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7:34:06

히라타 료스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주니치 드래곤즈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감독 99 이노우에 카즈키
1군 76 오츠카 아키노리 (순회투수·육성코치) · 83 야마이 다이스케 (투수코치) · 82 아사오 타쿠야 (투수코치)
89 마쓰나카 노부히코 (타격총괄코치) · 78 모리노 마사히코 (타격·작전코치)
72 오노 쇼타 (배터리코치) · 74 이야마 유지 (야수종합코치) · 71 도노우에 나오미치 (내야수비·주루코치) · 87 나카무라 유타카 (외야수비·주루코치)
2군 88 오치아이 에이지 (2군감독)
77 코야마 신이치로 (투수총괄코치)(1) 98 타지마 신지 (투수코치) · 86 코바야시 마사토 (투수·육성코치)
75 코이케 마사아키 (타격총괄코치) · 84 후쿠다 노부마사 (타격코치)
80 오다 코헤이 (배터리코치) · 81 모리코시 유토 (내야수비·주루코치) · 79 히라타 료스케 (외야수비·주루코치) · 85 와타나베 히로유키 (야수종합·육성코치)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주니치 드래곤즈로 돌아가기
(1) 온라인 카지노 도박 혐의로 인한 무기한 근신 처분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히라타 료스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쇼와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rowcolor=#20272c,#d3dade>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토요나가 류세이
(豊永隆盛)
오오바 타카히로
(大場隆広)
이구마 히로카즈
(伊熊博一)
츠치야 히로시
(土屋紘)
호시노 센이치
(星野仙一)
<rowcolor=#20272c,#d3dade>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야자와 켄이치
(谷沢健一)
우지이에 마사유키
(氏家雅行)
후지사와 테츠야
(藤沢哲也)
스즈키 타카마사
(鈴木孝政)
후지나미 유키오
(藤波行雄)
<rowcolor=#20272c,#d3dade>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츠치야 마사카츠
(土屋正勝)
타오 야스시
(田尾安志)
미야코 유지로
(都裕次郎)
후지사와 키미야
(藤沢公也)
타카하시 미치타케(1)
(高橋三千丈)
<rowcolor=#20272c,#d3dade>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우시지마 카즈히코
(牛島和彦)
나카오 타카요시
(中尾孝義)
오노우에 아키라
(尾上旭)
카시마 타다시(1)
(鹿島忠)
후지오 야스하루
(藤王康晴)
<rowcolor=#20272c,#d3dade>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나카무라 타케시(1)
(中村武志)
사이토 마나부(1)
(斉藤学)
콘도 신이치(2)
(近藤真市)
타츠나미 카즈요시(2)
(立浪和義)
이마나카 신지
(今中慎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9년 ~ 2018년
<rowcolor=#20272c,#d3dade>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요다 츠요시
(与田剛)
코지마 히로무(1)
(小島弘務)
오치아이 에이지(1)
(落合英二)
사토 히데키(1)
(佐藤秀樹)
히라타 히로시(3)
(平田洋)
<rowcolor=#20272c,#d3dade>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카나모리 타카히로(1)
(金森隆浩)
아라키 마사히로(1)
(荒木雅博)
코야마 신이치로
(小山伸一郎)
카와카미 켄신(3)
(川上憲伸)
후쿠도메 코스케(3)
(福留孝介)
<rowcolor=#20272c,#d3dade>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아사쿠라 켄타(1)
(朝倉健太)
나카자토 아츠시
(中里篤史)
마에다 아키히로(1)
(前田章宏)
모리오카 료스케
(森岡良介)
나카가와 히로키
(中川裕貴)
<rowcolor=#20272c,#d3dade>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히구치 타츠미(3)
(樋口龍美)
히라타 료스케(4)
(平田良介)
도노우에 나오미치(2)(4) 아카사카 카즈유키(1)(4)
(赤坂和幸)
노모토 케이(2)
(野本圭)
요시미 카즈키(3)(5)
(吉見一起)
타나카 다이스케(3)(5)
(田中大輔)
야마우치 소마(1)(5)
(山内壮馬)
<rowcolor=#20272c,#d3dade>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오카다 토시야(1)
(岡田俊哉)
오노 유다이
(大野雄大)
타카하시 슈헤이(2)
(高橋周平)
후쿠타니 코지
(福谷浩司)
스즈키 쇼타(1)
(鈴木翔太)
<rowcolor=#20272c,#d3dade>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노무라 료스케
(野村亮介)
오가사와라 신노스케(1)
(小笠原慎之介)
야나기 유야(2)
(柳裕也)
스즈키 히로시(1)
(鈴木博志)
네오 아키라(2)
(根尾昂)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레이와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9년 ~
<rowcolor=#20272c,#d3dade>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이시카와 타카야(2)
(石川昂弥)
타카하시 히로토
(髙橋宏斗)
브라이트 켄타
(ブライト健太)
나카치 레이아
(仲地礼亜)
쿠사카 쇼(1)(2)
(草加勝)
<rowcolor=#20272c,#d3dade>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카네마루 유메토 (2)
(金丸夢斗)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복수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파일:07주니치.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07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15 WBSC Premier 12™
{{{#c63 동메달}}}
2015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한신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사카자키 카즈히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오와다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모리 토오루
주니치
나카 토시오
주니치
나미키 테루오
오사카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나미키 테루오
한신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후지이 에이지
한신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게마츠 쇼조
타이요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토 신이치
주니치
데이브 로버츠
산케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히로시마
데이브 로버츠
아톰즈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니카 아키오
주니치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스에츠구 토시마츠
요미우리
진 마틴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이노우에 히로아키
주니치
