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21:37:35

Creatures of Sonaria/크리처 목록/3티어

파일:CoS_newlogo.png
[ 크리처 ]
🦖크리처 목록
(1티어2티어3티어4티어5티어)
[ 능력 및 효과 ]
⚔️액티브 능력 ・ 🛡️패시브 효과
(상태이상)
[ 게임 플레이 ]
🎮공략 ・ 🧬돌연변이 ・ 📋임무
⛈️계절 및 날씨 ・ 🍖먹이 ・ ⛰️지형
🤝거래 ・ 🛍️상점
[ 수집 요소 ]
🔥아티팩트 ・ 🧸인형 ・ 🍄재화
🏅칭호 ・ ❤️토큰 ・ 🎨팔레트
[ 이벤트 ]
🎄이벤트
(2020~20212022
20232024)
[ 기타 ]
🛠️리코드 출시 이전 정보 ・ 🗑️삭제 및 취소 콘텐츠


Creatures of Sonaria 의 크리처 유형
[ 펼치기·접기 ]
• 표기 없음: 일반 크리처
• B: 뱃지 Badge 크리처
• D: 개발자 Developer 크리처
• DL: 일일 출석 Daily Login 크리처
• Ev: 이벤트 Event 크리처
• Exc: 독점 Exclusive 크리처
• Exp: 탐험가 Explorer 뽑기 크리처
• L: 한정판 Limited 뽑기 크리처
• M: 임무 Mission 크리처
• MS: 임무 시스템 Mission System 크리처
• R: 로벅스 Robux 상점 크리처
• RS: 로테이션 상점 Rotation Store 크리처
• S: 기간 Session 뽑기 크리처
• T: 시간 Time 뽑기 크리처
• Tk: 티킷 Tikit 뽑기 크리처
• Tr: 여행자 Traveler 뽑기 크리처
• W: 워든 Warden 크리처


1. 땅
1.1. 육생1.2. 반수생1.3. 활공1.4. 활공 반수생
2. 바다3. 하늘

1.

1.1. 육생

1.1.1. Aholai (아홀라이)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홀라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Amolis (아몰리스)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몰리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 Apofuex (아포퓨엑스) (M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포퓨엑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4. Archinax (아르키낙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르키낙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5. Buukon (부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6. Chrysos (크라이소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라이소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7. Cenicara (세니카라)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니카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8. Citrulantis (시트럴란티스)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트럴란티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9. Demetyra (데메티라)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메티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0. Dragonixsauria (드라고닉사우리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드라고닉사우리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1. Dyaelatura (다이엘라투라)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이엘라투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2. Eskarlor (에스칼러) (Tk)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칼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3. Faecalu (페칼루)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칼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4. Fyranili (파이라닐리)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이라닐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5. Garra Warden (가라 워든) (W)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라 워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6. Geogoff (지오고프) (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오고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7. Gloracus (글로라쿠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글로라쿠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8. Gorgonichus (고르고니쿠스) (R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르고니쿠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9. Hikorshi (히코르시) (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히코르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0. Ikoran (이코란)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코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1. Kehmador (케마도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마도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2. Khetheral (케서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서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3. Knalriki (날리키) (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날리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4. Koryser (코라이저)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라이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5. Lenarabu (레나라부)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나라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6. Leurimess (루리메스) (Tk)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리메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7. Morinus (모리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리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8. Muravil (무라빌) (R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라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9. Nindyr (닌디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닌디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0. Pierry (파이어리)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이어리(Creatures of Sonari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1. Sarchias (사르키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르키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2. Shro (슈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슈로(Creatures of Sonari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3. Sleirnok (슬레어노크)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레어노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4. Taurolystris (타우롤리스트리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우롤리스트리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5. Tohukos (토후코스) (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후코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6. Trikylo (트리킬로) (L)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트리킬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7. Undoli (언돌리)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돌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8. Valkurse (발커스) (L)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발커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9. Xenolif (제놀리프)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놀리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40. Yama'tu (야마투)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마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반수생

1.2.1. Aesho (에쇼) (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2. Dunklaestus (덩클레스터스) (R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덩클레스터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3. Lissiceous (리시셔스)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시셔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4. Murlk (멀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멀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5. Nymphasuchus (님파수쿠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님파수쿠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6. Sha'Rei (샤레이) (M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샤레이(Creatures of Sonari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7. Therolachus (테롤라쿠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테롤라쿠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활공

