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12:33:33

싱가포르항공 006편 이륙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역대 사망자별 항공사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0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명 이상 ]
{{{#!wiki style="margin: -5px -1px; letter-spacing: -0.8px; font: clamp(12px, 1.2vw, 15px)/1.2 serif; font-family: revert;"
참고: 9.11 테러1996년 에어 아프리카 An-32B 추락 사고는 사고/테러의 중심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 수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군용기도 민항기가 아니므로 공중충돌이나 수송용 목적이 아니면 사망자가 81명 이상인 항공사고 빼고 가급적 틀에서 제외함.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순위사고명 [비고]사고 기종사망자 수생존자 / 지상 인원 부상자 수사고 분류 / 원인발생일 및 위치
1테네리페 참사[1]보잉 747-121
보잉 747-206B
583명 61명지상 충돌 / 조종사 과실1977년 3월 27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3]보잉 747SR-46520명4명벌크헤드 폭발 / 정비 불량1985년 8월 12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차르키다드리 상공 공중 충돌 사고[4]보잉 747-168B
일류신 Il-76TD
349명전원사망공중 충돌 / 조종사 과실1996년 11월 12일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터키항공 981편 추락 사고[6]맥도넬 더글라스 DC-10-10346명전원사망화물칸 도어 폭발 / 기체 결함1974년 3월 3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7]보잉 747-237B329명전원사망폭탄 테러1985년 6월 23일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사우디아 항공 163편 화재 사고[8]록히드 L-1011-385-1-15 트라이스타 200301명전원사망기내 화재 / 설계 결함 / 조종사 과실1980년 8월 19일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9]보잉 777-2H6/ER298명전원사망민항기 오인 격추2014년 7월 17일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8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10]에어버스 A300B2-203290명전원사망민항기 오인 격추1988년 7월 3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9이란 일류신 Il-76 추락 사고[11]일류신 Il-76MD275명전원사망불명2003년 2월 19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0아메리칸 항공 191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10-10273명[12]승객전원사망,지상2명엔진 이탈 / 정비 불량1979년 5월 25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1팬 아메리칸 항공 103편 폭파 사건보잉 747-121270명[13]승객전원사망폭탄 테러1988년 12월 21일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2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14]보잉 747-230B269명전원사망격추 / 조종사 과실1983년 9월 1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3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00-605R265명[15]승객전원사망수직꼬리날개 이탈 / 비행규정 미비,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2001년 11월 12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4중화항공 140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00B4-622R264명승객7명실속 / 조종사 과실1994년 4월 26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5나이지리아 항공 2120편 추락 사고[16]맥도넬 더글라스 DC-8-61261명전원사망공중 폭발 / 정비 불량1991년 7월 11일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6 (공동)에어 뉴질랜드 901편 추락 사고[17]맥도넬 더글라스 DC-10-30257명전원사망CFIT[18] / 조종사 과실1979년 11월 28일
[[남극|{{{#!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018년 알제리 공군 IL-76 추락 사고일류신 Il-76전원사망이륙 직후 추락2018년 4월 11일
[[알제리|{{{#!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애로우 항공 1285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63256명전원사망실속 / 날개 결빙, 과적, 조종사 과실1985년 12월 12일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보잉 777-2H6/ER239명전원사망추정불명2014년 3월 8일
인도양 해상(추정)
20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152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00B4-220234명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97년 9월 26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1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보잉 747-131230명전원사망공중 폭발 / 기체 결함1996년 7월 17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2스위스에어 111편 추락 사고[19]맥도넬 더글라스 MD-11229명전원사망기내 화재 / 기체 결함1998년 9월 2일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3 (공동)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보잉 747-3B5228명26명CFIT / 악천후,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1997년 8월 6일
[[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어 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20]에어버스 A330-203전원사망실속 /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2009년 6월 1일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5중화항공 611편 공중분해 사고보잉 747-209B225명전원사망공중분해 / 정비 불량2002년 5월 25일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6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21]에어버스 A321-231224명전원사망폭탄 테러2015년 10월 31일
[[이집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7라우다 항공 004편 추락 사고[22]보잉 767-3Z9(ER)223명전원사망실속 / 기체 결함1991년 5월 26일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8이집트 항공 990편 추락 사고보잉 767-366/ER217명전원사망자살 비행[A]1999년 10월 31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29에어 인디아 855편 추락 사고보잉 747-237B213명전원사망실속 / 기체 결함, 조종사 과실1978년 1월 1일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0중화항공 676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00B4-622R203명[24]승객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98년 2월 16일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1아에로플로트 7425편 추락 사고[25]투폴레프 Tu-154B-2200명전원사망실속 / 조종사 과실1985년 7월 10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
}}}
}}}
##─────────────────── 2번째 접기문법 위치(▲) ────────
[ 199명~150명 ]
||<tablebgcolor=#fff,#1c1d1f><width=9999><-7>참고: 9.11 테러1996년 에어 아프리카 An-32B 추락 사고는 사고/테러의 중심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 수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군용기도 민항기가 아니므로 공중충돌이나 수송용 목적이 아니면 사망자가 81명 이상인 항공사고 빼고 가급적 틀에서 제외함.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순위사고명 [비고]사고 기종사망자 수생존자 / 지상 인원 부상자 수사고 분류 / 원인발생일 및 위치
32TAM 3054편 활주로 이탈 사고에어버스 A320-233199명[26]승객전원사망,지상13명활주로 이탈[27] /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2007년 7월 17일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3마르틴에어 138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55CF191명전원사망CFIT1974년 12월 4일
