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역사 | 총장 | 학부 | 대학원 | 상징 | 입시 | }}} |
재학생 정보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대학 생활 | 학사 제도 | 동아리 | 축제 | 총학생회 | 학내 언론 | }}} |
졸업생 / 기타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출신 인물 | 미식축구부 | 사건 사고 | 마이피누 | }}} | ||
캠퍼스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부산캠퍼스 | 양산캠퍼스 | 밀양캠퍼스 | ||||
아미캠퍼스 | | }}} | |||||
부속병원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부산대학교병원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
부산대학교한방병원 | 부산대학교치과병원 | }}} | |||||
사범대학 부설학교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사범대학부설특수학교 | }}} |
<colcolor=#fff> 부산대학교 釜山大學校 Pusan National University | ||||
| ||||
<colbgcolor=#005baa> 교육이념 | 진리(眞理) · 자유(自由) · 봉사(奉仕) | |||
상징 | <colbgcolor=#005baa><colcolor=#ffffff> 슬로건 | Arise PNU, 같이 더 높게 | ||
동물 | 독수리 | |||
교색 | PNU BLUE PNU GREEN | |||
국가 |
| |||
분류 | 국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 |||
지역 | 부산광역시 | 경상남도 | |||
개교 | 1946년 5월 15일 ([age(1946-05-15)]주년) 부산대학 | |||
총장 | 제22대 최재원[1] | |||
조직 | 학부 | 단과대학 15개 | ||
대학원 | 일반대학원 1개 전문대학원 5개 특수대학원 9개 | |||
연구 | 연구소 48개 BK21사업팀 11개 | |||
재학생 | 학부 | 19,674명(2024년)[2] | ||
대학원 | 10,099명(2024년)[3] | |||
교직원 | 3,653명(2024년)[4] | |||
대학병원 | 부산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5] 영남권역재활병원[6] 부산대학교한방병원 | |||
주소 | 부산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장전동) | ||
양산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로 49 (범어리) | |||
밀양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268-50 (청학리) | |||
아미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아미동) | |||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2024년) | ||||
국립대학육성사업 | 최우수 A등급(2023년) | |||
웹사이트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소셜 미디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부산캠퍼스 | ||||
양산캠퍼스 | ||||
밀양캠퍼스 | ||||
아미캠퍼스 |
1. 개요
부산대학교 전경 |
|
부산대학교 홍보영상 (2021) |
부산광역시 금정구, 경상남도 밀양시와 양산시에 소재한 4년제 국립대학.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의 부산캠퍼스와 서구 아미동1가의 아미캠퍼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의 양산캠퍼스(의생명과학캠퍼스), 밀양시 삼랑진읍 숭진리의 밀양캠퍼스(나노바이오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1946년에 두 개의 학부(지금의 단과대학)로 출발하여 2015년 기준으로 13개의 단과대학, 1개의 대학원, 5개의 전문대학원과 7개의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세계대학평가 역대 최고 순위 | ||
QS | 세계 | 401-450위(국내 12위) 2012 |
아시아 | 81위(국내 11위) 2025 | |
THE | 세계 | 501-600위(국내 16위) 2025 |
아시아 | 99위(국내 16위) 2025 | |
ARWU | 401-500위(국내 9-12위) 2024 | |
CWUR | 442위(국내 11위) 2025 | |
USN & WR | 709위(국내 11위) 2025 | |
Nature Index | 479위(국내 11위) 2025 |
부산대학교는 2021년 10월 6일 아시아·태평양에서 세계적 수준의 대학들이 협력해 글로벌 교육환경 발전을 도모하는 환태평양 대학 협회에 회원대학으로 가입했다. 환태평양 대학 협회에는 베이징대학, 칭화대학, 와세다대학, 국립대만대학, 호주국립대학교,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UC 버클리, 싱가포르 국립대학, 홍콩대학 등 18개국 60개 대학이 가입돼 있고, 국내에서는 부산대를 포함하여 서울대, 카이스트, 연세대, 고려대, 포스텍이 회원대학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1년 기준, 30대 그룹 상장 계열사 신임 대표이사 5명(전국 대학 2위), 100대 기업 CEO 8명(전국 대학 4위), 시가총액 상위 30대 기업 임원의 4.1%(전국 대학 7위)를 배출했다. 이외 경제계 곳곳에 동문들이 대거 진입하여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022년 QS 세계대학 취업능력 순위에서 301-501위를 차지하였다.
2023년, 역대 최대규모의 정부지원 사업인 글로컬대학 30 사업에 선정되었다. 부산교대와는 통합을 전제로 한 공동 응모 형태로 신청하였다. 이에 따라 통합이 확정되었으며, 통합 교명은 부산대를 유지하며 흡수통합의 형식을 가진다. 이에 따라 부산대는 무려 5개 캠퍼스를 가지는 대학이 되며, 지하철 역명을 3개나 사용하는 학교가 될 것으로 보인다.[7]
2. 교명
부산대학교
당시 1도 1국립대 원칙이 적용되던 상황에서 서울대학교를 제외하면 다른 지방국립대학의 명칭에 모두 도(道)이름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경남권 국립대학의 이름을 부산대로 지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 부산은 경성부(京城)에 이어 조선의 2도시였고, 조선 최고의 국제 무역항이자 상공업 도시였다. ‘부산(釜山)’이라는 도시명은 이미 국제화되었고, 향후 정부의 지방행정구역 개편시 특별시로 승격[8] 가능성[9][10]이 있으므로 서울대학교의 경우와 같이 부산이라는 도시명을 사용한 것이다. 그 당시 부산부(釜山府, 지금의 부산시)는 경상남도에 있는 하나의 도시에 불과하므로 “경남대학교”로 고집하는 인사들도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문교부와 경상남도의 원안(原案)대로 “부산대학교”로 결정되었다.
특히, 윤인구 초대 총장의 제자인 정권섭(부산대 56학번) 前동서대 총장에 따르면, "윤인구 초대 총장(경상남도 학무국장)은 전후의 폐허 속에서도 부산의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을 높이 보고 '부산대학'이란 이름을 고수했다"고 전했다. 【출처】국제신문 2016.3.20. 기사 참조 그 당시(1946년)에는 행정구역상 부산이 경상남도에 소속되어 있었고,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방의 국립대학들이 모두 해당 도(道)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었던 시절에 교명을 '부산대학교'라고 지었던 것은 초기 국립대학인 부산대를 세우면서 "부산(釜山)"이라는 도시의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을 높게 본 선각자들의 혜안(慧眼)이라고 부산대는 자신들의 교사(校史)에 기록하고 있다.(부산대학교 60년사, 세종문화사, p75~76 참조)[11]
결론을 말하자면, 직할시 승격을 염두에 두어서 ‘부산’을 붙였다는 주장은, 직할시 승격이 개교 후 20년 가까이의 긴 텀이 있었으므로 다소 짜맞추어진 경향이 없지 않았다. 게다가 당시에는 정부 직할의 독립 도시 개념이 특별시 외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특별시 승격 시도가 1949년, 즉 개교 3년 후부터 꾸준히 이어져온 점으로 미루어 직할시가 아닌 특별시 승격을 염두에 두고 부산대학교로 지은 것으로 볼 수 있다.
PUSAN NATIONAL UNIVERSITY ( PNU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부산은 Busan으로 표기해야 하지만, 제3장 제7항에 따라 기존에 계속해서 사용해오던 Pusan으로 표기해 Pusan National University라는 명칭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베이징대학의 경우에도, 영문 표기는 한어병음 Beijing이 아닌 Peking University이고, 칭화대학도 Qinghua가 아닌 Tsinghua University를 영문명으로 사용중이다. 일본의 간세이가쿠인대학도 Kansei가 아닌 Kwansei Gakuin University이다. 그 외 국내대학에서도 부산대(Pusan National University) 이외에, 경북대(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전남대(Chonnam National Univeristy) 등 대다수의 대학들이 "고유명사인 경우 관례대로 그동안 써 온 표기를 허용하는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의 취지에 따라, 모두 원래 표기방식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3.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colbgcolor=#005baa><colcolor=#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20년대 | 1930년대 | 1940년대 |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
부산사범학교 | 부산사범대학 | 부산대학교 | (부산교육대학으로 분리) | 부산대학교 | |||||||||||
부산수산전문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수산대학 | (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 | ||||||||||||
부산대학 |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 ||||||||||
밀양공립농잠학교 | 밀양공립농림중학교 | 밀양농잠고등학교 | 밀양실업고등학교 | 밀양농잠전문학교 | 밀양농잠전문대학 | 밀양산업대학교 | 밀양대학교 |
| |
개교식 (1946) | 부산캠퍼스 기공식 (1954) |
#윤인구
#일제강점기
#대학설립운동
일제강점기 일본의 식민지 대학교육은 조선의 독립정신 고취가 두려워, 고등교육을 막고 기초적인 교육만을 실시하는 등 철저한 우민화 교육을 시켰다. 또한 우리민족이 세우려는 민립대학 설립을 철저하게 방해하고 일본의 조선 지배를 위한 친일지식인을 양성하려는 목적 하에서 1개의 대학(경성제국대학)만을 대학으로 설립허가하고, 조선인들이 반발이 심해지자 전문 직업인 양성을 위한 전문학교를 인가해주는 수준에 그쳤다.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배속에서 조선의 백성들이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했고, 해방 후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인이 남기고 간 학교(적산건물)를 재정비하고 신사(神社), 신단(神檀) 등도 철거하였지만 한국인의 몸에 밴 일본식 교육이념은 쉽사리 바꾸기 어려웠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도 전국의 대학설립운동이 봇물처럼 터져나와 그러한 기운 속에서 경상남도는 5~6개의 대학설립기성회를 합쳐서 일본식민지 교육의 잔재를 청산하고 우리민족을 위한 조선교육을 재건하기 위해 대학다운 대학을 설립할 것을 결의하고 조선미군정청 문교부에 국립대학 설립을 건의하여 경상남도가 주도적으로 국립대학 설립기금 1,000만원을 납입하는 조건으로 문교부로부터 1946년 5월 15일 국립 부산대학교 설립인가를 받게 된 것이다.
