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00:22:37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부정행위 방법3. 처벌4. 비판5. 사건 이후6. 둘러보기

1. 개요

2004년 11월 17일 실시된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적으로 수많은 수험생들이 시험 성적을 올리기 위해 부정행위를 하다가 적발된 사건.

부정행위는 크게 휴대전화를 이용해 답안을 전송하는 방식과 대리시험을 치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광주광역시에서 집단 부정행위가 밝혀진 뒤 전국에서 부정행위자가 속출하면서 이 사건은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당시 가장 먼저 적발된 곳은 광주광역시광주석산고등학교여서 이곳에 관심이 쏠렸으나 이후 옆동네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에서 더 많이 나와 관심이 그쪽으로 옮겨졌으며 조사 결과 전국적으로 부정행위자가 쏟아져 나왔다.

이 사건으로 인해 수능 시험의 허술한 감독 체계가 부각되었으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를 교훈삼아 200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부정행위 단속을 강화했다.[1]

2. 부정행위 방법

2004년 9월 중학교 동창 사이인 이들이 부족한 성적을 올려보자는 것이 사건의 시작이었으며 이들이 부정행위에 이용한 것은 구형 휴대전화였다. 이에 시험 전날인 2004년 11월 16일 여관에서 1:1로 짝을 이루어 일부는 예행연습까지 했다.

시험 당일인 11월 17일 수요일 해당 수험생들은 구형 휴대전화 2대를 몸에 부착한 채 고사장에 입실했다. 고사장에서 이들은 정답 번호 숫자만큼 두드려[2] 고시원에 대기 중인 후배들에게 답안을 전달하면 후배들은 전달받은 답안 중 다수의 답안을 정답으로 보고 문자메시지를 전송했다.

사건이 전국으로 퍼진 후에는 거액의 돈을 받고 대리로 시험에 응시한 수험생도 적발되었다.

3. 처벌

2004년 12월 6일 교육인적자원부는 부정행위자 226명에 대해 모두 성적을 무효처리했다.[3] 그로부터 1주일 뒤인 12월 13일 추가로 무효처리자가 발생하여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부정행위로 인해 성적이 무효처리된 학생은 모두 314명으로 늘었다.

4. 비판

이 사건이 터지기 전 인터넷 사이트 등에서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핸드폰으로 부정행위를 하려 한다’는 괴담이 확산되고 있었다. 경찰은 부정행위를 하려 한다는 제보를 한 학생을 상대로 부정행위 수법, 부정행위를 할 학생과 그들의 학교 및 휴대전화와 관련된 정보를 입수해 수사하려고 했지만 시교육청이 경찰 수사에 반대하여 내사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고, 결국 이 사건이 터지고 말았다.

브로커가 활동하고 있다는 일부 네티즌들의 제보에도 시교육청은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아 교육청의 안이한 대응이 이 사건을 발생시켰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이 사건이 일어날 것을 예고한 제보글 200건을 광주광역시교육청은 모두 삭제한 것으로 드러났다.

5. 사건 이후

이 사건 이후 교육인적자원부[4]는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대책을 내놓았다. 원서접수 때부터 본인임을 확인하여 대리 시험을 방지하면서 증명사진 크기를 반명함판 사이즈(3cm×4cm)에서 여권용 사이즈(3.5cm×4.5cm)로 강화되었으며 시험실 인원도 이전의 32명(8명*4열)에서 28명(7명*4열)으로 줄이면서[5] 전자시계를 제외한[6] 모든 전자기기를 반입 금지 물품으로 지정하여[7]적발 시 시험 성적 전체를 무효 처리하도록 하고 시험장 복도마다 금속탐지기 검색으로 전자기기 소지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대리 시험 방지를 위해 OMR 답안지에 필적확인란 문구가 도입되었으며 사프 펜과 같은 필기구도 시험장에서 일괄적으로 지급하기 시작해 수능 샤프가 이때부터 생겨났다. 200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시 개정된 고등교육법에는 부정행위자는 모두 1년간 응시자격을 정지하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2005년 11월 23일200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졌을 때 30여명이 휴대폰이나 MP3를 소지하여 부정행위자로 간주되어 성적이 무효처리되고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격이 정지되었으나 처벌이 가혹하다는 지적에 따라 이듬해인 2006년 8월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격이 정지된 30여명이 구제되었고 부정행위를 차등 제재하는 내용의 고등교육법이 개정 통과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2006년 11월 15일 MBC의 〈현장기록 형사〉와 2012년 2월 12일 MBC의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 이 사건에 대해 방영하였다.

