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19:17:43

치타(가수)

<colbgcolor=#9e4620,#9e4620><colcolor=#fff> 치타
CHEETAH
파일:Cheetah profile.jpg
본명 김은영 (Kim Eunyoung)
출생 1990년 5월 25일 ([age(1990-05-25)]세)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現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가족 부모님
학력 동백중학교 (졸업)
해운대여자고등학교 (전학)
종교 불교
소속사 더블엑스엔터테인먼트
데뷔 2010년 블랙리스트 싱글 앨범
'Money Can't Buy Me Love'
(데뷔일로부터 [dday(2010-07-15)]일, [age(2010-07-15)]주년)
MBTI ESTJ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음반 목록4. 가수 외 활동
4.1. 언프리티 랩스타 (2015년, Mnet)4.2. 그 외 방송4.3. CF4.4. 영화4.5. 뮤지컬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래퍼.

2. 특징

부산동백중학교를 졸업하고 해운대여자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가수가 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서 일산신도시로 17세 때 상경했는데, 이 때 일산신도시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대형 버스에 치이는 큰 교통사고를 당해 저체온 치료를 받았다[1]. 이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곡이 언프리티 랩스타 세미 파이널 곡인 Coma 07.[2] 본래 보컬리스트 지망생이었지만 사고 이후 랩으로 전향했다고 하며[3] , 짧게 짧게 노래를 부를 때 상당한 가창력이 드러난다.[4]

해당 곡과 관련해서 방송에서 흥미로운 일화를 발표했는데, 교통사고로 입원했을 때 성공률은 높지만 장애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는 2차 수술과 성공은 미지수이지만 성공하면 온전한 삶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 저체온 치료라는 선택지가 있었다고 한다. 이에 치타의 부모님이 내 딸이 장애를 가지게 되어 가수를 하지 못하면 죽는 것보다 싫어할 것이라며 저체온 치료를 결정하셨다고 한다. 저체온 치료는 '급성심근경색 등으로 심장이 멎어 혈액 흐름이 중단됐던 환자 가운데 적절한 치료를 받아서 심장은 다시 뛰기 시작했지만, 의식은 아직 혼수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 쓰이는 치료이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도 급성심근경색 때문에 이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 다만 치타 같은 경우는 심장보다는 뇌손상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뇌손상의 경우에는 아직 효과에 있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현재 치타의 상태를 봤을 때 이른바 굉장히 운이 좋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5]

2017년 11월 6일 네이버 V앱 ‘[더 리더] <아무도 모르게> 치타가 말하는 그녀의 이야기’ 방송에서 Coma 07를 언급하며 "사고 이후에 재활하는 시간이 좀 많이 걸렸다. 노래는 고사하고 말도 하기 힘들었으니까. 그런데 진짜 저는 살아났는데 죽고 싶었다."라고 회상하기도 하였다. #

언프리티 랩스타에 출연했다. 프로그램상 최다 승률[6]이며 파이널 미션의 승리로 프로그램의 우승자가 되었다.

프로듀스 101, 프로듀스 101 시즌2, 프로듀스 48, 프로듀스 X 101에 랩 트레이너로 출연, 트레이너들 중 유일하게 프로듀스 시리즈의 전 시즌에 개근했다.

3. 음반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타(가수)/음반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타(가수)/음반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타(가수)/음반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가수 외 활동

4.1. 언프리티 랩스타 (2015년, Mnet)

파일:external/ih1.redbubble.net/sticker,375x360.u6.png 언프리티 랩스타 출연진 (사전순)
릴샴 육지담 제시 제이스 졸리브이 지민 치타 키썸 타이미
제이스는 중간 투입 출연자 / 영구 탈락자들은 내용 참조.

파일:external/static-a-timetree.zumst.com/?http%3A%2F%2Ftimetree.zumst.com%2F2015%2F02%2F06%2F08%2Fd77ad514b7d644afb14572568f6ad395.png

파일:external/ih1.redbubble.net/sticker,375x360.u6.png
역대 언프리티 랩스타 우승자
시즌1
치타
시즌 2
트루디
시즌3
자이언트 핑크


실력적인 논란이 컸던 육지담, 아이돌지민, 서로를 향한 언성은 크지만 막상 크나큰 임팩트를 남기지 못한 졸리브이/타이미, 개그캐로 전락한 릴샴, 실력은 뛰어나지만 초반부터 할 말을 앞에서 다 하여 다른 참가자들로부터 비난을 산 제시, 스윙스한테 혹평을 받았던 키썸과는 달리 흠잡을 데 없는 랩과 태도로 참여했다.

특히, 파이널곡인 Coma07 에서의 인터뷰를 보면 음악을 대하는 태도와 자신감을 볼 수 있다. 아이언의 피처링과 함께 "랩" 이라기보다는 "노래"와 "공연"으로 무대를 채운 지민과 달리 스스로 말하길 "나", "가사", "비트", "MIC" 밖에 없는 무대라며 "진짜 나"가 누군지 보여주는 무대라고 소개했다.