#국립대학
#애덤스미스
#부산시
대학설립의 실무를 진두지휘했던 윤인구 초대총장은 자신이 영국유학을 하면서 "교육과 의료만큼은 시장에 맡기는 것보다는 국가가 책임지는 게 훨씬 낫다"는 애덤 스미스의 영향을 받아 부산대학교를 미션스쿨로 만들거나 학교내 신학과목을 개설하여 종교적 색채를 띄게 하지 않았고, 대학교육은 국가가 책임지고 맡아서 운영해야 한다는 교육자로써의 사명감[13]에 의해 해방되자마자 곧바로 설립된 과도정부인 미군정청 문교당국의 국가예산지원이 어렵다는 사실을 알고 초창기 국립대학 설립재원을 부산시민을 비롯한 지역유지, 각종 종교단체의 기부금으로 모금하여 국가예산으로 헌납한 후 대한민국 문교부에 의해 국립대학으로 설립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1948년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로서는 해방 후 미군정기에 대학설립이 난립하여 4~5년이 지나도 대학을 세우지 않았기 때문에 부산대학이야말로 독자적으로 세운 첫 대학이었다.
"이 비참한 현실의 인생에서 윤인구 부산대학교 초대총장의 취임사 중에서(1953.12.10) |
4. 총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총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총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a82, #005baa 20%, #005baa 80%, #004a8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미군정 아서 린 베커 | 초대 윤인구 | 제2대 문홍주 | 제3대 김순식 | 제4대 신기석 |
제5대 고광만 | 제6대 신기석 | 제7대 민병구 | 제8대 윤천주 | 제9대 허종현 | |
제10대 박기채 | 제11대 문홍주 | 제12대 최재훈 | 제13대 서주실 | 제14대 장혁표 | |
제15대 윤수인 | 제16대 박재윤 | 제17·18대 | 제19대 김기섭 | 제20대 전호환 | |
제21대 차정인 | 제22대 최재원 |
5. 상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상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상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상징 | |
교표 및 엠블럼 | |
| |
<colbgcolor=#f5f5f5,#f5f5f5> [[독수리| 독수리 ]] | 웅비 · 도약 · 희망을 상징 |
[[ㄱㅂㄷ| ㄱㅂㄷ ]] | 국립부산대학교를 형상화 |
[[책| 책 ]] | 학문과 진리를 탐구 |
마스코트 | |
<nopad> | |
산지니 sanjiniee | 기백과 야성으로 으뜸가는 우리 대학의 상징물 독수리에 친근감을 부여하여 형상화함 |
상징색 | |
PNU BLUE (#005baa) PNU GREEN (#00A651) | |
슬로건 | |
Arise PNU 같이 더 높게 | |
동물 | |
독수리 Eagle |
6. 학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학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005BAA,#005BAA><tablebgcolor=#005BAA,#005BAA> | 부산대학교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부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 |||
인문대학 | ||||
사범대학 | ||||
사회과학대학 | ||||
학부대학 | ||||
생활과학대학 | ||||
자연과학대학 | ||||
약학대학 | ||||
공과대학 | ||||
정보의생명공학대학 | ||||
경영대학 | ||||
경제통상대학 | ||||
예술대학 | ||||
- ⠀[ 양산 ]⠀
- ⠀[ 밀양 ]⠀
- ||<-2><bgcolor=#d3d3d3,#d3d3d3> {{{#!wiki style="margin: -5px -10px" ||
생명자원과학대학
※ 단과대학·학과 이름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7. 대학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대학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대학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전문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d3d3d3,#d3d3d3><width=1000> 국제전문대학원 ||<width=72.5%>국제통상전공국제지역협력전공국제물류및아항만관리전공EU전공한국학전공||
치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과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한의과학과법학전문대학원 법학과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 특수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d3d3d3,#d3d3d3><width=1000> 경영대학원 ||<width=72.5%>경영학전공Techno-MBA전공||
경제통상대학원 경제통상전공공공정책전공관광컨벤션전공행정대학원 행정학과사회복지학과교육대학원 교육리더십·학교컨설팅전공교육과정·수업컨설팅전공교육공학·국제교육협력전공교육철학전공학교상담전공평생교육전공특수교육전공유아교육전공유아특수교육전공국어교육전공한문교육전공영어교육전공독어교육전공불어교육전공일본어교육전공중국어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전공역사교육전공지리교육전공윤리교육전공사서교육전공수학교육전공물리교육전공화학교육전공생물교육전공지구과학교육전공환경교육전공가정교육전공영양교육전공간호교육전공체육교육전공음악교육전공미술교육전공산업대학원 토목공학전공건축공학전공건축학전공유기소재시스템전공스포츠산업학전공원예생명과학전공조경학전공국제차산업문화전공환경대학원 환경공학과환경과학과도시계획학과기술창업대학원 기술창업학과금융대학원 파생금융전공융합의생명과학대학원 보건학과임상바이오융합학과임상유전상담학과간호과학대학원 감염관리전문간호전공노인전문간호전공정신전문간호전공중환자전문간호전공
8. 세계대학평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005BAA,#005BAA><tablebgcolor=#005BAA,#005BAA> | 부산대학교 | }}} | |||||||
역대 최고 순위 | ||||||||||
QS | 세계 | 401-450위(국내 12위) 2012 | ||||||||
아시아 | 81위(국내 11위) 2025 | |||||||||
THE | 세계 | 501-600위(국내 16위) 2025 | ||||||||
아시아 | 99위(국내 16위) 2025 | |||||||||
ARWU | 401-500위(국내 9-12위) 2024 | |||||||||
CWUR | 442위(국내 11위) 2025 | |||||||||
USN & WR | 709위(국내 11위) 2025 | |||||||||
Nature Index | 479위(국내 11위) 2025 | |||||||||
연구의 질 평가 | ||||||||||
QS |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36.7점 2026 | |||||||||
THE | 연구의 질: 47.8점 2025 | |||||||||
USN & WR |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 세계 541위 2024 | |||||||||
CWTS |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 국내 11위 2024 | |||||||||
혜택 | ||||||||||
QS 500위 이내 D-10 구직비자와 E-7 취업비자 등을 취득 시 가점+경력제한 철폐+특별 우대 | ||||||||||
QS, THE 300위권 이내 일본그린카드 제도에서 가산점 부여 | ||||||||||
QS, THE, USN & WR 500위권 이내 구직목적 방문비자 취득 시 경력요건 면제 | ||||||||||
QS 400위 이내 영주권 취득 시 5점 가산 | ||||||||||
QS 500위 이내 인도 사회정의신장부의 국가해외장학금 선발과정에서 부산대 진학자를 우선선발 | ||||||||||
QS 지정 분야 50위 이내 부산대에서 유학하는 자국 유학생에 대한 해외유학장학금 지원 | ||||||||||
연도별 순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연도 | QS | THE | ARWU | CWUR | USN & WR | CWTS PP(top 10%) | Nature Index | ||
<colbgcolor=#f5f5f5,#f5f5f5>2020 | 521-530위 | 601-800위 | 401-500위 | 449위 | 641위 | 506위 | 459위 | |||
2021 | 581-590위 | 801-1000위 | 401-500위 | 449위 | 689위 | 494위 | 434위 | |||
2022 | 601-650위 | 801-1000위 | 501-600위 | 444위 | 701위 | 494위 | 434위 | |||
2023 | 601-650위 | 1001-1200위 | 401-500위 | 444위 | 698위 | 490위 | 451위 | |||
2024 | 611-620위 | 501-600위 | 401-500위 | 450위 | 718위 | 454위 | 494위 | |||
2025 | 524위 | 501-600위 | - | 442위 | 709위 | - | 488위 | |||
2026 | 473위 | - | - | - | - | - | - | |||
※ 각 세계대학평가의 '역대 최고 순위'에 한하여 볼드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5baa,#005baa><tableborder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학과별 세계대학평가 | }}} | ||||||||||||||||||||||||||||||||||||||||||||||||||||||||||||||||||||||
|
9. 캠퍼스
9.1. 부산캠퍼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5baa,#c3002f><tableborder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 }}} | ||
건물·시설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norma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건물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f5f5f5,#f5f5f5>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1A1B; color: #fff; font-size: 1.5em" | 101 MEMS/NANO 클린룸동 | 102 IT관 | 103 제12공학관 | |
105 제3공학관(융합기계관) | 106 효원문화회관 | 107 제8공학관(항공관) | |||
108 제9공학관(기전관) | 109 공과대학 공동실험관 | 110 에너지분야 실험실 | |||
111 실험폐기물처리장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7B23; color: #fff; font-size: 1.5em" | 201 제6공학관(컴퓨터공학관) | 202 운죽정 | 203 넉넉한터 | ||
204 넉넉한터 지하주차장 | 205 대학본부 | 206 제11공학관(조선해양공학관) | |||
207 제10공학관(특성화공학관) | 208 기계기술연구동 | 209 상남국제회관 | |||
210 언어교육원 | 211 보육종합센터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AD1A; color: #fff; font-size: 1.5em" | 301 구조실험동 | 302 토조실험동 | 303 기계관 | ||
306 인문관 | 307 인문대 교수연구동 | 308 제1물리관 | |||
309 제2물리관 | 310 문창회관 | 311 공동연구기기동 | |||
312 공동실험실습관 | 313 자연대 연구실험동 | 314 정보화교육관 | |||
315 자유관A | 316 자유관B | 317 직장어린이집 | |||
318 자유주차장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1B545; color: #fff; font-size: 1.5em" | 401 건설관 | 402 정학관 | 403 10.16 기념관 | ||
404 인덕관 주변 철골주차장 | 405 제2공학관(재료관) | 406 제7공학관(화공관) | |||
