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22:30:51

필리아(스컬걸즈 모바일)


파일:Skullgirls Logo.png
스컬걸즈 모바일의 캐릭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플레이어블 캐릭터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애니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베오울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빅밴드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블랙달리아.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세레벨라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더블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일라이자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필리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푸쿠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마리.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미스포춘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페인휠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파라소울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피콕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로보포춘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스퀴글리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엄브렐러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밸런타인2.png
게스트 스타 캐릭터
파일:미네트.png
파일:브레인드레인.png


}}}}}} ||
파일:SG_Lineup_Filia.png
1. 개요2. 기본 스펙
2.1. 능력치2.2. 캐릭터 능력2.3. 궁극 능력2.4. 일류 능력2.5. 기술
2.5.1. 특수기2.5.2. 블록버스터
3. 플레이 스타일
3.1. 공격3.2. 방어3.3. 플레이 팁3.4. 콤보
4. 평가
4.1. 장점4.2. 단점
5. 총평
5.1. 리워크 ~ 6.1 패치 이전5.2. 6.1 패치 ~ 6.3 패치5.3. 6.3 패치 이후5.4. 7.1 패치 이후
6. 스킨
6.1. 다이아몬드
6.1.1. 교복머리6.1.2. 헤어요정6.1.3. 전광석화6.1.4. 순수한 힘
6.2. 골드
6.2.1. 패러사이트 위브6.2.2. 필리아 레이지6.2.3. 바람맞은 머리6.2.4. 아이돌의 위협6.2.5. 컬 스카우트
6.3. 실버
6.3.1. 물려받은 머리카락6.3.2. 사악한 프로스티6.3.3. 락 스타6.3.4. 단서만 쫒는 자
6.4. 브론즈
6.4.1. 헤어 스타일 최악6.4.2. 푸석한 머릿결


1. 개요

2. 기본 스펙

2.1. 능력치

체력 공격력
★★☆☆☆ ★★★☆☆

공격력 3점, 체력 2점. 푸쿠아, 밸런타인, 더블과 함께 가장 낮은 능력치 총합을 지니고 있는 캐릭터이다.

체력이 낮으며, 공격력은 딱 평균 수준. 물론 전체 투력으로 놓고 보면 당연히 최하위권이다.
물론 상시 흡혈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낮은 체력은 어느 정도 극복이 가능하며, 전반적인 기술의 계수가 매우 높은 만큼 스탯으로 인한 불편한 점은 그리 많지 않은 편.

2.2. 캐릭터 능력

  • 플래시백 : 공격을 당하기 직전에 뒤로 대시하면 필리아가 상대의 공격을 회피하고 피해를 받지 않습니다.

백대쉬를 시전 할 때 자동적으로 발동되는 능력으로, 백대쉬 모션 중에는 모든 공격을 회피한다.

상당히 고성능 버프인 회피를 상시 사용할 수 있는 파격적인 능력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실 대전 컨텐츠를 제외하면 너무나도 빡빡한 판정 덕분에 실전성은 제로에 가깝다. 그래도 가끔씩 운빨로 단발성 특수기나 블록버스터를 회피하는 기적이 펼쳐지기도 하지만, 보통 이 능력으로 회피를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어지간해서는 가드로 막을 수 있다. 그나마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은 베오울프를 상대로 구석에 몰려도 울프슛을 피할 수 있다는 점 정도.

비슷하게 무쓸모 평가를 받는 피콕의 구멍파기 발상이나 페인휠의 비행과 비교해보면 적어도 이쪽은 후 상황이 매우 안전하기 때문에 사실상 상위호환 취급을 받는다. 특히 선두 베오울프 방어자를 상대할 때, 울프슛의 위협을 매우 크게 줄여준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

여담이지만 이 능력을 잘 활용하라는 의미인지 필리아의 백대쉬 속도는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발동 속도도, 후퇴 속도도 빠르며 후퇴 거리마저 압도적으로 길다.[1]

2.3. 궁극 능력

  • 거머리 : 필리아가 입힌 피해량의 15-35%를 체력으로 회복합니다.
  • 퍼스트 컷 : 공격이 명중할 때마다 5-15% 확률로 출혈 효과를 영구 출혈 효과로 바꿉니다.

거머리 능력은 필리아에게 인게임 최고 수준의 유지력을 보장해주며, 퍼스트 컷은 필리아의 도트 피해를 강화시켜준다.

리워크 이전에는 필리아의 처참한 콤보력 때문에 거머리 효과를 보기가 어려웠으며, 필리아의 딜량 자체도 높지 않았기에 많은 유저들이 퍼스트 컷을 사용하였다.

허나 리워크 이후 필리아의 기본 도트 피해량이 매우 높아진 만큼 굳이 퍼스트 컷을 통하여 강화해 줄 필요가 없어졌으며, 콤보력의 상승으로 거머리를 통한 체력 회복량도 몇 배로 증가해버린 만큼, 리워크 이후에는 거머리가 주류픽으로 올라왔다.

무려 35%의 상시 흡혈을 제공하는 거머리는 단연코 스컬걸즈 모바일 최고의 궁극 능력으로 손꼽힌다. 4.8 패치 이후 필리아의 콤보 능력이 상당히 향상되면서, 죽지만 않았다면 풀 콤보 한 번으로 체력을 풀피로 복구할 수 있게 되었다. 남은 체력 수치에 따라서 최대 300점의 추가 점수를 제공하는 리프트 전투에서 매우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는데, 사실상 필리아는 이 궁극능력의 존재만으로 200점 이상을 보장받는다고 봐야한다.

거머리에게 밀려서 그렇지 퍼스트컷도 나름대로 파격적인 궁극능력인데, 이쪽은 무려 필리아를 한 콤보로 5개의 영구출혈을 박을 수 있게 만들어주어 필리아의 디버프 딜링 능력을 크게 강화시킨다.

다만 영구 출혈의 적용 방식이, 기존에 걸려있던 출혈을 지우고 영구출혈을 다시 거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미 5개의 영구 출혈이 걸린 상태라면 그 이후부터는 사실상 출혈을 지워버리는 역적같은 능력으로 탈바꿈한다. 또한 영구출혈을 다시 거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눈치 챌 수도 있겠지만, 높은 저항 혹은 면역 효과를 지닌 적을 상대로는 사실상 출혈만 지우는 상황이 발생하기 딱 좋다.

결론적으로 퍼스트 컷을 사용하더라도 출혈 피해량이 드라마틱하게 바뀌지는 않는다. 애초에 리워크 이후 필리아는 상시 5출혈을 걸 수 있는 캐릭터라서 영구출혈이 없더라도 굉장히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 임팩트가 적다.

2.4. 일류 능력

  • 촐랑 촐랑 : 필리아가 공격중인 상대에게 공격을 적중시키거나[2] 공격 중에 상대에게 공격당할 때마다 능력이 충전됩니다.
    충전량 : 타격 당 20%
    사용 효과 : 필리아가 대쉬로 모든 발사체를 회피하며 공격 중인 상대를 공격할 때 50% ~ 100% 확률로 상대에게 5초 동안 죽음의 표식을 부여합니다.

4.9 패치로 추가된 새로운 능력. 동일한 스킨을 강화, 진화, 전이를 통해 소모할 경우 해금과 강화가 가능하다.

죽음의 표식은 치명타 세팅 시 50%의 피해상승을 가져오는 만큼, 리턴 자체는 괜찮은 편이다. 문제는 활성화 조건과 발동 조건. 일류 능력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인터셉트만 5번을 해야하며, 이후 죽음의 표식을 한 번 적용시키는 것 까지 고려해보면 총 6번의 인터셉트라는 정신나간 발동 조건을 자랑한다.

덕분에 평가는 영 좋지 못하다. 작정하고 인터셉트만으로 일류 능력을 발동시키려고 한다면야 충분히 발동이 가능하겠지만, 그냥 일류 능력 없이 줘패는게 클리어 시간이 더 빠르다는 점에서부터 아무런 존재감이 없는 일류능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나마 자체적으로 회피를 획득하는 바람맞은 머리는 실전에서 작정하고 해당 능력을 활용하려 한다면 매우 쉽게 활용할 수는 있다. 다만 바람맞은 머리를 제외한 캐릭터들의 경우 그냥 장식용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편하다.

2.5. 기술

기술들의 계수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털공만 해도 150%의 계수를 가지며 곱슬가시는 레벨 12 기준으로 무려 210%라는, 어지간한 레벨 1 블록버스터를 아득히 상회하는 높은 계수를 가진다.

다만 자체 공격력 3점의 높진 않은 공격력을 가진 캐릭터[3][4]라는 점이 고려된 계수이기 때문에 정작 실전에서는 페인휠의 톱니바퀴 대쉬(계수 150%)가 필리아의 곱슬가시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데미지를 보여준다.물론 곱슬가시의 3출혈을 감안하면 톱니바퀴의 피해량은 간지러운게 맞다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기술은 두 개 이상의 곱슬가시와 버프제거 및 막타용 미즈 드릴러.

이외에도 부에르 페인휠 상대용으로 털공, 확실한 블록버스터 마무리 용도로 그레고르 삼손 등이 주로 채용되는 편이다.

능력치의 경우 6.1 패치 이전까지는 기본적으로 모든 방덱에 페인휠이 배치되었던 관계로 치명타 확률을 최대한 안맞추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6.1 패치로 인하여 페인휠 방어자들이 뉴로멘서와 찌르는 듯한 추위, 식충식물을 제외하고는 자취를 감추었으며, 그마저도 2개 이상 배치되는 일이 드믈어졌다. 덕분에 공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치명타 확률과 치명타 피해량을 올린다.

기본적으로 츌혈 디버프에 의존하는 캐릭터이지만, 리프트에서는 어지간한 조합 상대로 출혈이 큰 메리트를 잃는 만큼, 정확도를 올릴 필요는 없다.

결론적으로 능력치 세팅 우선순위는
1순위 : 공격력 %
2순위 : 관통
3순위 : 치명타 확률[5]
4순위 : 치명타 피해량 혹은 정확도[6]

2.5.1. 특수기

곱슬가시
파일:Ringlet_Spike.png 계수 180% 195% 210% 225%
필리아가 지면에 엎드리면 일정 거리에서 가시가 튀어나온다.
레벨 1 적중 시 상대방에게 4초 동안 출혈 효과를 적용합니다.
레벨 6 적중 시 상대방에게 8초 동안 출혈 효과를 적용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상대방에게 12초 동안 출혈 효과를 적용합니다.
투사체 판정
터치를 통하여 3회까지 타격 가능
공격 필리아의 알파이자 오메가.
굉장히 높은 피해량[7]에 만렙 기준 무려 출혈이 12초라는 사기적인 부가효과까지 붙어있다. 출혈효과는 각각의 가시에 모두 적용되기에 풀히트 시 3개의 출혈을 적용시킨다. 한 콤보에 여러번의 곱슬가시를 풀히트로 적중 시킬 수 있기에 반드시 채용되는 기술.
방어 이 기술은 콤보로 사용해야 적중하는 기술인데, AI 필리아는 이 기술을 콤보에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항상 중거리에서 견제용으로만 사용한다. 덕분에 어지간해서 AI 필리아를 상대할 때는 이 기술에 얻어맞을 일은 없다고 봐도 좋다. 다만 대쉬가 느린 캐릭터라면 필리아한테 접근하는 도중에 이 기술을 얻어맞을 위험이 존재하며, 필리아와 딱 붙어있는 경우에는 시전 모션과 거의 동시에 바닥에서 가시가 올라오는 만큼 아차하는 순간 얻어맞을 수는 있으니 경계정도는 하는 것이 좋다.
털공
파일:Hairball.png 계수 144% 152% 160% 168%
100% 106% 112% 118%
몸을 둥글게 말고 구르면서 뾰족한 머리카락으로 공격한다.
부가효과 없음
다단히트, 6타
공중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공중 사용 시 피해량이 감소한다.
공격 리워크 이전 필리아의 필수 기술이었으며 리워크 이후에도 채용률이 꽤 높은 기술. 피해량이 꽤나 높고, 지상 기본공격 4타 이후 프레임 트랩이 가능하며, 콤보연계도 나쁘지 않은 만능스킬. 프레임 트랩을 이용하여 선타를 잡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크리티컬을 배제하고 페인휠을 상대할 경우 곱슬가시는 1개 혹은 아예 채용하지 않고 이 기술만 여러 개 채용하기도 한다. 반대로 페인휠을 상대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털공을 굳이 채용할 필요는 없다.
방어 선딜레이가 짧지만 후딜레이가 상당히 크다. 그렇다고 AI가 이 기술을 페이크 넣듯 사용하는 일도 없으며 어지간해서는 단독으로 지르는 일이 대부분이다. 덕분에 교복머리가 아니고서야 사실상 딜타임을 한번 내어주는 자살기 취급.
나선관계
파일:Drillationship.png 계수 122% 130% 138% 144%
머리를 드릴처럼 돌리면서 돌진한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크리티컬 확률이 25% 상승합니다.
레벨 9 크리티컬 확률이 50% 상승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크리티컬 확률이 100% 상승합니다.
다단히트, 5타
시전 시작 동작에 무적 판정이 존재한다.
공격 무적 판정을 이용하여 인터셉트를 시도하거나 상대방의 블록버스터, 특수기를 씹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허나 가드당하는 순간 후딜레이로 인하여 끔살 확정이며, 적중하더라도 콤보 연계가 극히 한정적이기 때문에 공격에서는 어지간해서는 채용하지 않는 기술.
방어 시전 시 무적판정이 붙어있다는 점으로 인해 상당히 위협적인 공격. 심지어 다른 특수기와는 다르게 가드를 압박하다가 지상평타 중간에 페이크로 지르거나, 상대방의 접근을 보고 지르는 등, 다른 기술에 비해서 영악하게 사용하는 빈도가 유독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만만한 필리아 AI가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큰 변수라는 평이 많다.
소라머리
파일:French_Twist.png 계수 100% 106% 112% 118%
필리아가 다리를 뻗으면, 삼손이 필리아의 다리를 휘감아 공격한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적중 시 25%의 확률로 상대방에게 출혈 효과를 3초 동안 적용시킵니다.
레벨 9 적중 시 25%의 확률로 상대방에게 출혈 효과를 5초 동안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50%의 확률로 상대방에게 출혈 효과를 5초 동안 적용시킵니다.
다단히트, 5타
기술 적중 시, 시전 동작동안 투사체 공격을 무시한다.
공격 거리나 효용성이나 곱슬가시의 하위호환이란 평을 받는다. 피해량도 낮고, 출혈의 지속시간과 스택마저 곱슬가시의 압승. 심지어 적중 시 블록버스터로 연계하지 않으면 반격당하기 때문에 콤보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상황도 한정되어있다.
방어 어지간해서는 AI가 이 기술 이후 블록버스터 연계를 안하기에, 사실상 자폭기.
재능
파일:Born_With_It.png 유형 도발
설명 머리를 쓸어넘긴다
레벨 1 사용 시 10초 동안 분노 효과를 획득합니다.
레벨 6 사용 시 12초 동안 분노 효과를 획득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사용 시 15초 동안 분노 효과를 획득합니다.
초근거리 적에게 0의 피해를 입히는 공격 판정이 존재한다.
공격과 방어 그 어떤 상황에서도 절대 쓰지 않는 폐기물 스킬. 공격자에게 분노는 20%의 딜 상승을 가져다주는 상당히 유용한 버프인것은 사실이지만, 그게 스킬 하나를 빼가면서 긴 후딜레이를 참아가며 이 기술을 채용해야 할 정도의 가치를 만들어주지는 않는다.
차라리 강한 피해를 주고 싶다면 곱슬가시를 하나 더 드는 게 훨씬 낫다.
채찍질
파일:Lash_Out.png 유형 강제태그
머리카락을 휘둘러 상대를 쳐낸다.
상대방을 강제로 태그아웃 시키며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
모든 캐릭터에게 존재하는 강제 태그기. 당연히 리프트에서는 필수 스킬로 평가받는다. 사거리가 짧으며 Y축도 애매한 범위에 좁게 존재하기 때문에 공중에 뜬 적에게 이 기술을 적중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렇기에 콤보를 마치고 상대를 강제태그 시킬 생각하지 말고, 불리한 상황에서는 공격권을 잡자마자 지상에서 강제태그시킨다는 마음가짐으로 운용해야 한다.
버스트
파일:Filia_Burst.png 유형 버스트
삼손을 부풀려 상대방을 떨쳐낸다.
레벨 1 적중 시 5초 동안 상대에게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레벨 6 적중 시 7초 동안 상대에게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10초 동안 상대에게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
필리아의 방어 AI는 모든 캐릭터들 중 가장 콤보를 못다루는 AI 중 하나로 손꼽히는 만큼, 공격 기술을 줘 보았자 제대로 활용을 못한다. 덕분에 다른 기술보다는 버스트를 많이 챙겨주는 것이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굉장히 짜증나고 위협적인 편. 버스트의 효과 자체도 출혈이기 때문에 리프트에서는 체력점수에 큰 손해를 끼친다. 한 술 더 떠서, 필리아 퍼스트 컷 궁능을 찍은 상태인 경우, 버스트를 맞고 출혈이 걸린 상태로 가드를 올렸다가는 아예 영구 출혈로 전환될 가능성까지 존재하기에, 모든 버스트들 중에서도 그 위험성이 특히 높다.

