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
| | | |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
| |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
| | | | |
레위니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 | | |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 | |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 | | |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
| | | |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
| | | |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
| | |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잔지바르 | |
| | | |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
| | | |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 | |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
| | | |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중앙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 | | |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
| |||
적도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 |||
Selección de fútbol de Guinea Ecuatorial | |||
<colbgcolor=#009037><colcolor=#fff> FIFA 코드 | EQG | ||
축구 협회 | 적도 기니 축구 연맹 (FEGUIFUT) | ||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
지역 연맹 | 중앙아프리카 축구 연맹 (UNIFFAC) | ||
홈 경기장 | 스타드 데 마티르 (Stade des Martyrs, 80,000석) | ||
별칭 | Nzalang Nacional (내셔널 선더) | ||
감독 |
후안 미차 (Juan Micha) | ||
주장 | C 에밀리오 은수에 (Emilio Nsue) | ||
FIFA 랭킹 | 95위 (2025년 9월 18일 기준 / #) | ||
Elo 랭킹 | 87위 (2025년 9월 16일 기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9037><colcolor=#fff> A매치 최다 출전 | 페데리코 비코로 (Federico Bikoro) - 55경기 / 6골 | |
A매치 최다 득점 | 에밀리오 은수에 (Emilio Nsue) - 46경기 / 22골 | ||
첫 국제경기 출전 |
적도 기니 vs
중국 2:6 패(중국 / 1975년 5월 23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적도 기니 vs
중앙아프리카공화국 4:0 승 (적도 기니 바타 / 2014년 12월 1일) | ||
적도 기니 vs
남수단 4:0 승(적도 기니 말라보 / 2016년 9월 4일) | |||
적도 기니 vs
코트디부아르 4:0 승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 2024년 1월 22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적도 기니 vs [[콩고 공화국|(콩고 / 1990년 12월 13일)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9037><colcolor=#fff> 대륙대회 | ||
네이션스컵 | [진출] 5회 [최고] 4위 (2015) | ||
네이션스 챔피언십 | [진출] 1회 [최고] 조별리그 (2018) |
유니폼 | 홈 | 어웨이 |
<colcolor=#000000> 상의 | 빨강 | 하양 |
하의 | 빨강 | 하양 |
양말 | 빨강 | 하양 |
1. 개요
적도 기니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49위(2015년 2월 12일), 최저 순위는 195위(1998년 12월 23일)이다.2. 상세
홈구장은 누에보 에스타디오 데 말라보이며 감독은 후안 미차이다. 은잘랑 나시오날(Nzalang Nacional)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자국에서 열린 2015년 대회 4위가 최고의 성적이다. 무려 8강에서 튀니지를 꺾는 대파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4강전에서는 가나에게 패하며 결승진출에 실패하였고 3위 결정전에서 콩고민주공화국에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밑에 서술하듯이 오일 머니를 내세워 외국선수를 마구 귀화시켜 단기간에 발전한 논란이 있긴 하다. 일단 해당 선수들이 자국 국대선수 경력이 없던 만큼, 피파 규정은 문제가 없지만. 그러나 2015년 9월 6일, 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아프리카 최약체인 남수단에게 0-1로 패했다! 남수단 건국사상 첫 공인 A경기 1승 제물이 되었는데 당시 적도 기니가 피파 랭킹 62위, 남수단이 198위인걸 생각하면 엄청난 대이변이다.
유명 선수로 스페인 청대 출신 에밀리오 은수에, 역시 스페인 출신 페드로 오비앙, 사울 코코, 카를로스 아카포, 페데리코 비코로 등이 있다. 과거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역사가 있어 대부분 스페인계 혼혈 선수들이 적도기니로 국대를 선택하는 식으로 전력을 강화한다. 본토 출신으로 호세 마친, 헤수스 우오노 등이 있다.