1.3.1. Zoocuu (주쿠) (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활공 반수생

1.4.1. Glovaucus (글로바우쿠스)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글로바우쿠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2. Zwevealisk (츠바빌리스크) (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츠바빌리스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바다

2.1. 수생

2.1.1. Cupere (큐푸에르)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큐푸에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Galeostra (갈레오스트라)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갈레오스트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Koipise (코이피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이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Reviiaton (레비아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비아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5. Slaiorn (슬레이온)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레이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하늘

3.1. 비행

3.1.1. Aereis (에어리스) (Ex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어리스(Creatures of Sonari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Chisudo (치수도)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수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Ghibli (기블리) (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블리(Creatures of Sonari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 Halaqual (할라퀄) (L)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할라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 Keruku (케루쿠) (B)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루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Mordelium (모르델리움) (E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모르델리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 Nyxasolyx (닉사솔릭스) (Ex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닉사솔릭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8. Owa'Stryrus (오와스트리루스) (Ex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와스트리루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9. Pterolythux (프테롤리툭스) (L)

파일:Pterolythux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200 회복률 5% 125 초당 2 회복 140 3,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2
• 질주: 65
• 비행: 26
없음 4 65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32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30%
• 출혈: 5
• 벽 매달리기
• 톱니 이빨
제작자 출시 날짜
• undeary 2023/3/11
획득 조건
한정판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Pterolythux_art.png
크리처 설명문
프테롤리툭스는 커다란 공룡 형태의 크리처로, 앞발과 뒷다리에 각각 날개가 달려있습니다. 이 두 쌍의 날개는 하늘을 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납작한 돛 구조물을 통해 하늘에서 방향을 조종합니다.
공식 설정 출처
* 프테롤리툭스는 무리를 짓고 사는 온순한 크리처이다. 이들의 사회 집단은 기린과 유사하며 서로 목을 맞부딪혀 싸우는 것으로 우열을 가린다.
* 타래(skein)[1]라고도 부르는 이들 무리는 특별한 사회적 위계가 없으며, 따뜻한 기후로 이동할 때 기러기처럼 V자 형태로 정렬한 채 날아간다.

케찰코아틀루스를 비롯한 익룡을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공룡 테마의 한정 뽑기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높은 출혈 수치와 더불어 상대의 출혈 회복 회복율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톱니 이빨을 가지고 있는 출혈 특화 크리처. 따라서 공격력이 낮지만 대신 체력과 몸무게 수치가 다른 3티어 비행 크리처들 중에서도 상위권에 들어 맷집이 비교적 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벽 매달리기 능력도 가지고 있어 절벽에 매달려 피신할 수 있다.

다만 육식 크리처임에도 Ctrl키로 활성화시키는 매복 달리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단점.

3.1.10. Sochuri (소추리)

파일:SochuriMale_redesign.png
[ 리디자인 이전 모습 펼치기·접기 ]
파일:Sochuri.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2,300 회복률 5% 100 초당 4 회복 240 1,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16
• 질주: 56
• 비행: 29
x1.15 1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비행 30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35%
• 벽 매달리기
• 화염 브레스: 1.5/DPS
제작자 출시 날짜
• Kiokari 리디자인 전
• Stood_04 리디자인 후
2020/8/24
획득 조건
잡식 뽑기, 하늘 뽑기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Sochuri_reart.png
리디자인 후
크리처 설명문
소추리는 박쥐를 닮은 와이번으로, 벽 구조물에 매달릴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매달리는 동안에는 스태미나를 회복하고 체력을 치유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특히 뛰어난 야간 시야와 균형 잡힌 스탯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추리는 그 덩치 때문에 장기간 비행을 할 수 없습니다.

박쥐와 와이번을 섞은 듯한 형태의 크리처. 원래 Sonar Studio에서 제작할 예정이었던 Roblox 서바이벌 게임 Dragonaria에 사용될 크리처였지만 게임 개발이 무산되면서 이후 CoS에 편입되었다.

벽 매달리기 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가파른 절벽이나 두꺼운 나무 등에 달라붙을 수 있다. 또한 브레스 업데이트 이후 화염 브레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브레스를 통해 상대방의 체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폐질환 상태 이상을 걸 수도 있다. 화염 브레스의 능력으로 인해 묻히는 감이 있지만 공격력이 240으로 3티어 하늘 크리처들 중에서도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다.