로저 레포즈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찰리 매뉴얼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마이크 라인백
한신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나가사키 케이지
타이요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마츠모토 타다시
타이요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짐 파초렉
타이요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초렉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로버트 제임스 레이놀즈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래리 시츠
타이요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글렌 브렉스
요코하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알론조 파웰
주니치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세키카와 코이치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이나바 아츠노리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시미즈 타카유키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터피 로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맷 머튼
한신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맷 머튼
한신
유헤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츠츠고 요시토모
DeNA
후쿠도메 코스케
한신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시오미 야스타카
야쿠르트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치카모토 코지
한신
사노 케이타
DeNA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니시카와 료마
히로시마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호리이 카즈오
난카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츠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오오시타 히로시
세이부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세키구치 세이지
세이부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요시다 카츠토요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호리고메 모토아키
난카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조지 알트맨
오리온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나가부치 요죠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돈 뷰폴드
타이헤이요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로타 스미오
롯데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백인천
타이헤이요
히로타 스미오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미노다 코지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카나모리 에이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토니 브루워
닛폰햄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타카하시 사토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케빈 라이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다린 잭슨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타구치 소
오릭스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터피 로즈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오오무라 나오유키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셔먼 오반도
닛폰햄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이소베 코이치
킨테츠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SHINJO
닛폰햄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맷 프랑코
롯데
미야지 카츠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오오무라 나오유키
소프트뱅크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릭 쇼트
라쿠텐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텟페이
라쿠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타무라 히토시
소프트뱅크
T-오카다
오릭스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나카타 쇼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나카타 쇼
닛폰햄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키요타 이쿠히로
롯데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오기노 타카시
롯데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마츠모토 고
닛폰햄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골든글러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론 우즈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이케베 이와
한신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존 스콧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마츠모토 마사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기타무라 데루후미
한신
히라노 켄
주니치
마츠모토 마사시
요미우리
기타무라 데루후미
한신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마츠모토 마사시
요미우리
가게 요
타이요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야마자키 타카조
히로시마
가게 요
타이요
히라노 켄
주니치
야마자키 타카조
히로시마
가게 요
타이요
히라노 켄
주니치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가게 요
타이요
야마자키 타카조
히로시마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가게 요
타이요
야마자키 타카조
히로시마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쿠리야마 히데키
야쿠르트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야나기다 코이치
야쿠르트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로버트 제임스 레이놀즈
