
3.3.1.8. AC-161 SMG
[ AC-161 SMG ]
파일:RDL_오른팔_AC-161.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45pt]
입수처 : [RDL CAVALRY]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C-161(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양손][양손] 시 사거리 2 그리드 추가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 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9. CC-4 클리버
[ CC-4 클리버 ]
파일:RDL_오른팔_CC-4.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39pt]
입수처 : [RDL CORE]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 치기, 명시= | [M] | 사거리 [--] | 2Y4R |)] - [펄스 무기][펄스무기]
3.3.1.10. 63식 Arm MG + CC-20 세이버
[ 63식 Arm MG + CC-20 세이버 ]
파일:RDL_오른팔_Type63+CC-2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2]
[66pt]
입수처 : [RDL CAVALRY]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가르기, 명시= | [S] | 사거리 [--] | 4Y1R |)] - [펄스 무기][펄스무기]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4Y |)]
3.3.1.11. AH-21 피스톨 + CC-50 파일드라이버[R](LAB 제품)
[ AH-21 피스톨 + CC-50 파일드라이버 ]
파일:RDL_오른팔_AH-21+CC-5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63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AH-21+CC-50(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3Y1R |)] - [전방향 사격][전방향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꿰뚫기, 명시= | [S] | 사거리 [--] | 2Y2R |)]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꿰뚫기(비무장), 명시= | [M] | 사거리 [--] | 3Y3R |)] - [파열][파열]
CC-100 "헤라클레스" 메테오 해머에 대응하는 LAB 제품.
기존 메테오 해머 연결부가 파일드라이버로 교체되며 손에는 AH-21 피스톨이라 적힌 RDL 유일무이한 권총을 들고있는 것이 특징이다. 핸드핼드 무장답게 무기를 버릴 수 있으며 이 경우 미디움 근접액션 3Y3R, 파열 키워드가 달린 단일 파일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3.1.12. L-330 SMMG + CC-85 락 쏘우(LAB 제품, ◆)
[ L-330 SMMG + CC-85 락 쏘우 ]
파일:RDL_오른팔_L-330+CC-85.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59pt]
입수처 : [RDL Prototype Volcano MKII]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L-330+CC-85(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 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요격1][요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M] | 사거리 [--] | 3Y3R |)] - [양손][양손][파열][파열] 획득
- [충격][충격]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 자동(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요격1][요격]
다른 LAB 제품과 달리 프로토타입 볼케이노M2 라는 풀 프레임 제품으로 발매될 예정이며 기존 파츠와 컨버전 없이 단일 파츠로 제공된다.

대응파츠는 L320 SMMG + CC-90 글레이브로 추측된다. 기존 글레이브처럼 SMMG가 달린 만큼 요격을 지녔으며, 글레이브나 CC-4 CC-6 클리버, 세이버와 달리 펄스 무장은 아니지만 3Y3R이라는 준수한 공격다이스 수치와, 양손이 [파열]을 획득. 55방패의 [방패치기]에서 볼수 있는 키워드인 [충격] 키워드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3.3.1.13. L320 SMMG + CC-90 글레이브
[ L320 SMMG + CC-90 글레이브 ]
파일:RDL_오른팔_L-320+CC-9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63pt]
입수처 : [RDL 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L-320+CC-90(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 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요격1][요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M] | 사거리 [--] | 2Y4R |)] - [양손][양손][파열][파열] 획득
- [펄스 무기] [펄스무기]
- [절단][절단]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 자동(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요격1][요격]
RDL 무장중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는 강력한 근접병장. 이름에서도 알수 있다시피 모티브는 글레이브로 높은 포인트의 값은 어떠한 성능을 보여주는지에 대한 강력한 위력을 선보인다. 이름 및 외형에서 알수 있다시피 SMMG가 달려있어 요격이 달려있지만 숏틱 사격 액션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왼팔 혹은 보조섀시를 통해 프리핸드가 있으면 보조 지정을 선택해서 [파열]과 [절단]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79]

게임 외적인 특징으로는 글레이브의 날은 스프루에 2가지 선택지가 주어진다. 하나는 네모난 형태고 하나는 카드와 같이 칼날을 연상시키는 형태이며, 날의 형태에 따라 성능이 바뀌거나 하는 것은 아니니 자유로히 조립하도록 하자.
3.3.1.14. CC-100 "헤라클레스" 메테오 해머
[ CC-100 "헤라클레스" 메테오 해머 ]
파일:RDL_오른팔_CC-10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48pt]
입수처 : [RDL HEAVYMETAL]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도리깨 강타, 명시= | [L] | 사거리 [2] | 2Y5R |)] - [파열][파열]
- [붕괴][붕괴]
RDL 최강의 근접 무장.
다른 핸드핼드 키워드가 명시된 무장 부품들과 다르게 무장의 폐기가 불가능하며[82], 모든 롱액션 무장이 그러하듯 하이리스크 & 하이리턴을 보여주는 무장으로 이해하면 된다. 현 시점에선 3그리드의 사거리를 지닌 왼팔의 빅핸드 그래플러를 제외한 다른 근접무장들과 달리 2그리드의 사거리를 지니고 2Y5R이라는 무식한 데미지 주사위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다른 팩션에서도 볼수 없는, 사실상 고유 키워드로 지닌 [붕괴][펄스무기]+[충격]을 합친 효과로 이해하면 된다.

[붕괴]키워드가 적용된 대미지는 연쇄 대미지가 적용 안되니 파열 계산시 이 점을 주의하자.

게임 외적인 특징으로는 글레이브와 마찬가지로 메테오 해머의 휘두르는 형태와 직선으로 유지되있는 형태 중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해 조립할 수 있다. 다만 주의해야할 점이 있는데, 메테오해머와 팔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선이 굉장히 얇고 취약하기 때문에 부러지는 것을 볼수 있다. 핸드는 어느정도 두께가 있어서 문제가 없지만 이 부분은 신경을 많이 쓰는 것을 권고한다.
3.3.1.15. PC6 샷건 (◆)
[ PC6 샷건 ]
파일:RDL_오른팔_PC6.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51pt]
입수처 : [RDL Starter Set:RAID]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PC6(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M] | 사거리 [6] | 4Y1R |)] - [근접 사격][근접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3] | 3Y1R |)] - [산탄][산탄]
- [근접 사격][근접사격]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발매 예정인 [Starter Set:RAID]에 들어있는 오른팔 샷건.
기존 55타입+PC-9 샷건과 달리 롱배럴 샷건인것이 특징으로, 텍티컬 라이플처럼 미디움과 숏 액션으로 구성되어 사격 액션을 자유로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두 액션에는 [근접사격]키워드가 달려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 덕분에 락온시에도 사격을 진행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3.3.1.16. 타입55 실드 + PC9 샷건[R]
[ 타입55 실드 + PC9 샷건 ]
파일:RDL_오른팔_Type55+PC9.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48pt]
입수처 : [RDL 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Type55+PC9(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3] | 2Y2R |)] - [산탄][산탄]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치기(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3.3.1.17. 타입55 실드 + 연막탄 + PC9 샷건
[ 타입55 실드 + 연막탄 + PC9 샷건 ]
파일:RDL_오른팔_Type55+SG+PC9.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57pt]
입수처 : [RDL 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Type55+SG+PC9(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2] | 탄약 [1] |)] - 직사[직사]
- GS-2 연막탄 1개 발사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3] | 2Y2R |)] - [산탄][산탄]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단발 사격(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2] | 탄약 [1] |)] - 직사[직사]
- GS-2 연막탄 1개 발사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치기(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3.3.1.18. 55타입 + PC9K 샷건[R](LAB 제품)
[ 55타입 + PC9K 샷건 ]
파일:RDL_오른팔_Type55+PC9K.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63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Type55+PC9K(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후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4Y |)] - [명중][명중]넉백1[넉백]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3] | 2Y2R |)] - [산탄][산탄]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55타입 + PC9 샷건에 대응하는 LAB 제품.
기존 샷건은 무기를 버려야 사용할수 있는 55타입 실드의 근접액션 [방패치기]와 달리, 넉백 키워드를 지니고 무장을 버리지 않더라도 사용가능한 숏틱 근접액션인 [후려치기]가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실 무기 이미지에서도 볼수 있다시피 총열 부분에 추가된 스파이크로 찌르는 공격이라 추측된다.
3.3.1.19. R-20 마운티드 레일건[R]
[ R-20 마운티드 레일건 ]
파일:RDL_오른팔_R-2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51pt]
입수처 : [RDL CORE]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6] | 3R |)] - [부동][부동] 시 사거리 2 그리드 증가
- 장갑관통 1[장갑관통]
3.3.1.20. R-35 헤비 레일건
[ R-35 헤비 레일건 ]
파일:RDL_오른팔_R-35.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2] [-] [-]
[54pt]
입수처 : [RDL 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오른팔_R-35(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L] | 사거리 [12] | 5R |)] - [공격 스탠스]파열[파열]
- 장갑관통 1[장갑관통]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1.21. [G&T] 미니 토너먼트 트로피(토너먼트 상품,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부품, name=[G&T] 미니 토너먼트 트로피, faction=RDL, part=오른팔, code=G&T, num1=4, num2=-, num3=-, num4=-, num5=-, pt=99, pack=Tournament)]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깨부수기, 명시= | [L] | 사거리 [--] | 1Y |)] - "아무런 능력도 없지만 상대방에게 당신의 트로피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토너먼트 출전 시 우승하면 얻을수 있는 토너먼트 상품.
현재로서는 옵시디언 프로토콜 무장 파츠 내 최고 포인트에 해당되는 99포인트와 롱액션틱으로 사용가능한 1Y 근접 [깨부수기]는 그야말로 수많은 강적들을 상대하고 올라가, 정상에서 거머쥔 승리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징성을 반영하듯, 메테오해머처럼 무장을 버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3.3.2. 왼팔(L)

3.3.2.1. G/AC-6 로켓 런처
[ G/AC-6 로켓 런처 ]
파일:RDL_왼팔_GAC-6.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36pt]
입수처 : [RDL CAVALRY]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GAC-6(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미사일, 명시= | [M] | 사거리 [12] | 탄약 [2] |)] - [직사][직사]
- RA-81 로켓 1개 발사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RA-81 로켓을 2번 발사할수 있는 왼팔 무장.
그 형태에 걸맞는 크고 아름다운 길쭉한 런처가 특징적이며, 12 그리드 사거리라는 무시못할 영향력과 발사 액션답게 시야만 확보된다면 유닛 및 지형커버를 뚫고 그대로 들어가는걸 볼 수 있다. 만약 사용 MAP이 사격통제 토큰이 부여되어 있더라도 미사일과 마찬가지로 토큰에 영향을 받지 않은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3.2.2. ML-32 듀얼 런처+CC-3 대거
[ ML-32 듀얼 런처+CC-3 대거 ]
파일:RDL_왼팔_ML-32+CC-3.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33pt]
입수처 : [RDL CORE]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찌르기, 명시= | [S] | 사거리 [--] | 3Y1R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미사일, 명시= | [M] | 사거리 [3] | 탄약 [2] |)] - [일제발사2][일제발사]
- [곡사][곡사]
- MC-3 "레이저" 미사일 1개 발사
CORE에 최대 2개 조립 가능한 미사일 대거.
미사일을 쏘거나 근접시 대응 가능한 대거가 있는게 특징이며 소소하게 패링도 1 달려있다. 어깨에 근접용 병장 랙이 존재하기 때문에 CC-4나 CC-20 세이버류처럼 프리핸드가 달린것이 장점으로, 이를 활용해 블랙박스와 같은 미션에서 사용하거나 양손 지정이 필요한 오른팔 무장을 지원할수 있다.

33포인트라는 저렴한 포인트로 인해 타입55실드와 같이 선호되고 있으며, 마이어, 표준 섀시, 오토매틱 라이플, 필드 리페어 백팩과 같이 RDL의 얼굴마담 같은 파츠로서 자리잡고 있다.
3.3.2.3. 타입55 실드+CC-6 클리버
[ 타입55 실드+CC-6 클리버 ]
파일:RDL_왼팔_Type55+CC-6.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54pt]
입수처 : [RDL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Type55+CC-6(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 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 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3Y1R |)] - [펄스 무기][펄스무기]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 치기(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3.3.2.4. 타입55 실드+L320 SMMG+CC-6 클리버
[ 타입55 실드+L320 SMMG+CC-6 클리버 ]
파일:RDL_왼팔_Type55+L320+CC-6.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51pt]
입수처 : [RDL 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Type55+L320+CC-6(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요격 1][요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 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3Y1R |)] - [펄스 무기][펄스무기]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요격 1][요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 치기(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3.3.2.5. CC-7 클리버 (◆)
[ CC-7 클리버 ]
파일:RDL_왼팔_CC-7.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39pt]
입수처 : [RDL |Starter Set:RAID]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내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3Y1R |)] - [펄스 무기][펄스무기]
발매 예정인 [Starter Set:RAID]에 들어있는 왼팔 클리버.
55타입 방패가 없는 왼팔 클리버 무장으로, CC-4나 CC-6과 같은 펄스무기 근접무장으로 형태는 쿠크리를 따라가고 있다. 55방패가 사라진 대신, 프리핸드 키워드가 추가되었기에 양손 무장을 지원할수 있다.
3.3.2.6. FCC-12 "빅 핸드" 그래플러
[ FCC-12 "빅 핸드" 그래플러 ]
파일:RDL_왼팔_FCC-1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3]
[69pt]
입수처 : [RDL HEAVYMETA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그래플링 훅, 명시= | [S] | 사거리 [3] | 3Y1R |)] - [명중][명중][끌어당기기][끌어당기기] 또는 [무장 해제][무장해제]