2.5.2. 블록버스터

그레고르 삼손
파일:Gregor_Samson.png 계수 178% 202% 226% 248%
삼손과 필리아가 바퀴벌레의 모습으로 변하여 돌진한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적중 시 10%의 확률로 5초동안 출혈효과를 입힙니다.
레벨 9 적중 시 15%의 확률로 5초동안 출혈효과를 입힙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20%의 확률로 5초동안 출혈효과를 입힙니다.
다단히트, 6타
공격 풀히트 기준으로는 무난한 화력을 보여주지만, 그걸 고려하더라도 곱슬가시와 큰 차이가 없는 피해량을 지니고 있으며, 부가효과는 완벽한 하위호환. 콤보 연계 자체는 무난한 편이기는 해도, 채용률 자체는 매우 낮다. 굳이 채용한다면, 콤보의 길이를 늘려야 하는 상황, 혹은 파이널 파이트 촉매가 박혀있는 경우 콤보 점수 확보를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방어 AI가 정말 이상한 타이밍에 이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어지간해서는 어퍼 이후 사용하는 편이지만 완전히 다운된 상태에서 시전하는 케이스도 상당히 존재하기에 여러모로 애매한 기술.
미즈 드릴러
파일:Drill_Tempered.png 계수 162% 179% 196% 213%
필리아가 날아차기로 상대방을 공격한다. 삼손은 필리아의 다리를 드릴처럼 휘감아 보조한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5%의 확률로 상대에게 적용된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레벨 9 10%의 확률로 상대에게 적용된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15%의 확률로 상대에게 적용된 모든 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다단히트, 15타
공격 후딜레이가 엄청나 이후 콤보를 이어나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피해량이 자체는 준수하며, 무엇보다 버프제거라는 사기적인 부가효과 덕분에 반드시 채용하는 필수 기술이다. 특히 상당한 타수 덕분에 레벨 15 기준으로는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을 가진 버프제거 기술들 중 하나. 사실 콤보를 이어나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마무리 용도로만 사용한다면 전혀 문제 될 것이 없으며 곱슬가시 콤보 이후 그레고르 삼손의 경우 히트를 날려먹는 일이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레고르 삼손에 비해서 실질적인 데미지 자체도 밀리지 않는다. 특히 파이널 파이트같은 촉매를 착용한 상대를 마무리하는데 탁월한 기술이다.
방어 그래고르 삼손과 거의 동일하다.
거미 과부 산머리
파일:Widows_Peak.png 계수 240% 253% 267% 280%
상대방을 공중으로 띄운 뒤, 거미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붙잡고, 바닥에 내던진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적중 시 50%의 확률로 상대에게 10초 동안 무력화와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레벨 9 적중 시 75%의 확률로 상대에게 10초 동안 무력화와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100%의 확률로 상대에게 10초 동안 무력화와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다단히트, 3타
1타 이후 잡기 판정
공격 리워크 이전에는 구려터진 판정과 더불어 바닥으로 냅다 찍어버려 콤보를 끊어버리기까지 했던 지라 전혀 사용할 일이 없었지만 리워크 이후 판정이 크게 개선되었고, 바운드를 유발하도록 변경되어 콤보를 이어나갈 수 있게 변경되었다. 물론 리워크 된 곱슬가시의 압도적인 오버스펙으로 인하여 여전히 채용률은 바닥. 특히 1타 이후 잡기판정이기에 트리코베조아와는 달리 정확성의 영향도 받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버려졌다.
방어 선후딜레이가 길지는 않지만, 마찬가지로 콤보 중에 사용해야 적중하는 기술인데 AI가 블록버스터를 이상한 타이밍에 갈기는 단점은 그대로다. 그나마 그레고르 삼손과 미즈 드릴러는 레벨 1 블록버스터라 프레임 트랩 방지용으로나마 써먹을 수는 있는데, 이 기술은 그것마저도 불가능하다.
트리코베조아
파일:Trichobezoar.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삼손이 대각선 윗방향으로 머리카락과 해골로 이루어진 투사체를 발사한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상대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라면 15%의 추가 데미지를 입힙니다.
레벨 9 상대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라면 25%의 추가 데미지를 입힙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상대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라면 35%의 추가 데미지를 입힙니다.
투사체 판정
지상 콤보 중 사용 시 상대방을 띄우는, 피해량이 없는 1타가 추가로 발생한다.
공격 강력한 단발 누킹 블록버스터. 투사체의 각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실질적인 전방 범위는 굉장히 좁다. 덕분에 생각보다 콤보 중에 사용 시 빗맞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 이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어퍼 이후 즉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화력 자체는 굉장히 높으며, 필리아가 가지고 있는 가장 강력한 단일 히트 기술인 만큼, 정확성을 얻는 전광석화는 거의 필수적으로 채용한다.
방어 거미과부산머리와 동일하다.
단백질 케어
파일:Blowout.png 계수 331% 360% 389% 418%
삼손이 거대하게 변이하여 상대방을 한 입에 삼킨 뒤, 내뱉어서 공격한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적중 시 매 타격마다 상대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25% 감소시킵니다.
레벨 9 적중 시 매 타격마다 상대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35% 감소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적중 시 매 타격마다 상대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50% 감소시킵니다.
가드 불가
1타와 2타는 잡기 판정 총 2타
구석에서 사용 시, 첫 타격과 동일한 피해의 1타가 추가되어 3타.[8][9]
공격 필리아의 유일한 블록버스터 게이지 조절 기술. 덕분에 리워크 이전에는 채용률이 매우 높았지만, 리워크 이후 해당 스킬이 활성화되기 전에 전투가 끝나는 일이 늘면서 사실상 채용되지 않는다.
방어 일단은 가불버이니만큼, 옵션이 높게 뜨면 바로 채용한다.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특성 상, 이걸 얻어맞으면 무조건 사망 확정인 만큼, 부가효과를 보는 입장에서도 펜리르 드라이브와 딱히 우열을 가리기 애매하다. 옵션 잘 붙은걸 쓰도록 하자.
펜리르 드라이브
파일:Fenrir_Drive.png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설명 삼손이 거대하게 변이하여 상대방을 한 입에 삼킨 뒤, 공중으로 뛰어올라 강하한다.
레벨 1 부가효과 없음
레벨 3 출혈이 걸린 상대에게 25%의 추가 피해를 줍니다.
레벨 9 출혈이 걸린 상대에게 35%의 추가 피해를 줍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출혈이 걸린 상대에게 50%의 추가 피해를 줍니다.
가드 불가
다단히트, 10타
공격 상당히 흉악한 화력을 지니고 있으며, 필리아 특성 상 사실상 추가피해는 확정으로 입힐 수 있지만 활성화가 굉장히 느리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채용되지 않는다. 사용 직후 상대가 공중에 살짝 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레고르 삼손을 통하여 콤보를 이어나갈 수 있다.
방어 일단은 가불버이니만큼, 옵션이 높게 뜨면 바로 채용한다.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특성 상, 이걸 얻어맞으면 무조건 사망 확정인 만큼, 부가효과를 보는 입장에서도 단백질 케어와 딱히 우열을 가리기 애매하다. 옵션 잘 붙은걸 쓰도록 하자.

3. 플레이 스타일

3.1. 공격

지속딜과 순간 폭딜이 모두 강력한 로우리스크 하이리턴형 유리대포

원작의 러쉬형 캐릭터라는 컨셉을 그대로 이어받아 대쉬, 백대쉬가 압도적으로 빠른 캐릭터이며 점프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모바일 특성 상 게임 내에서 압도적인 기동성을 자랑한다. 다만 마찬가지로 본작에는 점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작에서 강점이었던 기동성을 이용한 다지선다와 리셋 콤보라는 장점도 같이 사라졌으며 원작의 저열한 기본기 판정도 그대로(...).

지상 1타의 전방 범위가 평균보다는 조금 긴 편에 들어간다. 발동 속도의 경우 손에 꼽히게 빠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인터셉트가 상당히 편한 캐릭터로 손꼽힌다. 다만 상당히 큰 단점이 존재하는데 상하범위가 굉장히 좁고 그 위치마저 애매하게 상단 범위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푸쿠아, 밸런타인, 걸신 상태의 엄브렐러 등과 같이 대쉬공격의 피격판정이 극도로 하단에 쏠려있는 캐릭터는 지상 1타로 인터셉트가 불가능하다. 덤으로 대쉬 1타는 확실하게 사거리가 짧기에 상당히 많은 캐릭터들과 맞대쉬 판정에서는 상당히 밀리는 편이다.

그래도 어떠한 방식으로도 선타 잡는 것이 불가능한 캐릭터는 베오울프, 세레벨라, 푸쿠아, 걸신 상태의 엄브렐러 넷 뿐이다.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저 넷을 상대로 인터셉트가 가능한 캐릭터가 거의 없기에 필리아만의 단점이라 말하기는 힘들다.

오히려 기본기 판정 자체의 문제점은 지상 공격 1타 이후에 존재하는데, 대다수의 캐릭터는 기본공격 판정에 공중에 뜬 상태의 적을 바닥으로 다시 붙드는 흡입력을 가지고 있으나 필리아는 이 흡입력이 전혀 없으며, 설상가상으로 어퍼는 이미 공중에 뜬 적을 다시 띄우는 능력이 전무하다. 덤으로 지상 4타는 필리아 본인이 낮게 점프해서 공격한 뒤 착지하는 모션인데, 이로 인해서 약간의 경직이 존재한다.[10]

이 점이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때는 공중으로 튀어오르는 특수기를 사용하던 상대방을 인터셉트 할 경우인데, 이 경우에는 4타 이후 착지하는 동안 상대가 가드를 올릴 수 있으며, 무적판정 특수기나 블록버스터로 반격이 가능하다.

상대가 지상 5타 이후로도 스탠딩 상태에서 얻어맞다가 착지하지 못한 상태라면 어퍼를 맞추고도 마찬가지로 상대가 공중으로 뜨지 않고 바닥에 착지 후 즉시 반격하는 등 여러 가지 억울한 상황이 상당히 자주 터진다.

물론 그걸 감안하더라도 공격 선제권 싸움에서 약한 캐릭터는 아니다. 전후방 대쉬의 속도가 게임 내에서 최강급이며, 매우 빠른 지상 1타 덕분에 상대방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다가 빈틈을 발견하자마자 전방대쉬 - 캔슬 - 지상 1타를 통하여 공격권을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필리아에게 달려오는 상대를 지상 1타로 인터셉트 하는 것도 유효한 전략이다.

콤보력의 경우 리워크를 받은 현 시점에도 그닥 높은 평을 받지는 못한다. 특히 공중 콤보를 마치고 나서 콤보를 이을 방법이 블록버스터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치명적인데, 이는 선술할 지상 1타의 너무 높은 타점이 가장 큰 문제. 분명히 특수기와 블록버스터 모두 계수가 굉장히 높은 축에 들어가는 캐릭터인 만큼 한 번에 모든 기술을 쏟아부을 실력만 있다면 높은 화력을 보여줄 수 있다. 4.8 패치에서 이루어진 리워크도 그런 면에서 최소한 특수기와 블록버스터끼리의 연계는 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경향이 크다.

다만 리워크 이후 개발진들의 의도였던 '콤보 캐릭터로써의 플레이 스타일 정립'은 사실상 실패해버렸다. 특수기 '곱슬 가시'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공격력 계수와 더불어 풀히트 시 3스택의 출혈을 12초동안 걸기 때문에 구태여 콤보를 넣을 필요 없이 곱슬가시만 반복하는 것이 가장 강력하다.

여기에 추가로 버프제거 유틸리티를 레벨 1 블록버스터로 들고 있으며, 화룡정점으로 궁극능력에는 상시 35% 흡혈이라는 말도 안되는 효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단 살아만 있다면 체력을 풀피로 복구하는 것은 일도 아니다.

결과적으로 공격권을 가져오기만 하면 즉시 상당한 화력의 깡딜과 5출혈이라는 정신나간 피해를 입히는 만큼 자연스럽게 플레이 시간이 단축되기에 상대방의 블록버스터로부터 안전한 편인 만큼 가드 올리는 플레이를 해도 크게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나마도 어지간한 가드 피해량은 궁극능력 덕분에 한 콤보면 완벽하게 회복이 가능하며, 밸런타인 같은 배수진 서포터의 도움을 받는다면 어지간한 실수는 순식간에 복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필리아의 경우 공격권을 가져올 때마다 특수기 곱슬가시를 통하여 순간 폭딜 + 5중첩 출혈을 통한 지속 폭딜을 박는 유리대포형 캐릭터로 요약할 수 있다. 공격권 싸움에서 일반적인 수준의 리스크를 지지만, 한 번 공격권을 잡으면 그 리스크를 뛰어넘는 리턴이 오기 때문에 실수하지만 않으면 손해보지는 않는 유형의 고성능 캐릭터.

3.2. 방어

AI의 수준이 매우 좋지 못하다. 전체적인 판정이 짧은 것도 문제인데 특수기나 블록버스터를 허공에 날리는 모습이 굉장히 많이 보여진다.