타이요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카메야마 쓰루
한신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음중진
히로시마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오가타 다카이치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오가타 다카이치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신조 츠요시
한신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오가타 다카이치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오가타 다카이치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히데노리
주니치
알렉스 오초아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스즈키 나오치로
요미우리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마츠모토 테츠야
요미우리
카메이 요시유키
요미우리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히로세 준
히로시마
아카마츠 마사토
히로시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나가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아라나미 쇼
DeNA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나가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아라나미 쇼
DeNA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나가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야마토
한신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후쿠도메 코스케
한신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쿠와하라 마사유키
DeNA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시오미 야스타카
야쿠르트
치카모토 코지
한신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쿠와하라 마사유키
DeNA
치카모토 코지
한신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아키야마 쇼고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이케베 이와
롯데
히로세 슈코
난카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히로타 스미오
롯데
시마노 이쿠오
난카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히로타 스미오
롯데
버니 윌리엄스
한큐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히로타 스미오
롯데
오쿠마 다다요시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에다 코지
한큐
버니 윌리엄스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에다 코지
한큐
히라노 미쓰야스
킨테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에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에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다카사와 히데아키
롯데
에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가네모리 나가토키
세이부
에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야마모토 가즈노리
난카이
니시오카 요시히로
세이부
야마모리 마사후미
한큐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다카사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아라이 히로마사
긴테츠
다카사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모토니시 아츠히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니시무라 도쿠후미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아키야마 코지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타구치 소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타구치 소
오릭스
이데 타츠야
닛폰햄
이치로
오릭스
오무라 나오유키
긴테츠
오토모 진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다이에
오토모 진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타구치 소
오릭스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타구치 소
오릭스
타니 요시치
오릭스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데 타츠야
닛폰햄
고세키 타츠야
세이부
타니 요시치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오무라 나오유키
긴테츠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타니 요시치
오릭스
신조 츠요시
닛폰햄
무라마츠 아리히토
오릭스
타니 요시치
오릭스
신조 츠요시
닛폰햄
오무라 나오유키
소프트뱅크
사부로
롯데
신조 츠요시
닛폰햄
모리모토 키테츠
닛폰햄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사부로
롯데
모리모토 키테츠
닛폰햄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사카구치 토모타카
오릭스
모리모토 키테츠
닛폰햄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사카구치 토모타카
오릭스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사카구치 토모타카
오릭스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사카구치 토모타카
오릭스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오카다 요시후미
롯데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양다이강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오카다 요시후미
롯데
양다이강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양다이강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기요타 이쿠히로
롯데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양다이강
닛폰햄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오기노 타카시
롯데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오오타 타이시
닛폰햄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오기노 타카시
롯데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타카베 아키토
롯데
후쿠다 슈헤이
오릭스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 ||
}}}}}}}}}}}} ||