407 선박예인수조연구동 | 408 제5공학관(유기소재관) | 409 교수회관 | |||
410 선박충격·피로·도장시험연구동 | 412 박물관A | 413 박물관B | |||
414 지구관 | 415 샛벌회관 | 416 생물관 | |||
417 제1사범관 | 418 제2교수연구동 | 419 금정회관 | |||
420 새벽벌도서관 | 421 사회관 | 422 성학관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86CC; color: #fff; font-size: 1.5em" | 501 첨단과학관 | 503 약학관 | 506 효원산학협동관 | ||
507 인덕관 | 508 삼성산학협동관 | 509 박물관 별관 | |||
510 중앙도서관 | 511 간이체육관 | 512 테니스장 | |||
513 철골주차장 | 514 경영관 | 515 중앙도서관 및 정보화본부 | |||
516 경제통상관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5518F; color: #fff; font-size: 1.5em" | 601 예술관 | 602 생활과학관 강의동 | 603 생활과학관 연구동 | ||
605 학군단 | 606 화학관 | 607 수학관·공동연구소동 | |||
608 제2법학관 | 609 법학관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166AA; color: #fff; font-size: 1.5em" | 701 제2사범관 | 702 조소실 | 703 미술관 | ||
704 조형관 | 705 경암체육관 교수연구동 | 706 경암체육관 | |||
707 음악관 | 708 학생회관 | 709 과학기술연구동 | |||
710 대운동장 | 711 효원재 | 712 웅비관 A동 | |||
713 웅비관 B동 | 714 진리관 관리동 | 715 진리관 가동 | |||
716 진리관 나동 | 717 진리관 다동 | ||||
※ 건물명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 ⠀[ 편의시설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5f5f5,#f5f5f5><width=1000> 학식 ||<width=84%>[[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419 금정회관|금정회관]]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415 샛벌회관|샛벌회관]]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708 학생회관|학생회관]] ||
식당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국밥정가담(문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김피라 분식(문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칸웨이(문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맘스터치(효 B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홍대칼국수(효 B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피자몰(효 B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로운 샤브샤브(효 5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오월칼국수(효 5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애슐리퀸즈(효 5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삼백집(효 5F)]]카페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예다방(예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예술관|예다방(운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운죽정|Doppio Coffee]]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새벽벌도서관|coffee in village]]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기계관|cafe M]]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MBTI 카페(효 5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106 효원문화회관|벌크커피(효 B1F)]]편의점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새벽벌도서관| GS25(새)]]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문창회관|GS25(문)]]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건설관|GS25(건)]]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학생회관|GS25(학)]]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생활과학관|GS25(생)]]의료 [[부산대학교/캠퍼스#문창회관| 보건실(문 B1)]]금융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교수회관| 농협은행(교 1F)]][[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 ATM(건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건설관|ATM(경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경영관|ATM(국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국제관|ATM(대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문창회관|ATM(문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법학관|ATM(법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새벽벌도서관|ATM(새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융합기계관|ATM(융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자연대 연구실험동|ATM(자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중앙도서관|ATM(중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학생회관|ATM(학 1F)]]우편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우체국(문 2F)]]서점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효원문화회관| 영풍문고(효 1F)]]운동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5 ~316 자유관| 체력단련실(자 1F)]]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712~713 웅비관|체력단련실(웅 2F)]]취업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취업전략과(문 2F)]]기타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310 문창회관| 이발소(문 1F)]]※ 시설명을 누르면 해당 시설이 있는 건물 문서로 이동합니다.
캠퍼스 정보 | |
<colbgcolor=#f5f5f5,#f5f5f5>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장전동) |
교통 | 3번 출구로부터 500m 거리 1번 출구로부터 475m 거리 |
면적 | 1,897,423m²(573,970평) |
주변 지역 | |
산 | |
상권 |
9.2. 양산캠퍼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양산캠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양산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5baa,#c3002f><tableborder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 }}} | ||
건물·시설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건물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f5f5f5,#f5f5f5>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5B4F7; color: #fff; font-size: 1.5em" | Y01 경암의학관 | Y02 치의학전문대학원 | Y03 한의학전문대학원 | |
Y04 간호대학 | Y05 행림관 | Y06 지진방재연구센터 | |||
Y07 파워플랜트 | Y08 쓰레기집하장 | Y09 나래관 | |||
Y10 의생명과학도서관 | Y11 충격공학연구센터 시험연구동 | Y12 운동장 | |||
Y13 테니스장 | Y14 한국 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 센터 | Y15 첨단의생명융합센터 | |||
Y16 지행관 | Y17 경암공학관 |
캠퍼스 정보 | |
<colbgcolor=#f5f5f5,#f5f5f5> 주소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로 49 (범어리) |
교통 | 3번 출구로부터 900m 거리 |
면적 | 281,772m²(85,236평) |
9.3. 밀양캠퍼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밀양캠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밀양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5baa,#c3002f><tableborder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 }}} | ||
건물·시설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건물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f5f5f5,#f5f5f5>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6D32; color: #fff; font-size: 1.5em" | M01 행정지원본부동 | M01-1 나노생명과학도서관 | M02 나노과학기술관 | |
M03 생명자원과학관 | M04 학생회관 | M05 비마관 및 매화관 | |||
M05-1 청학관 | M06 종합실험실습관 | M07 정문수위실 | |||
M08 운동장 | M09 공동실험실습관 | M10 테니스장 | |||
M11 첨단온실 |
캠퍼스 정보 | |
<colbgcolor=#f5f5f5,#f5f5f5> 주소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268-50 (청학리) |
면적 | 330,310m²(99,918평) |
9.4. 아미캠퍼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아미캠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아미캠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5baa,#c3002f><tableborder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 }}} | |
캠퍼스 정보 | ||||
<colbgcolor=#f5f5f5,#f5f5f5> 주소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아미동) | |||
교통 | 4번 출구로부터 3m 거리 | |||
면적 | 31,406m²(9,500평) |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소재하는 부산대학교병원 본원이 있는 곳을 말한다. 당초 대학병원과 더불어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이 소재하여 메디컬 캠퍼스로 불리었으나, 현재는 양산캠퍼스로 의학전문대학원(의과대학으로 회귀), 치의학전문대학원, 간호대학 등이 이전하고, 한의학전문대학원이 신설된 후 의생명과학 특화캠퍼스는 양산캠퍼스를 말한다.