파일:OP_Passive.jpg [응수] [패시브]
| 패링 성공 시 |

- 이 부품으로 [패링]에 성공했을 시 공격자는 즉각적으로 액션 기회가 종료되고, 방어자는 즉각적으로 근접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RDL의 그래플러 무장으로 HEAVYMETAL에서 1개 조립 가능하다.
다른 근접 무장들과 다르게, 무려 3그리드의 사거리를 지니고 있고, 패시브에는 패링 성공시 공격자의 액션 기회를 종료시키고 패링에 성공한 방어자는 근접 액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122][123] 이처럼 패링에 특화된 점을 반영하듯, 기본적으론 4장갑이지만 패링 시 7W라는 55타입 방패와 같은 뛰어난 방어 성능을 자랑한다.
3.3.2.7. 62식 버클러+CC-20 세이버
[ 62식 버클러+CC-20 세이버 ]
파일:RDL_왼팔_Type62+CC-2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3]
[63pt]
입수처 : [RDL CAVALRY]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가르기, 명시= | [S] | 사거리 [--] | 4Y1R |)] - [펄스 무기][펄스무기]
왼팔로 사용가능한 세이버 무장.
쌍수로 사용되는 오른팔 세이버와 달리 암건이 달려있지 않지만 대신 버클러가 달려 패링시 장갑수치 8이라는 불워크와 동일한 방어력을 자랑한다.
3.3.2.8. AH-21 피스톨 + CC-50 파일드라이버[L] (LAB 제품)
[ AH-21 피스톨 + CC-50 파일드라이버 ]
파일:RDL_왼팔_AH-21+CC-5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63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AH-21+CC-50(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1]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점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4] | 3Y1R |)] - [전방향 사격][전방향사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꿰뚫기, 명시= | [S] | 사거리 [--] | 2Y2R |)] - [부동][부동]노랑 주사위 1개 추가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꿰뚫기(비무장), 명시= | [M] | 사거리 [--] | 3Y3R |)] - [파열][파열]
FCC-12 "빅 핸드" 그래플러에 대응하는 LAB 제품.
기존 그래플러 연결부가 파일드라이버로 교체되며 손에는 AH-21 피스톨이라 적힌 RDL 유일무이한 권총을 들고있는 것이 특징이다. 핸드핼드 무장답게 무기를 버릴 수 있으며 이 경우 미디움 근접액션 3Y3R, 파열 키워드가 달린 단일 파일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3.2.9. 타입55 실드+MES 비컨 런처
[ 타입55 실드+MES 비컨 런처 ]
파일:RDL_왼팔_Type55+MES.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45pt]
입수처 : [RDL CAVALRY]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Type55+MES(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비컨, 명시= | [S] | 사거리 [6] | 탄약 [∞] |)] - [직사][직사]
- [무소음][무소음]
-MES 비컨 1개 발사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 치기(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로켓 런처와 동일한 발사 무장으로 보유한 공격 능력은 무장을 해제해야 한다.
하지만 다른 발사류 행동을 지닌 무장들과 달리 독특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발사 시 소모 탄약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으로, 비컨은 게임이 진행되는 내내 탄약을 걱정하지 않고 계속 발사할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진입로를 막고 아군 유닛에게 저피탐을 부여하는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다.
3.3.2.10. 타입55 실드 + PC9 샷건[L]
[ 타입55 실드 + PC9 샷건 ]
파일:RDL_왼팔_Type55+PC9.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48pt]
입수처 : [RDL 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Type55+PC9(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3] | 2Y2R |)] - [산탄][산탄]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치기(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3.3.2.11. 55타입 + PC9K 샷건[L](LAB 제품)
[ 55타입 + PC9K 샷건 ]
파일:RDL_왼팔_Type55+PC9K.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63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HEAVYMETAL]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Type55+PC9K(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후려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4Y |)] - [명중][명중]넉백1[넉백]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3] | 2Y2R |)] - [산탄][산탄]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L)55타입 + PC9 샷건에 대응하는 LAB 제품.
3.3.2.12. R-20 마운티드 레일건[L]
[ R-20 마운티드 레일건 ]
파일:RDL_왼팔_R-2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51pt]
입수처 : [RDL CORE]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S] | 사거리 [6] | 3R |)] - [부동][부동] 시 사거리 2 그리드 증가
- 장갑관통 1[장갑관통]
3.3.2.13. SPHX-3 서포팅 암(킥스타터 전용, ★)
[ SPHX-3 서포팅 암 ]
파일:RDL_왼팔_SPHX-3.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42pt]
입수처 : [RDL Kickstarter]
[ 무장(FREEHAND) ]

파일:OP_Passive.jpg [보조 손] [패시브]
| 양손 지정 시 |

- 이 부품이 [비무장] 부품으로서 [양손][양손] 액션에 지정될 경우, 해당 액션에 노랑 주사위 1개 추가.
킥스타터 전용으로 나온 한정 무장.
근접과 사격 상관 없이 양손 지정 액션이 가능할 경우 노랑 주사위 1개를 추가해준다는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다만 킥스타터 무장이기에 현재로선 입수할 방법이 없으며, 추후 개별적으로 해당 부품의 효과를 지닌 다른 형태의 부품이 추가될 가능성만 있다.
3.3.2.14. 타입55 실드(LAB 제품)
[ 타입55 실드 ]
파일:RDL_왼팔_Type55.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 [-] [-] [2]
[30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CORE]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근접, keyword=방패치기, 명시= | [S] | 사거리 [--] | 5Y |)] - [충격][충격]

55타입이 달린 왼팔이라면 뭐든지 대응할 수 있는 LAB 파츠.
RDL을 플레이한다면 가장 많이 보는 무장으로 대부분의 무장에는 타입55+@ 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무장들과 함께하는 55타입실드 이지만 포인트의 압박감은 무시하기 힘든 점이기에 단일 타입 55실드 무장을 원하는 이들을 위해 준비된 무장이라 할 수 있다.

30pt라는 저렴한 가격과 양손 지정에 사용가능한 프리핸드, 숏근접 액션인 5Y 방패치기에 우수한 공격능력에 매료되어 많은 RDL 유저들에게 사랑받는 무장 중 하나로 주로 로스터의 포인트를 깎을 때 먼저 생각나며, [충격] 키워드가 달린 5Y 근접 액션은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모습을 자주 보인다. 또한 미사일로 밀고가는 물량 로스터의 경우 ML-32 듀얼런처+CC-3 대거와 자주 경쟁하여 채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LAB 컨버전 키트를 사지 않아도 파츠 자체는 RDL 팩에서 얻을 수 있는 스프루로 충분히 제작은 가능하지만 게임에 필요한 카드가 컨버전 키트에 2장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파츠를 포함하여 로스터를 짤 때는 이 점을 주의하도록 하자.
3.3.2.15. 타입77 불워크
[ 타입77 불워크 ]
파일:RDL_왼팔_Type77.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8/-] [-2] [-] [1]
[45pt]
입수처 : [RDL CORE]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Type77(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파일:OP_Passive.jpg [방패 들기] [패시브]
| 방어 스탠스 | 피격 시 |

- [방어 스탠스] 시 피격될 때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3.3.2.16. L-330 SMMG+77B타입 불워크 (LAB 제품, ◆)
3.3.2.17. 타입77 불워크
[ L-330 SMMG+77B타입 ]
파일:RDL_왼팔_L330+Type77B.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9/-] [-3] [-] [1]
[66pt]
입수처 : [RDL Prototype Volcano MKII]
{{{#!folding [ 비무장 ]
파일:RDL_왼팔_L330+Type77B(D).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4/-] [-] [-] [-] }}}
[ 무장(HANDHEL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요격 1][요격]

파일:OP_Passive.jpg [방패 들기] [패시브]
| 방어 스탠스 | 피격 시 |

- [방어 스탠스] 시 피격될 때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 비무장(FREEHAND) ][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비무장), 명시= | [S] | 사거리 [4] | 4Y |)] - [요격 1][요격]
다른 LAB 제품과 달리 프로토타입 볼케이노M2 라는 풀 프레임 제품으로 발매될 예정이며 기존 파츠와 컨버전 없이 단일 파츠로 제공된다.

대응파츠는 77타입 불워크로 SMMG가 달려 요격이 추가되었고 장갑이 1 늘어서 총 9 장갑, 패링시에는 10W라는 게임 최고의 방어력을 자랑한다.
3.3.2.18. 타입79 컴뱃 실드
[ 타입79 컴뱃 실드 ]
파일:RDL_왼팔_Type79.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6/-] [-] [-] [2]
[66pt]
입수처 : [RDL HEAVYMETAL]
[ 무장(FREEHAND)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쾌속, keyword=방벽, 명시= | [S] | 스탠스 전환 |)] - 이 메카의 스탠스를 [방어 스탠스]로 전환한다.

파일:OP_Passive.jpg [방패 들기] [패시브]
| 방어 스탠스 | 피격 시 |

- [방어 스탠스] 시 피격될 때 이 부품을 피격 부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RDL HEAVYMETAL]팩에서 1개 입수할수 있는 대방패류 무장. 다른 대방패인 불워크에 비해 장갑 수치가 적은 것을 보고 실망할 수 있으나, 컴뱃 방패의 장점은 바로 쾌속 숏 액션으로 해당 유닛의 스탠스를 방어로 전환시킬수 있다는 점이다.

현 옵시디언 프로토콜 내 스탠스는 유닛이 액션을 시작할때 사용 스탠스를 지정하게 되며, [제압] 키워드를 지닌 무장의 공격 대상이 되거나 UN의 엘리트 파일럿인 요유에게 전자전 굴림을 받고 성공시 공격 스탠스로 바뀌는데, 컴뱃 방패를 든 유닛은 회피로 기동 후 숏 쾌속으로 안정적인 이동거리를 유지하면서도 방어스탠스로 전환하여 전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숏액션으로 이루어진 무장 혹은 부품과 궁합이 좋으며 공격스탠스에서 방어스탠스로, 회피 스탠스에서 방어 스탠스로 액션이 끝난뒤 안정적인 방어 성능을 선보인다.

3.4. 백팩

3.4.1.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

[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 ]
파일:RDL_백팩_AMS-19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1] [-]
[27pt]
입수처 : [RDL CORE]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완전-자동요격, 명시= | 요격 | 사거리 [3] | 탄약 [3] | 3Y |)] - [요격3][요격]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펼치기 • 닫기)]
파일:AMS-190(부품이미지).png
> 인류가 벌여온 전쟁에 있어 그 본질은 다름아닌 돌을 최대한 멀리 던지는 것이었습니다. 그와 함께, 어떻게 하면 돌을 맞지 않을 수 있을까, 라는 질문 또한 중요한 화두였죠. 이에 대한 아이언 릿지 중공업의 해답은 간단했습니다: 바로 격추해버리는 것.

잔열로 인한 높은 장비 소모율을 경험한 두 주요 동맹은 초기 달 전쟁 당시 미사일을 공격 수단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병사가 발사하는 발사관이든, 차량에 장착된 발사대든, 두 동맹은 이를 가리지않고 전장 하늘에 미사일들을 잇달아 날렸습니다. 파괴력과 명중률은 고체연료 발사체 무기만큼 만족스럽진 않았지만, 과열의 위험이 적고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자동화 전쟁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다양한 탄약의 사용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점차 그 비율을 늘려갔습니다. 결국 병사가 거의 무한정 재생 가능한 자원이 되었을 무렵, 더 저렴한 미사일을 사용하는 것이 언제나 비용 효율적인 선택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MAP의 경우 -다양한 비컨과 자동 포탑은 말할 것도 없이- 미사일 한방에 중요 장비가 파괴되어 전투 수행 능력을 잃는 것은 매우 큰 문제였습니다. 그에 따라 방공 능력 강화의 필요성이 빠르게 대두되었죠.

물론 하나의 분대가 방어에만 너무 많은 자원을 투자하면 필연적으로 공격 능력이 약화될 수 밖에 없었고, 아이언 릿지 중공업에선 이를 용납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나온 대안이 바로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의 개발 아이디어로, 분대원 중 일부가 집중 방공 능력을 보유하여 지역 보호 우산을 제공토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연맹은 전자전에서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으나 방어 및 보조 전자 지원에는 탁월한 모습을 드러냈고, 다양한 레이더 응용 분야에서 그에 걸맞는 상당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덕분에 아이언 릿지 중공업은 RT-06 시리즈에 사용 가능한 전장 인식 기능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장착시킬 수 있었으며, 엔지니어들은 동일한 기술 방식을 따라 위상 배열 레이더를 시스템의 코어에 통합시키고 6개의 파편 요격 미사일을 주요 요격 수단으로 장착했습니다.

이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각 미사일은 작은 탄두를 탑재했지만 레이더가 사거리 내에 들어오는 발사체를 포착하면 시스템이 즉각적으로 한 번에 두 발씩 요격 미사일을 발사해 요격 기회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효율성을 보장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빠르게 표준화되어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이라 명명되었고, 수많은 주문을 받았습니다.

실전에서 그 성능이 검증된 해당 시스템을 두고 개발 부서는 더 많은 드론이나 차량 플랫폼에 완전한 모듈로 설치하는 실험도 진행했으며, 일부는 이미 대량 생산에 들어가있습니다. 게다가 현재의 6발 미사일 탑재는 현실적인 조건에서 비롯된 균형 잡힌 결과이지만, 기술자와 조종사 모두 더 강력한 요격 능력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있습니다. 현재 아이언 릿지 중공업은 더 많은 미사일 탑재와 더 나은 발사각을 지닌 개선 버전을 개발했으나, 해당 모델은 아직 시험 평가 중이며, 큰 관심을 보인 일부 부대에만 실험 배치되고 있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중문&영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RDL CORE 에서 입수 가능한 요격 백팩.

