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11:02:31

EMBER: Obsidian Protocol/게임 규칙/병영 및 무기고/제품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EMBER: Obsidian Protocol/게임 규칙/병영 및 무기고|EMBER: Obsidian Protocol/게임 규칙/병영 및 무기고]]

파일:EMBER: Obsidian Protocol_logo.jpg
옵시디언 프로토콜 관련 정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 세계관 설정 ] ⠀
설정 문서
공식 연표 옵시디언 프로토콜 달도시 슬레이프니르 유적과 블랙박스
유닛 유형 공식 소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 게임 규칙 ] ⠀
게임 규칙
게임 소개 주요 개념 게임 진행
이동 규칙 전투 규칙 미션 및 시나리오
(메인미션&세컨더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 플레이어블 팩션 ] ⠀
【병영 및 무기고】
(옵시디언 프로토콜 제품 목록)
[ RDL ]
RDL 설정/RDL 부품
[ UN ]
UN 설정/UN 부품
[ GOF ]
GOF 설정/GOF 부품
[ PD ]
PD 설정/용병 부품
[ 로그 AI ]
로그 AI 설정 / 로그 AI 부품
}}}}}}
{{{#!folding ⠀ [ 게임 역사 및 이벤트 ] ⠀
게임 역사 및 이벤트
토너먼트 코드 42 }}}

1. 개요
1.1. 공통 TIP
2. 게임팩
2.1. 스타터 세트:습격 (◆)
3. 유닛팩
3.1. RDL
3.1.1. RDL CORE3.1.2. RDL HEVAYMETAL3.1.3. RDL CHARVLY3.1.4. RDL Conversion Kit(LAB)3.1.5. RDL Prototype Volcano MKII(LAB◆)3.1.6. RDL-Dune Start production(◆)
3.2. UN
3.2.1. UN CORE3.2.2. UN doorbreaker3.2.3. UN Scalpel3.2.4. UN Ocotopus Trial Model (LAB)3.2.5. UN-Taurus Start production (◆)
3.3. GOF (◆)
3.3.1. GOF CORE3.3.2. GOF HUNTER3.3.3. GOF JUSTICE
3.4. PD
3.4.1. MD-4A Reaper Type I (LAB)3.4.2. MD-4B Reaper Type II (LAB)3.4.3. MD-4E Reaper Engineer Type (LAB)3.4.4. Crysis (LAB◆)
3.5. 콜라보 제품군
3.5.1. White Dwarfs (◆)3.5.2. 바예호 콜라보 1 & 2 세트 (◆)
4. 게임 악세서리
4.1. 옵시디언 프로토콜 게임용 다이스4.2. 옵시디언 프로토콜 게임용 900x900 매트4.3. 옵시디언 프로토콜 게임용 1200 매트
5. 기타 제품
5.1. 옵시디언 프로토콜 모형 공구 세트5.2. 옵시디언 프로토콜 한글 카드 팩 (◆)
6. 기타

1. 개요

QUETI TECTONICS에서 발매한 EMBER: Obsidian Protocol과 관련된 제품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다.
옵시디언 프로토콜은 모델들이 조립 가능한 플라스틱 제품과 분할 부품들이 레진으로 사출되는 LABORATORY(LAB) 제품군으로 나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한국 공식 총판 라쿤펀치 스마트스토어에서 실 제품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다.[1]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라쿤펀치와 협업을 맺고있는 산이공방다이스홀드에서 구매할수 있으나 방문 사전에 미리 원하는 제품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모든 제품은 2mm, 4mm, 5mm의 네오디뮴 자석을 지원하고 넉넉한 인심으로 충분한 자석이 동봉되어 있으며 전용 N/S극 자석 바가 들어 있으니 조립 시에는 설명서를 잘 확인하고 넣는 것을 추천한다.
현재 미발매된 출시 예정 팩은 ◆ 표시.
레진에 해당하는 제품들은 (LAB) 표시.

1.1. 공통 TIP

  • 구매
    우선 마음이 가는 팩션을 고르고 마음이 가는 부품이 포함된 유닛팩을 코어팩과 함께 구매하는걸 추천하고 있다. 코어팩+@ 형식으로 함께 구매하는걸 추천하는 이유는 DLC[2]에 해당하는 전문화 유닛팩들의 경우 단일 팩으로는 900포 풀 게임을 즐기긴 좀 어렵거나 사용할수 있는 로스터가 극단적이게 되기 때문이다.[3]

    물론 코어팩을 제외한 나머지 2가지 팩을 구매하는 것 또한 나쁘지 않다. 코어팩은 가장 기초적이자 핵심으로서 여기는 것들이 들어있지만, 전문화 유닛팩들은 코어와는 차별화된 부분이 강점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2개를 구매해야 가장 기본적인 900 포인트전을 즐길수 있기 때문이다. 포인트를 어느정도 채우지 않아도 문제가 되진 않지만, 게임을 하는데 있어 남은 포인트는 아쉬움을 만들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국내 입문회의 경우 400포 개인전으로 입문회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 포인트에 맞춘 2025년 여름에 발매 예정인 2인 스타터 세트가 출시된다면 이를 구매해 먼저 즐기는 것도 괜찮다.[4]
  • 조립에 앞서
    우선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제품들은 대다수가 플라스틱이기에 프라모델을 만든다는 느낌으로 접근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5]

    기본적으로 필요한것은 니퍼와 순간접착제순접, 무수지만 있으면 충분하지만 자신의 모델을 더욱 멋지고 깔끔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좀더 다듬기 위한 다양한 사포와 자잘한 틈을 매꾸기 위한 퍼티, 아트나이프같은 프라모델용 공구, 그리고 도색을 위한 서페이서나 프라이머 그리고 다양한 도료를 권장한다.