다만, 부산대 아미캠퍼스는 도심의 첨단의료시설(대학병원, 암센터, 국가지정 외상센터, 국가지정 호흡기센터, 응급의료센터 등)과 융합의학연구동(의학+치의학+생명과학+IT+기계 등의 융합연구)이 소재하여 도심형 의료와 연구중심병원을 지향한다는 의미에서 도심형 메디컬 캠퍼스로 불린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토성역 4번 출구를 이용하면 빠르게 갈 수 있다.[14] 걸어서 5분 거리에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
10. 입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입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입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005baa,#c3002f><tablebgcolor=#005baa,#c3002f> | }}} | ||
입학정원 전형별 비율 (학부/2026학년도) | ||||
수시 | 68.6% | |||
학생부교과 | 33.3% | |||
학생부종합 | 23.6% | |||
논술 | 7.4% | |||
실기·실적 | 4.3% | |||
정시 | 31.4% | |||
입학정원 대학별 비율 (학부/2026학년도) | ||||
인문 사회계열 | 28% | |||
7.3% | ||||
5.1% | ||||
3.6% | ||||
4.9% | ||||
4.4% | ||||
1.8% | ||||
0.5% | ||||
0.5% | ||||
자연계열 | 62.4% | |||
9.1% | ||||
26.9% | ||||
2% | ||||
0.8% | ||||
4.5% | ||||
5.7% | ||||
5.8% | ||||
1.7% | ||||
2.6% | ||||
1.7% | ||||
0.5% | ||||
1.3% | ||||
기타계열 | 9.6% | |||
1.1% | ||||
4.8% | ||||
3.7% |
11. 학사제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학사제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학사제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005baa,#c3002f><tablebg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 }}} |
교과과정 (교양·전공·교직·ROTC) 성적평가 (4.5점 만점) 졸업 (졸업 요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교과과정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교과과정 구성 | ||
교양과목 | |||
교양필수 | 부산대학교 학생이라면 반드시 들어야하는 교양 | ||
교양선택 | ※ 해당 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교직이수에 해당하지 않는 학생이 다른 전공과목 또는 교직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교양선택으로 분류됨 | ||
전공과목 | |||
전공기초 | 소속계열별 기본 지식·기술 중심으로 편성, 지정 학년 및 학기에 반드시 이수 | ||
전공필수 |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과정을 선택한 자가 해당 전공(학과)의 전공과목을 이수한 경우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과목으로 분류됨 | ||
전공선택 | |||
교직과목 | |||
교직과목 | 교직과정이수자 이수 | ||
ROTC | |||
ROTC | 학군단 과목 | ||
- ⠀[ 성적평가 ]⠀
- ||<-2><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bgcolor=#939393,#939393><:>성적평가||
성적평가표 등급 평점 A+ 4.5 A0 4.0 B+ 3.5 B0 3.0 C+ 2.5 C0 2.0 D+ 1.5 D0 1.0 F·FA(출석미달) 0.0
11.1. 장학 제도
| |||
1 Premier | 5 국가우수(이공계) | ||
2 생명자원과학대학특별 | 6 국가우수(인문100년) | ||
3 성적우수 | 7 국가우수(예술체육비전) | ||
4 국가우수 (대통령과학) | 8 희망사다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 장학금의 이름을 누르면 해당 장학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1 Premier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1-1 인문·사회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국어와 수학(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의 합산 백분위 점수가 189점 이상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1-2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이상 | ||
비고 | 계속지급 요건1회 성적미달 시 1회에 한하여 지급 제외되며, 누적 2회 성적미달 시 영구탈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1-2 자연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국어와 수학(미적분, 기하) 영역의 합산 백분위 점수가 189점 이상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1-2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이상 | ||
비고 | 계속지급 요건1회 성적미달 시 1회에 한하여 지급 제외되며, 누적 2회 성적미달 시 영구탈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1-3 예술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국어 영역 백분위 점수가 98점 이상이고 영어영역 1등급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1-2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이상 | ||
비고 | 계속지급 요건1회 성적미달 시 1회에 한하여 지급 제외되며, 누적 2회 성적미달 시 영구탈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1-4 체육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국어 영역 백분위 점수가 98점 이상이고 영어영역 1등급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1-2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이상 | ||
비고 | 계속지급 요건 1회 성적미달 시 1회에 한하여 지급 제외되며, 누적 2회 성적미달 시 영구탈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1-5 의·약학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국어와 수학(미적분, 기하) 영역의 합산 백분위 점수가 196점 이상 중 모집단위별 모집인원의 3% 이내 고득점 순 선발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1-2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이상 | ||
비고 | 계속지급 요건 1회 성적미달 시 1회에 한하여 지급 제외되며, 누적 2회 성적미달 시 영구탈락 | ||
2 생명자원과학대학특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A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생명자원과학대학 학생 중 수능 전체영역의 평균등급이 2.2등급 이내(탐구영역은 2개 과목 평균 등급으로 반영)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1-2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이상 | ||
비고 | 계속지급 요건 1회 성적미달 시 1회에 한하여 지급 제외되며, 누적 2회 성적미달 시 영구탈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B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생명자원과학대학 학생 중 수능 전체영역의 평균등급이 2.6등급 이내(탐구영역은 2개 과목 평균 등급으로 반영) | ||
장학금액 | 수업료Ⅰ전액+수업료Ⅱ반액 | ||
선발시기 | 1-2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이상 | ||
비고 | 계속지급 요건 1회 성적미달 시 1회에 한하여 지급 제외되며, 누적 2회 성적미달 시 영구탈락 | ||
3 성적우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신입생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해당 학년도 계열별 수능 지정영역 백분위 점수 우수한 학생 중 배정인원 내 선발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또는 일부 | ||
선발시기 | 1-2월 | ||
지급기간 | 해당학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재학생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기본 공통기준) 직전학기 평점평균 2.5 이상인 자 중 배정인원 내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또는 일부 | ||
선발시기 | 2월/8월 | ||
지급기간 | 해당학기 | ||
4 국가우수(대통령과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대통령과학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자연과학 및 공학계열 최우수 학생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학업장려비 | ||
선발시기 | 3-5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2, 학업장려비 3.7 | ||
5 국가우수(이공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성적우수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651;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로서 국내 4년제 대학 자연과학 및 공과계열 학과(부)에 입학하여 재학 중인 신입생 중 대학의 추천을 받은 자 * 졸업 이후 이공계열 진로를 설정하고 유지하고자 하는 자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3-5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2년지원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651;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로서 국내 4년제 대학 자연과학 및 공학계열 학과(부) 3학년 학생 중 대학의 추천을 받은 자(국가우수장학생(이공계)으로 선발된 이력이 없는 자) * 졸업 이후 이공계열 진로를 설정하고 유지하고자 하는 자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3-5월 | ||
지급기간 | 최대4학기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2 | ||
6 국가우수(인문100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전공탐색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651;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로서 인문·사회계열 학과(부)에 재학생 중 대학의 추천을 받은 자 * 1학년 재학생(신입생)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4-6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전공확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651;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로서 인문·사회계열 학과(부)에 재학생 중 대학의 추천을 받은 자 * 3학년 재학생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4-6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1 | ||
7 국가우수(예술체육비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전공탐색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651;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로서 예술·체육계열 학과(부)에 재학 중인 학생 중 대학의 추천을 받은 자 * 1학년 재학생(신입생)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4-6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3.51 | ||
8 희망사다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희망사다리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651;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로서 3학년 이상 재학 중이며 직전학기 평점평균 1.51 이상인 자 중 대학의 추천을 받은 자 * 중소/중견 기업 취업희망자 또는 취업자, 창업희망자 또는 창업자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취창업지원금 | ||
선발시기 | 3-5월 | ||
지급기간 | 최대4학기 | ||
계속지급 요건 | 평점평균 1.51 | ||
| |||
1 학업지원(소득분위) | 5 근로봉사 | ||
2 학업지원(장학사정관) | 6 국가근로 | ||
3 생활지원형학업장려금 | 7 국가장학금(Ⅰ,Ⅱ,다자녀) | ||
4 유니웰 | 8 국가장학금(지역인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 장학금의 이름을 누르면 해당 장학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1 학업지원(소득분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학업지원(소득분위) 장학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경제적 사정이 곤란한 학생으로 직전학기 평점평균 2.51 이상인 자 중 국가장학금과 연계하여 선발 * 경제적 사정이 곤란한 학생으로 직전학기 평점평균 2.0~2.5 학생은 예산에 따라 학년 말에 별도 선발할 수 있음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또는 일부 | ||
선발시기 | 국가장학금선발과 연계 | ||
지급기간 | 해당학기 | ||
2 학업지원(장학사정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학업지원(소득분위) 장학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국가장학 심사 탈락 학생으로 직전학기 평점평균 2.0 이상인 자 중 가계곤란 사유를 장학사정관이 심사하여 등록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 | ||
장학금액 | 등록금 일부 | ||
선발시기 | 4-5월/10-11월 | ||
지급기간 | 해당학기 | ||
3 생활지원형학업장려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생활지원형학업장려금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국학자금지원구간 기초~3구간 해당하고 해당학기 평점평균 3.5 이상인 자 | ||
장학금액 | 장려금 60만원 | ||
선발시기 | 2월/8월 말 | ||
지급기간 | 해당학기 | ||
4 유니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유니웰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기초~차상위 재학생 중 아동복지시설 또는 위탁가정에서 3년 이상 생활한 자 | ||
장학금액 | 생활비 30만원 | ||
선발시기 | 2월/8월 | ||
지급기간 | 매월 | ||
계속지급요건 | 평점평균 1.8 | ||
5 근로봉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근로봉사 장학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학자금지원구간 기초~8구간 해당하고 직전학기 평점평균 2.5 이상인 자 중 근무희망 부서에 지원한 학생의 성적 순 | ||
장학금액 | 근로시간×지급단가 | ||
선발시기 | 2월/8월 | ||
지급기간 | 해당학기 | ||
6 국가근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국가근로 장학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학자금지원구간 기초~6구간에 해당하고 직전학기 평점평균 1.51 이상인 자 중 학자금지원구간 및 성적 점수 합산 순(단, 5~6구간은 직전학기 선발자 제외) | ||
장학금액 | 근로시간×지급단가 | ||
선발시기 | 2월/8월 | ||
지급기간 | 해당학기 | ||
7 국가장학금(Ⅰ,Ⅱ,다자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국가장학금(Ⅰ,Ⅱ,다자녀)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학자금지원구간 기초∼8구간 해당하고 직전학기 평점평균 2.51(80/100점) 이상인 자 * 국가장학금Ⅱ유형은 매 학기 말 선발(단, Ⅰ유형 선발자 제외)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또는 일부 | ||
선발시기 | 학기중 | ||
지급기간 | 해당학기 | ||
8 국가장학금(지역인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입학성적유형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학자금지원구간 기초~9구간 해당하고 직전학기 평점평균 2.51(80/100점) 이상인 자 * 수능영역(국어/수학/외국어(영어), 기타(탐구 및 제2외국어 등) 중 2개 영역 이상 3등급 이내 입학자 또는 고교3학년1학기 까지의 이수과목 1/2이상 3등급 이내 입학자 중 성적기준 우수자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5-6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요건 | 학자금지원구간 기초~5구간 평점평균 2.5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특성화유형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baa; color: #fff; font-size: .9em" | ||
<colbgcolor=#f5f5f5,#f5f5f5>장학대상 | * 학자금지원구간 기초~9구간 해당하고 직전학기 평점평균 2.51(80/100점) 이상인 자 * 대학 발전계획에 따라 육성하고자 하는 분야 및 인재 | ||
장학금액 | 등록금 전액 | ||
선발시기 | 5-6월 | ||
지급기간 | 수업연한 | ||
계속지급요건 | 학자금지원구간 기초~5구간 평점평균 2.51 | ||
| |
1 국가보훈대상자 | 5 형제자매 |
2 북한이탈주민및자녀 | 6 체육특기자/공학교육인증/학군사관후보생 |
3 특수교육대상자 | 7 국가거점국립대학학사교류/학생간부봉사 |
4 국가고시합격자 |
11.2. 국내교류
| |
학점교류 대학 목록 | |
<colbgcolor=#f5f5f5,#f5f5f5>ㄱ | |
ㄷ | |
ㅂ | |
ㅅ | |
ㅇ | |
ㅈ | |
ㅊ | |
ㅎ |
부산대학교와 교류협정을 체결한 대학 중에서, 대부분 한 대학당 대략 수 명(1명 이상) 정도가 국내교류를 갔다 온다고 한다.