3.4.2. AMS-193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LAB 제품, ◆)

[ AMS-193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 ]
파일:RDL_백팩_AMS-193.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1] [-]
[27pt]
입수처 : [RDL Prototype Volcano MKII]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완전-자동요격, 명시= | 요격 | 사거리 [3] | 탄약 [3] | 3Y |)] - [요격3][요격]
다른 LAB 제품과 달리 프로토타입 볼케이노M2 라는 풀 프레임 제품으로 발매될 예정이며 기존 파츠와 컨버전 없이 단일 파츠로 제공된다.
대응 파츠인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과 성능은 동일하지만 외형적 차이가 존재하는 일종의 스킨 개념의 파츠에 해당된다.

3.4.3. CP-3 비컨 백팩

[ CP-3 비컨 백팩 ]
파일:RDL_백팩_CP-3.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36pt]
입수처 : [RDL HEAVYMETA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비컨, 명시= | [S] | 사거리 [3] | 탄약 [1] |)] - [투척][투척]
- [무소음][무소음]
- B3 비컨 1개 설치

파일:OP_Passive.jpg [비컨 운반자] [패시브]
| 설치 시 공개 |

- 게임 시작 전, 이 메카는 [B3 비컨] 중 하나를 비밀리에 휴대한다.

3.4.4. CP-4 드론 백팩(LAB 제품)

[ CP-4 드론 백팩 ]
파일:RDL_백팩_CP-4.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36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드론, 명시= | [S] | 사거리 [3] | 탄약 [2] |)] - [곡사][곡사]
- [무소음][무소음]
- [투척][투척]
- MD-1 "잠자리" 초소형 정찰기 발사

3.4.5. ECS-2 익스터널 쿨러

[ ECS-2 익스터널 쿨러 ]
파일:RDL_백팩_ECS-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1] [-]
[33pt]
입수처 : [RDL CORE]

파일:OP_Passive.jpg [파워 냉각] [패시브]
| 공격스탠스 | 사격 액션 시 주사위 증가. |

- [공격 스탠스]사격 액션을 수행하면 3 노랑 주사위마다 1 노랑 주사위 추가
[|ECS-2 익스터널 쿨러(펼치기 • 닫기)]
파일:ECS-2(부품이미지).png
> 1차 달 봉쇄 전쟁 당시, 무기와 기계 가릴 것 없이 진공 환경에서 열을 발산하는 문제는 모든 기술자들의 관심사였습니다. 아직 OPV-4에 진입하기 못한 시기였기에 두 주요 동맹 간의 전투에선 우주전을 상정한 무기군의 종류가 많지 않았었고, 전장에는 '피와 살을 지닌' 병사들이 크고 무거운 선외복을 착용한 채 기갑 부대의 엄호 아래 조심스레 서로를 향해 총을 쏘았죠. 선외복은 냉각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었지만, 그걸 믿고 남발했다간 손에 든 무기가 폐열로 인해 삽시간에 망가져버렸습니다. 기갑 부대의 경우, 장전기의 재장전 능력이 아닌, 냉각 시스템의 효율성에 따라 사격 속도가 제한되었으며 이를 지키지 않을 시 정밀하게 가공된 포신이 스파게티처럼 흘러내리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이 문제는 2차 달 봉쇄 전쟁 전까지도 곧장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다수의 블랙박스를 통한 기술 발전을 거쳐 보다 효율적인 열 교환 시스템이 초기 OPV 병사의 인공물과 초기 MAP에 널리 설치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단계의 열 교환 효율은 여전히 상당 부분 제한적이었기에 각 부품의 열 자원 관리는 병사 개인과 MAP 파일럿에게는 필수 과정이 되었습니다. 이들은 시각 UI 에서 다양한 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 과열에 가까워진 부품에 냉각수를 추가 공급하고 잠시동안 해당 부품의 사용을 줄여 폐열로 인한 물리적 손상을 방지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치열한 전장에서는 과열로 인해 병사나 MAP가 무너지거나 파괴되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살펴볼 수 있었죠. 많은 신체 개조를 진행했음에도 일반 인간과 마찬가지로 '순간의 열기'를 피할 순 없었습니다.

그러나, 달 표면에서의 균형이 점차 잡히면서 대기권 내에서의 충돌 빈도가 높아지자 냉각 시스템의 개발도 잠시동안 "냉각" 기간에 접어들었습니다. 하지만 암흑기가 찾아오고 고궤도 공동 선언이 공식적으로 서명된 후, 최고위 연합이 카르멘 라인 너머 지역을 효과적으로 장악하게 됨에 따라 진공 환경에서의 전투가 미래 전쟁의 주요 전장이 될 것이 분명해지니 냉각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다시금 가속화되었습니다.

RDL의 경우 냉각 시스템의 개발 경로가 매우 명확했습니다. 각 파벌이 고체연료 무기의 비중이 높고, 레일건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개발의 최우선 순위는 이 두 가지 무기 유형에 대응하는 것이었습니다. 비교적 공격적인 레일 무기용 배터리 교체형 냉각 모듈을 채택하는 대신, 아이언 릿지 중공업은 고체 연료 무기용 열 교환 회로를 개선하여 새롭게 탄생할 냉각 시스템의 열 교환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거기에 더해 기술자들은 폐열을 활용해 추가적인 자세 조정 노즐 세트에 동력을 공급하는 방법까지 찾아내어 파일럿들이 더욱 유연한 기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냈죠. 특히 고속 고체연료 무기 사용에 관심이 많은 파일럿들이 이 시스템을 선호했습니다. 열 교환 효율이 매우 높아 무기가 과열로 인해 걸림이나 기타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었고, 총열이 안정적이었기 때문에 MOA도 더 작아졌기 때문.

이 시스템의 최신 개선 버전은 ECS-2 익스터널 쿨러 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빠르게 시장에 출시되어 상당한 호평을 받았습니다. 파일럿들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기술자들은 현재 레일 무기에 연결할 수 있는 버전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ECS-2 익스터널 쿨러(중문&영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공격 스탠스 시 사격액션을 수행하면 3 노랑 주사위 당 1 노랑 주사위가 추가된다는 심플하면서도 공격 능력을 더욱 극대화 시켜주는 백팩이다. 당연하게도 노랑 주사위가 3개 이상 달린 사격 무장과 궁합이 매우 좋으며 특히 AC-150 HMG에 적용시 부동 +1에 영향을 받아 2개가 증가한, 총 8 노랑 주사위라는 강렬한 타수를 자랑하게 된다.

3.4.6. ECS-3 익스터널 쿨러 (◆)

[ ECS-3 익스터널 쿨러 ]
파일:RDL_백팩_ECS-3.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1] [-]
[33pt]
입수처 : [RDL Starter Set:RAID]

파일:OP_Passive.jpg [시스템 냉각] [패시브]
| 공격스탠스 | 사격 액션 시 주사위 증가. |

- [공격 스탠스]사격 액션을 수행하면 3 빨강 주사위마다 1 빨강 주사위 추가
발매 예정인 [Starter Set:RAID]에 들어있는 신규 익스터널 쿨러.
기존 ECS-2 익스터널 쿨러가 노랑 주사위를 추가해준다면, ECS-3 익스터널 쿨러는 빨강 주사위를 추가해주는 특징이 있다.

아직 자세한 로어가 나온것은 아니지만, ECS-2 익스터널 쿨러의 로어를 생각하면 이쪽은 고체연료 무장이 아닌 레일 무장에 최적화 된 냉각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추측된다.

3.4.7. GLP-15 마인 레이어

[ GLP-15 마인 레이어 ]
파일:RDL_백팩_GLP-15.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30pt]
입수처 : [RDL HEAVYMETA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지뢰, 명시= | [S] | 사거리 [1] | 탄약 [∞] |)] - [직사][직사]
- [무소음][무소음]
- GM-35 대장갑 지뢰 1개 설치

파일:OP_Passive.jpg [자동 지뢰 살포] [패시브]
| 이동 또는 기동 시 | 이동 거리 1 추가 소모 |

- 이 메카가 [이동] 또는 [기동] 시, 이동 거리 1을 추가 소모하여 GM-35 대장갑 지뢰 1개를 지나온 경로 어느 곳이건 살포 가능하다.
[|GLP-15 마인 레이어(펼치기 • 닫기)]
파일:GLP-15(부품이미지).png
> 오랜 세월 사용되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유효한 무기인 지뢰는 지금도 아이언 릿지 중공업의 무기고에서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뢰의 효과는 수많은 달 전투에서 입증되었는데, MAP가 널리 보급된 이후에도 이 단순한 구조의 무기는 계속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사용 범위를 더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보병"과 대형 장갑차량에 맞서기 위해선 OPV-4 보병과 MAP 모두 효과적인 대장갑 무장이 필요했죠. 그리고 이는 전략적인 위치에 지뢰를 설치함으로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하여 해당 무기군에 대한 개발 투자가 진행되지 않았다는 소리는 아닙니다. 이러한 개발은 지뢰 뿐만 아니라 지뢰의 설치 및 살포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었는데, 특히 MAP의 경우 최소한의 비용으로 가능한 한 많은 지뢰를 배치하는 것이 과제였습니다. 물론 이와 같은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지뢰는 여전히 수동적인 무기였으며 MAP는 지뢰에만 의존할 순 없었죠.

아이언 릿지 중공업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GM 시리즈 대장갑 지뢰와 GLP 시리즈 분산 장치라는 두 가지 개발 라인을 구축했습니다. GM 시리즈는 대전쟁 이전부터 사용되던 모델로, 이미 수십년 동안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수많은 하위 모델이 탄생했습니다. 그에 따라 GLP시리즈의 분산 장치도 개발되었는데, 주요 구조의 변경이 거의 없던 탓에 그 변형은 GM 시리즈만큼 많지는 않습니다. GLP 시리즈는 범용 후방 브레킷 방식을 채택해 주요 구조와 연결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극대화했습니다. 주 적재함을 바꿔 다양한 변형을 구현하는 경우도 많았죠.

GLP-15 마인 레이어는 이 시리즈의 품질 보증서로 볼 수 있으며, GM-35 대장갑 지뢰가 보여준 여러 차례의 활약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아이언 릿지 중공업의 기술자들은 부피의 제약 내에서 두 가지 살포 방법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는데, 일반적인 경우 MAP는 적재관의 하단 분산 구멍에서 지뢰를 살포해 메카 뒤에 지뢰를 설치하는 방식을 택합니다. 고속 이동으로 인해 지뢰가 원치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일럿은 살포 중엔 속도를 줄여야하며, 여기에는 퓨즈가 불안정하고 폭발력이 좋지 않았던 GM 시리즈의 초기 모델의 영향도 일부 있다고 볼 수 있었죠. 병사들은 적에게 도달하기도 전에 이 작은 녀석이 본인의 등 뒤에서 터지는 걸 원치 않았으니까요.

또 다르게 빈번히 사용되는 설치 방법으로는 적재관을 본체의 압축 가스 탱크에 연결해 상단의 살포구를 통해 직접 발사하는 형태가 있었습니다. 이 방법은 중력 기반 방식보다 유연성이 더 뛰어났으며 설치범위가 MAP 후방에 국한되지않고, 부변 지역까지 확장할 수 있어 전술적 옵션이 더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파일럿의 직접적인 운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격렬한 전투 중에 설치되는 지뢰의 수가 첫번째 방식보다 적은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유연성을 위해 필요한 타협점이었습니다.

해당 장비가 배치된 후, 이 장비는 일선 부대로부터 많은 찬사를 받았습니다. 폐허의 복잡한 지형에서 유연한 배치 방식 덕분에 조종사는 예상치 못한 지역에 지뢰를 설치할 수 있어 적이 지뢰를 제거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었고, 뛰어난 봉쇄 능력을 지니기도 했기에 발굴지를 보호함에 있어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였죠. 다음 폭발에 드론이 터질지 MAP가 터질지 내기를 하는 것은 최전방 군인들에게 있어 인기 있는 오락거리로 부상한지 오래였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GLP-15 마인 레이어(중문&영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3.4.8. HD-2 데이터 팩(LAB 제품)

[ HD-2 데이터 팩 ]
파일:RDL_백팩_HD-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24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중요 자산, 명시= | 세컨더리 미션 [호위] | 부품 파괴 여부 | 승점 1점 추가 혹은 제거 |)] - 이 메카가 세컨더리 미션 호위호위대상으로 지정 시, 이 부품의 파괴되지 않았다면 게임 종료 시 1점의 추가 승점을 제공하며, 이 부품이 파괴되면 승점에서 1점을 제거한다.

3.4.9. LGP-80 아틸러리(킥스타터 전용, ★)

[ LGP-80 아틸러리 ]
파일:RDL_백팩_LGP-8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
[33pt]
입수처 : [RDL Kickstarter]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단발 사격, 명시= | [L] | 사거리 [12] | 1Y4R |)] - [파열][파열]
[|LGP-80 아틸러리(펼치기 • 닫기)]
파일:LGP-80(부품이미지).png
> "라텐펭거 3" 탐사선이 유적을 발견하기 한참 전부터 포병은 이미 지상전을 지배하는 결정적인 힘으로서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모든 군 부대의 주요 관심사는 어떻게 하면 더 큰 구경의 화포를 더 많이, 그리고 더 빠른 속도로 전장에 배치할 수 있을까,였죠. OPV-3의 군 적용으로 개별 병사들의 운반 능력과 행군 능력이 전례없이 향상되자 군에서는 자연스럽게 병사들에게 더 큰 구경의 무기와 화포를 장비하는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관련 결과는 2차 달 봉쇄 전쟁(Second Lunar Enclosure War) 중 실전 테스트되었으며, 몇 년 후 파르스 전쟁(Fars War)에서는 중화포를 운용하는 OPV-4 병사들이 전장 보고서에 심심찮게 등장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이에 만족하지 않은 많은 세력들은 전투원들에게 더 강력한 화력을 갖추게끔 지속적인 노력을 수행했습니다. 특히 "고궤도 공동 선언(High Orbit Joint Declaration)"이 체결되는 동안 잔해 구름 밖에 위치해있던 지구 파벌의 전함 몇 척이 달 관리 위원회(Lunar Management Committee)의 여러 자산들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일이 발생했고, 이는 일부 세력 사이에 화력 부족에 대한 우려를 더 키우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이들은 곧 개인용 화포 개발에 착수했고, 개중 아이언 릿지 중공업은 강력한 기초 역량과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차량 플랫폼에 광범위하게 장착 가능한 다수의 우수한 제품들을 신속하게 생산해냈습니다.