    도색의 경우 딱히 정해진 팩션의 색상이 아니어도 자신의 마음대로 칠하는 것이 문제되지 않으며[6], 제품 구매시 확인할수 있는 박스 아트와 스프루들과 함께 동봉된 조색표[7] 에는 각 팩션키트마다 정해진 정규 부대 컬러를 바예호 코드로 예시를 보여주기 때문에 도료 선정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미니어처 게임을 하는 이들이 대다수 동일하게 겪는 일이지만, 기본적으로 그레이 베이스의 모델들이기에 도색을 할텐데 이건 어디까지나 개인의 만족을 위한 영역일 뿐 플레이 하는데 지장은 없다.[8]
  • 조립에 관하여
    • 접착제의 용도
      옵시디언 프로토콜은 다른 건담의 프라모델과 달리 밀리터리 모델처럼 접착제가 필요하다. 이에 필요한 접착제는 무수지와 순접 두가지로 나뉘는데, 무수지는 대부분 부품의 결합에 사용되며 순접은 자석을 집어넣을때 주로 사용된다. [9]
    • 설명서
      옵시디언 프로토콜은 프라모델처럼 설명서가 있으며 모든 부품의 정확하고 올바른 형태와 갯수, 자석의 넣는 방향을 확인할수 있다. 우선 설명서 첫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한 스프루 목록을 보며 제대로 있는지 확인 후, 조립을 시작하면 된다.

      특히 설명서에서 잘 확인하고 몇번 더 보는것이 중요한 부분은 바로 자석을 넣는 방향이다.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모든 부품은 자석을 지원하며 각 파츠를 때고 붙이는 것이 가능한데, 자석을 잘못 넣을시 파츠의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10]
    • 백팩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백팩들은 2mm 자석을 지원하며, 이 2mm 자석을 집어넣는 전용 홈이 존재한다. 다만 이 2mm 홈들는 굉장히 빡빡하기 두가지 방법을 추천하고 있다.

      첫번째로는 무수지 접착제 사용해 살살 집어넣는 것이다. 이 경우 핀바이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자석의 극 방향을 잘못 넣었을때 안쪽을 후벼파는 대공사를 치뤄야하기도 한다.

      두번째로는 2mm에 해당하는 핀바이스로 구멍을 넓혀주는 방법이다. 이 경우 핀바이스를 살살 돌려가며 구멍을 파주는것이 좋은데, 너무 파면 부품을 뚫어버리기도 하고 크기가 작은 옵시 모델은 잘못하면 파손의 위험도 생길수 있다.

      물론 안쪽이 파손되거니 구멍이 완전히 뚫리는건 문제가 되지 않으며 백팩은 자석위 위치한 등쪽 부품과 외부를 덮어주는 부품으로 나뉘어지니 안심하고 작업하도록 하자.
  • 베이싱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베이싱은 베이스를 넘어가지만 않는다면 자유롭게 제작해도 상관없다. 75x75 사이즈의 기본 베이스는 중심을 차지하고 섀시와 연결할수 있는 홈이 존재하는 원형판과 원형판을 회전시켜 끼워넣을 수 있는, 사각판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베이싱을 간단히라도 해보고 싶다면 코르크나 젤스톤을 사용해보는걸 추천하고 있다.

    다만 MAP의 포징을 고정하지 않고 기동을 유지하고 싶다면 섀시 발바닥에 2mm 홈을 핀바이스로 뚫어 자석을 넣고, 동일하게 베이스에도 자석을 두어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물론 보다 안전한 운반을 위해서는 포즈가 고정된 상태로 집어넣는것이 좋다.

    굳이 베이싱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포징을 하고 베이스에 기체를 올려두고자 한다면 블루텍 혹은 순접으로 고정하는걸 추천하고 있다. 만약 베이스에서 때어냈다 붙일거면 블루텍을, 완전히 고정 시킬거면 순접을 사용하면 된다.

이 외에도 산이공방에서 75x75에 해당하는 옵시디언 프로토콜 월면 베이스를 판매중이다. 구매를 고려한다면 사전에 연락해서 재고가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자.

2. 게임팩

2.1. 스타터 세트:습격 (◆)

파일:OP_starter_Set-Raid
<colbgcolor=#808080> 팩션 RDL & UN
《 066시험평가중대 》
《303전투중대 "커세어"》
가격 공식가격 - $???
국내가격 - ???
링크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 & 한글(국내 정발 예정)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OP_starter_Set-Raid.png
- [토르소]
RTX-06SR "마이어SR" 전투 코어 × 1
RT-07T "듄" 지휘 코어 × 1
TM31Q "와일드캣" 전투 코어
RDL 공용 프레임 × 2
UN 공용 프레임 × 1

- [섀시]
RL-06 표준 섀시 x1
RL-08C 장갑 섀시 × 1
LM231 표준 섀시 × 1

- [오른팔]
PC6 샷건 × 1
R-20 숄더 마운티드 레일건 × 1
R7K 택티컬 라이플 × 1

- [왼팔]
CC-7 클리버 × 1
R-20 숄더 마운티드 레일건 × 1
S9 "메테오 실드 + IGX106 이온 샷건 × 1

- [백팩]
ECS-3 익스터널 쿨러 × 1
AMS-190 액티브디펜스 시스템 × 1
JP5 모빌리티 인헨스먼트 팩 × 1

- [드론]
ADK15P "포큐파인" 이온 타입 × 1
ADK30 "타란튤라" × 1
ADK60 "레이븐" × 1

- [탄약]
불명

- [파일럿(다이얼, ID토큰)]
불명

- [토큰]
불명

- [카드]
불명

- [기타]{{{#!wiki style="text-align: left"
카드 트레이 × 3
설명서
옵시디언 프로토콜 1.0 공식 룰북
데칼 × 1 }}}
2025년 여름 발매를 목표로 한 스타터 세트, 세트팩의 이름은 습격으로 현 연표의 가장 끝자락에 해당되는 메인 스트림의 스타트에 해당된다고 한다.

RDL과 UN 두개의 팩션을 즐길수 있으며 각각 400pt로 구성되는 유닛과 드론이 포함되어 있으며 기존 CORE를 비롯한 두가지 확장팩에서 얻지 못하는 새로운 신규 부품들이 추가되었다.

또한 한글화 된 룰북이 함께 들어있을 예정으로,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입문자들에게 추천하기 좋은 제품이자, 기존 유저들에게는 아미 확장을 위해 고려해볼법한 게임 세트팩 다운 구성이 돋보인다.