[[스리랑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4 (공동)버겐에어 301편 추락 사고[28]보잉 757-225189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 정비 불량1996년 2월 6일
[[도미니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라이온 에어 610편 추락 사고[29]보잉 737 MAX 8전원사망설계 결함, 운항 매뉴얼 교육부족, 정비 불량2018년 10월 29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6로얄 에어 모로코 보잉 707 추락 사고[30]보잉 707-321C188명전원사망CFIT, 조종사 과실1975년 8월 3일
[[모로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7 (공동)로프트레이디르 아이슬란드 항공 001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63CF183명79명CFIT1978년 11월 15일
[[스리랑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LOT 5055편 추락 사고[31]일류신 Il-62M전원사망제조 결함으로 인한 엔진 고장1987년 5월 9일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39아비앙카 011편 추락 사고보잉 747-283B181명11명조종사 과실1983년 11월 27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0이넥스 아드리아 항공 1308편 추락 사고[32]맥도넬 더글라스 MD-81180명전원사망CFIT1981년 12월 1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1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33]보잉 737-8AS(WL)179명2명활주로 이탈, 조사 중2024년 12월 29일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2 (공동)드네프로제르진스크 상공 공중 충돌 사고투폴레프 Tu-134A
투폴레프 Tu-134AK[34]
178명전원사망공중 충돌1979년 8월 11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에로플로트 3352편 착륙 사고Tu-154B-1178명[35]5명관제사 과실 / 지상충돌1984년 10월 11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4 (공동)나이지리아 항공 보잉 707 추락 사고보잉 707-3D3C176명26명기어 탈락 / 악천후1973년 1월 22일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자그레브 상공 공중충돌 사고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3B
맥도넬 더글라스 DC-9-32
전원사망공중 충돌1976년 9월 10일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수리남 항공 764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6211명조종사 과실1989년 6월 8일
[[수리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보잉 737-8KV(WL)전원사망민항기 격추2020년 1월 8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8아에로플로트 217편 추락 사고일류신 Il-62174명전원사망원인 불명1972년 10월 13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49 (공동)UTA 772편 폭파 사건맥도넬 더글라스 DC-10-30170명전원사망폭탄 테러1989년 9월 19일
[[차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풀코보 항공 612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M전원사망조종사 과실, 실속2006년 8월 22일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1케냐항공 431편 추락 사고[37]에어버스 A310-304169명10명조종사 과실2000년 1월 30일
[[코트디부아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2카스피안 항공 7908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M168명전원사망엔진 고장2009년 7월 15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3 (공동)멕시카나 항공 940편 추락 사고[38]보잉 727-264167명전원사망기내 화재1986년 3월 31일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파키스탄 국제항공 268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00B4-203전원사망CFIT1992년 9월 28일
[[네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5아에로플로트 4225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B-2166명전원사망마이크로버스트1980년 7월 8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6 (공동)전일본공수 시즈쿠이시 공중충돌 사고보잉 727-281
노스 아메리칸 F-86F 세이버
162명전원사망공중 충돌1971년 7월 30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 8501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20-216전원사망기체 결함,조종사 과실2014년 12월 28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58 (공동)중국서북항공 2303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M160명전원사망정비 불량1994년 6월 6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웨스트 캐리비안 항공 708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2전원사망조종사 과실2005년 8월 16일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0 (공동)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보잉 747-244BM159명전원사망불명1987년 11월 28일
[[모리셔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메리칸 항공 965편 추락 사고보잉 757-223전원사망조종사 과실1995년 12월 20일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92년 나이지리아 공군 C-130 추락 사고록히드 C-130H 허큘리스전원사망엔진 고장1992년 9월 26일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리비아 아랍 항공 1103편 공중충돌 사고보잉 727-2L5
미그 MiG-23
전자전원사망,후자전원생존공중 충돌 / 조종사 과실1992년 12월 22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다나 에어 992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3159명[41]승객전원사망조종사 과실, 엔진 고장2012년 6월 3일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5에어 인디아 익스프레스 812편 활주로 이탈 사고보잉 737-8NG(WL)158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2010년 5월 22일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6에티오피아 항공 302편 추락 사고보잉 737 MAX 8157명전원사망설계 결함, 운항 매뉴얼 오류2019년 3월 10일
[[에티오피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67 (공동)인터플루크 450편 추락 사고일류신 Il-62156명전원사망기내 화재1972년 8월 14일
[[동독|{{{#!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파키스탄 국제항공 740편 추락 사고보잉 707-340C전원사망기내 화재1979년 11월 26일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노스웨스트 항공 255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2156명[42]승객1명,지상인원5명조종사 과실1987년 8월 16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0 (공동)스판탁스 275편 추락 사고컨베어 CV-990155명전원사망악천후1972년 12월 3일
[[프랑코 정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캄득 C-130 격추 사건록히드 C-130B Hercules전원사망격추1968년 5월 12일
[[베트남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비아사 항공 742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9-32155명[43]승객전원사망과적1969년 3월 16일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3 (공동)터키항공 452편 추락 사고보잉 727-2F2154명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76년 9월 19일
[[튀르키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마투그로수 상공 공중 충돌 사고보잉 737-8EH(WL)
엠브라에르 Legacy 600
전자 전원 사망,후자 7명 전원 생존공중 충돌 / 관제사 과실, 조종사 과실2006년 9월 29일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스팬에어 5022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218명조종사 과실2008년 8월 20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6팬 아메리칸 항공 759편 추락 사고보잉 727-235153명[45]승객전원사망마이크로버스트, 윈드시어1982년 7월 9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77 (공동)조선민항 Tu-154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152명전원사망버드 스트라이크1972년 가을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10-3241명조종사 과실2009년 6월 30일