최고위 연합(The High Union)이 자리를 잡은 후, 외부의 압력은 줄어들었지만 유적 내부의 갈등은 고조되기 시작했습니다. 그에 따라 MAP에 더 강력한 화력을 장착하는 연구가 최우선 과제가 되었으며, 회생 동맹(Rejuvenation Alliance)의 기술자들은 화포를 더 많이 장비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대응했습니다.

이 개념에 따라 기술자들이 가장 먼저 선택한 것은 아이언 릿지 중공업에서 이전에 개발했던 IR-19 57구경 80mm 활강포였습니다. 장갑 관통탄과 고폭탄 모두 발사할 수 있던 이 화포는 처음엔 주 전차의 주포로서 개발되었고, 일부 방어 구조물에도 화력 보조용으로 설치되었는데 장갑 관통력이 뛰어나 대부분의 MAP 전방 장갑을 관통하기에도 충분했던 것입니다. 이를 개량해 탄약 저장고와 사격 통제 장치를 성공적으로 소형화한 LGP-80 프로토타입은 시험 중대에 인도되었습니다.

여러 차례의 전투 테스트 후 파일럿들의 피드백은 극명하게 엇갈렸는데, 한편은 포격 시스템의 뛰어난 전투 성능을 칭찬했습니다. 해당 화포의 높은 가속도 덕분에 중장갑 급 표적에 대해서도 관통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허나 이는 반대로 큰 문제점을 지니고도 했습니다. 긴 가속 과정으로 인해 포구 속도가 극단적으로 빨라졌고, 이로 인해 달의 저중력 환경에서는 포탄이 달의 탈출 속도에 근접하거나 심지어는 초과하여 유적 내부에서 발사될 때 종종 돔에 부딪히는 일이 발생하곤 한 것이죠. 대보병 및 진압용으로 설계된 고폭탄에서도 이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는데, 대장갑용과는 사용처가 달랐기 때문에 고폭탄의 경우 특정 각도로만 발사해야하는 경우가 잦아 유적 내에선 사용하기가 난해 했던 것.

위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기술자들은 고폭탄은 제거하고,장갑 관통탄만 LGP-80에 남겨두었습니다. 그러나 설계된 상승 매커니즘은 제거하지 않았으며, 추가 조정을 거친 뒤 소수의 LGP-80만 생산되어 일부 중대에 보급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장비는 다소 극단적이었지만 정면 교전에선 효과적이었다는 병사를 받았습니다. 일부 보고에 따르면 이와 유사한 형태의 새로운 장비가 시험 중대에서 사용되고 있음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아이언릿지 중공업이 이미 더 광범위한 사용처의 제품을 테스트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LGP-80 아틸러리(중문&영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킥스타터 전용으로 발매된 한정 백팩.
롱액션 사격무장이지만 현재로선 유일한 사격액션 백팩이라는 점과, 크고 아름다운 대포의 크기는 충분한 매력을 갖추었기에 덕분에 많은 유저들이 정규파츠로 출시되길 기다리고 있다. 과거에는 [곡사] 키워드가 달려 있었으나 정규 출시되면서 사라진 소소한 변경점이 있다.

3.4.10. ML-34 쿼드 미사일 랙

[ ML-34 쿼드 미사일 랙 ]
파일:RDL_백팩_ML-34.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 [-]
[39pt]
입수처 : [RDL CORE]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미사일, 명시= | [M] | 사거리 [3] | 탄약 [4] |)] - [일제발사2][일제발사]
- [곡사][곡사]
- MC-3 "레이저" 미사일 1개 발사
[|ML-34 쿼드 미사일 랙(펼치기 • 닫기)]
파일:ML-34(부품이미지).png
> RDL의 많은 분대에게 있어 화력을 퍼붓는 것보다 만족스러운 일은 없습니다. 그보다 더 만족스러운 것이 있다면, 또 다른 포탄을 발사하는 것뿐이죠.

다양한 유도탄의 급속한 발전이 자동화된 전쟁을 뒤이었듯, RDL도 전장에서의 비용 효율성을 위해 고밀도 화력 전달의 길을 택했습니다. MAP 및 드론, 그리고 차량들의 미사일 발사 플랫폼 개발이 그 흐름의 중추에 놓여있었는데, ML 시리즈의 미사일 랙이 바로 해당 과정에서 탄생한 중요한 성과 중 하나였죠.

ML 시리즈의 개발 역사는 최고위 연합 초창기까지 거슬러올라갑니다. 개발 초기에는 고정 플랫폼, 또는 차량용 발사대로 설계되었으나 RT-06 시리즈로 대표되는 차세대 MAP가 광범위하게 배치됨에 따라 그 목적이 변경되었습니다. 메카용 발사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시급해지고 있었고, 이에 아이언 릿지 중공업은 기존 랙 제품을 기반으로 신속하게 결합 개발 공정에 착수했습니다.

초기 실험 모델 단계 때, 개발팀은 당시 소드 시리즈 미사일의 초기 버전과 맞추기 위해 이 장비에 대형 레이저 유도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거기에 더해 보호 기능 강화를 위해 후면에 추가 장갑판을 덧댔죠. 그러나 이후 진행된 개발 과정에서 레이저 시리즈는 기존의 레이저 유도 방식을 포기하고 대신 전자광학 및 적외선 유도 방식을 채택해 해당 유도 장치를 제거했으며, 마찬가지로 추가 장갑판 또한 비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간주되어 제거되었습니다.

최종 버전은 공식적으로 ML 시리즈로 분류되었으며, 레이저 미사일 4기가 장착된 ML-34 쿼드 미사일 랙은 ML 시리즈에서 가장 보편화된 제품이 되었습니다. 이 발사대는 레이저 계열의 소형 추진체 하중을 고려한 오프셋 설치 방식을 사용했는데, 그 덕분에 오른팔의 주무기 행동 반경을 넓힐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사일 랙의 수명을 고려할 때, 해당 구성의 레이저 미사일은 발사대와 백팩 사이의 연결부가 과도한 추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대 한쌍으로만 발사할 수 있도록 제한되었습니다.

MAP에서 사용되는 ML-34 버전은 자체적인 완전 사격 통제 시스템을 통합하고, 동맹의 표준 후방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통해 MAP의 코어 시스템에 연결하는 방식을 지녔습니다. 일부 코어는 발사된 미사일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메카의 사격 통제 시스템의 다른 부분을 호출할 수 있게끔 되어있기도 했습니다.

레이저 시리즈 미사일이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전자 시스템도 점차 개선됨에 따라, ML-34 쿼드 미사일 랙 또한 다양한 변형으로 진화했습니다. 예를 들어, 발사관이 레이저 미사일의 새로운 모델과 호환되도록 개선되거나, 백팩의 전자전 시스템이 미사일을 어느 정도 전자적으로 지원하도록 개선되었죠. 그렇다하여도 마이어가 갑작스럽게 당신을 향해 등 뒤로부터 빛을 발하며 달려든다면, 당신은 당신이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겁니다.

ML-34 모델의 개발 과정에서 무수히 많은 랙 장착 제품 모듈이 개발되었습니다. 아이언 릿지 중공업을 비롯한 다양한 회사들이 장비를 개발할 때 기성 ML 시리즈 부품을 직접 채택하는 것을 고려하는데, 강력한 범용성을 지닌만큼 해당 시리즈는 비단 메카뿐만 아니라 드론 및 차량 플랫폼에도 설치되었으며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DTG-30S 미사일 타입 "하이에나"입니다. 해당 제품은 조준 및 사격 제어 시스템이 드론의 무기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중앙 처리 능력에 맞게 조정되었지만 여전히 ML 시리즈의 파생 제품입니다. 거기서 멈추지 않고 일부 제조업체에선 미사일과 대포를 모두 통합한 무기 스테이션 시스템으로 결합시켜 더 많은 기업들의 조달 관심을 끌기도 했지요.

{{{#!wiki style="text-align: right"
ML-34 쿼드 미사일 랙(중문&영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3.4.11. ML-92 듀얼 미사일 랙

[ ML-92 듀얼 미사일 랙 ]
파일:RDL_백팩_ML-9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20pt]
입수처 : [RDL 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미사일, 명시= | [M] | 사거리 [6] | 탄약 [2] |)] - [일제발사2][일제발사]
- [곡사][곡사]
- MR-9 "팔콘" 미사일 1개 발사
[|ML-92 듀얼 미사일 랙|(펼치기 • 닫기)]
파일:ML-92(부품이미지).png
> 중거리 및 단거리 전투에서 몇 발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은 언제나 효과적인 기습 효과를 가져오며, 장거리에서 목표물을 파괴하고 포격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되었다.

"소드" 시리즈로 대표되는 단거리 전투 미사일은 많은 파일럿들을 매우 만족시켰지만, 그에 상응하는 단점도 있었다. 효과적인 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격렬한 전투에 참여하는 파일럿은 적절한 발사 시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때가 있었고. 이 때문에 연맹에는 충분히 효과적인 시야 밖 공격 방법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ML 시리즈의 장거리 미사일 하위 모델과 장거리 순항 미사일의 개발이 급속히 시작되었다.

이들이 가장 먼저 재설계한 것은 대형 미사일의 적재 및 발사관이었다. ML-3에 폭넓게 적용된 이중 발사관은 호평을 받았지만, 그 부피와 강도가 대형 미사일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새로운 발사관은 미사일 발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통형 구조의 외부에 상자 모양의 보강 프레임을 추가로 설치했으며, 이는 운송 중에 밀집하여 적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었다. 새로운 발사관의 정적 시험에서 설계 기대치에 부합하는 수명을 가진 것이 입증되었으며, 하위 시스템 평가를 통과하고 범용 후방 장갑과 결합하는 실험을 시작했다.

티에링 중공업은 ML 시리즈 백 프레임의 성공적인 설계에 매우 만족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를 장거리 미사일 발사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장거리 순항 미사일은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발사 시 발생하는 반응력이 기존 전투용 미사일보다 아득히 높아 ML-34에서 사용된 발사 지원 시스템을 완전히 공유할 수 없었다. 엔지니어들은 단순히 미사일 발사관을 변경하는 아이디어를 포기해야 했고,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는 동시에 ML-3 미사일 랙의 설계를 다시 개선해야 했다.

해당 하위 시스템에 대한 변경 사항은 주로, 브래킷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개선하고 발사 꼬리 화염의 충격과 마모가 모듈의 정상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원래 트러스형 장착 프레임이 제거되었고, 좌·우측의 유압 지지 시스템이 재설계되어 장착 지점을 통해 발사관에 연결되었다. 이 덕분에 발사를 준비할 때 유압봉을 사용하여 미사일 배럴의 초기 방향을 조정하고 발사 중 반발력을 상쇄할 수 있게 되었다.

개량된 백 프레임과 발사관을 결합한 후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충분히 실현 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새로운 장비는 ML-9 미사일 패키지로 명명되었고, 두 개의 "팔콘" 미사일 발사관을 탑재한 표준 모델을 "ML-92 듀얼 미사일 랙"으로 명명하였다. 다만 ML-9는 유압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약간의 중량 증가를 가져왔고, 이는 ML-3 시리즈와 비교했을 때 기체의 기동성에 약간의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 지원 시스템은 더 큰 적재 가능성을 만들어냈다.

단거리 미사일과 비교했을 때 장거리 순항 미사일의 폭약 충전량은 실제로는 증가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부피가 연료와 엔진에 사용되었다. 그 파괴력은 단거리 미사일 시리즈보다 더 약햇지만 연맹은 여전히 저렴한 미사일과 발사 시스템의 개발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적과 실제로 접촉하기 전에 이러한 저렴한 장거리 미사일을 대량으로 발사하면 지역 목표에 대한 화력 억제를 달성하고, 적의 소규모 부대를 섬멸하거나 적의 요격 부대를 소모시킬 수 있었다. ML-92 듀얼 미사일 랙이 실전 배치된 후 연맹 연합군의 일부 전투부대는 전쟁 초기에 미사일을 약 10발 발사하여 목표 범위를 완벽하게 포위하고 적에게 엄청난 심리적 압박을 가하기도 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ML-92 듀얼 미사일 랙|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3.4.12. ML-94 쿼드 미사일 랙(LAB 제품)

[ ML-94 듀얼 미사일 랙 ]
파일:RDL_백팩_ML-94.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48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미사일, 명시= | [M] | 사거리 [6] | 탄약 [4] |)] - [일제발사4][일제발사]
- [곡사][곡사]
- MR-10 "캐스트렐" 미사일 1개 발사

3.4.13. MUD-1 "먹" ECM 백팩

[ MUD-1 "먹" ECM 백팩 ]
파일:RDL_백팩_MUD-1.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1] [1] [-]
[33pt]
입수처 : [RDL HEAVYMETA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쾌속, keyword=피탐 증폭, 명시= | [S] | 자기자신 | 2턴간 지속 |)] - 이 메카는 [하이라이트][하이라이트] 토큰을 획득한다.
[|MUD-1 "먹" ECM 백팩|(펼치기 • 닫기)]
파일:MUD-1(부품이미지).png
>대부분 사람들의 인상에 따르면, 재건 개발 연합은 복잡한 전자기 환경에서 전자공격 수단을 사용하는 데 전혀 능숙하지 않으며, 주요 전투 코어는 그런 강렬한 전자전을 수행할만한 충분한 성능을 갖추지 않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네트워프 팀이 전장에서 그들의 식별 시스템이 극도로 혼란스러워지고, 노이즈로 가득 찬 시각 레이더 인터페이스에 오직 하나의 목표만 남았으며, 무기가 눈앞에 있는 적을 전혀 조준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고 놀랐을 때, 그들의 실패는 이미 정해진 것이었다.