여담으로 과거에 FC 바르셀로나 감독 키케 세티엔이 무명 시절 지휘를 한적이 있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스페인의 식민지 | |||||||||
1930 우루과이 | 독립 이전(스페인령 기니)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 적도 기니 공화국 | |||||||||
1970 멕시코 | 축구 협회 창립 이전 | ||||||||
1974 서독 | |||||||||
1978 아르헨티나 | 비회원국 | ||||||||
1982 스페인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불참 | ||||||||
1994 미국 | |||||||||
1998 프랑스 | |||||||||
2002 한일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6 독일 | |||||||||
2010 남아공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 | ? | ? | ? | ? | ? | ? | ? |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3.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21위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스페인의 식민지 | ||||||||||
1957 수단 | 독립 이전(스페인령 기니) | |||||||||
1959 아랍연합공화국 | ||||||||||
1962 에티오피아 | ||||||||||
1963 가나 | ||||||||||
1965 튀니지 | ||||||||||
1968 에티오피아 | ||||||||||
※ 적도 기니 공화국 | ||||||||||
1970 수단 | 불참 | |||||||||
1972 카메룬 | ||||||||||
1974 이집트 | ||||||||||
1976 에티오피아 | ||||||||||
1978 가나 | ||||||||||
1980 나이지리아 | ||||||||||
1982 리비아 | ||||||||||
1984 코트디부아르 | ||||||||||
1986 이집트 | ||||||||||
1988 모로코 | 기권 | |||||||||
1990 알제리 | 예선 탈락 | |||||||||
1992 세네갈 | 불참 | |||||||||
1994 튀니지 | ||||||||||
1996 남아공 | 기권 | |||||||||
1998 부르키나파소 | 불참 | |||||||||
2000 가나/나이지리아 | ||||||||||
2002 말리 | 예선 탈락 | |||||||||
2004 튀니지 | ||||||||||
2006 이집트 | ||||||||||
2008 가나 | ||||||||||
2010 앙골라 | ||||||||||
<rowcolor=#373a3c> 2012 가봉/적도 기니 | 8강 | 7위 | 4 | 2 | 0 | 2 | 3 | 5 | 6 | |
2013 남아공 | 예선 탈락 | |||||||||
<rowcolor=#373a3c> 2015 적도 기니 | 4위[2][3] | 6 | 2 | 3 | 1 | 5 | 5 | 9 | ||
2017 가봉 | 예선 탈락 | |||||||||
2019 이집트 | ||||||||||
<rowcolor=#373a3c> 2021 카메룬 | 8강 | 7위 | 5 | 2 | 1 | 2 | 3 | 4 | 7 | |
<rowcolor=#373a3c> 2023 코트디부아르 | 16강 | 10위 | 4 | 2 | 1 | 1 | 9 | 4 | 7 | |
2025 모로코 | ? | ? | ? | ? | ? | ? | ? | ? | ? | |
2027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4회 / 4위 1회 | 15 | 6 | 4 | 5 | 11 | 14 | 22 |
4. 외인구단 논란
적도 기니는 산유국으로써 순식간에 엄청난 돈을 축적했고, 현 대통령 오비앙 응게마는 아들과 함께 체육계에 수많은 외국인 선수들을 사들이기 시작한다.이로 인해 적도 기니 대표팀에는 수많은 외국인 선수들이 유입되기 시작했고 절반 이상이 외국인들로 구성되기에 이르렀다. 국적은 남미의 강호 브라질[4], 콜롬비아가 대다수지만 식민지 모국인 스페인 출신도 있고, 옆나라인 카메룬,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출신도 있다. 심지어 라이베리아, 지브롤터 출신도 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최종 엔트리 23명중 21명이 외국인 혹은 혼혈이였고,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19명이 외국인 혹은 혼혈이였다.
물론 그 선수들은 단 한번도 적도 기니의 국토는 커녕 아프리카 대륙 자체도 경험해보지 못한 선수들이며, 혼혈 선수들보다도 아예 외국인인 선수들의 비율이 더 높은 이해하기 힘든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FIFA에서는 이를 크게 문제삼고 있지 않으며 앞으로도 크게 재제할 생각이 없어보였으나...
2026년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주장 에밀리오 은수에에 대한 국적 관련 부적격 논란이 다시 불거지면서 몰수패 처리 등 FIFA의 징계를 받았다. 황당한 점은 11년 전인 2013년 은수에 선수에 대해 같은 사유로 몰수패 처리 및 징계를 받고도 다시 똑같은 논란이 발생했다는 것. 2024년 현재 적도 기니 대표팀의 국적 논란이 다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