획득 난이도와는 다르게 상당히 좋은 효율을 가지고 있는 크리처이다. 적당한 공격력과 빠른 비행 속도, 거기에 화염 브레스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 그래서 소추리를 KOS용로 쓰는 유저들이 상당히 많다.

2021 할로윈 이벤트 중 리디자인이 적용되었으며 설명문에 기재된 특징을 살려 이전보다 더욱 박쥐스러운 모습으로 바뀌었다. 이와 동시에 스탯 조정 또한 이루어졌는데, 체력과 몸무게는 버프되었지만 스태미나가 140에서 100으로 크게 너프되었으며 질주 및 비행 속도도 약간 느려졌다. 여기에 출혈 능력은 삭제. 전체적으로 특수 능력 의존형에서 몸빵형으로 바뀐 느낌인데 그럼에도 화염 브레스를 사용할 수 있는 건 여전해서 유저 사용률에 큰 타격을 주거나 하지는 않았다.

리디자인 이후 왠지 몰라도 크기가 더 작아졌다. 이전에는 보모라 같은 3티어 하늘 크리처들과 비등한 크기였는데 리디자인 적용 이후에는 2티어 크리처인 칼루아카와 비슷한 크기가 되었을 정도.
파일:Sochuri_headchange.png
업데이트로 변경된 머리 모양

LSS 이벤트 업데이트 때 타라코투와 함께 머리 모델이 살짝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정면에 봤을 때 다소 크게 돋보이는 코 때문에 우스꽝스럽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이후 업데이트로 두상이 전체적으로 좁아진 데다가 귀 형태도 조금 디테일해져 전체적으로 맹수에 가까운 인상으로 바뀌었다.

3.1.11. Trutholbyeva (트루솔비바) (R)

파일:TrutholbyevaMale_redesign.png
[ 리디자인 이전 모습 펼치기·접기 ]
파일:Trutholbyeva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4,000 회복률 4% 85 초당 2 회복 260 4,5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16
• 질주: 70
• 비행: 23
없음 3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초식 비행 42분 4/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45%
• 독 방어율: 85%
• 출혈: 6
• 벽 매달리기
• 생명 흡수
• 야간 추적자
제작자 출시 날짜
• PlagaeDoctor 리디자인 후
• TyrantDinosaur889 리디자인 후
2021/1/15
획득 조건
로벅스 상점 300로벅스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Trutholbyeva_art.png
리디자인 전
파일:Trutholbyeva_reart.png
리디자인 후
크리처 설명문
트루솔비바는 극도로 위험한 야행성 초식 크리처입니다.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거나 일부 다른 개체들과 함께 살아가며, 다른 종류의 크리처와 가까이 접촉할 때는 매우 위험하고 폭력적으로 바뀝니다. 이들은 밤이 되면 동굴 밖으로 나와 덤불을 뜯어먹고 낮이 되면 어두운 곳으로 물러납니다. 이들의 입 안쪽에 자라난 이빨은 먹이를 씹을 수 있는 유일한 치아이며 앞니는 적에게 쑤셔넣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공식 설정 출처
* 트루솔비바는 기본적으로 식물을 먹도록 적응되었지만 깊은 해식동굴에서 살아남기 위해 조상의 잡식 특성을 물려받아 여전히 고기를 먹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고기가 아니더라도 이들은 다른 크리처의 피를 빨아먹기도 하는데, 만약 흡혈을 너무 지나칠 정도로 한다면 이들은 광란 상태에 빠지게 되고 이것은 대개 무모함에 의해 유발된 죽음으로 끝나게 된다.
* 트루솔비바는 밤중에 매우 공격적이며, 보통 육지의 어느 곳이든 돌아다닌다.
* 부모 개체는 새끼를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극진하게 보살핀다.
* 트루솔비바는 혼자 또는 7마리 이하의 가족들로 이루어진 중간 규모의 무리를 이루고 돌아다니는 걸 선호한다. 다만 낮에는 수백 마리의 개체가 큰 동굴에 모여 밤이 될 때까지 천장과 벽 또는 바닥에 매달린 채 이를 기다린다.
* 밤이 되면 먹이를 찾으러 다니며, 다른 종에 대한 동정심도, 가족 집단에 속하지 않는 동종에 대한 배려심도 보여주지 않는다.
* 두 개의 머리를 지니고 있지만 오직 한 개의 머리만 뇌를 지니고 있으며 나머지 머리는 여분의 팔다리 역할을 한다.
* 흔히 이빨로 혼동되는 앞머리 가시는 외적을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 일단 상대방의 몸에 꽂아넣으면 쉽게 빼낼 수 없으며 여기에 심각한 출혈까지 일으킨다.
* 비행 능력이 있긴 하지만 보통 새로운 먹이를 찾기 위해 이동하거나, 싸우기엔 너무 강한 상대로부터 도망치거나, 아니면 자신들의 동굴에 함부로 들어오는 무단침입자를 대상으로 매복하기 위해 사용된다.
*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머리가 하나만 달린 채 태어날 수도 있지만 이는 머리 두 개로 태어나는 것보다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 눈부신 섬광에 당해버린 개체는 영구적으로 시력을 잃게 된다. (인게임에서는 반영되지 않음)
* 장애를 앓고 있거나 너무 늙은 개체들은 숲이나 동굴 속에서 머물며 젊은 세대들에게 보살핌을 받는다.
* 트루솔비바의 무리 내에서는 조그마한 크리처, 특히 무넬을 애완동물처럼 키우는 일이 매우 흔하다.