그나마 가장 위협적인 특수기는 시전 동작에 무적판정이 존재하는 나선관계인데, 이마저도 상대가 바닥에 완전히 떨어져서 피격판정이 사라진 상태에서 갈기는 등의 기행을 보여주며, 정말 뜬금없는 상황에서 가드 위로 블록버스터를 갈기는 등 전체적으로 후딜레이가 긴 기술을 쥐어주면 엄청난 삽질을 하는 모습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아무래도 이러한 AI의 무리수는 특수기나 블록버스터 타격이 일정 확률로 가드를 무시하는 고유능력을 지닌 태생 다이아몬드의 교복머리 때문인 듯 한데, 일단 방어자로 활용되는 필리아는 필리아 레이지와 컬 스카우트이기에...

다만 까다로운 부분이 아예 없지는 않은데, 가끔씩 고투력 전투에서 필리아 AI가 지상에서 지상 1타를 빠르게 끊어치는 신공을 보여줄 때가 존재한다. 이 경우 무적판정 특수기나 블록버스터가 없다면 의미없이 가드뎀과 체력만 날리는 상황이 펼쳐지기 좋다.

물론 이것도 기본기의 특성을 이용한 거고, 실질적으로 필리아에게 가장 위협적인 기술은 가드불가 블록버스터와 버스트뿐이라고 평가받을 만큼, 별로 위협적인 상대는 아니다.

3.3. 플레이 팁

플레이 스타일 항목에서 선술했듯, 가드 위로 상대방에게 대쉬 1타 - 지상 3타 - 대쉬 1타 - 지상 4타[11]까지 압박한 후 털공이나 나선관계를 사용하면 AI는 무조건 공격당한다.

나선관계의 경우 이후에 굉장히 안정적인 블록버스터 연계가 가능하며, 털공의 경우에는 상대가 딱 적절한 수준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곱슬가시를 풀히트 적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덕분에 나선관계보단 털공의 채용률이 비교도 안되게 더 높은 편.

이는 해당 모션 이후 AI가 반드시 공격하려고 하는 점, 그리고 딱 붙어서 근접한 상태에서는 모든 지상평타 + 대부분의 특수기들이 털공/나선관계에게 지는 판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이용한 일종의 꼼수인데, 주의해야할 점은 특수기 중 일부 기술들의 경우에는 무적판정이 붙어있어서 오히려 털공을 무시하고 필리아를 공격한다.

나선관계의 경우에는 털공처럼 이렇게 반격당할 가능성은 적지만 털공보다 피해량이 적고 이후 콤보 연계도 되지 않는다.

또한 이 모든 공격에는 블록버스터가 포함되므로 너무 많이 사용하면 즉시 블록버스터로 응징당할 수 있으므로 상대의 게이지 상태와 기술 배치를 보고 잘 판단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

3.4. 콤보

1. 지상 평타 - 어퍼 - 대쉬 1타[12] - 곱슬 가시 - 대쉬(이동만) - 곱슬가시

국민 콤보.
곱슬가시는 후딜레이에 비해 피격당한 상대방의 경직이 굉장히 긴 스킬이라 적중 시켰다면 후딜레이가 끝나고 난 상태에서도 상대는 경직에서 풀리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곧바로 대쉬해서 블록버스터 혹은 다른 특수기로 연계가 가능하다. 즉 저 콤보 이후 자유롭게 특수기나 블록버스터로 연계가 가능하다.

4. 평가

4.1. 장점

  • 매우 높은 딜링 포텐셜
    곱슬가시를 통해 매 콤보마다 5 중첩 출혈을 걸 수 있는 필리아는 스컬걸즈 모바일 최강의 도트딜러로 손꼽힌다. 그렇다고 깡딜이 낮은 캐릭터인가 하면, 만렙 기준 공격력의 225%라는 강력한 계수를 가진 곱슬가시를 2 ~ 3 회 쑤셔박을 수 있으며 전반적인 블록버스터의 계수까지 흉악하기에 깡딜까지 상당히 강력한 편에 들어간다. 면역/재생이 없는 방어자를 상대할 때 기준으로 필리아의 화력은 그 애니와 동급이거나 오히려 우세한 수준으로, 사실상 스컬걸즈 모바일 최고의 안티탱커 중 하나로 활약할 수 있다.
  • 탄탄한 유틸리티
    버프 제거 블록버스터인 미즈 드릴러는 레벨 15 기준 발동확률이 무려 90% 이상으로,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가장 발동확률이 높은 버프 제거 기술들 중 하나다. 무려 레벨 1 블록버스터인 만큼 순식간에 활성화도 가능하기에 최고의 블록버스터 중 하나로 취급받는다. 또한 궁극능력 거머리의 경우 상시 35%의 흡혈량을 제공한다. 즉,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가장 중요한 유틸리티인 버프관리와 체력관리를 모두 최고 수준으로 갖추고 있는 셈이다. 디버프를 제어할 수 있는 면역 유틸리티만 서포트 받을 수 있다면 사실상 부족한 유틸리티가 전혀 없는 완전체 캐릭터가 탄생한다.
  • 모든 컨텐츠에서 활약 가능한 엄청난 범용성
    비슷한 안티 탱커 포지션인 애니와의 가장 큰 차별점으로, 비록 일부 카운터들이 존재하지만, 필리아의 경우 압도적인 체력 비례 피해를 통하여 현상금에서도 활약이 가능하며 리프트에서도 압도적인 체력/버프관리 능력을 앞세워 모든 노드를 헤집어놓는 것이 가능하다. 사실상 기본 성능 하나만으로 스컬걸즈 모바일의 양대 컨텐츠를 헤집어 놓는 것이 가능한 캐릭터인 셈.
  • 엄청난 육성 가성비
    필리아는 등급 무관 레벨 6 이상의 곱슬가시 2개라면 어찌 실전 활용 자체가 가능하다. 모든 캐릭터들 중 가장 저렴한 가성비로 실전활용이 가능한 셈이다. 물론 필리아의 장점에는 엄청난 체력관리 능력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본격적으로 리프트 등의 실전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궁극능력까지 풀강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최소한 레벨 6 이상의 곱슬가시 두개 정도면 다이아 60 레벨을 달성할 때까지 돌아야하는 피콕 마스터 및 홀로덱 컨텐츠정도는 혼자서 씹어먹는 것 까지 가능하다.

4.2. 단점

  • 불안정한 기본기 성능
    초기 캐릭터 대부분이 해당하는 단점이지만 기본기의 성능이 후기 캐릭터들에 비해 상당히 뒤쳐지기에 플레이할 때 불안정한 요소가 많은 편이다. 특히 필리아의 기본기의 경우 초기 캐릭터들과 비교해봐도 불안정한 요소가 꽤나 존재하기에 해당 단점은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전무한 공격 선제권
      필리아의 경우 강제로 선타를 잡을 수 있는 잡기판정 혹은 설치기 기술이 존재하지 않으며, 사실상 가드를 올리다가 상대방이 빈 틈을 보이면 공격하거나 인터셉트를 하거나, 기본기에 딜레이를 주어 프레임 트랩을 노리는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런 리스크를 안고 플레이해야 하다 보니 상대 AI의 수준이 높아진다면 공격권을 가져오는 데 한참이 걸리거나, 잡기 판정 혹은 무적판정 특수기를 얻어맞고 절명해버리거나, 한 순간의 실수로 공격에 노출되어 터져버리기 쉽다.
    • 짧은 기본기 사거리
      지상 기본 1타의 발동은 빠르지만, 사거리가 굉장히 짧아서 세레벨라, 베오울프 등 필리아로는 절대 인터셉트가 불가능한 캐릭터들이 존재하는 만큼 필리아로 플레이한다면 언제나 상대방의 공격에 노출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선술한 공격 선제권이 없다는 단점을 더욱 크게 부각시키는 요소.
    • 이상한 기본기 판정
      플레이스타일에 서술된 대로, 대다수의 캐릭터는 기본공격 판정에 공중에 뜬 상태의 적을 바닥으로 다시 붙드는 흡입력을 가지고 있으나 필리아는 이 흡입력이 전혀 없으며, 설상가상으로 어퍼는 이미 공중에 뜬 적을 다시 띄우는 능력이 전무하다. 특수기를 통해 공중으로 떠오르는 판정을 가진 일부 특수기를 인터셉트 하는 경우 오히려 공격 선제권을 상실하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한다.
  • 낮은 내구력
    흡혈을 통해서 받은 피해를 최대한 복구할 수 있다지만, 그 전에 죽으면 의미가 없다. 필리아의 내구도는 약간의 공격력 배수만 붙은 방어자에게 몇 대 얻어맞아도 황천행 티켓을 탈 수 있을만큼 연약하므로[13] 흡혈 능력은 사망을 방지해주는 능력이 아니라 각종 대전효과와 가드 데미지를 상쇄해주는 용도라 생각하며 플레이하는 것이 좋다.
  • 디버프 제어 능력이 전무함
    자신에게 걸리는 디버프를 제어할 능력이 전무하기 때문에, 면역이나 디버프 제거 옵션을 제공해줄 서포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나 리프트에서 크게 부각되는 단점으로, 메이저 - 준 메이저 촉매들 중에서 필리아를 크게 카운터치는 디버프 촉매들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덱에 필리아를 넣는 순간 이러한 요소를 대비할만한 조합을 짜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된다.
  • 서브딜러와 서포터의 채용을 강제하는 기본성능
    위의 단점들을 종합해서 나오는 결론. 디버프에 굉장히 취약하기에 면역 서포터 혹은 그에 준하는 디버프 방지 서포터를[14] 필수로 요구하며, 공격 기점을 미리 마련해줄 수 있는 아군이 없다면 매우 불안정한 기본기 성능으로 인하여 활약을 재대로 하기 전에 먼저 골로 가버리기 쉽다.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필리아의 입장에서 기본기 상성이 좋지 못한 방어자가 메이저 방덱에 크게 늘어나버린 덕분에 천상계 유저들도 필리아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가 피를 보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상대방을 처치하는 것이 중요한 리프트 전투에서는 이러한 요소로 인하여 필리아를 사용한다면 반드시 일라이자 서브딜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굉장히 높은 출혈 의존도
    사실상 곱슬가시가 필리아고 필리아가 곱슬가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필리아의 곱슬가시 의존도는 매우 큰 편이다. 이로 인하여 면역, 재생을 주력으로 획득하는 캐릭터들을 상대로 매우 약하다. 물론 필리아의 깡딜이 마리, 일라이자와 동급인 수준으로 못써먹을 성능은 아니지만, 베오울프, 푸쿠아, 애니같은 캐릭터와는 비교하는 것이 미안할 정도로 약하다. 출혈이 막혀버릴 경우 다른 캐릭터들과 비교할 경우 큰 이점이 없어지는 셈. 문제는 이러한 설계상의 취약점을 재대로 파고드는 촉매가 바로 6.3 패치 이후 리프트 전투에서 필수 촉매가 되어버린 자동 면역(Auto Immune) 촉매라는 것.[15]
  • 평행세계 컨텐츠 사용 불가
    6.0패치에 새로 등장한 평행세계는 악몽, 무자비 라는 새로운 난이도를 도입한 최초의 컨텐츠로, 무자비 모드를 기준으로는 무려 공격력/체력 보너스가 최소 600%, 최대 1600%에 달하는 초고난이도 컨텐츠다. 물론 이러한 공격력/체력 보너스를 지닌 컨텐츠에서는 필리아처럼 최대 체력 비례피해를 입히는 캐릭터가 유리한 것이 당연지사지만, 이 컨텐츠는 출시 초기부터 필리아를 저격하듯 체력이 5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모든 디버프를 제거하고 영구 면역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필리아를 카운터쳤다. 이후 6.0.1 패치에서는 한 술 더 떠서 이 영구면역 효과를 모든 출혈 디버프를 즉시 재생 효과로 변이시키는 효과로 변경시키는 패치를 진행하여 현 시점 필리아는 사실상 평행세계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다.

5. 총평

특수기를 통한 독보적인 출혈 중첩 능력과 궁극능력을 통한 우월한 유지력, 매우 강력한 성능의 블록버스터들로 무장한 강력한 안티 탱커.

===# 출시 초기 ~ 4.8 패치 리워크 이전 평가 #===
리워크 이전 필리아를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쓰레기.

일부 기술에 출혈이 붙어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요소가 단점에 들어갔다. 현 시점에서 불안정하다고 평가받는 기본기의 판정도 그대로인데, 그 당시에는 콤보력 자체가 처참했기 때문. 물론 블록버스터의 부가효과는 당시에도 매우 강력했지만 블록버스터의 후 판정 역시 지금보다 구렸기 때문에 그마저도 연계가 쉽지 않았다

당시 콤보력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자면 소라머리를 제외한 특수기는 블록버스터와 연계가 불가능했다. 원작에서는 가능한 털공 - 그레고르 연계나 그레고르 - 털공 연계도 불가능했으며 심지어는 블록버스터간의 연계도 가벼운 캐릭터가 아닌 이상 불가능했다. 지금은 필수스킬에 해당했던 곱슬가시는 빅 밴드가 아니라면 3타가 절대 안들어갔으며 그마저도 적중 후 콤보 연계가 불가능했다.

페인휠과 함께 원작 고증을 개판으로 한 캐릭터였는데, 원작의 필리아가 짧은 리치와 낮은 공격력을 폭발적인 공중 기동력과 이를 이용한 다지선다, 높은 콤보력으로 커버하는 러쉬형 캐릭터였던 것과 비교하여, 모바일 버전의 필리아는 기동력만 우월하지 판정으로 인해 선타를 잡기도 어려웠으며, 간신히 선타를 잡더라도 저열한 콤보력으로 인하여 활용 자체가 불가능했다.

그래도 게임 초기에 현상금 외의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에는 이 단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었다. 오히려 당시에는 이런 단점이 있어도 출혈을 통한 죽창딜이 모든 것을 덮어주던 시기였다. 특히 그때 당시 무한 기절이라는 정신나간 고능 덕분에 안정성까지도 압도적이었던 패러사이트 위브의 존재도 크긴 했지만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곱슬가시, 궁극능력 퍼스트컷을 두르고 현상금을 씹어먹어버렸기에 필리아 자체에 대한 평가는 굉장히 높았다.

다만 리프트가 나오고 난 뒤에는 평가가 떨어져가기 시작했다. 기본적으로 고연승 현상금과 비교해 체력도 낮아 출혈로 넣는 딜 보다 깡딜이 더 중요해지기 시작하였으며 빠른 격파를 위해 인터셉트, 가드 불가 기술을 통한 선타잡이가 용이한 캐릭터가 점차 각광받기 시작하였는데 안타깝게도 필리아는 출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소에는 적합한 캐릭터가 아니었다. 심지어는 촉매 등장 이후 높은 타수로 인하여 높지 않았던 입지가 아예 사장되어버린건 덤.

그나마 2021년 이후에는 상향된 거머리를 활용하여 체력관리를 해보는게 어떤가 하는 활용법을 연구하는 유저들도 있지만 그런 쪽으로는 이미 디바, 얼티밋울프등 압도적인 캐릭터가 많다는 것이 단점으로 작용했다. 결국 어떠한 방식으로든 다른 캐릭터들한테 밀려서 입지를 상실해버린 캐릭터였던 셈.