의심할 여지 없이, 고도의 기밀 유지가 요구되는 개발환경 하에서 MUD-1 “먹” 전자전 백팩의 등장은 모든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그 연구 개발 과정은 차세대 연맹 세력 장비 개발의 전형적인 사례다. 뤄진 일렉트로니스는 핵심 전자전 모듈을 제공했고, 티에링 중공업은 모듈의 패키징과 통합을 담당하였고 이 개발 모델에 따라, 연맹 내 다양한 리소스가 가장 높은 효율성으로 사용되었다. 티에링 중공업은 자체적인 기술적 단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발의 어려움을 피할 수 있었고, 장기간 MAP 개발 프로세스에서 축적된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여 신규 장비와 기존 장비 시스템의 적응 및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뤄진 일렉트로니스에서 만든 새로운 전자전 전략 모듈에는 장기간 전자전 경험을 통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공격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이 알고리즘은 적의 IFF 시스템의 프로그램 취약점을 찾아 이를 조작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많은 수의 스마트 무기와 드론을 상대로 매우 치명적이었다. 자동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이러한 기계들은 종종 절망적인 편집증에 빠져, MUD 시스템이 장착된 MAP을 향해 사심없이 돌진하면서 본래 행동 목표를 완전히 포기하게 만든다. 이는 전자전 저항 능력이 뛰어난 MAP이라 할지라도, 아무런 준비 없이 이 정도 강도의 전자공격을 받는 것은 충분히 까다로운 상황이었고 파일럿은 목표를 제대로 포착하지 못해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졌다.

초기 프로토타입 모델에는 두 개의 대형 안테나가 설치되어 이 장비의 전자전 성능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범위 내에 있던 드론과 스마트 무기의 IFF 시스템이 완전히 뒤집혀서 팀원을 향해 공격을 가했으며, 갑작스레 등장했기 때문에 다른 부대는 이에 대처할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 전투 테스트를 몇 차례 거친 수, 뤄진 일렉트로니스와 티에링 중공업은 마침내 대량 생산된 MUD 버전의 대형 작동 안테나를 축소하기로 결정한다. 비용 제어 요소가 있지만, 주된 목적은 마이어 자체의 평균 성능에 적응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축소 후, MUD는 군대에서 흔히 장비되는 지원 모듈이 되었고, 계속해서 연맹 전투 부대에 예상치 못한 전장 옵션을 제공했다.

다양한 무기 개발자들이 이 모듈 세트를 사용 후 해독하여 전장에서 해당 솔루션을 찾으려고 노력해 왔지만, 뤄진 일렉트로니스 역시 암호화 알고리즘을 업데이트 하고 재구성해 왔다. 엔지니어들은 이 모듈 세트에 대한 여러 세트의 사전 설정을 불규칙적으로 업데이트 했고, 전투 부대는 출발 전에 무작위로 하나를 선택하여 상대방이 충분한 사전 정보를 얻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반격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들었다.

티에링 중공업이 항상 선택해 온 것처럼, MUD 백팩 시스템은 곧 보편적인 랙 제품이 되었고 이후 개발된 많은 전자전 장비에 사용되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MUD-1 "먹" ECM 백팩|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설치시 하이라이트를 갖는 B3/2 디코이 비컨과 마찬가지로 해당 백팩을 장착한 MAP에게 [하이라이트 토큰]을 부여 수 있는 백팩.
근접과 사격, 그리고 미사일과 같은 이동이 폭발물에 대해서 사거리 내라면 무조건 하이라이트 유닛이 우선시되는 강제권을 갖을수 있으며, 덕분에 탱커 세팅을 맞춘 MAP에게 자주 채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3.4.14. MUE/N-20 "에코즈" 서포팅 백팩

[ MUE/N-20 "에코즈" 서포팅 백팩 ]
파일:RDL_백팩_MUEN-2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 [-] [-]
[30pt]
입수처 : [RDL 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조정, 명시= | [M] | 사거리 [4] | 자신을 제외한 아군 유닛 |)] - [전자 지원][전자지원]
- 사거리 내의 아군메카(본인제외)를 1개 선택한다. 선택된 아군 메카는 즉시 링크 수치를 1개 소모하고, [추가 액션 기회][추가액션기회]를 얻는다.
[|MUE/N-20 "에코즈" 서포팅 백팩|(펼치기 • 닫기)]
파일:MUEN-20(부품이미지).png
> 인정하건대, 재건 개발 연합의 소프트 전자전에 그다지 능숙하지 않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었다. 이들은 가상공간에서 공격하고 방어하는 것보다, 오히려 상대방을 날려버리는 것을 더 선호했다. 그러나 "먹" 백팩이 많은 이들에게 충격적이었던 것처럼, 연합이 전자전 분야에서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했다는 생각은 이 사람들의 무덤에 흙을 들이붓는 첫 번째 삽이 될 것이다.

페가수스 로지스틱스는 월례 관리 위원회에 의석을 차지한 최초의 회사 중 하나로서, 오랫동안 지구와 달을 잇는 단거리 노선의 중추를 담당해 왔다. 전쟁이 시작된 후, 지구 근처 항로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자 페가수스 로지스틱스는 곧바로 식민지 위성과 심우주 항로를 위한 운송 사업을 신속하게 전개하며 빠르게 입지를 굳혔다. 물론 이들은 잔해 구름의 봉쇄를 깨고 지구-달 경로를 다시 열려고 노력해 왔다. 다수의 다기능 작업선은 중장갑을 추가하여 운송 모델로 개조되었으며, 대규모 잔해 구름 돌파 계획을 여러 차례 수립하여 시행하였고 또한, 이를 통해 고궤도 연맹 이후 지상 착륙 지원 작전을 위한 귀중한 경험을 축적해 왔다.

그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것은 거의 모든 곳에서 발생하는 잔해 구름 공격에 어떻게 더 잘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방안이었다. 민간 선박의 승객 수, 핵심 프로세서의 수준, 수송 능력 확보의 필요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운송선이 잔해 지대를 통과할 때 작업선에 뛰어드는 OPV4 파일럿들이 최선을 다하더라도 잇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위협에 대처하기로 한 여간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페가수스의 엔지니어들은 이전의 획기적인 시험 비행 기록을 주의 깊게 연구한 결과, 돌파구가 될 수 있는 지점을 찾아낼 수 있었다. 실제로 과포화 위협을 일으킬 수 있는 잔해 벨트의 실제 폭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이 극단적인 시간 내에 더욱 강력한 상황 인식 및 정보 처리 능력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이 봉쇄 구역을 돌파하는 것을 가능하다고 판단하였고 이런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페가수스는 "공명"이라는 함선 기반 협업 시스템을 설계했다. 임무를 수행할 때, 두 척의 함선은 대형을 이루고 잔해 구름의 바깥쪽 가장자리로 이동한다. 이후 시스템을 장착한 보조선은 안전 구역에 머무르는 한편, 수송선은 계속 아래쪽으로 돌파하며 두 척의 시스템을 통해 완전하게 링크 공유를 형성한다. 수송선의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파편 떼를 만나면 보조선은 모든 처리 능력을 수송선에 제공하여 단시간에 몇 배나 더 효율적으로 특별한 기동을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고 이 시스템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특히 파일럿의 지친 목소리로 "대기에 진입합니다"라는 말이 들릴 때쯤, 잔해 구름 반대편에 있던 모두가 흥분했다.

하지만 해당 시스템은 찾아올 대가를 고려하지 않았었다. 이후 수송성 파일럿은 본부로 복귀한 뒤 엄청난 정신적 피로로 인해 쓰러졌고, 일주일 후에야 점차 회복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차례 개선을 거쳐 완화되었음에도 터뷸런스 시스템은 여전히 파일럿이 단일 항해에서 "공명"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횟수를 엄격하게 제한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페가수스 그룹으로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동시에 지구 상륙 작전이 꾸준히 발전함에 따라 많은 수의 MAP이 지상 경비대에 편입되기 시작하였고, 일부 엔지니어들은 “공명” 시스템을 소형화하여 MAP 레벨 장비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이 시도는 성공적이었고, 시제 장비는 MUE/N-20 "에코즈" 서포팅 백팩이라는 명칭을 얻은 후 생산에 들어갔다. 적들은 앞에 있는 연맹부대가 끔찍한 효율성으로 공격하기 시작한 것을 보고 깜짝 놀라며 공포에 질렸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의 프로세서로는 연맹부대의 움직임을 따라갈 수조차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MUE/N-20 "에코즈" 서포팅 백팩|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3.4.15. SH-15 필드 리페어 시스템

[ SH-15 필드 리페어 시스템 ]
파일:RDL_백팩_SH-15.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30pt]
입수처 : [RDL CORE]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응급 처치, 명시= | [S] | 자기자신 | 탄약 [1] |)] - [파괴된 부품]에 대해 1 수리 토큰을 두거나, 또는 메카의 부품 중 하나의 [손상 토큰]을 제거.
[|SH-15 필드 리페어 시스템|(펼치기 • 닫기)]
파일:SH-15(부품이미지).png
> 인류가 태양계로 처음 진출한 이래, 장거리 장비와 인공 신체의 유지 보수는 심우주 채굴에 종사하는 모든 기업에게 지속적인 도전 과제였습니다. 우주 잔해들로 인한 침식과 열악한 작업 환경은 채굴용 인공물의 마모와 손상 문제를 점점 심화시키는 원인이었이죠. 심지어 많은 OPV-4 파일럿들이 일상용 인공물로 교체한 뒤에도 관절 사이에 낀 먼지들에서 오는 성가신 마찰이 종종 느껴진다고 불평하기도 했습니다. 고속으로 부딪혀오는 대형 잔해들로 인한 구조적 손상은 말할 것도 없었지요.

다행스럽게도, 페가수스 인더스트리(Pegasus Industries)와 페가수스 테크놀로지(Pegasus Technologies)의 광범위한 기술적 노력 끝에 마침내 훌륭한 해결책이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 채굴지에서 얻은 관련 기술을 통해 소형 드론의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양산해내는데 성공한 것이죠. 특수 인공물이 작전 수행 시 드론 수납고를 코어 시스템에 연결하여 손상 경고 및 부품 기능 점검과 같은 권한을 부여하게 되고, 손상 경고가 뜨면 시스템이 저장된 소형 드론을 손상 위치로 신속히 방출하여 속건성 팽창 폼을 방출하거나 자체 재료를 분해해 가능한 한 빠르게 복구하려고 시도합니다. 해당 제품의 초기 버전 연맹(confederation), 심지어 최고위 연합이 설립되기 이전부터 있었죠.

전투 인공물, 특히 RT-06 시리즈가 대대적으로 배치되면서 이러한 인공물들의 전장 속 유지보수에 대한 필요성이 당장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무기가 손상되거나, 이동 부품이 파괴되더라도 중요 유닛을 포기하지 않고 지속해서 행동할 수 있게 보장해준다는 건 전투 결과에 분명 큰 영향을 끼치는 부분이었죠. 아이언 릿지 중공업과 같은 기업들은 이전부터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이 제품을 금세 상기해냈고, 페가수스 인더스트리가 전장에서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 개선을 위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이번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부품에 통합된 코어 프로세서의 확장으로, 인공물의 코어 프로세서에서 수리에 따른 연산 부담을 줄여 복잡한 무기 악세서리를 더 잘 처리할 수 있도록 해결한 것이었습니다. 또한 소형 드론의 저장고를 확장하고, 이를 병렬 배치하여 전투 내구성을 높이기까지 했지요. 아이언 릿지 중공업의 시스템과도 뛰어난 호환성을 보인 탓에 머디(Muddy) 시리즈를 구매했던 기업들은 해당 제품도 마찬가지로 대량 주문하였고, 이내 다양한 전투 시나리오에서의 폭넓은 피드백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일선 부대의 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기존의 드론 저장고를 확장한 것은 실제로는 불필요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소형 드론이 수리할 수 없을 정도로 치명적인 손상을 입거나 사용하지 않는 드론을 대량으로 운반해 불필요한 무게만 늘리는 일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노출된 병렬 저장고는 종종 전투에서 손상괴거나 파괴되어 재고 누출로 이어지기도 했죠.

이에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부품의 설계를 더 수정했습니다. 저장과의 크기는 줄이는 대신 기본 장갑을 장착했으며, 총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외관의 간소화 또한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숙련된 기술자들이 소형 부스터를 유선형 폼에 장착하여 기동성을 강화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곧 같은 그룹 내 버닝 락 마이닝의 시험 중대에서 전장 적합성 평가를 거친 뒤 생산 목록에 올랐습니다.