쿠루고스크 이후 두 번째로 등장한 개발자 크리처로, 게임 개발자 중 한 명인 CatboyNathann을 대표한다. 일반적인 뽑기가 아닌 300 로벅스를 지불해야 얻을 수 있다. 다만 담당 개발자가 은퇴한 이후로 현재는 로벅스 상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헬리코프리온(구식 복원)과 채찍전갈, 그리고 바닷가재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생김새에 어울리지 않게(?) 초식성이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추가 업데이트로 피가 보라색으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일부 무척추동물이 호흡 색소인 헤메리트린에 의해 보라색 피를 가지고 있어서 그것을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크기는 작지만 적당히 높은 출혈 수치와 야간 추적자, 그리고 벽 매달리기 능력까지 출중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트루솔비바는 최초로 리디자인이 결정된 개발자 크리처이다. 이전과 달리 살집이 더 붙었고 날개는 잠자리의 것과 비슷하게 변했으며 결정적으로 머리가 두 개로 늘어났다. 독특한 점은 머리가 단순히 두 개로 복붙된 것이 아니며 눈이 머리 바깥쪽에만 붙어 있고 안쪽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마치 머리를 세로로 반쪽낸 듯한 형태라는 것. Catboynathann에 의하면 트루솔비바의 리디자인 전 모습이 당초 생각했던 콘셉트―육상 생활을 지향하는 육중한 비행 크리처와 전혀 어울리지 않았으며, 행동 패턴과 해부학이 충돌하는 문제 등이 마치 스포어에 나오는 못 생긴 창조물(...)처럼 보인다는 이유로 트루솔비바의 리디자인을 결정하였다고 한다.

리디자인이 게임에 정식으로 반영되면서 스탯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겼는데, 우선 트루솔비바의 자랑이었던 어마어마한 출혈 수치가 13에서 6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하였지만 대신 전투에 중요한 체력, 공격력, 그리고 몸무게 수치는 대폭 상승. 더 이상 출혈 크리처 특유의 히트 앤드 런 전략을 사용하지 않아도 육탄전으로 상대방과 충분히 맞대결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특히 4,500으로 버프된 몸무게 수치는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인데 4티어 내 하늘 크리처들 중 소쿠린살란을 제외한 모두를 압살할 정도이다. 대신 벌크업(?)의 영향으로 인해 질주 속도와 비행 속도가 너프되었으며, 스태미나 수치는 소폭 버프되긴 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치이므로 비행 중 스태미나 관리에 신경써야 하는 건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다.

초식성임에도 불구하고 흡혈을 한다는 설정이 있다. 이에 따라 흡혈과 관련된 능력이 추가될 것이라 예고되었으며, 이후 2022 할로윈 이벤트 때 생명 흡수 능력이 추가되었다. 추가로 85%의 독 방어율도 부여받아 독 면역인 크리처들을 제외하면 현재까지 가장 높은 독 방어율을 가지고 있다.