6.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교육 관련 사건 사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000>
1990년대 이전
무즙 파동(1964)A 창칼 파동(1968)A 이윤상 유괴 살인 사건(1980)T 김수경 영남대학교 인문관 옥상 투신 자살 사건(1990)S 집단 따돌림 초등학생 자살사건(1998)B 브니엘학원 사태(1999)T 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00년 상문고등학교 비리재단 반대시위 사건T
2001년 서울 북공고 퇴학 사건T 부산 동명고등학교 남고생 살인사건B
2004년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A C S
2005년 개성중학교 폭행치사 사건B 서인천고 집단따돌림 자살사건B 광주 인화학교 사건T
2006년 청주 여중 고데기 사건B
2007년 김포외고 입학전형 문제 유출 사건A 동호정보공업고등학교 폐교 논란G 수능 등급제A G P 천화욱군 사망 사건S
2008년 진성고등학교 학생인권 논란T S
2009년 정다금 사망 사건B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1년 2011년 대구 중학생 집단괴롭힘 투신자살 사건B 2011 서울특별시 무상급식 주민투표P
2013년 2013년 학교폭력 피해자 가출 강도 사건B 야탑고등학교 야구부 집단괴롭힘 자살사건B
2014년 전주 여중생 집단폭행 사건B 학교폭력 멈춰!B P
2015년 이천제일고등학교 교사 폭행 사건T 하나고등학교 입시 성적 조작 의혹A 2015 개정 교육과정/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G P
2016년 정유라 이화여자대학교 부정입학 사건A 원주 중학생 칼부림 사건B 캼쟈 학교폭력 사건B 이근갑 6월 모의평가 국어 문제 유출 사건A C
2017년 서울 숭의초등학교 수련회 집단폭행사건B 장난감 화살 실명 사건B 전주 여중생 투신자살 사건B 천안 여중생 폭행 사건B 청량리 여중생 폭행 사건B 부산 여중생 집단 폭행 사건B 아산 여중생 폭행 사건B 강릉 여고생 폭행 사건B 안우진 학교폭력 사건B 양홍원 학교폭력 사건B 서울위례별초등학교 페미니즘 사상 강요 사건T 2017년 서울교대 항의 시위P T 경남 여교사 초등생 의제강간 사건T 상서중학교 성추행 무고 피해 교사 자살 사건T S 문재인 정부 특목자사고 폐지 정책 논란G P 대학수학능력시험 절대평가 전환 논란A P
2018년 문태고등학교 시험지 유출 사건C S 숙명여자고등학교 쌍둥이 자매 시험지 유출 사건C 인천 중학생 추락사 사건B 인천 여고생 집단폭행 사건B 조희연 해직교사 특별채용 사건G T 관악산 여고생 집단폭행사건B 제천 여고생 투신자살 사건B 제천 여중생 집단 폭행사건B
2019년 조국 사태A G 2019년 포항 남중생 자살 사건T 고려고등학교 시험문제 유출 및 점수조작 사건C 대전 남중생 집단 폭행 사건B 의정부 고교생 폭행사건B 제천 고교생 집단폭행·유사강간 사건B 수원 06년생 집단 폭행 사건B 조주은 학교폭력 사건B 인헌고등학교 사상 강요 사건G T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20년 울산 초등교사 아동학대 사건T 2020년 대학교 집단 부정행위 사태C S 인천영종고등학교 집단폭행 사건B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영향/교육/등교 관련P 온라인 개학P 수능 시험장 방역용 책상 칸막이 논란P 2020년 의대정원 확대 반대 집단행동G P
2021년 2021년 학교폭력 폭로 사건B 이재영-이다영 학교폭력 사건B 송명근-심경섭-배홍희 학교폭력 사건B 기성용 학교폭력 및 성폭력 의혹 사건B 이영하-김대현 학교폭력 가해 누명 사건B ? 진달래 학교폭력 가해 사건B 김소혜 학교폭력 논란B 수진 학교폭력 가해 논란B 박혜수 학교폭력 가해 논란B 2021년 양산 여중생 폭행사건B 일산 마두역 사건B 익산 남고생 집단폭행 사건B 제천 남중생 집단폭행 사건B 보성고등학교 교사 페미니즘 사상 강요 및 갑질 사건T 페미니스트 교사조직의 아동 학대 및 세뇌 의혹G T 여성 사감장 남학생 기숙사 침입 사건T
