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1 01:36:00

모리노 마사히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주니치 드래곤즈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감독 99 이노우에 카즈키
1군 76 오츠카 아키노리 (순회투수·육성코치) · 83 야마이 다이스케 (투수코치) · 82 아사오 타쿠야 (투수코치)
89 마쓰나카 노부히코 (타격총괄코치) · 78 모리노 마사히코 (타격·작전코치)
72 오노 쇼타 (배터리코치) · 74 이야마 유지 (야수종합코치) · 71 도노우에 나오미치 (내야수비·주루코치) · 87 나카무라 유타카 (외야수비·주루코치)
2군 88 오치아이 에이지 (2군감독)
77 코야마 신이치로 (투수총괄코치)(1) 98 타지마 신지 (투수코치) · 86 코바야시 마사토 (투수·육성코치)
75 코이케 마사아키 (타격총괄코치) · 84 후쿠다 노부마사 (타격코치)
80 오다 코헤이 (배터리코치) · 81 모리코시 유토 (내야수비·주루코치) · 79 히라타 료스케 (외야수비·주루코치) · 85 와타나베 히로유키 (야수종합·육성코치)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주니치 드래곤즈로 돌아가기
(1) 온라인 카지노 도박 혐의로 인한 무기한 근신 처분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모리노 마사히코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07주니치.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07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3루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미즈하라 시게루
도쿄쿄진군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요기 신지오
오사카
우노 미츠오
코쿠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코다마 리이치
주니치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레온 리
야쿠르트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반스 로우
주니치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잭 하웰
야쿠르트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레오 고메스
주니치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레오 고메스
주니치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에토 아키라
요미우리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스즈키 켄
야쿠르트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이와무라 아키노리
야쿠르트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모리노 마사히코
주니치
미야모토 신야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엑토르 루나
주니치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무라타 슈이치
요미우리
미야자키 토시로
DeNA
미야자키 토시로
DeNA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미야자키 토시로
DeNA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나카타니 쥰지
한큐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카게야마 카즈오
난카이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코다마 하루토시
킨테츠
토니 로이(1)
니시테츠
모리모토 키요시
오릭스
쿠니사다 야스히로
난카이
아리토 미치요
롯데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리토 미치요
롯데
후지와라 미츠루
난카이
아리토 미치요
롯데
시마타니 킨지
한큐
시마타니 킨지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아리토 미치요
롯데
아리토 미치요
롯데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마츠나가 히로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스즈키 켄
세이부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에 토시아키
롯데
호세 페르난데스
라쿠텐
그렉 라로카
오릭스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케이시 맥기
라쿠텐
긴지
라쿠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젤러스 휠러
라쿠텐
마츠다 노부히로
소프트뱅크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즈키 다이치
라쿠텐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무네 유마
오릭스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1) 당해 득표수 1위는 난카이 호크스의 쿠니사다 야스히로였으나, 이때 쿠니사다가 2루수 부문에서도 득표수 1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당시 복수 포지션에서의 수상을 금지한 규정상 쿠니사다는 득표수가 더 많은 2루수 부문만 수상하고 대신 득표수 2위였던 토니 로이가 3루수 부문을 수상했다.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1루수 골든글러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후지타 타이라
한신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나카하타 키요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나카하타 키요시
요미우리
코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짐 피치오렉
한신
코마다 노리히로
요미우리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코마다 노리히로
요코하마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조지 아리아스
한신
와타나베 히로유키
주니치
앤디 시츠
한신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앤디 시츠
한신
아라이 타카히로
한신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수상자 없음 쿠리하라 켄타
히로시마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호세 로페스
요미우리
모리노 마사히코
주니치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호세 로페스
DeNA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호세 로페스
DeNA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나카타 쇼
주니치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클라렌스 존스
난카이
웨슬리 파커
난카이
카토 히데지
한큐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카토 히데지
한큐
카시와바라 쥰이치
닛폰햄
오가와 토오루
킨테츠
카시와바라 쥰이치
닛폰햄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카시와바라 쥰이치
닛폰햄
카타히라 신사쿠
세이부
야마모토 코지
롯데
부머 웰즈
한큐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부머 웰즈
한큐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아이코 타케시
롯데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짐 트레버
킨테츠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훌리오 프랑코
롯데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타카기 타이세이
세이부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코쿠보 히로키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T-오카다
오릭스
나카타 쇼
닛폰햄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긴지
라쿠텐
나카타 쇼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나카무라 아키라
소프트뱅크
나카타 쇼
닛폰햄
나카무라 아키라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나카무라 아키라
소프트뱅크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
}}}}}}}}}}}} ||