[[코모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어블루 202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21-231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2010년 7월 28일
[[파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80 (공동)쿠바나 항공 9046편 추락 사고일류신 Il-62M150명[46]승객전원사망윈드시어 / 조종사 과실1989년 9월 3일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저먼윙스 9525편 추락 사건에어버스 A320-211150명전원사망자살 비행[A]2015년 3월 24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 3번째 접기문법 위치(▲) ────────
[ 149명~100명 ]
||<tablebgcolor=#fff,#1c1d1f><width=9999><-7>참고: 9.11 테러1996년 에어 아프리카 An-32B 추락 사고는 사고/테러의 중심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 수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군용기도 민항기가 아니므로 공중충돌이나 수송용 목적이 아니면 사망자가 81명 이상인 항공사고 빼고 가급적 틀에서 제외함.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순위사고명 [비고]사고 기종사망자 수생존자 / 지상 인원 부상자 수사고 분류 / 원인발생일 및 위치
82만다라 항공 91편 추락 사고보잉 737-230 Adv149명[48]승객17명,지상26명조종사 과실2005년 9월 5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83 (공동)플래시 항공 604편 추락 사고보잉 737-3Q8148명전원사망불명2004년 1월 3일
홍해
이베리아 항공 610편 추락 사고보잉 727-256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85년 2월 19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85단 에어 1008편 추락 사고보잉 727-46146명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80년 4월 25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86블라디보스토크 항공 352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M145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 / 실속2001년 7월 4일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87 (공동)ADC 항공 086편 추락 사고
보잉 727-231
144명전원 사망조종불능1996년 11월 7일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샌디에이고 상공 공중충돌 사고보잉 727-214
세스나 172
144명[50]승객전원사망,지상9명공중 충돌 / 관제사 과실1978년 9월 25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인디팬던트 에어 1851편 추락 사고보잉 707-331B144명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89년 2월 8일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90 (공동)걸프에어 072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20-212143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2000년 8월 23일
[[바레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비앙카 410편 추락 사고보잉 727-21전원사망조종사 과실1988년 3월 27일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92 (공동)UTAGE 141편 추락 사고보잉 727-223141명19명 과적 / 정비 불량 / 항공사 과실2003년 12월 25일
[[베닌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95년 트랜스 서비스 에어리프트 L-188 추락 사고록히드 L-188C3명 과적 / 조종불능1995년 12월 18일
[[앙골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중국남방항공 3943편 추락 사고보잉 737-3Y0전원사망조종사 과실1992년 11월 24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브누코보 항공 2801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M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96년 8월 29일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96탄손누트 C-5 추락 사고록히드 C-5A Galaxy138명전원사망정비 불량1975년 4월 4일
[[베트남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97 (공동)VASP 168편 추락 사고보잉 727-212137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1982년 6월 8일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델타항공 191편 추락 사고록히드 L-1011-385-1137명[51]탑승객 27명,지상5명마이크로버스트 / 조종사 과실1985년 8월 2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99뉴욕 공중충돌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11
록히드 L-1049 슈퍼 컨스텔레이션
134명[53]전원사망공중충돌1960년 12월 16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00 (공동)전일본공수 60편 추락 사고보잉 727-181133명전원사망불명1966년 2월 4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인디안 항공 113편 추락 사고보잉 737-2A82명CFIT / 악천후1988년 10월 19일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테헤란 상공 공중충돌 사고투폴레프 Tu-154M
Su-24
전원사망공중충돌 / 관제사 과실 / 조종사 과실1993년 2월 8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03 (공동)US에어 427편 추락 사고보잉 737-3B7132명전원사망기체 방향타 결함1994년 9월 8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중국동방항공 윈난공사 5735편 추락 사고보잉 737-89P(WL)전원사망자살 비행[A]2022년 3월 21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SAM 콜롬비아 501편 추락 사고보잉 727-146전원사망CFIT1993년 5월 19일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에로플로트 8641편 추락 사고Yak-42전원사망자크스크루 결함1982년 6월 28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07 (공동)TAP 포르투갈 항공 425편 활주로 이탈 사고보잉 727-282131명33명활주로 이탈1977년 11월 19일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어 필리핀 541편 추락 사고보잉 737-2H4전원사망조종사 과실2000년 4월 19일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TAN SHASA 414편 추락 사고보잉 727-22415명CFIT1989년 10월 21일
[[온두라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10 (공동)에어 프랑스 007편 추락 사고보잉 707-328130명2명기체 결함 / 이륙 실패 / 오버런1962년 6월 3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TAAG 앙골라 항공 462편 추락 사고보잉 737-2M2 Adv전원사망기체 결함1983년 11월 8일
[[앙골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12 (공동)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보잉 767-2J6(ER)129명37명선회접근 실패 / CFIT / 조종사 과실2002년 4월 15일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타치카와 미 공군 수송기 추락 사고더글라스 C-124 글로브마스터 II[56]전원사망엔진 고장1953년 6월 18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14 (공동)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지상 충돌 사고보잉 707-3J6B, 보잉 737-247, 보잉 757-21B128명97명하이재킹 / 지상충돌1990년 10월 2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이란항공 291편 추락 사고보잉 727-86전원사망CFIT1980년 1월 21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16 (공동)그랜드 캐니언 공중충돌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7
록히드 L-1049 슈퍼 컨스텔레이션
127명전원사망공중충돌1956년 6월 30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보자 항공 213편 추락 사고보잉 737-236A전원사망마이크로버스트 / 조종사 과실2012년 4월 20일
[[파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18 (공동)체코슬로바키아 항공 540편 추락 사고일류신 Il-62126명2명조종사 과실 또는 격추1975년 8월 20일
[[바트주의 시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글로브 항공 항공기 추락 사고브리스톨 브리타니아 3134명CFIT1967년 4월 20일