2022년 의령 초등교사 막말 사건T 윤석열 정부 초등학교 입학 연령 하향 추진 논란G P 대구 여교사 남학생 성관계 사건T 정호영 자녀 경북대학교 특혜 논란A 김가람 학교폭력 논란B 남주혁 학교폭력 논란B 익산 초등학생 학교폭력 사건B 서울대학교 2023학년도 정시 내신 반영 논란A 진명여고 군인 조롱 위문편지 작성 사건G S
2023년 대구 중학생 학교폭력 생중계 사건B 정순신 아들 학교폭력 가해 사건B 이동관 아들 학교폭력 가해 의혹 사건B 김승희 딸 학교폭력 가해 사건B 표예림 학교폭력 피해 폭로 사건B 지기TV 학교폭력 사건B 김히어라 학교폭력 논란B 일산 초등학교 학교폭력 사건B T 천안 초중생 집단 폭행사건B 대전 여고생 절교 살인사건B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A G P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탐구 Ⅱ과목 표준점수 폭등 사태A 2023년 대한민국 교사 사망 및 교권침해 사건B G P T ? 양천구 초등교사 폭행 사건B T 광주 고등학교 교사 폭행 사건B T 서울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T ? 2023년 교사 집회G P T 주호민 특수교사 고소 사건T 대전송촌고등학교 칼부림 사건T ? 교육부 사무관 갑질 사건T 서울신목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T 군산 초등학교 교사 투신 사건T 공교육 멈춤의 날G P T 대전관평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T 서울도성초등학교 학부모 단톡방 사건T 의정부호원초등학교 교사 2인 사망사건T 2022학년도 11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정보 유출 사건A S
2024년 대구체고 수영부 성폭력 사건B 삼척 학교폭력 가해자 살인사건B 만화 갤러리 유저 자살 추정 사건B ? 서울 백암고 여교사 남성혐오 발언 사건T 예술고등학교 여교사 남고생 불륜 사건T 전주 초등학교 3학년 교감 폭행 사건B T 전북 고등학교 교사 방검복 착용 출근 사건T 서울시 성폭력 제보교사 해임 사건T 구미 여교사 아들 살해 사건T 음대 성악과 입시 비리 사건A C 윤석열 정부 의과대학 정원 대폭 확대 지침A G P 2024년 의료정책 추진 반대 집단행동G P 동덕여자대학교 남녀공학 전환 반대 시위P S 부산 고교생 교사 불법촬영 사건S T
2025년 대전 여교사 초등학생 의제강간 사건T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T 영주 초등교사 막말 사건T 양천구 여고 교사 출산 관련 발언 논란T 신목고등학교 재학생 교사 폭행 사건T S 부산 동급생 집단 폭행 사건B }}}}}}}}}
범례 : 입시 관련 사건(A), 학교폭력(B), 시험 부정행위(C), 교육부 등 국가행정조직 연루(G), 교육 정책 관련 논란(P), 기타 학생 관련 사건(S), 교사 관련 사건(T), 기타 유형 혹은 사건 경위 불명(?) }}}}}}}}}




[1] 이때부터 시험장에서는 교육부가 자체적으로 지급하는 필기구만 반입할 수 있다. 수능샤프가 생겨난 이유이기도 하다.[2] 정답이 3일 경우 3번 두드리는 것이다. 그러니까 가형 이산수학 30번(정답 330)과 나형 22번(정답 290)은...[3] 당시 무효처리된 학생은 부정행위 유형별로 문자 송수신 195명, 휴대폰 소지 25명, 대리시험 6명이다.[4] 현 교육부[5] 코로나19 사태 이후 치러진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24명(6명*4열)으로 조정되었다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원상복구되었다.[6] 전자시계는 2017년도에 금지되었다.[7] 이전까지는 자율적으로 휴대전화를 끄고 가방에 넣어 앞쪽에 모아두는 식이었다. 점심시간에 다시 휴대전화를 켜고 가족과 통화도 가능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