당연하게도, 개선된 버전은 군에서 널리 호평을 받았고, 많은 분대의 표준 장비로서 빠르게 자리 잡았습니다. 이 군용 버전은 공식적으로 SH-15 필드 리페어 시스템이라 명명되었고, 이내 아이언 릿지 중공업의 RT-06 시리즈의 기본형 장비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제품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올린 연방국(Allied Commonwealth)의 오랜 전통 기업이자 달 파벌 기업인 페가수스 그룹은 35개 이상의 심우주 항공 관련 기업들을 인수해냈고, 더 나아가 L3의 "블리자드" 조선소를 완전히 장악하는데 성공하여 이후 심우주 개발로서 노선을 전환하게 됩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SH-15 필드 리페어 시스템| 로어(중문&영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3.4.16. TB-600 제트팩

[ TB-600 제트팩 ]
파일:RDL_백팩_TB-60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3/-] [2] [-] [-]
[48pt]
입수처 : [RDL 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이동, keyword=도약, 명시= | [S] | 이동거리 [2] | 공중 이동 |)] - [공중 이동][공중이동]
[|TB-600 제트팩|(펼치기 • 닫기)]
파일:TB-600(부품이미지).png
>연구자들이 처음 유적지에 발을 디뎠을 때, 그들은 눈앞에 있는 모든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 마치 모두가 장난감 가게에 도착한 아이와 같았고, 알려지지 않은 장난감으로 가득 찬 이 세상에 완전히 빠져 있었다. 하지만 유적의 복잡성은 분명하게도 모든 사람의 상상을 뛰어넘었다. 유적 내부 공간의 복잡성은 분명히 음푹 파인 달 크리에이터만큼 단순하지 않았고 다양한 지형은 연구원들의 체력을 빠르게 고갈시켰다. 이들은 유적을 탐험하고, 탐사 활동의 지속을 보장하기 위해 내부에 캠프와 물자 수송 경로를 지속적으로 구축해야 했다. 일부 지역에는 중력 이상 현상도 있지만, 달의 전반적인 중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비행 백팩은 유적 내에서 연구자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이동 수단 중 하나로 자리잡게된다. 사이버네틱 임플란트가 나중에 대부분의 연구자들의 신체를 대체하며 이러한 임플란트는 갈등이 격화되면서 계속 발전했지만, 이런 종류의 이동성에 대한 수요는 결코 사라지지 않았고, 사람들은 더이상 신체의 한계에 대해 걱정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높아져만 갔다.

페가수스 그룹은 우주 물류 사업에 장기간 관여하면서 추진 방법과 그와 관련된 수많은 기술과 특허를 축적해, 이를 전함 및 선외 인공위성 설계에 활용해 왔다. 그중에서도 그들이 가장 자랑스러워 하는 점은 효율적인 추진 유체와 저렴한 벡터 노즐 기술이었다. 그룹의 사업이 점차 MAP 관련 분야로 확장되면서 이러한 유형의 기술은 페가수스 인더스트리에서 개발한 일련의 장비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

티에링 중공업은 강력한 시스템 통합 역량을 활용해 일부 하부 모듈의 초과 노즐에 대한 조정 작업을 성공적으로 달성했지만, 장비 시퀀스의 유연함 효율적인 단거리 이동 역량에 대한 노하우는 부족했다. 이에 따라 티에링 중공업과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터뷸런스” 시스템의 배치를 통해 신속하게 협력 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MAP 소형 외부 추진 시스템의 연구 개발 및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154호 공동 실험장을 설립한다.

이들은 먼저 페가수스의 연료 시스템을 티에링 중공업의 추진 시스템에 연결하는 테스트를 실시했다. 페가수스는 이전에도”터뷸런스” 작동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과정은 매우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그 후, 시제 연료 탱크를 RL-06 하부 메인 스러스터에 설치하는 임시 시험 백팩 시스템을 구상했다. 해당 모듈이 표준 마이어 본체에 연결된 후, 테스트 파일럿은 최대 출력 지면 고정 점화 테스트를 시작한다. 그러나 강력한 추진력에 테스트기는 환한 불꽃 속에서 약 80m 높이까지 날아오르고 테스트기는 자세 제어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여 땅에 쳐박혔음에도 불구하고, 이 실험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해당 구성이 확립된 후, 해당 시스템은 공식적으로 제품화 단계에 들어갔다. 페가수스 인더스트리는 티에링 중공업에서 제공한 후방 주 추진기를 광범위하게 수정 후, 연료 저장 탱크를 설치하기 위해 중간 구조를 해체한 뒤 각 측면에 가변 방향 노즐을 추가했다. 이동 시에는 먼저 연료 탱크 아래의 가변 노즐과 좌우 측명의 대형 주추진 노즐을 작동시켜 메카를 공중으로 날린 다음, 3개의 가변방향 노즐을 사용하여 착륙 시 자세 제어와 역추진 감속을 수행하였다. 만약 이것을 최대 출력으로 가동할 경우, RL-08 장갑 섀시를 장착한 중량기를 건물 위로 날려보낼 수 있었다.

이 개발이 성공적으로 끝난 뒤, 페가수스와 티에링에게 있어 이는 실제로 매우 성공적인 협업이었으며 해당 장비는 “TB-600 제트팩”이라는 이름으로 대략 생산되었다. 그리고 파일럿들은 이 장비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용도를 발견해내는데, 연료 탱크에 연료가 충분히 공급되었기 때문에 파일럿들은 백팩에 달린 수많은 벡터 노즐의 짧은 연사를 사용하여 유연한 기동을 실현해냈고, 전장에서 맞을 가능성을 크게 줄이게 된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TB-600 제트팩| 로어(중문)
라쿤펀치 한글번역 로어}}}
[RDL CAVALRY] 팩에서 1개 입수할수 있는 백팩으로 숏틱으로 2그리드를 움직이는 이동액션을 사용할수 있으며 SH-15 필드리페어 백팩과 마찬가지로 회피 2 수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단순 회피를 챙기기 위해서는 SH-15 필드리페어 백팩을 쓰면 되기에 그다지 추천은 안될것 같지만, 이 백팩의 진정한 가치는 RDL에서는 볼수 없는 숏틱 이동 액션이라는 점이다.

로어와 부품명에서도 알수있다 싶히 제트팩은 [공중 기동] 키워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벽이나 드론, 셧다운 상태의 MAP을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며, 숏틱인 점을 살려 해당 백팩을 착용한 유닛이 애매한 위치일때 기동과 함께 사용해서 상대에게 돌격 혹은 후퇴를 선택하여 자리선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숏액션에 해당되는 다른 무장이 요구되기도 한다.

3.5. 발사체 / 설치물 / 드론

3.5.1. B3 비컨

3.5.1.1. B3/1 링크 비컨
[ B3/1 링크 비컨 ]
파일:RDL_설치물_B31.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2/-] [-] [3] [-]
타입 설치물(소형/링크 비컨)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HEAVYMETA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딜레이, keyword=링크 지원, 명시=| 딜레이 | 사거리 [3] | 링크 1 회복 |)] - 사거리 내 모든 아군 메카1링크 회복.
3.5.1.2. B3/2 디코이 비컨
[ B3/2 디코이 비컨 ]
파일:RDL_설치물_B3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2/2] [-] [3] [-]
타입 설치물(소형/하이라이트 비컨)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HEAVYMETAL]

파일:OP_Passive.jpg [미끼] [패시브]
| 상시 | 적의 사거리 내 |

- 이 비컨은 [하이라이트][하이라이트]를 갖는다.
3.5.1.3. B3/3 전술 비컨
[ B3/3 전술 비컨 ]
파일:RDL_설치물_B33.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2/-] [-] [3] [-]
타입 설치물(소형/오라 비컨)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HEAVYMETAL]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딜레이, keyword=연산 보조, 명시=| 오라 | 사거리 [3] | 링크 1 회복 |)] - 오라
- 사거리 내 아군 메카의 모든 액션은 [유연한 타이밍][유연한타이밍] 키워드를 획득 한다.

3.5.2. DTG-30M "하이에나" MG 타입

[ DTG-30M "하이에나" MG 타입 ]
파일:RDL_드론_DTG-30M.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2] [-]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42pt]
입수처 : [RDL 공통]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5]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사격, keyword=완전-자동, 명시=| 오토마톤 | 사거리 [4] | 1Y2R |)] - [요격1][요격]
- [전방향 사격][전방향사격]
- [근접 사격][근접사격]

3.5.3. DTG-30S “하이에나” 미사일 타입

[ DTG-30S "하이에나" 미사일 타입 ]
파일:RDL_드론_DTG-30S.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2] [-]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33pt]
입수처 : [RDL 공통]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5]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발사, keyword=완전-자동, 명시=| 커맨드 | 사거리 [3] | 탄약 [4] |)] - [일제발사2][일제발사]
- [곡사][곡사]
- MC-3 "레이저" 미사일 1개 발사.

3.5.4. DTG-30R “하이에나” 레이더 타입

[ DTG-30R "하이에나" 레이더 타입 ]
파일:RDL_드론_DTG-30R.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2] [-]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27pt]
입수처 : [RDL 공통]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5]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전술 탐지, 명시=| 오토마톤 | 사거리 [6] |)] - 사거리 내 모든 "적 유닛"을 "탐지"합니다.

파일:OP_Passive.jpg [AA 레이더] [패시브]
| 시야 범위 내 발사체 | 요격 지원 |

- 아군 유닛이 요격 시 대상 발사체가 이 유닛의 시야에도 들어온다면, 해당 요격의 {눈}은 {약공격}으로 교체.

3.5.5. DTG-30ART "하이에나" 페인트 타입 (◆)

[ DTG-30ART "하이에나" 페인트 타입 ]
파일:RDL_드론_DTG-30ART.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5/2] [-] [2] [-]
타입 드론(중형)
스탠스 파일:OP_DEF.png
방어 스탠스
[99pt]
입수처 : [RDL 바예호 콜라보 세트]
파일:OP_Maneuver.png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5] |

파일:OP_Passive.jpg [페인트 운반] [패시브]


- 페인트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기 위해 페인트 병을 전장에서 휴대할 수 있다.

1.01에서 추가된 바예호 콜라보 드론으로 이전 066 근황보고에서 언급이 되었었다.
바예호 도료[176]를 하이에나에 올려둘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도료를 향한 사랑을 보여주기 위한 특별한 기믹과 99pt라는 가격이기 덕분에 예능용 드론으로 취급된다.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이상은 실게임에 넣을 생각은 하지 말자.

3.5.6. GS-2 연막탄

[ GS-2 연막탄 ]
파일:RDL_발사체_GS-2.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4] [-] [-]
타입 발사체(모델 X)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HEAVYMETAL & CAVALRY]

파일:OP_Immediate.jpg [연막 전개] [즉발]


- 즉시 폭파
- 폭파 시, 낙하지점으로부터 최대 3연막을 배치. 이 때 연막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3.5.7. GA-3 고폭탄(◆)

[ GA-3 고폭탄 ]
파일:RDL_발사체_GA-3.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4] [-] [-]
타입 발사체(소형/탄두)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HEAVYMETAL & CAVALRY]

파일:OP_Delay.jpg [지연 폭파] [딜레이]
| 3Y |

- 낙하지점에서 폭파
- 폭파 시, 인접한 모든 유닛에게 폭발 데미지.
모델과 데이터는 존재하나 실제로 사용은 불가능한 더미 포탄(발사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추후 발사 수단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아틸러리 로어에서 언급되는 고폭탄이 GA-3 고폭탄으로 추측되고 있다. 실제로 GA-3 고폭탄은 모델과 룰은 있지만 별도의 발사 가능한 무장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5.8. GM-35 대장갑 지뢰

[ GM-35 대장갑 지뢰 ]
파일:RDL_설치물_GM-35.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2/-] [-] [-] [-]
타입 설치물(소형/지뢰)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HEAVYMETAL]

파일:OP_Passive.jpg [촉발] [패시브]
| 1Y3R |

- 지상 유닛이 이 지뢰가 설치된 그리드에 진입 시 해당 지뢰는 분쇄되지 않고 폭파.
- 폭파 시, 이 그리드 내의 모든 지상 유닛에게 폭팔 데미지.

3.5.9. MD-1 "잠자리" 초소형 정찰기(LAB 제품)

[ MD-1 "잠자리" 초소형 정찰기 ]
파일:RDL_드론_MD-1.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2/-] [2] [3] [-]
타입 드론(소형/저가치 유닛/고고도)
스탠스 파일:OP_MOB.png
방어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
파일:OP_Maneuver.png비행 기동(커맨드) | 이동거리 [6]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전술, keyword=전장 탐지, 명시=| 오토마톤 | 사거리 [4] |)] - 사거리 내 모든 "적 유닛"을 "탐지"합니다.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패시브, keyword=봉쇄, 명시=| 시야 범위 | 사거리 [3] | 사격 지원 |)] - 아군 유닛이 사격 시 사격 대상이 이 유닛의 시야에도 들어온다면, 해당 유닛은 파란 주사위를 하나 제거

3.5.10. MC-3 "레이저" 미사일

[ MC-3 "레이저" 미사일 ]
파일:RDL_발사체_MC-3.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6] [1] [-]
타입 발사체(소형/미사일/고고도)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드론이 포함된 모든 팩]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딜레이, keyword=유도 공격, 명시=| 딜레이 | 사거리 [3] | 1Y3R |)] - 사거리 내 적 유닛 1개를 선택, 비행으로 해당 그리드로 이동 후 폭파
- 폭파 시 대상에게 폭발 데미지.

3.5.11. MR-9 "팔콘" 미사일

[ MR-9 "팔콘" 미사일 ]
파일:RDL_발사체_MR-9.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4] [1] [-]
타입 발사체(소형/미사일/고고도)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딜레이, keyword=유도 공격, 명시=| 딜레이 | 사거리 [6] | 3Y |)] - 사거리 내 적 유닛 1개를 선택, 비행으로 해당 그리드로 이동 후 폭파
- 폭파 시 대상에게 폭발 데미지.

3.5.12. MR-10 "캐스트렐" 미사일(LAB 제품)

[ MR-10 "캐스트렐" 미사일 ]
파일:RDL_발사체_MR-10.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4] [1] [-]
타입 발사체(소형/미사일/고고도)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Conversion Kit]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딜레이, keyword=유도 공격, 명시=| 딜레이 | 사거리 [6] | 2R |)] - 사거리 내 적 유닛 1개를 선택, 비행으로 해당 그리드로 이동 후 폭파
- 폭파 시 대상에게 폭발 데미지.

3.5.13. MES 비컨

[ MES 비컨 ]
파일:RDL_설치물_MES.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1/-] [-] [1] [-]
타입 설치물(소형/오라 비컨)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딜레이, keyword=미끼, 명시=| 오라 | 사거리 [1] | 저피탐 부여 |)] - 오라
- 사거리 내 아군 메카[저피탐][저피탐]을 획득 한다.