그렇게 피콕과 함께 최악의 쓰레기 캐릭터로 평가받으며 잊혀져가나 싶었더니, 2021년 로드맵으로 성능이 저열한 초기 캐릭터에 대한 개선으로 원작에서 공중사용이 가능한 기술은 모바일에서도 공중사용이 가능하도록 패치할 예정이라는 내용이 공개되었다. 이로 인하여 필리아에게도 빛이 오나 싶었는데...

4.8 패치로 인해 스컬걸즈 모바일 최초로 캐릭터 리워크가 진행되었다!

해당 패치로 인하여 특수기 곱슬가시의 판정이 완전히 변화하였고, 콤보능력이 미친듯이 상승하여 타 캐릭터들 평균 수준의 콤보 연계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5.1. 리워크 ~ 6.1 패치 이전

이전까지의 홀대를 보상받듯, 필리아라는 점 하나만으로도 어느 정도 실전성은 나올 정도로, 스컬걸즈 모바일 최강의 딜러 캐릭터 취급을 받게 되었다.

리워크 이전 곱슬가시의 경우 콤보가 전혀 이어지지 않는 대신 어지간한 블록버스터보다 높은 화력과 더불어 3스택의 출혈을 지니고 있었다. 이 기술이 리워크되면서 콤보 연계가 가능해지게 만들기 위해 타격 당 에어본 수치를 상당히 크게 상향하였고, 마지막 타격의 피해를 크게 증가시켜 풀히트 피해가 크게 늘어났다.

문제는 이 기술, 반복 사용으로 콤보 연계가 가능한데, 부가효과가 그대로라는 것. 쉽게 이야기해서 어지간한 블록버스터급 화력 + 4/8/12초의 출혈을 거는 정신나간 스펙의 기술을 매 콤보마다 캐릭터 불문하고 최대 5회까지 쑤셔박을 수 있다는 의미다. 어찌보면 밸런타인의 상위호환이라고 봐도 무방한 사기캐릭터의 범주에 올랐다는 반응이 많다.

대부분의 출혈 딜러들이 깡데미지만큼은 형편없는 경우가 많고, 블록버스터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서 게임이 길어질수록 안정성이 급감하는 경향이 있는데, 필리아의 경우 정신줄을 놓아버린 곱슬가시의 계수로 인하여 깡데미지 화력도 정신나간 주제에 콤보당 5출혈이라는 미쳐버린 도트딜링 덕분에 게임이 길어질 이유 자체를 없애버린다.

또한 이 출혈이라는 디버프 자체가 상대방의 방어력에 구애받지 않고 최대 체력의 1%를 매초 깎아내리는 만큼, 필리아는 곱슬가시만 맞추었다면 낮은 스펙에서 상대방을 쓰러뜨리는 난이도가 타 캐릭터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축에 들어간다.

사실상 필리아의 카운터들은 필리아의 출혈을 막아내는 캐릭터들이 주를 이룬다. 대표적인 캐릭터가 밸런타인 방어자와 드림 밴드, 분리된 상. 혹은 필리아가 거머리로 회복할 수 있는 체력보다 높은 수치의 반사피해를 입히는 캐릭터들도 꽤 껄끄러운 상대.

물론 이들만 적당히 피해갈 경우 매 초마다 5중첩의 출혈과 함께 죽지만 않았다면 좀비같이 회복하는 체력을 통한 미쳐버린 안정성을 통해 캐릭 불문하고 엄청난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이들의 성능은 고유능력이 아예 없는 것과 다를 바 없는 태생 골드의 아이돌의 습격, 패러사이트 위브 같은 캐릭터들도 태생 골드 캐릭터 중에서 상위호환/하위호환 구분 없이 기초 성능만 놓고 보면 최상위권 수준이라는 점에서 얼마나 흉악한 기본 성능을 지니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디버프에 대항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은 존재하지만, 거머리 궁극능력이 사실상 주류로 올라온 현 시점에서 곱슬가시와 거머리 궁능을 들고 있는 필리아에게 껄끄러운 디버프가 없다. 특수기 제한과 블록버스터 제한, 상극성, 회복 제한 정도가 필리아 입장에서 껄그러운 효과인데, 현상금에서는 그냥 볼 일이 없으며, 블록버스터 제한을 제외하면 리프트에서도 볼 일이 없다는 점을 감안해보면 사실상 무서울 것이 없는 셈이다.

2022년 12월 이후 블랙 달리아가 출시되면서 와인 양조업자라는 희대의 밸런스 파괴 병기가 나오고 난 뒤에는 오히려 입자가 더 크게 올라갔다. 3인방에서 활개치던 애니의 파도를 타고 난 리더, 스퀴글리의 파묻힌 광기 등의 메인 탱커들이 보스방에서 부보방, 2인방으로 밀려났으며 사실상 방 4개 이상에 부에르 촉매를 달아 둔 페인휠이 활개를 치는 상태가 오면서 이러한 메인탱커들과 부에르 페인휠을 한 번에 상대할 수 있는 필리아의 입지가 더 커진 것. 물론 3인방에 오게 되는 와인 양조업자 같은 탱커들, 또 그와 조합되는 캐릭터들도 필리아로 상대할 수 있거나 적어도 큰 피해를 입힌 뒤 다른 딜러에게 바톤을 넘겨줄 수 있다는 점도 이점이 크다.

물론 전체적으로 선타를 확정으로 잡을 방법은 없다 보니 인터셉트에 실패하면 죽을 각오를 해야 하며, 사거리도 짧아서 일부 캐릭터들을 상대로 인터셉트가 불안정하다는 단점은 그대로이며, 페인휠을 상대할 수 있다는 거지 본격적으로 페인휠을 잡기 위해 육성되는 캐릭터에 비해서는 불안정한 점이 크므로 서브딜러로 일라이자를 크게 요구하긴 하는데, 어차피 일라이자가 메이저 캐릭터이기에...

5.2. 6.1 패치 ~ 6.3 패치

허나 6.1 패치로 인하여 상황이 변했다. 촉매 밸런스 패치가 이루어지며 원래부터 상성이 나빠 대표적인 카운터 촉매였던 자동면역 촉매가 크게 상향을 받았으며, 신흥 밸붕 촉매인 분노의 회피, 전격 무력화와의 상성이 매우 나쁘다. 또한 하이힐 금지의 발동 조건이 재생획득에서 일정시간마다 발동되는 것으로 변경되어 거머리의 회복능력에도 어느 정도 제약이 걸리게 되었다. 때문에 더 이상 리프트에서 필리아라는 이유만으로 고평가 받는 환경은 사라져버렸다.

사실상 현 시점에서 필리아를 리프트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버프 제거 혹은 면역 서포터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며, 필리아를 굳이 사용할 거라면 3인방에서 사망섬유를 상대로 바람맞은 머리, 전광석화를 꺼내거나, 2인방에서 상대방 하나를 확정적으로 한 콤보로 제거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필리아를 사용할 이유가 없을 정도로 평가가 하락한 상황.

3인방에서 양조업자와 데스위시가 조합되어있는 경우 디버프 제거 캐릭터[16]와 조합하여 치유방해를 입히는 교복머리 정도를 꺼내볼 만 하지만, 이것도 더 쉽고 안정적인 캐릭터가 널려있는 만큼 필수까지는 아니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천상계 이야기고[17] 그 밑 구간에서는 여전히 유용하게 써먹기는 하며, 현상금에서의 변화는 크지는 않으므로 여전히 평균 성능 자체는 상당히 좋은 캐릭터인 셈.

5.3. 6.3 패치 이후

이후 6.3 패치로 인하여 빅밴드 리워크와 함께 무의미한 저항 촉매가 재평가되면서 천상계에서도 상당히 많은 빅 밴드 방어조합이 생겨났는데[18] 무의미한 저항 촉매의 피해반사는 체력이 50% 이상일 때만 작동하며, 관통 무시도 방어력과 피해감소를 씹고 들어가는 특성 덕분에 사실상 완벽한 카운터로 활약 중이다.[19]

또한 2인방에서 바람 속으로 조합이 메이저해지기 시작하며 물려받은 머리의 입지가 크게 올랐다. 필리아 입장에서 까다로운 촉매였던 하이힐 금지가 메타 정립 이후 완전히 사장되어버렸다는 점도 나름 기분 좋은 이득.

5.4. 7.1 패치 이후

7.1 패치로 자동면역이 리워크되면서 출혈을 3스택 이상 걸게 될 경우 모든 출혈 스택이 사라지면서 면역 효과를 받게 되어버렸기에 필리아의 완벽한 카운터로 자리잡았다. 촉매 자체가 밸런스를 붕괴시키는 수준이다보니, 3인방에서 필수촉매가 되어버렸기에 사실상 현 시점에서는 3인방에 필리아를 투입하는 메리트가 사라진 셈이다.

다만 어차피 필리아라는 캐릭터 자체가 자힐요소 및 강력한 딜로 인하여 자동면역만 없다면 엄청난 클리어 속도를 보장하기 때문에 2인방에서 상당히 자주 사용된다.

특히 필리아 레이지의 고유능력을 거머리를 통하여 크게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도 매우 큰 장점. 특히나 2인방 메이저 방덱 중 하나인 유언 레이지 방덱을 손쉽게 썰어버리는 바람맞은 머리나 교복머리, 매우 강력한 깡딜과 더불어 바람 속성 방어자에게 추가피해를 입히는 헤어요정이 크게 활약하며[20], 신속을 통하여 바람 속으로의 블록버스터 초기화 효과보다 빠르게 블록버스터를 발동시킬 수 있는 전광석화, 순수한 힘, 물려받은 머리의 평가 또한 매우 좋다.

이외에도 2인방에서 상당히 평가가 좋은 고귀한 거물과 반드시 페어로 사용되는 락스타의 채용률도 매우 높으며, 자동방어 촉매를 채용한 3인방에서도 명사수/부활 불가라는 고유한 유틸리티를 가지고 있는 전광석화/순수한 힘이 일라이자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다만 전체적으로 메타가 필리아에게 불리하게 변화하였고 전반적인 방어자들과의 선타싸움도 매우 불리해진 관계로 필리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리아가 재대로 활약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21]

6. 스킨

6.1. 다이아몬드

6.1.1. 교복머리

교복머리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파일:Class_Cutter.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25.png
인게임
"위에만 조금 다듬어주지."
고유 능력
갈라지는 머리칼
블록버스터 또는 특수기 적중 시 10% 확률로 상대가 방어할 수 없게 되며, 15초 동안 상대에게 죽음의 표식을 부여합니다.
공격 한 번에 상대 최대 체력의 5% 이상에 달하는 피해를 주면 10초 동안 대량 출혈과 치유 방해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706 13556 2919 56045
팔레트 모티브는 킬라킬마토이 류코.

도트 데미지의 끝판왕.

고유 능력 1의 경우 발동을 기대하고 가드 위로 특수기를 갈기는 행위는 사실 상 안하는 것이 더 이롭다. 확률 자체가 나쁜 수준은 아니지만 그리 방어력이 높지 않은 필리아 캐릭터 특성 상 발동이 안되는 즉시 역공당해 터져버리기 때문.

핵심이 되는 고유능력은 바로 2번 고유능력. 최대 체력의 5%를 넘는 데미지를 주는 경우 대량 출혈과 치유 방해를 적용시키는데 이 치유방해 덕분에 출혈 디버프를 역으로 자신에게 이롭게 변환하는 피바다와 중환자실 밸런타인 방어자를 엿먹이는 것이 가능하다.

과거 4.8 패치 이전까지는 고유능력 2를 터트릴 방법이 한정되어 계륵 취급을 받았지만, 상향으로 기술의 계수가 크게 상향되어
손쉽게 5% 이상의 피를 깎아낼 수 있기 때문에, 곱슬가시로 출혈에 더해, 대량출혈까지 걸며 초당 7%의 어마어마한 도트데미지를 입히는 출혈딜러가 되었다. 15렙 곱슬가시를 기준으로 한 콤보에 들어가는 도트 데미지만 전체 체력의 80%라는 정신나간 도트 딜량을 보여주기 때문에, 사실상 일부 방어자를 제외하면 전부 갈아마실 수 있는 수준이다. 거기에 다이아 등급인 만큼 깡딜 능력도 우수한데, 주력 기술인 곱슬가시 역시 매우 높은 계수를 자랑해 죽음의 표식과 조합해 깡딜러로서도 강력하게 활약할 수 있다.

주 사용처는 현상금 전투. 치명타 확률과 치명타 데미지에 투자를 많이 하는데 페인휠과 드림밴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캐릭터들과의 상성을 무시하다시피 쓸어버리는 살벌한 성능을 보여준다. 리프트에서도 엄청난 폭딜 + 준수한 회복능력이라는 장점을 살려서 활약이 가능하다. 특히 페인휠의 경우 부에르 촉매 덕분에 상성이 역전되어 오히려 교복머리가 페인휠을 저지하는 역할을 잘 수행하는 편이다.[22] 다만 부에르를 저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면 공격력,치확은 버리고 관통,체력, 정확도에 투자하는 셋팅이 필요하다.

2023년 이후부터는 리프트에 사용되는 교복머리는 체력보다는 공격력에 더 투자를 해서 탱커를 상대하는 용도로 더 많이 활용된다. 육성해둔 필리아 공격자의 숫자가 많다면, 비슷한 도트 딜 화력을 지닌 물려받은 머리+아발란체 조합에게 페인휠의 처리를 맡기고 교복머리는 조금 더 깡딜이 필요한 곳으로 보내는 편. 물론 교복머리한테 체력 세팅 주고 그대로 도트딜러로 써먹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서포터의 도움도 받을 수 있는 메리트도 존재한다.

6.1 촉매 밸런스 패치로 인하여 대부분의 메이저 방덱을 상대로 상성이 크게 불리해졌기에 2023년 12월 이후로는 리프트 메타에서 밀려나버렸다.

다만 6.3 빅밴드 리워크 패치 이후 리프트에 헤비메탈과 지 아이 재즈 등, 무의미한 저항 촉매를 사용하는 방어자가 늘어났는데, 무의미한 저항 촉매의 체력이 50% 미만으로 떨어지면 발동되지 않는 특성 덕분에 체력 비례 피해의 끝판왕격인 교복머리의 주가가 상당히 크게 상승했다. 사실상 2024년 6월 이후부터는 전광석화와 동급으로 평가받는 중.

필리아 현상금에서 방어자로 굉장히 자주 채용되는데, 높은 화력 + 가드 불가라는 요소가 겹쳐서 사실상 로또 수준의 방어율을 보여준다. 운이 좋으면 말 그대로 캐릭 하나를 순식간에 갈아버릴 수도 있지만 운이 나쁘면 아무것도 못하고 털리는 방어조합의 구멍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또성으로 인해 방어자로 곧잘 기용되는 캐릭터는 전혀 아니며, 필리아 방어자를 하나 필수적으로 투입시켜야하는 필리아 현상금정도에만 사용된다. 다만 해당 현상금에서 교복머리의 채용률은 굉장히 높은편.

6.1.2. 헤어요정

헤어요정 파일:스걸모 불 아이콘.png
파일:Djinn Frizz.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21.png
인게임
"지니의 마법에 빠져봐."
고유 능력
세 가지 소원
10초마다 무작위 이로운 효과 3개를 5초 동안 얻습니다. [숨겨진효과]저주효과로는 필리아가 이로운 효과를 획득하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블록버스터 사용 시, 33% 확률로 이로운 효과 3개를 영구적인 분노로 전환합니다.
능력치 유형 : 극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812 15591 2627 50439
모티브는 샨테. 최초의 태생 다이아몬드 캐릭터 업데이트 이후 약 5개월 뒤에 출시 된 기념비적인 두 번째 태생 다이아몬드 캐릭터.