{{{#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8번}}}
모리노 마사히코
(2004-2005)
히라타 료스케
(2006-2010)
오오시마 요헤이
(2011~)
{{{#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40번}}}
나시카와 아키라
(2007-2010)
히라타 료스케
(2011-2013)
카츠라 이오리
(2014-2017)
{{{#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6번}}}
이바타 히로카즈
(2003-2013)
히라타 료스케
(2014~2022)
나카타 쇼
(2024~)
}}} ||
파일:230615 히라타 료스케.jpg
<colbgcolor=#003595><colcolor=#fff> 주니치 드래곤즈 No.79
히라타 료스케
平田良介 | Ryōsuke Hirata
생년월일 1988년 3월 23일 ([age(1988-03-23)]세)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출신지 오사카부 오사카시 조토구
학력 오사카토인고등학교(大阪桐蔭高等学校)
신체 177cm, 92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05년 드래프트 1순위
소속팀 주니치 드래곤즈 (2006~2022)
지도자 주니치 드래곤즈 2군 외야 수비/주루 코치 (2025~)
응원가 자작곡[가사][2]

1. 개요2. 선수 경력
2.1. 프로 이전2.2. 주니치 드래곤즈
2.2.1. 2006년2.2.2. 2007년2.2.3. 2008년2.2.4. 2009년2.2.5. 2010년2.2.6. 2011년2.2.7. 2012년2.2.8. 2013년2.2.9. 2014년2.2.10. 2015년2.2.11. 2016년2.2.12. 2017년2.2.13. 2018년2.2.14. 2019년2.2.15. 2020년2.2.16. 2021년2.2.17. 2022년
3. 지도자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타6. 연도별 기록7. 관련 문서

1. 개요

주니치 드래곤즈 소속의 외야수.

2. 선수 경력

2.1. 프로 이전

오사카 굴지의 명문 오사카토인고교에 진학해 1학년 여름부터 주전 6번 타순으로 자리잡았고, 가을부터는 무려 4번타자를 맡게 되었다. 이미 1학년 때부터 오사카에 이름이 알려져 있던 상태였고, 1학년 입학과 동시에 상급생들과 함께 바로 실전 훈련 참가를 허락받았다고 한다.

2학년 때 여름 고시엔에 출장하여 1회전부터 홈런을 기록했고, 준준결승 토호쿠전에서는 PL학원고등학교키요하라 카즈히로 이래 첫 3홈런 경기를 펼쳤다. 준결승에는 당시 2학년이었던 다나카 마사히로가 있는 코마다이 토마코마이와 붙어서 타나카에게 4타수 무안타로 봉쇄당하고 연장전 끝에 패퇴했다.

2005년 고교생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주니치 드래곤즈에 1라운드 지명을 받고 입단하였다. 여담으로, 고교 3학년 때 1학년 신입생 중에 나카타 쇼와 오카다 마사토시[3]가 있었다.

2.2. 주니치 드래곤즈

2.2.1. 2006년

의외로 기회는 빨리 와서, 8월 26일에 1군에 콜업되어 요코하마전 9회말 쿠라모토 히데노리[4]의 대타로 들어와 3루수 땅볼로 물러난 것으로 데뷔하였다.

2.2.2. 2007년

2007년 10월 4일, 7번 중견수로 첫 스타멘 출전을 완수했다. 연장 11회말 만루에 타석에 들어섰지만 몸에 맞는 공(...)으로 프로 데뷔 첫 타점을 올렸다. 이틀 뒤 6일 야쿠르트전에서 프로 데뷔 첫 안타를 기록했고, 7일 요코하마전에서 3안타 경기로 첫 맹타상을 수상했다. 종반이었지만, 준수한 타격과 수비로 선발 출장 기회를 많이 받았고, 클라이맥스 시리즈 때는 히데노리의 부상으로 전 경기 선발 출장하는 기회를 받았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2007년 일본시리즈에도 선발 출장하며 3차전에서 안타를 기록했고, 5차전에서는 닛폰햄 선발 다르빗슈 유를 상대로 희생플라이로 1타점을 기록했는데[5], 이 희생플라이로 얻은 점수가 해당 경기의 양팀 합계 유일한 득점이었다. 히라타의 결승 타점으로 주니치는 무려 53년만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는 쾌거를 누렸다. 첫 번째 우승 때도 고졸 2년차였던 이노우에 노보루(井上登)의 결승 타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던 것에 이어서, 두 번째 우승도 고졸 2년차인 히라타의 손에 의해 우승을 확정지었다. 12월에 구단에서 우승 기념 여행을 가게 되었는데, 출발 전날에 연습 도중 발을 삐여서(...) 우승 결승 타점의 주인공이 여행에 떠나지 못하게 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2.2.3. 2008년

다리 삐였던 게 염좌가 되는 바람에 춘계 캠프 때는 2군에서 재활하다가, 모리노 마사히코의 부상으로 오픈전 때는 1군에 콜업되었다. 모리노가 부상에서 돌아오며 다시 내려가긴 했지만, 히라타가 5월 중순까지 2군에서 1할대 타율로 허덕임에도 모리노가 다시 부상으로 엔트리에서 말소시켜야 하는 상황이 되자 재콜업되었다. 하지만, 2군에서도 부진하던 히라타가 1군에서 활약할 리가 만무하니 5월 26일에 다시 내려갔다.