[[키프로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20 (공동)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에어버스 A310-324125명78명조종사 과실 / 활주로 이탈2006년 7월 9일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바이칼 항공 130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M125명[58]승객전원사망엔진 고장, 기내 화재1994년 1월 3일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22영국해외항공 911편 추락 사고보잉 707-436124명전원사망산악파로 인한 공중분해1966년 3월 5일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23 (공동)포셋 페루 항공 251편 추락 사고보잉 737-222123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 CFIT1996년 2월 29일
[[페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에로플로트 8381편 공중충돌 사고투폴레프 Tu-134A, An-26전원사망공중충돌1985년 5월 3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바리그 820편 화재 사고보잉 707-320C11명담배로 인한 항공기 화재1973년 7월 11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남아프리카 항공 228편 추락 사고보잉 707-344C5명조종사 과실, CFIT1968년 4월 20일
[[남서아프리카 위임통치령|{{{#!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27에티오피아 항공 961편 납치 사건보잉 767-260ER122명[59]50명하이재킹1996년 11월 23일
[[코모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28 (공동)파키스탄 국제항공 705편 추락 사고보잉 720121명6명CFIT1965년 5월 20일
[[아랍 연합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헬리오스 항공 522편 추락 사고보잉 737-31S전원사망조종사 과실, 연료 부족2005년 8월 14일
[[그리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30유흐노프 상공 공중 충돌 사고일류신 Il-14M
안토노프 An-12BP
120명전원사망공중충돌1969년 6월 23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31 (공동)TAME 에콰도르 항공 173편 추락 사고보잉 737-2V2119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 CFIT1983년 7월 11일
[[에콰도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이란 항공 투어 956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M전원사망조종사 과실, CFIT2002년 2월 12일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33 (공동)브리티쉬 유러피언 항공 548편 추락 사고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1C118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1972년 6월 18일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트랜스캐나다 항공 831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54CF불명시스템 고장1963년 11월 29일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밀라노 리나테 공항 지상 충돌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7
세스나 525
118명[61]승객전원사망지상 충돌 / 악천후 / 공항 시설 미비2001년 10월 8일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36 (공동)에어 인디아 101편 추락 사고보잉 707-437117명전원사망CFIT, 조종사 과실1966년 1월 24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벨뷰 항공 210편 추락 사고보잉 737-2L9전원사망불명2005년 10월 22일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38 (공동)수단 항공 139편 추락 사고보잉 737-2J8C Adv116명1명엔진 고장 / 조종사 과실2003년 7월 8일
[[수단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어 알제리 5017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3전원사망결빙, 조종사 과실2014년 7월 24일
[[말리|{{{#!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비오메프스 110편 추락 사고Yak-42전원사망조종사 과실1993년 11월 20일
[[마케도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41 (공동)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보잉 707-3B5C115명전원사망폭탄테러1987년 11월 29일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알리탈리아 112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43전원사망CFIT, 항공기 폭파1972년 5월 5일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43케냐항공 507편 추락 사고보잉 737-8AL(WL)114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2007년 5월 5일
[[카메룬|{{{#!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44 (공동)에어 프랑스 4590편 추락 사고아에로스파시알-BAC 콩코드113명[62]승객전원사망정비 불량[63] / 설계 결함[64]2000년 7월 25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어 프랑스 117편 추락 사고보잉 707-428113명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62년 6월 22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르마비아 967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20-211전원사망조종사 과실2006년 5월 3일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타이항공 311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10-304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92년 7월 31일
[[네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48 (공동)쿠바나 항공 972편 추락 사고보잉 737-201 Adv.112명1명조종사 과실2018년 5월 18일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이스턴 항공 66편 추락 사고보잉 727-22512명마이크로버스트 / 윈드시어1975년 6월 24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중국북방항공 6136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2전원사망기내 화재[65]2002년 5월 7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단 에어 1903편 추락 사고DH-106 코멧전원사망관제 실수로 인한 CFIT1970년 7월 3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걸프에어 771편 폭파 사건보잉 737-2P6전원사망폭탄 테러1983년 9월 23일
[[아랍에미리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중국민항 3303편 추락 사고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전원사망CFIT1982년 4월 26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스털링 항공 296편 추락 사고쉬드 아비아시옹 SE-210 카라벨 10B3전원사망조종사 과실, CFIT, 악천후1972년 3월 14일
[[아랍에미리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54 (공동)유나이티드 항공 232편 착륙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10-10111명[66]185명정비 불량1989년 7월 19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알래스카 항공 1866편 추락 사고보잉 727-193111명전원사망CFIT / 조종사 과실1971년 9월 14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에로플로트 909편 추락 사고일류신 Il-18전원사망기계적 결함1976년 3월 6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칼레도니안 항공 153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7C전원사망불명1962년 3월 4일
[[카메룬|{{{#!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66년 플라잉 타이거 라인 CL-44 추락 사고캐나디어 CL-44111명[67]승객전원사망 지상인원50명CFIT1962년 3월 4일
