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900020><colcolor=white> 대구과학대학교 大邱科學大學校 Taegu Science University | ||
| ||
교훈 | 창의·진리·박애 | |
상징 | <colbgcolor=#900020><colcolor=#fff> 동물 | - |
교목 | - | |
교화 | - | |
교색 |
| |
슬로건 | 참교육으로 미래를 밝히리라[1] | |
국가 |
| |
지역 | 대구광역시 | |
분류 | 사립대학 | |
개교 | 1960년 5월 대구 간호학교 | |
설립자 | 영송 김종옥 박사 | |
이사장 | 김향자 | |
총장 | 박지은 | |
재단 및 법인 | 학교법인 한별학숙 | |
주소 | 캠퍼스 | 대구광역시 북구 영송로 47 (태전동) |
글로벌관[2] |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로 109 (태전동) | |
재학생 | 4,242명(2024년) | |
교원 | 교원 | 122명(2024년) |
비전임교원 | 345명(2024년) | |
경영위기대학 | 전문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 |
링크 | ||
캠퍼스 | ||
1. 개요
<nopad> |
캠퍼스 전경 |
1960년 개교해 2024년 개교 64주년을 맞았으며 대구광역시 북구 영송로 47 (태전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1960년 대구간호학교로 시작하여 대구여자전문대학 → 대구전문대학 → 대구과학대학 → 대구과학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대구·경북 최초 전문대학으로 설립된 대학으로 최초답게 대구에서 유일하게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2. 역사 및 현황
1960년- 영송 김종옥 박사 대구간호학교 설립
1962년 - 간호 양성기관 지정(보건사회부 장관), 교직과정 설치 승인(문교부 장관)
1966년 - 간호원양성기관(대구병원) 연구지정(보건사회부 장관)
1972년 - 대구간호전문학교 승격(문교부 장관)
1978년 - 대구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
1981년 - 대구여자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3년 - 대구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4년 - 부설 유치원 개원
1996년 - 교육인적자원부 평가 대구·경북지역 1위 대학 선정
1999년 - 실업계 고등학교 연계 교육 운영 우수대학 선정
- 교육인적자원부 주문식 교육 운영대학 선정
2000년 - 교육인적자원부 주문식 교육 운영대학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특성화 사업 운영대학(2000~2006) 선정
2001년 - 측량 최우수기관 대통령상 수상
- 정보통신부 선정 IT 전문 교육과정 운영대학(2001~2002) 선정
- 중소기업청 기술지도(TRITAS) 대학(2001~2005) 선정
2002년 2004년 - 중소기업청 기술지도(TRITAS) 대학(2001~2005) 선정
- 국토교통부 공간정보교육 거점대학(2004~2013) 선정
- 지식경제부 지역혁신 특성화지원사업(2004~2005) 선정
- 여성부 지역사업 맞춤형 취업지원 사업(2004~2007) 선정
2006년 - 지식경제부 지역혁신 특성화지원사업(2004~2005) 선정
- 여성부 지역사업 맞춤형 취업지원 사업(2004~2007) 선정
- 국가균형발전위원회(전문대학특성화분야) 교육과학기술부총리상 수상
2007년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글로벌 현장학십 사업(2007~2014) 선정
2008년 - 학교기업 레꼴(제과제빵) 국가재정지원사업(2008~2011) 선정
2009년 - 대구광역시 노동청 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2009~2010)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우수대학(2009~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2009~2011) 선정(대구시 전문대학 유일)
2010년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우수대학(2009~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2009~2011) 선정(대구시 전문대학 유일)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우수대학 선정
- 고용노동부 청년직장체험프로그램(2010~2013) 선정
2011년 - 고용노동부 청년직장체험프로그램(2010~2013) 선정
- 대구과학대학교 교명 변경
- 고용노동부 청년취업진로지원(취업지원관)사업(2011~2015) 선정
- 대구시 어린이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사업 위탁기관 선정
- 중소기업청 및 시장경영진흥원 상인대학 운영기관(2011~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글로벌 거점대학 육성사업(GHC)(2011~2012) 선정
- 대구 주얼리산업 브랜드 마케팅 활성화사업(2011~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기부인증기관”(2011~2016)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학사제도 개선 시범 운영대학(2011~2014) 선정
- 스마트 콘텐츠 전문인력개발 및 일자리 창출사업(2011~2015) 선정
- 국가재난 응급의료 전문가 과정 교육센터(BDLS Basic Trainer Center) 지정(미국의학협회/BDLSF)
2012년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 업무협약(MOU) 체결
- 교육과학기술부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2012~2017) 선
2013년 - 고용노동부 청년취업진로지원(취업지원관)사업(2011~2015) 선정
- 대구시 어린이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사업 위탁기관 선정
- 중소기업청 및 시장경영진흥원 상인대학 운영기관(2011~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글로벌 거점대학 육성사업(GHC)(2011~2012) 선정
- 대구 주얼리산업 브랜드 마케팅 활성화사업(2011~2013)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기부인증기관”(2011~2016)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학사제도 개선 시범 운영대학(2011~2014) 선정