}}} ||
파일:1000113731.jpg
주니치 드래곤즈 No.78
<colbgcolor=#003570> 모리노 마사히코
森野 将彦 | Masahiko Morino
출생 1978년 7월 28일 ([age(1978-07-28)]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유틸리티 플레이어[1]
투타 우투좌타
학력 도카이대학부속 사가미고교
신체 180cm / 95kg
프로입단 1996년 드래프트 2순위
소속팀 주니치 드래곤즈 (1997~2017)
지도자 주니치 드래곤즈 2군 타격코치 (2017~2019)
주니치 드래곤즈 1군 타격코치(2022~2024)
주니치 드래곤즈 1군 작전코치(2017~2019)
1. 개요2.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이자, 주니치 드래곤즈의 1군 작전코치.

2. 경력

고등학교 1학년부터 주전을 맡았고 3학년때 고시엔 8강전에서 홈런을 쏘아올렸으나 팀은 패배했다. 고교 통산 38개 홈런을 쏘아올렸다. 1996년 드래프트에서 2순위로 주니치에 지명되었다. 등번호는 56번이였다.

1997년 8월 27일 야쿠르트전에서 1군 데뷔전을 치렀고 8번 유격수로 선발출장해 테리 브로스에게 첫 안타를 홈런으로 뽑아냈다. 1999, 2000년엔 2군에만 주로 머물렀다. 2001년 1군에서 40경기를 치러 .190대로 부진했다.

2002년 4월 1군에 콜업되어 경기 기회를 많이 받았고 .225를 기록했다. 하지만 페넌트레이스 최종전에서 몸에 맞는 공으로 인해 오론쪽 손목이 골절되었다.

2003년 4월 30일 히로시마전 이바타 히로카즈의 부상으로 유격수 선발출전해 맹타를 휘둘러 맹타상을 받았고 이바타의 복귀 후 1루수로 주로 출장해 총 89경기 출장했다. 2004년에도 출장경기가 조금 줄었으나 작년과 비슷한 성적을 기록했다.

2005년 이노우에 카즈키, 오니시 타카유키와 좌익수 경쟁을 했으며 .268을 기록하고 9홈런으로 커리어 최다 홈런을 갱신했다.

2006년 아라키 마사히로의 부상으로 2루수로 투입되었으며 아라키의 복귀이후 3루수로 이동했으며 428타석으로 최초로 규정타석을 넘기고 .280, 10홈런을 기록했다.

2007년에도 유틸리티로서 활약은 계속되었고 주로 좌익수에서 출장했으나 부상으로 이탈한 선수들의 수비에 투입되었으며 타격에서도 일취월장해 7월 우수선수상을 수여받았다. 2년 연속 규정타석을 넘기고 .294, 17홈런, 97타점을 기록했다. 2007 일본시리즈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이며 우수선수로 선정되었다.

2008년 와다 가즈히로의 영입으로 중견수로 옮겼고 스프링캠프에서 왼손 부상, 5월 왼쪽 종아리 부상을 입었으나 빠르게 복귀해 타석에서 맹활약하며 베이징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팀 엔트리에 승선했다. 타석에서 타이론 우즈가 부진할때 4번 타자로 출전했으며 그 외 2, 8, 9번을 제외한 모든 타석에서 출장했다. 규정타석은 34타석이 모자랐으나 베이징 올림픽 특별규칙[2]으로 인해 규정타석을 채운 것으로 인정받았다. .298 19홈런을 기록했다.

2009년 3루수 3번타자로 낙점되었고 개막 후 2개월간 .250대로 부진했으나 이후 맹타를 휘두르며 토니 블랑코와 함께 타점경쟁을 펼쳤다. 커리어 최초 전경기 출장, 23홈런 100타점을 넘겼으나 블랑코에게 타점왕을 넘겨주고 2위에 그쳤다.