[[베트남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59 (공동)아비앙카 203편 폭파 사건보잉 727-21110명[68]전원사망폭탄 테러1989년 11월 27일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원동항공 103편 공중분해 사고보잉 737-222110명전원사망공중분해1981년 8월 22일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밸류젯 592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9-31전원사망기내 화재 / 정비 불량1996년 5월 11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에로플로트 3519편 추락 사고Tu-154B-2전원사망기내 화재 / 불명의 화재1984년 12월 23일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63에어캐나다 621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63109명전원사망착륙 실패 / 조종사 과실1970년 7월 5일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64 (공동)소솔리소 항공 1145편 착륙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9-32108명2명마이크로버스트, 조종사 과실1997년 12월 19일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리비아 항공 114편 격추 사건보잉 727-22424명민항기 격추1973년 2월 21일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오르비 조지아 항공기 격추 사건투폴레프 Tu-154B-224명조종사 과실1993년 9월 23일
[[조지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중국 일반 항공 7552편 이륙 사고야코블레프 Yak-4218명조종사 과실1992년 7월 31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중국 남서항공 4146편 추락 사고일류신 Il-18전원사망정비 불량1988년 1월 18일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알리탈리아 항공 4128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9-3221명조종사 과실1978년 12월 23일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아에로플로트 3932편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04전원사망조종사 과실 / 정비 불량1973년 9월 30일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인빅타 인터내셔널 항공 435편 추락 사고비커스 뱅가드37명조종사 과실1973년 4월 10일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72플라잉 타이거 라인 739편 실종 사건록히드 L-1049H107명전원 사망 추정실종1962년 3월 16일
태평양
173캄 에어 904편 추락 사고보잉 737-200105명전원사망CFIT / 악천후 / 조종사 과실 (추정)2005년 2월 3일
[[아프가니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74 (공동)실크에어 185편 추락 사고보잉 737-36N104명전원사망불명1997년 12월 19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이베리아 항공 602편 추락 사고SE-210전원사망조종사 과실1972년 1월 7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세부퍼시픽 항공 387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9-32전원사망조종사 과실1998년 2월 2일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77아프리키야 항공 771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30-202103명1명CFIT / 조종사 과실2010년 5월 12일
[[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78아담항공 574편 추락 사고보잉 737-4Q8102명전원사망계기 오류[69] / 정비 불량 / 조종사 과실2007년 1월 1일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79 (공동)이스턴 항공 401편 추락사고록히드 L-1011 385-1 TriStar101명75명CFIT / 조종사 과실1972년 12월 29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타이항공 261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10-20445명조종사 과실1998년 12월 11일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0말레이시아 항공 653편 추락 사고보잉 737-2H6100명전원사망하이재킹1977년 12월 4일
[[말레이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 4번째 접기문법 위치(▲) ────────
[ 99명~81명 ]
||<tablebgcolor=#fff,#1c1d1f><width=9999><-7>참고: 9.11 테러1996년 에어 아프리카 An-32B 추락 사고는 사고/테러의 중심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 수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군용기도 민항기가 아니므로 공중충돌이나 수송용 목적이 아니면 사망자가 81명 이상인 항공사고 빼고 가급적 틀에서 제외함.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순위사고명 [비고]사고 기종사망자 수생존자 / 지상 인원 부상자 수사고 분류 / 원인발생일 및 위치
181 (공동)TAM 402편 추락 사고포커 10099명[70]승객전원사망기체 결함 / 조종사 과실1996년 10월 31일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KLM 607-E편 추락 사고록히드 L-1049H-01-06-16299명전원사망불명1958년 8월 14일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3파키스탄 국제항공 8303편 추락 사고에어버스 A320-21498명[71]승객 2명, 지상 인원 7명조종사 과실2020년 5월 22일
[[파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4바리그 810편 추락사고보잉 707-44197명전원사망CFIT1962년 11월 27일
[[페루|{{{#!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5폴란드 공군 Tu-154 추락 사고투폴레프 Tu-154M96명전원사망CFIT /조종사 과실 / 탑승 VIP 과실2010년 4월 10일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6TAME 120편 추락 사고보잉 727-13494명전원사망CFIT / 항법 오류2002년 1월 28일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7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충돌 사고보잉 727-256/Adv
맥도넬 더글라스 DC-9-32
93명42명CFIT / 조종사 과실1983년 12월 7일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88 (공동)2004년 러시아 여객기 연쇄 테러 사건투폴레프 Tu-134
투폴레프 Tu-154
90명전원사망폭탄 테러2004년 8월 24일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에티오피아 항공 409편 추락 사고보잉 737-8AS(WL)전원사망조종사 과실2010년 1월 25일
[[레바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원투고 항공 269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240명조종사 과실 / 악천후[74] / 복행 실패2007년 9월 16일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1 (공동)아에로플로트 821편 추락 사고보잉 737-50588명전원사망조종사 과실(음주운항)2008년 9월 14일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알래스카 항공 261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MD-83전원사망정비 불량2000년 1월 31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트랜스 월드 항공 841편 폭파 사건보잉 707-331B전원사망폭탄 테러1974년 9월 8일
[[그리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4에어 인터 148편 추락사고에어버스 A320-11187명9명CFIT / 조종사 과실1992년 1월 20일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5일본항공 471편 추락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8-5386명[75]4명공항 시설 낙후 (일본 측 주장)
조종사 과실, CFIT (인도 측 주장)
1972년 6월 14일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6 (공동)싱가포르항공 006편 이륙 사고보잉 747-41283명96명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 악천후, 활주로 이탈2000년 10월 31일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앨러게네이 항공 853편 공중충돌 사고맥도넬 더글라스 DC-9-31
파이퍼 PA-28
전원사망공중충돌1969년 9월 9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8 (공동)세리토스 상공 공중 충돌 사고DC-9-32
파이퍼 PA-28 체로키
82명[77]승객전원사망, 지상인원8명공중 충돌, 조종사 과실, 관제사 과실1986년 8월 31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피드몬트 항공 22편 공중충돌 사고보잉 727-100
세스나 310
82명전원사망공중충돌1967년 7월 19일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199 (공동)캐세이퍼시픽항공 700Z편 폭파 사건컨베어 CV-880-22M-2181명전원사망폭탄 테러1972년 6월 15일
[[베트남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중동항공 438편 폭파 사건보잉 720-023B전원사망폭탄 테러1976년 1월 1일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0px; border: 1px solid #2d2f3433; vertical-align: middle"
}}}||
[ 각주 ]