3.5.14. RA-81 로켓

[ RA-81 로켓 ]
파일:RDL_발사체_RA-81.jpg
파일:OP_armor&structures.png
[장갑구조]
파일:OP_Dodge.png
[회피]
파일:OP_Electronic.png
[전자전]
파일:OP_Parrying.png
[패링]
[-/-] [4] [-] [-]
타입 발사체(모델 X)
스탠스 파일:OP_MOB.png
회피 스탠스
[0pt]
입수처 : [RDL HEAVYMETAL & CAVALRY]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즉발, keyword=직렬-작약 탄두, 명시= | 즉발 | 사거리 [--] | 3R |)] - 낙하지점 그리드에 있는 적 유닛 중 1기를 대상으로 하여, 즉시 폭파
- 폭파 시 대상에게 폭발 데미지.

g/ac-6 로켓 런처를 발사할 때 나가는 로켓탄두.

1.01 시트 업데이트를 통해 즉시 폭파에 낙하지점 그리드에 있는 적 유닛중 1기를 대상이라는 추가적인 문구가 생겼다.

4. 파일럿

4.1. 엘리트 파일럿

4.1.1. 01 미스티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파일럿
, name=RDL 01 "미스티", faction=RDL, Number=01, code=Misty, Time1=7, Time2=4, Time3=5, Time4=3, Time5=3, Time6=2, pt=15, pack=CORE, link=4, ability=변형, 설명=전술 타이밍 시 설정 타이밍에 상관없이 아무 타이밍의 액션을 시작 액션으로 사용 가능.(사격 타이밍에 액션했더라도 에코즈의 지원을 받아 전술 타이밍에 액션하게 되면 시작 액션 제한이 없어진다.))]
다목적 작업선 E28워트호그를 모함삼아 유적 전투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066시험평가중대의 중대장 아야노 사리넨 미스티는 지휘와 전투시 엄호 및 중거리 화력을 담당하는 1소대의 대장으로 활동중인 파일럿이다.

[RDL CORE] 팩에 들어있는 엘리트 파일럿으로 옵시디언을 즐기기 위해 RDL로 입문한다면 가장 먼저 보면서도 자주보게되는 파일럿으로 그녀의 패시브인 변형유연한 타이밍[유연한타이밍]과 마찬가지로 파일럿의 액션 제한을 풀어주는 능력이다. 즉 플랜 페이즈에서 미스티를 전술 타이밍으로 설정해두고, 미스티의 차례가 온다면 미스티는 전술을 포함한 6가지의 액션을 모두 수행할수 있기에 상황에 따라 변칙적인 행동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다재다능한 포텐셜을 보여주는 활용성 높은 엘리트 파일럿이라 할 수 있다.

4.1.2. 02 스파이크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파일럿
, name=RDL 02 "스파이크", faction=RDL, Number=02, code=Spike, Time1=3, Time2=7, Time3=6, Time4=2, Time5=5, Time6=5, pt=15, pack=CORE, link=4, ability=이글-아이, 설명=사격 액션 시 장갑관통1 획득)]
다목적 작업선 E28워트호그를 모함삼아 유적 전투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066시험평가중대 소속 알바르 사리넨, 스파이크는 지휘와 전투시 엄호 및 중거리 화력을 담당하는 1소대의 부관으로 활동중인 파일럿이다.

미스티와 마찬가지로 [RDL CORE]팩에서 얻을 수 있는 엘리트 파일럿으로, 중거리 교전에 적합한 1소대답게 그의 패시브인 [이글-아이]는 헤비레일건과 숄더레일건에 달려있는 키워드인 [장갑관통][장갑관통]은 스파이크가 행동하는 모든 사격 액션에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장갑 관통 자체가 피격시 굴리는 하양 주사위를 줄여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유닛 혹은 지형커버를 어느정도 상쇄할 수 있거나, 아니면 제압된 상대를 확실하게 끝낼수 있는 등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180]

4.1.3. 03 우

[ RDL 03 "우" ]
파일:RDL_03_Wu.png 파일:OP_Swift.png 쾌속 6
파일:OP_Melee.png 근접 2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3
파일:OP_Firing.png 사격 7
파일:OP_Move.png 이동 4
파일:OP_Tactical.png 전술 4
[12pt]
입수처 : [RDL HEAVYMETAL]
[ 다이얼 후면 ]
파일:RDL_03_Wu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강인함]
- 부품이 파괴되어도 링크 수치가 감소하지 않는다.
파일:RDL_03_Wu_profile.png


다목적 작업선 E28워트호그를 모함삼아 유적 전투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066시험평가중대 소속 부대장 슈앙 우, 는 돌격 무기나 중화기를 휴대하며, 중대 내 화력 지원 또는 돌파를 담당하는 2소대 파일럿이다.

[RDL HEAVY METAL] 팩에 들어있는 엘리트 파일럿으로, 2소대가 장거리 화력 지원 또는 근접 전투에 적합한 형태임을 반영하듯 그의 능력인 [강인함]은 부품이 파괴되어도 링크가 감소하지 않는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옵시디언은 링크가 모두 감소하면 가장 취약해지는 셧다운 스탠스에 돌입하게 되는데, 우는 자신의 패시브 덕분에 충격으로 인한 링크 감소와 무분별한 리롤 소모가 아닌이상 셧다운 스탠스로 진입할 상황을 만들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덕분에 이러한 능력을 살려 몇턴동안 특정 지역에서 버티는 탱커 MAP 혹은 적 사거리내로 억지로 돌입하는 돌진형 근접 MAP에게 어울리며, RT-09A "볼케이노"장갑 코어와 궁합이 아주 좋다.

4.1.4. 04 해머헤드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파일럿, name=RDL 04 "해머헤드", faction=RDL, Number=04, code=Hammerhead, Time1=4, Time2=3, Time3=2, Time4=5, Time5=2, Time6=6, pt=10, pack=HEAVYMETAL, link=4, ability=맹공격, 설명=[공격 스탠스] 시 근접 액션에서 {눈}을 {약공격}으로 교체.)]
다목적 작업선 E28워트호그를 모함삼아 유적 전투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066시험평가중대 소속 루이사 보 바르디, 해머해드는 돌격 무기나 중화기를 휴대하며, 중대 내 화력 지원 또는 돌파를 담당하는 2소대 파일럿이다.

우와 마찬가지로 [RDL HEAVY METAL] 팩에 들어있는 엘리트 파일럿이며, 현 엘리트 파일럿 중에서는 가장 공격적인 패시브 [맹공격]을 지닌것이 특징이다. 이 패시브는 해머헤드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해머해드가 공격 스탠스 시 근접 무장을 사용할 때 노랑&빨강 주사위 면 중 번개에 적용되는 키워드인 [펄스 무기][펄스무기], [충격][충격], [붕괴][붕괴]가 있을시, 맹공격의 효과까지 반영되어 완전히 비어있는 주사위 면만 아니면 모두 대미지로 적용되는 근접에서는 가장 강력한 파워를 발휘하는게 특징이다.

다만, 맹공격은 {눈}을 {약공격} 1개로 바꾼다는 미묘한 옵션과 현재 옵시디언 프로토콜에서 공격 스탠스는 상대 유닛을 확실하게 부품을 터트리기 위해 사용되는 만큼, 방어 스탠스나 회피 스탠스와 달리 굉장히 취약한 순간이기에 사거리를 확보한 사격과 달리 해머헤드의 맹공격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높은 센스가 요구되고 있다.

여담으로 한국 유저들 사이에선 어딘가 아쉬운 패시브와 늘 제대로된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지만 내면의 기가해드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내 안의 기가헤드가 속삭이고 있다‥ "공 격 스 탠 스"

4.1.5. 05 앙세르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파일럿
, name=RDL 05 "앙세르", faction=RDL, Number=05, code=Anser, Time1=5, Time2=6, Time3=9, Time4=3, Time5=8, Time6=4, pt=15, pack=CAVALRY, link=4, ability=지치지 않는, 설명=파일럿이 탑승한 메카가 '구조 수치가 없는 섀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장갑이 파괴되어도 '구조 수치2'가 있는 것으로 간주함.)]
다목적 작업선 E28워트호그를 모함삼아 유적 전투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066시험평가중대 소속 커스틴 머컷, 앙세르는 주로 특수작전을 담당하며 정찰 및 게릴라 성향이 강한 3소대 파일럿이다.

[RDL CAVALRY] 팩에 들어있는 5번째 엘리트 파일럿으로 [지치지 않는]이라는 패시브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액션 타이밍이 대부분 느린것을 볼수 있지만 앙세르의 패시브는 심플하게 구조수치가 없는 섀시에 구조수치 2를 적용한다는 효과인데, 이것이 상당히 좋은 효과라 할 수 있다. RDL은 다른 팩션과 달리, 장갑섀시류를 제외하고는 구조가 달려있지 않은데 이런 섀시들에게 구조를 달아주는 효과인 것이다.

옵시디언 프로토콜에서 섀시가 파괴되면 공용 액션인 [기어가기/M]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기어가기는 1 그리드 이동에, 숏틱도 아니라 사실상 그 자리에서 움직이기 힘들다고 보면된다. 사실상 섀시에 파괴된 부품을 수리해주는 리페어팩이나 원래 구조가 달려있는 토르소와 마찬가지로 부품에 추가 목숨을 부여하는 것이고, 상대방 입장에서는 섀시를 두번 부숴야 하니 상당히 골치아픈 상황을 만들어내는 걸 볼 수 있다. 그야말로 정찰 및 게릴라전에 특화된 부대의 특징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4.1.6. 06 키홀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파일럿
, name=RDL 06 "키홀", faction=RDL, Number=06, code=Keyhole, Time1=2, Time2=6, Time3=4, Time4=6, Time5=6, Time6=7, pt=12, pack=CAVALRY, link=4, ability=증폭화, 설명=파일럿이 탑승한 메카의 오라/EA/ES 사거리 1 그리드 추가)]
다목적 작업선 E28워트호그를 모함삼아 유적 전투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066시험평가중대 소속 사본지 카즈요, 키홀은 주로 특수작전을 담당하며 정찰 및 게릴라 성향이 강한 3소대 파일럿이다.

[RDL CAVALRY] 팩에 들어있는 6번째 엘리트 파일럿으로 키홀과 마찬가지로 MAP에 영향을 주는 패시브인 [증폭화]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증폭화 능력은 [오라][오라]와 EA(전자공격) 그리고 ES[전자지원]의 사거리를 1 그리드 늘려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데, 해당 키워드를 갖는 부품으로는 RT-07T "듄" 전술 코어, RT-15/EC "오로라" ECM 코어, RT-15/S "님부스" 지원 코어, MUD/N-20 “에코즈” 서포팅 백팩가 있다. 즉 다른 지원용 부품들을 보다 넓은 거리에 적용하는 것이 키홀의 장점이다.

하지만 다른 오라로 적용되는 MES 비컨B3 비컨 계열의 경우 증폭화가 적용되지 않는 다는 점을 주의해야한다. 즉 키홀이 탑승한 메카라는 점을 명시하고 이를 활용해 보다 넓은 지역으로 광범위 하게 아군을 보조하거나, 님부스나 에코즈를 써 좀더 안정적인 위치에서 아군의 링크를 회복하거나 지원을 가하는 것이 기본적인 운용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순수하게 공격을 위해 사용하는 메테오해머 키홀이라는 세팅이 존재한다.
이 세팅은 듄의 유연한 타이밍을 이용하여 쾌속 2로 빠르게 적에게 메테오해머를 날리는 방식으로, 메테오해머의 사거리인 2그리드만 만족한다면 초반에 상대방에게 통쾌한 한방을 노려볼수도 있다.
4.1.6.1. 06 키홀(034 작전중대) (◆)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파일럿
, name=RDL 06 "키홀(034 작전중대)", faction=RDL, Number=06, code=Keyhole(034), Time1=2, Time2=6, Time3=4, Time4=6, Time5=6, Time6=7, pt=12, pack=Dune Start production, link=4, ability=동화 위장, 설명=파일럿이 탑승한 기체가 아군의 오라 범위 내 있을 경우 저피탐을 획득한다.)]
듄 개별킷에 포함되어있는 옵시디언프로토콜 최초의 이격 파일럿으로, 기존과 타이밍은 동일하지만 원래 키홀의 능력이었던 증폭화가 아닌, 장목어림(藏木於林)이라는 기존과 다른 능력을 가져온것이 특징이다.

사실 QUETI TECTONICS에서 의도한것은 아니지만 [Starter Set:RAID]에 포함될 1.0 룰북의 일부를 공개하는 과정에서 키홀의 이격에 해당되는 또 다른 다이얼 이미지가 유출되었다. 이미지의 번호로 보아 프로필 상 언급되는 [제7기갑연대 소속 034작전중대]에서 활동하던 당시의 모습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마를 깐 덕분인지 전신 슈트와 헬멧에 가려졌던 키홀의 미모가 튀어나왔다.

이격 파일럿은 기존 파일럿과 ID가 동일한 만큼, 중복 편성은 불가능하다.

4.2. 일반 파일럿

4.2.1. 09~13 쇼크 트루퍼

[ RDL 쇼크 트루퍼 ]
파일:RDL_09_ShockTroop.png 파일:OP_Swift.png 쾌속 6
파일:OP_Melee.png 근접 2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3
파일:OP_Firing.png 사격 7
파일:OP_Move.png 이동 4
파일:OP_Tactical.png 전술 4
[6pt]
입수처 : [RDL CORE & Heavymetal]
[ 다이얼 후면 ]
파일:RDL_09_ShockTroop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
-
파일:RDL_09_ShockTroop_profile.png


RDL의 가장 기초적인 파일럿들로, 설정상 066시험평가중대의 1소대와 2소대에 두명씩 소속되어 있다.
파일럿명의 뜻은 돌격병.