9월 7일 요코하마전에서 9회말 대타로 출전, 프로 데뷔 첫 홈런을 역전 끝내기 홈런으로 장식하였다.

오프 시즌 추계 캠프에서 또다시 부상으로 내년 춘계 캠프도 2군 스타트 확정.

2.2.4. 2009년

2군에서 춘계 캠프를 보내고, 오픈전에서는 1군에 합류하였다. 데뷔 4년만에 1군에서 개막전을 맞이했는데, 외야 경쟁은 커녕 대타도 소화하지 못하며 다시 2군행. 8월에 다시 한번 기회를 받았지만, 대타로 나와 병살과 삼진만 적립하고 9월에 다시 말소되었다.

2.2.5. 2010년

신인 오오시마 요헤이의 등장으로 안그래도 삽질하던 마당에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일본시리즈에서도 활약하지 못하고, 시즌 종료 이후에는 등번호까지 오오시마에게 뺏기고(...) 40번으로 변경되었다.

2.2.6. 2011년

역시 2군에서 시간을 보내다 5월 5일 어린이날[6]에 1군에 승격되었다. 18일 롯데전에서 동점 홈런, 22일 라쿠텐전에서는 첫 4안타 경기를 펼쳤다.

6월 4일 세이부전에서 9회말 동점 적시타와 연장 11회말 노가미 료마로부터 끝내기 홈런을 기록하였다. 다음 날, 롯데전에서는 야부타 야스히코를 상대로 또다시 끝내기 홈런을 기록했다. 이틀 연속 끝내기 홈런 기록은 2002년 마츠이 카즈오 이래 9년만이자, 일본프로야구 사상 8번째 기록이다. 센트럴리그로 한정하면 1988년 이후 23년만이며, 주니치 드래곤즈 구단 사상 첫 번째 기록이다.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6월에는 센트럴리그 월간 MVP를 수상하였고, 2009년 6월 와다 카즈히로 이후 팀의 야수로서는 2년만의 수상이다.

센트럴 리그 우승을 확정지은 다음날에는 처음으로 4번 타자로 출장했다. 7월 이후에는 페이스가 떨어지며 113경기 .255 11홈런 38타점으로 시즌을 마무리했고, 그래도 수비에서는 센트럴 리그 3위인 8개의 보살로 리그 우승에 한몫했다.

2.2.7. 2012년

3월 30일 개막전에 스타멘 출장하여 2012년 팀 1호 홈런을 기록했다. 7번으로 출장하다 모리노의 부상 때는 3번 클린업까지 맡기도 했지만 5월에 허리를 다쳐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홈런은 작년과 같이 11개로 두자릿수를 유지했지만, 타율이 떡락하며 .216으로 멘도사 라인까지 내려갔다.

2.2.8. 2013년

마츠이 유스케에게 주전자리도 뺏기고 33타석에서 단 한개의 안타도 기록하지 못하고 엔트리에서 다시 말소되었다.

6월 23일, 쿄진전에서 주니치가 3년만의 4홈런을 기록하며 승리했는데 히라타가 2회 선제 투런과 7회 쓰리런으로 5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후 주전 우익수로 출장하며 기세를 탔는지, 규정 타석은 못 채웠지만 타율 .289, 15홈런, 55타점으로 커리어하이를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인 11월에 치러진 '2013 Baseball Challenge'에 일본 대표로 참가하여, 대만과 맞붙었다.

등번호를 40번에서 6번으로 또다시 변경하였다.

2.2.9. 2014년

오픈전에는 4번 우익수로 출장하기도 했고 초반에는 작년의 기세를 유지하나 싶었지만, 오래가지 못하고 교류전 즈음에는 6번으로 내려갔다. 6월 27일 한신전에서 파울플라이를 잡으려다 오른쪽 발목을 삐고 한달동안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초반에 꾸준히 출장했기 때문에 무려 데뷔 9년만에 첫 규정타석을 채웠다.