3. 유닛팩

3.1. RDL

3.1.1. RDL CORE

파일:RDL_CORE.webp
<colbgcolor=#808080> 팩션 RDL
《 066시험평가중대 》
가격 공식가격 - $72.90 USD
국내가격 - 122,69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국내 정발)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RDL_CORE_제품사진.png
- [토르소]{{{#!wiki style="text-align: left"
RT-06 "마이어" 전투 코어 × 4
RT-07T "듄" 지휘 코어 × 1
RDL 공용 프레임 × 5}}}
- [섀시]{{{#!wiki style="text-align: left"
RL-06 표준 섀시 × 3
RL-08 장갑 섀시 × 1
표준 섀시&장갑 섀시 × 1선택조립}}}
- [오른팔]{{{#!wiki style="text-align: left"
AC-32 오토매틱 라이플 × 4
AC-150 HMG × 2
CC-4 클리버 × 2
R-20 숄더 마운티드 레일건 × 1}}}
- [왼팔]{{{#!wiki style="text-align: left"
타입 55 실드 + CC-6 클리버 × 4
ML-32 듀얼 런처 + CC-3 전투 대거 × 2
R-20 숄더 마운티드 레일건 × 1
타입 77 불워크 × 2}}}
- [백팩]{{{#!wiki style="text-align: left"
SH-15 필드 리페어 시스템 × 4
ECS-2 익스터널 쿨러 × 1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 × 1
ML-34 쿼드 미사일 랙}}}
- [드론]{{{#!wiki style="text-align: left"
DTG-30 하이에나(L320MG & ML-34 & EW Radar) × 2}}}
- [탄약]{{{#!wiki style="text-align: left"
MC-3 "레이저" 미사일 × 6 }}}
- [파일럿(다이얼, ID토큰)]{{{#!wiki style="text-align: left"
01 미스티 × 1
02 스파이크 × 1
쇼크트루퍼 x3 (09 & 10 & 11)
스카우트 × 2 (14 & 15)}}}
- [토큰]{{{#!wiki style="text-align: left"
탄약 토큰 × 15
충전 토큰 × 5
요격 토큰 × 5
포인트 토큰 × 5
스탠스 토큰 × 15
드론 번호 토큰 × 6
데미지 토큰 × 10
수리 토큰 × 5
하이라이트 토큰 × 6
사격 통제 토큰 × 2
취약 토큰 × 2
이동 불가 토큰 × 2
기술 방해 토큰 × 2
투사체 토큰 × 1
미션 포인트 토큰 × 3
이니셔티브 마커 × 1}}}
- [카드]
부품 카드 × 53
드론 카드 × 3
탄약 카드 × 1
파일럿 카드 × 7

- [기타]
카드 트레이 × 5
설명서
데칼 × 1

RDL 입문자들에게 많은 추천을 하는 코어팩.
최대 5기의 기체를 제작 가능한 53개의 각 부분 파츠, 2개의 드론, 2명의 엘리트 파일럿과 5명의 파일럿이 동봉되어 있다.

코어라는 이름에 걸맞게, 코어만으로도 플레이 가능한 900포 게임, 그리고 싼값의 포인트로 구성되어 있는 부품들이 특징이며, RDL의 핵심이라 할수 있는 [유연한 타이밍]을 지원하는 RT-07T "듄" 지휘코어를 얻을수 있다.
  • 주의사항 및 Tip
최초로 발매된 팩인만큼 후일에 나온 팩들에 비해 난해하고 아쉬운 조림감이 특징이다. 특히 기본적인 토르소에 해당하는 마이어의 경우 옆장갑에 해당하는 부분이 프레임에 걸리고, 이를 힘으로 우겨넣으려하면 부러지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장갑을 끼워넣는 팔 연결부 프레임 양 옆을 사포로 갈아주거나 장갑을 상하로 나누듯이 짤라 순접 혹은 무수지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추천되고 있다.해당 TIP 링크

RT-07T "듄" 지휘 코어의 경우 4개의 레이더 패널을 확인할수 있는데, 이 4개의 패널은 가동을 지원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 홈에 끼워보면 우수수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왠만하면 접착을 권고하고 있으며 그럼에도 가동성을 살리고자 한다면 홈 외부에 레이더가 빠져나가지 않을 일종의 장갑을 덧붙여주거나, 아니면 홈 주변에 순접을 살짝 발라 꽉 맞게 만들어 주면된다.

그 외에 허리 부분에 들어가는 소형 레이더의 경우 잘 떨어지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고정하는데 신경을 많이 써야한다.

섀시의 경우는 표준 섀시 4개를 만드는걸 추천하고 있다.
특히 장갑 섀시의 경우 후술될 HEAVYMETAL에서 3개를 입수할수 있는데, 헤비메탈에는 장갑 섀시가 2개뿐이기에 RDL의 여분 섀시 파츠를 사용하면 4 표준 섀시와 4 장갑 섀시를 얻을수 있다.

그 외 컨버전 대응 파츠에 관해서는 후술될 컨버전 킷 란을 확인하면 됩니다.

3.1.2. RDL HEVAYMETAL

파일:RDL_HEVAYMETAL.png
<colbgcolor=#808080> 팩션 RDL
《 066시험평가중대 》
가격 공식가격 - $45.50 USD
국내가격 - 76,60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국내 정발)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RDL_HEVAYMETAL_제품사진.png
- [토르소]{{{#!wiki style="text-align: left"
RT-08 "템페스트" 포격 코어 × 1
RT-09A "볼케이노" 장갑 코어 × 2
RDL 공용 프레임 × 3}}}
- [섀시]{{{#!wiki style="text-align: left"
RL-08 장갑 섀시 × 2
}}}
- [오른팔]{{{#!wiki style="text-align: left"
R-35 헤비 레일건 × 1
타입55 실드 + PC9 샷건[R] or 타입55 실드 + 연막탄 + PC9 샷건선택 조립 × 1
L320 SMMG + CC-90 글레이브 × 2
CC-100 "헤라클레스" 메테오 해머 × 1}}}
- [왼팔]{{{#!wiki style="text-align: left"
타입55 실드 + L320 SMMG + CC-6 클리버 × 1
타입79 컴뱃 실드 × 1
타입55 실드 + PC9 샷건[L] × 1
FCC-12 "빅 핸드" 그래플러 × 1}}}
- [백팩]{{{#!wiki style="text-align: left"
MUD-1 "먹" ECM 백팩 × 1
GLP-15 마인 레이어 × 1
CP-3 비컨 백팩 × 1}}}
- [드론]{{{#!wiki style="text-align: left"
DTG-30 하이에나(L320MG & ML-34 & EW Radar) × 1}}}
- [탄약] {{{#!wiki style="text-align: left"
MC-3 "레이저" 미사일 × 3
B3/1 링크 비컨 × 1
B3/2 디코이 비컨
B3/3 전굴 비컨 GM-35 × 1
대장갑 지뢰 × 5}}}
- [파일럿(다이얼, ID토큰)]{{{#!wiki style="text-align: left"
03 우 × 1
04 해머해드 × 1
쇼크트루퍼 x2 (12 & 13)}}}
- [토큰]{{{#!wiki style="text-align: left"
탄약 토큰 × 10
요격 토큰 × 5
포인트 토큰 × 5
스탠스 토큰 × 15
드론 번호 토큰 × 6
데미지 토큰 × 10
수리 토큰 × 5
하이라이트 토큰 × 6
사격 통제 토큰 × 2
취약 토큰 × 2
이동 불가 토큰 × 4
기술 방해 토큰 × 1
투사체 토큰 × 2
미션 포인트 토큰 × 3
이니셔티브 마커 × 1}}}
- [카드]
부품 카드 × 30
드론 카드 × 3
탄약 카드 × 5
파일럿 카드 × 4