이 게임에 몇 없는 극공격력 스탯을 가진 캐릭터로 전체 2등이라는 높은 공격력을 지니고 있다. 영구 분노까지 얻는 고유능력에서 알 수 있겠지만 설계 의도는 극단적인 폭딜러.

사실 설계 의도가 그렇다는 거지, 획득하는 버프의 지속시간이 과도하게 짧으며, 분노 변환 확률도 끔찍할 정도로 낮아서 사실상 실전에서는 영구분노를 활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자신이 선택할 수 없는 무작위 버프도 그렇게 좋은 옵션이라고 보긴 힘들며, 어찌되었든 지속시간이 짧아서 좋은 버프를 받아도 활용 자체가 어렵다.

결론적으로 놓고 보면 고유능력이 좋다고 보기는 상당히 힘들다. 리워크 이전 필리아의 경우 블록버스터 의존도가 꽤 높았지만, 리워크 후에는 기승전 곱슬가시로 변해버렸기에 블록버스터 의존도와 사용빈도가 매우 줄어들었기에 발생한 문제점.[24] 사실상 현 시점에서는 능력치 높은 필리아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평이 대부분이다.

다만 필리아의 우월한 기본 성능 덕분에, 그 정도만으로도 상당한 고성능을 자랑한다. 사실상 유틸을 포기하고 화력 하나만 몰빵한 태생 다이아 공격자 캐릭터들[25]의 압도적인 상위호환으로, 촉매 밸런스 패치 이후 메타에서 상당히 밀려난 현 시점에서도 어새신 그리드, 부식 전문 요원등이 배치된 1인방 방덱 상대로는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현상금에서는 교복머리와 같이 방어자로 자주 기용된다. 특히 방어자로 무조건 필리아 방어자를 하나 꼭 끼워놓아야한다면 레이지, 교복머리와 함께 비슷비슷한 수준의 채용률을 자랑한다. 교복머리가 가드불가 특수기 + 화력으로 로또성 방어율을 보여주는 방어자라면 헤어요정은 랜덤 버프 3개를 통해 공격자에게 사기를 치는 도박사형 방어자라고 볼 수 있다.

6.1.3. 전광석화

전광석화 파일:스걸모 물속성.png
파일:Blue Streak.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30.png
카드
"너어어어무 느려!"
고유 능력
서둘러야겠어
필리아에게 체력이 최소 100/98/95% 남아있을 때 명사수와 신속 효과를 얻습니다. 이 이로운 효과는 필리아의 체력이 100/98/95% 이하로 떨어지면 제거됩니다.
명사수 효과를 받는 동안에는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5/6/7초 동안 면역과 배수진, 불굴 효과를 얻습니다. 또한 정확성 3 중첩을 얻습니다.
능력치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706 13556 2919 56045
[특전 일러스트]
파일:July_2023.webp
5.4 패치로 새롭게 추가된 태생 다이아 백스테이지 패스 스킨. 컬러 모티브는 소닉 더 헤지혹슈퍼 소닉.[26]

필리아에게 필요한 유틸리티만 꽉꽉 채워서 출시한 사기 캐릭터.

기본적으로 필리아는 거머리 궁극능력을 통하여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만큼, 얻어맞지만 않는다면 사실상 게임 내내 신속과 명사수 버프를 상시 유지할 수 있다. 상대 방어력이 50, 필리아의 관통이 50일 때 기준으로 명사수의 피해량 증가 효과는 약 33%인 만큼, 명목상 13556인 전광석화의 실질 공격력은 17000대에 가깝다. 즉, 기본적으로 게임 내에서 가장 기본 공격력이 높은 캐릭터이며, 사실상 헤어요정의 상위호환이라는 의미다.

여기에 체력만 떨어지지 않는다면 상시 신속을 준다는 점 덕분에 아발란체와 조합 시, 교복머리의 상위호환으로 활약할 수도 있다. 또한 신속 효과 덕분에 간단한 콤보로만 레벨 1 블록버스터가 가득 차기 때문에 상당히 쉽게 면역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6.1 패치 이전에도 최상위권 필리아 공격 캐릭터로 취급받았지만, 6.1 패치로 촉매 밸런스 패치가 이루어지며 다른 필리아 캐릭터들이 카운터 당하는 전격 무력화, 하이힐 금지 같은 촉매들을 피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촉매 개편으로 필수 방어캐릭터로 입지를 다지게 된 사망섬유를 완벽하게 카운터칠 수 있다는 점 덕분에[27] 주가가 미친듯이 상승하였다. 사실상 바람맞은 머리와 함게 최강의 리프트 필리아를 넘어, 스컬걸즈 모바일 최고의 사기 캐릭터들 중 하나로 입지를 톡톡히 다진 수준.

6.3 패치로 인하여 간접너프를 제대로 얻어맞았다. 본인 자체가 직접적으로 패치를 받지는 않았지만, 부식성 원소의 효과가 변경되어, 이제 부식성 원소의 도트딜을 얻어맞으며, 단 2초면 고유능력 1이 해제되기 때문에 사망섬유를 정확성으로 잡아내는 난이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갔다.

특히나 해당 패치로 인하여 데스위시, 레드벨벳 등 전통적인 사망섬유 카운터들이 더 이상 부식성 원소의 도트피해를 입지 않도록 변경되어 전광석화의 자리를 빼앗고 있는 만큼, 직접적인 너프를 먹은 바람맞은 머리만큼 타격이 컸다는 것이 중론. 이후 천상계 쪽에서는 2인방 상록의 악이 아니라면 어지간해서는 부식성 원소를 빼고 있는 추세라서 간접 너프가 큰 건 사실이지만, 치명적이진 않았다는 것이 중론이 되었다.

6.4 패치 이후부터는 신속 효과 덕분에 바람 속으로 촉매를 카운터치기 좋고, 명사수 효과로 인하여 무의미한 저항 방덱을 상대로도 어느 정도 활약이 가능하다는 점이 부각되어 여전히 메이저한 캐릭터로 활약중이다. 하지만 3인방에서는 여전히 바람맞은 머리 쪽이 더 잘 사용되는 편이며 어지간해서는 2인방에 한해서만 사용되는 편.

6.1.4. 순수한 힘

순수한 힘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파일:Shear_Force.webp
카드
인게임
"어느 때보다 더 노력해야 해!"
고유 능력
더욱 저 너머로
순수한 힘 혹은 상대가 해로운 효과를 적용받을 경우, 필리아는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10 % 획득하며, 축복과 자동방어 효과를 15 초 동안 획득합니다.
순수한 힘이 가진 이로운 효과 하나 당 블록버스터 피해량이 15 % 상승합니다. 필리아가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죽음 효과를 부여하며, 필리아의 블록버스터로 처치된 상대방은 부활할 수 없습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512 10004 3568 68506
7.1 패치로 추가된 필리아의 두 번째 태생 다이아몬드 백스테이지 패스 캐릭터.[28] 컬러링 모티브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미도리야 이즈쿠다. 특수 이펙트가 존재하는 백스테이지 패스 캐릭터 답게 순수한 힘은 블록버스터를 사용한다면 푸른 번개 이펙트와 함께 필리아의 컬러링이 잠시동안 온 몸에 핏줄이 불거져나오는 듯한 모습처럼 변경된다. 전체적으로 이펙트에 대한 평가는 전광석화보단 별로라는 평이 많다.

매우 빠른 블록버스터를 충전 속도를 이용하여 순간적인 폭딜을 쏟아붓는 누킹형 캐릭터. 이런 점에서는 전광석화와 어느정도 겹치는 면이 있다. 태생적으로 최상위권의 지속 도트 딜링 능력을 지닌 필리아의 기본성능과 어우려져 출시 초기의 전광석화 처럼 역대급으로 사기적인 고유능력을 지니고 있는 최상위권 공격자 캐릭터. 현상금 전투와 리프트 전투 양쪽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으며 메타 캐릭터에 제대로 합류했다.

고유능력의 블록버스터 게이지 획득 능력이 필리아의 기본 성능과 찰떡궁합인데, 필리아부터가 매 콤보마다 5중첩 출혈을 입힐 수 있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면역 효과가 없는 상대방에게는 콤보마다 50%의 블록버스터 게이지와 5중첩 자동방어, 축복 효과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35% 이상의 게이지 충전을 획득한 경우 일반적인 2 곱슬가시 콤보만으로 2단계 블록버스터 까지는 매 콤보마다 난사하는 게 가능하다.

또한 고유능력 2 덕분에 한 콤보를 마치면 블록버스터가 무려 150%라는 정신나간 피해증가 효과를 받으며[29], 블록버스터 사용 시 죽음 효과를 걸기에 배수진을 무시하고 상대를 잡아 낼 수 있는 만큼 블록버스터 마무리에 최적화 되어있는 캐릭터라고 요약할 수 있다. 리프트에서 블록버스터 마무리가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을 고려해보면 사실상 모든 필리아들 중 리프트 전투에 가장 적합한 캐릭터일 수 밖에 없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블록버스터로 처치 시 부활 불가라는 걸출한 추가 유틸리티까지 지니고 있는 것은 덤. 특히 이 부활불가 유틸리티는 생각보다 필요한 경우는 많은데[30] 가지고 있는 캐릭터가 매우 한정되며, 조건마저 상당히 빡센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쟁자마저 적다.

단점으로는 면역에 걸린 적을 상대로는 고유능력 1과 2가 모조리 봉쇄된다는 것. 이로 인하여 원래부터 필리아의 카운터였던 드림 밴드, 분리된 상, 자동면역 촉매에 극도로 취약하다. 애시당초에 순수한 힘은 특유의 낮은 공격력 덕분에 장점인 블록버스터 피해량도 다른 필리아 딜러들보다 못할 때가 생기는 만큼[31], 면역 효과를 가진 방어자 상대로 순수한 힘은 그냥 공격력 10000짜리 고유능력 없는 필리아에 불과하다.[32] 결국 순수한 힘은 면역 효과로 인한 피해를 가장 크게 받는 필리아 공격자 라고 할 수 있다.

하필 순수한 힘이 업데이트 된 7.1 패치에서 자동면역 촉매가 정신나간 상향을 받고, 리프트 3인방 한정 필수 촉매가 되어버린 만큼, 현 시점에서 순수한 힘이 3인방에 쓰이는 일은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1인방과 2인방에는 자동면역 촉매가 들어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주로 1, 2인방에서 활약하는 편. 물론 자동면역이 없는 3인방이라면 3인방까지 올라가서 날뛰는 것도 가능하다.

피콕의 재상영과 순수한 힘을 같이 조합할 경우, 블록버스터의 피해량이 0으로 감소하는 상당히 치명적인 버그가 존재한다. 고쳐질 때 까지 재상영과 같이 조합하는 일은 없도록 하자.

[ 역사 ]
출시 초기 고유능력은 다음과 같다.
1. 순수한 힘 혹은 상대방이 해로운 효과를 적용받을 경우, 필리아는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10 % 획득하며, 축복과 자동방어 중 하나의 효과를 15 초 동안 획득합니다.
2. 순수한 힘이 가진 이로운 효과 하나 당 블록버스터 피해량이 25 % 상승합니다. 필리아가 블록버스터를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죽음 효과를 부여하며, 필리아의 블록버스터로 처치된 상대방은 부활할 수 없습니다.

7.3 밸런스 패치로 인하여 축복과 자동방어를 모두 획득하도록 변경된 대신 버프당 블록버스터 피해량 증가 수치가 감소했다. 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화력면에서는 확실한 너프. 순수한 힘이 자력으로 걸 수 있는 디버프는 6개[33] 이기에 자력으로 확보할 수 있는 블록버스터 피해량 증가 수치는 150% 이며, 이는 패치 이전과 이후 수치가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버프나 디버프를 주는 대전효과, 촉매, 서포터의 도움을 통하여 추가 버프, 즉 추가 화력을 기대해 볼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곱슬가시 한 번이면 5중첩 축복과 자동방어를 모두 획득해버리기에 디버프를 통한 화력 증가는 기대할 수 없어졌으며, 필리아에게 직접적인 버프를 제공하는 대전효과와 서포터의 버프 만으로 화력 증가를 기대할 수 밖에 없어졌다. 그 버프들의 화력 증가 수치마저 크게 하락한 것은 덤.

요약하자면 평시 화력은 유지, 안정성은 상승한 대신 화력의 고점이 매우 크게 깎여나갔다.

또한 순수한 힘을 괴롭히던 치명적인 버그 두 개[34]가 수정되었기에 사용감 자체는 매우 좋아졌으며, 고점 화력이 크게 하락하였을 뿐 패치 이전과 이후의 평시 화력 차이도 거의 없는 수준에 가깝고, 결정적으로 순수한 힘이 쓰이는 이유는 부활불가와 더불어 블록버스터 폭딜을 매 콤보마다 박을 수 있다는 점에 있었기 때문에 평가가 하락하지는 않았다.

여담이지만, 패치 2시간 전 올라온 공식 허브 패치노트에는 버프 하나 당 블록버스터 피해 증가 수치가 감소하는 너프 내용이 누락되어있었기에, 가뜩이나 성능이 좋았던 순수한 힘이 말도 안되는 버프를 받는 것으로 오해한 공식 디스코드의 유저들이 한 바탕 난리를 내는 소동이 벌어졌다.

6.2. 골드

6.2.1. 패러사이트 위브

패러사이트 위브 파일:스걸모 불 아이콘.png
파일:Parasite_Weave.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22.png
인게임
"이거나 먹어라!"
고유 능력
머리채 잡기
치명타 적중 시, 50% 확률로 상대에게 10 초 동안 감속 효과를 입히고, 상대가 감속 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3 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공격 시, 15% 확률로 기절한 상대에게 5 초 동안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526 10100 2779 53357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92 4731 1544 25013
현상금 보상 캐릭터
태생 골드 필리아들 중 가장 획득이 쉬운 현상금 보상 캐릭터.

고유능력 1의 감속의 경우 잘 읽어보면 감 잡히겠지만 어디까지나 페널티에 가깝다. 특히 중첩이 되는 감속 특성 상, 게임 시작하고 스턴을 넣는 것은 상대 캐릭터 하나 당 딱 한 번씩 뿐으로 사실상 기절이라는 옵션 자체를 기대하면 안 된다고 보면 된다. 또한 이 기절이라는 효과 자체가 없는 것에 더 가까운 만큼, 결국 고유능력 2의 출혈 부여 효과 자체도 게임 플레이에 전혀 고려할 이유가 없는 고유능력. 사실 필리아 자체가 곱슬가시를 통하여 출혈을 입히는 만큼, 필리아 리워크 이후 차라리 없는 게 더 나은 고유능력이 되어버리긴 했다.

스컬걸즈 모바일 초기 버전에서는 고유능력 1에 감속 효과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끊기지 않는 스턴을 넣는 희대의 사기 캐릭터로 악명 높았다. 특히나 당시에는 지금과는 달리, 콤보 중 이미 사용한 특수기나 블록버스터는 다시 활성화 되기만 한다면 다시 재사용이 가능했었고, 상대방이 기절하였다고 사용한 특수기가 비활성화 되는 일도 없었으며, 무엇보다 당시에는 현상금 전투 이외의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와인 양조업자, 뱀물기, 뉴로멘서의 선배격 되는 희대의 밸런스 파괴병기였다.