- 지원자격: 정규학기 지원자는 본교에서 2학기 이상 이수한 후 신청하여야 하며, 직전학기 학사경고자(1.8/4.5 이하)는 제외한다.
- 등록: 타 대학 정규학기 지원자는 수학하고자 하는 학기의 등록금을 본교에 납부하여야 하며, 계절수업 지원자는 수학대학에 납부하여야 한다.
- 수학 연한: 최대 2년(4학기). 즉 이건 무슨 말이냐면, 예를 들어서 부산대학교에서 2년, 교환학생으로 서울대학교에서 2년을 보낼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성적만 된다면(이유인즉 몇몇 대학의 경우 교류학생이 해당 대학에서 받은 평점이 일정 수준 미만이면 다시 지원해도 제외해버린다. 대표적인 사례로 서울대학교인데, 서울대는 2.3/4.3 미만이면 배제).
- 휴학 중인 경우: 휴학생은 국내 타 대학 등에서 수학할 수 없다. 다만, 계절수업 수강을 위한 복학자의 경우 수학을 허가 할 수 있다.
참고자료1 참고자료2
11.3. 국제교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교환학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교환학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gcolor=#005baa,#005baa> | 부산대학교 | }}} | ||||||||||||||||||||||||||||||||||||||||||||||||||||||||||||||||||||||||||||||||||||||||||||||||||||||||||||||||||||||||||||||||||||||||||||||||||||||||||||||||||||||||||||||||||||||||||||||||||||||||||||||||||||||||||||||||||||||||||||||||||||||||||||||||||||||||||||||||||||||||||||||||||||||||||||||||||||||||||||||||||||||||||||||||||||||||||||||||||||||||||||||||||||||||||||||||||||||||||||||||||||||||||||||||||||||||||||||||||||||||||||||||||||||||||||||||||||||||||||||||||||||||||||||||||||||||||||||||||||||||||||||||||||||||||||||||||||||||||||||||||||||||||||||||||||||||||||||||||||||||||||||||||||||||||||||||||||||||||||||||||||||||||||||||||||||||||||||||||||||||||||||||||||||||||||||||||||||||||||||||||||||||||||||||||||||||||||||||||||||||||||||||||||||||||||||||||||||||||||||||||||||||||||||||||||||||||||||||||||||||||||||||||||||||||||||||||||||||||||||||||
{{{#!wiki style="font-size: 1.1em"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2%;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wiki style="font-size: 1.1em"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2%;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wiki style="font-size: 1.1em"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2%;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wiki style="font-size: 1.1em"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2%;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wiki style="font-size: 1.1em"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2%;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
부산대학교는 구교연맹 소속 7개교, 학술연구간담회(RU11) 소속 11개교, 러셀 그룹 소속 13개교, 캐나다 연구중심대학 연합(U15) 소속 5개교, 그룹 오브 에이트 소속 8개교 등 64개 국가의 693개 대학/기관과 협약을 맺고 있다. 부산대와 국제교류 협약을 체결한 전체 기관 목록은 부산대학교 국제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동아시아
중국: 구교연맹 소속 7개교(상하이교통대학, 베이징대, 칭화대학, 난징대학, 하얼빈공업대학, 시안교통대학,푸단대학), 구교연맹 이외 쌍일류 소속 34개교
- 화둥 지방: 구교연맹 소속 3개교(상하이교통대학, 푸단대학, 난징대학), 쌍일류 소속 7개교(화둥사범대학, 동화대학, 화둥이공대학, 상하이중의약대학, 산둥대학, 상하이재경대학, 중국해양대학), 상하이재경대학 등
- 중난 지방: 쌍일류 소속 5개교(정저우대학, 중난재경정법대학, 중산대학, 지난대학, 화난이공대학) 등
- 시난 지방: 쌍일류 소속 3개교(시난교통대학, 충칭대학, 윈난대학) 등
- 시베이 지방: 구교연맹 소속 1개교(시안교통대학), 쌍일류 소속 1개교(란저우대학) 등
- 화베이 지방: 구교연맹 소속 2개교(베이징대, 칭화대학), 쌍일류 소속 13개교(중국인민대학, 베이징외국어대학, 베이징항공항천대학, 베이징공업대학, 베이징이공대학, 베이징중의약대학, 베이징사범대학, 베이징교통대학, 대외경제무역대학, 외교학원, 중국정법대학, 중국과학원대학, 난카이대학) 등
- 둥베이 지방: 구교연맹 소속 1개교(하얼빈공업대학), 쌍일류 소속 5개교(다롄이공대학, 둥베이대학, 다롄해사대학, 연변대학, 하얼빈공정대학) 등
홍콩: 홍콩대학, 홍콩중문대학, 링난대학, 홍콩과기대학, 홍콩침회대학, 홍콩성시대학
일본: RU11 소속 11개교(도쿄대학, 교토대학, 규슈대학, 홋카이도대학, 오사카대학, 나고야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도쿄과학대학, 와세다대학, 쓰쿠바대학, 도호쿠대학) 등
- 규슈 지방: RU11 소속 1개교(규슈대학), 후쿠오카대학, 가고시마대학, 구마모토대학, 규슈공업대학, 나가사키대학, 리츠메이칸아시아태평양대학, 사가대학
- 주고쿠 지방: 시마네대학, 야마구치대학, 오카야마대학, 히로시마대학
- 간사이 지방: RU11 소속 2개교(교토대학, 오사카대학), 간사이대학, 고베대학, 간세이가쿠인대학, 교토부립대학, 교토산업대학, 나라여자대학, 리츠메이칸대학, 오사카부립대학, 오사카시립대학, 와카야마대학
- 주부 지방: RU11 소속 1개교(나고야대학), 가나자와대학, 니가타대학, 시즈오카대학, 도야마대학
- 간토 지방: RU11 소속 5개교(게이오기주쿠대학, 도쿄대학, 도쿄과학대학, 쓰쿠바대학, 와세다대학), 군마대학, 도쿄도립대학, 도쿄해양대학, 메이지대학, 사이타마대학, 오차노미즈여자대학, 요코하마국립대학, 조치대학, 치바대학, 히토츠바시대학, 간다외어대학
- 도호쿠 지방: RU11 소속 1개교(도호쿠대학), 야마가타대학, 히로사키대학
- 홋카이도 지방: RU11 소속 1개교(홋카이도대학), 홋카이도교육대학
대만: 국립대만대학, 국립정치대학, 국립대만사범대학, 국립대북과기대학, 국립중정대학 등
몽골: 몽골국립대학교[15], 몽골과학기술대학교, 몽골국제대학교, 몽골생명과학대학
● 동남아시아
태국: 쭐랄롱꼰 대학교, 탐마삿 대학교, 까셋삿 대학교, 치앙마이 대학교, 송클라대학 등
캄보디아: 왕립농업대학
베트남: 호치민인문사회과학대학, 하노이과학기술대학, 하노이약학대학, 호치민사범대학, 호치민의약학대학 등
말레이시아: 말라야 대학교, 캘란탄대학, 말레이시아 공과대학, 헬프대학교 등
싱가포르: 난양이공대학, 싱가포르 경영대학, 싱가폴 국립대학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대학교, 가네샤 대학교, 반둥 공과대학교 등
필리핀: 카비테주립대학, 세인트라살대학 등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
● 동유럽
러시아: 모스크바 대학교,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북동연방대학교, 카잔연방대학 등
우크라이나: 키이우 공과대학교, 이반프란코르비우국립대학
몰도바: 몰도바국립대학교
폴란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바르샤바 대학교 등
체코: 브루노 공과대학교, 오스트라바 대학교 등
헝가리: 부다페스트 공과대학교,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 등
크로아티아: 자그레브경제경영대학
● 서유럽
영국: 러셀 그룹 소속 13개교(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뉴캐슬 대학교, 버밍엄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글래스고 대학교, 리버풀 대학교, 맨체스터 대학교, 노팅엄 대학교, 옥스포드 대학교, 셰필드 대학교, 사우스햄튼 대학교, 워릭대학교), 플리머스 대학, 서식스 대학교, 에식스 대학교 등
아일랜드: 골웨이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16] 등
프랑스: PSL 대학교 소속 그랑제콜 1개교(콜레주 드 프랑스), 파리 제1대학교, ECE-파리, ESCE 국제경영대학 등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 에라스무스대학, 트벤텐대학, 위트레흐트대학, 레이던대학 등
벨기에: 리에주 대학교, 아트벨데 대학 등
독일: GERMAN U15 소속 6개교 (괴팅겐 대학교, 쾰른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본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 베를린 자유대학교), 뮌헨공과대학교. 만하임대학교 등
오스트리아: 비엔나 대학교, 비엔나공과대학 등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제네바 대학교 등
● 남유럽
스페인: 나바라 대학교,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 데우스토대학, 부르고 대학교 등
포르투갈: 포르투 대학교
이탈리아: 제노바 대학교, 피렌체 대학교, 피사 대학교, 토리노 대학교 등
몰타: 몰타 대학교
그리스: 그리스 미국 대학
● 북유럽
노르웨이: 볼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노르웨이과학기술대학, 릴레함메르대학 등
스웨덴: 린네 대학교, 쇠데르테른대학, 우메오 대학 등
핀란드: 한켄경제대학, 투르쿠대학 등
덴마크: 덴마크 공과대학교, 코펜하겐 대학교 등
라트비아: 리가 공과대학교, 라트비아 대학교 등
리투아니아: 빌뉴스 대학교, 비타우타스마그누스대학
에스토니아: 타르투 대학교
● 북아메리카
미국: 카네기 분류 R1 소속 45개교, 카네기 분류 R2 소속 8개교 등
- 북동부: 카네기 분류 R1 소속 6개교(뉴햄프셔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시라큐스 대학교, 템플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카네기 분류 R2 소속 3개교(럿거스 대학교/캠든 캠퍼스, 매사추세츠 대학교/다트머스 캠퍼스, 토머스 제퍼슨 대학교) 등
- 남동부: 카네기 분류 R1 소속 10개교(마이애미 대학교(플로리다), 툴레인 대학교, 버지니아 대학교,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조지아 주립대학교,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플로리다 대학교, 켄터키 대학교), 카네기 분류 R2 소속 2개교(노바사우스이스턴대학,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그린스보로 캠퍼스) 등
