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14:47:52

대구과학대학교


<colbgcolor=#900020><colcolor=white>
대구과학대학교
大邱科學大學校
Taegu Science University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교훈 창의·진리·박애
상징 <colbgcolor=#900020><colcolor=#fff> 동물 -
교목 -
교화 -
교색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진한 빨강'''}}}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진한 빨강'''}}}]]
슬로건 참교육으로 미래를 밝히리라[1]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지역 대구광역시
분류 사립대학
개교 1960년 5월 대구 간호학교
설립자 영송 김종옥 박사
이사장 김향자
총장 박지은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한별학숙
주소 캠퍼스 대구광역시 북구 영송로 47 (태전동)
글로벌관[2]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로 109 (태전동)
재학생 4,242명(2024년)
교원 교원 122명(2024년)
비전임교원 345명(2024년)
경영위기대학 전문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캠퍼스

1. 개요2. 역사 및 현황3. 캠퍼스4. 학과
4.1. 자연과학계열4.2. 인문사회계열4.3. 공학계열4.4. 예·체능계열4.5. 전문기술석사과정
5. 출신 인물6. 주변 교통편
6.1. 버스6.2. 도시철도
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nopad> 파일:external/news.unn.net/125655_16837_4850.jpg
캠퍼스 전경
大 邱 科 學 大 學 校(TAEGU SCIENCE UNIVERSITY, TSU)

1960년 개교해 2024년 개교 64주년을 맞았으며 대구광역시 북구 영송로 47 (태전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1960년 대구간호학교로 시작하여 대구여자전문대학 → 대구전문대학 → 대구과학대학 → 대구과학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대구·경북 최초 전문대학으로 설립된 대학으로 최초답게 대구에서 유일하게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2. 역사 및 현황

