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1:34:38

탄자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남수단 국기.svg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레위니옹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잔지바르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동부·중앙아프리카축구협의회.png 동부·중앙아프리카축구협의회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남수단 국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남수단
르완다
부룬디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우간다
잔지바르
지부티
케냐
탄자니아 }}}}}}}}}


파일:탄자니아 축협2.png
탄자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Tanzania national football team
정식명칭 Tanzania national football team[1]
FIFA 코드 TAN
FIFA 랭킹 107위[2]
Elo 랭킹 102위[3]
협회 탄자니아 축구 연맹 (TFF)
연맹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 동아프리카 축구 연맹 (CECAFA)
감독 대행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헤메드 술레이만 (Hemed Suleiman)
주장 음브와나 사마타 (Mbwana Samatta)
최다출전자 에라스토 은요니 (Erasto Nyoni) - 107경기
최다득점자 음리쇼 응아사 (Mrisho Ngasa) - 25골
홈 구장 벤저민 음카파 내셔널 스타디움 (Benjamin Mkapa National Stadium, 60,000석)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우간다 보호령 국기.svg 우간다 (0:7 패)
파일:우간다 보호령 국기.svg 우간다 (1945년)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7:0 승)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진자 (1995년 12월 1일)
VS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7:0 승)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캄팔라 (2012년 12월 1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케냐 식민지 기.svg 케냐 (0:9 패)
파일:탕가니카 지역 국기.svg 탕가니카 (1956년)
별칭 Taifa Stars (타이파 스타)
네이션스컵 진출 3회 (1980, 2019, 2023)
유니폼 어웨이
<colcolor=#000000> 상의 파랑 하양
하의 검정 검정
양말 파랑 하양


1. 개요

탄자니아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65위(1995년 2월 20일), 최저 순위는 175위(2005년 10월 17일 ~ 12월 15일)이다.

2. 상세

홈구장은 탄자니아 내셔널 스타디움이다. 타이파 스타즈(Taifa Star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본래 이 팀은 1962년 탕가니카 공화국을 대표하는 팀이었다가 1964년 잔지바르와 통합하여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이 된 이후 팀 이름도 탄자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바뀌었다. 다만 이 팀과 별개로 잔지바르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 있으나 FIFA 비회원국, CAF 준회원국 신분이기에 잔지바르 단독으로는 FIFA 월드컵이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참가할 수 없다.


2010년 6월 7일에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과 평가전을 치렀는데 1-5로 패했다. 그런데 이 결과를 놓고 사람들은 탄자니아가 세계최강의 브라질을 상대로 골을 넣었다며 매우 감탄했다. 실제로 이 경기가 종료되자 탄자니아 관중들은 마치 월드컵에서 우승한 것처럼 기뻐했다.[4]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2회 본선에 진출. 1980년 한 번 진출했다가 39년 만에 2019년 대회에 두 번째 본선에 올라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자국 유명선수이자 에이스로 음브와나 사마타, 켈빈 존이 있다. 유럽파는 극소수고, 이집트에 많이 진출한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울스포츠이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탄자니아 축협2.png탄자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bf00>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에라스토 은요니 104회 2006.11.25 2021.11.14
}}}}}}}}}}}}}}} ||

4. 역대전적

4.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영국의 위임통치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탕가니카 지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영국의 신탁통치령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독립 이전(탕가니카 지역)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탕가니카 공화국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FIFA 비회원국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4년 아르헨티나
기권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예선 탈락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불참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예선 도중 기권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일본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대한민국·일본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rowcolor=#373a3c>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캐나다·미국·멕시코
? ? ? ? ? ? ? ? ?
<rowcolor=#373a3c>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rowcolor=#373a3c>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4.2. 네이션스컵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영국의 신탁통치령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독립 이전(탕가니카 지역)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1959
탕가니카 공화국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CAF 비회원국
파일:가나 국기.svg
1963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
불참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예선 도중 기권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예선 탈락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예선 탈락
파일:에티오피아 국기(1975-1987).svg
197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1978
예선 탈락
<rowcolor=#373a3c>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조별리그 8위 3 0 1 2 3 6 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1982
기권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예선 도중 기권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예선 탈락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예선 탈락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
예선 도중 기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예선 탈락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예선 탈락
파일:말리 국기.svg
200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예선 도중 기권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2008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예선 탈락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2017
예선 탈락
<rowcolor=#373a3c>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조별리그 24위 3 0 0 3 2 8 0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조별리그 22위 3 0 2 1 1 4 2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 ? ? ? ? ? ? ? ?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자동 진출
합계 본선진출 3회[5] 9 0 3 6 6 18 3

[1] 영어[2] 2025년 4월 3일 기준[3] 2025년 3월 31일 기준[4] 경기 당시 브라질의 FIFA 랭킹은 1위, 탄자니아의 FIFA 랭킹은 108위로 100계단 이상의 격차가 있었다. 격이 너무나도 다른 세계 최강의 축구 국대를 상대로 만회골을 넣은 것 자체가 기적이었던 셈이다.[5] 최고순위 8위(1980 나이지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