6pt라는 파일럿중 가장 저렴한 포인트와 코어와 헤비메탈에서 얻을 수 있는 만큼, 손쉽게 접할수 있으며 근접이 2, 발사가 3이라 밀리 혹은 발사에 맞춘 미사일 MAP의 파일럿으로 운용되기도 한다. 돌격병이라는 컨셉에 맞게 상당히 저돌적인 액션 타이밍인것을 볼수 있는데, 이러한 특징 덕분에 듄의 유연한 타이밍을 받는다면 다른 엘리트 파일럿들 못지 액션 진행할 수 있다는걸 체감하게 된다.

4.2.2. 14~17 스카우트

[ RDL 스카우트 ]
파일:RDL_14_Scout.png 파일:OP_Swift.png 쾌속 5
파일:OP_Melee.png 근접 6
파일:OP_Projectile.png 발사 7
파일:OP_Firing.png 사격 4
파일:OP_Move.png 이동 7
파일:OP_Tactical.png 전술 3
[9pt]
입수처 : [RDL CORE & CAVALRY]
[ 다이얼 후면 ]
파일:RDL_14_Scout_back.png
파일:OP_Link.png 보유 링크 4
[]
-
파일:RDL_14_Scout_profile.png


RDL의 가장 기초적인 파일럿들로, 설정상 066시험평가중대의 3소대에 2명, 4소대에 4명이 소속되어 있다.
파일럿명의 뜻은 정찰병.

9pt라는 쇼크 트루퍼보다 3포인트 더 비싸고 액션 타이밍들이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이러한 특징은 4소대에 특징을 살린것 같기도 하다. 설정상 4소대는 경력이 부족한 신생 소대로, 저강도 임무와 외부보안을 주로 담당하는데, 전투 임무를 위해 단독으로 파견되는 일이 거의 없는 만큼 이들은 전제조건 부터가 다른 소대가 진행중인 전투에 가세 혹은 지원하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역으로 이런 액션 타이밍들이 느리다는 것은 먼저 행동하는 상대와 달리 후반에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이용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4.3. 미출시 파일럿

4.3.1. ?? 말라드 (◆)

게지 중대 컨버전 킷에서 이미지가 공개된 엘리트 파일럿으로 추측되는 파일럿.
QUETI TECTONICS에서 공개한 바로는 한국계 파일럿으로 본명은 윤미업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동생으로 추측되는 다른 파일럿이 이미지만 공개되기도 했다.

4.3.2. ?? 미카 (◆)

히어로 유닛으로 예고된, 엘리트 파일럿의 상위 후환으로 추측되고 있는 파일럿으로 066 시험평가 중대의 전설적인 전대 리더이자 현 핑크 라이노서스 중대의 리더로 소개되고 있다.

미카가 사용하는 전용 MAP에 대한 스펙이나 외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개조된 두 개의 CC-90 글레이브와 RT-09 시리즈 코어의 뛰어난 성능을 극대화 하여 미사일을 맞고도 연기를 뚫고 적에게 돌진한다는 언급이 있다. 그 외에도 핑크 라이노서스 중대의 파일럿들이 운용하는 MAP 들은 중거리 및 근거리 교전에 특화되어있으며, 대원들의 토르소와 섀시에는 소형 유탄 발사기, 전투 단검 등 연맹의 일반 모델들에 비해 추가무장을 장착해 돌격 시 화력 밀도를 높힌다고 한다.
[1] RDL의 유닛들은 다양한 역할을 분담하여 전투에 임하는 것이기에, 다양한 연계를 선보일 수 있으며 로스터의 핵심 유닛이 대파된것이 아닌 이상 다른 팩션에 비해 후반부에도 그 힘을 유지하는 걸 볼 수 있다.[2] RDL의 유저들은 설정상 지휘관이라고 불린다.[3] 안타깝게도 이 유연한 타이밍을 제대로 사용하는 것은, 마치 체스를 두듯이 수많은 수싸움을 내다보고 행동해야 하는 것이기에 잘못 판단하면 오히려 유연한 타이밍이 유저의 발목을 붙잡는것을 볼수 있다. 특히 잘못 설정된 타이밍은 오히려 계획했던 모든 행동을 꼬이게 할 정도로 파급력이 큰 편이며,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게임 진행 중 플랜페이즈의 소모 시간이 가장 긴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 RDL 유저들은 머리가 유연해지다 못해 국수가락이 된다는 농담을 하곤 한다.
[4] 백팩을 제거 했을 때, 마이어 코어, 표준 섀시, AC-32 라이플, 55방패로 구성된 한 기의 소모 포인트는 99포인트. 거기에 더해 일반 파일럿으로 간주되는 두 종류의 파일럿들을 반영한다면 105pt(쇼크트루퍼)와 108pt(스카우트)로 구성할수 있기에 900포 전에선 각각 4기씩 운용해서 총 852pt로 충분히 8기까지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한기에서 두기를 줄여 특정 기체의 스펙을 높히는 방법도 있다.[5] MES 비컨과 마인 레이어는 탄약 제한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모델만 갖고 있다면 한턴마다 최소 3개 지면에 지뢰와 비컨을 뿌리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 공격과 방어를 담당하는 기체들의 스펙을 어느정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6] RDL의 최고 고코스트 기체로 구성한다면 312pt까지 가능하며 대부분 높은 성능의 파츠로 구성하면 280~250 사이가 나온다. 이 부분은 직접 체감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7] 단, 토너먼트 사용 불가는 본사 방침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오라] 이 액션은 오라 행동이며, '오라'의 효과 제한 또는 강화에 영향을 받는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이 액션이 아군을 조준하는 경우 이 유닛을 포함하여 사거리 내의 모든 유닛에 적용된다.
[유연한타이밍] 이 액션은 인접한 타이밍의 시작 액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유연함예시] 이 키워드가 있는 이동 액션은 사격/이동/전술 타이밍의 시작 액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부동] 이 액션 기회동안 이 유닛이 해당 액션을 수행하기 전에 이동하거나 방향을 바꾸지 않았다면, 이 특별 규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추가사격틱] 추가사격틱이 생긴 경우, 해당 액션 기회의 끝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격 액션을 수행할 때만 해당 액션 기회 때 사용했던 액션을 구행할 수 있다.[명중] 이 공격에서 {회피}로 상쇄되지 않은 피해가 발생하면 특수규칙의 효과가 적용된다. 단, 근접 액션의 경우 패링으로 완전히 방어에 성공할 경우 명중으로 간주하지 않는다.[넉백] 이 액션이 종료 시, 공격 방향을 따라 대상을 움직여 강제로 1칸을 이동시킨다.
이때 공격자는 이동하지 않는다.
[지정1W] 주사위풀에서 증강이 해결된 후 주사위를 굴릴 때, W주사위 1개 결과값을 원하는 결과로 지정할 수 있다.
*결과를 지정한 주사위는 굴리지 않으며, 재굴림도 불가하다.
[직사] 이 액션은 낙하지점이나 목표물에 대한 시야가 필요하다.[지정1W] 주사위풀에서 증강이 해결된 후 주사위를 굴릴 때, W주사위 1개 결과값을 원하는 결과로 지정할 수 있다.
*결과를 지정한 주사위는 굴리지 않으며, 재굴림도 불가하다.
[직사] 이 액션은 낙하지점이나 목표물에 대한 시야가 필요하다.[직사] [추가사격틱] [직사] [전자지원] 전자 지원: 이 행동은 아군 유닛을 대상으로 하여 ECM 주사위를 던질 필요 없이 자동으로 작동된다.[전자전노드1] : 사거리 내에 있는 아군은 ECN전자전이 메카의 ECM수치 +1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전자지원] [전자지원] [사각토큰] 해당 유닛의 디버프를 표시하는 토큰[전자지원] [직사] [기동] 회피 스탠스 시 2배 적용[기동] [기동] [기동] [기동] [기동] [기동] [양손] 이 액션을 수행할 때 비무장인 부품(프리핸드)을 선택하여 보조하면 이 특수 규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비무장] [include(틀:EMBER: Obsidian Protocol/쾌속, keyword=폐기(공용액션), 명시= | [S] | 비무장 카드가 존재하는 부품 카드 |)]- 무소음[무소음]
- '무장' 키워드가 있는 하나를 지정, 해당 부품 카드를 비무장 상태 카드로 전환합니다.
[양손] [산탄] 대상이 메카인 경우 연쇄 데미지가 대상의 다른 무작위 부품 1개에 적용된다.[근접사격] 락온 상태에서도 사격이 가능[비무장] [양손] [비무장] [양손] [저격] 저격 : 공격자가 대상으로 선언된 피격 부품지정한다.
*저격은 방패들기로 서로 상쇄가 가능하며 이 경우 지정이 취소되고 다시 부품 리롤로 넘어간다.
[비무장] [양손] [비무장] [부동] [제압] 제압 : 이 액션의 대상으로 선언된 메카는 즉시 방어 스탠스로 전환된다.
*셧다운 스탠스에 있는 유닛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비무장] [양손] [다중지정] 이 액션은 최대 키워드로 명시된 N개의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양손] [제압] [비무장] [양손] [부동] [비무장] [펄스무기] {번개}를 {강공격}으로 교체[펄스무기] [전방향사격] 전방 범위에 상관없이 사격이 가능하다.[부동] [비무장] [파열] 연쇄 데미지가 피격 부품의 구조에 적용된다.
*해당 부품이 파괴되거나 구조가 없을 경우 토르소가 지정된다.
[요격] 해당 부품 키워드에 명시된 n개만큼의 요격 토큰이 있다.[양손] [파열] [충격] 공격 주사위에 있는 {번개} 하나당 대상 링크 수치가 1 감소한다.
충격은 데미지를 주지 않으며 링크만 감소시킨다.
*충격 효과는 중첩될 수 있다.
[비무장] [요격] [요격] 해당 부품 키워드에 명시된 n개만큼의 요격 토큰이 있다.[양손] [파열] [펄스무기] [절단] 절단 : 연쇄 데미지가 대상의 다른 무작위 부품 1개 또는 액션 사거리 내의 다른 대상에게 적용된다.[비무장] [요격] [79] 둘 다 적용되는건 불가능 하니 상황에 맞게 선언하여 사용하도록 하자.[파열] [붕괴] 붕괴 : 번개 하나당 상대방의 링크 수치를 1씩 감소시키고, 1의 데미지를 입힌다.
(붕괴 대미지는 연쇄대미지가 적용되지 않는다. 파열 계산 시 주의할 것.)
[82] 2025년 상반기 기준 출시된 장비들 중 핸드핼드/프리핸드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 부품은 특수한 케이스인 토너먼트 트로피를 제외하면 메테오 해머가 유일하다.[근접사격] [산탄] [근접사격] [비무장] [산탄] [비무장] [충격] [직사] [산탄] [비무장] [직사] [충격] [명중] [넉백] [산탄] [비무장] [충격] [부동] [장갑관통] 이 공격의 대상은 굴림 전, 키워드로 명시된 하양 주사위 N개를 제거한다.[파열] [장갑관통] [비무장] [직사] [비무장] [일제발사] 해당 부품 키워드의 명시된 발사체를 최대 n개까지 발사하거나 설치하고, 같은 수의 탄약토큰을 소모한다.[곡사] 곡사 : 이 액션은 낙하 지점이나 목표물에 대한 시야가 필요하지 않는다.[충격] [펄스무기] [비무장] [충격] [요격] [펄스무기] [비무장] [요격] [충격] [펄스무기] [명중] [끌어당기기] 대상을 이 메카의 인접 그리드로 강제 이동시킨 뒤, 대상의 전방을 설정한다.
*끌어당기기는 비행이동으로 간주한다.
[무장해제] 피격 부품을 비무장 상태로 변경한다.[122] 이때 근접 액션은 틱에 상관하지 않고 발동 가능하기에, 패링에 성공한 기체가 지닌 근접 액션 중 하나를 자유롭게 고르면 된다.[123] 이를 활용해 헤라클레스와 연계하여 패링 후 강력한 한방을 꽂아넣는 전략을 사용해 볼 수 있다.[펄스무기] [전방향사격] 전방 범위에 상관없이 사격이 가능하다.[부동] [비무장] [파열] 연쇄 데미지가 피격 부품의 구조에 적용된다.
*해당 부품이 파괴되거나 구조가 없을 경우 토르소가 지정된다.
[직사] [무소음] [비무장] [충격] [산탄] [비무장] [충격] [명중] [넉백] [산탄] [비무장] [충격] [부동] [장갑관통] [양손] [충격] [비무장] [요격] [비무장] [요격] [요격] [요격] [투척] 이 액션을 수행하려면 비무장 부품을 지정해야 한다.[무소음] [곡사] [무소음] [투척] [직사] [무소음] [파열] [일제발사] [곡사] [일제발사] [곡사] [일제발사] [곡사] [하이라이트] 적 유닛이 공격 행동을 수행할 때, 선택 가능한 대상에 하이라이트 유닛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유닛을 공격해야 하며 다른 대상은 공격할 수 없다.[전자지원] [추가액션기회] 추가 액션 기회 : 추가 액션 기회가 생긴 경우, 기본 액션 기회를 얻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동 1틱, 액션 2틱을 얻어 액션을 수행한다.
*단, 이때 시작 액션은 추가 액션 기회를 주는 메카의 타이밍이 아닌, 지정 받아 액션하는 메카의 설정 타이밍에 맞게 액션해야 한다.
[공중이동] 이 액션은 비행으로 간주된다.[하이라이트] [유연한타이밍] [요격] [전방향사격] [근접사격] [일제발사] [곡사] [176] 하이에나 페인트 타입은 바예호의 일반적인 17ml 도료통을 올려놓을 수 있다.[저피탐] 해당 유닛이 저피탐 획득 시, 해당 유닛은 피격 시 방어/흰 주사위의 {눈}을 {회피}로 교체.[유연한타이밍] [장갑관통] [180] 물론 옵시디언 프로토콜은 다이스 게임인 만큼, 확정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닌 그럴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점을 명시해야한다.[펄스무기] [충격] [붕괴] [오라] [전자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