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말라야늑대 喜馬拉雅狼 | Himalayan wolf | |
| | |
| 학명 | Canis lupus chanco Gray, 1863 |
| 분류 |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목 | 식육목(Carnivora) |
| 과 | 개과(Canidae) |
| 속 | 개속(Canis) |
| 종 | 늑대(C. lupus) |
| 아종 | 히말라야늑대(C. l. chanco) |
| 멸종위기등급 | |
| | |
1. 개요
늑대의 아종.유전학적으로 몽골늑대와 히말라야늑대는 동일한 아종이라는 분석이 있기에 학계에선 일단 둘 다 같은 아종명으로 칭하기도 하지만, 별개의 아종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
2. 특징
몸길이 110~180cm, 어깨높이 68~76cm, 평균 무게 30~55kg이다. 고지대의 낮은 산소 농도를 견딜 수 있도록 심장 흥분을 유발하는 유전자인 RYR2에 대한 강력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고, 선사시대 때 현대 북방구 늑대 아종들과 개로부터 멀리 떨어진, 알려지지 않은 늑대형 개과 유령 개체군(ghost population)과 교잡하여 EPAS1 대립유전자를 받아 고산병에 강하다.#, #, #인도의 네팔, 부탄, 파키스탄, 중국, 몽골, 라다크, 히마찰프라데시, 히말라야산맥에 서식한다.
먹이는 주로 토롤드사슴, 티베트가젤, 바랄, 히말라야마멋, 큰귀우는토끼, 양털멧토끼을 먹는다. 그외 박트리아사슴, 야르칸드사슴, 티베트붉은사슴, 노루, 시베리아아이벡스, 컁당나귀, 몽골야생말, 야크, 마코르염소, 아르갈리, 우리알을 잡아먹는다.
천적과 경쟁자는 인도표범, 눈표범, 히말라야흑곰, 히말라야불곰이 있으며, 어린 개체는 검독수리에게도 노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