3.1.12. Tundrik (툰드릭) (Ev)

파일:TundrikMale.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3,000 회복률 5% 110 초당 3 회복 160 2,6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23
• 질주: 74
• 비행: 27
없음 2 5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잡식 비행 20분 2/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45%
• 겨울 태그
• 얼음 브레스: 1.5/DPS
제작자 출시 날짜
• IcecreamNavacodo 2022/1/1
획득 조건
겨울 이벤트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Tundrik_art.png
크리처 설명문
툰드릭은 높은 고도에서 서식하는 얼어붙은 비행 크리처입니다. 성체는 추위에 시달리기 때문에 고드름으로 이루어진 갈기가 자라지만 아성체는 그렇지 않습니다. 연약한 눈송이처럼 설계된 형태가 이들을 나약하게 보이게끔 하지만, 피부가 꽁꽁 얼어붙어 있어 전투에도 견딜 수 있습니다.
공식 설정 출처
* 툰드릭은 눈더미를 쌓아올리고 그곳에서 노는 걸 좋아한다.

눈송이를 모티브로 한 크리처로, 2021 겨울 이벤트 중 이벤트 재화인 벨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으며 4,000벨로 확정 구매가 가능하다.

얼음 브레스를 사용할 수 있어 상대방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일정 확률로 냉동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설명문의 내용처럼 맷집이 트루솔비바만큼 아니어도 상당하기 때문에 전투용으로 나름 쓸 만한 크리처이다. 비행 속도는 그저 그렇지만 질주 속도가 3티어 하늘 크리처들 중 2순위로 빠르다는 것도 특징.

얼음 브레스의 DPS가 워낙 높았고 여기에 이동 속도 감소라는 치명적인 부가 효과까지 달려 있어 많이 쓰였지만 이후 업데이트로 얼음 브레스의 DPS 너프와 이동속도 감소가 발동하는 확률이 줄어들어 그럭저럭인 크리처가 되었다. 그래도 이동 속도가 느린 고티어 크리처의 발목을 붙잡는 데에는 여전히 유용하다.

3.1.13. Vaumora (보모라) (M)

파일:Vaumora.png
체력 스태미나 공격력 몸무게
1,500 회복률 6% 100 초당 3 회복 350 1,400
속도 매복 배율 회전 반경 식욕
• 걷기: 17
• 질주: 60
• 비행: 28
x1.15 3 60
식성 기동 유형 성장 시간 야간 시야
육식 비행 30분 3/3
특수 능력
• 출혈 방어율: 15%
• 출혈: 6
• 광역 충격
• 전기 브레스: : 3/DPS
제작자 출시 날짜
• NauticaElurra 2021/5/18
획득 조건
육식 뽑기, 하늘 뽑기, 출혈 뽑기
(비밀 임무 완수 후 가능)
콘셉트 아트
펼치기·접기
파일:Vaumora_art.png
크리처 설명문
체내에 전기 성분을 두른 보모라는 중간 크기의 균형 잡힌 스캐빈저 육식 크리처입니다. 이들의 진주빛 깃털과 체모는 정전기의 전도체 역할을 하며 내부 기관은 강력한 전류로 포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무시무시한 원소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깃털 달린 와이번을 닮은 비밀 임무 크리처. 해당 크리처를 뽑기에서 해금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조건이 필요하며, 아래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 첫 번째: 플레이어는 3티어 이상의 하늘 크리처로 플레이해야 한다.
  • 두 번째: 악천후 상태 이상[2] 발생시 속성 브레스 피해를 30% 이상 받으면 해금된다.

케루쿠 이후 오랜만에 나온 전기 브레스 크리처로, 뿐만 아니라 새로운 능력인 광역 충격을 사용하여 자신을 공격하는 크리처로부터 쉽게 도망칠 수 있다.

공격력은 3티어 하늘 크리처 내 최강. 여기에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높은 출혈 수치도 붙어있기 때문에 저티어 크리처들을 상대로 양학이 가능할 정도이다. 다만 체력은 3티어 내 모든 크리처들 중에서도 최하위권에 들어가는, 그야말로 유리 대포의 표본이기 때문에 한 방이 강력한 공격에 주의해야 한다. 그나마 속도가 굉장히 빠른 축에 속하고 엄청난 화력의 전기 브레스까지 있기 때문에 상당히 강력한 크리처로 취급된다.

3.1.14. Venatrox (베나트록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나트록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흔히 기러기처럼 V자 형태로 날아가는 새 무리를 이렇게 부른다.[2] 날씨 유형 중 폭풍 발생 시, 또는 악천후 날씨일 때 확률적으로 생성되는 토네이도가 있을 시 조건이 채워진다. 쉽게 말해 화면 가운데 위쪽에 회색의 번개구름 아이콘이 생길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