1960년
- 영송 김종옥 박사 대구간호학교 설립
1962년
- 간호 양성기관 지정(보건사회부 장관), 교직과정 설치 승인(문교부 장관)
1966년
- 간호원양성기관(대구병원) 연구지정(보건사회부 장관)
1972년
- 대구간호전문학교 승격(문교부 장관)
1978년
- 대구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
1981년
- 대구여자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3년
- 대구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4년
- 부설 유치원 개원
1996년
- 교육인적자원부 평가 대구·경북지역 1위 대학 선정
1999년
- 실업계 고등학교 연계 교육 운영 우수대학 선정
- 교육인적자원부 주문식 교육 운영대학 선정
2000년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특성화 사업 운영대학(2000~2006) 선정
- 측량 최우수기관 대통령상 수상
2001년
- 정보통신부 선정 IT 전문 교육과정 운영대학(2001~2002) 선정
- 중소기업청 기술지도(TRITAS) 대학(2001~2005) 선정
2002년
- 교육인적자원부 GIS/LIS 특성화 최우수 대학 선정(2002~2008)
2004년
- 국토교통부 공간정보교육 거점대학(2004~2013) 선정
- 지식경제부 지역혁신 특성화지원사업(2004~2005) 선정
- 여성부 지역사업 맞춤형 취업지원 사업(2004~2007) 선정
2006년
- 국가균형발전위원회(전문대학특성화분야) 교육과학기술부총리상 수상
2007년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글로벌 현장학십 사업(2007~2014) 선정
2008년
- 학교기업 레꼴(제과제빵) 국가재정지원사업(2008~2011) 선정
2009년
- 대구광역시 노동청 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2009~2010)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우수대학(2009~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2009~2011) 선정(대구시 전문대학 유일)
2010년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우수대학 선정
- 고용노동부 청년직장체험프로그램(2010~2013) 선정
2011년
- 대구과학대학교 교명 변경
- 고용노동부 청년취업진로지원(취업지원관)사업(2011~2015) 선정
- 대구시 어린이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사업 위탁기관 선정
- 중소기업청 및 시장경영진흥원 상인대학 운영기관(2011~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글로벌 거점대학 육성사업(GHC)(2011~2012) 선정
- 대구 주얼리산업 브랜드 마케팅 활성화사업(2011~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기부인증기관”(2011~2016)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학사제도 개선 시범 운영대학(2011~2014) 선정
- 스마트 콘텐츠 전문인력개발 및 일자리 창출사업(2011~2015) 선정
- 국가재난 응급의료 전문가 과정 교육센터(BDLS Basic Trainer Center) 지정(미국의학협회/BDLSF)
2012년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 업무협약(MOU) 체결
- 교육과학기술부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2012~2017) 선
2013년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기관평가 인증대학 선정
- 대구광역시 교육청 일반고 직업과정(조리ㆍ제과제빵 전공) 위탁교육기관 (2013~2014) 선정
- 여성가족부 여대생커리어개발 프로그램지원사업 선정
- 대구광역시 어린이 식품안전·영양교육사업 위탁운영기관 선정
- 삼성전자서비스(주) 고객응대서비스 인턴십프로그램사업 선정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주기 대구·경북 최초「간호교육 인증평가」‘5년’인증대학(2013~2018) 선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위탁운영기관(2013~2016) 선정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어린이집 위탁운영기관(2013~2017) 선정
2014년
- 고용노동부 청년 강소기업체험프로그램(2014~2015) 선정
-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SCK)(2014~2018) 선정
- 교원양성기관평가 A등급 획득(유아교육과, 간호학과)
- 교원양성기관평가 실기교사양성학과 유지 획득 (건축, 레저, 방송, 식품, 정보통신, 컴퓨터)
2015년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위탁교육기관(한식·양식·제과제빵·네일아트 전공)(2015~2016) 지정
- 대구광역시 교육청, 경상북도 교육청 일반고 특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위탁교육기관(2015~2018) 선정
- 대구광역시체육회 운동부 육성지원사업 선정
2016년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글로벌 현장학습 사업(2016~2018) 선정
-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중간(성과)평가 “매우우수” 등급 획득
- 교육부 대구·경북·강원권 NCS거점대학
- 대구광역시 북구 강북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위탁운영기관(2016~2018) 선정
2017년
- 교육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2017~2021) 선정
-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특성화 전문대학 선정
- 교육부 “교육기부인증기관” (2017~2020) 선정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3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5년’ 인증대학(2018~2022) 선정
- 교육부 교원양성기관평가 A등급 획득(유아교육과)
- 교육부 전문대학 기관평가 인증 획득
2018년
- 대학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 선정(2019-2021)
-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지원대학 선정(2019-2021)
- 교육부 우수 교수학습센터 지정(2019~2021)
2020년
- 한국산업인력공단 K-Move스쿨(2018~2020) 선정
- 2020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3유형(후진학 선도형)(2020~2022) 선정
- 교육부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지원사업 선정
- 한국영양교육평가원 영양사교육과정 평가 인증 획득(2021~2025)
2021년
- 대학진로탐색캠프 운영대학 선정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설치 인가(치위생학과, 아동청소년지도학과)
- 전문대학 비대면 수업콘텐츠 및 자료개발 지원사업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2022~2024) 선정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위탁교육기관 지정
- 전문대학 3주기 기관평가인증(고등직업 교육품질 인증) 인증 획득(2022~2026)
2022년
- 교육부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A등급 획득(간호학과)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설치 인가(유아교육학과)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사업) 참여대학(2022~2026) 선정
- 교육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 3.0)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선정(2022~2024)
- 교육부 전문대학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2022)
- 교육부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HiVE) 참여대학(2022~2024) 선정
- 교육부 2022년 우수 교수학습지원센터 선정(2022~2025)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4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3년’ 인증대학(2023~2025) 선정
2023년
- 한국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평가원 1주기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5년’ 인증대학(2023~2027) 선정
- 대한상공회의소 2023년 직업계고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 지원사업(반도체전자과) 선정
- 대한민국 해병대 부사관 학군단(RNTC)(2023) 선정
- 교육부 2주기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2.0)(2023~2025) 선정
- 교육부 2023년 마이스터대 지원사업(2023~2024)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Ⅱ유형(지방 전문대학 활성화)(2023~2024) 선정
- 교육부 지정 “교육기부우수기관”(2024~2026) 선정
2024년
- 지역기반형 유아교육보육 혁신지원사업(2024~2027) 선정
- 간호학과 실습교육지원사업(2024~2029)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2025~2027) 선정
2025년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선정(2025~2029)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선정(2025~2027)

3. 캠퍼스

캠퍼스는 꽤 깔끔한 편. 각 실습실은 리모델링으로 잘 꾸며져 있는 편이며 특히 식품영양조리학부의 시설이 매우 깔끔하다. 실제 조리업장이라기 보단 신형 아파트 주방같은 분위기. 덕분에 지역방송에서 조리장면을 촬영할 때 종종 사용한다.

