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2:44:45

언돌리

파일:CoS_newlogo.png
[ 크리처 ]
🦖크리처 목록
(1티어2티어3티어4티어5티어)
[ 능력 및 효과 ]
⚔️액티브 능력 ・ 🛡️패시브 효과
(상태이상)
[ 게임 플레이 ]
🎮공략 ・ 🧬돌연변이 ・ 📋임무
⛈️계절 및 날씨 ・ 🍖먹이 ・ ⛰️지형
🤝거래 ・ 🛍️상점
[ 수집 요소 ]
🔥아티팩트 ・ 🧸인형 ・ 🍄재화
🏅칭호 ・ ❤️토큰 ・ 🎨팔레트
[ 이벤트 ]
🎄이벤트
(2020~20212022
20232024)
[ 기타 ]
🛠️리코드 출시 이전 정보 ・ 🗑️삭제 및 취소 콘텐츠

1. 개요2. 설정3. 획득 조건4. 능력&효과
4.1. 액티브 능력4.2. 패시브 효과
5. 특징6. 콘셉트 아트7. 기타

1. 개요

Undoli
언돌리
파일:UndoliMale.png
제작자 출시 날짜
• kreaturezz 2023/10/14
스탯
크리처 유형:
식성: 육식
티어: 중형(3티어)
체력: 2,000 회복률 6%
공격력: 350
스태미나: 130 초당 3 회복
성장 시간: 26분
무게: 2,000파운드
속도: 걷기 25 / 질주 94
[ 세부 스탯 펼치기·접기 ]
식욕: 50
깨물기 쿨타임: 0.8초
야간 시야: 4/4 (뛰어남)
산소: 25
회전 반경: 3
피 색깔: 붉은색
피 질감: 일반

언돌리(Undoli)는 Creatures of Sonaria에 등장하는 중형(3티어) 크리처이다.

2. 설정

크리처 설명문
우페시 언돌리는 불가사의한 기원을 가진 수수께끼의 크리처입니다. 어떤 이들은 그들이 다른 크리처의 가죽을 쓰고 변장한 뒤 희생자를 잡아먹는 악마라고 믿고 있습니다. 이들은 희생자를 공격하고 잡아먹기만을 기다리면서 다른 크리처들 주위를 맴돌며, 필멸의 존재를 집어삼키는 것으로 자신의 통제불능과 지속적인 욕구를 먹여 살립니다.
공식 설정 출처
* 언돌리는 오로지 필멸자의 영혼을 흡수하고 혼돈을 일으키기 위한 존재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나이의 개념이 없다.
* 이들이 처음으로 물리적 영역에 나타날 때는 "발가벗은" 상태이며, 첫 번째 희생자를 쓰러뜨린 뒤에야 희생자의 가죽으로 변장이 가능하다. 이들의 변장은 희생자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변장은 영구적으로 보존된다. 이로 보아 게임 내 언돌리가 착용한 가죽은 트루솔비바의 것으로 추정된다.

3. 획득 조건

언돌리는 핼러윈 이벤트(Halloween Event) 기간 동안에만 얻을 수 있는 이벤트 크리처이다. 획득 조건은 매년 달라지므로 Creatures of Sonaria/이벤트 문서의 2021 핼러윈 이벤트 문단부터 시작해서 참조.

영구가 아닌 일회용 크리처는 상점 메뉴의 체험 카테고리에서 파일:CoS_Mushroom.png100슘(♂)/1,000슘(♀)으로 구매할 수 있다.

4. 능력&효과

4.1. 액티브 능력

공포 유발(Cause Fear) 액티브 능력 - 광역
능력이 배정된 번호키를 누르면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공포 상태이상을 부여한다. 사용 후 120초 동안 쿨타임에 들어간다.
  • 공포
    • 이동 속도가 40% 빨라진다.
    • 공격력이 50% 감소한다.


매복(Ambush) 액티브 능력 - 기동
능력이 배정된 번호키를 누르면 질주 속도가 정해진 배율에 따라 더 빨라지며 물속에서도 질주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대신 스태미나 소모량이 더 늘어나고 회전 속도가 느려진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스태미나가 전부 소진되거나 이동을 멈추면 매복 질주가 중단된다.
해당 크리처의 매복 배율은 '''
30%
'''이다.


사냥꾼의 저주(Hunter's Curse) 액티브 능력 - 스탯 변화
능력이 배정된 번호키를 누르면 30초 동안 사냥꾼의 저주 상태이상이 발생한다. 사용 후 120초 동안 쿨타임에 들어간다.
  • 사냥꾼의 저주
    • 공격력이 100% 증가한다.
    • 전체 체력의 50%를 즉시 소모한다다.