2.2.10. 2015년

7월 16일,2015 WBSC 프리미어 12 일본 대표팀 1차 후보로 선발된 것이 발표되었고, 9월 10일에는 대표팀 후보 선수로 발표되었다. 10월 9일, 최종 28인 로스터에 승선하며 첫 국가대표 유니폼을 입게되었다.

시즌 종료후, 개인 첫 센트럴리그 외야수 부문 베스트나인에 선정되었고 2016년 주장으로 취임하였다.

2.2.11. 2016년

오프시즌인 2월 15일, '사무라이 재팬 강화시합 일본 対 대만' 일본 대표팀 26이 로스터에 차출되었다.

교류전이 한참인 6월 18일 닛폰햄전에서 시즌 10호 홈런을 기록하면서, 6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을 달성하였다. 9월 14일에 어깨 부상으로 또다시 말소... 시즌 종료 후, 첫 FA자격을 취득했지만 팀과 연장 계약을 맺으며 잔류하였다.

2.2.12. 2017년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으로 차출되었다.

정규시즌 때, 이번에는 오른쪽 무릎 부상으로 66경기밖에 나오지 못했다.

2.2.13. 2018년

극초반에는 부진하다가 5월에는 월간 타율 .431을 기록하며, 팀 동료인 다얀 비시에도와 수위타자 경쟁을 펼치는 등 센트럴 리그 상위권에 랭크되어있다. 고타율 및 고출루율로 리드오프로 타순이 조정되었고, 8월 16일에는 첫 타석에 리드오프 홈런을 기록하더니 2루타 2개, 3루타 1개, 단타 1개까지 추가하며 5타수 5안타로 일본프로야구 68번째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했다. 비록, 수위타자 타이틀은 비시에도가 가져갔지만 .329의 타율로 커리어하이를 경신했고, 생애 첫 골든글러브까지 수상하였다.

2.2.14. 2019년

작년과 같이 1번타자로 출장하다가, 5월 17일에 이번에는 왼쪽 넓적다리 근육 파열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그렇게 복귀한 뒤인 7월 20일에는 이시다 켄타에게서 프로 통산 100호 홈런을 기록했다.

8월 14일 한신전에서 오른쪽 손목에 공에 맞에 교체되었고, 일주일 뒤인 21일에 1군에서 말소되었다. 9월 10일에 다시 복귀했지만, 잦은 부상으로 95경기 출전에 그쳤다.

2.2.15. 2020년

코로나19 판데믹으로 인해 개막이 늦어져, 개막 초반인 6월 24일까지 18타수 1안타에 그치고 있다. 그 뒤에도 계속 부진하다가 7월 20일에 오른쪽 팔꿈치 부상으로도대체 안 아픈데가 어디냐또다시 1군에서 말소되었다. 한달 뒤인 8월 23일에 콜업되었고, 9월 9일에 개인 통산 1000안타를 달성했다.

9월 24일에는 4안타 활약을 펼쳤지만, 이틀 뒤인 26일에 다리 상태가 안 좋다는 이유로 또다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가, 10월 29일에 다시 승격되었지만, 잦은 부상으로 더욱 적어진 55경기 출전에 그쳤다.

2.2.16. 2021년

2021년 개막 21경기에서 타율 .155 0홈런 4타점으로 부진하면서, 4월 28일에 부상이 아닌 부진을 이유로 말소되었다. 2군에서 재활하다가, 7월 4일에는 천식과 이형협심증(異型狭心症)[7] 진단을 받았다. 덕분에 21경기 출전에 그쳤고, 마침 5년 연장 계약도 끝나서 연봉이 1억 5000만엔 감봉되어 3000만엔에 계약을 맺었다.