결국 2018년, 고유능력에 감속이 추가되며, 감속이 붙은 동안 기절을 걸지 못한다는 페널티가 붙어버리며, 존자 자체를 삭제당한 수준으로 큰 너프를 받아버렸다. 애석한 점은 이후 리프트 전투가 등장하며 출혈의 메리트가 크게 떨어졌거니와, 각종 시스템의 변경을 통하여 무한 스턴으로 게임을 날먹하는 것이 불가능해졌음에도, 고유능력은 너프먹은 그대로라는 점.

사실상 현 시점에서는 상시 5스택을 유지할 수 있는 감속을 통하여 상대방의 블록버스터 활성화를 최대한 늦출 수 있다는 점 이외의 장점은 없다. 사실상 공격 필리아 레이지, 아이돌의 습격과 함께 곱슬가시 발사대의 역할만 간신히 수행하고 있는 수준.

즉 객관적인 성능 자체는 필리아의 사기적인 스펙 덕분에 나쁜 편은 아닌데, 같은 필리아들과 비교해보면 너무나 초라해진다는 점. 자체 능력치만으로 아이돌의 습격에게 딜량이 밀리며, 쓸만한 고유능력을 가진 태생 실버 캐릭터인 사악한 프로스티, 물려받은 머리에게도 딜량이 밀린다. 하다못해 태생 브론즈인 푸석한 머릿결과도 딜량이 비등비등하다.

특히 사악한 프로스티와 여러모로 크게 비교되는데, 패러사이트 위브가 딜량은 아주 조금 더 높지만, 적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아예 잠그어버리는 지라 블록버스터 관리 능력에서는 앞서며, 약간 높다는 그 딜량은 속성과 방어막 여부에 따라서 충분히 역전이 가능한 수준의 아주 근소한 차이에 불과하다[35]. 문제는 이쪽은 태생 실버라서 접근성은 물론이요, 육성 비용마저 훨씬 저렴하기에 압도적인 가성비를 뽐낸다는 것.

6.2.2. 필리아 레이지

필리아 레이지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Dread_Locks.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23.png
인게임
"때릴 테면 때려 봐."
고유 능력
민머리
받는 피해량의 35% 를 반사합니다. 가드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숨겨진효과]반사피해로 상대방과 동시에 사망할 경우, 필리아가 승리합니다.
상대가 치명타를 적중시켰을 때, 상대에게 10 초 동안 대량 출혈 효과를 입힙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46 8564 3056 58676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48 4018 1698 27508
팔레트 모티브는 길티기어 시리즈의 밀리아 레이지.

태생 골드 캐릭터들 중 가장 악랄한 성능을 보여주는 방어자. 받는 피해의 35%를 그대로 반사하는 간단하고도 굉장히 강력한 고유능력 덕분에 꽤나 오랜 시간동안 리프트 필수 방어자로 활약했다.

확실히 방어자로써의 성능은 엄청난 캐릭터인데 체력 배수가 높은 전투에서 필리아 레이지를 적절한 대처법 없이 상대한다면 점수를 잃는 것이 아니라 클리어가 불가능한 수준이 되기 때문에 상대방에 필리아 레이지가 뜬다면 극도로 주의해야한다.

일반적으로는 고유능력 2를 역이용하는 방식으로 필리아 레이지를 격파하거나[37] 정확성을 얻는 캐릭터로 고유능력 1 자체를 씹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아니면 그냥 저주로 해치우기도 한다.

특히 극상성은 같은 필리아 공격자로, 35% 흡혈을 통하여 고유능력 1을 완전 무력화시켜버릴 수 있다. 이 점은 필리아 레이지를 흑백만화와 같이 배치하던 시절에 더더욱 두드러지던 단점인데, 상술한 피바다와 밸런타인 공격자를 대처하겠다고 흑백만화와 배치해두었더니 별의 별 필리아들이 쳐들어와서 날먹해버리는 통에 결국 흑백만화가 방어자로써 완전히 멸종당하는 계기를 만들어버리기도 했다.

메타가 변화하면서 2군 방어자로 취급되며 저평가받던 시기도 있었지만, 2023년 12월에 이루어진 촉매 밸런스 패치로 인하여 일정 시간마다 치유방해를 거는 방식으로 리워크된 하이힐 금지 촉매와 함께 배치하는 방식으로 다시 방어자로써 상위권에 등극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제는 저주와 정확성 이외에는 딱히 공략 방법이 없어져버렸으니 더더욱 까다로워 진 셈.

방어자로써 활용이 저조했던 4.8 패치 이후를 기점으로는 방어 몰빵 캐릭터로는 유래없이 공격자로도 상위권 강캐로 올라가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물론 당시 방어자로 사용되는 캐릭터들 중에 공격 성능이 좋은 캐릭터는 레이지를 제외해도 많기는 했지만 그걸 감안해도 한 콤보에 5출혈이라는 비상식적인 딜량을 보유한 필리아 레이지의 실전성은 다른 캐릭터들과는 차원이 다르기도 했다.

물론 메타의 변화로 인하여 서서히 도태되기 시작하였고, 6.1 촉매 밸런스 패치로 더 이상 필리아라는 점이 리프트에서는 큰 메리트가 아니게 되어버리며 사실상 공격자로써의 가치는 상실되었다.

6.2.3. 바람맞은 머리

바람맞은 머리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파일:Windswept.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6.png
인게임
"아무도 날 때릴 순 없으셈!"
고유 능력
올백
공격 동작중인 상대방에게 공격을 적중시킬 경우, 바람맞은 머리는 10초 동안 분노 효과를 획득하며 1스택의 회피 효과를 추가로 획득합니다.
상대방의 공격을 회피하면 100% 확률로 영구 정확성을 얻습니다. 바람맞은 머리 혹은 상대방 그 어느쪽이든 넉다운 될 경우 정확성이 제거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605 11616 2502 48039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336 5444 1390 22518
고유능력에 어느정도 제약이 붙어있기에 운영 실력이 필요하지만, 그 점을 고려하더라도 회피 효과를 통한 쉬운 인터셉트와 상당히 강력한 영구 정확성 유틸리티를 통해 게임을 풀어나갈 수 있는 노말 리스크 하이 리턴 캐릭터. 일반적으로 고인물 유저들에게 태생 골드 캐릭터들 중 가장 성능이 좋은 캐릭터를 뽑으라고 한다면 항상 한 손 안에 들어가는 최상위권 딜러 캐릭터이기도 하다.

고유능력 1 때문에 상대를 한 번만 인터셉트에 성공한다면, 그 뒤로는 상대방이 불굴, 명사수 효과를 얻은 게 아니고서야 무한하게 인터셉트를 반복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되며, 이 과정에서 회피 효과 덕분에 고유능력 2가 발동되어 해당 콤보에 한하여 정확성 콤보를 집어넣을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바람맞은 머리는 면역이 필요 없는 환경에 한하여 사실상 모든 파라소울의 압도적인 상위호환 캐릭터로 평가받는다. 영구 정확성 덕분에 콤보를 통하여 고유능력이 발동되는 방어자[38], 피격을 통하여 고유능력이 발동되는 방어자[39] 사망을 통하여 고유능력이 발동되는 방어자[40]을 모조리 카운터 치는 것이 가능하다.

화력 역시 상시 치명타 캐릭터인 만큼 치명타 피해량 증가 세팅을 쥐어줄 경우 깡딜이 어지간한 태생 다이아 수준으로 폭등한다. 특히 태생 다이아몬드인 교복머리와 비교해 볼 경우 상대방이 압도적인 체력을 지니고 있는 고연승 현상금이 아니고서야 치명타 확률 세팅을 한 교복머리보다 치명타 피해량 세팅을 한 바람맞은 머리의 화력이 더 높은 경우가 많다.

단점은 각종 디버프에 취약하며[41]상대방이 넉다운 된 경우 정확성이 사라지며 다시 회피를 통해 정확성을 수급해야 한다는 점으로 인하여 운영이 꽤나 까다롭다는 점. 필리아가 기본기 판정으로 리스크가 조금 큰 캐릭터인지라 어지간해선 일라이자로 기절을 걸며 태그 플레이를 하게 되는 데 바람맞은 머리는 회피를 통해 정확성을 획득하는 만큼 이러한 플레이가 봉쇄된다.

결국 메인딜러로 선두에 내보낸 뒤 디버프가 걸리기 전에 정확성 마무리는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회피를 미리 획득하고 정확성을 이후에 발동시켜야 하는 고유능력 구조 상 상위권으로 갈 수록 이러한 플레이가 영 쉽지 않다.

그렇기에 바람맞은 머리는 사용하기 전 촉매와 대전효과를 유심히 관찰한 뒤, 적절하게 서포터를 배분할 수 있는 게임 이해도와 더불어 블록버스터 게이지, 블록버스터 화력 등을 조절하여 재빠르게 원콤낼 수 있는 운영 실력이 필수로 요구된다.

[ 역사 ]
출시 초기 고유능력은 다음과 같다.
1. 공격을 회피할 경우 10초 동안 분노 효과를 획득합니다.
2. 발사체 공격을 50% 확률로 회피합니다.

순전히 분노효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투사체 공격을 얻어맞거나, 캐릭터 능력을 활용하는 수 밖에 없었으며, 4.8 패치로 인하여 필리아가 리워크를 받기 전 까진 기본성능마저 최악에 가까웠기에 그야말로 희대의 쓰레기 캐릭터 취급을 받았다.

당시 평상시에도 투사체 위주의 플레이를 하는 캐릭터는 피콕뿐이었으며, 이마저도 50%의 확률은 전혀 믿음직스러운 확률이 아니었던 만큼 사실상 그라디우수라장, 지옥불 여단, 데들리 에어포트같은 공격자의 극히 일부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를 회피하는 데에만 의미가 있는 방어자 캐릭터였다. 당시에는 회피 효과가 지금같은 버프 형식이 아니었으며,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에도 적용되었고, 한 번이라도 터진다면 그 후속타까지 전부 회피했었기에 이들로 싸운다면 약간은 성가신 캐릭터였지만, 그걸 고려하더라도 조금의 위협조차 되지 못하였다.

이후 4.8 패치로 필리아가 리워크되면서 능력치 자체는 괜찮았기에 고유능력이 없는 곱슬가시 발사대 취급을 받았다. 당시 필리아의 성능이 리프트에서 일라이자 이상으로 사기적이었던 만큼, 고유능력 없이 현상금과 리프트 양쪽에서 A급 이상의 평가를 받는 2군 정도에 위치한 캐릭터로 나름대로 고평가는 받았다. 이후 5.3 패치로 고유능력이 리워크 되었다.

5.3 패치에서 리워크 받은 고유능력은 다음과 같다.
1. 공격 동작중인 상대방에게 공격을 적중시킬 경우, 바람맞은 머리는 10초 동안 분노 효과를 획득하며 1스택의 회피 효과를 추가로 획득합니다.
2. 상대방의 공격을 회피하면, 바람맞은 머리는 100% 확률로 영구적인 정확성을 얻습니다. 필리아가 넉 다운 당하면 정확성 효과가 사라집니다.

이 패치로 바람맞은 머리는 현상금과 리프트 양쪽을 주름잡는, 로우리스크 하이퍼 리턴 0티어 딜러로 재탄생했다. 인터셉트 단 한번이면 직접적인 타격을 받지 않는다면 절대 사라지지 않는 영구 정확성 효과를 지니게 되어, 사실상 페인휠, 블랙 달리아 정도가 아니면 그냥 카운터 자체가 없었을 정도. 사실상 파라소울, 엑스봇 등의 압도적인 상위호환으로 리프트 공격자 생태계를 작살낸 결과, 약 1년 뒤 6.3 패치를 통하여 지금의 고유능력으로 너프를 먹게 되었다.

6.2.4. 아이돌의 위협

아이돌의 위협 파일:스걸모 물속성.png
파일:Idol_Threat.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9.png
인게임
"팬들 덕분에 완전 무적이 된다니까!"
고유 능력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회피 후, 10 초 동안 배수진과 방어막 효과를 얻습니다.
대시 중인 상대를 타격하면, 5초 동안 상대에게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추가로 피해량의 200%만큼 체력을 회복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605 11616 2502 48039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336 5444 1390 22518
원소 유물 전용 캐릭터
모티브는 보컬로이드의 하츠네 미쿠.

고유 능력 1은 사실상 AI마저도 회피 자체를 활용을 못할 만큼 캐릭터 능력 판정이 까다로운 탓에 사실상 방어자로 활용은 불가능하고, 플레이어가 손컨을 통하여 만만한 적을 상대할 때나 발동시켜볼 수 있다. 이렇게 까다로운 주제에 주어지는 보상도 방어자 전용 버프인 방어막과 배수진이라는 환장의 조합이라 공격자로 활용시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

고유능력 2의 경우 방어막 파괴 효과가 단 5초 뿐인 만큼, 사실상 이 캐릭터의 고유능력은 대쉬하는 적을 지상 1타로 공격할 경우 해당 타격에 한해서만 흡혈이 들어온다는 점 뿐이라고 보면 된다.

의외로 체력 회복 수치의 계수가 굉장히 높기 때문에 상대방의 방어력이 50, 아이돌의 습격의 관통이 50이라면, 스탯 공격력 125% 기준으로, 거머리 궁극능력 없이도 지상 1타만으로 전체 체력의 12%, 대쉬 1타로는 전체 체력의 27% 를 즉시 회복할 수 있는 수준의 상당한 회복력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필리아라는 캐릭터 자체가 기본적으로 거머리 덕분에 회복력이 아쉬운 캐릭터가 아니라는 것이 문제.

결론적으로 발동 조건은 극단적으로 까다로운 주제에 필리아에게 쓸모 없는 유틸만 제공하는 하이퍼리스크 노 리턴 고유능력. 덕분에 고유능력에 대한 평가 자체는 최악에 가깝다.

물론 필리아라는 캐릭터 자체의 성능이 뛰어나며, 능력치가 상당히 우수한 덕분에 곱슬가시 발사대로써의 성능은 상당히 뛰어나다. 특히 공격자로는 동일한 태생 내의 패러사이트 위브와 필리아 레이지의 상위호환이며, 고유능력이 쓸만한 태생 실버 캐릭터인 사악한 프로스티의 경우 기본 능력치만으로 딜량을 찍어 누르는 등 영 못써먹을 성능은 아니긴 하다.

물론 결론적으로 고유능력이 없는 곱슬가시 발사대 캐릭터라는 점은 변하지 않으므로 결국 원소캐릭터라는 희소성을 제외하면 굳이 키울만한 이유는 없는 캐릭터. 사실상 전자피규어라고 생각하자.