간호학과 실습실 역시 상당히 잘 되어있다. NEST Center라고 불리는데, 일반 병동 3개동 및 특수파트가 꾸며져 있다. 타 학교에서 실습실 개설에 참고한다고 하기도 하고 지자체에서도 우수 실습실로 방문한다고 한다. 인제대 백병원에서 라오스와 협업하는 데 참고하였고, 서울대학교 간호학과에서 방문하였다

학식이 맛있는 편이다. 때문에 인터넷에 주변 맛집을 검색하면 학교 식당 추천글이 자주 보인다. 그래서인지 주변 학생들이 자주 찾아온다. 대구보건대 학생들 뿐만 아니라 저녁이 되면 강북고영송여고 학생들도 학식을 먹으러 많이 오는 편이다. 옆 학교 식당과 비교하는 것 자체가 모욕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식당 규모, 음식 종류, 맛, 가격, 양 모든 것이 압도적이다.

4. 학과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학과는 2년제 학과.
[A], [B]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운영 학과 별도 표시.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간호'''}}}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간호'''}}}]]
표기된 학과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KABONE)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표기된 학과는 교직과정 설치 학과임

4.1. 자연과학계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과학대학교/학부/자연과학계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자연과학계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자연과학계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자연과학계열
Division of Natural Science
학부/과 전공
간호학과(4년제)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간호'''}}}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간호'''}}}]]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A]
-
치위생과(3년제)[A] -
물리치료과(3년제)[A] -
안경광학과(3년제) -
의무행정과 -
의료보험서비스학과 -
식품영양조리학부 식품영양학 전공
조리제과제빵음료 전공
외식창업개발학과

4.2. 인문사회계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과학대학교/학부/인문사회계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인문사회계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인문사회계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문사회계열
Division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학부/과 전공
유아교육과(3년제)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90002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A][7]
-
금융부동산과[A] -
청소년교육지도과[A] -
평생학습상담과 -
경찰경호행정행정과
사회복지상담과 -
사회복지웰빙과 -
국방기술행정과 -

4.3. 공학계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과학대학교/학부/공학계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공학계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공학계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공학계열
Division of Engineering
학부/과 전공
컴퓨터정보과 -
SNS응용창업학과 -
측지정보과[A] -
반도체전자과 -
건축인테리어과[A] -
건축산업학과 -

4.4. 예·체능계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과학대학교/학부/예체능계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예체능계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예체능계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예체능계열
Division of Arts & physical Education
학부/과 전공
방송영상제작과 -
뮤지컬연기과 -
뷰티디자인과[B] -
헤어디자인과[B] -
레저스포츠과 -
전문스포츠지도과 -
패션주얼리과 -
3D실용주얼리창업학과 -

4.5. 전문기술석사과정

대구과학대학교는 대구보건대학교와 함께 2023년부터 마이스터대학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운영한다.
운영학과는 아래와 같다.
  • 자연과학/ 공업계열 측지정보과
    • 공간정보 (드론기반 정밀지형도 제작, 지하‧실내 공간정보구축, 공간정보 빅데이터 분석‧활용)

5. 출신 인물

6. 주변 교통편

교통편이 우수한 편, 버스 기준(대구과학대학교 1, 2, 앞, 건너) 총 4개의 정류장이 학교명으로 되어 있어 학교를 찾아가기 쉽다.
가장 먼 정류장에서도 학교까지 도보로 5~6분정도 걸리는 거리라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지하철은 3호선 구암역에서 도보 16분 정도 소요되는 거리라 어느정도 거리가 있는 편이지만, 학교에서 구암역에서 학교까지 운행하는 셔틀이 있어서 편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6.1. 버스