- [기타]
카드 트레이 × 2
설명서
데칼 × 1

강렬한 화력과 뛰어난 생존력을 담당하는 RDL의 확장팩.
최대 2기의 고성능 기체를 제작할수 있는 30개의 부품, 한개의 드론 2명의 엘리트 파일럿과 2명의 쇼크트루퍼를 동봉되어 있다.

헤비메탈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중장갑과 고화력을 담당하는 장포신 고화력 레일건이라던가 근거리 샷건, RDL최강의 근접무기인 헤라클레스와 성능이 뛰어난 글레이브와 같이 공격과 방어면에 특화된 고 포인트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 주의사항 및 TIP
최대 3기의 map을 운용할수 있을것 같지만 실질적인 다리 장갑이 2개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헤비메탈팩은 2기의 기체만 운용할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 코어팩에 있는 여분의 다리를 하나더 조립할수 있기 때문에 코어와 헤비메탈을 구매하면 표준 섀시 4개와 장갑 섀시 4개를 조립하는게 가능하다.

오른팔에 해당하는 PC9 샷건은 두종류가 존재하는데 기존 55방패 버전와 여기에 연막탄이 추가된 버전이다. 둘중 하나만 만들수 있는 만큼, 만약 전 종류의 샷건을 만들고자 한다면 연막을 다는 부분인 어깨 외부 장갑에 자석을 해줘야 한다.어깨 예시

CC90 글레이브는 검날, CC100 헤라클레스는 연결부와 손파츠가 두가지 선택지가 있다. 글레이브는 네모난 검날과 각진 검날이 있으며 어떤걸 끼든 상관이 없기에 자유로히 조립해주면 된다.

다만 헤라클래스는 직선과 휘두르는 형식의 연결부가 존재하는데, 이 연결부의 선이 굉장히 얇고 취약하다. 니퍼로 잘라낼 때 연결부가 잘리면 안되며, 조립시에는 들어가지 않는다고 억디로 넣다간 부러지니 각별히 주의하는것이 좋다.

3.1.3. RDL CHARVLY

파일:RDL_CHARVLY.png
<colbgcolor=#808080> 팩션 RDL
《 066시험평가중대 》
가격 공식가격 - $54.50 USD
국내가격 - 96,00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국내 정발)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RDL_CHARVLY(제품이미지).webp
- [토르소]
RT-15B "라바" 돌격 코어 &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 × 3선택 조립
RT-15/EC "오로라" ECM 코어 × 1
RDL 공용 프레임 × 3

- [섀시]
RL-03D "스위프트 스티드" 고기동 섀시 × 3

- [오른팔]
AC-39 택티컬 라이플 × 2
AC-161 SMG × 2
63식 Arm MG + CC-20 세이버 × 2

- [왼팔]
G/AC-6 로켓 런처 × 2
62식 버클러+CC-20 세이버 × 2
타입55 실드+MES 비컨 런처 × 2

- [백팩]
MUE/N-20 "에코즈" 서포팅 백팩 × 1
ML-92 듀얼 미사일 랙 × 1
TB-600 제트팩 × 1

- [드론]
DTG-30 하이에나(L320MG & ML-34 & EW Radar) × 1

- [탄약]
MC-3 "레이저" 미사일 × 3
MR-9 "팔콘" 미사일 × 4
MES 비컨 × 4

- [파일럿(다이얼, ID토큰)]
05 앙세르 × 1
06 키홀 × 1
스카우트 x2 (16 & 17 & 18)

- [토큰]
탄약 토큰 × 20
요격 토큰 × 5
충전 토큰 × 5
포인트 토큰 × 5
스탠스 토큰 × 15
드론 번호 토큰 × 6
데미지 토큰 × 10
수리 토큰 × 5
하이라이트 토큰 × 6
사격 통제 토큰 × 2
취약 토큰 × 2
이동 불가 토큰 × 4
기술 방해 토큰 × 1
투사체 토큰 × 2
미션 포인트 토큰 × 3
이니셔티브 마커 × 1

- [카드]
부품 카드 × 31
드론 카드 × 3
탄약 카드 × 5
파일럿 카드 × 5

- [기타]{{{#!wiki style="text-align: left"
카드 트레이 × 3
설명서
데칼 × 1 }}}

높은 기동성과 다재다능한 유틸성을 담당하는 RDL의 확장팩.
최대 3기의 고성능 기체를 제작할수 있는 31개의 부품, 한개의 드론 2명의 엘리트 파일럿과 3명의 스카우트를 동봉되어 있다.

카발리라는 이름에 걸맞게 기동성이 뛰어난 고기동 섀시를 제작할 수 있으며, 근접과 사격 그리고 전자전 지원에 특화된 전문화 토르소들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기존 RDL 무장들에 비해 숏틱으로 구성되어 있는 편으로 유저에게 보다 더 많은 전략적 선택지를 고려할 수 있는 뛰어난 확장성을 지원한다.
  • 주의사항 및 Tip
RT-15B "라바" 돌격 코어 & RT-15C "글레이셔" 돌격 코어는 선택 조립으로 되어있다.
라바는 뿔이 나 있는 것을, 글레이셔는 뿔이 없는 쪽이니 조립 시 이 부분을 잘 보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라바 글레이셔 스프루는 스위프트 고기동 섀시와 연결되있기 때문에 토르소 할당 부품이 하나 남게 된다. 이 토르소 부품은 여분의 공용 프레임이 있으면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으며 컨버전 킷의 아발란체 사용을 염두에 두면 좋다.