2.2.17. 2022년

나이가 나이인지라 대타와 대주자로 주로 출전하다가, 5월 10일에는 코로나19까지 걸리며 또다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결국 10월 1일 방출 통보를 받으며 17년간 몸담았던 팀을 떠나 현역 연장을 발표했다. 하지만, 기량 자체도 저하가 심각하고 상술한 이형협심증을 떠안고 있는 선수를 받아줄 팀이 있을리가 만무했고, 결국 12월 28일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이렇게, 2007년 일본시리즈의 우승멤버가 또 하나 사라졌다.

3. 지도자 경력

2024시즌 종료 후, 주니치 2군의 외야 수비/주루 코치로 초빙되며 지도자 커리어를 시작하게 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고교 통산 70홈런의 장타력, 50m 5초 7의 준족, 원투(遠投) 110m의 강한 어깨도 가지고 있다. 장타력은 6년 연속 두자릿수 홈런을 유지하며 증명하였지만, 2021년 시즌 종료 기준 통산 도루가 41개인데, 도루사가 31개일 정도로 잘 활용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수비는 오치아이 히로미츠 당시 감독도 극찬했을 정도이며, 2021년까지 NPB 16시즌 통산 수비율 .995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홈구장이 홈구장인지라 타격 면에선 장타력을 100% 발휘하지 못하고 중장거리포 정도의 클래식 스탯을 찍으며 손해를 봤지만, 탄탄한 수비력을 바탕으로 전성기때는 WAR 5 안팎을 꾸준히 찍어주기도 했다. 하지만 크고 작은 잔부상에 시달린 탓에 고교 시절의 기대치를 프로에서 완전히 보여주지도 못한 채 전성기가 오래 가지 못했고 벤치 멤버로 밀려나버린 비운의 선수.

5. 기타

  • 엄청난 유리몸이다. 위의 서술 중 활약상보다 부상 경력이 더 많은 지분을 차지한다. 나이도 더 많은 오오시마 요헤이가 금강불괴에 가까운 내구력을 자랑하는 것에 비하면 아쉬울 따름.
  • 수훈선수 인터뷰 때도 경기 내용 말고도 사족을 많이 다는 등, 활달한 성격으로 팀내 분위기 메이커를 맡고 있다.
  • 만화를 좋아하는데, 생긴 것에 걸맞지 않게 소녀만화를 좋아한다. 오사카 본가에는 약 900권의 책이 보관되어 있다고. 그 중에서도 200권을 엄선해 클럽하우스에 들고와서 보고 있다고 한다.
  • 배우자가 한 살 연상인데, 2007년부터 3년간 교제하며 2010년 5월에 혼인신고를 했다. 그 해 12월에 장남을 출산했고, 3년 뒤인 2013년에는 딸이 태어났다. 배우자의 영향으로 아이돌 그룹 모모이로 클로버 Z의 팬이며, 2013년부터 등장곡으로 쓰고 있다.
  • 오사카토인 출신인 니시오카 츠요시(1984년생)와 나카타 쇼(1989년생)와 친하며 트레이닝도 같이 하고 다닌다. 여담으로, 셋 다 오사카토인에서 4번타자를 맡았고, 모두 1순위로 지명받아 고졸로 프로에 입단하여 활약했다.
  • 2014년부터 오치아이 히로미츠 감독이 현역 때 사용했던 6번을 달게 되었다. 도카이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등번호 변경에 대한 얘기가 나왔는데, 처음에는 구단으로부터 9번을 제시받았지만 작년까지 동료 외야수였던 노모토 케이의 번호였기 때문에 고사하며 자신이 마음에 드는 6번을 달게 되었다고 한다. 오차아이 감독이 "누가 사용했던 건지 알고 있냐?"라고 물었을 때, 당당하게 "모르겠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 2015년 8월 1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도쿄 돔 좌측 외야에 있는 기린 이치방 시보리(一番搾り) 간판을 직격하는 특대형 홈런을 기록해서, 기린 맥주로부터 상금 100만엔과 기린 이치방 시보리 1년분을 무료 증정받았다.
  • 2018년 오프시즌에 차량 가격만 3970만엔 하는 롤스로이스 고스트 블랙배지를 구입해서 화제가 되었다. 프로야구 선수되면 무조건 고급차 타고싶었다고 하며, 어릴 적 신조 츠요시가 페라리 타고다니던게 부러웠다고 한다. 정작 신조는 투자 사기를 크게 당한 바람에 페라리를 팔았다.
  • 2020년 12월 20일, 니코니코 생방송에서 기획하는 프로야구X쇼기 특별 방송(プロ野球×将棋特番)에 출연하여, 마루 요시히로, 야스다 히사노리, 사이토 유키야(齋藤友貴哉)를 꺾고 우승하며 '구왕(球王)'의 칭호를 얻었다. 2021년에도 출연하여 전년도 대회의 실적과 쇼기 문화 보급에 공헌한 것에 대한 감사로 와타나베 아키라 명인에게 직접 일본쇼기연맹 초단 면허가 수여되었다. 2021년 역시 니시구치 나오토를 꺾고 2연패 달성에 성공하였다.