- 중서부: 카네기 분류 R1 소속 13개교(데이턴 대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미시간 주립대학교,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인디애나 대학교,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 캠퍼스, 위스콘신 대학교/밀워키 캠퍼스, 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 미주리 대학교, 미주리 대학교/캔자스시티 캠퍼스,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캔자스 대학교), 카네기 분류 R2 소속 3개교(일리노이 공과대학교, 마이애미 대학교,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등
- 남서부: 카네기 분류 R1 소속 2개교(텍사스 A&M 대학교, 텍사스 대학교/샌안토니오 캠퍼스) 등
- 서부: 카네기 분류 R1 소속 13개교(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몬태나 주립대학교, 유타 대학교, 유타 주립대학교,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워싱턴 대학교, 워싱턴 주립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캘리포니아 대학교/리버사이드 캠퍼스, 캘리포니아 대학교/데이비스 캠퍼스, 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캠퍼스, 캘리포니아 대학교/어바인 캠퍼스), 카네기 분류 R2 소속 1개교(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 등
- 컬럼비아구: 카네기 분류 R1 소속 1개교(조지타운 대학교)
캐나다: 캐나다 연구중심대학 연합(U15) 소속 5개교(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매니토바 대학교, 맥마스터 대학교, 몬트리올 대학교, 오타와 대학교), 요크 대학교 등
멕시코: 멕시코자치기술대학교, 과나후아토 대학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대학
그린란드: 그린란드 대학교
● 남아메리카
● 호주
- 빅토리아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교(RMIT), 그룹 오브 에이트 소속 모내시 대학교 등
- 뉴사우스웨일스: 그룹 오브 에이트 소속 시드니 대학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뉴캐슬 대학교 등
- 퀸즐랜드: 그리피스 대학교, 그룹 오브 에이트 소속 퀸즐랜드 대학교 등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그룹 오브 에이트 소속 서호주 대학교 등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그룹 오브 에이트 소속 애들레이드 대학교 등
- 호주 수도 준주: 그룹 오브 에이트 소속 호주국립대학교 등
● 호주 외 오세아니아
● 북아프리카
모로코: 슈아입두깔리대학, 알아카와인대학
● 동아프리카
12. 학생 활동
12.1. 중앙동아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동아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동아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005BAA,#c3002f><tablebg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 }}} | |
동아리실 | ||||
학생회관 (지하 1층/지상 4층) | ||||
분과별 동아리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 공연예술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공연예술분과 | ||
이름 | 설명 | 위치 | ||
U.C.D.C | 댄스 | 학 408호 | ||
라온제나 | 댄스 | 학 207호 | ||
라이머니 | 흑인음악 | 학 412호 | ||
라이브 | 어쿠스틱,락밴드 | - | ||
매직PNU | 마술 | 학 421호 | ||
미케닉스 | 밴드부 | 학 416호 | ||
부산대학교합창단 | 합창 | 학 404호 | ||
블루헤븐 | 락밴드 | 학 419호 | ||
사이렌 | 락밴드 | 학 414호 | ||
성혼 | 음악감상 | 학 401호 | ||
소리터 | 밴드 | 학 301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 교양봉사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교양봉사분과 | ||
이름 | 설명 | 위치 | |
AweSome | 주거환경개선봉사 | 학 306호 | |
동부산 로타랙트 | 봉사 | 학 304호 | |
디딤돌 | 교양 봉사 | 문 406호 | |
풀내음 | 농촌봉사 | 학 208호 | |
PNUF | 외국인 교육봉사 | 학 208호 | |
그린너머 | 지속가능발전 | 학 315호 | |
노히트노런 | 야구직관 | - | |
효원기우회 | 바둑,보드게임 | 학 313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 무예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무예분과 | ||
이름 | 설명 | 위치 | |
메치기 | 유도 | 학 310호 | |
부산대학교 펜싱부 | 펜싱 | ? | |
오르카 | 주짓수 | 학 316호 | |
지검회 | 검도 | 학 201호 | |
합기도 연무회 | 복싱,체력단련 | 학 402호 | |
효원경당 | 무예 | 학 203-2호 | |
태누리 | 태권도 | 학 318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 문학전시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문학전시분과 | ||
이름 | 설명 | 위치 | |
A-HEART | 만화창작 | 학 302호 | |
사진예술연구회 | 사진 | 학 327호 | |
서도회 | 서예 | 학 325호 | |
시월문학회 | 문예 | 학 314호 | |
알그린 | 미술 | 학 324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 종교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종교분과 | ||
이름 | 설명 | 위치 | |
ENM | 기독교 | 문창회관 지하 | |
IVF | 기독교 | 학 319호 | |
부산대학교 가톨릭학생회 | 가톨릭 | 학 203호 | |
불교바라밀 | 불교 | 학 420호 | |
상생 | 증산도 | 학 205호 | |
S.F.C | 장로교 신조 신앙 운동 | 학 421-2호 | |
부원회 | 원불교 | 학 202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 체육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체육분과 | ||
이름 | 설명 | 위치 | |
JUMP | 농구 | 학 204-2호 | |
PLFS | 여성 풋살 | 학 322호 | |
ULTIMATE | 게임 | 학 206-1호 | |
WAVE | 서핑 | - | |
바다사람 | 스킨스쿠버 | 학 308호 | |
부산대 산악부 | 산악 | 문 114호 | |
시나브로 | 수영 | 학 411호 | |
미식축구부 EAGLES | 미식축구 | 학 407호 | |
탑스핀 | 탁구 | 학 329호 | |
화경 | 야구 | 학 403호 | |
STEEZ | 스케이트보드 | - | |
IronBar | 맨몸운동 | ? | |
PVC | 배구 | - | |
PUBC | 볼링 | 학 328-1호 | |
The Blue | 요트 | 학 208호 | |
셔틀콕 | 배드민턴 | 학 204-2호 | |
어프로치 | 테니스 | 국제관 위 테니스코트 | |
조나단 | 패러글라이딩 | 학 101호 | |
컨추리 | 축구 | 학 321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 학술이념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학술이념분과 | ||
이름 | 설명 | 위치 | |
AIESEC | 국제리더십 | 학 326-1호 | |
PARA | 자동차 | 학 101호 | |
POSSIBLE | 시사영어회화 | 학 317호 | |
내일 | 기후토론 | ? | |
안드로메다 | 천체 관측 | 학 311호 | |
청현 | 법학 | ? | |
효원다회 | 다도 | 학 307호 | |
murmure | 통번역 | ? | |
Que sera | 성소수자 | - | |
A.S.T.R.O | 무인 비행체 연구 | ? | |
뒷BOOK | 독서토론 | 학 201호 | |
12.2. 학내 언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학내 언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학내 언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3. 총학생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총학생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총학생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4. 축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행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행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2024 대동제 NewJeans | |||
2025 대동제 불꽃놀이 | |||
봄 축제 | 가을 축제 | ||
대동제 | 시월제 | ||
역대 초청 가수[17]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9%; min-height: 2em" {{{#!folding ⠀[ 10년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2010년대 | ||
연도 | 라인업 | ||
2015 | 자이언티, 씨스타, 도끼, 더 콰이엇, 소울다이브, 치타 | ||
2018 | 위키미키, 김연자 | ||
2019 | - | ||
- ⠀[ 20년대 ]⠀
- ||<-2><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2020년대||
연도 라인업 2020 - 2021 - 2022 정상수, 거미, 백예슬, WINNER 2023 김범수, 오마이걸, 이무진, STAYC 2024 NewJeans, CRAVITY, SG워너비, 남동현, 싸이버거, i-dle, 지코, QWER, NOWZ 2025 이영지, 리센느, 행주, Kik5o, 앰퍼샌드원, 이창섭, FIFTY FIFTY, GENBLUE, 윤하, 김연자
축제 영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9%;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20px" | 2024년 부산대 축제 하이라이트 | |
2025년 부산대 축제 하이라이트 영상 | ||
부산대학교 축제는 5월과 10월에 한 번씩 열리는데 봄축제를 대동제, 가축제를 시월제라고 부른다. 축제 기간에는 보통 여러 부스와 푸드트럭이 들어서고 교내 스포츠대회, 학생 가요제, 동아리 공연과 초청가수 공연 등을 진행한다. 두 축제 중 대동제가 더 큰 규모의 축제이긴 하지만 시월제도 부마민주항쟁[18]을 기리는 의미가 깊은 축제이다.