프라이드가 강하고 자기가 최고이며, 다른 참가자들을 '가르치러 왔다'는 자세를 취한[7]제시가 현 시점의 실력으로 높이 평가한 유일한 래퍼.[8] 후반부의 래퍼 순위 지명에서 치타를 1위로 꼽기도했고 우승자로 치타를 예측하고 인정해주었다.

사실상 언프리티 랩스타의 챔피언. 가장 큰 트랙 미션인 마지막 6번 트랙 미션으로 보거나 승수로 보거나[9] 반박할 수 없다.

4.2. 그 외 방송

4.3. CF

4.4. 영화

  • 초미의 관심사 (2020) - 순덕 역 : 영화배우로서 첫 데뷔한 작품이다. 배우 조민수와 함께 주연을 맡았다. 연기에 대한 호평을 받기도 했다.

4.5. 뮤지컬

5. 여담

  • 소속사 대표가 "가자, 치타"라고 부르면서 별명이 되었고, 지금의 예명이 되었다고. 의미는 명적 격의 준말.
  • 2010년 여성 힙합 듀오인 블랙리스트를 통해 데뷔하였고, Crush와 함께 듀오 마스터피스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 2013년 김진표의 7집 JP7에 '별이 빛나는 밤에'라는 곡에 랩 피쳐링을 했다. 이 곡에서는 솔로 데뷔 전의 조금 더 여성적인 톤이 들린다.
    • 이 시기에 방송의 적에 잠깐 출연하기도 했는데, 거의 신인에 가깝다 보니 화장도 옅고 꽤 순한 인상을 풍겼다.
      파일:2013CLXK.jpg
  • 2014년 6월엔 EP 'CHEETAH ITSELF'로 솔로 데뷔를 이뤘다. ize의 황효진 기자에 따르면 귀에 딱딱 꽂히는 딕션, 풍부한 표현력이 특징. 유튜브에선 니키 미나즈의 곡 커버를 올리기도 했다.
  • 2015년 엠넷언프리티 랩스타를 통해 지담 제시와 함께 인기를 얻고 있는데, 특유의 보이시한 매력으로 여성 팬들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중. 프로그램에서 평화주의자 포지션이며, 제시와 육지담이 모녀 관계를 형성하듯 키썸과는 공식적으로 모녀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온라인상의 별명이 '키썸 맘'.
    • 트랙 미션에서는 제시와 함께 3번 트랙(feat. 강남)을 차지했다. 심지어 7회에서는 세미 파이널 경쟁자 지민같은 팀초아에게 응원을 받았다.
  • 상당한 애묘가이다.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만 네 마리만 되고, 길고양이에 관심이 상당히 많다. TV 동물농장에 나와서 한 마리[11]를 더 데려다 키우기도 했다.
  • 2017년 11월 7일자 유튜브 채널 '방언니 - 방송국에 사는 언니들'에서 남자친구가 콘돔 사용을 거부한다는 사연을 듣고 "콘돔을 끼면 마지막 피날레를 못한다고 하는데, 제가 생각하기엔 그건 엔진의 차이다. 꼭 못하는 애들이 장비 탓을 한다"고 말했다. 영상
  • 2018년 06월 7일자의 유튜브 해당 채널에서는 투표하러 갈 생각 없다는 프로불편러의 말에 '그럴거면 헬조선이라고 부르지 말라며' 일침을 놓기도 했다. 관련 기사
  • 2020년 3월 6일에 C9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 이후 1인 기획사 크다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해서 활동중이다.

6. 둘러보기

파일:external/ih1.redbubble.net/sticker,375x360.u6.png
역대 언프리티 랩스타 우승자
시즌1
치타
시즌 2
트루디
시즌3
자이언트 핑크

파일:프로듀스 101 로고 화이트.svg
프로듀스 101트레이너
<rowcolor=#fff> 보컬 댄스
김성은 제아 치타 가희 배윤정

파일:고등래퍼 틀.png 역대 멘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000,#ee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3px; font-size: .96em; word-break: keep-all"
1 매드클라운 서출구
기리보이
스윙스
제시
양동근 딥플로우
타이거 JK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letter-spacing: -.3px; font-size: .96em;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2 GroovyRoom 행주
보이비
San E
치타
딥플로우
3 기리보이
키드밀리
행주
보이비
The Quiett
코드 쿤스트
GroovyRoom
4 The Quiett
염따
박재범
WOOGIE
pH-1
사이먼 도미닉
로꼬
창모
Way Ched
같이 보기: 고등래퍼 역대 1~3위 멘토, 고등래퍼 역대 1~3위 학생}}}}}}}}}}}}