6. 연도별 기록

파일:NPB 로고.svg NPB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점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06
2 2 0 0 0 0 0 0 0 0 1 .000 .000 .000 .000
2007 3 13 3 1 4 0 0 0 0 0 4 .333 .385 .333 .718
2008 59 111 9 9 26 3 0 1 0 6 25 .268 .311 .330 .641
2009 42 95 9 13 23 7 3 2 0 8 19 .271 .337 .494 .831
2010 6 12 0 0 1 0 0 0 0 0 4 .083 .083 .083 .167
2011 113 376 38 39 84 15 6 11 1 38 72 .255 .333 .436 .769
2012 91 301 32 28 58 4 1 11 1 28 59 .216 .290 .361 .651
2013 118 414 55 54 106 22 3 15 1 41 54 .289 .366 .488 .853
2014 119 488 65 55 119 17 1 11 7 54 65 .277 .357 .399 .755
2015 130 559 53 76 139 27 3 13 11 64 86 .283 .369 .430 .799
2016 118 494 73 61 103 24 1 14 4 72 89 .248 .358 .411 .769
2017 66 270 29 26 58 14 2 6 4 29 60 .244 .326 .395 .721
2018 138 568 55 83 162 26 5 9 8 67 69 .329 .410 .456 .866
2019 95 407 32 52 100 21 4 8 3 38 53 .278 .350 .425 .775
2020 55 193 17 26 39 7 0 3 0 24 33 .235 .337 .331 .668
2021 21 62 4 3 9 2 2 0 1 3 13 .155 .210 .259 .468
2022 51 83 10 8 15 3 0 1 0 7 20 .200 .277 .280 .557
NPB 통산
(17시즌)
1227 4448 484 534 1046 192 31 105 41 479 726 .268 .350 .414 .764

7. 관련 문서



[가사] チームを勝利へ誘え 全力プレーで
치-무오 쇼-리에 이자나에 젠료쿠푸레-데
팀을 승리로 이끌어라 전력의 플레이로

Let's go 平田 行こうぜ 歓喜の瞬間へと
렛츠고 히라타 이코-제 캉키노 토키에토
렛츠고 히라타 가자 환희의 순간으로

(かっとばせー 平田
(캇토바세 히라타)
(날려버려 히라타)
[2] 「誘え」와「瞬間」는 원래의 '사소에'와 '슝칸'이 아니라, '이자나에'와 '토키'로 읽는 것에 주의.[3] 세이부의 포수[4] 등록명은 '히데노리'[5] 나중에 인터뷰에서 "직구가 아니라 슬라이더 던졌으면 못 쳤을 것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다르빗슈의 슬라이더는 무결점 그 자체였다.[6] 「子供の日」일본 역시 양력 5월 5일이다.[7] 관상동맥벽을 감싸고 있는 근육섬유가 갑작스럽게 수축을 하게 되면, 동맥이 수축되어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때 유발하는 협심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