6.2. 도시철도

7. 여담

  • 2026년 U리그 참가를 위해 학기 중에 축구부를 창단했다. 경상남도 합천군 일대에서 펼쳐진 '제20회 1,2학년대학축구연맹전'에 참가를 했는데 황가람기 예선 2일차 경기에서 건국대와 맞붙어서 0-29로 완패했고, 4일차 경기에서 경일대를 상대로 첫 골을 넣었으나 16-1로 대패를 당했다. 6일차 경기에서 강서대를 상대로 0-34로 처참하게 완패를 당하며 3전 3패 1득점 79실점을 기록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이렇게 압도적인 점수차가 나온 이유는 참가 신청 이후 팀 내적으로 문제가 생겨 선수단 구성이 완성되지 않았는데, 협회 규정상 1년에 1회 이상 대회에 나서지 않으면 강제 해체, 재창단 5년 불가라는 규정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일반 학생 위주로 팀을 꾸려서 참가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해당 조는 대구과학대와의 경기기록을 제외하고 남은 팀간의 경기결과만으로 순위를 가렸다. 비슷한 사례로 예원예술대학교가 2023년 일반 학생 위주로 라인업을 꾸려 대회에 참가, 3전 3패 무득점 89실점을 기록하며 탈락한 바 있다.[14]

8. 둘러보기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동양미래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미래대학교 · 파일:명지전문대학 엠블럼.svg 명지전문대학 ·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배화여자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서울여자간호대학교 UI.svg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파일:서일대학교 엠블럼.svg 서일대학교 ·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숭의여자대학교 · 파일:인덕대학교 엠블렘.svg 인덕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 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 파일:김포대학교 UI.svg 김포대학교 · 파일:농협대학교 엠블럼.svg 농협대학교 · 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 · 파일:동남보건대학교 UI.svg 동남보건대학교 ·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 동서울대학교 ·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 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 · 파일:서울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예술대학교 · 파일:서정대학교 심볼.svg 서정대학교 · 파일:수원과학대학교 UI.svg 수원과학대학교 ·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 파일:신구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 파일:연성대학교 엠블럼.svg 연성대학교 ·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 파일:오산대학교 UI.svg 오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웅지세무대학교 엠블럼.svg 웅지세무대학교 · 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 ·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 파일:청강문화산업대학교 UI.sv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인하공업전문대학 UI.svg 인하공업전문대학 · 파일:재능대학교 심볼.svg 재능대학교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 강릉영동대학교 · 파일:강원도립대학교 UI.svg 강원도립대학교 · 파일:세경대학교 UI.svg 세경대학교 · 파일:송곡대학교 UI.svg 송곡대학교 · 파일:송호대학교 UI.svg 송호대학교 · 파일:한국골프대학교 UI.svg 한국골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한림성심대학교 UI.svg 한림성심대학교
파일:한국영상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영상대학교
파일:대덕대학교 UI.svg 대덕대학교 ·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대전보건대학교 심볼.svg 대전보건대학교 · 파일:우송정보대학 심볼.svg 우송정보대학
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 파일:대구공업대학교 UI.svg 대구공업대학교 ·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 파일:수성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 파일:영남이공대학교 UI.svg 영남이공대학교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 광주보건대학교 · 파일:기독간호대학교 심볼.svg 기독간호대학교 · 파일:동강대학교 교표.svg 동강대학교 · 파일:서영대학교 교표.svg 서영대학교 · 파일:조선간호대학교 UI.svg 조선간호대학교 ·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대동대학교 UI.svg 대동대학교 ·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 파일:부산경상대학교 UI.svg 부산경상대학교 · 파일:부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부산보건대학교 심볼.svg 부산보건대학교 ·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부산여자대학교 · 파일:부산예술대학교 UI.svg 부산예술대학교
파일:울산과학대학교_UI.svg 울산과학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파일:강동대학교 UI.svg 강동대학교 · 파일:대원대학교 UI.svg 대원대학교 · 파일:충북도립대학교 UI.svg 충북도립대학교 · 파일:충북보건과학대학교 UI.svg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파일:충청대학교 UI.svg 충청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 파일:아주자동차대학 엠블럼.svg 아주자동차대학교 · 파일:연암대학교 엠블럼.svg 연암대학교 · 파일:충남도립대학교 심볼.svg 충남도립대학교 · 파일:혜전대학교 UI.svg 혜전대학교
파일:군산간호대학교 UI.svg 군산간호대학교 · 파일:군장대학교 UI.svg 군장대학교 · 파일:백제예술대학교 UI.svg 백제예술대학교 · 파일:원광보건대학교 UI.svg 원광보건대학교 · 파일:전북과학대학교 UI.svg 전북과학대학교 ·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광양보건대학교 로고.svg 광양보건대학교 · 파일:나주대학교 엠블럼.svg 나주대학교 · 파일:동아보건대학교 심볼.svg 동아보건대학교 · 파일:목포과학대학교 UI.svg 목포과학대학교 · 파일:순천제일대학교 UI.svg 순천제일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 파일:전남도립대학교 UI.svg 전남도립대학교 · 파일:청암대학교 심볼.svg 청암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파일:가톨릭상지대학교 UI.svg 가톨릭상지대학교 ·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 파일:경북보건대학교 심볼.svg 경북보건대학교 ·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성운대학교 UI.svg 성운대학교 ·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 파일:포항대학교 UI.svg 포항대학교 ·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파일:거제대학교 UI.svg 거제대학교 · 파일:경남도립거창대학 UI.svg 경남도립거창대학 · 파일:경남도립남해대학 UI.svg 경남도립남해대학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연암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연암공과대학교 · 파일:진주보건대학교 UI.svg 진주보건대학교 · 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 창원문성대학교 · 파일:한국승강기대학교 심볼.svg 한국승강기대학교
파일:제주관광대학교 심볼.svg 제주관광대학교 · 파일:제주한라대학교 UI.svg 제주한라대학교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문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파일:대구공업대학교 UI.svg 대구공업대학교 ·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수성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파일:영남이공대학교 UI.svg 영남이공대학교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Ⅵ대학(대구, 달성, 영남융합기술)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법인 한별학숙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대구과학대학교 부속 유치원
학교법인 배영학숙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병원 심볼.svg 대구보건대학교병원
강북고등학교 · 영송여자고등학교 · 구미제일고등학교
학교법인 금오학숙 구미 혜당학교 · 제주 영송학교
학교법인 제주교육학원 파일:제주관광대학교 심볼.svg 제주관광대학교 · 제주관광대학교 부속 유치원
※둘러보기 틀
학교법인 한별학숙 · 학교법인 배영학숙 · 학교법인 근영학숙 · 학교법인 금오학숙 · 학교법인 제주교육학원
}}}}}}}}} ||