12.5. 푸름
|
<nopad> |
홈페이지 |
|
푸름은 부산대학교 홍보대사이다. 교내외에서 입시 홍보를 비롯한 다양한 홍보 활동을 수행하며,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탐방 프로그램(캠퍼스 투어)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SNS 운영 및 콘텐츠 관리 등 온라인 홍보 활동을 맡고 있으며, 각종 행사에서는 의전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13. 관련 웹사이트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005BAA,#c3002f><tablebgcolor=#005BAA,#c3002f> | 부산대학교 | }}} |
{{{#!wiki style="width: 95%; max-width: 500px; margin: 0 auto" Pusan National University − ◻ ✕ www.pusan.ac.kr {{{#!wiki style="border: 2px solid #ccc; border-width: 0px 2px 2px 2px; border-radius: 0 0 5px 5px; margin: -23px auto 0 auto; padding: 25px 1% 50px 1% 25px 1%; background-color: #f5f5f5; color: #000" 홈페이지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nt-size: 0.95em; color: #1c1d1f" {{{#!folding ⠀[ 홈페이지 상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포털 | ||
교육 | |||
취업 지원 | |||
학사 제도 | |||
시설 | |||
입학 | |||
성과 | |||
소셜 미디어
기타
- ⠀[ 학생단체 ]⠀
- ⠀[ 커뮤니티 ]⠀
- ||<table width=90%><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bgcolor=#d3d3d3,#d3d3d3> 커뮤니티 ||
부산대 에브리타임
디시인사이드 부대 갤러리
디시인사이드 부산대학교 미니 갤러리
}}}}}} ||
14. 부속시설 및 관련 기관
14.1. 부산대학교병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병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병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참고】 부산대학교병원 현황
【1】 부산대학교병원 - 상급종합병원
【2】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상급종합병원 및 "세계 상위 1%만 받는 JCI인증을 2회 연속 획득한 국제표준병원"
【3】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 영남권역 최초 어린이병원
【4】 부산대학교 영남권역재활병원 - 보행재활 치료로봇 도입 링크
【5】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 지방국립대 최초의 치과병원 독립법인
【6】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 국내 최초의 국립 한방병원
【7】 부산지역 암센터 (암병원) - 'IBM 왓슨'을 활용한 인공지능(AI) 암치료 본격화
【8】 부산대학교 국가지정 권역외상센터(외상병원) - 아시아 최대 권역 외상센터
【9】 부산대학교 국가지정 호흡기전문질환센터(호흡기전문병원) - 최첨단 음압격리병동
【1】 부산대학교병원 - 상급종합병원
【2】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상급종합병원 및 "세계 상위 1%만 받는 JCI인증을 2회 연속 획득한 국제표준병원"
【3】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 영남권역 최초 어린이병원
【4】 부산대학교 영남권역재활병원 - 보행재활 치료로봇 도입 링크
【5】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 지방국립대 최초의 치과병원 독립법인
【6】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 국내 최초의 국립 한방병원
【7】 부산지역 암센터 (암병원) - 'IBM 왓슨'을 활용한 인공지능(AI) 암치료 본격화
【8】 부산대학교 국가지정 권역외상센터(외상병원) - 아시아 최대 권역 외상센터
【9】 부산대학교 국가지정 호흡기전문질환센터(호흡기전문병원) - 최첨단 음압격리병동
14.2. 양산부산대학교병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산부산대학교병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3. 부산대학교치과병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치과병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치과병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4. 부설고등학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5. 커뮤니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이피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이피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마이피누 부산대 학생들을 위한 사이트.
New 부산대학교 대나무숲
기존 부산대학교 대나무숲(2018년 5월이후 대숲지기 실종)
16. 논란 및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7. 출신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출신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대학교/출신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법조계
#정계
#재계
유명한 법조인으로는 호통판사로 유명한 천종호, 김성회의 G식백과에서 자주 나오는 게이협 변호사 이철우가 있다.
유명 정치인으로 제19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과 제15-1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던 정의화, 민선 1-3기 경상남도지사와 제17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던 김혁규, 제17~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있는 조경태가 있다.
2021년 기준, 30대 그룹 상장 계열사 신임 대표이사 5명(전국 대학 2위), 100대 기업 CEO 8명(전국 대학 4위), 시가총액 상위 30대 기업 임원의 4.1%(전국 대학 7위)를 배출했다.
18. 여담
- 2018년에 부산대학교 동문 수가 210,000명을 돌파했다.
- 부산대학교 모든 시설 및 부지에서 와이파이(부산대학교 전용랜, 네스팟, 에듀롬)가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단, 학생 또는 교직원만 가능하며, 네스팟의 경우 교내전용 아이디를 따로 신청을 해서 대여해야 한다.(대여기간은 1일) 물론, 기존 네스팟 사용자들은 아무런 제약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실상은 부산대학교 전용랜의 경우엔 일부 강의실은 이상하게 안 터지는 경우도 있다. 처음 들어온 신입생들도 이 랜을 사용하는데 다소 어려움을 겪는 편이다.
- 164.125. 로 시작하는 모든 IP가 교내에 할당되어 있다 (164.125.0.0 ~ 164.125.255.255).참고 그 외에도 일부 강의실에 KT wifi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학교 일반 와이파이인 pnu wifi보다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 '부산하면 '바다'라는 식의 이미지 때문에 부산대학교에 '어묵제조학과'가 있다는 식의 드립이 있는데, 실제로 그런 학과는 없다.[19] 정확히 말하자면, 원래 인문대학과 수산대학을 전신으로 했지만, 부경대학교로 넘어간 상태다.
- 전 국회의장인 김형오 교수가 2013년 3월부터 부산대 사회과학연구원 석좌교수로 부임하였고, 전 해양수산부장관 및 전 한국해양대학교 총장 및 전 부산광역시장이였던 오거돈이 부산대 석좌교수로 부임했다.
- 이전에는 학내 건물들이 큰 문제가 없는 경우 밤샘이 가능했는데, 2014년에 있었던 사건들을 기점으로 가급적이면 12시 전에 학생들이 나가게 하고 있다. 처음에는 무조건 야간잔류가 금지되었으나 이후 완화되어 문창회관의 경우 밤 9시~12시 사이에는 학생증을 인식해 출입하고, 12시~ 다음날 6시까지는 나가는 것만 원칙적으로 가능하게 되어있다.
- 부산대 디자인학과 남승우(23)씨가 2015년 한글날을 맞이해 부산을 상징하는 서체인 '부산바다체'를 무료로 배포했다. 서울 출신이지만 부산에 남다른 애정이 있어 부산대에 진학한 그는 모든 이가 자신의 서체를 사랑해줬으면 하는 바람에 이런 일을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현재 부산바다체는 무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의 신도색 차량 행선판 안내 글씨체로 사용 중이다! 링크
- 2012년 지역사회 기여활동의 통합 관리와 확대를 위해 거점 국립대 중 최초로 지역사회 기여센터를 출범시키고, 다문화·탈북학생·저소득층·가계곤란학생·학대피해아동·교외소외지역 학생 등을 대상으로 교육기부 및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10개 거점 국립대 중 지역사회 봉사를 목적으로 별도의 기관을 운영하는 대학은 부산대 등 단 2곳뿐이다.