- 스마트 콘텐츠 전문인력개발 및 일자리 창출사업(2011~2015) 선정
- 국가재난 응급의료 전문가 과정 교육센터(BDLS Basic Trainer Center) 지정(미국의학협회/BDLSF)
2012년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 업무협약(MOU) 체결
- 교육과학기술부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2012~2017) 선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기관평가 인증대학 선정
- 대구광역시 교육청 일반고 직업과정(조리ㆍ제과제빵 전공) 위탁교육기관 (2013~2014) 선정
- 여성가족부 여대생커리어개발 프로그램지원사업 선정
- 대구광역시 어린이 식품안전·영양교육사업 위탁운영기관 선정
- 삼성전자서비스(주) 고객응대서비스 인턴십프로그램사업 선정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주기 대구·경북 최초「간호교육 인증평가」‘5년’인증대학(2013~2018) 선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위탁운영기관(2013~2016) 선정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어린이집 위탁운영기관(2013~2017) 선정
2014년 - 대구광역시 교육청 일반고 직업과정(조리ㆍ제과제빵 전공) 위탁교육기관 (2013~2014) 선정
- 여성가족부 여대생커리어개발 프로그램지원사업 선정
- 대구광역시 어린이 식품안전·영양교육사업 위탁운영기관 선정
- 삼성전자서비스(주) 고객응대서비스 인턴십프로그램사업 선정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주기 대구·경북 최초「간호교육 인증평가」‘5년’인증대학(2013~2018) 선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위탁운영기관(2013~2016) 선정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어린이집 위탁운영기관(2013~2017) 선정
- 고용노동부 청년 강소기업체험프로그램(2014~2015) 선정
-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SCK)(2014~2018) 선정
- 교원양성기관평가 A등급 획득(유아교육과, 간호학과)
- 교원양성기관평가 실기교사양성학과 유지 획득 (건축, 레저, 방송, 식품, 정보통신, 컴퓨터)
2015년 -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SCK)(2014~2018) 선정
- 교원양성기관평가 A등급 획득(유아교육과, 간호학과)
- 교원양성기관평가 실기교사양성학과 유지 획득 (건축, 레저, 방송, 식품, 정보통신, 컴퓨터)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위탁교육기관(한식·양식·제과제빵·네일아트 전공)(2015~2016) 지정
- 대구광역시 교육청, 경상북도 교육청 일반고 특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위탁교육기관(2015~2018) 선정
- 대구광역시체육회 운동부 육성지원사업 선정
2016년 - 대구광역시 교육청, 경상북도 교육청 일반고 특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위탁교육기관(2015~2018) 선정
- 대구광역시체육회 운동부 육성지원사업 선정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대학 글로벌 현장학습 사업(2016~2018) 선정
-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중간(성과)평가 “매우우수” 등급 획득
- 교육부 대구·경북·강원권 NCS거점대학
- 대구광역시 북구 강북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위탁운영기관(2016~2018) 선정
2017년 -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중간(성과)평가 “매우우수” 등급 획득
- 교육부 대구·경북·강원권 NCS거점대학
- 대구광역시 북구 강북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위탁운영기관(2016~2018) 선정
- 교육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2017~2021) 선정
-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특성화 전문대학 선정
- 교육부 “교육기부인증기관” (2017~2020) 선정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3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5년’ 인증대학(2018~2022) 선정
- 교육부 교원양성기관평가 A등급 획득(유아교육과)
- 교육부 전문대학 기관평가 인증 획득
2018년 -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특성화 전문대학 선정
- 교육부 “교육기부인증기관” (2017~2020) 선정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3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5년’ 인증대학(2018~2022) 선정
- 교육부 교원양성기관평가 A등급 획득(유아교육과)
- 교육부 전문대학 기관평가 인증 획득
- 대학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 선정(2019-2021)
-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지원대학 선정(2019-2021)
- 교육부 우수 교수학습센터 지정(2019~2021)
2020년 -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지원대학 선정(2019-2021)
- 교육부 우수 교수학습센터 지정(2019~2021)
- 한국산업인력공단 K-Move스쿨(2018~2020) 선정
- 2020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3유형(후진학 선도형)(2020~2022) 선정
- 교육부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지원사업 선정
- 한국영양교육평가원 영양사교육과정 평가 인증 획득(2021~2025)
2021년 - 2020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3유형(후진학 선도형)(2020~2022) 선정
- 교육부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지원사업 선정