[1] 항공기 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 보잉 747 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2] 전자 팬암 소속, 후자 KLM 소속 항공기[3] 단일 항공기 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4] 공중 충돌 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5] 전자 사우디, 후자 카자흐스탄 소속 항공기[6] DC-1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7] 항공기 폭파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8] 불시착 후 항공기 전소, L-1011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9] 보잉 77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10] A30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11]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Il-76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12] 탑승자 271명, 그 외 지상 2명[13] 탑승자 259명, 그 외 지상 11명[14] 대한민국 항공사고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15] 탑승자 260명, 그 외 지상 5명[16] DC-8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17] 화이트아웃으로 인한 추락[18] 제어 중이던 항공기가 의도치 않게 지면이나 산 등의 장애물을 향해 비행하여 발생하는 사고[19] MD-11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20] A33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21] A32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22] 보잉 76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A] 부기장의 고의 추락[24] 탑승자 196명, 그 외 지상 7명[25] Tu-154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26] 탑승자 187명, 그 외 지상 12명[27] 활주로 오버런으로 인해 건물과 충돌[28] 보잉 75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29] 보잉 73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30] 보잉 70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31] Il-62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32] MD-80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33] 대한민국 영토 내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34] 전자 아에로플로트 몰도바, 후자 아에로플로트 소속 항공기[35] 탑승자 174명, 그 외 지상 4명[36] 전자 영국항공, 후자 이넥스 아드리아 항공 소속 항공기[37] A310 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38] 보잉 727기종 최다 사망자 발생사고[39] 전자 전일본공수, 후자 항공자위대 소속 항공기[40] 전자 리비아 아랍 항공, 후자 리비아 공군 소속 항공기[41] 탑승자 153명, 그 외 지상 6명[42] 탑승자 154명, 그 외 지상 2명[43] 탑승자 84명, 그 외 지상 71명[44] 전자 골 항공 소속 항공기, 후자 전용기[45] 탑승자 145명, 그 외 지상 8명[46] 탑승자 126명, 그 외 지상 24명[A] 부기장의 고의 추락[48] 탑승자 100명, 그 외 지상 49명[49] 전자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항공, 후자 깁스 플라이트 센터 주식회사 소속 항공기[50] 탑승자 137명, 그 외 지상 7명[51] 탑승자 136명, 그 외 지상 1명[52] 전자 유나이티드 항공 소속 항공기, 후자 트랜스 월드 항공 소속 항공기[53] 탑승자 128명, 그 외 지상 6명[54] 전자 이란 항공 투어 소속 항공기, 후자 이란 공군 소속 항공기[A] 부기장의 고의 추락[56] 맥도넬 더글라스사가 초대형 수송가 프로젝트 때 만든 2층짜리 수송기이다.[57] 전자 유나이티드 항공 소속 항공기, 후자 트랜스 월드 항공 소속 항공기[58] 탑승자 124명, 그 외 지상 1명[59] 하이재커 3명 모두 사망했으나 사망자수에는 포함시키지 않는다.[60] 전자 스칸디나비아 항공 소속 항공기, 후자 에어 이벡스 소속 항공기[61] 탑승자 114명, 그 외 지상 4명[62] 탑승자 109명, 그 외 지상 4명[63] 에어 프랑스의 정비 문제는 아니고 컨티넨탈 항공의 항공기의 정비 문제로 인해 장애물이 떨어져 발생한 사고이다.[64] 특히 사고 발단 중 하나인 DC-10의 설계결함은 비상식적으로 은폐에 지적 무시 등 여러모로 악명높았다.[65] 방화[66] 부상자 1명이 사고 31일 후에 사망했지만 NTSB는 사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사람에 한해 사망자로 인정하기 때문에 공식 사망자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았다.[67] 탑승자 4명, 그 외 지상 107명[68] 탑승자 107명, 그 외 지상 3명[69] 관성항법장치 오류[70] 탑승자 95명, 그 외 지상 4명[71] 탑승자 97명, 그 외 지상 1명[72] 전자 이베리아 항공 소속 항공기, 후자 아비아코 항공 소속 항공기[73] 전자 볼가-아비아익스프레스 소속 항공기, 후자 시베리아 항공 소속 항공기[74] 윈드시어[75] 탑승자 82명, 그 외 지상 4명[76] 전자 아에로멕시코 소속 항공기, 후자 전용기[77] 탑승자 67명, 그 외 지상 15명[78] 전자 피드몬트 항공 소속 항공기, 후자 랜스에어 주식회사 소속 항공기