6.2.5. 컬 스카우트

컬 스카우트 파일:스걸모 물속성.png
파일:Curl_Scout.png
카드
파일:SG_fil_color20.png
인게임
"여긴 참 지루해. 세상이 좀 더 마법 같으면 좋을 텐데."
고유 능력
꿈을 가져라
어느 쪽이든 피격 시, 5콤보 마다 해로운 효과 1개를 제거하고 7/8/10 초 동안 방어막 효과를 얻습니다.
방어막 효과를 받는 동안에는 1 초마다 체력을 1%,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1/2/3% 얻으며, 4초마다 상대방에게 쇠퇴 효과를 4/5/6초 간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526 10100 2779 53357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92 4731 1544 25013
6.2 패치로 추가된 필리아의 태생 골드 백스페이지 패스 캐릭터. [42] 캐릭터 컬러링 모티브는 피오나와 케이크의 어드벤처 타임의 주인공 피오나.

7.6 패치 이후 능력치 및 고유 능력이 모두 변경되었다. 방어자로서 능력이 떨어졌으나 공격자로서 더 활약할 여지가 생긴 편.

[역사]
패치 이전 능력치 및 고유 능력은 아래와 같다.
고유 능력
꿈을 가져라
피격 시, 5 콤보 마다 최대 2개의 해로운 효과를 제거하고, 15 초 동안 방어막 2중첩을 얻으며 30 %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획득합니다.
이로운 효과를 받는 동안에는 4 초마다 체력을 10 % 회복하고 상대방에게 6 초 동안 쇠퇴 효과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46 8564 3056 58676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48 4018 1698 27508
방어형 스탯 및 고유 능력 덕분에 필리아 레이지, 불멸의 냥이, 레저넌트 이블, 부식 특화 요원과 궤를 같이 하는 뉴비 학살자 방어자로 활약했다. 일단 버프를 획득할 경우 4초마다 10%의 체력 회복 효과를 지니고 있는데, 초당 회복으로 놓고 보면 2.5%로 분리된 상의 상위호환급 지속 회복 능력을 보여준다.

심지어 2스택의 방어막도 같이 획득하며, 4초마다 쇠퇴 효과로 플레이어의 블록버스터까지 봉인해버리는 통에 체감 내구도는 훨씬 더 단단했다. 고유능력 1의 디버프 제거 효과 때문에 재앙 효과 하나만으로는 제대로 카운터 치는 것 조차 불가능하다는 점이 난점.

다만 베오울프, 로보포춘 공격자로 처음부터 5콤보를 넣지 않는 플레이를 하거나, 5의 배수 콤보 이후 즉시 일라이자의 카오스 베니쉬, 빅 밴드의 자이언트 스텝처럼 버프를 제거하는 기술로 방어막을 지워버리는 플레이를 할 경우 아무것도 못하는 캐릭터로 전락해버린다.

덕분에 상대법을 아는 유저와 모르는 유저의 체감 난이도 차이가 극심한 캐릭터들 중 하나인데, 고스펙 유저들의 경우 영구적으로 버프를 획득하는 효과가 있는 방에나 채용을 고민해보며, 그것도 아니라면 채용조차 고려하지 않는 계륵 방어자로 평가하지만, 저스펙 유저들이 몰려있는 레딧이나 공식 디스코드, 포럼같은 곳에서는 도대체 왜 만들었냐는 말을 들을 정도로 최악의 방어자로 원성이 높은 수준.

일반적으로는 냉기방어막 혹은 분노의 회피, 자동방어 등 버프를 제공하는 촉매와 함께 배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냉기방어막 조합의 경우 같이 배치되는 캐릭터들이 냉기방어막 촉매 카운터인 흡혈영웅에게 매우 약하다는 점이 문제. 그렇다고 흡혈영웅 카운터를 방에 같이 배치하기에는, 객관적으로 현 시점 3인방에 배치되는 냉기방어막 메인 탱커 방어자들 중에서 가장 성능이 떨어지는 캐릭터가 컬 스카우트라서[43] 굳이 배치할 이유가 없다는 점이 문제.

물론 영구 버프를 획득하는 전투에서만큼은[44] 냉기방어막 촉매와 같이 배치할 경우 흡혈영웅과 오거워치[45]를 제외하면 카운터가 없다시피 한 수준이기에, 고득점을 내기가 굉장히 골때린다.

6.3. 실버

6.3.1. 물려받은 머리카락

물려받은 머리카락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파일:Hair_Apparent.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7.png
인게임
"조별 과제가 제일 좋아!"
고유 능력
머리카락 휘날리며
특수기를 사용하면 15초 동안 신속 효과를 얻습니다.
블록버스터 사용 시 100% 확률로 모든 특수기의 재사용 대기 시간이 초기화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518 9946 2142 41127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88 4666 1190 19278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40
160 2112 661 8726
팔레트의 모티브는 삼손이 기생하기 전의 필리아이다.

특수기를 사용 시 신속을 획득하며, 이 신속 효과를 통하여 블록버스터를 빠르게 충전시키는 유형의 공격자 필리아 캐릭터. 필리아가 특수기인 곱슬가시 의존도가 높으며, 높은 화력으로 인해 빠르게 게임을 끝내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블록버스터 마무리가 중요한 리프트에서는 신속 효과의 효율도 매우 좋은 편에 들어간다.

필리아 캐릭터답게 태생 실버 내에서는 최상위권 성능을 가진 탈실버 공격자로 취급받는다. 성능 자체는 사악한 프로스티와 메타에 따라서 앞치락 뒷치락 하는 편. 블랙 달리아의 출시 이후로는 상성이 매우 좋은 서포터 아발란치가 존재하는 만큼 사악한 프로스티보다 좋은 평가를 받는 일이 더 많지만, 같은 속성 내에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하는 바람맞은 머리와 준수한 현상금 성능과 더불어 리프트 준필수급 캐릭터인 웃음의 사신이 존재하기 때문에 오히려 다이아 진화 우선순위가 사악한 프로스티보다 낮다.[46]

현상금에서는 필리아의 자체 성능만으로도 태생 다이아 이하 캐릭터들 중에서는 손꼽히게 강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블랙 달리아의 아발란치와 조합할 경우 거의 교복머리를 방불캐 하는 수준으로 성능이 폭등한다. 리프트에서는 신속 효과로 인해서 저티어에서는 둔화 효과를 방지해야 하는 할큄대 조합을, 고티어에서는 빠르게 블록버스터 마무리를 해야하는 바람 속으로 조합을 상대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물론 바람 속으로 조합의 경우, 상위 태생 캐릭터 중에서는 뉴로멘서, 소중한 미이라가, 같은 필리아 캐릭터들 중에선 전광석화나 순수한 힘 같이 물려받은 머리의 성능을 한참 넘어서는 캐릭터들이 꽤나 존재한다만 보통 태생 다이아 캐릭터에 해당되며, 이 캐릭터들이 없다면 태생 브론즈의 비트박스 다음으로 가성비가 좋은 캐릭터가 물려받은 머리인 만큼 육성 효율은 매우 좋은 편이다.

6.3.2. 사악한 프로스티

사악한 프로스티 파일:스걸모 물속성.png
파일:Bad_Ms_Frosty.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15.png
인게임
"좋아, 다들 냉정해지자!"
고유 능력
아이스 투 시 유
치명타 적중 시, 50% 확률로 상대의 블록버스터를 6초 동안 제한합니다.
또한, 6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50 8640 2381 45716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50 4050 1323 21433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40
139 1835 735 9702
방어막 파괴 효과와 블록버스터 제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 필리아 공격자. 자신의 블록버스터를 빠르게 충전하는 물려받은 머리와는 다르게, 상대방의 블록버스터 획득을 최대한 느리게 만드는 상반된 효과를 지니고 있다.

전투가 장기전으로 돌입된다면 상당히 불안정해지는 필리아의 성능을 어느정도 보정해줄 수 있는 블록버스터 제한 효과, 방어막을 안정적으로 제거해 줄 수 있게 해주는 방어막 파괴 효과로 인하여 투입할 수 있는 환경이 상당히 폭넓은 편이다. 물 속성 캐릭터들 중 다이아 진화 우선순위는 상당히 높은, 초보자 추천 캐릭터로 추천받고 있는데, 이건 태생 골드까지의 물 속성 캐릭터들 중 현상금과 리프트 양쪽 모두에서 사악한 프로스티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는 캐릭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크다.[47]

단점으로는, 필리아의 전투가 장기전으로 돌입하는 가장 큰 이유가 면역 효과이며, 면역 효과를 지닌 적들은 방어막 파괴도, 블록버스터 제한 효과도 씹고 들어오기 때문에 장점이 무력화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인데, 애시당초에 공격자가 부족한 초반 유저가 아니고서야 그런 적을 상대로 사악한 프로스티를 투입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큰 문제로 보기는 애매해다.

또한 초반 유저라도 보통 사악한 프로스티와 같이 키우는 초반 추천용 캐릭터들이 이러한 면역 캐릭터들을 상대로 활약해줄 수 있는 방수나 비트박스같은 깡딜 캐릭터나 도트 피해를 입히는 버프인 독기로 상대를 갉아먹는 맨뼈 같은 캐릭터인 만큼, 어지간히 판단 능력이 박살난 게 아니라면 실수하는 일이 많지는 않다.

이보다는 전통적으로 사악한 프로스티가 고평가받아온 가장 큰 이유는 블록버스터 제한보다는 방어막 파괴에 있었는데, 메타가 변화하면서 방어막을 제공하는 촉매들의 티어가 꽤나 밀려버렸기에 스펙이 높아질 수록 사악한 프로스티를 꺼내들어야 하는 상황이 크게 줄어든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에 가깝다.

초보자 추천 캐릭터이긴 하지만 첫 진화를 해야 할 시점에서 바람맞은 머리, 교복머리, 전광석화, 순수한 힘 넷 중 하나라도 가지고 있다면 굳이 사악한 프로스티를 키울 이유는 없다. 물론 그 시점에서 넷 중 하나라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더 드믈기에 어지간해서는 프로스티를 제일 먼저 올린다.

[역사]
출시 초기 당시 고유능력은 다음과 같다.
1. 치명타 공격 시 50% 확률로 6초 동안 상대방의 태그 인과 특수기의 사용을 제한합니다.
2. 또한 블록버스터의 사용을 제한합니다.

출시 당시에는 고유능력이 파라소울의 왜가리 일병 구하기의 압도적인 하위호환이었다. 아무래도 타격 수의 차이 때문에 이러한 조치를 취한 것 같지만, 50%의 확률이 상당히 큰 차이를 내는 것은 물론, 캐릭터 기본 성능의 차이로 인하여 평가가 몹시 좋지 못했다.

결국 3.1.0 패치로 인하여 방어막 파괴 효과를 얻게 되어 왜가리 일병 구하기와 상당한 차별화를 이루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물론 리워크 이후 필리아는 상대방이 5중첩 출혈이 걸리자마자 태그로 도망치는 경우가 꽤 많기 때문에 태그 인 제한이 사라진 것은 조금 아쉽다는 평도 보인다.

상향 이후 4.0 패치 이전까지는 다크넛 촉매가 상당히 자주 사용되었기에 치명타 확률을 올리면 쉽게 5중첩 방어막을 지워버릴 수 있던 사악한 프로스티는 당시 필리아의 저열한 성능에도 불과하고 상당히 고평가받았으며, 다크넛 촉매가 메타에서 밀려난 뒤로도 필리아 리워크로 성능이 미친듯이 상승하였으며, 6.1 패치까지도 냉기방어막 촉매가 메타를 지배하고 있었기에 방어막을 쉽게 지울 수 있던 사악한 프로스티의 평가는 몹시 좋은 편에 들어갔다.

6.3.3. 락 스타

락 스타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Rock_Star.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28.png
인게임
"너도 나도 이해했어! 전부 다 이해한 거야!"
고유 능력
보석 방어막
락스타가 살아있는 동안, 락스타의 팀원은 태그 난입 시 10초 동안 3 중첩 차단막 효과를 얻습니다.
팀원의 차단막이 만료되면 해당 팀원은 10초동안 배수진 효과를 얻고 차단막 하나 당 모든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20% 충전됩니다.[48]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382 7335 2621 50324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12 3435 1456 23588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40
118 1558 809 10679
모티브는 스티븐 유니버스의 주인공인 스티븐 쿼츠 유니버스.

태그 플레이를 통하여 아군에게 차단막 효과를 제공하며 차단막이 해제된 후로는 블록버스터 게이지와 배수진을 지원해주는 서포터. 일반적으로는 게이지를 충전해주는 유형의 서포터로 활용되지만, 6.3 패치 이후로 차단막을 트리거로 사용하는 스킨들이 꽤나 늘어나면서 차단막 서포터로도 수요가 크게 생겼다.

물론 어디까지나 말이 서포터지 면역을 획득하거나 출혈을 카운터치는 상대가 아니고서야 화력만큼은 어지간한 메인딜러 이상으로 뽑혀나오기 때문에, 스컬걸즈 모바일의 다른 서포터들과는 달리 선두에 나서서 한 콤보 먹여주고 후퇴하거나 아얘 적극적으로 필드에 나와서 딜을 박는 공격적인 플레이를 하게 된다.

빛 속성의 고성능 공격자들 절대 다수는 현상금에서 획득할 수 없는 캐릭터이기 때문에[49], 이 캐릭터들이 없는 운이 지지리도 없는 저스펙 유저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1순위 진화로 올릴 수 밖에 없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얘가 싫다면 선택지는 락스타보다도 고점이 훨씬 낮은 더블몽이나 소울크러셔만 남는다.

일반적으로는 엄브렐러, 로보포춘, 블랙 달리아의 모피장수 처럼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캐릭터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 차단막이 만료되고 난 뒤의 게이지 충전 효과를 노리는 것으로 비슷하게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제공하는 알렉스와 경쟁하는 편이다. 다만 자체 성능이 락스타의 압도적인 우위에 있기에 상대방이 버프 제거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경우 같은 특정 상황이 아니고서야 락스타가 더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이외에도 차단막 효과를 필요로 하는 조합과도 자주 활용되는데 대표적으로 일라이자의 고귀한 거물과의 조합. 고귀한 거물의 경우 차단막을 획득하는 순간부터 면역효과를 받으며, 차단막 갯수에 비례해서 피해량이 증가하는 만큼 락스타의 3중첩 차단막을 받는 순간 화력 역시 태생 다이아몬드 캐릭터들 수준으로 강력해진다.

또한 락스타가 주는 10초 지속시간의 차단막은, 지속시간 없는 차단막을 획득하는 대신 20초라는 예열시간을 지니고 있는 거물의 예열시간을 땜빵해주기 적절하기 때문에 운영상의 단점 역시 커버된다. 락스타의 차단막이 해제되는 순간이 어지간해서는 바람 속으로 촉매가 터지고 난 뒤라는 점 역시 운영상의 장점. 이로 인하여 6.3 패치 이후로는 2인방에 한해 방어 상성이 밀리는 일이 거의 없는, 매우 강력한 조합으로 손꼽힌다.

사실상 고귀한 거물 출시 이후로는 거물과의 조합에서만 사용되는 편이며, 태생 실버 필리아 3인방들 중 가장 고점이 높다고 평가받는 중.

6.3.4. 단서만 쫒는 자

단서만 쫒는 자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카드
인게임
"안경! 내 안경이 안 보여!"
고유 능력
영혼의 통찰
필리아가 살아있을 때, 모든 아군은 3콤보마다 치명타 확률이 5/7/10% 증가합니다.
20/15/10콤보 이상에서 필리아의 치명타 공격은 상대방의 방어막과 방어력을 무시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450 8640 2381 45716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50 4050 1323 21433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40
139 1835 735 9702
컬러 모티브는 스쿠비 두 시리즈의 벨마 딩클리스쿠비 두.