<colbgcolor=#90002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교육 기관
유아
대구과학대학교 부속 유치원
고등
대구과학대학교
}}}}}}}}} ||

<colbgcolor=#900020>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향란 박사
(1960~197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안호상 박사
(1972~197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종옥 박사
(1978~198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송명도 박사
(1980~198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이규식 박사
(1981~199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종옥 박사
(1990~199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향자 박사
(1999~201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이술화
(2014~201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향자 박사
(2016~ )
}}}}}}}}} ||

<colbgcolor=#900020>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종옥 박사
(1960~197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향란 박사
(1976~198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병락
(1983~198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향란 박사
(1984~200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이광수
(200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석종 박사
(2006~201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김향자 박사
(2014~201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박준 박사
(2016~202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020; font-size: .76em;"
박지은 박사
(2022~ )
대구간호학교장(1960~1972) → 대구간호전문대학장(1972~1981) → 대구여자전문대학장(1981~1983) → 대구전문대학장(1983~1998) → 대구과학대학장(1998~2009) → 대구과학대학교 총장(2009~ )
}}}}}}}}} ||

파일: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대학.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3764> 선정교 <colbgcolor=#fff,#003764>2022년 선정<colbgcolor=#fff,#191919>가톨릭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명지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아주대학교, 인하대학교, 청운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밭대학교, 호서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일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상지대학교, 한라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부경대학교, 영산대학교}}}{{{#!wiki style="margin:-6px -1px -11px"<tablewidth=100%><colbgcolor=#f5f5f5,#003764> 선정교 <colbgcolor=#fff,#003764>2023년 선정<colbgcolor=#fff,#191919>광운대학교, 경민대학교, 안산대학교, 배재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우석대학교, 초당대학교, 광주보건대학교, 순천제일대학교, 전남과학대학교, 대구대학교, 위덕대학교, 계명문화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수성대학교, 경남대학교, 동의대학교, 거제대학교,춘해보건대학교
}}}}}}}}} ||

[1] 건학이념[2] 생활관[A]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운영.[A] [A] [A] [7] 재학생 전원 교직이수.[A] [A] [A] [A] [B] 뷰티헤어학과로 통합하여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운영.[B] [14] 선수 구성이 되지 않아 최소 출전 신청인원인 14명을 겨우 넘긴 15명으로 참가하여, 1차전은 10명, 2차전은 8명, 3차전은 7명만이 선발로 나왔다가 2, 3차전은 부상자가 나와 최소 선수 규정인 6명 이하가 되어 인해 몰수패를 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