2010년 아라키의 후임으로 팀 주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전반적으로 큰 기복없는 훌륭한 타격을 보이며 전경기 출장, 22홈런, .327로 커리어 최고 타율을 기록했다. 체력안배를 위해 8회까지 3루수를 보다가 9회부터 1루수로 포지션 전환한 경기가 많아졌다. 시즌 후 베스트나인 3루수에 선정되었다.

2011년 공인구의 도입으로 전반적인 타자들이 부진에 빠졌고 모리노 역시 그 변화를 피할 수 없었다. .237로 전년도에 비하면 상당히 실망스러운 활약을 했고 연봉 역시 삭감한 채로 재계약했다. 2012년에도 부진은 계속되었다.

2013년 7년만에 개막전 라인업에서 탈락했고 이후 선수들의 이탈에 따라 2루수, 3루수, 1루수로 출장했으며 4번타자로 선발 출장하기도 했다. 2010년 이후 규정타석에 도달했고 지난 2년보다 나은 성적을 기록했다. 이번 시즌이 끝나고 FA를 행사할수 있는 권리가 있었으나 거절하고 2년 재계약을 맺었다.

2014년 1루수로 낙점되어 .288 13홈런, 86타점[3]으로 부활했으며 1루수로서도 좋은 수비를 보이며 시즌 후 골든글러브 1루수 부분에 선정되었다.

2015년 경기 중 오른손 검지손가락 골절로 2개월 동안 이탈하고 복귀했지만 부진해 .262를 기록했다. 2016년에도 부진은 계속되었으며 팀은 최하위로 전락했다.

2017년 오른쪽 허벅지 부상으로 인해 21경기 출장에 그쳤고 9월 21일 현역 은퇴 선언을 했다. 9월 24일 은퇴경기를 치렀다. 10월 31일 2군 타격코치로 취임했으나 탈세혐의로 인해 세무조사를 받았으며 1800만엔을 국세청에 납부해야했다. 이 건으로 인해 2019년 주니치를 퇴단했다.

그 후 야인으로 살며 야구 평론가, 해설자, 유튜버로서 활동하다가 2022년 주니치 1군 타격코치로 선임되었고 2025년 시점에선 작전코치로 변경했다.

3. 플레이 스타일

2000~2010년대 일본프로야구를 대표하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타격, 수비 양 분야에서 활약했다. 타격에서 준수한 컨택과 선구안, 갭 파워로 2루타를 양산하는 중장거리 타자였다. 다만 좌, 우완 투수 상대 편차가 컸다.[4] 좌투수의 패스트볼은 잘 대응하나 변화구에 상당히 취약했다.

수비는 모리노의 특장점으로 포수를 제외한 전 포지션에 출장이 가능하다. 많이 출전한 포지션은 3루수고 커리어 후반으로 갈수록 1루수의 출장비중이 컸다. 전 포지션에서 평타이상의 수비력을 기록했다. 주루는 1루까지 가는 시간이 4.25 초로 평균이상의 주력을 가졌으나 도루센스는 부족해서 도루를 거의 시도하진 않았다.

4. 여담

  • 등번호를 총 7번 바꿨다.
  • 2009년 8월 2일 야쿠르트전에서 연장 11회초 등판한 이혜천이 던진 패스트볼이 모리노의 왼쪽 허벅지를 맞췄고 1루에 가던 중 이혜천에게 "왜 모자를 벗고 사과하지 않느냐"라고 이야기했고 이에 화가난 이혜천이 "뭐!"라고 시작해 한국어로 육두문자를 날리는 설전이 있었고 주변 동료들의 만류로 벤치 클리어링은 발생하지 않았다.[5] 이 위협구는 이혜천에게 전화위복이 되었는데 타자들이 겁을 먹어 타석에서 멀리 떨어지기 시작해 좋은 성적을 냈다.


[1] 포수를 제외한 전 포지션 출전 경력이 있으며 커리어 후반엔 1루수로 고정출장이 많아졌다.[2] 14경기(46타석) 면제[3] 팀 내 최고 타점[4] 2010년 우투수 .373/좌투수 .255, 2011년 우투수 .263/좌투수 .195[5] 경기후 당시 주니치 소속이던 이병규가 전화를 걸어 한국말로 뭐라 했는지 일본 선수들이 궁금해하더라고 이야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