- 2017년 1월 1일 오후 9시경 리처드 위트컴(Richard S. Whitcomb; 1895-1982) 장군의 아내이자 위트컴 희망재단 이사장이었던 한묘숙(1927-2017)이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서 치료받던 중 사망했다. 향년 90세. 이후 1월 4일에 부산대학교장(葬)으로 10.16 기념관에서 장례가 치러졌으며, 같은 날 오후 3시에 위트컴 장군 묘역에 안장되었다.
- 2023년 쉼표와 2024년 대동제에서 항공우주공학과 이대우 교수 연구팀이 외부업체의 도움없이 자체적으로 드론쇼를 진행했다.[20] 2023년 쉼표에는 총 50대의 드론으로, 그 이후에는 총 90대의 드론으로 드론쇼를 진행했다. 드론쇼를 대학교 자체 역량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곳은 전 세계에서 찾아봐도 몇 군데 없다.
18.1. 부산교대 통합 추진
2023년 11월 13일, 부산교육대학교와 공동으로 신청한 글로컬대학 30에 최종 선정되었다. 양 대학의 교원양성 기능(초·중·고·평생)을 부산대학교 연제캠퍼스로 일원화할 예정이다. 11월 14일, 양 대학 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부산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 통합추진위원회가 공식 발족되었다. 2027년 3월 통합부산대 출범을 목표로 한다.19. 둘러보기
| |||||||||||||||||||||||||||||||||||||||||||||||||||||||||||||||||||||||||||||||||||||||||||||||||||||||||||||||||||||||||||||||||||||||||||||||||||||||||||||||||||||||||||||||||||||||||||||||||||||||||||||||||||||||||||||||||||||||||||||||||||||||||||||||||||||||||||||||||||||||||||||||||||||||||||||||||||||||||||||||||||||||||||||||||||||||||||||||||||||||||||||||||||||||||||||||||||||||||||||||||||||||||||||||||||||||||||||||||||||||||||||||||||||||||||||||||||||||||||||||||||||||||||||||||||||||||||||||||||||||||||||||||||||||||||||||||||||||||||||||||||||||||||||||||||||||||||||||||||||||||||||||||||||||||||||||||||||||||||||||||||||||||||||||||||||||||||||||||||||||||||||||||||||||||||||||||||||||||||||||||||||||||||||||||||||||||||||||||||||||||||||||||||||||||||||||||||||||||||||||||||||||||||||||||||||||||||||||||||||||||||||||||||||||||||||||||||||||||||||||||||||||||||||||||||||||||||||||||||||||||||||||||||||||||||||||||||||||||||||||||||||||||||||||||||||||||||||||||||||||
|
[1] 前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2] 휴학생,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 미포함[3] 휴학생 미포함[4] 전임 1,446명, 비전임 2,207명[5]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소재[6]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운영[7] 1호선 교대역, 1호선 부산대역, 2호선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참고로 1호선 교대역과 부산대역은 4정거장 거리로 매우 가깝다.[8] 그러나 직할시로 그침[9] 부산직할시 승격일이 1963년 1월 1일인데, 1945년 해방 이전부터 부산, 평양 등 조선의 주요도시를 일본과 같이 바꾸려는 행정구역 개편안이 있었고 미군정에서 대한민국 정부로 이관 후에는 지방행정구역 개편을 염두에 두고 판단한 것이며, 1950년 6.25 전쟁으로 미뤄졌다는 설이다. 부산특별시에 대한 주장 계기는 서울의 특별시 승격이었는데, 경기도에 예속됐던 서울이 1946년 8월 16일 수도임을 명분으로 내세워 특별시(당시에는 특별자유시)가 되자 부산에서도 특별시 여론이 조성된 것이다. 여론 조성의 중심에는 1946년 7월 10일 출범한 부산상공회의소가 있었고 부산상공회의소 초대와 2, 3대 회장을 지낸 김지태(1908∼1982)가 있었다. 1946년 10월 부산상의 초대 회두(회장)로 임명된 그는 총회를 열어 '부산특별시 승격안'을 제안해 만장일치로 가결되었고 이후의 부산직할시 승격의 발판은 이때부터 놓아졌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국제신문 2013.8.7. 참조 이처럼 부산은 이미 1946년부터 승격의 발판이 마련되었고 임시수도를 거쳤으며 '국제도시 부산은 부산의 부산이 아니라 세계의 부산이 되었으니 정부 직할의 특별시로 승격함은 지극히 필요한 일이며 그렇게 해야만 대한민국의 비약을 기할 수 있다.'는 '大부산' 건설 등을 주장하는 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 입후보자의 공약 등에 비추어 보더라도 부산시내에는 특별시 승격을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무르익어 있었고 시민들의 열망도 강했다. 따라서 특별시 승격의 보장이나 확실 여부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향후 부산이라는 대도시는 한국의 중추도시로써 기능 재편이 불가피하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이런 점을 고려하여 부산대 측에서 도시명으로 대학명칭을 정했다고 대학사(大學史)에 기술(記述)하고 있다.[10] 반대로 후일에 짜맞춰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부산의 직할시 승격은 1963년 1월 1일이고(이 때의 법률은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법률 제1173호, 1962.11.21. 제정, 이 법률이 부산시의 정부직할시 승격의 근거법률임.), 정부직할이었던 부산시를 부산직할시로 바꾼 것은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 법률 제3412호, 1981.4.4." 부칙에 의해 기존 법령(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에 없던 (정부 직할의 시가 아닌) 법정 직할시를 특별시처럼 공식적으로 규정한 것이었으므로 1946년 5월 대학 설립 당시 직할시 승격을 장담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특히나 이승만 정권기 부산특별시 승격 주장은 계속 거부당했고 직할시 또는 특별시 승격도 없었다는 것과 문교부 자체도 행정구역 개편 담당 부처도 아니었다는 게 현실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 8월 15일 수립되고, 1953년 4월 1일 국립 부산대학교설립안이 국무회의 안건에 들어갔을 시기에 문교부장관은 경상남도 동래(동래군은 1942년 부산부 편입되어 동래출장소로 개편)에서 성장한 김법린(경북 영천 출생)이고, 문교부 차관은 부산 출신 허증수였다는 점에서 부산이나 부산대 명칭에 우호적 입장을 가질 만한 인물들이었다는 것이야 별론으로 하더라도 당시 행정구역 소관 부처인 내무부의 장관은 충남 출신으로 충청남도지사를 지내다가 장관으로 영전했던 진헌식으로 부산을 승격시켜준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었다. 즉, 부산과 인연이 있는 문교부 고위층 입장에서 부산이나 부산대라는 명칭을 밀 수는 있어도 그걸 가지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부산을 직할시 내지는 특별시로 만들어준다는 보장은 없는 것이었다. 더군다나 김지태가 부산 승격을 떠들고 다니긴 했고 1953년 당시 민의원이긴 했으나 무소속인 데다가 초선에 불과한 의원 1명이었을 뿐이고, 정부기관도 아닌 부산상공회의소에서 내부적으로 부산특별시 승격안을 가결했다고 해서 부산의 승격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었다.[11] 부산대가 1946년 명칭 제정이후 종합대학으로 1953년 4월 1일 재승격을 위한 국무회의를 통과할 무렵 또다시 학교의 명칭문제가 대두되었는데, 문교부 중앙교육위원회(의장 안호상 장관) 경남측 일부 위원들이 경남종합대학교로 하자는 의견이었으나, 임시수도 부산의 도시명이 국제화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전부터 추진되어왔던 신종합대학교는 사실상 부산대학의 승격, 발전시키는 것이며, 조만간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할 것이므로 서울대학교의 예를 들어 교명에서 "부산"이라는 지명을 삭제할 수 없다는 부산 측의 요구를 문교부에서 받아들인 다수 인사의 중론에 따라 부산대로 결정되었던 것이다. 당시 부산대 교수출신 허중수 문교부 차관의 역할이 컸다.[12] #[13] 1945~1946년 당시 국립 부산대학 설립을 주도했던 경상남도 학무과장 윤인구의 구상은 1945년 해방 후 국고부족으로 초창기 대학운영에 필요한 자금은 문교부에서 재정적 부담을 지기가 쉽지 않아 경상남도가 주축이 되고 도민들의 성금으로 대학설립기금을 모아 국가에 헌납하고 그 자금으로 운영하겠지만, 새롭게 설립되는 대학은 신학대학이 아니라 여러 학문을 아우르는 학문의 전당으로써 종합대학이 되어야 하고 교육은 국가적 차원에서 유지관리되어야 하므로 설립주체는 국립이여야 하며, 그렇게 해야만 계속적인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방덕수, "윤인구 박사 그 참다운 삶과 정신", 제일인쇄, 1988, 참조)[14] 아예 엘리베이터로 붙어 있으니 말 다했다.[15] 몽골 최초의 대학[16] 아일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명문 국립 종합대학교이다.[17] 대동제 라인업[18] 부산대에서 강한 저항이 있었으며 교내에 이를 기리는 '10.16기념관'도 있다.[19] 심지어 위치도 바다와 멀다.[20] 축제 기간 이외에도 2024년 6월 28일에 2031 세계산업수학회 부산 유치를 위한 드론쇼를 진행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