점프(Jump) 액티브 능력 - 기동
지상에 있는 상태에서 스페이스키를 누르면 스태미나를 소모하면서 정해진 방향으로 점프할 수 있으며, 크리처마다 점프 방향(수직, 전방 혹은 후방)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점프에 요구되는 스태미나가 부족하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해당 크리처의 점프 위력은 '''
4.37
이며 스태미나 소모량은
25
'''이다.

4.2. 패시브 효과

강철 위장(Iron Stomach)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썩은 사체를 먹거나 더러운 물을 마실 때 발생하는 병약 상태이상 피해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독 공격(Poison Attack)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상대를 공격하면 상태이상을 부여하며, 상대를 공격할 때마다 수치가 누적된다. 효과가 음수값일 경우 상대의 독 피해를 치유한다.
    • 스태미나 회복량이 틱 당 1%씩 감소한다.
    • 지속적으로 대미지를 받는다. 처음에는 피해량이 0.2%로 시작되며, 틱 당 0.05%씩 증가한다.
    • 주기적으로 스태미나가 틱 당 0.35%씩 소모된다.

해당 크리처의 독 공격 수치는 '''
2
'''이다.


출혈 공격(Bleed Attack)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상대를 공격하면 출혈 상태이상을 부여하며, 상대를 공격할 때마다 수치가 누적된다. 효과가 음수값일 경우 상대의 출혈 피해를 치유한다.
  • 출혈
    • 체력 재생이 차단된다.
    • 지속적으로 대미지를 받으며 틱이 증가할수록 대미지 또한 증가한다.

해당 크리처의 출혈 공격 수치는 '''
4
'''이다.


출혈 차단(Block Bleed)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출혈 상태이상 피해를 백분율 계산에 따라 덜 받거나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차단율이 음수값일 경우 상태이상 피해를 더 받게 된다.
  • 예시
    • 상태이상 차단율이 20%인 크리처가 10포인트의 상태이상을 받게 되면, 해당 크리처는 최종적으로 8포인트의 상태이상 피해를 받게 된다.
    • 상태이상 차단율이 -20%인 크리처가 10포인트의 상태이상을 받게 되면, 해당 크리처는 최종적으로 12포인트의 상태이상 피해를 받게 된다.

해당 크리처의 출혈 차단율은 '''
60%
'''이다.

5. 특징

언돌리는 공격적인 능력과 빠른 속도, 약한 맷집을 지닌 유리 대포형 크리처이다. 독 공격출혈 공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상대를 공격하면 독과 출혈을 동시에 우겨넣을 수 있다.

전투에 도움이 되는 액티브 능력으로 사냥꾼의 저주공포 유발을 지니고 있는데, 사냥꾼의 저주를 사용해 체력을 대가로 공격력 버프를 받고 공포 유발을 사용해 상대의 공격력을 낮춘다면 전투에 유리해질 수 있다.

공격력이 높은 데다 이동 속도도 굉장히 빠르고 상술한 능력과 효과까지 활용한다면 3티어 이하의 크리처들을 상대로 쉽게 우위를 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체력과 몸무게 수치가 상당히 낮기 때문에 웬만하면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크리처들을 상대로는 전투를 피하는 것이 좋다.

6. 콘셉트 아트

파일:Undoli_art.png

7. 기타

  • 언돌리는 유령에 빙의된 인형과 바느질을 모티브로 하였다.
    • 이름은 줄루어로 '인형'을 뜻하는 'unodoli'에서 따왔다.
    • 크리처 제작자에 의하면 사람들이 말하는 것과 달리 부두인형을 모티브로 하지 않았으며, 언돌리 몸에 달린 바늘도 단순히 바느질을 표현한 것일뿐 부두인형에 꽂는 바늘을 표현한 게 아니라고 한다. 또한 제작자는 언돌리를 부두인형에 빗대는 것은 부두교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퍼뜨리는 무례한 행동임을 거듭 강조하였다.
      "The Undoli is NOT a voodoo doll. Voodoo is a closed practice which originated in Africa and it would be disrespectful to call it so (not anybody's fault for misunderstanding and/or not knowing). It is based off of dolls/haunted dolls in general and sewing, and therefore sewing pins are there because they have to do with sewing. Voodoo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do with pins; not to mention voodoo pins often have charms on them."



      "언돌리는 절대 부두인형이 아닙니다. 부두교는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폐쇄적인 관행이며 언돌리를 그렇게 부르는 것은 무례한 행동입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오해하고 있었거나 모르고 있었던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언돌리는 일반적인 인형/빙의된 인형과 바느질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바느질 바늘이 붙어있는 것도 단순히 바느질과 관련 있기에 그런 것뿐입니다. 부두교에는 반드시 바늘이 필요한 것도 아니며 그 바늘에는 흔히 부두 부적이 달려있다는 사실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 설명문에서 나오는 풀네임은 Uphethe Undoli(우페시 언돌리)이지만 크리처 선택창이나 메뉴에서는 단순히 언돌리로 표기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