RL-03D "스위프트 스티드" 고기동 섀시는 조립 시 떼어내고 다듬어야 할 부분이 많다. 특히 중간 관절에 해당하는 역관절 다리에는 다리 관절과 이어지는 내부에 핀이 솟아나 있으며 이 부분을 제거해야만 관절을 끼워넣을 수 있으니 이 점을 주의해야한다.
거기에 더해 기존 다리와 달리 하단 발목과 다리를 연결 시켜주는 슬라이드 부품이 존재하는데 이 연결부의 내구도가 상당히 처참하며, 발목에 해당되는 부품은 툭하면 부러지는 것을 볼수 있다. 가동성을 고려하더라도 고기동 섀시는 왠만하면 포징을 고정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11]

AC-39 택티컬 라이플은 탄창 교체를 지원하도록 분할이 되어 있다. 이 부분은 고정을 해도 좋고 고정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 충분히 부품간의 결합으로 떨어지지 않으니 자유로히 구상하도록 하자.

ML-92 듀얼 미사일 랙은 가동을 지원하는 듯 보이지만 미사일 런처와 백팩 연결을 해주는 작은 핀의 접지력이 절망적이기에 포징을 고정하는 걸 추천하고 있다. 다만 미사일랙의 가동성을 챙겨주고자 한다면 자석질을 해줘야 한다. 또한 ML-92에 사용되는 팔콘 미사일은 2개가 아닌 총 4개로, 2개가 남게 된다. 킷배싱에 사용하거나 고고도 베이스와 접착시켜 자유롭게 써먹도록 하자.

TB-600 제트팩은 백팩 중간에 연료통을 집어넣고 그 위에 가드라인에 해당되는 부품을 넣는 식이다. 만약 부분 도색을 하고자 한다면 연료통을 먼저 접착시키고 위에 가드라인을 집어넣어주면 된다.

3.1.4. RDL Conversion Kit(LAB)

파일:RDL_Conversion_Kit.webp
<colbgcolor=#808080> 팩션 RDL
《 워치 타워 디펜스 - 게지 중대 》
《 256 말라드 중대 》
가격 공식가격 - $??? USD
국내가격 - 68,99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국내 정발)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RDL_Conversion_Kit_제품사진.png
- [토르소]{{{#!wiki style="text-align: left"
RT-06E "마이어E" 전투 코어 × 2
RT-15/S "님부스" 지원 코어 × 1
RT-16B "아발란체" 돌격 코어 × 1}}}
- [섀시]{{{#!wiki style="text-align: left"
RL-06M 표준 섀시 × 1
RL-06MS 보조 섀시 × 1}}}
- [오른팔]{{{#!wiki style="text-align: left"
AC-32C 오토매틱 라이플 × 1
AC-35 스나이퍼 라이플 × 1
AH-21 피스톨 + CC-50 파일드라이버 × 1
55타입 + PC9K 샷건 × 1}}}
- [왼팔]{{{#!wiki style="text-align: left"
타입55 실드 × 2
AH-21 피스톨 + CC-50 파일드라이버 × 1
55타입 + PC9K 샷건 × 1}}}
- [백팩]{{{#!wiki style="text-align: left"
CP-4 드론 백팩 × 1
HD-2 데이터 팩 × 1
ML-94 쿼드 미사일 랙 × 2
}}}
- [탄약]{{{#!wiki style="text-align: left"
MD-1 "잠자리" 초소형 정찰기 × 2
MR-10 "캐스트렐" 미사일 × 8 }}}
- [카드]
부품 카드 × 24
탄약 카드 × 3

- [기타]
RT-06E "마이어E" 스나이퍼 타입 설명서
RT-06E "마이어E" 스탠다드 타입 설명서
RT-15/S "님부스" 설명서
RT-16B "아발란체" 설명서
RDL 소속의 게지 중대의 MAP들을 사용할수 있는 LAB 확장팩.
다른 유닛팩과 달리 파일럿이 없으며 이미지만 공개된 말라드의 일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최초로 나온 LAB 확장팩이기도 한데, 이러한 점 때문에 각 유닛팩에서 입수할 수 있는 부품들과 부분 파츠를 교환하는 식으로 조립해야 한다. 그래도 레진 제품이라 다른 플라스틱 제품에선 볼 수 없는 훌륭한 퀄리티를 자랑한다.

2025년 4월 16일 기준 EMBER: Obsidian Protocol AE.066 Progress Report!를 기준으로 기존 예정되어 있던 UN킷이 개별 프라모델 킷으로 발매를 예고한 만큼 본 제품인 게지중대 말라드 컨버전 킷또한 프라모델 발매의 가능성이 생겼다. 또한 해당 컨버전 킷은 추후 단종될 수 있다.
  • 주의 사항 및 Tip
파일:옵시디언_컨버전킷_필요부품.jpg
컨버전 킷은 기존 부품과 호환되는 파츠들이 요구되며 백팩을 제외한 토르소, 섀시, 오른팔&왼팔이 이에 해당된다.
컨버전 킷의 구매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아래와 같은 파츠들은 미조립 상태로 두는 것이 좋다.
[대응 파츠]
* CORE
RT-06 "마이어" 전투 코어 × 2
RL-06 표준 섀시 × 2
AC-32 오토매틱 라이플[R] × 2
55타입+CC-6 클리버[L] × 2
* HEAVYMETAL
CC-100 "헤라클레스" 메테오 해머 × 1
FCC-12 "빅 핸드" 그래플러 × 1
타입55 실드 + PC9 샷건[R] × 1
타입55 실드 + PC9 샷건[L] × 1
* CAVALRY
RT-15B "라바" 돌격 코어 × 1
RT-15/EC "오로라" ECM 코어 × 1

CC-100 "헤라클레스" 메테오 해머과 FCC-12 "빅 핸드" 그래플러은 파일 벙커로 바꾸기 위해서 자석질을 하는 방법이 있다.