6.4. 브론즈

6.4.1. 헤어 스타일 최악

헤어 스타일 최악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파일:Bad_Hair_Day.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1.png
인게임
"가위질 좀 해야겠어!"
고유 능력
면도날
공격 시, 10% 확률로 상대에게 7초 동안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상대에게 출혈 효과가 적용되어 있을 때, 치명타 확률이 15% 추가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385 7392 2041 39188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14 3467 1134 18371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40 레벨 1 레벨 40
119 1571 630 8316
브론즈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30 레벨 1 레벨 30
66 674 350 3570
과거 4.7 패치 필리아 리워크 이전까지만 해도 최고의 가성비를 가진 필리아라고 평가를 받아왔다. 능력 자체는 기이한 금요일의 완벽한 하위호환이지만 궁극능력 퍼스트 컷과의 조합이 굉장히 흉악했기 때문. 덕분에 물러터진 체력만 보완한다면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캐릭터라고 평가받았다.

그러나 리워크 이후 모든 필리아가 쉽게 5중첩 출혈을 박을 수 있도록 상향되면서 가장 출혈을 쉽게 먹일 수 있는 필리아라는 장점이 사라졌고, 사실상 모든 필리아들의 하위호환이라는 취급을 받을 정도로 몰락했다.

물론 곱슬가시 없이 자력으로 출혈을 박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기에 극초반에 유용한 캐릭터라는 점은 여전하지만, 어차피 게임 시작 시 모든 캐릭터들의 브론즈 스킬을 반드시 지급하며, 여기에 필리아 일일 이벤트에서 브론즈 등급 곱슬가시를 어찌저찌 하나라도 더 구하는 순간부터 모든 필리아들이 헤어스타일 최악의 성능을 넘어선다.

결국 헤어스타일 최악의 수명은 아무등급의 곱슬가시 스킬 2개를 획득하는 끝난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현 시점에서는 뉴비 입장에서도 육성할 가치가 전혀 없는 캐릭터.

6.4.2. 푸석한 머릿결

푸석한 머릿결 파일:스걸모 불 아이콘.png
파일:Frayed_Ends.webp
카드
파일:SG_fil_color3.png
인게임
"머리끝이 갈라졌네."
고유 능력
그만!
공격을 당하면, 20% 확률로 상대에게 3초 동안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출혈 효과가 적용된 상대에게 50%의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60 레벨 1 레벨 60
362 6951 2473 47482
골드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50 레벨 1 레벨 50
201 3257 1374 22259
실버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40 레벨 1 레벨 40
112 1479 763 10072
브론즈 공격력 체력
레벨 1 레벨 30 레벨 1 레벨 30
62 633 424 4325
고유능력 1을 보고 방어캐릭터로 착각하기 쉽지만, 고유능력 2로 인하여 필리아 리워크 이후에는 사실상 딜러로 활용 된다.

따로 분노를 획득할 일이 거의 없고, 기술에 보너스 피해 옵션이 전무한 필리아 특성 상, 고유능력 2의 추가 피해량 50%의 효율이 매우 좋기 때문에 출혈을 건 뒤 부터의 실질 공격력은 풀업 다이아 기준 10500으로 보아야 한다. 결국 깡딜만 놓고 본다면 태생 골드의 패러사이트 위브, 필리아 레이지, 컬 스카우트, 태생 실버 전원을 압도하는 화력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50]

다만 그 화력의 차이 자체는 거의 나지 않는 수준. 푸석한 머릿결의 경우 별도 유틸리티 없이 고유능력을 모두 동원한 화력이 이들과 거의 차이가 없는 급인 만큼, 실질적인 장점은 태생 골드들과 비비는 성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태생 브론즈 등급이라는 점에서 나오는 압도적인 가성비가 끝이다.

이로 인하여 푸석한 머릿결 수준으로 저렴한 것은 아니더라도 비슷하게 태생 실버라서 강화비용이 저렴하고, 블록버스터 잠금 + 방어막 파괴라는 유용한 유틸리티까지 갖추고 있는 사악한 프로스티가 전반적인 평가 면에서는 훨씬 앞서는 편.


[1] 대부분의 캐릭터들은 백대쉬 시 대쉬보다 짧은 일정 거리를 후진한다. 다만 필리아만큼은 그 어떤 위치에서 백대쉬를 하든 반드시 스테이지 좌측 끝으로 질주한다. 백대쉬 모션에 회피 판정이 있기에 가드 압박 이후 백대쉬하면 블록버스터를 얻어맞지 않는 이상 절대 역공당할 수가 없다.[2] 인게임 번역으로는 공격을 적중시키는 것이 조건으로 나와있지만 오역. 공격중인 상대를 공격하는 인터셉트에만 충전이 발동된다.[3] 헤어 요정은 예외[4] 공격 스탯이 3점인 캐릭터들은 애니, 파라소울, 일라이자가 있으며 애니는 연타로 갈길 경우 필리아의 곱슬가시 이상의 파괴력을 자랑하는 파괴의 기둥이, 파라소울은 궁극능력을 통한 정신나간 실전 데미지를 가지고 있다. 일라이자의 경우 필리아와는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의 유틸기들이 즐비하기 때문에 사실상 필리아의 높은 기술 계수가 딱히 오버밸런스는 아닌 상황[5] 바람맞은 머리는 생략[6] vs 무의미한 저항[7] 출혈을 떼고 보아도 스컬걸즈 모바일 전체에서 이 기술보다 계수가 높은 특수기는 스퀴글리의 강화된 끌어물기 하나뿐이다. 어차피 스퀴글리의 낮은 공격력을 생각해보면 깡데미지 차이도 크게 나질 않으며 출혈 데미지까지 고려한다면...[8] 구석 기준 피해량은 441/480/519/558%[9] 추가 타격은 치명타가 터지기 때문에 치명타가 터질 경우 표기된 것 보다 높은 피해가 들어갈 수 있다.[10] 지상 4타의 피격 경직이 필리아의 경직보다 길기에 평상시에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후술할 상황에서 매우 큰 결점으로 작용한다.[11] 원작기준 점프 중손, 낮은 높이로 점프해서 다단히트를 내는 모션[12] 빅밴드, 더블에게는 생략[13] 물론 가드 데미지만으로 황천 너머가 보이는 수준의 유리몸인 페인휠과 더블보다는 낫다. 허나 이들은 역으로 이 점 때문에 공격에서는 도태되어버린지라 실전에서 사용되는 캐릭터들 중 가장 물몸인 캐릭터가 필리아가 되어버린 셈.[14] 대표적으로 냉혹, 별빛장미같은 디버프 제거 서포터 혹은 디버프에 큰 손해를 보기 전에 태그 아웃으로 빠르게 도망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재상영 등...[15] 물론 트리코베조아의 강력한 폭딜과 거머리의 흡혈효과, 미즈 드릴러의 매우 강력한 버프 제거 효과는 타 캐릭터들과 비교해보아도 꽤나 강력한 강점이기에 기본 스탯이 강력한 고등급 캐릭터에 한해서 필리아는 여전히 메이저한 픽이긴 하다. 또한 자동면역 촉매가 단순 화력형 공격자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관계로 3인방을 제외하면 인기가 좋지 않은 것도 여전히 필리아 공격자가 메이저한 것에 한 몫 하긴 했다.[16] 대표적으로 궁녀, 별빛장미[17] 특히 모든 방에 전격 무력화를 배치하는 다이아몬드 2티어 이상의 유저들에게 통하는 이야기다.[18] 일단 다이아몬드 2티어 이상의 천상계 구간에서도 확실히 좋은 방캐로 인정받고 있는 캐릭터는 헤비메탈과 지아이재즈[19] 다만 해당 방덱들에 끼어있는 빅 밴드 캐릭터 잘 잡는 것이기에 촉매에 따라서 서포터나 서브딜러가 필요하긴 하다.[20] 적 하나를 빠르게 지워버린 뒤, 블록버스터 게이지 획득 요원과 태그하여 마무리짓는 용도로 활용한다.[21] 낙서 서포터를 채용하고, 일라이자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재앙과 기절을 걸은 뒤 필리아로 태그하는 것이 대표적이다.[22] 기본적으로 부에르 촉매 덕분에 곱슬가시가 입히는 데미지가 감소하여 반사데미지가 확 줄어버린다. 덕분에 거머리 궁능을 찍었다면 흡혈 체력 덕분에 반사 데미지를 손쉽게 복구할 수 있게 된다.[숨겨진효과] [24] 사실 리워크 이전에도 콤보 연계가 매우 개판이었어서 이 고유능력을 활용하기 힘든 건 마찬가지였지만, 최소한 지금보다는 고유능력 2를 자주 발동시키긴 했다. 물론 그 당시 5 영구분노 헤어요정은 지금 분노 없는 헤어요정보다 훨씬 약하다[25] 더블의 차돌사탕, 야수습성, 미스 포춘의 털북숭이 분노, 밸런타인의 위장, 청부업, 엄브렐러의 환상술사 등[26] 고유능력 2가 발동하면 슈퍼 소닉 팔레트로 변경되며, 고유능력2로 얻은 버프가 종료되면 다시 일반 팔레트로 돌아온다.[27] 특히 속성때문에 부식성 원소 효과를 피하며, 면역을 통하여 부식성 원소와 같이 배치되는 전격 무력화와 태그 앤 개그, 하이힐 금지 촉매를 씹을 수 있으며, 정확성을 통하여 사망섬유의 고유능력까지 피한다.[28] 2025년 3월 백스테이지 패스 캐릭터로, 월간 축제 현상금 전투인 '뚝배기 터트리기'의 보상인 네잎클로버 유물에서 약 0.3%의 낮은 확률로 획득할 수 있으며, 1억 5000만점 최종보상인 생명의 나무 다이아몬드 유물에서 20%의 확률로 획득이 가능하다. 이후 2025년 6월에는 상점에서 다이아몬드 유물 5개로 확정 교환이 가능할 예정.[29] 세팅이 완료된 순수한 힘은 한 번에 30~40만 수준의 피해를 입히는 트리코베조아를 매 콤보마다 난사한다![30] 로보 포춘의 리이미지, 엄브렐러의 데스위시, 밸런타인의 마지막 희망, 킬호순, 일류능력 및 금지된 수술, 리프트 바람속성 주간 보스방, 리프트 빛속성 주간 상단 3인방[51], 마리의 다이아몬드 현상금 등...[31] 전광석화는 사실상 정상적으로 플레이한다면 블록버스터는 반드시 정확성 효과를 적용받을 수 있는 만큼 작정하고 치피 세팅을 할 경우 명사수 + 높은 치명타 피해량 덕분에 트리코베조아의 화력이 순수한 힘을 넘어선다. 교복머리는 죽음의 표식 덕분에 치명타가 터져준다면 마찬가지로 순수한 힘 이상의 피해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헤어요정 역시 영구분노를 받는다면 순수한 힘을 넘어서는 트리코베조아 딜을 보여준다.[32] 대충 이들을 상대로는 사악한 프로스티나 패러사이트 위브보다 못한 성능이 되어버린다고 이해하면 된다.[33] 출혈 5중첩 + 죽음[34] 버프가 과도하게 많을 경우 블록버스터의 피해량이 오히려 0으로 감소하는 버그와 랜덤 디버프를 획득하는 효과에 노출될 경우 게임 내에 존재하는 모든 디버프를 한 번에 다 적용받는 버그[35] 관통 50 기준으로 방어막 파괴의 딜량 상승 수치는 약 10% 정도이기에 위브가 딱 6% 정도 강하다. 물론 프로스티도 위브도 딜량 대부분이 출혈이라는 걸 감안하면 실질적인 딜 차이는 거의 없다시피 한 수준.[숨겨진효과] [37] 대표적으로 피바다와 중환자실 밸런타인. 이것을 막기 위해서 피콕의 흑백 만화와 같이 배치하던 시절도 존재했었다.[38] 리이미지, 데스위시, 컬 스카우트, 헥스 칼리버 등[39] 암드포스, 필리아 레이지, 상록의 악 등...[40] 사망섬유, 리이미지, 데스위시, 블루 스크린 등...[41] 특히 쇠퇴와 블록버스터 제한, 피로 등...[42] 2024년 4월에 열리는 봄맞이 대청소 현상금 전투 이벤트 현상금 유물에서 낮은 확률로 획득할 수 있으며, 프리미엄 백스테이지 패스 구매 시 레벨 50 보상으로 획득이 가능하다. 2024년 12월 말에 이루어질 6.4 패치 때 정식으로 일반 유물에 추가 될 예정.[43] 샌즈, 리이미지, 헤비메탈이 대표적인 경쟁 캐릭터인데, 셋 모두 컬 스카우트보다 성능이 압도적이다.[44] 대표적으로 빛 주간 우측 1인방[45] 심지어 어느 정도 운이 따라줘야한다.[46] 바람 속성 캐릭터들 중 성능이 좋은 캐릭터가 많다는 점도 있지만, 물 속성 캐릭터들 중 현상금과 리프트 성능이 모두 좋은 공격자 캐릭터가 극도로 드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에 가깝다.[47] 현상금만 놓고 본다면 더블의 바다마녀, 애니의 파도전사물질계 소녀가 확실하게 프로스티 이상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리프트의 경우 밸런타인의 사일런트 킬이 사악한 프로스티보다 우위에 있다. 다만 이 캐릭터들 모두 현상금과 리프트 양쪽에서 좋은 성능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다.[48] 락스타가 제공하는 차단막이 아니더라도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충전된다.[49] 가장 대표적으로 유령 실가닥이 있으며, 유령실가닥의 대체제로 사용되는 꼬마 초능력자, 무적 털뭉치, 마법광 전부 현상금으로 획득할 수 없다. 심지어 이후에 올려야하는 리프트 전용 공격자들인 얼티밋 울프, 무덤지기, 옥상황제 역시 현상금으로 획득할 수 없기에 접근성이 극도로 떨어진다.[50] 사악한 프로스티의 경우 방어막을 가진 적 한정으로 푸석한 머릿결보다 강한 화력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방어막이 없는 상대를 공격 할 경우 관통 계산식으로 인해 관통 50 기준 방어막 파괴의 딜 증가 효율은 20%가 아니라 10%로 줄어들어 버리기 때문에 푸석한 머릿결보다 화력이 낮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스컬걸즈 모바일|스컬걸즈 모바일]]}}}{{{#!if external != "o"
[[스컬걸즈 모바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스컬걸즈 모바일?uuid=caf867c8-6e8a-4637-9ebc-6b018e3cb11d|r67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스컬걸즈 모바일?uuid=caf867c8-6e8a-4637-9ebc-6b018e3cb11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스컬걸즈 모바일?from=678|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스컬걸즈 모바일|스컬걸즈 모바일]]}}}{{{#!if external != "o"
[[스컬걸즈 모바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스컬걸즈 모바일?uuid=caf867c8-6e8a-4637-9ebc-6b018e3cb11d|r67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스컬걸즈 모바일?uuid=caf867c8-6e8a-4637-9ebc-6b018e3cb11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스컬걸즈 모바일?from=67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51] 다만 이 경우에는 시체 제거가 더 중요하기에 해당 전투에서 순수한 힘이 활약하기는 힘들다.