- 한국영양교육평가원 영양사교육과정 평가 인증 획득(2021~2025)
- 대학진로탐색캠프 운영대학 선정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설치 인가(치위생학과, 아동청소년지도학과)
- 전문대학 비대면 수업콘텐츠 및 자료개발 지원사업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2022~2024) 선정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위탁교육기관 지정
- 전문대학 3주기 기관평가인증(고등직업 교육품질 인증) 인증 획득(2022~2026)
2022년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설치 인가(치위생학과, 아동청소년지도학과)
- 전문대학 비대면 수업콘텐츠 및 자료개발 지원사업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2022~2024) 선정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위탁교육기관 지정
- 전문대학 3주기 기관평가인증(고등직업 교육품질 인증) 인증 획득(2022~2026)
- 교육부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A등급 획득(간호학과)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설치 인가(유아교육학과)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사업) 참여대학(2022~2026) 선정
- 교육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 3.0)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선정(2022~2024)
- 교육부 전문대학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2022)
- 교육부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HiVE) 참여대학(2022~2024) 선정
- 교육부 2022년 우수 교수학습지원센터 선정(2022~2025)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4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3년’ 인증대학(2023~2025) 선정
2023년 -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설치 인가(유아교육학과)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사업) 참여대학(2022~2026) 선정
- 교육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 3.0)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선정(2022~2024)
- 교육부 전문대학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2022)
- 교육부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HiVE) 참여대학(2022~2024) 선정
- 교육부 2022년 우수 교수학습지원센터 선정(2022~2025)
- 한국간호교육평가원 4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3년’ 인증대학(2023~2025) 선정
- 한국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평가원 1주기 보건의료정보관리교육 평가·인증 ‘5년’ 인증대학(2023~2027) 선정
- 대한상공회의소 2023년 직업계고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 지원사업(반도체전자과) 선정
- 대한민국 해병대 부사관 학군단(RNTC)(2023) 선정
- 교육부 2주기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2.0)(2023~2025) 선정
- 교육부 2023년 마이스터대 지원사업(2023~2024)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Ⅱ유형(지방 전문대학 활성화)(2023~2024) 선정
- 교육부 지정 “교육기부우수기관”(2024~2026) 선정
2024년 - 대한상공회의소 2023년 직업계고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 지원사업(반도체전자과) 선정
- 대한민국 해병대 부사관 학군단(RNTC)(2023) 선정
- 교육부 2주기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2.0)(2023~2025) 선정
- 교육부 2023년 마이스터대 지원사업(2023~2024)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Ⅱ유형(지방 전문대학 활성화)(2023~2024) 선정
- 교육부 지정 “교육기부우수기관”(2024~2026) 선정
- 지역기반형 유아교육보육 혁신지원사업(2024~2027) 선정
- 간호학과 실습교육지원사업(2024~2029)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2025~2027) 선정
2025년 - 간호학과 실습교육지원사업(2024~2029) 선정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2025~2027) 선정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선정(2025~2029)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선정(2025~2027)
- 교육부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선정(2025~2027)
3. 캠퍼스
캠퍼스는 꽤 깔끔한 편. 각 실습실은 리모델링으로 잘 꾸며져 있는 편이며 특히 식품영양조리학부의 시설이 매우 깔끔하다. 실제 조리업장이라기 보단 신형 아파트 주방같은 분위기. 덕분에 지역방송에서 조리장면을 촬영할 때 종종 사용한다.간호학과 실습실 역시 상당히 잘 되어있다. NEST Center라고 불리는데, 일반 병동 3개동 및 특수파트가 꾸며져 있다. 타 학교에서 실습실 개설에 참고한다고 하기도 하고 지자체에서도 우수 실습실로 방문한다고 한다. 인제대 백병원에서 라오스와 협업하는 데 참고하였고, 서울대학교 간호학과에서 방문하였다
학식이 맛있는 편이다. 때문에 인터넷에 주변 맛집을 검색하면 학교 식당 추천글이 자주 보인다. 그래서인지 주변 학생들이 자주 찾아온다. 대구보건대 학생들 뿐만 아니라 저녁이 되면 강북고와 영송여고 학생들도 학식을 먹으러 많이 오는 편이다. 옆 학교 식당과 비교하는 것 자체가 모욕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식당 규모, 음식 종류, 맛, 가격, 양 모든 것이 압도적이다.