RT-15B "라바" 돌격 코어는 아발란체의 흉부 장갑을, RT-15/EC "오로라" ECM 코어는 님부스의 머리만 교체하는 식이기에 이를 이용하여 자석질을 해두면 교체가 용이해진다. 또한 아발란체의 경우 전면에 위치한 양 옆에 홈이 막혀 있기 때문에, 프레임의 핀을 잘라줘야 하기도 한다. 이는 직접 제품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3.1.5. RDL Prototype Volcano MKII(LAB◆)

3.1.6. RDL-Dune Start production(◆)

파일:AE.066_Dune034.png

2025년 4월 16일, QUETI TECTONICS에서 공개한 공식 방송영상인 [엠버: 옵시디언 프로토콜 AE.066 진행 상황 보고!][12]에서 공개된 RDL의 개별 키트로, 제7기갑작전연대소속 034작전중대 소속 엘리트 파일럿 키홀이격 다이얼과 함께 RT-07T "듄" 전술 코어을 기반으로한 단일 MAP 플라스틱 유닉팩이다.

제품 구성은 RT-07T "듄" 전술 코어, ECS-2 익스터널 쿨러, AMS-190 액티브 디펜스 시스템, AC-150 HMG, CC-4 클리버, 타입77 불워크 그리고 기존과 다른 034 중대의 이격 키홀과 키홀을 위한 06 전용 데칼이 포함되어 있다. 이격 키홀의 존재는 사전에 공개된 1.0 룰북이 풀렸을 때 그 모습을 드러냈지만, 단순한 스킨인지 아니면 완전히 다른 파일럿인지 알수 없었으나 해당 킷을 통해 앞으로 나올 이격 파일럿들은 기존과 타이밍은 동일하되 보유한 능력이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QUETI TECTONICS에서 목표로한 발매일은 2025년 7월이다.

사실상 구상만 보면 CORE와 다를바 없으며, 스타터 세트에도 듄이 포함된 만큼 RDL의 유닛팩 중 단일 조립 가능한 토르소 치고, 전 유닛팩 구매시 3개나 만들어야 하는 다소 기묘한 기록을 달성하게 되었다. 몇몇 유저들은 듄이 아닌 신규 토르소 혹은 컨버전 키트의 플라화를 기대했었다.

3.2. UN

3.2.1. UN CORE

파일:UN_CORE.jpg
<colbgcolor=#808080> 팩션 UN
《303전투중대 "커세어"》
가격 공식가격 - $???
국내가격 - 122,690원
링크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국내 정발) & 영문(6월달 발매 예정)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UN_CORE_제품이미지.jpg
- [토르소]{{{#!wiki style="text-align: left"
TM31C "그레이울프" 전투 코어 × 2
TM31R "카라칼" 전투 코어 × 2}}}
- [섀시]{{{#!wiki style="text-align: left"
LM231 표준 섀시 × 4}}}
- [오른팔]{{{#!wiki style="text-align: left"
R7 오토매틱 라이플 × 2
R33 스나이퍼 라이플 × 2
R6 SMG × 2
RH21 피스톨 + M3 바이브로블레이드 × 2
S100 실드 + R6SS SMG × 1}}}
- [왼팔]{{{#!wiki style="text-align: left"'
S9 "메테오" 실드 + M5 파일벙커 × 3
S100 실드 + 유탄 포드 & S100 실드 × 2선택 조립
RH21 피스톨 + M3 바이브로블레이드 × 2}}}
- [백팩]{{{#!wiki style="text-align: left"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 × 2
GSD2A "폴커스" 마인 랙 × 2
CSC60 쿨러 × 3}}}
- [드론]{{{#!wiki style="text-align: left"'
SGM2 "폴커스 자동 지뢰(전개) × 6
ADK30C/F "타란튤라" × 2
ADK60R/EC/S "레이븐" × 2선택조립}}}
- [탄약]{{{#!wiki style="text-align: left"'
SGM2 "폴커스 자동 지뢰 × 6
M9 섬광탄 × 3 }}}
- [파일럿(다이얼, ID토큰)]{{{#!wiki style="text-align: left"
19 쿼츠 × 1
20 판저 × 1
라이플맨(27 & 28) × 2
차저(31 & 32) × 2}}}
- [기타]
카드 트레이 × 4
설명서
데칼 × 1

3.2.2. UN doorbreaker

파일:UN_doorbreaker.jpg
<colbgcolor=#808080> 팩션 UN
《303전투중대 "커세어"》
가격 공식가격 - $???
국내가격 - 84,000원
링크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국내 정발) & 영문(6월달 발매 예정)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UN_doorbreaker_제품이미지.jpg
- [토르소]{{{#!wiki style="text-align: left"
TM35B "바이슨" 돌격 코어 × 1
TM35N "엘리게이터" 전자전 코어 × 1}}}
- [섀시]{{{#!wiki style="text-align: left"
LM213B 격투 섀시 × 2}}}
- [오른팔]
M15BO "카타나 × 1
G6 샷건 + M5 파일벙커 × 2
M15BO "카타나"&IGX350 이온 샷건 × 1선택 조립

- [왼팔]{{{#!wiki style="text-align: left"'
MX82 멀티펑셔널 윕 × 2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1
S100 실드 × 1
G6 샷건 + 유탄 포드 × 2}}}
- [백팩]{{{#!wiki style="text-align: left"
JP1 제트팩 × 2
EC50 전자전 포드 × 2
OCSP 오버로딩 팩 × 3}}}
- [드론]{{{#!wiki style="text-align: left"'
ADK15D/MAS "포큐파인" × 2 }}}
- [파일럿(다이얼, ID토큰)]
22 요유 × 1
23 오닉스 × 1
차저(33 & 34) × 2
- [기타]
카드 트레이 × 2
설명서
데칼 × 1