말레이시아어: Penerbangan 006 Singapore Airlines
영어: Singapore Airlines Flight 006 (SQ006/SIA006)
타밀어: சிங்கப்பூர் வான்வழி பறப்பு எண் 006
표준 중국어: 新加坡航空006號班機空難
파일:9V-SPK.jpg
사고 1년 전 히스로 공항 에서 찍힌 사고기의 사진.
파일:9v-spk.jpg
사고 3일 전, 시드니 국제공항에서 찍힌 사고기의 사진.[1]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2000년 10월 31일
유형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 악천후, 활주로 이탈
발생 위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중정국제공항 (구) 제2활주로 (05R/23L)
기종 Boeing 747-412
운영사 싱가포르항공
기체 등록번호 9V-SPK
출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창이 국제공항
경유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중정국제공항
도착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탑승인원 승객: 159명
승무원: 20명
사망자 승객: 79명
승무원: 4명
부상자 승객: 57명[2]
승무원: 14명[3]
생존자 승객: 80명
승무원: 16명

1. 개요2. 탑승객
2.1. 사망자 국적
3. 사고 진행4. 사고 피해5. 사고 조사
5.1. 05R 활주로에서 이륙한 이유
6. 사고 이후


1. 개요

2000년 10월 31일, 타이베이에서[4] 출발하여 LA로 향하는 싱가포르항공 006편(기종 : B747-412 / 기체 등록번호 : 9V-SPK)이 이륙 중 국제공항 활주로 상의 중장비들과 충돌, 대파된 사고.

탑승자 179명 중 사망자 83명, 부상자 71명을 기록한 항공 사고이다. 싱가포르항공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단 한 번도 사망 사고가 없는 항공사로 유명했지만 이 사고로 무사고 기록이 깨졌다.

또한 보잉 747-400의 3번째 손실 사고이자, 최초이자 유일한 여객형 747-400의 사망 사고이다.[5] 사고기인 9V-SPK는 1997년 1월 12일에 최초 비행을 하고 동년 1월 12일에 싱가포르항공으로 인도된 기령 3년 9개월의 비교적 새 기체였다.[6]

2. 탑승객

해당 사고기에는 승객 159명, 승무원 20명이 탑승하고 있었고, 탑승객은 모두 20개의 국적으로 이루어졌다.
국적 인원 수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7명 승객 55명, 승무원 2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7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8명 승객 11명, 승무원 17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레이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말레이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9명 승객 8명, 승무원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네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캄보디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캄보디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총 인원 179명

2.1. 사망자 국적

국적 인원 수 비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6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4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2명 승객 8명, 승무원 4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0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레이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말레이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네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네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트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트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명
총 인원 83명

3. 사고 진행

현지 시각 밤 9시, 폭우와 거센 바람이 몰아치는 상황에서 싱가포르항공 006편(이하 SQ006편)은 B5 게이트에서 출발 준비를 하고 있었다. 당시 타이베이에는 제20호 태풍 '샹산(Xangsane)'이 북상하고 있었고 서둘러 이륙하지 않을 경우 기상 악화로 이륙을 포기해야 되는 상황이었다.

밤 9시 5분 57초, SQ006편은 그라운드로부터 05L 활주로로 택싱을 허가받고 서둘러 05L 활주로로 택싱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한밤중인데다 기상상태까지 아주 불량해 통상적인 택싱 속도의 1/3 수준인 9노트로 서행할 수밖에 없었다. 조종사들은 점점 조바심이 나기 시작했다. 만약 시간이 지체되어 기상 악화로 이륙이 포기되면 항공사는 상당한 손해를 볼 것이기 때문이었다.

밤 9시 15분 22초, 활주로에 도착한 SQ006편은 관제탑으로부터 이륙허가를 받고 밤 9시 16분 36초, 이륙을 위해 스로틀을 끝까지 밀어붙였다. 드디어 이륙한다는 안도감에 한시름 덜은 조종사들은 기체가 V1(이륙 결심속도)에 도달하자 조종간을 당길 준비를 했다. 그 순간 기체가 중장비들과 충돌하며 엄청난 진동과 함께 앞으로 내려앉았고 화염에 휩싸인채 그대로 두 동강이 났다(밤 9시 17분 3초).

이후 300도 방향으로 회전한 기체는 다시 한번 롤러 2대를 들이박고 이때 연료 15만 리터가 들어 있던 탱크가 파손된다. 결국 연료들이 새면서 기체는 폭발하고 만다.

밤 9시 17분 36초, 중정국제공항 소방대에 비상벨이 울리고 소방차 41대, 구급차 58대, 조명차 9대, 436명의 인원이 투입되어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생존자들을 구출하기 시작했다.

4. 사고 피해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119707.jpg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119708.jpg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119706.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747-400006.png
탑승객 159명 중 79명 사망, 승무원 20명 중 4명이 사망하였다. 96명의 생존자들 중, 7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중상자 39명, 경상자 32명으로 피해가 없는 생존자는 단지 25명뿐이었다. 특히 연료탱크가 위치한 중앙부에 탑승한 승객들은 747기가 지상 구조물에 충돌하자마자 폭발하여 탈출 시도조차 못하고 대부분 사망했다. 결국 승무원 4명 승객 79명이 사망했다

5. 사고 조사

사고 이후 조사를 위해 중정국제공항(현 타오위완 국제공항)은 폐쇄되었다.

기장이 생존했기 때문에[7] 자세한 이야기를 기장으로부터 들을 수 있었다. 기장은 무언가와 충돌했다고 했기 때문에 3가지 가설안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사고 당시 다른 항공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장애물 흔적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가설안 중 2가지는 빠르게 조사 대상에서 제거되었다. 그리고 나온 결론은 SQ006편이 활주로 상의 중장비들과 충돌하여 대파됐다는 것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600_Runway.png
당시 중정국제공항은 05R, 05L 그리고 06번 활주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중 05R 활주로는 공사를 위하여 폐쇄된 상태였고 공사 구간에는 각종 건설자재와 중장비들이 방치되어 있었다. 조사 결과 SQ006편은 05L 활주로보다 215m 전방에 위치한 05R 활주로로 이륙을 시도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륙 결심속도에 도달한 거대한 여객기가 폐쇄된 활주로 상에 방치된 중장비들과 충돌한 것이다.