4. 학과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학과는 2년제 학과. |
[A], [B]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운영 학과 별도 표시. |
표기된 학과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KABONE)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
표기된 학과는 교직과정 설치 학과임 |
4.1. 자연과학계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자연과학계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자연과학계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자연과학계열 Division of Natural Science | |
학부/과 | 전공 |
간호학과(4년제)
[A] | - |
치위생과(3년제)[A] | - |
물리치료과(3년제)[A] | - |
안경광학과(3년제) | - |
의무행정과 | - |
의료보험서비스학과 | - |
식품영양조리학부 | 식품영양학 전공 |
조리제과제빵음료 전공 | |
외식창업개발학과 |
4.2. 인문사회계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인문사회계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인문사회계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인문사회계열 Division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 |
학부/과 | 전공 |
유아교육과(3년제)
[A][7] | - |
금융부동산과[A] | - |
청소년교육지도과[A] | - |
평생학습상담과 | - |
경찰경호행정행정과 | |
사회복지상담과 | - |
사회복지웰빙과 | - |
국방기술행정과 | - |
4.3. 공학계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공학계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공학계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공학계열 Division of Engineering | |
학부/과 | 전공 |
컴퓨터정보과 | - |
SNS응용창업학과 | - |
측지정보과[A] | - |
반도체전자과 | - |
건축인테리어과[A] | - |
건축산업학과 | - |
4.4. 예·체능계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예체능계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과학대학교/학부/예체능계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예체능계열 Division of Arts & physical Education | |
학부/과 | 전공 |
방송영상제작과 | - |
뮤지컬연기과 | - |
뷰티디자인과[B] | - |
헤어디자인과[B] | - |
레저스포츠과 | - |
전문스포츠지도과 | - |
패션주얼리과 | - |
3D실용주얼리창업학과 | - |
4.5. 전문기술석사과정
대구과학대학교는 대구보건대학교와 함께 2023년부터 마이스터대학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운영한다.운영학과는 아래와 같다.
- 자연과학/ 공업계열 측지정보과
- 공간정보 (드론기반 정밀지형도 제작, 지하‧실내 공간정보구축, 공간정보 빅데이터 분석‧활용)
5. 출신 인물
- 고수희 - 배우. 방송연예과(졸업).
- 권소영 - 댄서. 아동청소년지도과(졸업).
- 김시덕 - 개그맨. 방송연예과(졸업).
- 김주희 - 정치인. 간호학과(졸업). 전 여성의당 소속으로, 래디컬 페미니즘 성향을 가진 정치인이다.
- 김현기 - 스키 선수.
- 류다무현 - 성우. 방송연예과(졸업).
- 박병창 - 유튜버. 뮤지컬연기과(졸업).
- 배재은 - 유튜버. 간호학과(졸업).
- 이성민 - 배우. 방송연예과(졸업). 종합복지관 8층에 당시 골든타임 때 써 준 싸인이 액자 안에 붙여져 있다.
- 이중옥 - 배우.
- 이혜근 - 배우.
- 최진수 - 농구 선수.
- 한유란 - 씨름 선수.
6. 주변 교통편
교통편이 우수한 편, 버스 기준(대구과학대학교 1, 2, 앞, 건너) 총 4개의 정류장이 학교명으로 되어 있어 학교를 찾아가기 쉽다.가장 먼 정류장에서도 학교까지 도보로 5~6분정도 걸리는 거리라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지하철은 3호선 구암역에서 도보 16분 정도 소요되는 거리라 어느정도 거리가 있는 편이지만, 학교에서 구암역에서 학교까지 운행하는 셔틀이 있어서 편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6.1. 버스
- 대구과학대학1,2 정류장: 527, 725, 726, 730, 북구1, 칠곡3, 급행3, 급행7, 300(칠곡)
- 대구과학대학앞,건너 정류장: 칠곡1(-1), 칠곡2
- 칠곡서한맨션앞, 칠곡한신아파트앞1 정류장: 707, 719, 937
- 태현초등학교앞,대구보건대학앞2 정류장: 724, 북구7, 북구8, 200(칠곡), 250(-1)(칠곡)
6.2. 도시철도
7. 여담
- 2026년 U리그 참가를 위해 학기 중에 축구부를 창단했다. 경상남도 합천군 일대에서 펼쳐진 '제20회 1,2학년대학축구연맹전'에 참가를 했는데 황가람기 예선 2일차 경기에서 건국대와 맞붙어서 0-29로 완패했고, 4일차 경기에서 경일대를 상대로 첫 골을 넣었으나 16-1로 대패를 당했다. 6일차 경기에서 강서대를 상대로 0-34로 처참하게 완패를 당하며 3전 3패 1득점 79실점을 기록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이렇게 압도적인 점수차가 나온 이유는 참가 신청 이후 팀 내적으로 문제가 생겨 선수단 구성이 완성되지 않았는데, 협회 규정상 1년에 1회 이상 대회에 나서지 않으면 강제 해체, 재창단 5년 불가라는 규정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일반 학생 위주로 팀을 꾸려서 참가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해당 조는 대구과학대와의 경기기록을 제외하고 남은 팀간의 경기결과만으로 순위를 가렸다. 비슷한 사례로 예원예술대학교가 2023년 일반 학생 위주로 라인업을 꾸려 대회에 참가, 3전 3패 무득점 89실점을 기록하며 탈락한 바 있다.[14]
8. 둘러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