3.2.3. UN Scalpel

파일:UN_Scalpel.jpg
<colbgcolor=#808080> 팩션 UN
《303전투중대 "커세어"》
가격 공식가격 - $???
국내가격 - 110,000원
링크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국내 정발) & 영문(6월달 발매 예정)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UN_Scalpel_제품이미지.jpg
- [토르소]{{{#!wiki style="text-align: left"
TM39 "바이퍼" 저피탐 코어 × 2
TM641 "옥토퍼스" 은폐 코어 × 1}}}
- [섀시]{{{#!wiki style="text-align: left"
LM210S 은폐 섀시 × 2}}}
- [오른팔]{{{#!wiki style="text-align: left"
R9B 택티컬 라이플 × 2
M3S 바이브로블레이드 × 1
M4 바이브로블레이드 + 유탄 포드 × 1
IGX920 헤비 이온 건 × 1
R6SD SMG × 1}}}
- [왼팔]{{{#!wiki style="text-align: left"'
RKG70 미사일 포드 × 2
M3S 바이브로블레이드 × 1
M4 바이브로블레이드 + 유탄 포드 × 1
MSH1 어시스턴트 암 × 1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1}}}
- [백팩]{{{#!wiki style="text-align: left"
RKG70 아뮤니션 팩 × 2
AMD210 "델피니움" 캐리어 × 2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 랙 × 1
MSH2 스테빌라이저 암 × 1}}}
- [드론]{{{#!wiki style="text-align: left"'
AMD210 "델피니움" 자동 방어 시스템 × 1
ADK30C/F "타란튤라" × 2
ADK60R/EC/S "레이븐" × 2선택조립 }}}
- [탄약]{{{#!wiki style="text-align: left"'
RKG70 미사일 그룹 × 2
DBP "터틀 셸" 바리케이드 × 1
M9 섬광탄 × 1 }}}
- [파일럿(다이얼, ID토큰)]{{{#!wiki style="text-align: left"
21 파이어플라이
24 시락 × 1
라이플맨(29 & 30) × 2}}}
- [기타]
카드 트레이 × 2
설명서
데칼 × 1

3.2.4. UN Ocotopus Trial Model (LAB)

파일:UN_Ocotopus_Trial_Model.jpg
<colbgcolor=#808080> 팩션 UN
《303전투중대 "커세어"》
가격 공식가격 - $46.00
국내가격 - 61,900원
링크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UN_Ocotopus_Trial_Model_제품이미지.jpg
TM641O "옥토퍼스" 은폐 코어 - 시험기
LM210SO 은폐 섀시 - 시험기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시험기[R]
K9 네일 건 + M14BO "와카자시" - 시험기[L]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 - 시험기
전용 광학위장 베이스
설명서

3.2.5. UN-Taurus Start production (◆)

본래 UN Conversion Kit로 예고되었으나, 4월 16일 공식 방송에서 개별 플라스틱 킷으로 전환된 유닛팩으로, [시험점멸] 키워드를 지닌 TM35BT "타우러스" 실험 코어와 LM213B 격투 섀시, R7MG LMG[R], S100 실드[L][13], EBS/X40 아머 에너지 차저가 포함되어 있다.

추후 컨버전 키트로 예고되었던 부품들 또한 타우러스 시작 생산품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개별 킷으로 출시될 가능성이 생겼다.

3.3. GOF (◆)

팩션 자체가 아직 발매되지 않았으나 명칭은 공개되었다.

3.3.1. GOF CORE

3.3.2. GOF HUNTER

3.3.3. GOF JUSTICE

3.4. PD

3.4.1. MD-4A Reaper Type I (LAB)

파일:PD_Reaper_Type_I.webp
<colbgcolor=#C0C0C0> 팩션 PD
《542작전중대》
가격 공식가격 - $36.00 USD
국내가격 - 49,99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국내 정발)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PD_Reaper_Type_I_제품이미지.webp
Reaper Type I 소체(상체 & 하체 & 양 팔 & FGM25 미사일 랙) × 1
요격 장치 모듈 × 1
FGM25 "피라냐" 미사일 × 3
MD-4A "리퍼" 타입 1 드론카드 × 1
MD-4C "리퍼" 타입 3 드론카드 × 1
FGM25 "피라냐" 미사일 발사체카드 × 1
75X75 유닛 베이스 × 1
소형 고고도 베이스 × 3
MD-4A Reaper Type I 설명서 × 1

MD-4A "리퍼" 타입 1을 조립할수 있는 플래닛링 다이나믹스 소속의 LAB 제품.
MD-4C "리퍼" 타입 3을 만들기 위해서는 MD-4B Reaper Type II에서 레이저 제압 장치 모듈을 가져와야 한다.

3.4.2. MD-4B Reaper Type II (LAB)

파일:PD_Reaper_Type_II.webp
<colbgcolor=#C0C0C0> 팩션 PD
《542작전중대》
가격 공식가격 - $39.00 USD
국내가격 - 54,00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국내 정발)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PD_Reaper_Type_II_제품이미지.webp
Reaper Type II 소체(상체 & 하체 & 양 팔 & 오토캐논) × 1
레이저 제압 시스템 모듈 × 1
MD-4B "리퍼" 타입 2 드론카드 × 1
MD-4D "리퍼" 타입 4 드론카드 × 1
75 × 75 유닛 베이스 × 1
MD-4B Reaper Type II 설명서 × 1

MD-4B "리퍼" 타입 2을 조립할수 있는 플래닛링 다이나믹스 소속의 LAB 제품.
MD-4D "리퍼" 타입 4를 만들기 위해서는 MD-4A Reaper Type I에서 요격 장치 모듈 가져와야 한다.

3.4.3. MD-4E Reaper Engineer Type (LAB)

파일:PD_Reaper_Type_E.webp
<colbgcolor=#C0C0C0> 팩션 PD
《542작전중대》
가격 공식가격 - $42.00 USD
국내가격 - 55,99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언어 중문 & 영문(국내 정발)
[ 제품 구성 (펼치기 · 접기) ]
파일:PD_Reaper_Type_E_제품이미지.webp----
Reaper Type II 소체(상체 & 하체 & 양 팔) × 1
AS3 팽창식 벽 × 2
AS3-A 불화성 팽창식 벽 설치물카드 × 1
AS3-B 폭발성 팽창식 벽 설치물카드 × 1
MD-4E "리퍼" 엔지니어 타입 드론카드 × 1
75 × 75 유닛 베이스 × 1
3인치 바리케이드 지형 베이스 × 2
MD-4E Reaper Type E 설명서 × 1

3.4.4. Crysis (LAB◆)

  • 해당 제품은 아직 발매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출시후 명칭이 바뀔 수 있다.

플래닛링 다이나믹스의 MAP인 크라이시스를 사용할수 있는 유닛 팩이다.