파일:GOOD GIRL 로고.png



파일:골 때리는 그녀들 로고.svg 골 때리는 그
[ 현 출연진 ]
||<-3><tablewidth=100%><rowbgcolor=#0dac55,#0dac55><rowcolor=#fff,#fff><width=1000> MC : 배성재 ||
골 때리는 연맹
위원장 하석주 선수협회장 조혜련
제1회 GIFA컵 참가 구단
<rowcolor=#000,#000> 감독: 이영표 / 코치: 김재성
<rowcolor=#ffc0cb,#ffc0cb>
감독: 조재진 / 코치: 정종봉
<rowcolor=#fff,#fff> 감독: 백지훈 / 코치: 안진범
<rowcolor=#adff2f,#adff2f> 감독: 이근호 / 코치: 김태우
<rowcolor=#ffffff,#ffffff> FC 불나비 감독: 김영광 / 코치: 김동철
<rowcolor=#ec118f,#ec118f> 감독: 현영민 / 코치: (공석)
<rowcolor=#ffffff,#ffffff> 감독: 박주호 / 코치: 박인영
<rowcolor=#000000,#000000> FC 탑걸 감독: (공석) / 코치: 전재홍
<rowcolor=#0000ff,#0000ff> 감독: 김병지 / 코치: 김종원
<rowcolor=#fd9931,#fd9931> 감독: 최진철 / 코치: (공석)
다음 시즌 복귀 예정
<rowcolor=#2f38b2,#2f38b2> 감독: (공석) / 코치: (공석)
ONE-SEASON SUSPENSION
<rowcolor=#7f00ff,#7f00ff> '''''' 감독: 최성용 / 코치: 최승호
{{{-2
[ 관련 문서 ]
||<|9><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colbgcolor=#3a5a4a,#3a5a4a> 방영 목록 ||<width=1000><colcolor=#373a3c,#ddd>파일럿 | 시즌 1 ||
시즌 2 | 리그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3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4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제1회 SBS컵
시즌 5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제2회 SBS컵
시즌 6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7 | 제1회 G리그 | 제1회 GIFA컵
세부 대회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 승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매치 | SBS컵 | G리그 | GIFA컵 | 올스타전
기타 구단 | 상대 전적 및 순위표 | 전 · 현직 선수 명단 | 감독진(이동 셔플) | 공인구 | 별별 기록 | 시청률 | 평가 | 논란 | 여담
스핀오프 골 때리는 외박 | 연애는 직진
OST Dreaming

[1] 당시 일산신도시의 주력 업체였던 명성운수신성교통은 엄청난 과속을 하던 시절이었다. 명성(운수회사)/과속문제 참조.[2] 저체온 치료는 환자의 안정을 위해 해당 치료가 끝날 때까지 수면제를 놓고 재워두는데, 이것 때문에 "혼수 치료", "코마 치료"라고도 불린다. 치타의 경우 이걸 아는지 이걸 바탕으로 이 곡을 써놨고 그 당시 수면상태로 잠들어 있던 자신이 마치 뇌사자같아서 이 치료를 "인공 뇌사 수술"이라고 불렀다.[3] 목소리는 원래 낮고 허스키했다고 한다.[4] 피쳐링한 곡 중 REDDYDo My Thing이라는 곡에서 짧게 나마 선보였다.[5] 사람의 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혈액이 아주 많이 필요한데, 하지만 심장이 마비돼서 혈액을 뿜어내지 못하게 되고, 5분이 지나면 뇌 세포는 망가지기 시작한다. 사실 이 치료법은 심장 박동에 이상이 있었던 환자에게 주로 쓰이는 치료 중 하나다. 심장마비를 처지했음에도 깨어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산소공급이 부족하거나 갑작스런 재관류(사람의 혈액순환에 이상이 생기면 신진대사가 내려가고 이로 인해 체온도 내려가게 되는데, 심장이 다시 뛰기 시작하고 신진대사가 정상으로 되돌아와 갑자기 체온이 오르면 세포가 그걸 견디지 못해 손상을 입는다. 다른 장기 역시 마찬가지다. 비슷한 경우인 장기이식땐 문합을 다 끝내고 피를 다시 돌게하기전에 이식한 장기를 천천히 따뜻하게 하고 혈관을 막고 있던 집게도 천천히 푸는 등 이걸 방지하려 최대한 노력한다.)로 인해 추후로 따라올 수 있는 뇌손상을 줄이기 위해서 시행하게 된다. 체온을 32~34도까지 떨어뜨리면 온몸의 신진대사가 늦춰지는데다가 산소요구량 또한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이른바 세포보호효과라는게 생긴다. 저체온 치료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 신경활동 및 장기기능이 정상이 될때까지 지속하게 된다. House M.D. 시즌 4 후반부에서 앰버 볼라키스를 진단할 시간을 벌기 위해 저체온 치료를 시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6] 지민과 동률인 2회[7] 애초에 경력 자체가 다르니까.. 여담으로 제시는 이미 경력이 10년 넘는 어떻게 보면 프로인데, 이러한 본인이 이제 막 자라나는 신인들, 언더그라운드의 래퍼들을 평가한다는 것을 부끄럽고 못마땅하게 여겨 출연 제의를 2번이나 거부하였다고 한다.[8] 육지담을 칭찬했지만 가능성, 잠재성에 대해서였다.[9] 지민과 동률인 2승으로 최고 성적이다.[10] San E와 같은 조로 출연[11] 선천적 지체장애를 앓고 있어서 치타 본인이 보조기구를 맞춰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