5.1. 05R 활주로에서 이륙한 이유

기장과 인터뷰한 결과, 지상 관제사가 유도로 변경을 지시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조사관들은 태풍으로 가시거리는 바닥까지 떨어졌으며 신경이 분산된 상태에서 조종실에서 착각이 일어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러나, 조종사들은 침착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할 일을 정확히 했다.

그렇다면 왜 조종사들이 활주로를 착각했던 것일까? 보잉 747의 통상적인 유도로 택싱 속도는 25노트였으나 태풍으로 인하여 비행기는 9노트의 속도로 유도로를 택싱했었다. 모두 완벽한 절차를 거쳤으나 조종사들과 공항은 각각 심각한 문제를 하나씩 가지고 있었다.

SQ006편의 조종사들은 비행편이 취소되기 직전이었기 때문에 마음이 상당히 급했다. 또한 당시 측풍이 심했기 때문에 측풍에 신경이 집중되어 있었다. 유도 시설이 낙후되어 잘못된 활주로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지 못한 것도 주 사고 원인이었다.

싱가포르항공의 허브 공항인 창이공항이나 이웃 홍콩 국제공항, 이 사고 1년 뒤 개항한 인천국제공항은 지상관제레이더가 항공기를 인식하여 특정 활주로까지 안내해주는 Follow light 서비스가 있었지만, 중정국제공항에는 그런 게 없었다.

ICAO 규정상 05R 활주로의 갈림길에는 16개의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어야 했지만 실제로는 단 4개만 설치되어 있었고, 그마저도 2개는 작동하지 않았다. 때문에 악천후였던 당시 05R으로 가는 유도등밖에 안보였다. 또한 유도로의 중앙선까지 끊어져 있었기 때문에 조종사들을 혼란에 빠트렸다. 유도로의 중앙선이 끊어진 것과 유도등이 작동하지 않은 것은 명백한 ICAO 규정 위반이었다.

이 외에도 05R 활주로의 진입을 막는 설비를 유도로에서 한참 떨어져 맑을 때도 보기 힘든 곳에 설치했고, 당시 대만은 예산부족을 이유로 지상관제 레이더를 설치하지 않았다. 하지만 마지막으로 잘못된 활주로에서 이륙을 하지 않을 방법이 있었는데, PVD 계기에 ILS가 활주로를 이탈했다는 경고를 띄웠기 때문이다. 부기장은 이를 보고 기장에게 경고하였으나, 태풍을 피해 빨리 이륙하고 싶었던 기장은 이 마지막 경고를 무시하고 말았다. 결국 성급함이 사고를 일으키고 말았다.

결국 잘못된 것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활주로의 위치를 착각한 것이 사고의 주요 원인이었다. 기장이 부조종사의 마지막 경고를 무시한 후 SQ006편이 사고를 피할 확률은 없었다.

6. 사고 이후

대만 항공청은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조종사들에게 관제탑과 더 자주 통신할 것을 권고했다. 중정국제공항은 당연히 갖추어야 할 장비들을 정확히 가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았다. 당시 대만의 공항들은 현재와 달리 낙후했다.

싱가포르항공의 안전 기록에 심각한 오점이 남았으며, SQ006편의 조종사들은 해고되었다. 또한 사고기와 같이 트로피칼 도장을 하고 있던 9V-SPL은 곧바로 일반 도장으로 환원되었다. 이후, 해당 편명은 SQ030/SQ029편으로 변경되었으며 몇 년 뒤에는 SQ028/SQ027편으로 바뀌었다. 현재는 SIN-LAX 논스톱 비행편들(SQ036/SQ035, SQ038/SQ037)과 나리타 국제공항을 경유하는 SQ012/SQ011편으로 LAX에 운항하고 있다.

조사관들은 항공기 탑승객에게 비행기의 사고 상황때 살아남을 수 있는 좌석에 대하여 정확하지는 않지만 앞쪽보다는 뒤쪽, 창가쪽 좌석보다는 복도좌석이 생존확률이 높다고 권고했다. 또한, 출구에서 앞뒤로 5자리 떨어진 곳을 권고했다.

05R-23L 활주로는 사고 이후 유도로로 전환되었고 06번 활주로를 05R-23L로 변경하였다.

이 사고 이후 싱가포르항공은 23년 넘게 사망자를 내지 않았으나 2024년 5월 21일 난기류로 인해 사망자가 1명 나왔다.[8] 자세한 사항은 싱가포르항공 321편 기체 요동 사고 문서 참조.
[1] 당시 사고기는 같은 기종인 9V-SPL과 함께 신형 1등석, 비즈니스석 홍보를 목적으로 '여름에 열대(Tropical Megatop)' 특별 도장을 하고 있었다.[2] 35명 중상[3] 4명 중상[4] 당시 명칭은 중정국제공항이었다. 천수이볜 정부 때 타오위안 국제공항이라고 공항 소재지의 이름을 따서 개명했다.[5] 전일본공수 61편 납치 사건은 조종사가 납치범에게 살해된 것이니 논외. 다른 747-400 사망 사고들은 모두 화물기 사고다.[6] 덤으로 해당 항공기는 신형 일등석을 홍보하기 위한 특별 도장을 하고 있었다.[7] 기장 뿐만 아니라 부기장도 큰 부상 없이 생존했다.[8] 다만 원래부터 심장 질환을 앓던 70대 영국 국적의 노인 1명이 난기류의 충격으로 인해 심장 쇼크로 사망한 것이라 항공기가 추락하는 등 싱가포르항공의 자체적인 문제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