3.5. 콜라보 제품군

3.5.1. White Dwarfs (◆)

  • 해당 제품은 아직 발매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출시후 명칭이 바뀔 수 있다.

3.5.2. 바예호 콜라보 1 & 2 세트 (◆)

  • 해당 제품은 아직 발매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식 출시후 명칭이 바뀔 수 있다.

4. 게임 악세서리

4.1. 옵시디언 프로토콜 게임용 다이스

파일:OP_DICE.jpg
<colbgcolor=#808080> 가격 공식가격 - $20.00 USD
국내가격 - 33,50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정발 여부 [O]
제품 구성
하양 다이스(방어) × 12
파랑 다이스(회피) × 10
노랑 다이스(약공격& 전자전) × 10
빨강 다이스(강공격) × 6
블랙 다이스(부품) × 2

옵시디언 프로토콜 미니어처 게임을 진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용 다이스를 구매할수 있는 악세서리 제품이다.
  • 주의사항 및 Tip
옵시디언 프로토콜 전용 다이스는 대부분의 게임장에 비치되어 있으나, 개인 주사위를 들고 다니는걸 추천하고 있다.
개인 주사위를 가지고 다닐시, 게임을 플레이 할때 상대 플레이어와 주사위가 섞일 수 있으니 주사위 수는 끝날때마다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다.

4.2. 옵시디언 프로토콜 게임용 900x900 매트

파일:OP_900x900Map.jpg
<colbgcolor=#808080> 가격 공식가격 - $22.90 USD
국내가격 - 37,00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정발 여부 [O]

옵시디언 프로토콜을 즐기기 위한 900포인트 정규 배틀필드 보드판이다. 고해상도의 양면 인쇄, 다이컷 보드 소재로 제작되어 생각보다 두껍고 딴딴한것이 특징으로 총 3개의 판을 이어서 게임을 즐길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게임장에 배치되어 있는만큼 구매를 하지 않아도 큰 상관은 없으며, 주로 홈 게임이나 게임장이 아닌 다른 보드게임 방에서 플레이를 하기 위한 유저들에게 추천되고 있다.

지형은 해당 제품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니 주의할것.

4.3. 옵시디언 프로토콜 게임용 1200 매트

파일:OP_1200x1200Map.jpg
<colbgcolor=#808080> 가격 공식가격 - $??? USD
국내가격 - 66,00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5. 기타 제품

5.1. 옵시디언 프로토콜 모형 공구 세트

파일:OP_Toolkit.jpg
<colbgcolor=#808080> 가격 공식가격 - $?? USD
국내가격 - 23,750원
링크 공식 제품 페이지
공식 총판 라쿤펀치 페이지
정발 여부 [O]
제품 구성
니퍼
나이프
커팅매트
사포
파츠오프너
핀셋

옵시디언 프로토콜을 입문하지만 프라모델 조립 경험이 없거나 공구가 없을시 추천되는 제품으로, 기본적으로 조립에 필요한 필수적인 모델 공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품을 구매시에는 요유의 인증이 박힌 귀여운 일러스트를 얻을 수 있다.

5.2. 옵시디언 프로토콜 한글 카드 팩 (◆)

옵시디언 프로토콜의 제품들은 대부분 중문과 영문판이며, 국내 유저들은 라쿤펀치 자료실에 있는 한글화 카드를 프린팅해서 사용하거나, 스펙들을 통째로 외우는 식으로 플레이 했으나 라쿤펀치를 통해 한글 팩의 출시가 예고되었다.[14]

다만 한글 카드는 기존 팩에 동봉되는 식이 아닌 별도로 구매를 해야 한다.[15]

6. 기타


[1] 본 문서의 공식 제품 링크는 QUETI TECTONICS에서 직접 운영하는 공식 사이트로 이어진다. 국내 유저들은 배송도 빠른 공식 총판 사이트를 사용하도록 하자.[2] 본사에서 표현한 방식으로 코어를 제외하면 확장팩에 더 가깝다.[3] 예를 들어 RDL의 경우 확장팩에 해당하는 헤비메탈 팩은 단일 팩만으로는 900점 조건을 한참 미달하게 되고, 다른 확장팩인 카발리의 경우는 900점을 만족할순 있지만 사용할수 있는 부품의 수 때문에 로스터가 단일화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섞어 사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4] 한국 공식 총판인 라쿤펀치는 매달마다 입문회를 개최하고, 대여 아미를 지원하고 있다. 만약 옵시디언 프로토콜 입문을 생각한다면 개인 아미를 챙기지 않아도 충분히 해볼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5] 단 반다이나 코토의 기분 좋은 조림감은 아니고 중국프라 혹은 밀리터리 프라를 만드는 것처럼 플라스틱이 물렁하거나 다소 사소한 사출 불량, 모델크기가 작기에 신경을 좀 써줘야 한다.[6] 옵시디언 프로토콜은 설정상 각 팩션마다 여러 기업들의 연합체이란 설정과 플레이어는 각 기업의 부대를 운용하는 설정 덕분에 각자의 개성이 살아나도 문제없다.[7] 단 조색표는 모든 면을 보여주지만, 각 팩션의 가장 기초적인 기체들만 보여주기 때문에 정규 컬러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박스아트를 확인해야 한다.[8] 국내 한정으로 게임을 진행하고 난 뒤, 동점이 났을 때 도색의 진행 여부를 통해 승패가 갈리기도 한다.[9] 무수지는 자석 접착이 불가능 하니 이 점을 주의하도록 하자[10] 혹시라도 절대로 한 파츠의 자석을 잘못 넣었다고 해서 모든 파츠의 자석을 반대로 넣는일은 하지 말것[11] 포징을 고정하지 않을 시 가동성은 챙길 수 있지만 게임을 할수록 앞으로 숙이는 예의바른 MAP을 보게된다. 정말 마음이 아파진다.[12] 중국의 영상사이트인 빌리빌리, 그리고 유트브에서 일본어와 영어순으로 공개되었고, 국내는 4월 19일에 라쿤펀치에서 해당 영상의 번역본을 업로드했다.[13] 유탄버전인지 일반 버전인지는 확실치 않다.[14] 2025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략 3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추측되고 있다.[15] 이는 기존 유저들을 배려하는 점도 있다. 기존에 구매 가능한 유닛 팩 자체는 중문과 영어로 발매가 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